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日米同盟と東北アジアの安全保障 - 日米安保協力の現狀と課題 -

        鄭勛燮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5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9

        Since the end of the World War Ⅱ,a primary objective of the U.S. policy toward the Northeast Asia has been the promotion of peace and stability on this area, that is first and foremost maintained by a credible deterrent against the possible Soviet aggression. The continued basing of the U.S. forces in Japan under the Japan‐U.S. Security Treaty makes this deterrent both possible and credible. Recently, the Japan‐U.S. alliance has been undergoing some changes. The changes stem from the end of the Cold War, September 11 terrorist attacks, and the wars in Afghanistan and Iraq. These factors have forced Japan to form the new Japan‐U.S. security relations. Now, under the Global Posture Review (GPR) plan, Bush Administration is seeking to transform its military into a leaner, more mobile force to deal with the shifting post‐Cold War security environment. The Japan and U.S. also have been negotiating for more than a year over the reorganization of the U.S. forces in Japan. The U.S. still sees Japan as the linchpin of its security policy in the Northeast Asi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mainly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s and the issues of Japan‐U.S. security cooperation. This paper also examines about the correlation of a Japan‐U.S. alliance and the security of the Northeast Asia by considering the influences which Japan‐U.S. security cooperation has on neighboring countries.

      • KCI등재

        제 2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대일전략과 독도 귀속문제

        조성훈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08 국제지역연구 Vol.17 No.2

        This paper regards Japan's confidence as mainly coming from the U.S. government's supportive position that “‘Liancourt Rocks' belongs to Japan's sovereignty,” even though Japan insists to have claims over Dokdo based on history and international law. Therefore, this paper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U.S. strategy toward Japan in the post-war period and the question of the title over Dokdo. The U.S. seemed to acknowledge Korea's right to Dokdo islet through instructions number 677 or 1013 of the General Headquarters of the Allied Powers. The U.S., however, secured its profits by stationing its troops and obtaining the Ryukyu Islands, because of alleviated anger toward Japa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ld war. During this process, the U.S., which regarded Dokdo as a barren land, agreed to the Japanese claim over Dokdo. In other words, the U.S., while carrying out the Japanese occupation policy in the post-war period, included Dokdo to Korea's territory, but at the same time, it took the contradictory measures of including Dokdo to Japanese territory, thereby leaving a possibility of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Furthermore, heightened strategical value of Japan made good conditions for concluding both the peace treaty and independence. which were the main priorities of the Japanese foreign policy due to the Korean conflict and the intervention of the Chinese military power.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government's response was too late, compared to the Japan's early efforts to take control over Dokdo and to persuade the U.S. after their very defeat. The Korean government began developing its claims to Dokdo after territorial matters were almost settled between the U.S. and Japan. At that time, Korea could not cooperate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whom were in opposition of U.S.' policy toward Japan, under the Cold war system. Accordingly, Korea was not able to gain any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regarding the conflict. Because the U.S. was surely not a spectator regarding the Dokdo issue, it has responsibility to present a solution other than Korea-Japan joint-ownership over Dokdo. It should reveal relevant documents with regard to the Dokdo issue such as Dean Rusk's letter which supported Japan's claim to Dokdo and how the British draft in faver of annexing Dokdo to Korea was excluded. After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Korea came to have more objective position in solving the Dokdo issue in cooperation with Russia, China and India, etc. 본고는 일본이 독도영유권에 대해 역사적으로나 국제법상 근거가 있다고 내세우지만, 이러한 자신감의 이면에는 “‘리앙쿠르섬(Liancourt Rocks)’이 일본주권에 속한다”는 미국정부의 지지에 힘입은 바가 큰 것으로 보고, 전후 미국의 대일전략과 독도귀속문제와의 상관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한때 연합국총사령부 훈령을 통해 한국의 독도영유권을 인정한 듯 했던 미국 측은 냉전이 본격화되면서, 미군 주둔 · 류큐 확보 등 미국의 이익을 관철시키는 과정에서 독도의 가치를 소홀히 여긴 나머지 일본정부의 독도영유권 주장에 대해 동조하였다. 따라서 미국 측은 독도문제에 관해 방관자적 위치에 있지 않았으므로 일본의 독도영유권을 지지했던 러스크 서한과 밴플리트 보고서 등의 작성 경위를 비롯해 연합국총사령부와 국무부, 합참 사이에 논의되었던 내부문서의 공개와 적극적인 해결책을 제시할 책임이 있다.

