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능정보사회에서 헌법의 역할과 기능

        김일환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20 성균관법학 Vol.32 No.3

        고차원적 정보처리 능력(인지, 학습, 추론)을 구현하는 기술을 말하며, 인공지능 기술은 인간 정보처리 활동의 원리를 분석하는 기초 기술과 ICT를 통해 이를 구현하는 인공지능 SW 및 HW 기술을 말한다. 이처럼 지능정보기술에 기반을 둔 지능정보화의 급속한 진전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경제시스템과 사회구조는 근본적으로 변화하는 패러다임의 전환기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능화된 서비스는 인간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새로운 지식에 접근성을 향상 시키는 등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지능정보화의 진전은 다양한 사회문제를 노출할 가능성도 동시에 갖고 있다. 이처럼 지능정보사회의 도래는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차원의 이슈를 제기하면서 새로운 규범체계의 정립을 요구하고 있다. 지능정보기술 및 지능정보기술과 다른 기술이나 서비스 등의 융합을 바탕으로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를 포함한 모든 분야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발전을 이끌어가는 사회가 지능정보사회이어야만 한다면, 이제 우리는 어떠한 지능정보사회에서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필요하다. 지능정보사회에 대응하는 법제정비방안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바, 이 논문에서는 지능정보사회에서 헌법의 역할과 기능이란 관점에서 검토한 결과, 지능정보사회를 규율하기 위한 국가의 책무로 지속가능성보장, 인공지능기술의 발전에 따른 투명성확보, 자율규제기구를 통한 지능정보사회 문제의 일차적 해결, 국가의 정보기반시설구축 책임, 지능정보사회의 신뢰기반 구축, 지능정보기술의 발전에 따른 새로운 분쟁해결절차의 강화를 제시하고자 한다. “Intelligence Information Technology(IIT)” is a technology that realize high level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y of machine such as recognition·learning·reasoning·etc. of human by integrat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data utilization technology. And It means artificial intelligence SW and HW technology that realize the analysis of principle information processing activity through basic technology and ICT. Due to the rapid progress of intelligent informatization based on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the economic system and social structure around the world are at the turning point of paradigm that fundamentally change. These kind of intelligent services are expected to provide new opportunities, such as improving the quality of human life and improving access to new knowledge. However, the progress of intelligent informatization has the possibility of exposing various social problems at the same time. The emergence of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calls for the establishment of new normative system by raising new issues. If the society that creates new values and drives development in all fields including politics·economy·society·culture based on the fusion of intelligence information technology and intelligence information technology and other technologies or services should b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now we need to seriously consider how we do live in information society. There is an active discussion on legal measures to deal with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In this study, I intend to strengthen the new dispute settlement procedure as responsibility of the government for the regulation of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role and function of the constitution in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according to the guarantee of sustainability, transparency through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primary resolution of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problem through self-regulatory organization, establishment of national intelligence infrastructure, building trust of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of intelligence information technology.

