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능형 개인비서의 개인화된 위치기반 서비스에 대한 사용의도

        조원흥,연명흠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20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3 No.-

        모바일 환경의 지능형 개인비서가 가진 사용환경의 특징으로, 향후 지능형 개인비서에서는 ‘개인화된 위치기반 서비스’가 확대 가능하다. ‘사용자 위치분석’을 통해 지능형 개인비서의 활용성을 증대할 수 있지만, 프라이버시 침해의 우려 또한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조사 분석을 기반으로 지능형 개인비서의 개인화된 위치기반 서비스의 사용의도와 사용의도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들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먼저, 문헌 연구와 사례 연구를 통해 지능형 개인비서의 현황과 특징을 정리하였다. 이후, 지능형 개인비서의 ‘개인화된 위치기반 서비스’의 사용의도를 분석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프라이버시 계산모형 바탕의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그 후 사용 시나리오를 제작하고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수집한 109명의 데이터를 토대로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하여 개인화된 위치기반 서비스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인지된 가치인 ‘유용성’, ‘용이성’, ‘즐거움’ 그리고 인지된 위험인 ’서비스 공급자에 의한 프라이버서 노출 위험’과 ‘공공장소에서 서비스 사용의 프라이버시 노출 위험’ 등의 문항들로 설문지로 구성하였다. 측정 문항들은 리커트 7점 척도(1점=전혀 그렇지 않다, 7점=매우 그렇다)를 이용하여 각 항목에 동의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사용의도는 7점 리커트 척도의 5.25로 나타나 중간 이상의 사용의도를 보였다.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요인은 ‘유용성’과 ‘즐거움’이었다. ‘용이성’과 ‘서비스 공급자에 의한 프라이버시 노출 위험’과 ‘공공장소에서 서비스 사용의 프라이버시 노출 위험’은 사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기존의 지능형 개인비서에 관한 연구는 고정된 환경의 인공지능 스피커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다양한 모바일 환경의 지능형 개인비서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모바일 환경에서 쓰이는 지능형 개인비서의 개발 전략에 있어 사용자 중심의 기능 발굴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In the future, 'personalized location-based service' can be expanded in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 However, user location analysis can cause concerns of invasion of privacy at the same time as benefi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intention of using and using personalized location-based services of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 In order to analyze the intention of using 'Personalized location-based service' of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 a research model based on the Privacy-Calculus Framework was set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fter that, multipl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data of 109 people who produced the online survey,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of using personalized location-based services were analyzed. The factors tha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tention to use were ‘Usefulness’ and ‘Joy’. ‘'Usability’, ‘Risk of invasion of privacy by service provider’ and 'Risk of exposure to privacy of service use of public space’'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intention to 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develop user-centered functions of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 used in mobile environment in the future.

      • KCI등재

        가치 기반 수용모델에 기반한 지능형 개인비서 서비스 사용에 대한 실증 연구

        김상현,박현선,김보라 한국지식경영학회 2018 지식경영연구 Vol.19 No.4

        Recently, individuals are interested in a variety of products and service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mong those products and services, an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s are attracting many attention from IT companies as a next generation platform. Thu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s benefits on user’s value formation and adoption behavior based on Value-based Adoption Model.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personal innovativeness is examin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Based on the analysis with the data from actual users, the results show that usefulness, enjoyment, technicality and cost advantage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perceived value and correspondingly have an effect on intention to adopt. Personal innovativeness is relat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value and intention to adopt. These findings may provide important insights to the relevant field regarding the use and spread of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s.

