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문적 통섭에 기초한 바우하우스 조형교육의 재조명

        윤민희(Min Hie Yu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4 No.4

        This study aims to represent the plastic arts education in Bauhaus as a scientific consilience. Consilience or the unity of knowledge, a book by Edward Wilson, in this book, Wilson attempt to explain the bridge of culture gap between the sciences and the humanities. Wilson`s assertion is that unite the sciences and unite the sciences with the humanities & arts. Like Wilson`s assertion in Consilience, the synthesis of knowledge from different specialized fields of human endeavor is also important in plastic arts education. Therefore, as a viewpoint of Wilson`s Consilience, Baubaus`s arts education was studied by today`s reflexion. The Esprit of Bauhaus has been reformational that it is regarded as a good model of art education in nowaday. Because it came out of it`s traditional concepts and began to deal with the modern plastic arts. Today`s reflection, of plastic arts education in Bauhaus as consilience, is very important to improve the students` ability to develop creative thinking, develop human nature and well-organized training system of arts. But, colleges of art & design in Korea are relatively lacking in this kind of studies and educational system. So, it is necessary to study on education system of plastic arts in point of interdisciplinary approach, multidisciplinary approach, transdisciplinary approach beyond the boundaries of studies. Through this study, those of the followings are analysed in details: 1) the necessity of consilience studies in plastic arts education, 2) the study of Bauhaus art education based on scientific consilience, 3) re-improvement & practical re-application for consilience in plastic arts education of Bauhaus. Today`s reflection, of plastic arts education in Bauhaus, will be a new educational paradigm in college of art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be actively utilized for policies of plastic arts education, developing educational system and structure of college of arts and liberal arts colleges for making new subjects.

      • KCI등재후보

        다원예술과 한국의 무용공연 -"창작 춤 집단 가관"사례를 중심으로

        윤지현 ( Ji Hyun Yoon ) 한국무용기록학회 2008 무용역사기록학 Vol.15 No.-

        이 글은 문화예술계에 유통 중인 다원예술이란 용어의 불안정성을 주목하고, 문헌조사와 현지조사 방법으로 용어의 실질적 개념에 접근하려는 소박한 목적에서 시작했다. 다원예술은 문화예술 지원정책에서 소외된 탈장르 및 복합장르의 실험성이 강조되고, 독립적 제작방식과 공공예술을 표방한 작품과 작가에 대한 정책지원을 위한 정책용어로 문화예술 현장에 유통되어 왔다. 그러나 2007년 국제다원예술축제가 해외의 다양한 다원예술 작품을 초청, 공개하며 학제적 예술(interdisciplinary arts)을 다원예술로 소개함에 따라 이 용어는 정책지원을 위한 현장용어이자 동시에 복합적이고 실험적인 새로운 예술경향을 아우르는 개념용어로 혼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나라 문화예술 현장에 유통 중인 다원예술의 개념과 해외 학제에서 명시하는 다원예술에 대한 자료를 수집, 정리함으로써 이 용어의 개념에 접근하고자 했다. 이렇게 마련된 다원예술의 개념 및 특징을 문화정책 기관으로부터 다원예술 지원을 받고 있는 ‘창작춤집단 가관’에 적용하여 현장에 유통 중인 다원예술의 개념과 인식을 살펴보았다. 현지참여관찰 및 심층면접이 실시된 창작춤 집단 ‘가관’에 대한 사례연구는 한국 예술계에 유통되는 다원예술의 개념을 일견하는데 유용했다. 다원예술의 핵심적인 특징으로 예술과 타 예술장르 및 타학문 분야와의 결합 ; 예술과 기술과의 결합 ; 사회운동으로서의 예술에 대한 각성을 제기할 수 있다. 우리 예술계에 유통되는 다원예술이 다매체, 다장르의 실험적 시도와 기존 장르로 분류할 수없는 비주류 예술과 독립적 제작 방식을 따르는 예술 등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정책용어인 반면 학제적 예술은 이 개념을 포함하는 동시에 새로운 효과나 가치의 창출을위한 매체나 장르간의 융합, 그리고 이러한 예술의 창작과 분석을 위한 학제적 협업으로 의미가 확대됨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attempts to evaluate various definitions of “interdisciplinary” art and investigate how this term has been perceived and used in the Korean context. With an in-depth case study of a creative dance group, “GaGwan,” we analyze both the dominant discourse of interdisciplinarity in arts policy and its creative appropriation in art practice. Multi-genre and multi-cultural trends in dance performances have been easily observed and these trends are getting increased and spreading widely. The development of electric technology and new media networks such as computer systems and films has also strong influence on the changes of dance performances themselves and environments which dance performances are produced. These require at this moment new standards for analysing and criticising these new sorts of dances. It is because we have difficulties to understand fully the dances including other art genres, high technological effects and social engagement of arts. In this context, the term ‘interdisciplinary art’ has been introduced for creating and understanding the new complex trends shown in dance performances. Interdisciplinary arts can be defined as multi-disciplinary art practices with characteristics of genre-crossing, integration of art and technology, and social engagement of art. With the concept of interdisciplinary art, we are going to be better to know the complex forms of dance. It will show us the way to analyze dances with cooperation of specialized knowledge of each academic discipline and aesthetic points of various art genres.

