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어』의 인(仁)에 대한 다산(茶山)의 정의와 해석 - 주자와 비교를 통하여 -

        임헌규 ( Heongyu Lim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8 동방학 Vol.38 No.-

        주지하듯이 인간(人)에게 필수(需)적인 것을 배우고(學) 가르치는 것 (敎)을 중시한 儒家에서 가장 중요한 덕목은 仁이다. 공자의 언행을 기록한 『논어』에서 仁은 가장 빈번히 나타나는 주도 개념이기 때문에, 朱子는 “『논어』란 단지 仁에 대해 설했다.”고 말했으며, 다산 정약용 또한 “仁이란 한 글자는 (『논어』) 20편의 主宰이다.”라고 말하였다. 『논어』를 살펴보면, 공자는 仁을 인간의 보편 덕으로 정립하였지만, 정작 仁이 무엇인지에 대해 매우 신중하게 접근했기 때문에, 후대에 다양한 논쟁을 불러 일으켰다. 그런데 주자는 「인설」이라는 글을 통해 仁을 마음의 덕이지 사랑의 이치(心之德而愛之理)라고 정의하고, 나아가 자신의 정의를 『논어집주』를 주석하는데 적용하여 仁개념 전개의 역사에서 정점을 차지한다고 평가된다. 한국 유학의 집대성자 茶山丁若鏞은 주자 및 당시 성리학자들의 仁 개념 정의에 만족하지 못하고, 『논어고금주』를 집필하면서, 최소 36차례에 걸쳐 仁에 대한 재정의를 시도하고, 그에 기반하여 『논어』원문을 주석하고 있다. 여기서 우리는 다산이 인을 1)두 사람(二+人), 2)嚮人之愛, 그리고 3)人倫(至善)之成(至)德-孝悌忠信總(成)名 등으로 정의했다는 점을 제시하면서, 그의 정의와 해설을 주로 주자의 것과 비교하여 살펴봄으로서 그 특징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Jen is the only key concept of confucianism. Confucius first considered Jen as universal Virtue. He said, "If a man bo the virtue proper to Jen, what has to do with the rites of propriety?" According to Zhu Xi, Confucian analects's aim is to articulate the ideas and methodology of realization of Jen. This Articles 's aim is to articulate Dasan's the Reinterpretation & Re-definition of Jen-concept in old and new commentary of Confucian analects in contrast with Zhu Xi's assembled commentary of Confucian analects. Zhu Xi' analyzed and reinterpretations Jen's paragraph of Confucian analects. He re-defined Jen as principle of love and a substance of mind. Dasan re-defined Jen as 35 times at his old and new commentary of Confucian analects. Dasan interpreted & re-defined Jen in the context of a human relationship. He defined Jen as love to other people. Dasan re-defined Jen as complete Virtue achieved by human beings's own endeavour.