      • KCI등재

        스마트폰 지능형 개인 비서의 능동적 인터랙션과 제안 내용에 따른 사용자 경험 비교 연구

        이예진,윤재영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3 한국디자인포럼 Vol.28 No.3

        Background Recently, proactive interactions suggested what is needed by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s have emerged, even without user requests. It have mainly been studied in the context of voice-based conversations. However, a case study of proactive interactions revealed that notification interactions are predominantly utilized, indicating the need for research that encompasses them. Additionally,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impact of users' intrinsic needs on the user experience. Methods Two-way ANOVA analysis of variance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ain effects of proactive interactions including smartphone notification interactions on user experience with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s and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suggested content that fulfilled the needs of Alderfer's ERG theory. Result Among the proactive interactions, the ‘Push banner+Notification sound' showed the highest usefulness and satisfaction, while 'Notification center+Mute' had the lowest, and 'Notification center+Voice utterance' demonstrated the highest psychological reactance,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p<.001). Additionally, within the proactive interactions, the usefulness(p=.020) and satisfaction(p=.004) of 'Voice utterance', 'Notification sounds', and ‘Mute'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the suggested content that fulfilled the needs of Alderfer's ERG theory. Conclusion The study confirmed the positive effects of 'notification interactions' as proactive interactions on the user experience of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s. In the suggested content that fulfilled higher-order needs, the utility and satisfaction of 'Mute' and 'Notification sound' were relatively high. And in the suggested content that fulfilled lower-order needs, the overall utility of auditory interactions and the satisfaction with 'Voice utterance' were relatively high. 연구배경 최근 사용자가 호출하지 않아도, 지능형 개인 비서가 먼저 제안하는 ‘능동적(Proactive) 인터랙션’이 등장했다. 능동적 인터랙션은 주로 음성 대화 인터랙션을 중심으로 연구되었으나, 실제 스마트폰 지능형 개인 비서 서비스 조사 결과, 대부분 알림 인터랙션을 활용하고 있어 이를 포괄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사용자의 내면적 욕구에 따른 요인의 영향을 검증한 연구는 드물다. 연구방법 스마트폰 알림 인터랙션을 포함한 스마트폰 지능형 개인 비서의 ‘능동적 인터랙션’이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주효과, 알더퍼의 ERG 이론의 각 욕구를 충족시키는 ‘제안 내용’과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고자, 설문조사 후 이원배치 분산분석 및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다. 연구결과 능동적 인터랙션 중 ‘푸시 배너+알림음’의 유용성, 만족도가 가장 높고 ‘알림 센터+무음’이 가장 낮았으며, ‘알림 센터+음성 발화’의 심리적 저항감이 가장 높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또한, 능동적 인터랙션 중 ‘음성 발화’, ‘알림음’, ‘무음’의 유용성(p=.020), 만족도(p=.004)가 ERG 이론의 각 욕구를 충족시키는 제안 내용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알림 인터랙션’이 능동적 인터랙션으로써 지능형 개인 비서의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확인했다. 또한 고차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제안 내용에서 ‘무음’, ‘알림음’의 유용성, 만족도가 비교적 높고, 저차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제안 내용에서 청각 인터랙션의 유용성, ‘음성 발화’의 만족도가 비교적 높음을 검증하여 능동적 IPA의 발전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AI 비서 서비스의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 연구

        선영지(Young Ji Sun),이중정(Choong C. Lee),윤혜정(Haejung Yun) 한국IT서비스학회 2021 한국IT서비스학회지 Vol.20 No.4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ervices has been diversified by combining various smart devices, big data, and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From the perspective of IT services, these services are important technology that cause a paradigm shift from display-centered to voice- centered, and from passive to active IT-based services. This study seeks to find a solution to the current situation where AI assistant service is still in its beginning stage, despite having been ten years since its release and having a growing number of consumer touch points. Accordingly, we categorized the functions of AI assistant services and identified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services recognized by actual users. In order to define the ideal services of AI assistant, seven experts from AI assistant-related industry have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Based on this result, we investigated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services perceived by actual users of AI assistant services. As a result of IPA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we find out which services are potentially ‘keep’, ‘concentrate’, ‘low priority’, or ‘overkill’ and provide various implications from the findings.

