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터넷 포털사이트 서비스의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신호영 ( Ho Young Shin ),김기수 ( Ki Su Kim )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010 情報시스템硏究 Vol.19 No.3

        Portal sites have been providing diverse services to attract new users and retain existing customers. Recently, they also added new services and increased quality of the services they provide to secure more customers. It is, however, not clear how people actually react to such activities. We wanted to understand the mechanism associated with users` continued usage intention of current Portal site. We assumed search, e-mail, information, community, e-commerce services as key services provided by most Portal sites and considered valuable by many customers. The quality of these services may directly affect users` continued usage intention. However, we can also assume that attractive alternatives and switching cost may have some influence on users` continued usage intention. Therefore, in this study, key variables pertaining to the quality of key services provided by Portal sites, attractive alternatives, and switching cost were examined to explain the dynamics of users` continued usage intention. An empirical study based on 891 survey responses showed the importance of the quality of key services for users` continued usage intention. Switching cost also demonstrated strong association with users` continued usage intention. However, attractive alternatives did not show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users` continued usage intention. We also found that the variable attractive alternative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search service and users` continued usage inten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information service and users` continued usage intention. On the other hand, the variable switching cost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e-mail service and users` continued usage inten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community service and users` continued usage intention. This study implies that Portal sites need to make efforts not only to improve the quality of key services but also to consider attractiveness of other Portal sites` services and switching cost to secure more customers.

      • KCI등재

        국내항공사 SNS 마케팅속성이 지속이용의도와 정보공유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브랜드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전애은,정민주 한국항공경영학회 2019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7 No.5

        Social networking service have increasingly become more powerful channel for marketing communication in commercial aviation industry. In the fiercely competitive market conditions, SNS marketing is highly regarded as an effective way for promoting airline brand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of the airlines’ SNS marketing attributes, brand attitude, continuous usage intention and information sharing intention. The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283 users of airlines’ SNSs and 221 users’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version 20.0 and AMOS 22.0.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ultimedia of SNS marketing attributes were positively effected to users’ continuous usage intention and information sharing intention. Second, informativeness and multimedia were positively effected to brand attitude. Third, brand attitude was positively effected to continuous usage intention and information sharing intention. Finally, the mediating role of users’ brand attitude between informativeness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and between informativeness and information sharing intention were partially supported. These results help understanding the mechanism of stimulating users’ continuous usage intention and information sharing intention in airlines’ SNSs. Also,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eveloping and utilizing multimedia contents in creative manner on social network sites assist airlines to promote their brands effectively. Namely, quality contents on SNS would enable airlines to reinforce SNS users’ willingness to share information with others and intensify the long term relationship between SNS users and airlines from the differentiated SNS marketing strategies and establishment of positive brand reputation. SNS는 실시간 정보 공유와 광범위한 네트워크 형성으로 인해 치열한 항공산업에서 점점 더 중요한마케팅 채널로 각광받고 있다. 또한 고객과의 친밀한 관계구축과 항공사 브랜드 홍보를 위한 매우 효과적인 수단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항공사의 SNS 마케팅 활동이 고객의 지속이용의도와 정보공유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국내항공사 SNS 이용자 28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가운데 221명의 자료를 SPSS 20.0과 AMOS 22.0을 이용해분석에 사용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SNS 마케팅속성 가운데 멀티미디어성은 고객의 지속이용의도와 정보공유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정보제공성과 멀티미디어성은 브랜드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브랜드태도는 지속이용의도와 정보공유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리고 브랜드태도는 정보제공성과 지속이용의도간의 관계, 그리고 정보제공성과 정보공유의도와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를 통해 항공사의 SNS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활동은 항공사 브랜드에 대한 고객의 태도와 인식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밝혀졌으며 이를 통해 고객과의 장기적인 관계유지 및 원활한 소통과 정보공유를 도모할 수 있다는것을 알 수 있다. 특히 SNS마케팅의 멀티미디어성이 항공사 브랜드에 대한 고객의 호감도와 참여행동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연구결과를 통해 급변하는 항공산업 환경에서 소셜미디어의 확산 및 변화하는 고객의 니즈에 적절하고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한 효과적이고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사이버머니 품질과 이용의도간의 관련성: 사이버머니 이용빈도와 이용규모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윤종수(Jongsoo Yoon)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4 No.5

        While there have been a lots of studies on the use of cyber money, few researches proposed the results on relationships among quality factors, usage intention, and usage characteristics of cyber money in online business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cyber money quality and usage intention of cyber money, and examines whether the usage characteristics(frequency, amount) of cyber money has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 money quality and usage intention of cyber money. First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ells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and emotional factors of cyber money quality and usage intention of cyber money. Secondly, dummy regression analysis shows usage characteristics of cyber money has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 money quality and usage intention of cyber money. This paper concludes with some implications for both theory development and cyber money practice.

