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과정> 향수양상에 대한 소고

        김영주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19 한국예술연구 Vol.- No.24

        This article explores Jeonggwajeong(鄭瓜亭), from the end of Goryeo period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Jeonggwajeong took the form of both vocal and instrumental music, specifically as a song or as a hymn. Notably, records show Jeonggwajeong hymns accepted as a vocal genre in Korea, unlike Chinese literature such as the Jeokbeokbu(赤壁賦) and the Song Sul-ki(誦說記) also known as Song Seo(誦書). Since the 16th century, Jeonggwajeong has been performed on the Geomungo, while Bohoeja(步虛子), Yeominlak(與民樂), and Yeongsanheosang(靈山會相), more popular with the general public, were played on various instruments. While Bohoeja, Yeominlak, and Yeongsanheosang and the original Gagok (歌曲) derived from Jeonggwajeong were widely popular, Jeonggwajeong was enjoyed only by court scholars. In the 16th century, topics also began to shift from the monarch to personal emotions, due to a distrust of the king and the practice of Confucianism through national music, especially in Jeonggwajeong. 본고는 여말선초부터 20세기 초반에 이르기까지 사대부들을 중심으로 수용된 <정과정>의 향수양상을 살펴본 글이다. <정과정>은 성악곡과 기악곡 모두로 수용되었다. <정과정>을 성악곡으로 수용한 방법은 가창(歌唱)과 영송(詠誦)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송으로 향수된 정과정에 대한 기록은 송서(誦書)로 수용된 적벽부(赤壁賦)나 송설기(誦說記)같이 중국한문학을 수용한 사례와는 구별되는데, 우리나라에서 자생한 작품을 성악장르로 수용하였다는 점이 주목된다. 16세기 이후 <정과정>이 주로 거문고 연주로 향수된 반면, 같은 시기 민간에서 향유된 <보허자>, <여민락> 그리고 <영산회상>은 다양한 악기로 연주되었다. <보허자>, <여민락>, <영산회상>과 <정과정>에서 파생된 대엽류 악곡은 사회계층을 막론하고 수용되었지만, <정과정>은 사대부들을 중심으로만 수용된 점을 눈여겨 보았다. 또한 16세기부터 거문고로 연주된 <정과정>에 이전 시기의 연군(戀君)이 아닌 개인적 차원의 감성이 투영되기 시작하였다. 이는 국난을 계기로 양반사대부들의 임금에 대한 불신과 거문고를 통한 성리학의 실천 그리고 민족문화의 재인식을 통하여 발현된 우리 고유의 악기 거문고와 향악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된 것으로 해석하였다.