      • KCI등재

        예술중심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언

        권수미 한국음악교육학회 2012 음악교육연구 Vol.41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necessity and the developmental suggestion for developing a convergent educational program focused on the arts. This research evolved out of the recognition that the function of the arts in the 21st century is varying according to the technological progress. Furthermore, manpower policy is currently changing to educate convergent students who can cross the borderlines between different fields flexibly. One of the main goals of developing convergent educational program is to improve students'creative thinking abilities by integrating teaching materials from diverse areas of subjects. So far most of convergent educational programs such as STEAM program were developed focused only science, math, technology,engineering. Unfortunately, the arts were taken lightly as a simple tool to support the STE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area. Now it is necessary for music educators and art educators to research and to participate in developing convergent educational program focussed on arts. This research provides the concept of convergent education, the necessity of convergent educational program focusing on arts, and the suggestions for the applica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etc. Music & art educators need to participate actively in the convergent curriculum development as much as science and math teachers do. In addition, Music & art educators need to guide the direction for developing a convergent educational program focusing the arts and to elevate the quality of the public art education.

      • KCI등재

        진화하는 사운드 아트 (2부): 탈경계적 현대예술의 발전에 대한 궁리(窮理)

        이은영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0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6 No.2

        As the sound art field is keep growing and expanding, we shall contemplate from the sociology of the arts and cognitive science point of views to wisely accept and properly appreciate various artistic works and practices. It is because the value evaluation of new arts shall substantially involve analysis and inspections with considerations of today's complex environments, the creative productions, and the consumptions; because, such critiques are necessity for the advancement of new arts. This paper briefly introduces reasoning of including sociological analysis and criticism in evaluating sound arts beyond dichotomy of the fine arts and music fields. It also looks into changes and conditions of cultural arts grants and allowances of the interdisciplinary art genre in South Korea as it has been almost alone a playground for its domestic creative practices of the sound art. This paper is written in a hope to suggest some possible directions for future developments of these contemporary borderless and/or experimental arts. 사운드 아트 분야의 성장과 확장이 활발해질수록 우리는 다양한 예술적 작품들과 활동들을 현명하게 향유하고 적합하게 감상하기 위해 예술사회학적(sociology of the arts) 그리고 인지과학적 관점을 수용하여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 이유는 현 시대에서 창작되는 새로운 예술의 가치평가는 오늘날의 복잡한 환경, 예술 생산, 그리고 소비에 대한 분석과 검증을 바탕으로 평가와 비평을 되어야 하기 때문이며 이러한 평론이 신예술의 중흥을 위해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음악계과 미술계의 관점을 넘어서 사회학적으로 사운드 아트를 분석하고 비평하여야 하는 이유, 그리고 그동안 국내 사운드 아트 실천의 유일한 활동 무대였던 다원예술분야의 지원등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간략히 짚어서 앞으로 이러한 탈경계적(borderless)이거나 실험적인(experimental) 예술 분야의 발전을 위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국내대학의 인문, 사회 및 예술 간 융합교육의 활성화 방안 연구

        이희용(Lee, HeeYong),서민규(Seo, MinGyu),김재득(Kim, JaeDeuk) 한국문화융합학회 2016 문화와 융합 Vol.38 No.4

