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가족친화제도 동형화의 내부구조와 영향요인: 가족친화인증기업(관)을 중심으로

        원숙연 ( Sook Yeon Won ),성민정 ( Minjung Sung ) 한국행정학회 2016 韓國行政學報 Vol.50 No.1

        본 연구는 가족친화제도 도입의 표면적 동질성 이면(裏面)에 존재하는 도입방식의 다양성에 주목하였다. 제도적 동형화(institutional isomorphism)개념을 적용하여 가족친화제도의 강제적, 모방적, 규범적 동형화의 내부구조와 각각에 작용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였다. 관련이론을 바탕으로 개념적 분석모형을 도출하고, 그 타당성을 가족친화인증기업(기관) 구성원 723명을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친화제도 도입과 관련하여 강제적 동형화 인식이 모방적 동형화 및 규범적 동형화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조직특성에 따라 제도적 동형화의 내부구조가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친화제도 동형화 유형에 따라 영향요인이 다르게 나타났다. 강제적 동형화는 조직규모가 작을수록, 조직연령이 높을수록, 정규직이 비정규직에 비해, 재인증을 받은 경우,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 높게 인식하였다. 모방적 동형화는 조직규모가 작을수록, 조직연령이 높을수록, 정규직이 비정규직에 비해 높게 인식하였고, 개인적 요소 중 기혼일수록 모방적 동형화를 낮게 인식하였다. 규범적 동형화는 조직규모가 작을수록, 조직연령이 높을수록 높게 인식하였고, 개인적 요소 중 연령이 높을수록, 정규직이 비정규직에 비해 규범적 동형화를 높게 인식하였다. 이상의 결과가 갖는 함의를 심층적으로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substantial differences in the introduction of family-friendly certification thatlie behind the superficial similarity of family-friendly policies. Based on the concept of institutional isomorphism and its types, such as coercive, mimetic, and normative isomorphism, the internal structure of isomorphism and its antecedents are examined. A conceptual model was derived and its empirical validity was examined via 723 employees of organizations certified as family-friendly compani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coercive isomorphism is higher than that of mimetic and normative isomorphism. In terms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isomorphism,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organizational sector, size, and ratio of female workers make a difference. Second, antecedents of the introduction of family-friendly policy are differentiated in accordance with types of isomorphism. For coercive isomorphism, organizational size(-), organizational age(-), employment status(permanent), recertification, labor union(-) are closely related. Mimetic isomorphism is related to organizational size(-), organizational age(-),and employment status(permanent). In terms of demographic variables, married workers positively perceive mimetic isomorphism. For normative isomorphism, organizational size(-) and organizational age(-) are related. Lastly, age as a demographical variable and employment status(permanent) are positively related to normative isomorphism.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in depth.

      • KCI등재

        사회적기업의 제도적 동형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모방적 동형화의 매개효과 검증-

        장석인 ( Sug In Chang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3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0 No.4