      • KCI등재후보

        미국무성의 대일점령정책안과 재일조선인 정책- 일본통의 재일조선인에 대한 인식과 정책결정 과정을 중심으로-

        김태기 한국동북아학회 2004 한국동북아논총 Vol.9 No.4

        When we review the history of the Koreans in Japan, usually we do not take intere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s in Japan and the U.S. government. The occupation period of Japan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was very important not only to Japan, but also to the Koreans in Japan. This period had a definite influence on the future of Japan and the Koreans in Japan. In order to discover the real truth behind the Korean problems in Japan, we have to examine the policy of GHQ/SCAP toward the Koreans in Japan during the occupation period (1945-1952)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deed, we have to closely examine the decision-making process regarding the Koreans in Japan by the U.S. State Department, which had absolute influence on the policy of GHQ.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of decision-making on the policy of the U.S. State Department and the U.S. Army Department toward Koreans in Japan during 1943-1945, focusing on the role of the pro-Japanese group in the U.S. State Department. Especially, the paper focuses on where the Korean problems in Japan were positioned in the U.S. State Department’s policies by pro-Japanese groups, how they perceived the Koreans in Japan, and what kind of policy on Koreans in Japan was given to GHQ. 한국사회는 일반적으로 재일동포의 역사를 돌이켜 보는데 있어, 미국의 관여에 대해서는 그다지 큰 관심을 가지고 있지 않는 것 같다. 일본이 패망한 이후, 미군에 의한 일본 점령기는 일본이라는 국가만이 아니라, 재일동포에게도 그들의 미래를 좌우하는 지극히 중요한 시기였다. 일본 점령기에 과연 GHQ/SCAP이 재일동포에게 어떠한 정책을 실행했는지에 대하여, 우리가 일본의 과거 식민지 통치의 실상을 규명하려고 하듯이, 그 사실을 철저히 규명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이와 아울러 GHQ에게 절대적 존재였던 미국정부의 정책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는지에 대해서도 실증적으로 검증하여야 한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미국정부가 재일동포정책을 입안하는 과정에 조명을 맞춘 것이다. 당시 미국에서는 일본 패전을 앞두고, 미국무성을 중심으로 하여 대일점령정책이 입안되어 갔으며, 육군성은 일본을 점령하는 당사자로서 실무적인 차원에서의 점령 지침서를 작성해갔다. 이 연구는 양자의 정책형성 과정을 분석하는데, 특히 미국정부 정책 입안의 중심 축에 서 있던, 국무성의 이른바 일본통 실무자들이 재일동포문제를 어떠한 시각에서 바라다보았으며 그러한 인식이 정책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를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 그리고 결론에서는 그러한 정책이 실질적으로 GHQ에 의한 재일동포정책에 어떠한 영향을 끼쳐는 지 역사를 돌이켜 본다. 이 연구는 재일동포 문제에 대한 역사적 사실의 확인만이 아니라, 당시의 미일관계가 한일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게 되었는지를 바라다 볼 수 있는 좋은 사례연구로서도 의미도 크다고 보겠다.