      •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논어』해석(1) : : 性개념을 중심으로

        임헌규 동양고전학회 2010 東洋古典硏究 Vol.38 No.-

        茶山은 유가의 修己治人의 정신에 입각하여 총232권의 經學관련 저술을 하고, 경학에 입각한 經世論을 제시하였다. 經學 가운데 그는 四書를 중시하여 “四書는 우리 도의 나침반이다.”고 말하고, 四書 중에도 유독 {논어}를 중시하여, “육경이나 여러 성현의 글은 모두 읽어야 하겠지만 오직 {논어}만은 성스럽고 어떠한 하자도 없기 때문에 종신토록 읽음직하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그는 당시까지 {논어}해석에 나무나 많은 의문이 해결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다고 판단하여, {집해}나 {집주}의 사례를 따라 천고의 중요한 주를 융해, 종합하여 {논어고금주}를 완성하였다. 다산은 {논어}가 ‘下學而上達’을 표방하는데, 이는 仁과 聖의 관계로 환원된다고 말한다. 그리고 聖이란 인륜 속에서 仁을 실천함으로써 도달하는 것이며(“仁은 논어 전체의 주재이다”), 仁의 실천은 곧 恕를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仁개념은 性개념을 前提로 외적으로 실현되는 것이라고 다산은 주장하고 있기 때문에, 이 글은 우선 다산의 性개념만을 다루었다. 다산은 性개념에 주체의 능동적 실천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한다. 그래서 그는 상지와 하우의 不移를 ‘천부적 자질 때문에 수동적으로 옮겨지지 않는 것이 아니라, 그 자신이 능동적으로 ‘기꺼이 옮겨가지 않는다(不肯移)’는 뜻으로 해석한다. 그리고 그는 性개념이 내적 실체로 오인되어 空寂에 빠질 것을 염려하여, 그 실체성을 박탈하고 性이란 本心의 嗜好일 따름이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그는 인간을 대체와 소체, 도심과 인심, 본심성과 형구성의 묘합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선천적인 自主의 權衡으로 양자의 대립적 모순을 인식하여 도덕적 행위를 할 수 있는 주체로 인간을 해석하였다. 나아가 그는 독자적인 性論으로 그 이전의 다양한 유가의 性에 대한 입론들을 융해, 종합하였다. Confucian analects {論語}'s key concept is jen(仁). Confucius's concept of human path is realization of humanness. Confucius reestablished jen as universal Virtue. Therefore, confucius said, "If a man bo the virtue(德) proper to humanity, what has to do with the rites of propriety(禮) and music(樂)?". Confucian's human relationship is none other than conscientiousness and altruism(恕). Dasan(1762-1836)) also uphold Jen as maim theme of Confucius Analects, and Seo(恕) as a practical methodology of jen. Dasan redefined jen as 35times at his commentary of Confucian analects. Dasan interpreted that Jen ie idea of love achieved only by human beings's own endeavour. But the concept of Jen is based upon human mind-nature(人性). Dasan reinterpreted human mind-nature only as the changeable aspect(用) of the mind(嗜好), but not the unchangeable aspect of mind(心之體). The human mind-nature is not of concept of an innate idea, but what is created by human being's everlasting efforts.