      • KCI등재

        정보보호 거버넌스 현황과 지능정보사회의 정보보호 거버넌스 개편 試論

        김병기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2017 행정법연구 Vol.- No.51

        An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is a society in which new value is generated and progress is achiev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intelligence information technology (Intelligent IT) - backed by the generation, collection, and analysis of massive volumes of data by cutting-edg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 to every aspect of the economy, society and human life. As data and knowledge come to take precedence over the conventional production factors(labor and capital), industrial barriers are broken down with the increasing convergence of products and services, and AI machines and automated systems make their way into even the areas of work that require complex human cognitive capabilities. In the near future the entire economy and society will undergo sweeping, innovative transformations. The government announced the “Mid- to Long-Term Master Plan in Preparation for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Manag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in December 2016) and set up the presidential Commission on Fourth Industrial Revolution(in October 2017) in oder to cope with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While these measures are basically focused on making the blueprint of innovation growth through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intelligent IT and support for the promotion of related industries and deregulation, it neglects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security relatively. The threat to the information security of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will be much more complicated than that of the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This basically results from the fact, that one object error and data errors can overlap with each other in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Therefore, in order to cope with the information security threat in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legal system with controllability, safety, reliability, and systematicity and to establish effective integrated information security governance. This article is organized by three sections. The first section(Ⅱ) clarifies the key terms related with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and information security threat. The second section(Ⅲ) tries to find the meaning of the information security governance depending on three categories and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the information security regime. Finally, the third section(Ⅳ) suggests the strategies to build effective governance for information security in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정부는 지능정보사회에 대응하기 위하여 지난 2016년 12월 27일에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지능정보사회 중장기 종합대책’을 발표하였고 2017년 10월 11일 대통령 직속 ‘4차산업위원회’를 발족하였다. 그러나 지능정보사회 및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대책은 기본적으로 지능정보기술 개발ㆍ보급, 관련 산업의 진흥을 위한 지원 및 규제완화를 통하여 혁신성장의 청사진을 만들어내는 것에 치중함에 비해, 지능정보사회의 진화에 따른 정보자산에 대한 위협과 정보보호의 중요성은 상대적으로 경히 여기는 것으로 보인다. 지능정보사회의 정보보호에 대한 위협은 하나의 사물 오류, 데이터 오류가 맞물림 현상으로 나타나서 단순한 물리공간의 위협에 초점이 맞추어진 지식정보사회에서의 그것보다 훨씬 더 복잡ㆍ다양하고 한층 위험한 양태로 발전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지능정보사회에서의 정보보호 위협에 대응하여 통제성ㆍ안전성ㆍ신뢰성ㆍ체계성을 갖춘 법제도를 정립하고, 관련 정책을 수립ㆍ이행ㆍ평가ㆍ환류 할 수 있는 효과적인 통합 정보보호 거버넌스를 구축해야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첫째, 지능정보사회과 정보보호의 개념과 특징을 토대로 지능정보사회에서 정보보호에의 위협과 효과적 정보보호 거버넌스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Ⅱ). 둘째, 거버넌스 일반론에 터 잡아 특히, 정보보호 거버넌스의 법ㆍ제도적 의미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행 정보보호 거버넌스 현황을 기관별, 법령별, 분야별로 상세히 분석하였다(Ⅲ). 끝으로 지능정보사회에서의 정보보호를 위한 효율적 거버넌스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Ⅳ). 특히, 효율적 정보보호 거버넌스 구축을 위해서 ‘(가칭)지능정보사회 정보보호위원회’를 설치하여, 동 기관에 조정권한, 권고권한 및 예산협의권한을 부여하고 통합적 정보보호 거버넌스의 규율 담당할 일반법 제정을 제안한다. 또한, 정보보호의 효율성 담보를 위한 법제 정비 방안으로서 ‘(가칭)지능정보사회 정보보호위원회’의 설립 및 조정권한, 권고권한 및 예산협의권한을 담보할 수 있는 기본법 제정이 필요하다. 나아가, 기존의 정보보호 관련 법령에 지능정보사회에 따른 변화를 수용할 수 있는 주류화 작업과 「국가사이버보안법(안)」의 제정 문제 등 현재 진행형인 분야별 정보보호 거버넌스 개편 작업도 그 해결을 서둘러야 한다.

      • KCI등재

        「지능정보사회 기본법」 제정에 관한 연구

        김현경,김민호 경북대학교 IT와 법연구소 2017 IT와 법 연구 Vol.0 No.15

        Recently, information technolog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have been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the paradigm shift into the so-called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is being discussed in earnest.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is closely related to information technology, and despite its inevitabl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its role and usage are different. These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ies ultimately lead to changes in the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environment that are different from the information society, such as employment and job changes, and new dysfunctions. In response to these changes in the environment, discussions are underway to establish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Law" at the national level.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the necessary legislative content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desirabl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that is, the implementation of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which is beneficial to human being. First, it argued that the "National Informatization Law" should be reformed into the "Basic Act on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in a legislative format. At the core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are data and algorithms, which are ultimately based on information technology. It is desirable to develop into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Law" through the whole reorganization of the "National Informatization Law", which has the historical history of promoting informatization in Korea. ⒜establishment of technology and service adaptive regulations; ⒝establishment of intelligence information infrastructure-intelligence information network, national data-; ⒞trust based system design.