      • KCI등재

        향가와 시조의 형식적 연관성에 대한 재고-<鄭瓜亭>을 중심으로-

        박재민 한국시가학회 2023 韓國 詩歌硏究 Vol.58 No.-

        This paper started by examining two hypotheses about the genre succession of hyangga(鄕歌) and sijo(時調). The hypotheses are that the three-tier structure and the use of interjections at the end of songs led to the similar structures of sijo. This paper rejected the first hypothesis by showing that “the three-tier structure of hyangga and early sijo are completely different in external and internal structure.” The second hypothesis was rejected by pointing out that "the appearance of interjections at the end of sijo is a phenomenon in the 17th century when sijo was in full swing, not in the early period of the genre." Therefore, the formal origin of sijo should be found elsewhere, and to solve it, this paper suggested to use the Goryeo song, “Jeonggwajeong(鄭瓜亭),” as a link. The first link is the formal commonality between ten-line hyangga and “Jeonggwajeong.” The second link is the melodic coincidence of the music of “Jeonggwajeong,” called “Jinjak(眞勺),” and that of sijo, called “Mandaeyeop(慢大葉).” A part of “Jinjak”, which is a long song with 80 lines, derived “Mandaeyeop,” implyng that the melody of hyangga was connected to that of sijo through “Jeonggwajeong.” The argument of this paper can be supported when the links among the literary genres and work are accepted. These are the link between the ten-line hyangga and “Jeonggwajeong,” and the link between “Jeonggwajeong” and sijo. Among them, the latter link could be sufficiently acknowledged, whereas there seems to be some doubt about the former link. I tried to resolve the doubt by pointing out that the creation period of “Jeonggwajeong” was still the time when hyangga was being created, and that some phrases in the work can be easily transcribed in hyangchal(鄕札), a writing system by which hyangga was recorded. Overall, this discussion is an explanation of the question, "Did sijo inherit hyangga?" In response to this question, I answered, "Since the melody of hyangga was passed down to “Jeonggwajeong” and part of the “Jeonggwajeong” melody was passed down to sijo, the melody of hyangga remains in the tune of sijo." This conclusion could dismantle the established understanding on connection points between hyangga and sijo and lead to the reconsideration of it, based on concrete historical evidence. 본고는 시조의 형식이 10구체 향가의 형식적 전통을 계승한 것이라는 학계의 통설을 재고한 결과물이다. 그간 우리는 시조의 3단 구성은 향가의 3단 구성을, 시조 종장의 감탄사는 향가의 차사를 이어받은 것으로 여겨왔다. 그러나 면밀히 보면, 초창기 시조에는 3단 구성 및 감탄사가 나타나지 않기에 이 방식의 연관은 재고의 여지가 있다. 따라서 시조와 향가의 형식적 연관성의 가능성을 다른 방식으로 검토해보아야 할 것으로 판단하였고, 그 해결을 위해 고려가요 <정과정>을 연결고리로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첫 번째 연결고리는 10구체 향가와 <정과정>의 형식적 공통점이다. 두 번째 연결고리는 <진작 1(정과정)>과 <만대엽(시조)>의 선율적 일치이다. <진작 1(정과정)>은 80행으로 된 긴 노래인데 그 가락의 일부인 ‘대엽 + 부엽’ 부분이 <만대엽(시조)>로 분화되었음을 보였다. 이 일련성을 통해 향가의 선율이 <진작 1(정과정)>을 거쳐 <만대엽(시조)>의 가락으로 이어졌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고의 주장은 두 곳의 연결고리가 수긍될 때 지지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10구체 향가와 <정과정>의 연결고리, <진작 1(정과정)>과 <만대엽(시조)>의 연결고리가 그것이다. 후자의 연결고리는 선율로 확인되는 것이므로 무리없이 수긍될 것으로 판단한다. 다만 전자의 연결고리에 대해서는 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다소의 의구가 없지는 않을 듯하다. 이 의구를 <정과정>의 창작 시대는 여전히 향가가 창작되던 때라는 점, 이 작품의 일부 구절은 향찰표기의 전통과 맞닿아 있다는 점을 들어 해소하고자 하였다. 이 논의는 전체적으로 “시조는 향가를 이어 받았는가?”란 질문에 대한 긴 해명이다. 이 질문에 대해 본고는 “향가의 선율이 <진작 1(정과정)>으로 전해졌고, 그 선율의 일부는 다시 <만대엽(시조)>으로 전해졌으므로, 시조의 가락에는 향가의 가락이 남아 있다”고 대답하였다. 이 글은 향가와 시조의 연결점을 반성적으로 해체하고, 이를 역사적 정황에 부합하게끔 재고찰한 試論으로서의 의의를 지닐 것이다.