      • KCI등재

        온라인 중고의류 쇼핑의 소비가치가 구매제품의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성별 및 연령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현숙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4

        최근 십여 년간 중고의류 시장의 규모는 꾸준히 증가해 왔으며 이는 전 세계적인 현상으로 온라인 쇼핑을 통해 더욱 확대되고 있다. 중고의류 시장의 활성화가 친환경적인 측면에서 지속 가능한 소비로서 의미를 가지며, 쉽게 사서 쉽게 버리는 또 다른 형태의 물질적 소비가 되지 않기 위해서는 의복 소비의 순환사이클 전체에서 중고의류 소비를 조명해야 할 것이다. 구매한 제품을 오래도록 사용하는 것은 의복의 소비 순환 사이클에서 소비단계에 머무는 시간을 늘리고 처분 및 폐기를 지연시켜 지속 가능한 소비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선행연구에서 중고의류의 소비에많은 관심을 가져왔으나 일단 구매한 중고의류의 지속 가능한 소비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며 중고의류 제품의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밝히는 것은 중고의류 소비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데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본 연구의 범위는 선행연구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온라인 중고의류 소비가치와 구매 의복의 지속사용의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모델과 가설을 설정하고 성별과연령의 조절 효과를 실증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중고의류 연구 분야의 기초 이론을 세우고 지속 가능한 소비를 유도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가설검증을 위해 설문지 법을 사용하여일년 이내에 온라인으로 중고의류를 구매한 적이 있는 20대와 30대 소비자 31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응답은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델로 SPSS 21.0 과 AMOS 23,0 을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중고의류 쇼핑의 소비가치가 구매제품의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연구가설을 세우고 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첫째, 온라인 중고의류 쇼핑의 소비가치는 구매제품의 지속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줄 것이다. 둘째, 성별은온라인 중고의류 쇼핑의 소비가치는 구매제품의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조절 효과를 나타낼 것이다. 셋째, 20대와 30대 소비자는 온라인 중고의류 쇼핑의 소비가치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조절효과를 나타낼 것이다. 연구결과 차별적 가치, 사회적 가치, 환경적 가치가지속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조절 효과로여성이 남성보다 환경적 가치의 영향력을 크게 받았으며, 20대가 30대보다 기능적 가치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순환 패션의 관점에서 중고의류 소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향후 지속 가능한 소비를 촉진하기 위한 전략적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recent decades, the market size of secondhand clothes has steadily increased, that is a global phenomenon which is further expanding through online shopping. In order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secondhand clothing market to be meaningful in the context of sustainable consumption and eco-friendliness and not to be another form of material consumption that is easily bought and discard, it is necessary to illuminate it in the context of overall cycle of clothing consumption. Continuance usage of purchased items in clothing consumption cycle will increase the garment usage span and delay disposal time and it will enhance sustainable consumption. While previous research has drawn much attention to the motives and behaviors of secondhand clothing consumption, little attention has given to identify sustainable usage of purchased secondhand clothes. Investigating the influencing factors on continuance usage intention of secondhand clothes will give necessary information on enhancing sustainability of secondhand clothing consumption. The scope of this study includes to establish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abou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onsumption value of secondhand clothes shopping online and continuance usage intention of purchased items based on existing research, and to test moderating effect of gender and age. This will contribute to bridge the theoretical gaps in secondhand clothing consumption research and to offer information on leading sustainable consumption. As research method, in order to test hypothesis, a survey was conducted on 315 consumers aged 20’s and 30’s who had experiences in purchasing secondhand clothes online within one year. The responses were statistically test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SPSS 21.0 and AMOS 23.0.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sumption value of shopping secondhand clothes online on continuance usage intention of purchased item. The research hypotheses were established based on review of literature as follows and statistically tested. Firstly, consumption value of shopping secondhand clothes online will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continuance usage intention of purchased item. Secondly, gender has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of consumption value of shopping secondhand clothes online and continuance usage intention. Thirdly, age group of 20’s and 30’s groups has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of consumption value of shopping secondhand clothes online and continuance usage intention. As a result, distinct value, social value, and environmental value has significant effect on continuance usage inten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and age was demonstrated such that environmental value has more influence for women than men and functional value does for the 20’s than the 30’s. The results help understand secondhand clothes consumption in the context of circular fashion and the strategic suggestions are offered to promote sustainable consumption in fashion industry.