      • KCI등재

        지능정보사회와 지방자치단체의 사무 - 「지능정보화 기본법」상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

        김상태,박영현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20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20 No.4

        In Korea, ICT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faster than any other countries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d with the recent integration with AI, various services required by citizens are provided currently. In particular, the services provided by local governments using intelligence information technologies are drawing attention because these services are directly related to local residents. However, the central government takes the lead in policies that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regional intelligence information, hindering local governments to promote an active policy that reflects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demand of local residents. Further, there are difficulties in achieving policy outcomes due to the lack of mutual understanding and information sharing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In particular, the Framework Act on Intelligence Information does not specify unique affairs of a local government that can be handled under its responsibility because the affairs that can be handled by a local government are carried out jointly (commonly) by government agenc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guarantee local government’s affairs related to intelligence information in the region so that such affairs can be led by the local government. For such reason, legal and institutional tasks to guarantee the affairs of a local government in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have been reviewed and such task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ffairs provided in Article 9, Paragraph (2) of the Local Autonomy Act do not need to be handled by a local government. It may be difficult to determine the principal agent for new affairs such as an affair related to intelligence information which has not been discussed previously. Nevertheless, affairs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e region should be allocated as an autonomous affair in principle. Second, it is necessary to newly establish affair allocation standard in the Framework Act on Intelligence Information and re-allocate affairs provided as a joint affair (common affair) under the Framework Act on Intelligen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newly established affair allocation standard as a national affair or an autonomous affair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uch affairs, the principal agent, and financial burden required for the execution of such affairs. Third, even if preferential authority for an intelligence information-related affair is granted to a local government,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provide administrative, financial, and technical support to such local governments that perform such autonomous affairs in terms of bearing ultimate responsibility for the realization of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Fourth, a joint affair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be acknowledged within a limited range, regardless of its necessity. For such purpose, affairs provided in the Framework Act on Intelligence Information should be re-allocated into a national affair and an autonomous affair, and a joint affair should be acknowledged only when there is a significant need of joint execution as an exception. 우리나라는 그 동안 어느 나라보다도 빠르게 ICT 기술이 양적・질적으로 발전하여 왔고 여기에 최근에는 AI를 접목하면서 국민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지방자치단체의 서비스는 주민들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어서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럼에도 지역의 지능정보화와 상당한 관련성이 있는 정책조차 국가가 주도하면서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의 특성과 주민의 수요를 반영하는 적극적인 정책을 추진할 수가 없고,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간 상호 이해 및 정보 공유 부족으로 인하여 정책의 성과 달성에 어려움이 있다. 특히, 「지능정보화 기본법」은 지방자치단체가 수행할 수 있는 사무를 국가기관 등과 공동(공통)으로 수행하고 있어서 지방자치단체의 고유한 업무로서 자기 책임 하에 처리할 수 있는 사무는 명시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지역에서의 지능정보화 관련 사무만큼은 지방자치단체가 주도할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의 사무를 보장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지금까지 지능정보사회에 있어 지방자치단체의 사무를 보장할 수 있는 법제도적 과제를 검토하였고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자치법」 제9조 제2항에 의하여 규정되어 있는 사무라고 하여 반드시 그러한 사무가 지방자치단체에 의해서만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지능정보화와 관련된 사무와 같이 그 동안 논의되지 않았던 새로운 사무에 대해서는 사무의 귀속 주체를 정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방과 밀접하게 관련되는 사무라면, 원칙적으로 자치사무로 배분해야 한다. 둘째, 「지능정보화 기본법」에 사무배분 기준을 신설하고 이렇게 신설된 사무배분 기준에 따라 「지능정보화 기본법」상 공동사무(공통사무)로 규정되어 있는 사무를 사무의 성격, 사무의 귀속책임자, 사무수행에 필요한 재정부담 등을 고려하여 국가사무 또는 자치사무로 재배분하여야 한다. 셋째, 지능정보화 관련 사무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우선적 권한을 부여하더라도 국가는 지능정보사회의 구현에 대해 궁극적인 책임을 부담한다는 점에서 자치사무를 수행하는 지방자치단체에 대해 행정적・재정적・기술적 지원을 해야 한다. 넷째,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간 공동사무는 그 필요성이 있다고 하더라도 한정된 범위 내에서 인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우선은 「지능정보화 기본법」상의 사무를 국가사무와 자치사무로 재배분하고, 예외적으로 공동수행의 필요성이 현저한 경우에 한하여 공동사무로 인정해야 한다.