      • KCI등재

        陽明學을 통해 본 神學

        김흡영(Kim Heup-young) 한국양명학회 2009 陽明學 Vol.0 No.22

        왕양명의 유학과 칼 바르트의 신학은, 그들이 유교와 그리스도교라는 근본적으로 상이한 전통들에 속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놀랍게도 두터운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異中同). 그들의 핵심사상인 수신론과 성화(sanctification)론은 참된 사람이 되는 길, 곧 철저한 인간화(radical humanization)의 도(道)를 추구하는 공동의 기제라는 점에서 서로 공명한다. 양명에 따르면 수신의 목표는 근원적으로 인간 본성 속에 내재되어있는 잠재적 참자기(良知)를 실현하는 것이고, 마찬가지로 바르트에 의하면 성화의 목표도 본래 창조된 인간의 참된 본성(imago Dei, 하느님의 형상)을 실현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교는 내재적 측면이 강하고, 그리스도교는 역사성이 강하다. 이러한 차이는 그들이 서로 다른 사유양식, 즉 인간-우주적 비전(天人合一)과 신(神)-역사적 비전(구속사)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근본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양명 유학과 바르트 신학은 다음과 같은 경이적인 유사성을 보여준다: 1) 결정적 패러다임 전환 실행, 2) 철저한 인간화의 구체보편적 방법 제안, 3) 존재론적 실재에 대한 역기능으로서 악의 정의, 그리고 4) 공존적 존재로서 인간이해. 유교의 인간-우주적 비전과 그리스도교의 신-역사적 비전은 동아시아 그리스도교에서 서로 만나서 새로운 신(神)-인간-우주적 비전으로 승화된다. 그리고 인(仁), 성(誠), 도(道)라는 유학적 개념들은 현대 서구신학의 딜레마를 극복하는 사유양식들을 제공할 큰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다. 첫째, 인(仁)의 관계적이고 공동체적 사유양식은 현대인의 개인주의에 대한 적절한 교정책으로서 다른 인종ㆍ성(姓)ㆍ계급ㆍ문화와의 연대와 자연과 생태계와의 결속을 포함한다(에코페미니즘). 둘째, 성(誠)의 사유양식은 철저한 인간화를 위한 자기변화에 대한 구체-보편적 양식(수신, 성화)이 존재론적 지식과 윤리적 실천의 일치(知行合一)에 뿌리를 둔 공동체적 행위라고 제안한다. 이것은 극도로 분화되어 첨예하게 대립되고 있는 오늘날의 난제들, 특수성과 보편성, 다양성과 통일성, 이론과 실천, 정론(orthodoxy)과 정행(orthopraxis)과 같은 양극성을 통전적으로 극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셋째, 도(道)의 사유양식은 공동체적 관계성 안에서 변화하는 삶의 길로서의 도(禮, 正行), 곧 혁신적 프락시스(transformative praxis)를 주장한다(해방신학). 더욱이 이러한 유학적 사유양식들은 예수 그리스도를 인간의 근본모형으로 믿는 그리스도인들에게 다음과 같이 새로운 이해들을 제공해준다: (1) 철저한 인간화의 도(道), (2) 궁극적 성인(聖人), (3) 성(誠)의 극치, (4) 인(仁)과 아가페의 합일을 이룬 인간성 패러다임, 그리고 (5) 양지(良知)의 궁극적 체현. 또한 이들은 도-모형, 인-모형, 신-인간-우주적 모형으로 규정할 수 있으며, 오늘날 포스트-모던적 상황에 큰 가능성을 가진 그리스도론적 패러다임들이다. 첫째, 균형(中)과 조화(和)를 우선적으로 추구하는 도(道)-모형은 지배와 확장 중심의 제국주의적 잔재와 현대과학기술 문명이 초래한 모순과 역기능들에 의해 고뇌하는 서구신학의 한계를 극복하게 하는데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둘째, 인(仁)-모형은 그리스도를 우주적이고 화해되어진 공존적 존재로 성찰하고, 호혜성과 상호성의 유교적 원리를 신-인간-우주적 차원으로 확장하고, 인간과 자연을 현시대의 지배와 착취의 원리로부터 해방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셋째, 전통적으로 새 하늘과 새 땅, 새 인간이라는 비전으로 표현되어온 신(神)-인간-우주적 모형은 예수 그리스도를 그 비전의 완성자로, 곧 새로운 우주적 인간성의 도라고 인식한다. 이러한 통전적이고 개방적인 유교적 사유양식들은 삼천년대를 위해 매우 적절한 그리스도론적 패러다임들을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유교-그리스도교의 대화는 ‘새로운 휴머니즘을 위한 공동의 탐구’에 대한 진정한 ‘대화적 참여’를 의미하는 것이다. Although they are associated with radically different traditions, namely Confucianism and Christianity, the confuciology of Wang Yang-ming and the theology of Karl Barth present remarkably thick resemblances. Their crucial doctrines, self-cultivation and sanctification, share the common goal to search the way how to be fully human, that is to say, radical humanization. Whereas Yangming asserts that the goal of self-cultivation is to attain the true self innate in the human nature (liang-chih), Barth argues that the goal of sanctification is to realize the true huan nature in the original creation (imago Dei). Generally, whereas Confucianism underscores immanence, Christianity focues on historicality. This difference is owing to their different mode of thought, namely anthropo-cosmic vision (the unity of Heaven and human) vs. theohistorical vision (salvation history). Despite this fundamental difference, the confuciology of Yang-ming and the theology of Barth show remarkable similarities as follow; 1) providing a crucial paradigm shift to its own tradition, 2) advocating a concrete-universal way of radical humanization, 3) defining evil as the dysfunction of ontological reality, and 4) understanding humanity as co-humanity. The Confucian anthropocosmic vision and the Chrisitian theohistorical vision encounter each other in East Asian Christianity to be transfomred into a novel theanthropocosmic vision. And the Confucian notions of jen, ch’eng, and tao have great potentialities to offer viable paradigms to overcome dilemmas of contemporary Western theologies. Firstly, the relational and communal mode of jen, as a proper corrective to modern individualism, includes solidarity with nature and ecosystem in addition to the people of other races, sexes, classes, and cultures. Secondly, the ch’eng mode of thought proposes that the concrete-universal mode of self-transformation is a communal act rooted in the unity of ontological knowledge and ethical practice. This will be very important for our divided world, because it may overcome difficult polarities such as religious or cultural particularity and universality, or diversity and unity, theory and practice, and orthodoxy and orthopraxis. Thirdly, the tao mode proposes the way of life transformation in communal interrelatedness (propriety, orthopraxis), namely transformative praxis (in affinity with liberation theology). Furthermore, to Christians who believe Jesus Christ as the root-paradigm of humanity, these offer new understandings of Christ as follow: (1) the tao of radical humanization, (2) the ultimate sage, (3) the ch’eng par excellence, (4) the paradigm of humanity in the unity of image Dei and jen, and (5) the ultimate embodiment of liang-chih. These entail three modes of Christology, tao, jen, and theanthropocosmic paradigms, potentially effective to today’s post-modern situation. Firstly, the tao paradigm of equilibrium and harmony has a great potentiality to overcome limitations of Western theologies in struggle with imperalistic modern principles of domination and expansion and with errors and dysfuctions occurred by the development of contemporary science and technology. Secondly, conceiving Christ as the cosmic, reconciled being-in-togetherness, the jen paradigm can expand and empower the Confucian principle of reciprocity and mutuality to the theanthropocosmic dimension and help to liberate humanity and nature from the principle and exploitation. Thirdly, rephrasing the traditional vision of New Heaven, New Earth, and New Humanity, the theanthroposcosmic paradigm enables to conceive Jesus Christ as the one who has completely realized the vision once and for all; namely, the tao of new cosmic humanity. These wholistic and inclusive Confucian modes of thought can offer new appropriate paradigms of Christology for the third millenium. In conclusion, Confucian-Christian dialogue implies a genuine ‘dialogical participation’ for the ‘common quest for a new h