        제도적 환경에서 형성된 제도적 규범을 받아들인 조직이 제도적 환경과 유사해 짐으로써 조직의 정당성을 얻게 된다. 조직의 정당성은 제도적 환경에서 필요한 자원을 획득하는데 필수적인 부분이 된다. 이러한 필요 자원획득이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친 다면 제도적 환경에서의 동형화와 조직성과는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갖게 된다. 우리나라의 사회적기업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사회적기업육성법(2007)에 따라 어떠한 형태로든 조직전환되어야 인증 사회적기업으로서 활동할 수 있다. 이러한 인증 사회적기업은 생존하기 위해 제도적 환경에 순응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기업의 제도적 환경에의 동형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한다. 즉 제도적 동형화가 자원획득에 필수적이라면, 제도적 동형화가 높을수록 조직은 높은 성과를 유지하게 된다는 가설이 설립되는데, 이에 대한 검증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표본은 정부로부터 인증을 받은 서울·경기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통계 폐키지 SPSS 20.0과 AMOS 20.0을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공분산 구조분석(covariance structure analysis)을 실시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강제적 동형화와 모방적 동형화는 조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규범적 동형화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강제적 동형화와 조직성과 간에 모방적 동형화는 매개역활을 하고 있으나 간접효과는 크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제까지 사회적기업의 일반적인 특징이나 현상 분석을 진행한 연구들이 많이 있으나 제도적인 관점에서의 분석은 많지 않다는 점에 주목하여, 제도적 동형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관계를 분석함으로서 제도주의 이론을 사회적기업에 도입하였다는데 의미를 갖는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stitutional isomorphism in social enterprise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stitutional theorists argue that institutionalized practices and procedures come to take on a rule-like status and function as powerful myths. Organizations are driven to incorporate the institutionalized practices and procedures and become to their institutional environment increase their legitimacy that makes acquisition of indispensable resource easier. This analyses tested a mediation model consisting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as the dependent variable, coercive isomorphism and normative isomorphism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mimetic isomorphism as the mediator. Sin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cannot be improved without the acquisition of resources, it is hypothesized that coercive, normative and mimetic isomorphism is positiv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data are gathered from social enterprises in the City of Seoul and Gyunggi-Do and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20.0. Results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 three major findings. First, coercive and mimetic isomorphism is positiv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 Second, normative isomorphism is not related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 Finally, mimetic isomorphism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coercive isomorphism. The results partially support the positive effects of institutional isomorphism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 KCI등재

        배출권거래제도의 선택과 동형화 메커니즘 연구

        김태은 ( Taeeun Kim ) 한국정책학회 2015 韓國政策學會報 Vol.24 No.2

        본 연구는 특정 제도의 선택과 동형화의 원인과 결과를 분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딜레마 상황은 제도의 선택을 제약하기 때문에, 딜레마 상황에 정합될 수 있는 제도,즉 ‘유연성’이 매우 큰 제도가 선택되어 동형화될 것이라는 ‘딜레마적 동형화’의 개념을 제시하고 동 개념을 통해 배출권거래제도의 선택과 동형화, 그리고 그에 따른 결과를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우리나라에서 EU의 배출권거래제도를 선택.모방한 이유는 ‘딜레마적 동형화’에 의해 이루어졌다. 온실가스 감축은 서로 다른 요구가 존재하는 딜레마 상황이었으며, 배출권 거래제도는 제도의 특성상 ‘유연성’이 매우 커 딜레마 상황에 정합될수 있었다. 즉, 제도에 요구하는 제도 환경(딜레마 상황)과 제도의 특성(유연성)간 정합성이 높기 때문에 선택과 모방이 진행되었다. 둘째, 딜레마적 동형화의 결과는 지연과 제도 완화, 법 목적과 원칙간, 그리고 시행체계내 두 가치의 혼재, 내용상 형식주의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동형화의 새로운 메커니즘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선택이 어려운 상황에서 왜 특정 제도가 선택되어 동형화되는지, 왜 실패한 제도가 선택되어 동형화되는지, 왜 개선된 제도가 선택되어 동형화되지 않는지를 하나의 설명렌즈로서 설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미를 지닌다. This study explains the process of selection and isomorphism of an institution and its consequence by identifying another type of isomorphism, ‘dilemmatic isomorphism.’ Research has shown that policy makers are constrained in their decisions regarding the selection of an institution in the context of a dilemma. Focusing on the situational constraint factors, this study conceptualizes a dilemmatic isomorphism as a mechanism where an institution with high levels of flexibility is selected and isomorphized to have a better fit with the policy dilemma situation. Through the case study, this paper illustrates how an emission trading system has been institutionalized in South Korea and analyzes the consequences of institutional isomorphism. Firstly, the analysis shows that adoption of EU-style emission trading system in South Korea is subjected to dilemmatic isomorphic pressures.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creates a policy dilemma situation where two competing and incompatible demands coexist. Given the features of policy tools, the emission trading system has high levels of flexibility to have greater fit to the policy dilemma situation. In other words, the fit between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i.e., dilemma) and th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 (i.e., flexibility) affects the selection and isomorphism of the emission trading system. Secondly, the research findings show that the dilemmatic isomorphism resulted in 1) delay and relaxation of institution, 2) coexistence of two competing values in laws, principles, and administrative systems, and 3) formalism of policy implementation. This study provides a theoretical implication that develops a ‘dilemmatic’ process as an alternative isomorphic process to explain institutional isomorphism.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e improvement and prediction the effects of emission trading systems.