      • KCI등재

        장노년층의 지능정보사1회 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온/오프라인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임정훈(Jeong Hoon Yim),이혁준(Hyuk Joon Lee),이정화(Jeong Hwa Lee),이지훈(Ji Hoon Lee) 한국IT서비스학회 2021 한국IT서비스학회지 Vol.20 No.1

        The Korean society is transforming into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rapidly dur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ut middle aged and elderly people are hard to access and accept these changes.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factors affects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by moderating effect of on/offline social capital. This study analyzed data of 2,303 people between the ages over 50 from the 2018 Digital Divide Survey conducted by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NIA) using SPSS26.0. The result showed that sex, age, education, household typ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perception, expectation, anxiety are significantly effected life satisfaction. Also on/offline social capital had moderating effect between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edes a basis for developing a success model for elderly people who accepts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Also, this study identifies the implications and future studies are suggested.

      • KCI우수등재

        지능정보사회와 헌법상 국가의 책무

        정준현 ( Junhyeon Jeong ),김민호 ( Min Ho Kim ) 법조협회 2017 法曹 Vol.66 No.3

        최근 정보통신기술과 인공지능(AI) 기술이 서로 접목되면서 이른바 `지능정보사회`로의 패러다임 전환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사물인터넷(IoT)·AI·로보틱스·빅데이터 등 인간과 사물의 사고 능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지능정보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기계로 생산능력을 획기적으로 높인 산업혁명, 컴퓨터·인터넷으로 인간의 정보활용 능력을 대폭 향상시킨 정보혁명에 이어, 인간과 사물의 인지·사고 능력을 강화시키는 지능혁명을 가져 올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처럼 지능정보기술에 기반 한 지능정보화의 급속한 진전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경제시스템과 사회구조를 근본적으로 변화하는 패러다임의 전환기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지능정보화의 추진과 지능정보사회의 도래는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차원의 이슈를 제기하면서 새로운 규범체계의 정립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준비의 일환으로 지능정보사회 패러다임에 부합하는 새로운 헌법상 이념이나 원칙의 수립이 필요한 것인지를 진지하게 고민해 보아야 할 때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 식에서 출발하여 지능정보사회에서 새롭게 논의되어야 할 국가의 책무를 발굴하고 이를 헌법에 반영할 수 있는 구체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능정보사회는 인본중심의 기술이 구현되어야 한다. 인공지능 기술이 인간의 자유로운 의식과 결단을 방해하거나 대체하여 인간의 주체성을 훼손해서는 안 된다. 기술은 인간의 행복추구활동의 도구일 뿐, 기술이 인간의 주체성을 대체할 수는 없다. 어떠한 경우에도 인간이 기술에 대한 자율적 통제권을 상실해서는 안된다. 둘째, 국민의 근로할 권리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국가의 노동시장에 대한 개입을 통해 인간근로에 의한 상품이나 서비스의 생산의 한계를 법률로 정하도록 함으로써 기업과 근로자간 소득의 적정한 배분과 아울러 노동시장에 대한 민주주의 및 사회복리주의 원리간의 조화성을 확보해야 한다. 셋째, 헌법 제10조의 국가의무와 헌법 제34조 제5항의 생활능력 없는 국민에 대한 법률적 보호의 규정만으로는 장애인의 복지와 ICT 접근의 동등성 확보를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므로 장애인 등의 동등접근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헌법 제34조와 헌법 제127조에 대한 수정이 필요하다. 넷째, 위험에 대한 사회공동체 책임강화를 위해 헌법에 국가는 위험에 대해 사회 공동체가 공평하게 책임을 부담할 수 있도록 필요한 정책을 수립·시행하도록 국가의 책무를 명확히 규정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새로운 기술의 연구·개발과 이를 활용한 새로운 서비스의 제공 등에 대하여 법률이 적극적으로 시장에의 진입제한, 금지행위 등과 같은 규제사항을 규정하지 않으면 이러한 기술의 개발과 서비스의 제공 등이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훼손하거나 사생활을 침해하지 않는 한 이를 제한 또는 금지해서는 안 된다는 국가의 책무를 헌법에 명확히 규정할 필요가 있다. Recently, information technology and artificial intelligence(AI) technologies have been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the paradigm shift into the so-called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is being discussed in earnest. The rapid development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that dramatically improves the thinking ability of human being and things such as Internet(IoT), AI, Robotics, Big data is an industrial revolution that dramatically increased production capacity by machine, It is believed to bring about an intelligence revolution that strengthens the cognitive and thinking abilities of humans and objects, following the information revolution, which has greatly improved its capabilities. Due to the rapid progress of intelligent informatization based on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it can be said that the paradigm that is fundamentally changing the economic system and social structure around the world is a turning point. The promotion of intelligent informatization and the arrival of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are demanding the establishment of a new normative system while raising new issues. As part of such preparations, it is time to seriously consider whether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constitutional ideology or principle that meets the paradigm of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This paper starts from the consciousness of this problem and identifies the responsibility of the state which should be newly discussed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and suggests a concrete alternative to reflect it in the Constitution. In summary, First,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should implement human-centered technology.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should not undermine human subjectivity by interfering with or substituting human free consciousness and determination. Technology is a tool of human happiness pursuit, but technology can not replace human subjectivity. In no case should human beings lose their autonomous control over technology. Second, in order to secure the right of the people to work,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limit of the production of goods or services by human labor through the intervention of the labor market of the state, so that the proper allocation of income between the enterprises and the workers, It is necessary to ensure harmony between the principles of democracy and social welfare. Third, it is anticipated that it will be difficult to secure the equality of the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ICT access by the provision of legal protection for the people without the ability of living in Article34(5) of the Constitution and Article10 of the Constitution. Amendments to Article34 of the Constitution and Article127 of the Constitution are necessary. Fourth, in order to strengthen social community responsibility for risk, it is necessary for the state to clearly define the responsibility of the state to establish and implement the necessary policies so that the social community can bear responsibility for the risk equitably. Fifth, if the law does not stipulate regulations such as restriction of entry into the market, prohibition of act, and so on, research and development of new technologies and provision of new services using them, It is necessary to clearly state in the Constitution the obligation of the State not to restrict or prohibit it unless it impairs its dignity and value or invades privacy.