      • KCI등재

        일반논문 : 육가(陸賈)의 천도론(天道論 연구(硏究)

        조원일 ( Wonil Cho ) 온지학회 2015 溫知論叢 Vol.0 No.45

        육가(陸賈)의 천(天)에 대한 견해는 자연적 의미의 천(天)관념이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인격신 의미의 천(天)관념이 포함되어 있기도 하다. 이처럼 육가의 천도관념은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고 말할수 있는데, 이는 육가가 처했던 당시의 시대적 상황을 고려한다면 충분히 수긍할 만 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육가는 천도(天道)는 인도(人道)를 통하여 세상에 드러날 수 있게 되는 것이라고 생각하여 도(道)가천하에 행해지지 않는다면 그것은 바로 사람들이 도(道)를 실천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육가는 천인관계에서 인간의 행위가 발단이 되고 하늘의 변이(變異)는 단지 필연적인 반응에 불과한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이는 그가 인간의 행위를 더욱 중시했다는 점을 알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육가의 천인감응사상은 전통의 천인감응 사상처럼 천에 중점을 두지 않고 인간사에 중점을 두었다는 것이 여타의 사상가들과 가장 큰 차이라고할 수 있다. 게다가 육가는 인간의 주관적 행위를 상당히 중시하여 결국 인간에게 모든 현상에 대한 조처를 취사선택할 수 있게 하는 주도권을 부여하는 한편 그의 천도론 속에 있어서의 인간은 도덕을 실현하는 관건적인 존재이자 문명의 발전을 촉진시키는 존재였다고 할 수있는 것이다. Lujia have been this thinking that is a behavior of a human being originate in a ``Tian-Jen``(天人) relation, and the changes of seasons also be an simple inevitable consequence. After all, it means that he layed emphasis on behavior of a human being. So ``Tianrenganying`` of Lujia is very different in other thinker it as fallows; he takes a serious view not the traditional thought but a human affairs. Furthermore, Lujia had great interest in the private activity of human. On this account, he insisted that human must have their ``Self-Determination`` on all a present state. On the other, the human-being in his ``Tiandaorun`` was very important matter of morality realization, and accelerator of civilization development.

