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으’ 모음 상승의 통시적 발달과 방언 분화

        강희숙(Kang Hui suk) 어문연구학회 2018 어문연구 Vol.95 No.-

        이 연구는 국어의 모음 체계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수직적 모음 상승 현상 가운데 하나인 ‘어→으’ 모음 상승이 통시적으로 어떠한 발달 양상을 보였으며, 이러한 현상이 국어의 지리적 공간으로 어떻게 확대되어 오늘에 이르렀는지를 중부방언과 전남방언을 중심으로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결과 ‘어→으’ 모음 상승의 촉발 혹은 발달은 18세기 중엽 이후 국어 방언들에서 출현한 것으로 보이는 ‘으, 어’의 혼기 현상과 관련성이 있으며, 애초에 비어두 위치에서 ‘으→어’의 방향으로 시작되었던 혼기가 19세기 이후 ‘으→어’와 ‘어→으’ 두 가지 방향으로 이루어진 것과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두 가지 방향에서 이루어진 ‘으, 어’의 혼기는 중부방언이나 서남방언에서는 ‘어→으’ 모음 상승 현상으로 자리 잡게 되었으며, 경상도 방언의 경우에는 두 모음의 대립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는 모음 합류를 야기함으로써 국어 방언 간의 차이 내지 분화를 유발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20세기 이후 현대 한국어 방언들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어→으’ 모음 상승의 실현 양상을 중부방언과 전남방언을 중심으로 대조한 결과 ‘어→으’ 모음 상승이 특히 서울말과 전남방언 모두 실현 환경에 제약이 없을 정도로 활발하게 실현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중부방언의 경우, ‘서울말>충청도 방언>경기도 방언’의 순으로 실현 정도에 차이가 있어 동일한 중부방언이라고 하더라도 하위 방언들 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이 드러났다. 결론적으로 지금까지 이루어진 기술만으로는 국어의 하위 지역 방언들이 겪고 있는 ‘어→으’ 모음 상승의 전체적인 윤곽이 제대로 파악되었다고 보기 어려운바, 본 연구는 그러한 윤곽의 일단이나마 제공할 수 있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focusing on the central and the Jeonnam dialect, aims to understand how the ‘eo→eu’ vowel raising, one of the vertical vowel raising phenomenon appears in Korean vowel system, showed the diachronic aspects of development and how this phenomenon expanded to geographic space of Korean language today. The result shows that the ‘eo→eu’ vowel raising is related to mixed writing of ‘eu, eo’ which was believed to be appeared after mid 18th century, and was related with the fact that it appeared of both direction ‘eu→eo’ and ‘eo→eu’ after 19th century, which started as only ‘eu→eo’ direction at the non-word initial position. That is, the mixed writing of ‘eu, eo’ with two-way directions became the ‘eo→eu’ vowel raising in the central and Jeolla dialect. This leaded the division of Korean dialects by causing the vowel merger which stops apposition of two vowels in the case of Gyungsang dialect. Meanwhile, the contrastive result of the central and the Jeonnam dialect of ‘eo→eu’ vowel raising which appears in modern Korean dialects after 20th century confirmed that it is actively realized on both Seoul dialect and the Jeonnam dialect. In the case of central dialect, the degree of realization was varied in the order of ‘Seoul dialect>Chungchung dialect>Gyunggi dialect’. This shows the differentiation among subordinate dialects of central area. This research provided the overall outline of ‘eo→eu’ vowel raising which happens in Korean subordinate dialects.