      • KCI등재

        지능정보사회에서 AI감사에 관한 법적 쟁점 고찰

        백국흠(Baek Gook Heum),김일환(Kim Il Hwan) 미국헌법학회 2018 美國憲法硏究 Vol.29 No.2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과거와는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로 우리의 삶은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있다. ‘제4차 산업혁명(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으로 일컬어지는 지능정보사회는 아무도 예상하지 못한 속도로 사물과 정보, 기계와 사람, 현실과 가상을 넘나드는 새로운 융합의 시대로 발전하고 있다. 이는 지능정보사회 도래에 따른 국가행정의 역할변화와도 연결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정보사회에서 컴퓨터와 인터넷의 발전, 행정정보의 전자화를 통해 정보혁명이 일어나면서 공공부문에서도 행정절차와 행정서비스의 제공을 온라인으로 처리하는 전자정부를 구현하게 되었다. 국가기능의 일부로서 감사기능도 IT감사를 도입하고 감사에 관한 규정을 개정하는 등 정보사회에 대응해 왔다. 그런데 최근 초연결성을 바탕으로 인공지능(AI), 빅 데이터, 사물인터넷, 클라우드컴퓨팅 등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전반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는 제4차 산업혁명이 논의되는 등 감사환경의 질적인 변화가 예고되고 있다. 지능정보사회에서 AI감사의 도입과 관련하여 법적 쟁점이 될 수 있는 것으로서 감사절차 부분에서는 감사자료취득권의 효력 범위와 AI감사시스템에 의한 자동적 감사행위의 법적 성격 등이 주요 쟁점이 된다. AI감사를 위해서는 현재의 감사원법의 감사자료취득권 규정에 데이터 취득권과 정보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을 명시하여 논란을 방지하고 그 범위와 한계, 정보보호방안도 아울러 정할 필요가 있다. 정보시스템 접근권은 정보분권의 기능도 가지고 있어서 지능정보사회에서 민주주의를 유지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디지털 감사환경에서 필수적인 감사방법으로 도입된 디지털 포렌식도 시행경과를 지켜보며 논란을 막기 위해 법적 근거를 확보하는 것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인공지능 활용에 따른 규범문제에 대한 쟁점 검토가 필요한데 감사절차와 관련하여서는 특히 AI감사시스템의 알고리즘의 신뢰성이 중요하다. 감사결과의 효력은 감사에 대한 신뢰를 근간으로 하기 때문이다. AI감사시스템의 알고리즘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알고리즘이 투명하여야 한다. 따라서 AI감사시스템의 알고리즘에 대한 상시적인 검증체계를 구축하여 사생활 침해나 차별 요소를 직접 점검하도록 하고, 알고리즘 작성자와 알고리즘의 변경내역을 공개하며, 소스코드를 평가하는 등 기술적 방식을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AI감사시스템의 기능범위를 법률에 구체적으로 정하되 처분요구 종류의 결정은 기능범위에서 제외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AI감사의 진행단계별로 감사원 직원이 확인을 하여 감사원의 업무로 의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법치주의원리에 부합될 뿐만 아니라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I감사의 세부적인 진행단계에는 감사계획과 범위결정, 대상기관의 선정, 데이터 및 자료 수집, 문제점 분석, 증거수집과 관리, 감사결과보고서 작성 등이 있다. 기타 AI감사시스템의 도입을 위해서는 개인정보 등 정보 취득의 근거와 범위, 그리고 처리절차를 명확히 하여 법치주의에 부합하도록 하고 개인정보보호와 사회안전 등 헌법적 가치와 조화를 이루도록 해야 한다. 아울러 정보보호 등 사이버안전을 위해 알고리즘을 관리하는 전담부서를 두거나 알고리즘 작성자에 대한 책임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재규정도 마련하여야 한다. Recently,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changed the life of our day so much that we can not compare with the past.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which is referred to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evolving into an era of new convergence where people and information, machinery, people, reality and imagination are paced at unpredictable speeds. This is also linked to changes in the role of the state administration according to the arrival of intelligence information Specifically, in the information society,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s and the Internet and the electronicization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the information revolution in the public sector has taken place and the e-government that processes the administrative procedures and the provision of administrative services online has been realized. As part of the national function, the auditing function has also responded to the information society by introducing IT audit and revising regulations on auditing. Recentl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which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Internet of the things, and cloud computing are used to revolutionize society as a whole is expected to change. Above all, qualitative changes in the audit environment are anticipated. In the field of audit procedures, the range of validity of the right to acquire audit data and the legal nature of automatic audit activity by the AI audit system are the main issues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or the AI audit, it is necessary to specify the data acquisition right and the access right to the information system in the current Audit Data acquisition right of the audit law, to prevent controversy, and to define the scope, limitations, and information protection measures. Access to information systems is also expected to contribute to maintaining democracy in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because it also functions as a decentralized information system. Also, digital forensics introduced as an essential auditing method in digital auditing environment should be considered for ensuring legal basis to prevent controversy.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issue on the normative problem of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relation to the audit procedure, reliability of AI audit system algorithm is especially important. The effect of the audit results is based on the trust in the audit.

      • KCI등재

        인공지능(AI) 기반 지능정보사회 시대의 노동시장 변화: 경제사회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엄효진(Hyo Jin Eom),이명진(Myoung-Jin Lee) 한국정보사회학회 2020 정보사회와 미디어 Vol.21 No.2