      • KCI등재

        고려 충숙왕의 전민변정 및 상인등용

        이강한(Lee Kang-hahn) 한국역사연구회 2009 역사와 현실 Vol.- No.72

        Goryeo King Chungsuk-wang displayed a couple of interesting policy initiatives, in the area of governmental finance during his reign, which lasted for more than 25 years. In the former half of his reign(1314~1325), he chose not to continue his father(King Chungseon-wang)'s policy of revising the tax system and increasing extraction upon several sources. Instead, he started to correct certain problems that cropped up during Chungseon-wang's governance, by rectifying powerful beings' malpractices of illegally taking custody of commoners or making them lowly persons, and by determining legitimate ownerships over land units. Then during the latter half of his reign(1325~1339), he and his vassals & cronies started enlisting merchant figures(and people who had working relationships with such merchants) into the political arena for governmental service. With the success of former king Chungseon-wang's financial policies, the monetary status of the Goryeo dynasty was significantly enhanced(in the eary 14th century), and Chungsuk-wang was initiating his financial policies (in 1318) in a very different climate. Benefitting from his father's accomplishments, quite naturally he tried to eliminate the problems caused by his father's policies instead of pointlessly rehashing it. With Chungsuk-wang's efforts, several things that went without being appropriately dealt with, were granted attention that they duly desired. Yet when Chungseon-wang was exiled to a remote location inside the Yuan empire in 1320, and Chungsuk-wang was held captive in the empire's capital and was forced to reside there for five years until 1325, short-term expenditure of the government skyrocketed, and the positive effects from Chungseon-wang's former financial reforms also started to disappear. Facing such crisis, Chungsuk-wang had to devise new plans to fight the recurrence of a financial dry-up that haunted the government for decades so he and his followers started to recruit merchants with relationships to commercial activities, in order to utilize them in the government's efforts and attempts of exploring new possible options that would enhance the revenue of the government. And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all these policy initiatives displayed by Chungsuk-wang indeed featured some probable influences from the contemporary governance of the Yuan imperial government as well. Emperor Jen-tsung was well known for his negation of his predecessor Wu-tsung and’s financial policies. He pursued a more tempered financial policy, and abandoned all kinds of artificial projects designed to raise the governmental income level, while trying to alleviate and mitigate several social problems that were left unattended by his predecessor's governance. Jen-tsung's stay in the reign almost overlapped with the early half of Chungsuk-wang's governance, so a probable relationship and a possible inspiration between the governance of those two leaders might have been in works. Then during the latter half of Chungsuk-wang's governance, the sitting emperor of the empire was Emperor T'aiting, who infamously supported Muslim merchants' activities in and out of the empire, and promoted the Yuan government's trade relationships with entities of financial and commercial potentials throughout both the inland and maritime silkroads. Chungsuk-wang's 5 year stay in Yuan during the early 1320s, and his later return visit to Yuan in the early 1330s when he was forced to temporarily relinquish the Goryeo reign to his son, overlapped with the period of T’aiting’s and his successor Wen-tsung's promotion of trade relationships, so he had the opportunity to observe all the proliferated investments and fierce retrieval of profits that were being conducted throughout the empire at the time. Acquired knowledge of the entire procedure involving inland and maritime trade and transactions with the West Asian Muslim world would have deeply inspired Chungsuk-wang, and must have been vastly inform