      • KCI등재

        시니어 공동주택의 선택속성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브랜드 신뢰와 기업 이미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송희,이형주,윤성준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20 고객만족경영연구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selection attributes of senior cohousing on the usage intention and the mediating role of brand trust and corporate image, and to verify whether psychological distance plays a role of moderating between the selection attributes of senior cohousing and the usage intention.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based on prior research, this study was conducted on men and women of middle age or older who were interested in senior cohous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metropolitan cities. The survey period was from October 10 to November 30, 2017, and only 402 copies were distributed and used for analysis as valid data,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SPSS 24.0.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edical services and community spaces among the factors of selection attributes of senior cohousing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intention to use them. Second, brand trust was found to play a role of mediating between medical service and usage intention. Third, corporate image was found to play a role of mediating between medical services and usage intention, between community space and usage intention. Fourth, corporate image has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brand trust. Fifth, psychological distance was found to play a role of moderating between the location and usage intention, between the supporting service of the living convenience and usage intention. Through this study, we believe that we will be able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attributes of selection of consumers who want to use senior cohousing and provide useful data for establishing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ies for companies through brand trust or corporate image. It will also help to find ways to revitalize senior cohousing by analyzing their effects on their intention to use them through psychological distance. 본 연구의 목적은 시니어 공동주택의 선택속성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과 브랜드 신뢰와 기업 이미지의 매개역할에 대해서 살펴보고, 심리적 거리감이 시니어 공동주택의 선택속성과 이용의도 간에 조절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도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도권과 광역도시를 중심으로 시니어 공동주택에 관심이 있는 중년층 이상의 남녀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기간은 2017년 10월10일부터 11월30일 까지이며, 500부를 배포하여 402부만이 유효자료로 분석에 활용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니어 공동주택의 선택속성 요인 중 의료서비스와 공동체 공간이 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 신뢰는 시니어 공동주택 선택속성 중 의료서비스와 이용의도 간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이미지는 시니어 공동주택 선택속성 중 의료서비스, 공동체 공간과 이용의도 간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업 이미지가 브랜드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심리적 거리감은 시니어 공동주택 선택속성 중 입지와 이용의도, 생활편의 지원 서비스와 이용의도 간에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시니어 공동주택을 이용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선택속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브랜드 신뢰나 기업 이미지를 통해 기업의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방안 수립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또한 시니어 공동주택에 대한 심리적 거리감을 통해 이용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시니어 공동주택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e-스포츠제품의 고객기대, 고객체험, 지각된 가치와 사용만족도 및 지속사용의도의 구조적 관계: LOL을 중심으로

        취페이페이(Qu, Pei-pei),김용만(Kim, Yong-Man) 한국사회체육학회 2021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 No.86

        Purpose: This research aims to enhance usage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usage intention by proving a structured relationship of the e-Sports product’s customer expectation, customer experience, perceived value usage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usage intention. Method: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the League of Legends’s Chinese users, and the user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1, 2020 to August 31, 2020. The data of 459 users were utilized in the final analysis.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conducted utilizing AMOS 24.0.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roduct-level expectation and service-level expectation had affected customer experience, but company-level expectation did not affect customer experience. Second, customer expectation did not have an effect on the perceived value of the customer. Third, company-level expectation had an effect on usage satisfaction, but service-level expectation and product-level expectation did not have effects on usage satisfaction. Fourth, customer experi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value and usage satisfaction. Fifth, perceived values had a positive effect on usage satisfaction. Sixth, usage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of continuance usage intention. Conclusion: Comprehensiv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expectation and experience of e-Sports product users and the perceived value affect each other, affect user usage satisfaction, and ultimately affect users’ continuance usage intention. Therefore, e-Sports product companies will have to reasonably control users’ expectations, enhancing the customer experience and perceived value of e-Sports product users so that they can increase their usage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usage intention.