      • KCI등재

        일본의 통합사령부 신설과 한미일 안보협력

        김학준 한일군사문화학회 2023 한일군사문화연구 Vol.39 No.-

        From the experience of responding to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the Joint Chief of Staff in assisting the Cabinet and the Minister of Defense was highlighted, and the need for the establishment of Joint Staff Office was highlighted. This is an issue that has been raised consistently since the launch of the Department. In particular, in solidarity with the U.S. military, it has been recognized as a problem that the counterpart of the U.S. Joint Chiefs of Staff must encompass all three levels: the U.S. Joint Chiefs of Staff, the Indo-Pacific Command, and the U.S. Forces in Japan commander.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promoting ‘cross-domain operations’ while advocating ‘building a multidimensional integrated defense force’ in the space, cyber, and electronic spectrum domains, the establishment of new integrated operation units has increased, and the need for a Headquarters to integrate them. Meanwhile, on December 16, 2022, ‘Strategy 3 Documents’ was announced. In addition, various large-scale projects were included, including the acquisition of the Type 12 surface-to-ship guided missile capability improvement type and the American Tomahawk, with the aim of strengthening counterattack capabilities. The counterattack capability is exercised across the Army, Navy, and Air Self-Defense Forces, and on the battlefield, inter-unit linkage and avoidance of friendly fire are essential, and from the perspective of defense power development, the creation of a Joint Headquarters is specified to acquire this capability. The United States agreed Japan’s policy of establishing a Joint Headquarters and is considering a plan to grant command authority to U.S. forces in Japan appropriate for this policy. Therefore, in the joint response between Kore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to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and WMD, it is expected that in the future, Korea’s Strategic Command, Japan’s Joint Headquarters, and U.S. Forces Korea/Japan Command will operate in conjunction. On the other hand, rather than granting separate operational authority to the U.S. Forces in Japan, it was proposed to establish a new headquarters that would integrate the U.S. Forces in Japan and the U.S. Forces in Korea under the tentative name of ‘Far East Command.’ If the U.S. Forces in Korea and the U.S. Forces in Japan are integrate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Korea will directly or indirectly participate in a war led by the United States in situations such as the Taiwan Strait issue as well as emergencies on the Korean Peninsula. Therefore, our country, which is considering the creation of a Strategic Command to be in charge of responding to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and missiles, plans to link up with the Japan’s Joint Headquarters, which is created to operate counterattack capabilities, and establish a new Japan’s Joint Headquarters, as well as the establishment of the U.S. Military Command in Japan related to this. We must pay attention to the changes in nature, military integration between the U.S. and Japan, and the establishment of a permanent cooperation system, and prepare for security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and Korea-U.S.-Japan. 동일본 대지진 대응 시의 경험으로부터, 내각과 방위상에 대한 통합막료장의 보좌 기능의 중요성이 부각되어 통합사령부의 신설이 필요성이 부각되었지만, 통합막료감부 출범시부터 꾸준히 제기되어왔던 사안이다. 특히 미군과의 연대에 있어서 통합막료장의 카운터파트가 미 합참의장, 지역통합사령부인 인도태평양사령관, 예하통합사령부인 주일미군사령관이라는 3단계를 모두 포괄해야한다는 것을 문제점으로 인식하여왔다. 이에 더해서 우주, 사이버, 전자 스펙트럼 영역에 대해 ‘다차원 통합방위력 구축’을 표방하면서 ‘영역횡단작전’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이에 대한 통합작전부대의 신설이 많아졌고 이를 통합운용할 사령부의 필요성이 제기되어왔다. 이러한 가운데 2022년 12월 16일, 국가안보전략, 국가방위전략, 방위력정비계획으로 구성된 ‘전략 3문서’가 발표되었다. 여기에 반격능력(스탠드오프 방위능력)의 강화를 내세우며, 12식 지대함 유도탄 능력향상형과 미국산 토마호크의 취득을 비롯한 각종 대형사업을 포함시켰다. 반격능력 행사 주체가 육해공 자위대에 걸쳐, 전장에서는 부대간 연계나 우군사격 회피가 필수적이며 방위력 정비 관점에서는 필요 자산이 육해공을 걸쳐 보유되는 이 능력 획득을 위해 통합사령부의 창설을 명기하기에 이른다. 미국은 일본의 통합사령부 신설 방침을 환영하며, 이에 적합한 주일미군에 지휘권을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 방안에 대해서는 요코다 기지의 기존 주일미군사령부를 확대하는 방안과 지휘권을 가진 예속통합사령부의 신설 등이 각각 검토되고 있다. 따라서 북 핵・WMD에 대한 한미일 공동대응에 있어서 향후에는 한국의 전략사령부와 일본의 통합사령부, 주한/주일미군사령부가 연계되어 작전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에 주일미군에게 별도의 작전권을 부여하기보다는 주일미군과 주한미군을 통합한 가칭 ‘극동군사령부’로 통합한 사령부의 신설이 제안되기도 했다. 주한미군과 주일미군이 통합될 경우에는 한반도 유사시 이외에 대만해협 문제 등의 상황에서 한국은 미국이 주도하는 전쟁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일본의 새로운 영역에 대한 통합작전능력 확보와 반격능력의 전문적인 운용 등을 고려하여 신설되는 통합사령부로 인하여, 이와 관련된 주일미군사령부의 성격변화, 미일 간의 군사일체화 심화, 표적정보공유 등 상시협력체계 구축이 예상된다. 이와 관련하여 한일, 한미일 안보협력에 있어서도 다양한 변화와 영향이 예상되므로 대해 대비하여야 한다. 미중경쟁이 첨예화되는 가운데 한국의 안보상 전략적 고려는 복합성을 갖는다. 단순한 세력균형 논의에는 한계가 있으며, 행위자의 인식, 선택, 결과에 대한 보다 중층적인 검토가 요구된다. 한국이 추구해야 할 적절한 국내적 전환과 동북아 지역체제와의 공존적 복합화 범주를 고려하여 한국의 국익에 적합한 한일, 한미일 안보협력을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한미일 협력은 대북 위협에 국한되지 않고, 우주・사이버・전자기 스펙트럼과 같은 새로운 도메인에서의 위협에 대한 대응, 중국의 힘에 의한 현상변경 시도에 대한 대응 등이 검토되어야 하며, 미국의 국가방위전략에서 제시된 ‘통합억제(integrated deterrence)’와 ‘전영역지휘통제(JADC2)’ 체계 구축 등에 대한 연대가 필요하다.