      • KCI등재

        지역 스마트시티 정책의 제도적 동형화: 지역 스마트시티 계획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서형준,명승환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23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26 No.4

        While local governments have the main role of smart city polic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local smart city policy through institutional isomorphism, including coercive isomorphism, mimic isomorphism, and normative isomorphism. With the framework of institutional isomorphism, this study utilize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nd text mining on local smart city plan to reveal the current situation of isomorphism in local smart city. First, in terms of coercive isomorphism focusing on law and institution by central government, it analyzed smart city law, smart city comprehensive plan, and smart city certification. Second, in terms of mimic isomorphism focusing on imitation of smart city policy among local governments, it analyzed key success factors of smart city, the vision of the smart city, and the target goal of a smart city. Third, in terms of normative isomorphism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technical trends on smart cities as the professionalization, it analyzed the technical background of smart cities and smart city service. The result drew policy suggestions, including reflection of opinion by local government on smart city policy, classification and provision of smart city benchmarking cases for each capability and environment of local governments, and introduction of technology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of local governments. 본 연구는 스마트시티 정책 추진의 주체가 중앙정부에서 지방자치단체(지자체)로 전환되는 상황에서 지역 스마트시티 정책을 대표하는 지역 스마트시티 계획의 추진 현황을 제도적 동형화의 강압적 동형화, 모방적 동형화, 규범적 동형화에 따라 분석하였다. 제도적 동형화의 이론적 분석틀을 적용하여 질적 내용분석과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핵심 키워드 확인 등을 통해 동형화 현황을 확인하였다. 첫째, 강압적 동형화는 스마트시티 관련 중앙정부의 법・제도 등을 중심으로 스마트시티법, 스마트시티 종합계획, 스마트시티 인증제도 등을 확인하였다. 둘째, 모방적 동형화는 지자체 간의 스마트시티 정책의 모방적 행태를 확인하고자 스마트시티 핵심성공요인, 스마트시티 비전, 스마트시티 추진 목표 등 스마트시티 정책 추진의 방향성을 중심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규범적 동형화는 전문화에 해당하여, 스마트시티 관련 기술 동향의 영향을 중심으로 하여 스마트시티 기술환경, 스마트시티 서비스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확인하였다. 기술환경에서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인공지능, 클라우드 컴퓨팅 등의 지능정보기술의 주요 기술이 공통으로 언급되고, 이에 따른 스마트시티 정책의 구현화인 스마트시티 서비스에서도 관련 기술의 활용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분석틀에 따른 동형화 내용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시티 정책에 지자체의 의견이 반영되어야 한다. 둘째, 각 지자체의 역량과 환경에 맞는 스마트시티 사례에 대한 중앙정부의 선별 및 홍보이다. 셋째, 지자체의 현황에 따른 스마트시티 기술 도입 등이다.

      • KCI등재

        Still Organizational Isomorphism : Searching for an Alternative

        Myeonghwan Kim(金明煥) 한국정책과학학회 2010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4 No.4

