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행위자의 주관과 객관의 이중성은 어떻게 양립가능한가?

        김선희(Sun-Hie Kim) 한국철학회 2017 철학 Vol.0 No.133

        주관적이면서 객관적이기도 한 인간의 이중적 본성이 양립한다는 것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김재권은 행위론에서 바로 이 문제를 제기한다. 인간 행위에 대한 기존의 대표적인 이론들, 인과론과 비인과론은 행위를 바라보는 주관적 관점과 객관적 관점을 이원적으로 분리하거나 어느 한쪽으로의 환원을 시도한다. 필자는 주관과 객관의 양립가능성 문제에 접근하는 기존의 모델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새로운 대안을 제안할 것이다. 여기서 이 문제를 해명하기 위한 시도의 하나로 김재권의 투사 및 시뮬레이션 모델을 검토하고 그것이 갖는 설명력과 한계를 논의한다. 나아가 필자가 고안한 시뮬레이션 집단사고실험 모델은 그러한 한계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주관과 객관의 이중성을 해명하는 하나의 모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논의할 것이다. How can we explain that the dual nature of human beings, both subjective and objective, is compatible? Kim Jaegwon poses this problem from his action theory. Existing representative theories of action, causal theory and non-causal theory, attempt to divide the subjective viewpoint and the objective stance of agents into two, or try to reduce to one side. I will critically review existing models approaching the issue of compatibility between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and suggest new alternatives. Here, I examine Kim’s projection thesis and simulation model and discuss its explanatory power and limitations. Furthermore, I will argue that the model of group simulation thought experiments I designed can be a model for explaining our dual nature of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by showing that it can solve such limitations.

      • KCI등재

        실체이원론과 김재권의 짝짓기 문제

        이선형 한국분석철학회 2022 철학적 분석 Vol.- No.47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examine and evaluate Jaegwon Kim’s argument against Cartesian substance dualism. In Physicalism, or Something Near Enough, Kim argues that an immaterial soul cannot causally interact with anything, whether it is a material thing or another soul, because souls are not located in space. This is what is called “the pairing problem” or “the pairing argument.” This argument has been criticized on the ground that it implicitly presupposes reductionism about causation. However, in support of Kim, I argue that his pairing argument does not depend on reductionism in any obvious way. And I suggest one possible way of solving the pairing problem. 본 논문의 목적은 데카르트적 실체이원론을 반박하는 김재권의 짝짓기 논증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김재권은 그의 저서 『물리주의』에서 데카르트의 실체이원론이 가정하는 비물리적 실체인 영혼(마음)은 전적으로 공간성을 결여하기 때문에 그 어떤 것과도 인과 관계를 맺을 수 없다는 논증을 제시한다. 이른 바, “짝짓기 문제” 또는 “짝짓기 논증”이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짝짓기 논증이 성립하기 위해 김재권이 가정하고 있는 암묵적 가정들을 면밀히 분석하고, 인과에 관한 비환원주의적 입장에 의해 짝짓기 문제를 해결하려는 전략을 비판한다. 또한 실체이원론자의 입장에서 짝짓기 논증을 반박할 수 있는 한 가지 가능한 대안을 제시한다.

      • KCI등재

        김재권에게 있어서 행위 설명과 설명적 실재론

        이선형(Rhee, Sun-Hyung)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6 철학사상 Vol.62 No.-

        김재권은 최근의 일련의 논문에서 우리가 우리 자신의 행위를 설명하고 이해하는 방식은 다른 자연 현상을 설명하고 이해하는 방식과는 완전히 다르다고 주장한다. 자기 자신의 행위 설명은 일반 법칙에 의존하지도, 그 인과적 기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도 않고, 오로지 그것을 정당화하는 이유에 의해서 설명이 이루어진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우선 김재권의 행위 설명에 대한 이론을 개괄하고, 이에 대한 김재권의 해석이 중대한 문제를 가지고 있음을 지적한다. 그리고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한 가지 제안을 한다. 제안의 요점은 행위에 대한 김재권 식의 모형을 따르는 행위 설명도 인과-법칙적인 설명과 마찬가지로 모종의 형이상학적 의존 관계에 의해 뒷받침되는 설명으로 보아야 하며, 이런 의존 관계를 포착하기 위해서는 법칙에 의해 뒷받침되는 인과 관계와는 다른 소위 “행위자-인과”(agent-causation)와 같은 것에 호소해야 한다는 것이다. In his recent papers, Jaegwon Kim argues that the way we explain and understand our own actions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way we explain and understand other phenomena. Unlike explanations of other phenomena, our explanations of our own actions neither rely on general laws nor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causal provenance of actions. Rather, they explain actions only by justifying them. In this paper, I review Kim’s model of action explanations, and I claim that Kim"s construal of such explanations has an important problem. And I argue that to resolve this problem, we need to construe the Kim-style explanations as realistic explanations grounded on a certain metaphysical dependence relation. Specifically, I claim that such explanations need to be seen as grounded on something like “agent-causation.”