      • KCI등재

        미일통상항해조약의 폐지와 미국무부의 극동정책 전환

        안재익 한국미국사학회 2022 미국사연구 Vol.55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how the U.S. government's decision to abolish the treaty of commerce and navigation between the U.S. and Japan (1911) was made within the Department of State. The fact that Japan relied heavily on foreign trade, especially scrap metal and oil, has been noted by U.S. State Department officials since the early 1930s, and the Japanese government was fully aware that if foreign trade was suspended by powers such as the U.K. and the U.S., the Japanese economy would succumb to a major crisis. However, when the Sino-Japanese War erupted in 1937, the U.S. government adopted a wait-and-see attitude without initiating actions to restrain Japan's aggressive continental policy. It was due to the existence of isolationist public opinion in the U.S. symbolized by the enactment of the Neutrality Act (1935). In this situation, a political adviser of the Department of State, Stanley K. Honbeck argued that Japan should be prevented from engaging in aggression towards East Asia by imposing bold economic sanctions, with active economic support for China. As a prerequisite for this, Honbeck demanded the abolition of the treaty of commerce and navigation between the U.S. and Japan. Honbeck's assertion of abolition of the treaty rapidly gained support within the Department of State after the Japanese government declared the East Asian New Order in November 1938. In July 1939, the U.S. notified the Japanese government of the abolition of the treaty, and after 1940, the U.S. actively imposed trade sanctions against Japan. In examining the above process,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following three aspects regarding the abolition of the treaty of commerce and navigation between the U.S. and Japan. First, the abolition of the treaty signaled a significant change in U.S. Far Eastern policy. Second, discussions on the abolition of the treaty had been held within the State Department for more than a year, and in this process, the opinion had spread within the department that strong measures against Japan were needed. Third, strong economic sanctions against Japan actually were implemented since the treaty had been abolished. The U.S. increased the degree of intervention in Far East issues, including the Sino-Japanese War, through economic sanctions against Japan and support for the Chinese economy, and the abolition of the treaty of commerce and navigation between the U.S. and Japan was the beginning of such a policy shift. 본 논문에서는 미 정부가 미일통상항해조약 폐기를 일본 정부에 통고하는 결정이, 국무부 내에서 어떻게 이루어졌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일본이 대외 무역, 특히 대미 무역에 고철과 석유 등 주요 자원의 획득을 크게 의존하고 있었다는 사실은 1930년대 초반부터 미국의 국무부 관료들에 의해 주목받았으며, 일본 정부도 영국, 미국 등 열강에 의해 대외 무역이 중단되면, 큰 경제적 위기에 빠지게 될 것이라는 점을, 충분히 의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미 정부는 일본의 대륙 침략적 정책을 제지하기 위한 적극적 행동에 나서지 않고 관망적인 태도를 취했다. 그것은 중립법의 제정으로 상징되는 미 국내의 고립주의적 여론의 존재 때문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무부의 정치고문 스탠리 혼벡은 중국에 대한 적극적인 경제 지원과 함께 일본에 대한 과감한 경제 제재를 실시해서, 동아시아 지역에 대한 일본의 침략적 행보를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한 전제 조건으로서 혼벡은 미일통상항해조약의 폐지를 요구했다. 혼벡의 조약 폐지론은 1938년 11월, 일본 정부가 동아 신질서론을 선언하게 된 뒤, 국무부 내에서 급속히 지지를 넓혀 갔다. 그리고 1939년 7월, 결국 미 정부는 조약의 폐기를 일본 정부에게 통고하였고, 1940년 이후 미 정부는 적극적으로 대일 무역 제재 조치를 취하게 되었다. 이상의 과정을 살펴볼 때, 미일통상항해조약의 폐지와 관련해서 다음 세 가지 측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첫 번째로, 조약의 폐지가 미 정부의 중대한 극동정책 기조 변화를 의미했다는 점이다. 두 번째로, 조약 폐기를 위한 논의가 국무부 내부에서 1년 이상에 걸쳐 진행되었고, 그 과정에서 일본에 대한 강경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여론이 확산되었다는 점이다. 세 번째로, 조약이 폐기된 이후 실제로 강력한 대일 경제 제재가 시행되었다는 점이다. 미국은 대일 경제 제재와 대중 경제 지원을 통해 중일전쟁 문제를 포함한 극동 문제에 대한 개입의 정도를 높여 갔고, 그러한 정책 전환의 효시로 볼 수 있는 것이 바로 미일통상항해조약의 폐지였다.