      • KCI등재

        소비자가 지각한 제품사용상황이 하이테크제품 교체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

        이현민 ( Hyun Min Lee ),이완수 ( Wan Soo Lee ),황미진 ( Mee Jin Whang ),황용희 ( Yong Hee Hwang ) 한국소비자학회 2011 소비자학연구 Vol.22 No.3

        기업 간 경쟁 심화와 소비자들의 교체구매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성숙기 하이테크 제품 시장은 소비자의 사용경험이 교체구매의향을 형성하는 영향관계의 규명을 통한 대고객 전략의 제안이 중요한 시기이다. 본 연구는 하이테크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교체구매의향이 소비자의 지각된 제품사용상황(perceived product-usage situation)에서 발현되어 제품속성 중요도 및 소비자 추구편익간의 조절적 관계를 통해 형성됨을 검증하였다. Fennell(1978)의 제안을 토대로, 첫째 소비자에게 지각된 제품사용상황을 제품관련 문제점이 지각된 사용상황(perceived situation of the product-related problems)과 심리적 욕구불만이 지각된 사용상황(perceived situation of the psychological frustration)의 두 차원으로 구성하고, 둘째 각각의 문제 상황이 특정 제품속성 중요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하였으며, 셋째 소비자의 교체구매의향 유발에 영향을 미치는 제품 속성이 무엇인지를 구조방정식 모형에 근거하여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하이테크 제품에 있어 소비자가 지각하는 제품사용상황 중, 첫째 제품관련 문제를 지각한 상황은 디자인, 브랜드, 주기능, 부가기능의 제품속성 중요도 평가를 증가시키며, 특히 주기능과 디자인, 브랜드 중요도는 교체구매의향으로 연계됨을 확인하였다. 둘째, 심리적 욕구불만을 지각한 상황은 제품의 디자인과 브랜드 속성중요도를 각각 증가시키며, 이중 브랜드 속성중요도가 교체구매의향을 증가시킴을 규명하였다. 또한 지각한 제품사용상황이 제품속성 중요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은 소비자가 추구하는 편익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기존의 사용상황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제품관련 문제 상황과 심리적 욕구 불만 지각상황이 소비자의 교체구매의향 형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함으로써 향후 교체구매 행동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는 탐색적 연구로서 의의를 지닌다. 또한 기업의 하이테크 신제품 개발 전략 수립시, 소비자의 교체구매의향 발현을 위한 제품 컨셉 설정 및 마케팅 전략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Intense competition among companies and replacement purchasing for consumers are features of a mature high-tech product market. Currently, suggestions for consumer strategy from investigat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experience and the formation of replacement purchase intention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Consumers` perception of product-usage situation illicits a desire to purchase products and creates buying motives. It is important since it decides the direction in choosing a product(Fennell 1978). In the maturity phase of the hi-tech product market, the required time for consumers to understand products and to determine purchase intention becomes shorter. Amid the severe competition in the market, companies are required to establish consumer-attracting strategies by understanding perceived product-usage situations and by investigating how perceived product-usage situations lead to the formation of replacement purchase intentions. Consumers will make after-use evaluation of products. Then, the product-usage situation is expected to serve as a constraint, helping consumers to find countermeasures and narrowing down the criteria of the consumer`s decision(Bransford and McCarrell 1974; Ratneshwar and Shocker 1991). Moreover, consumers assess future choice alternatives based on the consumption cycle from purchase to use. The perception of product-usage situation assists consumers to select appropriate alternative products by inducing the retrieval process and reminding consumers of the measures they already know of. The perception of product-usage situation defines the range of alternatives and thus, serves as a frame for problem solving, which help consumers to find the benefits of a product they seek(Warlop and Ratneshwar 1993). In this respect, consumers` after-use product evaluation can be one of the important motives for the formation of replacement purchase intention along with the product-usage situation (Gardial, Clemons, Woodruff, Schumann, and Burns 1994). Especially, the situations subjectively perceived by consumers can be major factors affecting decision-making and other consumer behaviors(Kakkar and Lutz 1975). In this regard, the problems and complaints that consumers have during the use of hi-tech products will definitely influence after-use evaluation and the formation of replacement of purchase intentions. Therefore, verification of the aforementioned relationship is expected to bring to light new strategic points for further discussion. In addition, based on the means-ends chain model that expl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ults of product use and buying intention(Woodruff 1997), replacement purchase intention is assumed to be derived from the product-usage situation where consumers constantly try to perceive the results from the use of the product and from the process of re-evaluating the features of the product. This study verifies that consumer purchasing intention for product replacement of high-tech products is manifested by the perceived product usage and formed by mode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ortant