      • KCI등재

        전남 방언의 단모음 체계와 음가 변화

        하영우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9 民族文化硏究 Vol.85 No.-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vowel system and acoustic characteristics of monophthongs in the Jeonnam dialect. For this purpose, along with the results of existing research on the southwestern regions and eastern regions of Jeonnam dialect, an experiment was conducted on residents in the elderly and the adolescent living in Yeonggwang (the northwestern part of Jeonn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Jeonnam dialect, the vowel system varies according to generation, rather than region. The younger generation has seven vowel system (/ㅣ, E, ㅡ, ㅓ, ㅏ, ㅜ, ㅗ/), while the older generation has tentative seven vowel system because /ㅟ/, /ㅚ/ remains a monophthongs even though they are weak. And unlike other Jeonnam province, older people of Gurye that is a border area between Jeonnam and Gyeongnam, have a 8 vowel system (/ㅣ, ㅔ, ㅐ, ㅡ, ㅓ, ㅏ, ㅜ, ㅗ/). Meanwhile, the monophthongs in the Jeonnam dialect is changing its place of articulation around the younger generation. The phenomenon that /ㅜ/, /ㅡ/ moved toward front and /ㅗ/ moved toward high occurred in the young generation only. And /ㅓ/ also showed signs of moving to the rearward position and the low vowel position when most of the younger generation. Only a group of elderly women in the eastern part of Jeonnam province have been observed to change /ㅓ/ in a similar way to the younger generation. This phenomenon suggests that the change in the place of articulation of the monophthongs in Jeonnam dialect started from /ㅓ/. The reason why /ㅓ/ was the first subject of change in the place of articulation in Jeonnam province was attributed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vowel space. 본고는 전남 방언의 단모음 체계와 음가 변화 양상을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남 서북부 지역을 대상으로 단모음 실현 양상과 음가를 살펴보았으며, 유사방식으로 연구된 전남 서남부, 동부 지역의 결과를 함께 종합하여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전남 지역의 단모음 체계는 하위 방언권보다는 세대를 중심으로 다르게 나타났다. 청소년층은 /ㅟ/, /ㅚ/가 단모음 체계에서 완전히 이탈한 7모음 체계인 데 비해노년층은 두 모음이 단모음 체계에 한정적으로 남아 있는 잠정적 7모음 체계였다. 다만 전남⋅경남 접경지대인 구례의 노년층은 예외적으로 /ㅔ/, /ㅐ/를 변별 산출하는잠정적 8모음 체계를 보였다. 단모음의 음가 역시 세대를 중심으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노년층의 /ㅓ/는 전남 방언 연구의 전통적 가정대로 /ㅡ/에 가깝게 실현되었으나 청소년층은 /ㅓ/가 후설저모음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노년층과 달리 청소년층의 단모음 음가는 ‘/ㅓ/의 후설저모음화’를 포함하여 ‘/ㅗ/의 고모음화, /ㅜ/와 /ㅡ/의전설화’로도 나타났다. 단모음 음가 변화는 일부 노년층의 /ㅓ/에도 나타났는데, 이를통해 노년층도 단모음 음가 변화가 가능할 수 있으며 전체 단모음 음가 변화와 관련하여 /ㅓ/가 주요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해석하였다.

      • KCI등재

        소설 「홍합」과 여수지역어의음운론적 특징 연구

        김경표 한국언어문학회 2018 한국언어문학 Vol.107 No.-

        This paper is a phonological analysis of dialogue in the novel Honghap[홍합] and showed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yeosu dialects which are reflected in the novel Honghap[홍합]. To make sure that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reflect yeosu dialects, I compared them with the former study and Korea dialect research data. And I check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novel Honghap[홍합] and the present Yeosu dialect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novel Honghap[홍합] showed the hard lives of middle-aged women and yeosu residents' lives through tensification, palatalization, umlaut, front vowel-vowelization. The high-vowelization of ‘o’ seems a conservative tendency in Jeonnam dialects, so the novel Honghap[홍합] has reflected these characteristics.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high-vowelization of ‘ə’, that is, the novel Honghap[홍합] has reflected the type of ‘ɨ’ data, the yeosu dialect dictionary and Korea dialect research data have reflected the high-vowelization of ‘ə’. In the high-vowelization of ‘e’, the novel Honghap[홍합] is a difference in the particle, but generally i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yeosu dialects. As the addition of a consonant or semivowel is a general phenomenon in Jeonnam dialects, the novel Honghap[홍합] has reflected these characteristics. The contraction is a difference in the verb. but generally the novel Honghap[홍합]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yeosu dialects. Compared the novel Honghap[홍합] with the present Yeosu dialects, tensification, palatalization, the high-vowelization of ‘o’ are still occurring in the present Yeosu dialects. The umlaut is also occurring, but there are examples where the umlaut and high-vowelization are applied sequentially. The front vowel-vowelization does not occur at the morpheme boundary, but only within the morpheme. Based on field surveys, It seems that the high-vowelization of ‘ə’ is changing from not occurring in the Yeosu dialects. The high-vowelization of ‘e’ is still occurring in the Yeosu dialects,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particles. The addition of consonant is taking place in the Yeosu dialects. In the case of semivowel addition, two forms coexist. but it seems to be more general that the semivowel addition does not occur as in ‘어디'. In the case of the diphthong contraction, the words that have changed to ‘yə>e’ and ‘yə>e>i’ have coexisted.