      • KCI등재

        1958년 한반도 전술핵무기 배치 요인 재고찰 - 미국의 대일정책 변화를 중심으로 -

        김민식(Kim, Min-sik)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20 군사 Vol.- No.117

        The ‘Japan’ factors were behind the deployment of tactical nuclear weapons on the Korean Peninsula in 1958. Previous studies about the process of deploying tactical nuclear weapons in South Korea analyzed this issue mainly in terms of U.S-R.O.K. relations. However, U.S. political and military leaders in the 1950s focused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U.S-R.O.K-Japan in the establish of security policies in the Far East. The U.S. has decided to deploy tactical nuclear weapons to the U.S. Forces in Korea as a result of political considerations about Japan. In the mid-1950s, the U.S. government faced stubborn resistance from the Japanese government and public opinion against the U.S. nuclear strategy and rearmament policy of Japan.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U.S. foreign security policy was being formulated in a direction that emphasized the role of nuclear weapons and the local forces of allies. Given its political ripple effect, the deployment of tactical nuclear weapons to the U.S. Forces in Korea was a much more reasonable and safer alternative than the deployment of tactical nuclear weapons to the U.S. forces in Japan. In doing so, the U.S. also put strong pressure on the Japanese government, which demanded a revision of the U.S.-Japan security treaty. It also included expectations that the modernization of U.S. Forces in Korea and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could stimulate rearmament of Japan Self-Defense Forces. As such, the U.S. decision to deploy tactical nuclear weapons on the Korean Peninsula reflected consideration of ‘Japan’ factors in various aspects.