product attributes and the benefits sought by the consum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replacement purchase intention based on the meansends chain model, a mechanism that explains how consumers` after-use evaluation of product features is connected to the replacement purchase intention in consecutive buying decisions. An empirical analysis verified that, in perceived product-usage situations, replacement purchase intention is formed by the customers` evaluation with much importance placed on the features that they particularly hope to acquire from the product. Fennell(1978) suggested that, first, two perceived product use situations were created as the perceived situation of product related problems and the perceived situation of psychological frustration. Second, the affect of the problem situation on the evaluation of importance of product attributes was conducted. Third, the product attributes that affect intention for replacement purchase were investigated based on structural equation models. Our results showed that for high-tech products, from the perceived product use situations that are perceived with product related problems increased the importance of design, brand, main function, and additional functions in product attribute evaluation. It was confirmed that main function, design, and brand importance led to replacement purchase intention. In perceived situations of psychological frustration, the importance of design and brand attributes increased, and identified with brand attribute importance was increased by intentions of replacement purchase.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perceived usage situation on product attribute importance evaluation indicated a difference from the benefits pursued by consumer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e identification of the affectiv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related problems and those psychologically frustrating situations caused by replacement purchase intention of consumers. This has not been addressed by existing product usage research. An empirical analysis verified that, in perceived product-usage situations, replacement purchase intention is formed by the customers` evaluation with much importance placed on the features that they particularly hope to acquire from the product.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hat it sheds new light on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product features when analyzing replacement purchase intentions. Re-evaluation of the importance level of the product features was confirmed to be one of the factors explaining the motive behind the replacement purchase intention. In addition, the perceived product-usage situation was confirmed to be an influential variable in the evaluation of the importance level of the product features. Product features were the main motive in the process of making a replacement purchase decision, which has not been studied to date. This study examined perceived product-usage situations where consumers used high-tech products and perceived the results from the use of the product. The situations were broken down into a functional one and psychological one.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discrepancy in the psychological part of a situa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valua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product features just as the functional part also did. Of note,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influence from the strengthened moderating effect, which is one of the sought variables for the subjective benefits that is caused by the individual differences between consumers. The moderating effect was observed to influence the perceived situation of psychological frustration about brand image for products. The moderating effect was also found to influence the perceived situation of product-related problems on the importance of the main function of produ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sought variables for the subjective benefits, which is caused by differences between situations and consumers, have more influence on a consumer`s behavior than the independent influence of the situation. The reason is that the consumers` behaviors constantly change according to the situations(Belk 1974; Dickson 1982; Quester and Smart 1998). Our research is meaningful as an explorative study to provide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on consumer replacement purchase behavior. In addition, our study suggests better product concepts and marketing strategy directions to induce consumer replacement purchase intentions and for companies seeking to establish development strategies for new high-tech products.