        최근 지능정보기술을 접목한 디지털 변혁(Digital Transformation)이 빠르게 확산되면서 인공지능(AI) 기반의 다양한 지능형 정보시스템이 사회 가치를 창출해내는 지능정보사회로 변 모해가고 있다. 지능정보사회에서는 인공지능(AI) 기반의 지능형 시스템의 도입이 단순업무 뿐만 아니라 고차원적인 정신노동의 영역까지 확대되면서 노동시장에도 상당한 변화가 예상된다. 이러한 지능정보사회에서의 핵심인 인공지능(AI)은 1956년 존 맥커시(John McCarthy)가 미국 다트머스 대학(Dartmouth College)에서 열린 학술대회에서 인공지능(AI)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부터 기계가 생각을 하고 인간과 소통할 수 있는지에 관한 논의에 초점을 두고 관련 연구가 진행됐다. 최근 인공지능(AI)은 4차산업혁명과 함께 학계의 담론을 넘어서 기술혁신에 기반을 둔 산업구조의 변화와 사회변화를 이끌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AI)의 역사와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지능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한 사회의 변화를 노동시장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인공지능이 직무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는지에 관한 사례들을 통해 노동시장의 변화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특히, 지능정보사회를 이끄는 기술발달과 관련하여 기술의 혁신성이나 경제적 합리성에 초점을 맞추는 선행연구와는 달리 인공지능(AI)이 인간과 관계를 맺는 하나의 기술체로 그 사회적 함의가 커지고 있는 시점에서 고용시장과 직업의 변화에 대한 경제사회적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고찰할 필요가 있다. 이른바 4차 산업혁명 기술이라고 일컬어지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3D 프린팅, 로봇, 빅데이터(Big Data), 블록체인(Block Chain), 나노(Nano) 기술과 바이오(Bio) 기술 등 지능정보기술의 발달은 인간의 생활양식과 가치관에 큰 변화를 일으키는 사회적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속시키고 있다. 2016년 12월 미래창조과학부(현재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발표한 ‘지능정보사회의 중장기 종합대책’에서도 지능정보사회를 언급하면서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에 주목하였다. 인공지능(AI)의 확산에 따른 노동시장의 문제는 낙관론과 비관론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부분이다. 지능정보기술의 발전에 대한 낙관론적인 입장에서 합리성을 강조하며 노동의 생산성 향상과 산업의 효율성 확보라는 시각에서 노동시장의 변화를 바라보는 시각이 있는 반면, 인간과 기술의 상호작용의 변화와 함께 사회변동의 측면에서의 직무변화와 일자리 감소에 대한 우려의 시각이 공존하고 있다. 노동력 대체의 핵심인 자동화는 물리적 근로와 정신적 및 인지적 근로가 인공지능에 의해 대체된다는 것으로, 고용은 물론 산업혁명 이래로 상당한 사회적, 경제적 파장을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 인공지능(AI) 기술의 발달로 인한 국내의 다양한 산업부문에서 일자리 대체는 피할 수 없는 사회의 변화일 것이다. 이미 많은 단순 반복적 업무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한 노동비용의 경감은 현실화되고 있으며 일자리 감소와 직무변화에 따른 새로운 유형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재교육 및 적극적인 사회적 지원을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인공지능(AI) 기반의 지능정보사회에서는 기존의 노동시장에서 고용과 경제성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던 제조업이 축소되고 있으며 개방형 소통 플랫폼이 혁신의 중요한 환경으로 사회적 네트워크 속에서의 개방적 혁신을 지향하며 공유경제로 진화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와 함께 지능형 시스템의 도입은 분석, 기획, 의사결정 등과 같은 인간의 정신노동 영역을 기술이 대체함으로써 상당한 직무변화가 예상된다. 또한, 인공지능(AI)은 창작도 할 수 있고, 인간의 의사결정과 문제해결에 직접 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지능정보사회에서의 기술혁신에 따른 사회 전반의 효율성과 생산성 향상이 향후 노동시장에서의 일자리 감소 및 실업률 상승과 같은 사회문제로 이어지지 않도록 충분한 경제사회적 논의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지능정보사회에서는 새로운 노동과 일자리 창출도 가능할 것이기 때문에 변화에 저항하기보다는 개인이나 기업이 생존하기 위해서 이러한 시대의 변화를 선도하여 사회 전체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제고하면서 시민의 자유와 복지를 보장하는데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더불어 지능정보사회에서의 인공지능 기술은 일종의 사회를 규율하는 구조적 힘을 가지면서 기술의 혁신이 사회변동의 핵심요인이 되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변동은 인공지능이 인간과 관계를 맺는 하나의 기술체로서 새로운 관계에서의 인간의 주체적인 역할과 과학기술을 바라보는 새로운 가치체계의 형성이 중요할 것이다. 