      • SCIESCOPUSKCI등재

        Maximum Likelihood-based Automatic Lexicon Generation for AI Assistant-based Interaction with Mobile Devices

        ( Donghyun Lee ),( Jae-hyun Park ),( Kwang-ho Kim ),( Jeong-sik Park ),( Ji-hwan Kim ),( Gil-jin Jang ),( Unsang Park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7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 Vol.11 No.9

        In this paper, maximum likelihood-based automatic lexicon generation using mixed-syllables is proposed for unlimited vocabulary voice interface for East Asian languages (e.g. Korean, Chinese and Japanese) in AI-assistant based interaction with mobile devices. The conventional lexicon has two inevitable problems: 1) a tedious repetition of out-of-lexicon unit additions to the lexicon, and 2) the propagation of errors during a morpheme analysis and space segmentation. The proposed method provides an automatic framework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oposed method produces a level of overall accuracy similar to one of previous methods in the presence of one out-of-lexicon word in a sentence, but the proposed method provides superior results with the absolute improvements of 1.62%, 5.58%, and 10.09% in terms of word accuracy when the number of out-of-lexicon words in a sentence was two, three and four, respectively.

      • KCI등재

        인공지능 비서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와 신뢰가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장민흔,이진명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21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잠재적인 인공지능 비서 수용자들이 현재 인공지능 비서의 혜택과 희생을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가치기반 수용모델을 기반으로 지각된 혜택과 희생 요인 및 신뢰가 소비자의 인공지능 비서 수 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 비서에 관심이 있으나 현재 사용하고 있지 않은 20대에서 50대까지의 잠재적 수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54명의 유효자료를 수집 하여 SPSS 24.0 및 AMO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인공지능 비서에 대한 소비자 인식 수준을 확인한 결과, 혜택 요인 중 즐거움에 대한 지각이 가장 높으며 공감 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희생 요인 중에서는 사생활침해 위험을 가장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한 결과 개인화 혜택, 즐거움, 공감성이 높아질수록 지각된 가 치가 유의하게 높아지며, 경제적 비용과 사생활침해 위험이 높아질수록 지각된 가치가 유의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가치와 소비자 신뢰가 인공지능 비서 수용의도에 모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부츠스트래핑을 통해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개인화 혜택, 즐거움, 공감성 그리고 경제적 위험 이 지각된 가치를 매개로 인공지능 비서 수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비서에 대한 소비자의 총체적 가치지각과 인공지능 비서에 대한 신뢰가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함으로써 관련 산업계에 실무적 함의를 제공하며 소비자 중심의 인공지능 기술 관련 연구를 확장한 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ificial intelligent(AI) assistants' benefits and sacrifice factors on perceived values and the effects of perceived values and trust on Adoption intention by applying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Value-based Adoption Model’.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potential adopters of AI assistants in their 20s to 50s, and a total of 354 vali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SPSS 24.0 and AMOS 24.0 programs.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mong the benefit factors of AI assistants, the perception of pleasure was the highest and the perception of empathy was relatively low. Among the sacrifice factors, the perception of the risk of privacy invasion was the highest. Second, as a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it was found that personalization benefits, enjoyment, and empath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value for AI assistant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economic cost and the risk of invasion of privacy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perceived value of the AI assistant. Third, it was found that both perceived value and consumer trus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adopt AI assistants. In addition, as a result of bootstrapping, personalization benefits, enjoyment, empathy, and economic risk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the intention to adopt an AI assistant through perceived value.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not only to increase the value of the service, but also to increase trust in the service providers.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to the industry related to AI assistants by examining the influence of consumers' overall perception of value and trust in AI assistants on adoption intentions and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expanding research on AI technology centered on consumers.

      • KCI등재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소명의식과 서비스 질의 관계에서감성지능의 매개효과

        김재두,황인옥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3 상담심리교육복지 Vol.10 No.5

        본 연구는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소명의식과 서비스 질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상남도 K시 장애인활동지원기관 4개소에 소속되어 활동하고 있는 장애인활동지원사이고, 총 308부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소명의식, 감성지능, 서비스 질 간의 모든 변인들은 유의한 정적상관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소명의식과 서비스 질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의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소명의식이 서비스 질로 가는 직접경로와 소명의식이 감성지능을 매개로 하여 서비스 질로 가는 간접경로가 모두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서비스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소명의식과 감성지능을 높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relationship between perceiving a calling and service quality of personal assistants for peoplewith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personal assistant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belonging to four disability activity support organizations in K-city, Gyeongsangnam-do, and atotal of 30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ll variables among perceivinga call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rvice quality of personal assistants for people withdisabilities. Secon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was confirmed in therelationship between perceiving a calling and service quality of personal assistants for peoplewith disabilities. That is, both the direct path from perceiving a calling to service quality andthe indirect path from perceiving a calling to service quality through emotional intelligence were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perceiving a calling andemotional intelligence in order to improve the service quality of personal assistants for peoplewith disabilities.