      • KCI등재

        전남 진도 지역의 음장과 운율 구조

        하영우 민족어문학회 2020 어문논집 Vol.- No.89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ronunciation patterns of length in the dialect of Jeonnam from the viewpoint of linguistic chang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terms of duration, the realization rate of length of the dialect in Jeonnam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other dialects. It was mainly affected by generational variables, and gender variables were also partially affected. However,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s are not noticeable in the realization of length. Unlike the duration, the prosodic structure of length was very different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terms of prosodic structure, the generation that accurately distinguishes the length in Jeonnam dialect was limited to the elderly. Teenagers of Jeonnam dialect could hardly distinguish length regardless of gender. Among the two conflicting results, the study determined that the pro-sodic structure better showed the length of the Jeonnam dialect. This is because the prosocid structure of length is regular, but the duration only shows the tendency. In other words, the length of the Jeonnam dialect remains only for the elderly, and the youth group is rapidly disappearing. 이 연구는 전남 방언의 음장 실현 양상과 운율 구조 간의 관계를 방언의 변화 관점에서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남 진도 지역의 토박이 화자를 대상으로 음장과 운율 구조에 관한 음성 실험을 실시했다. ‘장음 > 단음’의 길이 구조를 바탕으로 볼 때 전남 진도 지역의 음장 실현률은 타 방언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다만 세대와 성별에 따라 음장 실현률이 ‘노년층 남성 > 노년층 여성 > 청소년층 남성 = 청소년층 여성’의 경향을 보였다. 이와 달리 장음의 운율 구조를 기반으로 한 음장 실현 양상은 세대에 따른 차이가 극명히 나타났다. 장단음 정보를 운율 구조에도 명확하게 반영하는 세대는 노년층에 한정되었으며, 청소년층은 장음 정보를 운율 구조에 반영하는 비율이 매우 낮았다. 즉, 운율 구조적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전남 진도 지역의 청소년층은 음장이 소멸 과정에 들어선 것으로 생각된다. 전남 진도 지역의 음장 실현이 길이 측면과 운율 구조적 측면에서 차이를 보인 데 대해 본고에서는 후자가 이 지역의 장단음 양상을 보다 잘 보여 주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장단음의 길이 차이는 경향성을 보여 주는 데 그치지만 장음의 운율 구조 반영은 규칙성을 지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전남 진도 지역의 음장 실현 양상은 세대를 주요 변수로, 성별을 부차 변수로 하여 차이를 보인다. 노년층은 높은 음장 실현률을 보이나 성별에 따라 ‘남성 > 여성’의 부분적 차이가 있으며, 청소년층은 성별과 관계없이 음장이 소멸 단계에 놓여 있다.

      • KCI등재

        전남방언 비모음화의 지리적 분포

        강희숙 한국방언학회 2019 방언학 Vol.0 No.30

        In this study, the realization of vowel nasalization in Jeonnam dialect was examined by the lower dialects, and based on this, it was interested in identifying the geographic distribution of vowel nasalization in Jeonnam dialect. The research also found that vowel nasalization by ‘ㄴ’ and ‘ㅇ' are being actively realized in the dialects regardless of the conditions of the internal-morpheme and boundary. I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vowel nasalization in Jeonnam dialect, which has been confirmed by the research, it seems difficult to pinpoint the direction of its innovation and diffusion at the moment. However, in the case of the Boseong regional language, which belongs to the southeastern dialect area of South Jeolla Province, the two types of vowel nasalization are hardly realized, confirming the peculiarity that the wave of innovation of the vowel nasalization has yet to be reached. It was also noted that in the case of Gwangyang, which belongs to the northeastern dialects, it is possible to consider whether these linguistic features were due to geographical features belonging to the transitional area of the southeastern dialects, the region where vowel nasalization is the most active among the dialects of the Korean dialects. 본 연구에서는 전남방언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비모음화 실현 양상을 하위 방언권별로 대조하여 살피고, 이를 토대로 전남방언의 비모음화가 지리적으로 어떠한 분포를 보이는지 확인하는 데 관심을 두었다. 그 결과 전남방언에서도 비자음 ‘ㄴ’과 ‘ㅇ’에 의한 비모음화가 형태소 내부에서와 경계라는 조건과 무관하게 상당히 활발하게 실현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 확인된 전남방언의 비모음화의 지리적 분포에서 당장은 그 개신과 확산의 방향을 정확하게 포착하기는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전남의 동남부 방언권에 속하는 보성 지역어의 경우 두 종류의 비모음화가 거의 실현되지 않음으로써 비모음화의 개신파가 아직 도달하지 않고 있다는 특이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동북부 방언권에 속하는 광양 지역어의 경우, 다른 지역어들보다 가장 넓은 실현 범위를 차지하고 있음이 확인된다는 점에서 이와 같은 방언적 특징이 국어 방언권 가운데 비모음화가 가장 활발한 지역인 동남방언과의 전이 지대에 속하는 지리적 특성에서 비롯된 것은 아닐까 한다.