        This study aims to suggest how to promot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of Humanities, Social Sciences and Arts in Korean higher education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interdisciplinary education. For this we carried out the focus group interview(FGI) with the chosen specialists in the area of interdisciplinary study and education, and this goes with the delphi method research for the students and teachers of the universities to provide objective supporting data to the result of FGI. For the outcomes, this study suggest administrative, financial and teaching-learning ways how to promote th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in humanities, social sciences and arts. The researchers anticipate that this study will be an asset for the qualitative advancement of interdisciplinary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and hope to realize the outcome of this study with following research on the ideal cases of interdisciplinary education in near future. 본 연구는 국내 대학의 인문-사회-예술 간 융합교육의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그 문제점들을 지적하여 향후 융합교육이 활성화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융합교육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전문가집단 심층면담(FGI)을 실시하였으며, 또한 융합교육이 비교적 잘 진행되고 있다고 판단되는 대학의 학생들과 교수들을 대상으로 한 델파이 조사도 병행함으로써 FGI의 결과들에 보다 객관적인 기초 자료들을 확보하였다. 이러한 연구진행 과정의 결과로 본 연구는 융합교육 활성화의 방안으로 크게 행정적 측면, 재정적 측면, 교수-학습적 측면으로 분류하여 그 세부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제시하는 인문, 사회 및 예술 분야 융합교육의 활성화 방안들이 국내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융합교육의 질적 도약의 밑거름이 되길 바라며, 향후 융합교육의 모범사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한 융합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좀 더 현실화 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시장·향유·비평의 혼합: 2000-2011 현대미술 상황 연구

        강수미 미술사학연구회 2012 美術史學報 Vol.- No.38

        These days, we are aware that contemporary art since the 1960s is being changed beyond the conservative frame of Modernism. Now the contemporary art world has become more and more complex, with multiple fields for the communication between art and the public, and intends to pursue art as a kind of flexible, variable, interdisciplinary platform. There are some reasons, not only inside art, but also outside of it. According to J. Stallabrass "some of this change" in contemporary art "has been driven by art's internal concerns, some is a response to broader economic and political transformation." From this perspective, art and society are in a more complex and overlapping relationship to one another than ever before. This study aims to show that the current tendency of contemporary art is related to the global neoliberal economy. Especially,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problematic phenomenon in which creation, market matters, art service, pleasure and art criticism are mixed with one another. The gap between art creation and consumption seems to exist no longer. In the absence of objective judgments or aesthetic criteria, art criticism often gives ambiguous interpretations for contemporary art works that might be easily appropriated by the art market. Furthermore, as we shall see, globalization and popularization, to which the recent art world aspires, is encouraged not only by art itself but also by the state and by business.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structurally analysed the specific tendency of contemporary art that pursues globalism, multiplicity and interdisciplinary arts. We could argue that the art market has increasingly influenced contemporary art practice, yet that is not enough. In the last part of this study,I examined that art markets, for example, art fairs like Art Basel,ARCOmadrid and KIAF are now generating dominant types of art work and managing a consensus of opinion on art as a whole. They include quite a few experimental art works and organize a kind of discussive field for professionals of international contemporary art. Globalization has given birth to images of relational aesthetics, multiple culture, and interdisciplinary arts. Even so, the diversity of the global contemporary art world has turned out to be a new totalism. That is the main argument of this research. 1990년대 이후 현대미술의 특징은 복합적이고 다원적인 방향의 미술을 지속적으로 모색하며 전개된다는 데 있다. 그에 따라 이제 미술은 이질적인 행위자․영역․장과 네트워킹하고, 혼성을 도모하며, 협업을 적극화하는 일종의 ‘유연하고 가변적인 플랫폼’이 되었다. 외적으로는 우리 삶에서 다차원화하고 있는 매체 환경, 확장 및 복합화의 궤도를 달리고 있는 커뮤니케이션 조건이 현대미술의 그 같은 변화를 추동한 요인이다. 또 스텔라브라스가 정확히 지적했듯이 현대미술의 변화 중 어떤 요인은 예술의 내적 관심사에 따른 것이지만, 더 광범위하게는 글로벌리즘 시대 정치 경제적 변화에 대한 미술의 반응인 것이다. 이는 20세기 후반부터 현대미술이 미술 외적인 영역과의 단절이 아닌 적극적 관계 맺기, 다자간 혼성, 대중문화 지향, 다원성 등을 새로운 미술의 질서로 지향하고 내재화하는 데서 확인할 수 있는 사안이다. 본 연구는 이 같은 현대미술의 상황을 구조적으로 분석하고자 ‘시장․향유 ․비평의 혼합 양상’이라는 주제를 입안하고, 2000년을 전후로 최근 십여 년 사이 일어난 현대미술의 주요 경향과 사례를 검토한다. 하지만 논의에는 1990년대 말의 현대미술 상황이 중요한 시기로 포함되는데, 그 시기부터 현대미술의 내적-외적 구조가 바뀌었고, 세부적으로는 사람들의 미적 판단 및 취향, 미술에 대한 태도까지 재편됐기 때문이다. 주요 경향과 사례 연구는 한국현대미술/미술계의 상황과 비슷한 시기 국제 미술/미술계의 상황이 모두 포함되며, 양자는 교차 분석된다. 여기서 우리의 논쟁점은 동시대 미술의 유연하고 다자적인 관계성, 혼성과 다원화가 미술의 내용적 차원, 즉 창작 및 담론 차원에서 작품의 내용이나 비평적 의미로만 실행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현대미술의 열린 관계 지향과 다원성의 추구 이면에서는 과거 창작(생산)․비평(담론)․유통(시장)․향유(소비) 등으로 각 속성과 역할을 구분할 수 있었던 현대미술 내부의 분야들이 글로벌화, 다원화, 다양화의 이름 아래 혼종하면서 특성의 분별과 역할의 차별성을 상실해가는 현상이 만연하고 있다. 특히 각종 유통 체제/미술시장이 미술 생산 및 소비의 양적 차원뿐 아니라 질적 차원에 깊숙이 개입하고, 미술의 구체적 실체를 규정하는 양상이다. 이에 본고는 1990년대 이후 다원성과 상호작용을, 차이와 상호주체성을 강조하고, 글로벌 네트워크와 커뮤니케이션을 추구해온 현대미술이 실제로는 전 지구적으로 미술의 동질화를 초래하고, 자본주의 미술시장의 메커니즘에 수렴되는 문제적 양상에 있음을 재고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현대미술이 진정한 다양성과 다원성, 수평적 교류와 예술의 깊이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계기를 찾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다원예술 현황 및 발전 과제