      • KCI등재

        「정과정(진작)」의 노랫말과 음악의 결합양상

        이호섭 ( Lee Ho-seop ) 한국시가학회 2017 韓國 詩歌硏究 Vol.42 No.-

        고려속요는 노래로 불린 시가(詩歌)라는 점에서 노랫말로서의 문학과 악곡으로서의 음악이 긴밀한 내적 구조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문학과 음악 양면이 결합된 양상과 내적관계 및 그것으로 인한 새로운 의미생성 등을 중점적으로 연구해야만 올바른 결과를 도출할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노래로 불린 고려속요 중 특히 「정과정」(진작)의 노랫말과 악곡의 결합양상을 분석하여, 문학으로서의 시와 음악으로서의 악곡이 어떻게 조응하며, 이로 인하여 어떤 시적인 특질과 음악형식의 특징이 나타나는가를 살펴봄으로써, 문학과 음악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 논의를 통하여 본고는 「정과정」(진작)에서 음악적 요소인 여음(餘音)과 문학적 요소인 감탄사 `아으`와 `아소 님□ `가 정서(情緖)의 전환과 함께 분행(分行)의 기능을 담당한다는 가설을 세우고, 제3장에서 노랫말과 악곡의 분석을 통해 이 가설의 타당성을 논증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취합하여 「정과정」(진작)은 11구체 3음보(音步)를 근간으로 하여 4음보와 2음보를 혼용한 시형(詩形)을 갖고 있고, 또 「정과정」의 모든 노랫말 시행은 음악적으로 볼 때 반드시 여음이나 감탄사 `아으`로 정서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과, 여음이 다음 행으로의 정서의 전환을 지체시키고 있음에 비하여 감탄사 `아으`는 상승적인 정조를 몰아서, 화자의 정서를 빠르고 격하게 청자에게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기능이 있다는 결론에 도달할 것이다. The sung poetry (시가) Goryeosokyo has an inner structure in which the words are closely related to the music. Therefore, these musical pieces can only be thoroughly understood when music and words are combined to reveal their inner relationship. This paper examines the creation of a new meaning when words and music are combined. This paper searches for some methods helpful to study literature and music by examining how poems as literature correspond to pieces of music as music, and thus, what poetic qualities and features of musical forms may be exhibited, based on an analysis of the combined words and pieces of music in the 「Jeonggwajeong」 (Jinjak) of Goryeosokyo. This paper hypothesizes that in 「Jeonggwajeong」 (Jinjak), Yeoeum, a musical factor, and interjections like “Aeu (아으)” and “Aso Nimha (아소 님□ ),” literary ones, serve to transform emotions and function as separation of the line (분행). By analyzing words and pieces of music from Chapter 3, it can be concluded that 「Jeonggwajeong」 (Jinjak) has a poetic form that mixes 2 and 4 feet, based on 11 phrases 3 feet. All words and poetic forms in it are emotionally transformed into Yeoeum or interjections like “Aeu.” The Yeoum delays the emotional transformation into the next line, while the interjection “Aeu” serves to quickly deliver the speaker`s heightened emotion to the audience.

      • <정과정(鄭瓜亭)>의 현대적 복원

        신별 ( Shin Byeol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24 한국어와 문화 Vol.3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odernize the melody of < Jeonggwajeong(鄭瓜亭) >, which is included in 『Daeakhubo(大樂後譜)』. Various discussions on < Jeonggwajeong > have been conducted, including studies on its lyrics and the period of its composition. Additionally, various efforts have been made to restore the song, but since restoring the original score is prioritized, the score of < Jeonggwajeong > written in Oeumyakbo(五音略譜) has been converted to staff. For this purpose, the format of Oeumyakbo(五音略譜) was examined. The Oeumyakbo(五音略譜), created during the reign of Sejong, indicates the tonic note as '宮' and represents ascending intervals as '上一 - 上二 - 上三' and descending intervals as '下一- 下二 - 下三,' etc. In this paper, for convenience, it has been transcribed into staff according to existing theories. '宮 - 上一 - 上二 - 上三 - 上四' corresponds to the Western musical scale 'Sol - La - Do - Re - Mi.' As for the tempo indication, there have been various academic discussions, but in this paper, one jeonggan is considered equal one beat. Restoring the melody of < Jeonggwajeong > as recorded and transmitted in 『Daeakhubo(大樂後譜)』 allows us to experience our music as it was and further enables us to infer the melodies that people pursued at that time.