      • KCI등재

        한국어 방언 접촉의 양상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분석 -전남방언 어휘의 표준어화를 중심으로-

        강희숙 ( Huisuk Kang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5 어문론총 Vol.64 No.-

        본 연구에서는 일정한 지역 방언과 표준어와의 접촉의 결과 나타난 표준어화 (standardization)의 양상을 전남 방언에서 진행되고 있는 어휘의 표준어화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는 100여 년의 역사를 지닌 표준어 정책이 가져온 국어의 변화 가운데 하나로 지역 방언 어휘의 표준어화가 어떠한 양상으로, 또 어느 정도나 진행되었는지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접근이 좀 더 활발하게 이루어져 하다는 필요성에 따른 것이다. 방언 접촉의 개념 및 유형, 근대화와 더불어 이루어진 우리의 표준어 정책의 수립으로 인해 야기된 방언의 표준어화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광주·전남 지역출신 20대 남녀 대학생 135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방언 어휘 110개의 인지 및 사용 양상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확인된 표준어화 양상을 몇 가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 어휘 110개에 대한 인지 정도는 평균 20.6개로 전체 어휘의 18.7%의 낮은 수준에 그쳤다. 결과적으로 조사대상자들은 자신의 부모 세대와는 다르게 90여 개(81.3%)나 되는 방언 어휘들을 거의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는 가정이 가능한바, 방언 어휘들에서 일어나고 있는 표준어화의 정도가 매우 높은 수준을 보였다. 둘째, 조사 대상 어휘 가운데 50% 이상의 인지도를 보이는 어휘는 모두 14개로서 전체 어휘의 12.7%에 지나지 않는다. 이와는 달리 20% 이하의 낮은 인지도를 보이는 어휘는 75개로서 68.2%를 차지하며, 이 가운데 조사대상자 100%가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어휘는 12개로서 10.9%를 차지하여 이들 어휘가 젊은 세대에 의해 전혀 인지되지 못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50% 이상의 사용률을 보이는 어휘가 3개의 어휘에 국한되어 있다는 사실 외에 10% 이하의 사용률을 보이는 어휘의 개수가 91개로 82.7%의 비율을 보이며, 이 가운데 사용률 0%인 어휘가 32개나 되어 인지도 100%인 어휘의 2.5배 정도를 차지한다. 해당 어휘를 알고 있더라도 실제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그만큼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this research, the aim was to examine the feature of standardization which appeared in result of contact between a regional dialect and the standard language, in the focus of standardization of vocabularies happening in Jeonnam regional dialect. Such study follows the necessity of more active social linguistic approach about how, and how much regional dialect vocabularies changes as one of the change of Korean which follows the standard language policy which has 100years history. On the assumption of understanding of concept of dialect contact, typ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ur standard language policy and standardization of dialects which were formed with modernization, the following is categorization of standardizations confirmed in a survey result about cognition and usage of 110 Jeonnam dialect vocabularies of 135 university students in twenties who were born in Gwangju Jeonnam area. First, the cognitive degree of target 110 vocabulary was 20.6 in average, which was 18.7% in total. Resultingly, the students, unlike their parent generation, can not recognize the more than 90 dialect vocabulary(81.3%). It is assumable that the degree of standardization appearing in dialect vocabulary is quite high. Second, the vocabulary which has more than 50% of recognition rate was only 12.7% in total. Wheres the vocabulary which has less than 20% of cognition rate was 75, which is 68.2% in total, and among these 12 were the vocabulary which nobody recognized, 10.9% in total. It is confirmed that the young generation completely don’t recognize these words.