또한, 기존의 노동과 여가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산업화를 거치며 형성된 노동의 가치에 대한 재해석과 더불어 문화와 여가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할 것이다. With the innovation and diffus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Korean society is currently transforming into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for which various intelligent system may create social values and economic wealth. With the adoption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considerable changes are expected in the labor market. Since John McCarthy coined artificial intelligence (AI) at a workshop at Dartmouth College in 1956, the 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a machine or system that could think and communicate with humans. Along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leading to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s as well as social changes based on technological innovation. There are challenges for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beyond the discourse in academia.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history and concep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focusing on how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affect labor markets to scrutinize the societal changes due to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Furthermore, this study describes and provides examples of how artificial intelligence have affected different occupations in the current labor markets. Specifically, to bridge the gap between previous studies which focused on innovation or rationality of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this study focuses on its impact on the labor market by exploring changes in the employment structure and job tasks.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so-called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ternet of Things (IoT), 3D printing, robot, Big Data, Nano technology and Bio Technology etc., is accelerating the change in the social paradigm that makes a big difference in human lifestyle and values. The advent of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is expected to be accompanied by the social paradigm and changes in the labor market. Both optimism and pessimism coexist on the labor issues stemming from the spread of artificial intelligence. Regarding changes in the labor market, an optimistic standpoint on technology supports rationality and efficiency in the industry, whereas there are growing concerns over job changes and job losses. Automation indicates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are gradually taking over human jobs. The current physical, mental and cognitive work may be replaced or reduced, which is expected to have significant social and economic repercussions. Particularly, it is likely to becom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s that can be replac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addition, it is predicted that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will be complementary tools for human–machine collaboration. The reduction in labor costs us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s becoming a reality in many tasks and re-education and social support are needed to create new jobs. Therefore, the need for redesigning the direction of education for new jobs, supporting system for improvement of labor quality were suggested. It is necessary to have sufficient discussions so that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improvement in society as a whole through technological innovation do not lead to social problems such as job losses and spiking the unemployment rate in the labor market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후보