      • KCI등재

        <정과정>의 시적 문맥과 정서(情緖)

        신재홍 ( Shin Jae-hong ) 한국시가학회 2020 韓國 詩歌硏究 Vol.50 No.-

        본고는 <정과정>의 어석에서 쟁점이 된 ‘□힛 마리신뎌, □읏븐뎌, 도람 드르샤’를 중심으로 원문 해석을 다시 시도해 보았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작품의 시적 문맥을 파악해보고 문맥을 통해 드러나는 ‘처완(悽惋)’의 정서가 어떤 것인지 논하였다. 작품의 의미 구조는 제1구(제1~4행), 제2구(제5~8행), 제3구(제9·10행)로 이루어진 10행 향가의 3구 구성과 유사하다. 각 구에서 현재의 심정, 과거 회상, 미래의 소망을 표현하였는데, 제2구의 제7·8행에 핵심적인 의미와 정서가 드러나 있다. 제7행 ‘과도 허물도 천만 없소이다.’는 님이 화자를 귀양 보낼 때 했던 말인 ‘과’와 ‘허물’을 부정하는 것이다. 제8행 ‘□힛 마리신뎌’는 ‘[죽도록] 슬프게 하는 말이시구나.’, ‘□읏븐뎌’는 ‘[애] 사는/타는 듯하구나.’로써 제7행의 의미와 호응한다. 그리고 제10행 ‘도람 드르샤 괴오쇼셔’는 ‘돌린다던 것(약속, 말)[을] 들어주시어 사랑하소서.’로 풀이할 수 있다. 이러한 해석을 통해 이 작품이 처완, 즉 슬퍼하고 한탄하는 정서를 표현하였다는 기록이 무슨 뜻인지 이해할 수 있다. 제1구에서 반대파에 대한 분노의 정서도 드러나지만, 제2구에 님이 했던 말, 즉 너에게 과가 있다, 허물이 있다던 님의 말이 죽을 만큼 슬프고 한스러운 심정이 표출되었다. 화자는 반대파의 참소나 유배의 고통보다도 님이 했던 그 말 때문에 처절한 슬픔에 잠긴 것이다. <정과정>은 의미 구조, 시상의 전개, 시적 문맥, 표출된 정서 등에서 충신연주지사의 전형이라 할 수 있다. 고려 중기에 나온 작품이 조선 시대까지 애창되고 공감된 것은 작품에 내재한 충만한 생명력 때문이다. 왕조 시대는 아니지만 오늘날의 우리도 작품을 감상하면서 충성스럽고 진실하고 애절한 정서를 깊이 느낄 수 있다. This study reinterpreted the controversial passages in the past interpretations of Jeonggwajeong and re-understood the context of the poem. And I discussed what the emotion of sadness revealed through poetic context is specifically. The meaning structure of the poem is similar to the composition of the three phrases of the ten-line Hyangga. It is composed of the first phrase(4 lines), the second phrase(4 lines), and the third phrase(2 lines), and expresses the present feelings, past recalls, and future hopes. Among them, the 7th and 8th lines reveal the central meaning and emotion. The seventh line, 'I never have faults and flaws', is a denial of 'your faults' and 'your flaws' that the king spoke when he expelled the speaker of this poem. It is natural to interpret the eighth line 'You make me sad to die' and 'I am going to break up'. The third phrase represents the speaker's desire, and the 10th line can be interpreted as 'Please listen to the promise to turn and love me.' With the interpretation of this, we can guess the sad and lament emotions that the poem contains. In the first phrase, he also revealed the feelings of anger against the opposition, but in the second phrase he is sad enough to die caused by the king’s words of 'your faults and flaws'. The speaker is not because of the suffering of the opposition or the exile, but because of the words the king said. Jeonggwajeong is a typical song of loyal servants adore the king in many ways, including the structure of meaning, the development of poetic image, poetic context, and the expressed emotion. The reason why the works created in the middle of Goryeo period were so popular and sympathetic to the Joseon Dynasty was that the inner vitality of the work was full. Although not in the dynasty, today, we are enough to feel loyal, true, and sad emotions in this poem.