      • KCI등재

        남성 호칭 접미사 `-샌`의 지리적 분포 및 사용 양상 -섬진강 유역 방언을 중심으로-

        강희숙 ( Kang Hui-suk ) 한민족어문학회 2017 韓民族語文學 Vol.0 No.77

        이 연구는 한국어 방언의 지리적 분포와 관련하여 경남방언과 전남방언이 교차하여 두 방언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이른바 전이 지역에 속하는 섬진강 유역의 방언들이 보여주는 여러 가지 특징들 가운데 남성 호칭 접미사 `-샌`의 지리적 분포와 사용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샌`은 서남방언, 특히 전남의 동부 지역어에서 남성에 대한 호칭으로 비교적 활발하게 사용되어 왔으며, 현재도 70대 이상의 노년층 세대에서 그 잔영이 남아 있는 호칭 형태이다. 문제는 `-샌`이 전남방언에서만 고립적으로 출현하는 것이 아니라 본 연구의 조사 지점인 섬진강 유역의 전이 지역에서도 공통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언어적 사실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샌`형 호칭이 전남의 동부 지역어에서 발생하여 방언접촉에 의해 하동이나 함양과 같은 경남의 일부 지역으로 확산되었으며, 결과적으로 `-샌`형 호칭이 섬진강 유역 전이 지역 방언의 특성으로 자리 잡게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오늘날 전통적 성격의 호칭들이 거의 사라지고 새로운 호칭으로 대체되고 있는 가운데서도 섬진강 유역에서 `-샌`형 호칭이 공통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언어 사용의 모습 또한 한국어 방언들에서 나타나는 전이 지역의 특성 가운데 하나로 자리 매김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In relation to Korean dialects,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geographic distribution and the usage of the suffix form `-sen` to address males, one of the many characteristics of dialects around the Seomjingang river area, a transitional area where two dialects―Jeonnam and Gyeongnam―cross and interact with each other. `-sen` has been frequently used as a suffix to address males in southwestern dialects, especially in eastern regional dialects in the Jeonnam area, and this is still the case among elderly people in their 70s and older. A question arises from the fact that `-sen` appears not only in the Jeonnam dialect but also commonly in the Seomjingang river area, which is the point of inquiry in this study. It appears that the suffix `-sen` occurred beginning in eastern regional dialects in the Jeonnam area and spread to some Gyeongnam regions such as Hadong and Hamyang as the result of dialect contact. It is confirmed that `-sen` settled as a characteristic of the regional dialect of the transitional Seomjinggang river basin area.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n that whereas other traditional address forms are disappearing and being substituted with new ones, the suffix `-sen` is still commonly being used in the Seomjingang river area, and this pattern of language usage should be considered a characteristic of Korean dialects in transitional areas.

      • KCI등재

        전남 서부 지역의 /ㅢ/ 발음 양상과 특성

        하영우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20 언어와 정보 사회 Vol.39 No.-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ronunciation patterns and changes of ‘ㅢ’ in the Jeonnam dialect from the viewpoint of the dialectal change and the influence of the standard dialec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changes of ‘ㅢ’ in the Jeonnam dialect vary depending on the position in the word and also vary lexically. It is highly likely that ‘ㅢ’ in the word-initial position, regardless of generation, is pronounced as /ɯ/, the unique phonetic form of the Jeonnam dialect. The complex vowel in a non-word-initial position is actively changed to the standard dialect form /i/ in all generations. On the other hand, changes of ‘ㅢ’ in a lexical morpheme vary depending on particular words. ‘ㅢ’ is most likely to be separable, followed by /ɯ/, whereas /i/ is less likely to be separable. The adnominal case marker, -uy, one of the grammatical morphemes, goes through different changes in different generations unlike in lexical morphemes. The youths tend to change it to the standard dialect form, whereas seniors tend to keep the Jeonnam dialectal form.