        사회학 계열 신제도주의의 초기연구들은 조직 장안에 존재하는 개별조직들이 같은 제도라도 다르게 설계하고 운영함에 따라 나타나는 조직다형성을 설명하는데 한계를 노출하여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직동형성 대신에 다형성을 설명할 수 있는 개념적 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우선 조직동형성을 제도환경, 제도화 및 동형성의 유형과 동기를 중심으로 이론적으로 검토한 후 환경에 대한 개념화, 분석 수준 및 조직과 환경간의 관계 등 세 가지 차원에서 조직동형성 이론의 공헌과 한계를 분석하였다. 이어서 동형성 이론의 대안으로서 다형성을 설명하고자 복수제도논리, 조직위치 및 조직신념체계 등세 가지 맥락적 변수들로 구성되어 있는 통합적인 개념 틀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시된 틀이 지니는 함의와 한계에 대한 논의하였다. Early studies in the sociological stream of new institutionalism lacked considering in-field variation of why they had different institutional designs, which they operated in varying ways. In this context, this paper aims at suggesting a conceptual framework to account for organizational polymorphism rather than organizational isomorphism. The paper starts with theoretically discussing organizational isomorphism, and devotes to analyzing it in terms of three dimensions such as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environment, the level of analysi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s and the environment. And then the paper addresses som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organizational isomorphism. Based on the limitations, in particular, the paper critically reviews several studies as alternatives to organizational isomorphism. Finally, the paper proposes an integrative model of explaining organizational polymorphism as an alternative to organizational isomorphism in response to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which consists of such factors as multiple institutional logics, organizational positions, and organizational belief systems.

      • KCI등재

        제도적 동형화 관점에서 본 생활문화정책의 쟁점과 한계

        장우윤,김선영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2023 문화예술경영학연구 Vol.16 No.2

        This study analyzed the fundamental limitations and practical challenges confront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living cultural policy through the perspective of institutional isomorphism. Efforts to enforce the policy began in earnest after the Regional Culture Promotion Act was instituted. This study found the problems in and probed directions for the future implementation of the living cultural policy by examining the extant literature, analyzing local government ordinances, and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stakeholder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coercive isomorphism arising from institutional pressure and resource dependence most strongly affected the living cultural policy. Additionally, normative isomorphism emerged during the creation of living cultural centers; the Regional Culture and Development Agency provided guidelines and consultation regarding space management, the role of operators, and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rogram. Further, mimetic isomorphism was observed in information dissemination via networking with the local cultural foundation departments in charge of living culture projects and business-related persons. Regional isomorphism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living cultural policy can help the efficiency and stability of business operations. However, it could hinder the autonomy and diversity of business operation. Such isomorphism involving the living cultural policy appearing in a situation where the concept of living culture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may affect the scalability of projects and trigger decoupling phenomena, resulting in certain contents of projects being transformed or remaining unimplemented.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and customized support systems are now necessary to establish clear policy directions and materialize business-related content to effectively implement the living cultural policy. 본 연구는 지역문화진흥법 제정 이후 본격화된 생활문화 정책의 추진과정에서 나타난 근본적인 한계와 실행상의 쟁점을 제도적 동형화 이론으로 분석하고, 이에 따른 문제점과 향후 생활문화 정책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지자체 조례분석, 관계자 심층인터뷰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생활문화 정책은 제도적 압력과 자원의존에 따른 강제적 동형화가 가장 강하게 작동하였고, 생활문화센터 조성과정에서 공간 운영과 운영자의 역할, 프로그램 운영 전반에서 규범적 동형화가 나타났다. 또한 생활문화 사업을 담당하는 지역문화재단 추진 조직과 사업관계자들 간의 네트워킹 과정에서 정보를 공유하는 모방적 동형화 양상도 보였다. 이러한 생활문화 정책의 지역 동형화 경향은 사업 운영의 효율성과 안정성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사업의 자율성과 다양성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생활문화의 개념 정립이 채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나타난 동형화는 사업내용이 변형되거나 실행되지 않는 디커플링 현상을 야기하고 사업의 확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향도 나타났다. 생활문화 정책이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되기 위해 생활문화 진흥을 위한 명료한 정책 방향의 수립과 사업 내용을 구체화하기 위한 제도적 보완, 맞춤형 지원시스템이 필요한 시점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제도화에 관한 실증연구