      • KCI등재

        고령의 의료취약계층을 위한 헬스케어디자인 사례분석 - IPA(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 서비스 중심으로 -

        오예슬 ( Oh¸ Ye-seul ),정정호 ( Jung¸ Jung-ho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6 No.-

        현재 국내는 급속한 고령화에 따라 사회적으로 다양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으며, 그 중 의료서비스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공급은 충족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특히, 고령자의 의료형평성 미확보에 따라 지속적인 의료취약계층을 발생시키고 있어 건강수준의 불평등을 유발하고 있다. 최근 ICT 지능형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헬스케어 시장이 확장됨에 따라 본 연구는 고령 의료취약계층의 건강관리를 독려·관리할 수 있는 지능형 개인비서 서비스 중심의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안한다. 이에 본 연구는 고령자의 서비스 수요 및 고충사항을 중심으로 ① 주관적 건강 만족도 향상 서비스, ② 의료기관 및 의료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향상 서비스, ③ 심리적 케어 서비스 관점에서 서비스 사례분석 유형을 구분하였으며, 최근 10년간 지능형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안한 국내외 기업의 사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의료서비스의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한 환자와 의료기관 간의 연계서비스 및 의료 데이터화, 둘째, 질병의 선제적 예방관리 및 질병 처방과 재활치료 등의 질병관리 서비스 강화, 셋째, 정신 건강을 위한 멘탈케어 통합서비스의 필요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의료인력 부족 문제 해결, 의료편의성 증진, 의료사각지대 해결을 도모할 수 있으며, 고령 의료취약계층의 질병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통해 주체적인 건강관리를 견인하고자 한다. Presently in Korea, various social problems are being raised along with rapid aging, and particularly, despite the increase of interest in and demand for medical service, the needs are not sufficiently met with proper supply. In particular, as medical equity for the aged has not been obtained, medically underprivileged class is increasing constantly, which leads to inequality in health conditions. Lately, the smart health care market utilizing ICT-based intelligent technology is being extende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intelligent personal secretary service-based personalized health care service to encourage and manage medically underprivileged senior people for health management. Here, this study has classified the types of service cases for analysis in consideration of their service demand and difficulties into ① services to improve their subjective health satisfaction, ② services to enhance their accessibility to medical institutes and medicine services, and ③ services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logical care and then selected and analyzed the cases of domestic and overseas companies that has proposed intelligent smart health car e service for the last 10 year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as ways to get rid of the imbalance in medical service, this researcher has drawn first, services to connect patients with medical institutes and the establishment of medical data, second, services to provide preemptive prevention and management for disease and also post-management including rehabilitation treatment, and third, mental care services for mental health. This study will be used to solve the lack of medical manpower, improve medical convenience, and remove the medically blind zone, and it is also aimed to provide preemptive coping with diseases medically underprivileged elderly class is suffering from to realize their independent health management.