      • KCI등재

        〈청산별곡〉 제8연의 “매와”에 대하여

        임재욱(Yim, Jae-wook) 우리말글학회 2020 우리말 글 Vol.85 No.-

        이 논문은 〈청산별곡〉 제8연에 나오는 “매와”를 새롭게 이해할 길을 마련하기 위해 집필되었다. 『악장가사』의 표기 “매와”는, 종전의 방식대로 ‘맵다’(辛)의 의미로 이해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맵다’는 술의 상태를 나타내는 표현이고 누룩에 대한 표현으로서는, 그 용도(술을 만드는 재료일 뿐이지 술 자체는 아니라는 점)와 속성(술과 같은 강렬한 향이나 맛을 지니지 못한다는 점)을 통해 보건대,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그 주체는 누룩이 될 수 없고 술이 되어야만 한다. 실제로 ‘술이 맵다’는 용례는 있지만 ‘누룩이 맵다’는 용례는 찾을 수가 없다. 이런 이유로 인해 선행연구에서도 “누록이 매와”를 누룩으로 빚은 ‘술이 매워’ 정도의 뜻으로 이해했던 것이다. 그러나 누룩은 술을 빚는 재료로 사용될 뿐이지 술과는 엄연히 다른 것이고 먹거나 향을 음미하기에도 적합하지 않은 대상이다. 이에 본고는 ‘누룩’을 술로 대체하지 않고 그대로 둔 채로 “매와”를 이해할 수 있는 길을 찾아보고자 했다. 다행스럽게도 『악학편고』에 이 어구가 “믜와”로 기록되어 있어, 그 의미를 새롭게 조명할 단서를 마련할 수 있었다. “믜와”는 “ 와”의 오기로 볼 여지도 있지만, 16세기 이후의 문헌에서 ‘ㆍ’와 ‘ㅡ’가 흔히 통용된다는 점, 그 통용은 제2음절 이하에서 주로 일어나지만 제1음절에서도 일어났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매와”를 “믜와”의 다른 표기 형태로 볼 여지가 있다. 이런 여러 가지 사정을 고려하여, 『악장가사』의 “매와”를 “믜와”로 보고 그것의 의미를 고찰한 결과, “믜와”는 ‘미워하다’는 뜻의 ‘믜다’의 어간 ‘믜’에 접사 ‘오’를 붙여 만든 말로, 기본형이 ‘믜오다’이며 그 의미는 ‘미워하여’로 파악된다. 〈청산별곡〉 제8연에 표현된 시적 정황과 정서는 동시대의 다른 작품의 영향을 받아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청산별곡〉 제8연은 〈처용가〉와 제3자에게 임을 빼앗긴 상황과 체념적·달관적 정서를 표현한 구절인 “엇디 하리잇고”를 공유할 뿐 아니라, 제8연에 표현된 “설진 강술”과 “누록”, “잡사와니”와 “믜와” 등의 어구에는 〈정과정〉에 표현된 것과 같은 상대로부터 받은 미음과 참소, 그로 인해 임금에게 버림받게 된 상황 등이 복합적으로 함축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This paper has been written to provide a new understanding of the "muiwa"(매와) in the 8th stanza of Cheongsanbyeolgok(靑山別曲).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maiwa(매와)" in the sense of "spicy" in the conventional way. But it is also possible to understand it as "muiwa(믜와)", because not only there is no case in which the yeast that is set as the subject has taken the "maiwa( 와)" as a predicament, but also the words are written as “muiwa(믜와)" in the book of Akhakpyeongo(樂學便考). The basic form of "muiwa(믜와)" is "muioda(믜오다)", and considering some examples it is understood to mean hate. The poetic context and emotions expressed in the eighth stanza of Cheongsanbyeolgok may have been influenced by other contemporary works. The eighth stanza of Cheongsanbyeolgok(靑山別曲) and Cheoyongga(處容歌) shares a phrase expressing the emotion of resignation and lamentation, and the situation in which the speaker loses his or her lover by others. In addition to that, in terms of "Seoljin gangsul(설진 강술)" and "Nurok(누록)" and "Jobsawani(잡사와니)" and "maiwa(매와)" of the eighth stanza, the hate and accusation received from the opponent and the situation in which someone is abandoned by the wage is implied.