      • KCI등재

        독도문제와 한ㆍ미ㆍ일 공조체제의 미래

        이성우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0 국제지역연구 Vol.13 No.4

        This paper discusses the tri-lateral relationship among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which is remarked as the most critical part of international dynamics in East Asia. Concerning historical and territorial issues, South Korea and Japan have maintained a relationship of traditional rivalry and the U. S. has been recognized as a major power in the area. This paper tests the positive state hypothesis and the responsive state hypothesis about Japanese foreign policy behavior under the given circumstances. While the responsive state hypothesis argues that Japan has minimized its response to conflicts with neighbor countries, the positive state hypothesis explains that Japan have taken an aggressive stance to its neighbor countries concerning territorial and historical issues like the Dok-Do issue. This paper argues Japan has adopted a dual-stances. With passive foreign policy, Japan has tried to achieve support from the United State. At the same time, Japan employed an aggressive and positive stance to achieve its policy goal regarding the territorial issue. The time series analysis informs that the U. S. has been cooperative to South Korea when Japan takes conflictual stance to South Korea. When South Korean leads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Japan, the U. S. decreases the cooperation with South Korea. On the other hand, when Japan leads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to South Korea, the U. S. increases the cooperation with South Korea.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that the U. S. has competed with Japan concerning bilateral relationship with South Korea. This paper argues Japan has adopted a dual-stances. With passive foreign policy, Japan has tried to achieve support from the United State. At the same time, Japan employed an aggressive and positive stance to achieve its policy goal regarding the territorial issue. The time series analysis informs that the U. S. has been cooperative to South Korea when Japan takes conflictual stance to South Korea. When South Korean leads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Japan, the U. S. decreases the cooperation with South Korea. On the other hand, when Japan leads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to South Korea, the U. S. increases the cooperation with South Korea.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that the U. S. has competed with Japan concerning bilateral relationship with South Korea. 본 연구는 동아시아의 국제정치 역학관계에서 중요한 의미를 차지하는 한국, 미국, 일본의 3 자관계를 다루고 있다. 전통적인 라이벌 구도를 유지해온 한국과 일본의 첨예한 대립이 일어나는 상황과 관련하여 미국과 관련하여 일본의 행태에 대한 적극국가 가설과 반응국가 가설의 이론을 경험적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일본은 전통적으로 주변국가와의 갈등이나 비판에 최소한의 적응만 수행하는 반응국가의 행태를 보여 왔지만 독도 문제와 같은 민감한 영토문제와 관련하여 보면 적극적이며 공세적인 입장을 취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일본은 강대국인 미국에 대해서는 반응적 행동을 취하면서 후원과 지지를 획득하는 동시에 주변국과의 영토와 역사문제에 있어서는 공세적인 적극적 행동을 취했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시계열 분석을 통해 미국은 일본의 공세적인 대외정책에 대해서 한국에 대해 갈등을 줄였다는 점에서 한국과의 관계에 호의를 보이고 일본에 대하여 지지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국이 일본과 협력을 주도하는 경우 미국은 한국에 대하여 협력을 감소시켰지만 일본이 한국과 협력을 주도하는 경우 미국은 한국에 대해 협력을 강화시켰다. 이 결과는 미국은 한국과의 관계에서 일본과 경쟁을 했음을 의미하는 것을 해석할 수 있다.

      • KCI등재

        韓美 FTA와 日本의 對應

        임천석 한국일본학회 2008 日本學報 Vol.75 No.-

        Last April, Korea and U.S. agreed on establishing a FTA and have signed the agreement on last June. Due to Korea's organization's calculation and prospect, with the effectuation of the Korea-U.S. FTA, Korea's products exported to U.S. will be exempted from tax, which will bring a great advantage to Korea's exportation. However. the fact that in U.S. market, Korea's main competing countries are China, Japan, and Mexico and the fact that Japan is the main competing country in Korea's main export market(cars and electronics), need to be noted. Also, it can be predicted that Japan would consider multiple countermoves such as lowering the price of exported goods, increasing the production and utilizing NAFTA to catch up with Korea's competitive price. In this paper, economic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the U.S. between Japan and the U.S. will be discussed as well as the competition between Korea and Japan in U.S. market. Also, the thesis will discuss Japan's evaluation on Korea-U.S. FTA and forecast Japan's countermoves.