      • KCI등재

        지능형 개인비서 서비스의 사용경험 비교 연구: 시리, 구글어시스턴트, 빅스비를 중심으로

        유초롱,김송현,김진우 한국감성과학회 2020 감성과학 Vol.23 No.1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user experiences of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 services based on the evaluation criteria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to explore positive elements of user experiences and factors that could be improved.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Apple's Siri, Google's Google Associate, and Samsung's Bixby, which is presently the smartest personal assistant service on the market. The research method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service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by interviewing seven UI/UX design experts for the second 2 weeks using contextual inquiry. The interview reorganized Peter Morville's user experience honeycomb, reducing his seven usability principles down to five, asking questions about usability, convenience, visual attractiveness, reliability, and satisfaction. On the basis of the reconfigured usability principle, the assessment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 assessment timing and the system usability scal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the user experie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personal assistant services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본 연구는 지능형 개인비서 서비스의 사용 경험을 HCI의 평가 기준을 바탕으로 비교ㆍ분석하여 사용 경험의 긍정 적인 요소와 개선되어야 할 요소를 탐색하고자 한다. 현 시장에서 점유율이 가장 높은 지능형 개인비서 서비스인 애플의 시리, 구글의 구글어시스턴트, 삼성의 빅스비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1차로 문헌 연구를 통하여 현 서비스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 비교ㆍ분석하였고 2차로 약 2주간 UI/UX 디자인 전문가 7명을 대상으로 맥락질문법을 활용하여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는 피터 모빌(Peter Morville)의 사용자 경험 허니콤(user experience honeycomb) 7가지 사용성 원칙을 5가지로 재구성하여 유용성, 편의성, 시각적 매력성, 신뢰성, 만족도에 대한 질문을 진행하였다. 이후 재구성한 사용성 원칙 내용을 바탕으로 평가 rating 및 시스 템 사용성 척도 (SUS) 를 바탕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개인비서 서비스의 사용경험을 정량적, 정성적으로 분석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인공지능 비서에 대한 소비자 양가성의 유형과 수준 및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장은교 ( Jang Eun-gyo ),이진명 ( Lee Jin-myong ) 한국소비자학회 2020 소비자학연구 Vol.3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 비서에 대한 소비자의 긍·부정적 반응을 양가성의 개념을 적용하여 유형화하고, 유형별 소비자 양가성의 수준을 파악하고, 소비자 양가성이 인공지능 비서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정성적, 정량적 연구방법을 통합적으로 적용하였다. 먼저 인공지능 비서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일반 소비자 20명을 대상으로 1:1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소비자 양가성의 유형을 정성적으로 탐색하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질문지를 개발하여 인공지능 비서 잠재수용자 30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t검정, 일원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지능 비서에 대한 소비자의 양가적 반응은 개인정보 활용이 개인화의 혜택을 제공하지만 동시에 프라이버시 위험이 커지는 것에 대한 양가성(유형1: 개인정보 활용 양가성), 인공지능 비서의 기술이 편리하지만 동시에 불편함을 초래하는 것에 대한 양가성(유형2: 기능적 양가성), 인공지능 비서가 친근하고 재미있으나 동시에 답답하고 기계처럼 차갑게 느껴지는 것에 대한 양가성(유형3: 정서적 양가성)의 세 가지로 분류되었다. 둘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양가성 수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소득, 연령, 교육수준이 높고 여성일수록 개인정보 활용 양가성이 높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정서적 양가성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소비자 양가성이 인공지능 비서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개인정보 활용 양가성은 수용의도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정서적 양가성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양가성에 관한 기존 연구를 확장하여 인공지능 비서와 같은 혁신적 기술에 대한 소비자의 양가적 반응이 다양한 차원에서 나타날 수 있고 각 양가성 유형별로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차별적일 수 있음을 밝혔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으며, 인공지능 비서 관련 실무자들에게 유용한 마케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mbivalent responses of consumers to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s (IPA), to identify the level of consumer ambivalence by type,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nsumer ambivalence on the intention to accept IP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integrated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First, we conducted a 1:1 in-depth interview with 20 general consumers who had experience using IPA to qualitatively explore the types of consumer ambivalence, and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308 potential users of IPA. Data were analyzed by reliability test, descriptiv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4.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Consumer ambivalence to IPA was classified into three dimensions. The first type is the ambivalence that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provides the benefits of personalization, but at the same time the privacy risks increase. The second type is the ambivalence for the convenience of IPA to bring convenience but at the same time inconvenience. The third type is the ambivalence for an IPA to be friendly and fun, but at the same time feel stuffy and mechanically col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ambivalenc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higher the woman, income, age, and education level, the higher the ambivalence of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In addition, wome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emotional ambivalence than me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consumer ambivalence on the acceptance intention of IPA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ambivalence of using personal inform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acceptance intention, while the emotional ambivalence had a negative effect. This study has academic value in that consumer ambivalence for innovative technologies such as IPA can occur at various dimensions and the impact on consumer behavior can be different for each type of ambivalence. The study also provides useful marketing implications for IPA practitio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