      • KCI등재

        전라남도 방언구획을 위한 방언분화 연구(1)-음운론적 측면을 중심으로-

        이진숙 한국방언학회 2019 방언학 Vol.0 No.30

        This article was aimed at discussing the differentiation aspects of the phonological part of Jeonnam dialect, will eventually be written as part of the dialect compartment of Jeollanam-do. Jeonnam dialect has been perceived as a conservative dialect in eastern South Jeolla Province, while the western part of South Jeolla Province has been an open dialect. These characteristics are made under the background of the times when the natural environment interfered with language exchange. Half a century later, Jeollanam-do is experiencing a rapidly developed humanities environment and culture. As a result, the community in South Jeolla Province is undergoing many changes. Accordingly, the plan was to review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ower regional languages through the differentiation of the phonological areas of Jeonnam dialect. In addition, this article has intended to predict the flow of changes by comparing the existing differentiation aspects with those of the 21st century. 이 논문은 전남방언의 음운 분야에 대한 분화양상을 논하는 데 목적을 두었으며, 최종적으로 전라남도 방언구획 설정을 위한 일환 가운데 한 부분으로 작성될 것이다. 전남방언은 전남 동부는 보수적인 방언이고, 전남 서부는 개방적인 방언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러한 특징은 자연환경이 언어교류에 방해가 되었던 시대적 배경 아래 만들어진 것이다. 이로부터 반세기가 흐른 전라남도는 급속도로 발전된 인문환경과 문화를 경험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전남의 공동체사회는 다방면에서 변화를 겪고 있다. 이에 따라 전남방언의 음운 분야에 대한 분화양상을 통하여 하위 지역어 간 방언차를 재검토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기존의 분화양상과 21세기 분화양상을 대조하여 변화의 흐름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체언 어간말 자음의 교체양상에 따른 언어지리학적 연구

        이진숙 한국방언학회 2016 방언학 Vol.0 No.23

        In case of consonants in a substantive stem - historically not used to be placed in final consonants - restructuring of stems was caused by alternants formed within the paradigm. As a result, substantive stems in Korean language have single base forms unlike predicative stems. But examining synchronic phenomena of Jeonnam dialect in the 20th Century, the study found that variants emerged from alternants, which brought forth another restructuring in turn. Alteration of base forms as such has been underway even in modern-day Jeonnam dialect. That said, alternation of base forms as observed in modern Jeonnam dialect, rather than restructuring caused by alternants or variants in the past, had different forms in the alternation environment by combination of the existing stem morphemes and ending morphemes, and consequently showed a diverse range in the number and patterns of base forms. In other words, this was the outcome widely shown in the number, patterns and geographic distribution of base forms. In the 20th Century's Jeonnam dialect, dialect division of hyponyms was done by 'east' and 'west', which were again divided into northeast/southeast and northwest/southwest respectively. But from the viewpoint of geographical distributions of base forms rising from consonants of substantive stems in modern Jeonnam dialect, there is no meaning in division of south and north. It's because in the east, areas previously belonging to southeast was included into the west, and in case of the west, south and north showed similar distribution patterns. 역사적으로 종성의 위치에 올 수 없었던 체언 어간말 자음인 경우 패러다임 내에서 형성된 교체형에 의해 어간의 재구조화를 가져왔다. 그 결과로 국어의 체언어간은 용언어간과 다르게 단일한 기저형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20세기 전남 방언의 공시적 현상을 보면 교체형에서 변이형이 나타났고 그 변이형에 의해 또 한 번의 재구조화가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기저형의 변화는 현대 전남 방언에 와서도 계속 진행되고 있었다. 다만 현대 전남 방언에서 관찰되는 기저형의 변화는 과거 교체형이나 변이형에 따른 재구조화가 아닌 기존의 어간 형태소와 어미 형태소가 결합하게 되면서 교체 환경에서 모양을 달리하며 기저형의 수나 유형에서 다양한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다시 말해 기저형의 수, 기저형의 유형, 기저형의 지리적 분포 등에 나타나는 변화였다. 20세기 전남 방언에서는 하위어 방언구획을 ‘동부’와 ‘서부’로 나누고 이를 다시 동북․동남과 서북․서남으로 나누었다. 그러나 현대 전남 방언의 체언 어간말 자음에 따른 기저형들의 지리적 분포양상으로는 남북은 의미가 없었다. 동부의 경우 동남부에 있던 지역들이 서부로 편입되었고, 서부의 경우 남북이 비슷한 분포양상을 보였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