      • KCI등재

        스마트폰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용자 경험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녕셜 ( Xue Ning ),김기수 ( Ki Su Kim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2 유라시아연구 Vol.9 No.4

        스마트폰은 모바일폰의 새로운 세대로 유비쿼트스 컴퓨팅 기술의 좋은 예이다. 스마트폰을 사용해서 사용자들은 편리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인터페이스로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사용자들은 또한 단순한 전화나 문자 메시지보다 더 효율적인 방식으로 친구들과 연결하고 소통할 수 있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우수한 성능의 하드웨어와 다양한 소프트웨어의 개발로 스마트폰은 업무나 오락 등 다양한 분야를 지원하고 있다 (Charlesworth, 2009). Verkasalo 등(2010)은 스마트폰은 단순한 모바 일폰으로 뿐만 아니라 손안에 들어가는 컴퓨터로 사용될 수 있는 기기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또한 스마 트폰을 통제하는 것은 이제 기기가 아니라 사용자라고 주장하고 있다. 사용자들이 스마트폰과 상호작용할 때 그들의 스마폰 사용 경험은 그 상호작용으로부터 나온다. Goto는 사용자경험(user experience; UX)을 “어떤 기업이나, 서비스 또는 제품에 대해 개인이 가지고 있는 전반적인 인식이나 포괄적인 상호작용”으로 정의하였다 (Wang et. al. 2008). 경험은 사람의 마음에 존재하는 사람과 세상 사이의 눈에 보이지 않는 상호작용 과정이고, 새로운 상호작용들에 의해 유발된다. 이들 상호작용은 육체적, 감각적, 인지적, 감정적, 그리고 미적과 같은 다양한 경험들을 만들어낸다 (Davis, 1992). 이와 같은 관점에서 스마트폰 사용 후 그 기능들에 대한 사용자들의 경험과 사용자들의 사회적 경험은 스마트폰의 지속적 사용에 대한 의사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스마트폰 사용자 수의 증가와 다양한 스마트폰 제조기업과 서비스제공 기업들 사이의 경쟁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스마트폰의 지속적 사용의도를 지배하는 요인들과 그들의 역학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스마트폰 이용과 관련한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효율적 인터페이스의 개발, 사용 가능한 시스템의 개발, 그리고 관련 기술의 개발과 같이 사용자의 심리적인 관점에 대해 연구하기보다는 스마트폰 자체의 기능에 더 초점을 맞추었다 (Lin and Ye, 2009; Abowd et. al., 2005; Verstockt et. al., 2009). 반면, 지난 몇 년간 사용자 경험에 대한 포괄적인 이론과 연구의 틀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Swallow et. al., 2005; Deng and Li, 2008; Wang et. al. 2008; Oza et. al. 2010). 사람들은 스마트폰 이용에 점점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의 스마트폰 사용겸험이 그들의 스마트폰에 대한 지속적 사용의도를 도출하는데 사용자들이 경험하는 인지과정에 핵심요소가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이론적 기반 위에 선행연구들과는 다르게 스미트폰의 지속적 사용의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자경험이라는 개념을 선행변수로 사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태도와 행위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자경험에 초점을 맞추었다. 사용자경험은 기능적 경험과 사회적 경험 두 가지 관점으로 표현하였다. 기능적 경험에는 이용가능성(usability)과 보안성(security) 그리고 사회적 경험에는 사회성(sociability)과 사회적 주체성(social identity)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사용자경험 요인들을 선행변수로 스마폰의 지속적 이용의도를 결과변수로 하고, 두 변수를 매개변수로 하는 하나의 인과관계(causal)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인지된 즐거움(perceived enjoyment: PE)과 인지된 유용성(perceived usefulness: PU)을 선행변수인 사용자경험 요인들과 스마트폰의 지속적 이용의도 사이의 매개변수로 고려하였다. 그 이유는 최근 스마트폰은 업무를 위한 기능적 목적뿐만 아니라 오락이나 사회적 관계(형성)을 위해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PU와 PE가 스마트폰의 지속적 이용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판단 때문이다. 이 연구모형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다양한 스마트폰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행하였다. 실증연구 결과 기능적 경험과 사회적 경험 모두 인지된 유용성 또는 인지된 즐거움을 통해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능적 경험 가운데 이용가능성 요인과 사회적 경험 가운데 사회성 요인은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즐거움 모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능적 경험 가운데 보안성은 인지된 즐거움에만, 사회적 경험 가운데 사회적 주체성은 인지된 유용성에만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인지된 즐거움은 인지된 유용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즐거움 모두 지속적 사용의도에 유의한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마트폰의 지속적 사용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사용자들의 기능적 경험 가운데 이용가능성과 사회적 경험 가운데 사회성을 높임으로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즐거움을 높이려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면에서 학술적이고 실무적인 기여를 했다고 할 수 있다. 첫째, 스마트폰의 지속적인 이용의도를 설명하기 위해 지금까지 경영정보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새로운 개념인 사용자경험이란 개념을 사용했다는 점이다. 나아가서 여러 사용자경험 요인들 가운데 스마트폰의 특성을 고려해서 기능적 경험과 사회적 경험 요인들을 고려했다. 또한 본 논문은 스마트폰의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용자경험 요인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들 요인들이 어떠한 역학관계로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 치는 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스마트폰 서비스 제공자들에게 유용한 실무적 정보를 제공해 준다. 그러나 본 연구에는 몇 가지 한계가 있다. 우선 사용자경험은 아주 방대한 개념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단지 그 일부만 다루었다. 사용자경험의 다른 측면들은 추후 연구들에서 지속적으로 다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사용자경험의 다양한 측면들을 고려하여 사용자경험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 가 추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 포함된 실증 자료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대학생들이 포 함되어 있어 분석결과를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본 연구가 시행될 때에는 대학생이외 스 마트폰을 사용하는 다른 그룹의 사람들 수가 많지 않아서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대학생이 표본에 포함 되었으나 추후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 서는 한국의 스마트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기 때문에 문화 및 다른 환경의 차이에 따른 편향성(bias)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국가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하거나 국가별 비교분석도 가능할 것이다. Smartphone is a new generation of mobile phones and it is a good example of ubiquitous computing technology. Users can surf the internet anytime and anywhere through the easy touch-screen interface. Also users can connect with their friends in more efficient ways than calling or texting messages. Besides, its prominent hardware and software support all kinds of applications for work and entertainment (Charlesworth, 2009). Verkasalo et al. (2010) pointed that Smartphone is a device that can be used as a mobile phone as well as a handheld computer, they also argued that it is the user rather than the device who controls the Smartphone. When