        서울행정학회 2011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2 No.2

        <P>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institutionalization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through the new institutional perspective. For the empirical analysis, I rely on event history analysis(EHA). In recent years, multiculturalism has become taken-for-granted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have been rapidly diffused in a standardized way at the local level. According to new institutional theory, institutionalism is viewed as the social process by which individuals or organizations come to accept a shared definition of social reality for maintaining organizational legitimacy or survival. In particular, DiMaggio and Powell (1983) suggest three forms of institutional isomorphism which may operate in the process of obtaining organizational legitimacy: coercive isomorphism, mimetic isomorphism, and normative isomorphism. Thus, this article assumes that institutional isomorphism has served to expedite the institutionalization and legitimization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dditionally, internal sources within the organization also positively affect institutionalization through maintaining functional efficienc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coercive and normative isomorphism primarily influence institutionalization. Secondly, internal sources of organization partly affect institutional diffusion. The implication of these findings is that institutionalization occurs as a consequence of both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and strategic action of the agency itself.</P>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제도화에 관한 실증연구

        장석준(Jang Seok Jun) 서울행정학회 2011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institutionalization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through the new institutional perspective. For the empirical analysis, I rely on event history analysis(EHA). In recent years, multiculturalism has become taken-for-granted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have been rapidly diffused in a standardized way at the local level. According to new institutional theory, institutionalism is viewed as the social process by which individuals or organizations come to accept a shared definition of social reality for maintaining organizational legitimacy or survival. In particular, DiMaggio and Powell (1983) suggest three forms of institutional isomorphism which may operate in the process of obtaining organizational legitimacy: coercive isomorphism, mimetic isomorphism, and normative isomorphism. Thus, this article assumes that institutional isomorphism has served to expedite the institutionalization and legitimization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dditionally, internal sources within the organization also positively affect institutionalization through maintaining functional efficienc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coercive and normative isomorphism primarily influence institutionalization. Secondly, internal sources of organization partly affect institutional diffusion. The implication of these findings is that institutionalization occurs as a consequence of both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and strategic action of the agency itself.

      • KCI등재

        수렴인가? 이질동형상(isomorphism)인가?: EU, 미국, 중국의 데이터 프라이버시 법제 비교분석

        문용일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24 국제지역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EU와 미국, 중국의 데이터 프라이버시 법제화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세 지역의 법제에서 나타나는 제도적 유사성은 데이터 프라이버시가 시민의 기본권으로서 강조되는 권리중심적 접근의 내재화에 따른 결과가 아니라 본질적인 상이성을 내포하고 있는 제도적 이질동형상(isomorphism)이라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먼저 EU에서는 데이터 프라이버시가 기본권으로서의 지위를 확립하였기 때문에 데이터 프라이버시 관련 법제화 역시 시민의 기본권 보호의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미국에서는 헌법해석 등의 문제로 인해 데이터 프라이버시가 아직 기본권으로서의 지위를 확립하지 못한 상황에서 연방차원의 포괄적 개인정보보호법이 부재하는 등 조각보식 규제틀이 지속되면서 기업친화적 접근에 기반한 법제화가 추진되고 있다. 반면, 중국에서는 데이터 프라이버시 관련 법제화가 시민들의 권리보호를 위해 추진되기보다는 데이터주권원칙에 기반한 정부의 데이터 통치역량의 강화 및 기업에 대한 정부 통제의 정당성 강화를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세 지역의 데이터 프라이버시 법제화는 권리중심모델로의 수렴이 아닌 이질동형적 확산으로 보아야 한다. There is a high level of institutional similarity in data privacy legislation in the EU, US, and China. However, this research aims to clarify that the similarity results from institutional isomorphism rather than normative convergence. While EU’s GDPR legislates the protection of data privacy as a fundamental right, there is no federal-level comprehensive privacy law in the US. Despite a series of data privacy legislations at the state level, rights-based data privacy model like GDPR has not been internalized, partly because of the patchwork framework and partly due to the lack of normative status of data privacy right as a fundamental right. On the contrary, although China adopted and legislated strong privacy law in 2021 with many similar articles to GDPR, Chinese legislation of data privacy weaponizes data privacy rights to strengthen both the capacity and legitimacy of governmental control over data and the private-sector, including leading ICT companies. As a result, data privacy laws in the three region are very different in essence despite their institutional resembl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