      • KCI등재후보

        儒家仁愛精神新探

        盧興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16 문화와예술연구 Vol.8 No.-

        공자(孔子)는 ‘인(仁)’을 핵심으로 유가사상(儒家思想)의 체계를 수 립하여 동아시아 유학(儒學)의 핵심적인 가치를 형성하게 하였다. ‘인 (仁)’은 사람에 대한 일종의 생명적 가치로, 승낙하고 육성하는 정감을 준다. 이러한 정감은 사람의 본성 중에서 도덕의식(道德意識)에 기초함 은 물론 밖으로 표출되어 도덕을 초월하는 함의를 내포하고 있다. 이와 같이 확장된 논리에 기초하여 본고에서는 유가의 인애정신(仁愛精神)을 분석하여 ‘개체지인(個體之仁)’, ‘유성지인(類性之仁)’, ‘성물지인(成 物之仁)’, ‘본체지인(本體之仁)’ 등 4개의 층차로 나뉘었다. 이 4개의 층차 사이에는 상호 긴밀하게 관련되고 층차에 따라 점차적으로 상승하 여 인애(仁愛)의 대상이 자아(自我), 인간사회, 자연세계, 우주본체로 나 누었다. 4개 층차 사이에 내재된 논리는 인덕(仁德)의 확장된 원칙이니, 이러한 확장은 인애지정(仁愛之情)의 감통(感通) 작용에 기초를 세운다. Confucius established the Confucian system centered on “Benevolence” (Jen), and made it one of the most core concepts of Chinese traditional virtues. “Benevolence” is a kind of emotion to confirm and cultivate the value of human life. The emotion based on the moral consciousness in human nature, whose extrapolation also contains the trans-moral implies. Based on the expanding logic, this paper concludes Confucian “Benevolence” (Jen) to four vertical levels: “Benevolence to Self”, “Benevolence to Human”, “Benevolence to Nature” and “Benevolence to Being”, the four levels contain organic connection, and ascend step by step. The objects of the four levels are self, human society, nature and Being, with an internal logic of the expanding principle of “Benevolence” (Jen). This kind of expanding based on communication function of “Benevolence” (Jen).

      • 만해 한시에 나타난 시인의식 연구

        최태호 근역한문학회 2008 漢文學論集 Vol.27 No.-

        This study aims to analysis Manhae’s Sino- Korean poems, and to grasp the life of Manhae as a poet & a monk. I can find the poems which shows Manhae’s human life, sometimes his poem(Simwoosi) influenced by Jen that I the most important thought of Buddhism. When we see Manhae’s poems, we can find his poetic form had an important thing. Many of his Sino-Korean poems were written in he is a man of natural Buddhist. This study shows not only Lover’s silence님의 침묵 woman style poem, but Sino-Korean poems hold contents of his humanism. 본고에서는 만해 한시에 나타난 시인의식을 살펴보았다. 국문시에서 볼 수 없던 선적인 맛과 인간적인 멋을 함께 느낄 수 있었다. 대체로 남성적인 취향의 작품이 수다하고 자연인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는 작품도 많다. 국문시와 대조가 되는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심우시에서 보여준 모습은 ‘詩禪如一’의 세계관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시를 하나의 병으로 생각하여 시를 짓지 않으면 병이 날 정도로 시적 취향이 독특함을 말하고 있다. 국문시를 통하여 여성취향의 작품을 논하였다면 한시에서는 인간중심을 유지하면서 승려로서 선적 세계를 부단히 추구하고 있음을 알았다. 그동안 일반인에게는 별로 알려지지 않았던 심우시를 세상에 보여준 것과 님의 침묵에 가려 주목받지 못했던 한시를 통해 만해의 인간적인 면모를 밝힌 것에 의의가 있다.

      • 종교와 효

        진교훈(Kyo-Hun Chin)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10 종교문화학보 Vol.7 No.-

        이기주의와 배금사상은 현대사회에 만연하고 있고, 심지어 종교집단조차도 집단이기주의와 황금만능주의의 영향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그 결과 가정의 안정과 질서의 근간(根幹)인 효가 경시되고 있다. 이것은 곧 사람다움을 포기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가 오늘날 당면하고 있는 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 우리는 가정제도와 혼인제도의 근원인 효를 고구(考究)하지 않을 수 없다. 효는 가정의 근본 질서 이지만, 합리적인 사고만으로는 설명될 수 없고, 인간의 이성과 인간의 의지와 더불어 인간의 정서, 특히 인정(人情)이 함께 작용하는 全人的인 이해를 통해서만 비로소 이해될 수 있다. 이 발표는 Ⅱ.에서 종교와 효의 관계를, Ⅲ.에서 가정의 질서와 효를, Ⅳ.에서 가정과 인격도야를, Ⅴ.에서 가정윤리와 효를. Ⅵ.에서 맺는 말로 진행됩니다. The filial piety, i.e. hsiao(孝) is the constant norm and the basis of all virtue not only in Confucian Ethics but also in Jewish-Christian Ethics and in Islamic Ethics. In the world of our activities conditions are constantly changing. But even so the standard or norm of those activities may not change, for what changes must find its standard in an unchanging norm. It is filial piety, the relationships of father and son, which provides this norm. Thu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d. the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s, are at the very core of such ethics, unlike the individual oriented rational ethics in the English speaking world. I think that filial piety is the fundamental, unconditional, unchangeable norm of our actions as the foundation of ethics, and filial piety is also an utterance of charity. human-heartedness(jen) and the root of the religious principles and rules, and an appearance of the Natural Law. This paper is consisted of the 6 parts : introduction, the relations of religion and Filial Piety, orders of family and Filial Piety, family and personality(full humanity)-education, family-ethics and Filial Piety, conclusions.