      • KCI우수등재

        행위 설명의 논리

        원치욱(Chiwook Won) 한국철학회 2017 철학 Vol.0 No.130

        김재권은 여러 편의 논문을 통해 행위 설명에 대한 규범적 접근을 옹호해왔으며, 그의 최근 저작에서 심적 시뮬레이션에 기반한 행위 설명 이론을 내놓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김재권의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필자 자신의 대안적 규범적 접근의 기본 골자를 제시하는 것이다. 논문은 먼저 김재권의 입장을 가능한 한 분명하고 그럴듯한 형태로 제시하고, 그의 접근이 어떤 심각한 문제에 직면하는지 논의한다. 난점의 요지는 김재권 식의 접근 내에서는 참된 행위 설명과 거짓된 설명을 구분하기 위한 이론적 자원이 존재하지 않기에, 그의 이론은 행위 설명의 논리에 대한 적절한 분석일 수 없다는 것이다. 이어서 필자는 규범적 접근의 기본적 통찰을 어떻게 시뮬레이션을 통해 더 잘 포착할 수 있는지 제안한다. 필자의 접근은 이유는 행위의 원인이라는 인과주의자의 핵심 주장을 받아들인다. 그러나 그것은 또한 명시적으로 규범적이면서 시뮬레이션적인 접근인데, 필자의 접근에 의하면, 행위 설명에 내재하는 규범성은 이유를 이유이게끔 하는 규범성이며, 이 규범성은 심적 시뮬레이션에 의해 그럴듯하게 분석될 수 있다. In a series of papers, Jaegwon Kim has developed a normative, simulation-based approach to action explanation. The aim of this paper is, first, to critically assess Kim’s proposal and, second, to motivate and outline an alternative normative, simulationist approach of my own. I first raise an objection to Kim, a Hempel-Davidsonian objection, to the effect that his account has no resources to distinguish genuine action explanations from spurious ones and argue that his account fails as an analysis of the explanatory force of reasons. I then propose another way of looking at the role of mental simulation in the logic of action explanation. I argue that the role of simulation has to do with how our reason ascriptions work, or what makes a reason a reason, and argue that this way of looking at simulation better captures Kim’s basic insights. I close by outlining my proposal.

      • KCI등재

        합리성과 행위 이해

        원치욱(Won, Chiwook)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21 철학사상 Vol.79 No.-

        이 논문은 행위의 이해와 합리성이 어떻게 관련될 수 있는지 탐색함으로써, 행위 설명에서 이해(Verstehen)를 강조하는 “규범적” 전통의 한 입장을 옹호하고 발전시킨다. 규범적 접근의 기본 통찰은 행위자의 행위는 그것이 정당화될 때, 혹은 김재권의 표현으로 그것의 “적절성”을 볼 수 있을 때 이해된다는 것이다. 본고는 규범적 접근이 앨런 기버드적 의미의 합리성 개념을 통해 가장 잘 정식화된다는 것, 그리고 기버드의 합리성은 시뮬레이션 개념에 의해, 특히 김재권의 “수렴 조건”에 의해 포착될 수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결국 본고의 입장에 의하면, 행위자의 행위는 기버드적 의미에서 합리적인 한에서만 이해되며, 이 때의 합리성은 시뮬레이션에 의해 분석된다. On a traditional “normativist” view of action explanation, explanation by reasons makes an action intelligible by revealing its rationality. In this paper, I develop and defend this view, by exploring a connection between the rationality and intelligibility of actions. The basic insight of the normative approach is that, as William Dray and Jaegwon Kim put it, an agent’s action is understood when we can see that it was the “appropriate” thing for the agent to do. I argue, first, that the normative approach is best formulated by appealing to Allan Gibbard’s notion of rationality, and that Gibbard’s rationality, in turn, is plausibly captured in terms of simulation, in particular by Kim’s “convergence condition.” On the resulting account, an agent’s action is understood only insofar as it is rational in Gibbard’s sense, and the rationality here is analyzed in terms of simulation.

      • KCI등재

        왜 체계적 과잉 결정은 존재하지 않는가?

        이재호 한국분석철학회 2019 철학적 분석 Vol.0 No.41

        이 논문에서 필자는 김재권에 의해서 처음 제시된 후 많은 논란을 불러 일으킨 배제논변이 필자가 제시하는 새로운 과잉 결정에 대한 이해 하에서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지를 검토한다. 기존의 논의에서 배제 논변의 반대자들은 주로 체계적 과잉 결정을거부하는 김재권의 주장을 공격해 왔지만, 필자의 논증에 따르면 체계적 과잉 결정을받아들일 수 없다는 주장은 문제가 되지 않는 주장이고 배제 논변의 문제는 다른 곳에서 찾아져야 한다. In this paper, I examine the exclusion argument by Jaegwon Kim and subsequent debates concerning this argument. I will argue that once we accept the new conception of overdetermination I proposed elsewhere, we can be in a better position to evaluate this argument and debates concerning it. I will also argue that Kim’s claim that there is no systematic overdetermination is true although that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his exclusion argument is successful.

      • KCI등재

        배제 원리와 비환원적 물리주의

        이재호 ( Jaeho Lee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21 철학연구 Vol.- No.63

        이 논문에서 필자는 김재권의 배제 논증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배제 원리가 비환원적 물리주의를 공격하는 무기가 될 수 없다는 것을 논증한다. 필자는 김재권의 배제 원리가 정당화되기 위해서는 인과에 대한 무거운 개념을 받아들여야 하는데, 그럴 경우 배제원리는 비환원적 유물론에 대해 논점 선취적이게 된다는 것을 논증한다. In this paper, I argue that J. Kim’s exclusion principle is useless to attack non-reductive physicalism. I argue that in order to justify the exclusion principle one need to accept a heavy concept of causation, in which case the exclusion principle begs the question against non-reductive physicalism.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