        안현정 ( Hyun-jeong Ahn ),노엘라킴벌리정 ( Noella K. Chung ) 중앙대학교 예술문화연구원 2020 예술문화융합연구 Vol.12 No.-

        This study explores two main subjects: the first concern is current trends of interdisciplinary art after Millenials, the second is a link between using the untact communication system and interdisciplinary art, these issues are based on the question that “what is the directivity of art in this Post COVID-19 Era.” Interdisciplinary art continues to expand the idea of contemporary art which used to be strongly bound up with our daily life through as it transformed alternative art movement or surrounding cultures that left open new forms of creation and art for public. Also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helped dematerialization of art to change all process of art including media, genre, and communication into producing convergence art and project. The strength of untact/online communication because of COVID-19 changed art ecosystem from conventional time-space concept, it is promoting the diversity of communication mode and type of fusion art. The possibility of interactive communion combination of creation, exhibition and performance is because of the unlimited expansion using all the social media(smartphone, podcast, YouTube, and etc.). Thus, art in the Post COVID-19 Era must be discussed with interdisciplinary art contemporary art ecosystem will rephrase through diverse range of ideas and strategies for future.

      • KCI등재

        무용과 과학기술을 융합한 그룹 E.A.T.에 관한 연구 -머스 커닝햄, 스티브 팩스톤, 트리샤 브라운의 작품을 중심으로-

        조은숙,남선희 한국무용예술학회 2019 무용예술학연구 Vol.73 No.1

        Dancing has now com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where the ‘data about man and object is collected and utilized’. Increase of experimental art work of modern artists has created arts that cannot be included in previous category of art, and ‘interdisciplinary art’ has become an essential concept in contemporary art. E.A.T.(Experiments in Arts and Technology) founded in New York is a leading example of such experimental art work. Thus, this study aims to contemplate on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E.A.T., the interdisciplinary art group that pioneered the fusion of art and scientific technology, and analyze the art works of Merce Cunningham, Steve Paxton and Trisha Brown, the dancers who actively engaged in E.A.T. Through this, this study will be able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for improvement by facing the past and present of art of dancing within the genre of interdisciplinary art.