      • KCI등재

        제4차 한일회담 예비교섭을 중심으로 본 이승만의 위협인식과 미국

        강여린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22 한국과 국제정치 Vol.38 No.3

        This paper analyzes Syngman Rhee’s ‘threat perceptions’ and the U.S. stance during The preliminary negotiations for the 4th Korea-Japan Talks. President Syngman Rhee perceived Japan’s ties with the Communist Party as a Threat and criticized the U.S.’s favor toward Japan. The Threat perceptions of Rhee influenced the Rhee regime’s policy that South Korea should become a priority for the U.S. and gain more U.S. recognition than Japan and take the lead in the international Cold War. The U.S. faced difficulties with the U.S. interpretation of the Claims during the preliminary negotiations for the 4th Korea-Japan Talks due to Syngman Rhee, who perceived Japan as a threat. The U.S. hoped for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Cold War era and did not trust Syngman Rhee’s administration policy.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perceptions of threat by the Korean president can affect not only Japan but also the relationship with the U.S. in issues between Korea and Japan.

      • KCI등재

        한미동맹과 미일동맹의 실태 비교: 동맹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박휘락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5 국가안보와 전략 Vol.15 No.3

        This paper tries to identify the current position of the South Korea-U.S. alliance in comparison with the U.S. and Japan alliance especially in the wake of the amendment of the defense cooperation guideline between the U.S. and Japan in April 2015. This paper finds that the two alliances are almost identical in terms of hardwares of the alliance such as the treaty, the security consultative mechanism and the stationing of the U.S. forces. They have similar level of the softwares of the alliance such as common strategic goals, combined command structures and cost sharing practices, except for some differences on the quality of the softwares. South Korea and the U.S. does not have a full agreement regarding the threat preception of China contrary to the united U.S. and Japan. The strength of combined command structures in South Korea-U.S. alliance diminishes due to the South Korean demand for the transition of the operational control authority, contrary to the U.S.-Japan Alliance's recent establishment of the Alliance Coordination Mechanism. The gap between the South Korea-U.S. alliance and the U.S.-Japan alliance can be seen bigger from the U.S. perspective. The U.S. congress may demand the fundamental review of the necessity of the South Korea-U.S. alliance including the withdrawal of the U.S. forces from South Korea, if a very risky situation occurs in the Korean Peninsula. If South Korea cannot select China as its ally instead of the U.S. it should strengthen the alliance with the U.S. and try to improve its relations with Japan. 본 논문은 2015년 4월 개정된 “미일방위협력지침”을 통하여 미일동맹이 크게 강화된 것을 본 후 한미동맹의 현 주소를 파악해보고자 하는 의도에서 작성되었다. 지금까지 한미동맹과 미일동맹에 관한 비교가 적지 않았으나 대부분 변화된 상황에 대한 양 동맹의 대응방향을 비교하는 성격이 많았다. 이러한 동태적 비교는 특정 상황에서는 흥미롭지만, 동맹의 본질적인 차이를 이해하는 데는 미흡함이 있었다. 따라서 고루할 수도 있지만 경성요소와 연성요소로 구분하여 양 동맹의 구조를 본질적으로 비교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분석결과 한미동맹과 미일동맹은 조약, 안보협의체제, 미군주둔 등의 경성요소에서는 거의 동등하고, 공통 전략목표, 연합지휘체제, 방위비분담 등 연성요소에 해당되는 요소들도 기본적으로는 유사하다. 다만, 연성요소의 경우 공통 전략목표에 있어서 한미 간에는 중국과 관련하여 전략목표의 차이점이 노출되고 있는 반면에 일본과 미국 간에는 공통성이 더욱 커지고 있고, 연합지휘체제에 있어서 한국에서는 한미연합사 해체 논란이 장기간 지속되어 왔는데 비하여 일본은 동맹조정 메커니즘을 강조하고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한국이 인식하는 한미동맹과 미일동맹의 차이보다 미국이 인식하는 그 차이가 더욱 클 수 있다. 한미동맹의 경우 공통 전략목표나 연합작전수행태세가 점점 혼란스러워질 경우 미 의회 등에서 한미동맹에 관한 전반적 재검토나 주한미군의 감축 또는 철수를 요구할 수도 있다. 한미동맹과 한중관계가 상충되었을 경우 한국이 중국을 선택할 수 없다면, 한미동맹을 더욱 강화하는 것은 물론이고, 일본과의 관계도 개선해나갈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