users interact with Smartphone, their experience of using Smartphone is derived from such interactions. Goto, K. defines User Experience (UX) as "the overall perception and comprehensive interaction an individual has with a company, service or product" (Wang et al., 2008). Experience is an intangible process of interaction between people and the world that exists in humans`` minds and is triggered by new interactions. These may create different types of experiences such as physical, sensual, cognitive, emotional, and aesthetic (Davis, 1992). From this aspect, after using Smartphone, users`` experience on the functions of it and their social experiences with it might be very important in decid- ing if they continue to use Smartphones. Given the growth of the number of Smartphone users and the competition among Smartphone manufacturers and service provider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dynamics that govern the continued usage intention of Smartphone. However, previous researches on this topic have mostly focused on problems such as creating efficient interfaces, developing usable systems, and establishing technologies, which paid more attention to the facet of functions of the Smartphone itself rather than studying from users`` psychological perspective (Lin and Ye, 2009; Abowd et al., 2005; Verstockt et al., 2009). On the other hand, over the last few years there have been various attempts to provide a comprehensive theory or framework of user experience (Swallow et al., 2005; Wang et al., 2008; Oza et al., 2010; Deng and Li, 2008). Since people spend more and more time with Smartphones, the experience users have with Smartphones is likely to be a key factor in the cognitive process users experience in developing their continued usage intention. Upon this basis, in contrast to previous researches, we employ the concept of User Experience (UX) as the antecedents in this study to explain the continued usage intention of Smartphone,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users`` experience to assess their further attitudes and behaviors. Users’ experience is represented in two aspects, one is functional experience which includes usability and security, and the other is social experience which includes sociability and social identity. A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to conceptualiz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UX factors as antecedent variables and continued usage intention of Smartphons as consequent variables with two intermediary variables. Specifically, we considered perceived enjoyment (PE) and perceived usefulness (PU) as mediating factors between UX factors and the continued usage intention of Smartphone (CUI) since it is widely used not only for functional purposes but for entertainment and social relations. Then our research model was tested empirically by using a survey data collected from diverse Smartphone users. Our results suggest that experience about functional factors and social factors of Smartphone after using Smartphones can influence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njoyment of their usage, which, in turn, influence users`` continued usage intention of Smartphones. More specifically, we found that usability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both PU and PE, while security has a strong effect on PE, although no such significant impact was observed on PU. Some previous researchers pointed out that Smartphones are vulnerable and, therefore, security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perceived usefulness of Smartphones. However, security did not affect perceived usefulness of Smartphones significantly in our result. A plausible explanation for this result might be that approximately 60% of our survey respondents are students and they do not consider security issue seriously because they use Smartphones mostly for entertainment or social interactions rather than for job or work related purposes. However, it does not mean security issue is not important for usefulness of Smartphones or the current level of security of Smartphone is perfect. Moreover, sociability is found to affect both PE and PU, while social identity have significant impact on PU only. Besides, PE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of using Smartphone and both PE and PU positively affected CUI. Main contribut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ing. First the concept of user experience, which is a relatively new concept in MIS researches, was adopted to explain users’ continued intention to use Smartphones. Moreover, not only functional experience but social experience was included as user experience factors. This paper also makes contributions in understanding th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users’ continued usage intention of Smartphones and the dynamics of these effects, which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Smartphone service providers. There are, however, some limitations inherent in this study. Although user experience is a broad concept, we focused only a part of it. Other aspects of user experience may be considered in future researches. More systematic research on user experience may be also needed related with Smartphone usage. In our survey data, relatively large number of university students were included, therefore, we have limitation in generalizing the results. Since the survey data were gathered from Korean, the analysis results may be subject to culture and/or other environmental biases. In future researches, we may use survey data from users of different countries and also implement a cross country analysis.