      • KCI등재

        프랙탈 기하학을 활용한 현대조형예술의 표현 가능성에 관한 연구

        윤민희(Min Hie Yu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4

        본 연구 목적은 자연·예술·디자인 영역에서 활용된 프랙탈 기하학의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현대조형예술에서 프랙탈 기하학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프랙탈 기하학은 프랙탈의 성질을 연구하는 수학의 한 분야로 오늘날 과학·공학·컴퓨터예술 등에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프랙탈(Fractal)이라는 용어는 1975년 수학자 만델브로트(Benoit B. Mandelbrot) 가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구름·산·번개·난류·해안선·나뭇가지 등의 자연계에서 자주 발견되는 프랙탈 기하학은 예술의 영역에서 새로운 조형패턴 표현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조형예술 영역에서 프랙탈 기하학에 근거한 연구는 예술과 수학의 연관성, 학제간 연구에 바탕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첫째, 이론적 배경으로 프랙탈 기하학의 형태 특성 및 원리를 연구하며, 둘째 프랙탈 기하학을 활용한 현대예술과 디자인의 사례연구를 한다. 셋째, 프랙탈 기하학을 활용한 현대예술의 다양한 표현 가능성을 연구한다. 프랙탈의 기하학을 적용한 많은 조형예술 작품들의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표현 가능성을 기대할수 있다. 특히 21세기의 뉴미디어인 컴퓨터의 표현을 통하여 프랙탈 기하학은 디지털 아트(Digital Art)로서의 ``프랙탈 아트(Fractal Art)``라는 새로운 예술영역을 탄생시켰다. 프랙탈 기하학을 활용한 조형예술 영역의 다양한 표현 가능성에 관한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의 "과학의 예술, 예술의 과학"이란 측면의 예술과 수학의 학제간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왜냐하면 프랙탈 기하학은 수학과 예술에서 가장 대표적인 양식이기 때문이다. 궁극적으로 예술·디자인영역에서 프랙탈 기하학을 활용한 표현은 창의적 사고를 위한 예술가의 능력을 향상시키고 아이디어 발상을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applicability of fractal geometry in modern formative arts through case studies on fractal geometry practiced in the field of nature, arts, and design. Fractal geometry, a branch of mathematics which studies the nature of fractal, is being actively applied in science, engineering, computer art, and so on. The term fractal was first used in 1975 by a French mathematician Benoit B. Mandelbrot. It further gives representable formative patterns in the realm of art, often found in nature such as clouds, mountains, lightning, turbulence, coastlines, branches, etc. The study of fractal geometry in plastic art is based on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 between art and mathematics. This study is organized as follows: ① characteristics and principles of fractal geometry within its theoretical background, ② case studies on fractal geometry in art and design, ③ diverse expressional applicability of modern art through fractal geometry. Through case study on formative artworks with its fractal geometry applied, possibility on various ways of expressions can be expected. Particularly, with the advent of computer utilization in the 21st century, fractal geometry has created a new area of fractal art as a form of digital art. This study on various expressional ways of plastic art through fractal geometry puts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art-and-math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the aspects of art of science and the science of art in the digital age; and fractal geometry continues to be one of the representative patterns in mathematics and art. Ultimately, fractal geometry in art and design has its significance for its potential improvement of creative thinking, as well as development of training system of idea conception of artists.

      • KCI등재

        A Case Study on Interdisciplinary Arts Performance Using Unreal Engine and Motion Capture Technology

        김준형,조옥희,김형기 (사)한국컴퓨터게임학회 2023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Vol.36 No.2

        The increasing prevalence of the convergence of art and technology in the field of media art and performing arts has led to a rise in the number of performances that incorporate real-time interaction technologies, such as game engines and visual interaction technologi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examine the integration of these technologies in multi-art performances,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non-verbal communication and real-time audience engagement. By exploring and analyzing the attempts and movements made in these performances, this research seeks to expand the scope of art performances that combine media art and real-time interaction, not only in media art but also in the broader fields of performing arts and multiple a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