      • KCI등재

        中國 傳統人性論의 再分析

        조원일 한중인문학회 2006 한중인문학연구 Vol.18 No.-

        Reanalysis of Traditional 'Human Nature Theory' of China Cho, Won-il Thought system capable of representing traditional 'Human Nature Theory'(人性論) of China may be regarded as the human nature of Mencius who appeared during Warring States(戰國時期). There has been made diverse studies by many scholar from ancient to modern period about Mencius's 'Human Nature Theory' which has been evaluated as the highest peak on traditional 'Human Nature Theory' of China. Most of the studies, however, can be thought of as having the strong tendance to focus on ideological methodology which was already in progress. So, this article will re-enlighten new methodology, Mencius's 'Human Nature Theory'(which is as the lead of traditional thought of 'Human Nature Theory' in China focusing on the point of view of moral-philosophy) Establishing the viewpoint of 'Xing Shan Shuo'(性善說) instead of adapting Mencius's 'Human Nature theory' is never groundless adhesion very far from the reality, but is the result that Mencius look dispassionately other hypothesis universally popular from the contemporary society. Futhermore, this is never what philosopher himself brings out to study the profound and subtle reason isolated from the reality and pursuit self-satisfaction through the exhaustive linguistic pleasure. Namely, 'Xing Shan Shuo'(性善說) contains the aspiration of moral practice of Mencius himself. 중국의 전통 인성론 사상을 대표할 수 있는 사상체계는 戰國時期에 출현한 孟子의 人性論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의 전통인성론 사상의 최고봉으로서의 맹자 인성론에 관해서는 고대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학자들에 의해서 연구가 진행되어져 왔다. 하지만 그 연구의 대부분이 기존에 진행된 사상사적 방법론에 그친 경향이 매우 강하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필자는 본문에서 새로운 방법론 즉 도덕철학적 초점에 맞춰 중국의 전통인성론 사상의 선구로서의 맹자의 인성론을 재조명하고자 한다.맹자가 인성론에 대하여 성선설의 입장을 수립한 것은 결코 현실과 동떨어진 허망한 집착이 아닌 것으로, 이는 맹자가 당시 사회에서 보편적으로 유행하던 다른 학설들을 직시하여 내놓은 결과이며, 더나가 철학자 개인이 현실과 괴리된 오묘한 이치를 탐구하고 소모적인 언어적 유희를 통해 자기만족을 추구하기 위해서 내놓은 것은 결코 아니다. 즉 성선설은 맹자 자신의 도덕실천의 열망을 담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유학에서의 즐거움(樂)의 문제에 관하여

        강희복 국제언어인문학회 2014 인문언어 Vol.16 No.2

        Today's crisis in humanities is no other than the crisis of humanities in modern universities. This crisis, however, is also related to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knowledge is separated from practice, and intellect, from emotion. A harmony between intellect and emotion is necessary for an ideal human life and to understand the nature of joy in Confucianism can be conducive to such a harmony. In a way, Confucianism is about how to realize humanity (jen) through the change and practice of the subject in his earnest efforts to become a sage. On the one hand, Confucianism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mindfulness and the resulting hardships; on the other hand, it speaks of the state of true joy that a human can experience through the practice of mindfulness. In other words, while Confucianism puts emphasis on human efforts to lead a moral life even in the middle of economic hardships, it also talks about how a human can experience joy out of encountering the origin of existence or out of his harmonious relationship with nature. Although these two aspects appear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y are closely interconnected and the Confucian poet-philosopher Toegye is a prime example. While laying much importance on the practice of mindfulness, he also wrote many poems about the true joy a man is to experience when he encounters the origin of existence or has a harmonious relationship with n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