      • KCI등재

        <하여가>의 이중 전승과 여말선초 시조사의 문제

        이상원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8 고전과 해석 Vol.26 No.-

        지금까지 <하여가>는 하나의 형태만 전하는 줄로 알고 있었다. 그러나 악부시집에 한역된 <하여가>를 꼼꼼히 검토한 결과 가집에 전하는 <하여가>와 다른 것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상 전개나 사용된 어휘로 보아 악부시집에 전하는 <하여가>가 선행 형태임을 알 수 있었다. 이 글에서는 이런 <하여가>의 이중 전승을 확인한 것을 계기로 여말선초 시조사의 문제를 새롭게 점검해 보았다. 현행 가곡의 조상인 만대엽이 조선 세조 때 생겨난 악곡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고려말에 만대엽에 얹어 부르는 시조가 존재했을 가능성은 별로 없다. 그러나 나중에 시조로 전환될 여지가 있는 단형의 가요들은 폭넓게 존재했다. 고려속요 <정과정>은 1~4행과 5행 이하가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불렸을 가능성이 있고, 이 중 5행 이하에서 만대엽이 탄생한 것으로 보인다. 한시에 토를 달거나 한시를 우리말로 번역하여 부르는 형태도 이미 여말선초에 존재했음이 확인된다. 뿐만 아니라 여말선초 사대부들은 불교의 게송과 무속의 무가도 비교적 가까이하였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조선후기 가집에 고려말 작가로 표기된 작품들의 경우 이들 단형가요 중 하나로 불리다가 나중에 대엽조의 악곡에 얹어 부르는 형태로 전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It had been known that only one type of Hayeoga had been transmitted, but this study reviewed Hayeoga translated into Chinese in Akbu poetry books meticulously and found that it was different from Hayeoga transmitted via collections of poems. Given the development of poetic concepts and vocabulary used, it seems that Hayeoga in the Akbu poetry books is a prior form. The present study examined anew the issues of Sijo history at the end of Goryeo and at the beginning of Joseon after confirming the dual transmission of Hayeoga. Mandaeyeop, which is the ancestor of current songs, is known to have been born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in Joseon, and it is little likely that there were Sijo works sung over Mandaeyeop at the end of Goryeo. There were, however, broad scopes of songs in short forms that could be converted into Sijo works lat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Lines 1~4 and Line 5 were separated and sung independently in Jeonggwajeong, a popular song of Goryeo. Mandaeyeop must have derived from its Line 5 or lines behind i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the forms of supplying particles to Chinese poems and translating Chinese poems into Korea at the end of Goryeo and at the beginning of Joseon. In addition, the noblemen were relatively close to the Buddhist worship songs and shamanistic songs during the period. It is thus likely that the works marked under the authors from the end of Goryeo in collections of poems published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were sung as one of these short-form songs and later converted into the form of being added to the melodies of Daeyeopjo.