      • KCI등재

        온라인 중고거래 플랫폼의 체험 요소가 이용 만족 및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유재미(Jae Mee Yoo) 한국상품학회 2024 商品學硏究 Vol.42 No.1

        Based on the experiential theory proposed by Schmitt,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experiential factors of online used goods transaction platforms on usage satisfaction and usage intention. As the online used goods trading market has grown significantly and interactions between consumers such as information acquisition, empathy, cooperation, help, and sharing, as well as simple transactions of products using the platform, are actively taking place, so we conceptualized and review them as experiential elements. We hypothesized that sense, feel, think, and relate experiences of a used goods trading platform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usage satisfaction and that usage satisfaction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reuse intention. We also hypothesiz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tial factors and usage satisfaction would vary depending on consumers' prosocial tendenc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online used goods users, sense, feel, and think experiential facto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usage satisfaction with a used goods trading platform. Relate experi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usage satisfaction, but was not significant at the 5% level. Also usage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euse intention.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tial factors and usage satisfaction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prosocial tendency of consumers. The sense, feel, think, and relate(10% level) experiential facto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usage satisfaction in the strong prosocial consumer group. To the contrary in the weak prosocial consumer group, the sense(visual) experiential factor of the platform had the greatest impact on usage satisfaction and the think and relate experiential factors, except for the feel(10% level),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usage satisfac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iewed the used goods transaction platform as a space where various experiences other than transactions occur with a theoretical framework, and in practice, it can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growth direction of the used goods transaction platform. 본 연구는 온라인 중고거래 플랫폼에서 소비자가 경험하는 다양한 체험 요소에 주목하고 Schmitt의 체험이론을 바탕으로 체험을 유형화해 이용 만족 및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했다. 온라인 중고거래 시장이 큰 폭으로 성장하며 플랫폼을 이용한 제품의 단순 거래뿐 아니라 정보 취득, 공감, 협력, 도움, 나눔 등 소비자간 상호작용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어 이를 체험 요소로 개념화해서 검토했다. 중고거래 플랫폼의 감각, 감성, 인지, 관계 체험이 이용 만족에 양(+)의 영향을 주고 이용 만족은 재이용의도에 양(+)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했다. 또한, 체험 요소와 이용 만족 간 관계가 소비자의 친사회적 성향(prosocial tendencies)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했다. 온라인 중고거래 경험자 대상의 서베이 결과, 감각, 감성, 인지 체험 요소의 경우 중고거래 플랫폼 이용 만족에 유의하게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관계 체험의 경우 이용 만족에 양(+)의 영향을 주기는 하지만 5%수준에서 유의하지 않았다. 그리고 이용 만족은 재이용의도에 유의하게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소비자의 친사회적 성향에 따라 체험 요소와 이용 만족 간 관계가 다른 양상을 나타냈다. 친사회적 성향이 강한 소비자 집단에서는 감각, 감성, 인지, 관계(10%유의수준) 체험 요소가 이용 만족에 유의하게 긍정적 영향을 미친 반면, 친사회적 성향이 약한 집단에서는 플랫폼의 감각(시각)체험 요소가 이용 만족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쳤고 감성(10%유의수준)체험 요소를 제외한 인지, 관계 체험 요소는 이용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중고거래 플랫폼이 가지는 체험 공간으로서의 의미를 이론적 틀을 가지고 검토했다는 의의가 있고 실무적으로는 중고거래 플랫폼의 성장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방송 클립 동영상의 지속 이용 의도 및 SNS 공유 의도에 관한 연구 부정적 광고 태도 및 모바일 이용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이현지 한국광고홍보학회 2018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0 No.1

        본 연구는 방송 클립 동영상의 유용성, 기대 일치 그리고 적합성이 지속 이용 의도 및 SNS 공유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더불어, 부정적 광고 태도 및 모바일 이용의 조절 효과도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방송 클립 동영상 지속 이용 의도에 대해 유용성, 기대 일치 그리고 적합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가지 요인에 대한 부정적 광고 태도의 조절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대 일치에 대한 모바일 이용의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용성과 적합성에 대한 모바일 이용의 조절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방송 클립동영상 SNS 공유 의도에 대해 기대 일치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용성과적합성은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대 일치와 적합성에 대한 부정적 광고 태도의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용성에 대한 부정적 광고 태도의 조절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 가지 요인에 대한 모바일 이용의 조절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variables to influence on users’ continuance usage intention and SNS sharing intention of broadcasting clip video. And this study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negative attitude toward advertising and mobile usage. It is composed of perceived usefulness, confirmation, compatibility.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usefulness, confirmation, and compatibility positively influenced the continuance usage intention. Negative attitude toward advertising had no moderating effects and mobile usage had moderating effects in the confirmation. Next, the results showed that confirmation positively influenced the SNS sharing intention. Mobile usage had no moderating effects and negative attitude toward advertising had moderating effects in the confirmation and compati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