      • KCI등재

        <청산별곡> 제8연의 “ᄆᆡ와”에 대하여

        임재욱 우리말글학회 2020 우리말 글 Vol.85 No.-

        This paper has been written to provide a new understanding of the "muiwa"(ᄆᆡ와) in the 8th stanza of Cheongsanbyeolgok(靑山別曲).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maiwa(ᄆᆡ와)" in the sense of "spicy" in the conventional way. But it is also possible to understand it as "muiwa(믜와)", because not only there is no case in which the yeast that is set as the subject has taken the "maiwa(ᄆᆡ와)" as a predicament, but also the words are written as “muiwa(믜와)" in the book of Akhakpyeongo(樂學便考). The basic form of "muiwa(믜와)" is "muioda(믜오다)", and considering some examples it is understood to mean hate. The poetic context and emotions expressed in the eighth stanza of Cheongsanbyeolgok may have been influenced by other contemporary works. The eighth stanza of Cheongsanbyeolgok(靑山別曲) and Cheoyongga(處容歌) shares a phrase expressing the emotion of resignation and lamentation, and the situation in which the speaker loses his or her lover by others. In addition to that, in terms of "Seoljin gangsul(설진 강술)" and "Nurok(누록)" and "Jobsawani(잡ᄉᆞ와니)" and "maiwa(ᄆᆡ와)" of the eighth stanza, the hate and accusation received from the opponent and the situation in which someone is abandoned by the wage is implied. 이 논문은 <청산별곡> 제8연에 나오는 “ᄆᆡ와”를 새롭게 이해할 길을 마련하기 위해 집필되었다. 『악장가사』의 표기 “ᄆᆡ와”는, 종전의 방식대로 ‘맵다’(辛)의 의미로 이해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맵다’는 술의 상태를 나타내는 표현이고 누룩에 대한 표현으로서는, 그 용도(술을 만드는 재료일 뿐이지 술 자체는 아니라는 점)와 속성(술과 같은 강렬한 향이나 맛을 지니지 못한다는 점)을 통해 보건대,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그 주체는 누룩이 될 수 없고 술이 되어야만 한다. 실제로 ‘술이 맵다’는 용례는 있지만 ‘누룩이 맵다’는 용례는 찾을 수가 없다. 이런 이유로 인해 선행연구에서도 “누록이 ᄆᆡ와”를 누룩으로 빚은 ‘술이 매워’ 정도의 뜻으로 이해했던 것이다. 그러나 누룩은 술을 빚는 재료로 사용될 뿐이지 술과는 엄연히 다른 것이고 먹거나 향을 음미하기에도 적합하지 않은 대상이다. 이에 본고는 ‘누룩’을 술로 대체하지 않고 그대로 둔 채로 “ᄆᆡ와”를 이해할 수 있는 길을 찾아보고자 했다. 다행스럽게도 『악학편고』에 이 어구가 “믜와”로 기록되어 있어, 그 의미를 새롭게 조명할 단서를 마련할 수 있었다. “믜와”는 “ᄆᆡ와”의 오기로 볼 여지도 있지만, 16세기 이후의 문헌에서 ‘ㆍ’와 ‘ㅡ’가 흔히 통용된다는 점, 그 통용은 제2음절 이하에서 주로 일어나지만 제1음절에서도 일어났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ᄆᆡ와”를 “믜와”의 다른 표기 형태로 볼 여지가 있다. 이런 여러 가지 사정을 고려하여, 『악장가사』의 “ᄆᆡ와”를 “믜와”로 보고 그것의 의미를 고찰한 결과, “믜와”는 ‘미워하다’는 뜻의 ‘믜다’의 어간 ‘믜’에 접사 ‘오’를 붙여 만든 말로, 기본형이 ‘믜오다’이며 그 의미는 ‘미워하여’로 파악된다. <청산별곡> 제8연에 표현된 시적 정황과 정서는 동시대의 다른 작품의 영향을 받아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청산별곡> 제8연은 <처용가>와 제3자에게 임을 빼앗긴 상황과 체념적·달관적 정서를 표현한 구절인 “엇디 ᄒᆞ리잇고”를 공유할 뿐 아니라, 제8연에 표현된 “설진 강술”과 “누록”, “잡ᄉᆞ와니”와 “믜와” 등의 어구에는 <정과정>에 표현된 것과 같은 상대로부터 받은 미음과 참소, 그로 인해 임금에게 버림받게 된 상황 등이 복합적으로 함축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