        지능정보 핵심인재상 정립 연구

        이재호,장준형 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2018 창의정보문화연구 Vol.4 No.2

        The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ociety is a newly transformed society as a result of the digital revolution, sparked b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is signifies the importance of data and knowledge when compared to existing components as well as the extension of automation via intelligent machines to the areas of intelligent labor. Fostering talented people who generate new knowledge has become important as the society quickly changes into an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ociety. If the future society is an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ociety, the question, " What kind of talented people is there in the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ociety? " becomes important in order to educating those who will live in the future. To answer such questions,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ociety of talented people were defined as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y', 'making competency', 'professional competency', and 'humanity competency'. Next, we defined 12 factors, three by the core competency. Finally, we proposed total of 36 components, three by the factor. 지능정보사회는 디지털 혁명으로 촉발된 정보통신기술에 의해 변화된 사회이다. 데이터와 지식이 기존요소보다 중요해지고 지능화된 기계를 통한 자동화가 지적노동 영역까지 확장됨을 의미한다. 지능정보사회로 급변하면서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인재의 양성이 중요하게 되었다. 미래사회가 지능정보사회라면 “지능정보사회에서의 인재는 어떤 역량을 가진 자인가?”라는 질문은 우리 사회가 미래를 살아갈 인재를 교육하는 입장에서 중요한 질문이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지능정보사회를 살아갈 인재의 핵심역량을 ‘창의융합 역량’, ‘메이킹 역량’, ‘전문성 역량’, ‘인성 역량’ 등 4가지 역량으로 정의하고, 핵심역량별 특성요인을 3개씩 12개 요인으로 정의하였으며, 특성요인별 특성요소를 3개씩 총 36개 요소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지능정보사회에 대한 규범적 논의와 법정책적 대응

        김윤명 한국정보화진흥원 2016 정보화정책 Vol.23 No.4

        An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means intelligent superconducting society that goes beyond information society where information is centered. Now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is specifically discussed, it is time to start discussing the laws and systems for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where artificial intelligence plays a key role. At some point it may be too late to cope with singularity. Of course, it is not easy to predict how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change our society. However, there are concerns on what kind of relationship should humans build with AI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where algorithms rule the world or at least support decision making of humans. What is obvious is that humans dominating AI or ruling out AI will not be the answer. Discussions for legal framework to respond to the AI-based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needs to be achieved to a level that replaces the current human-based legal framework with AI. This is because legal improvement caused by the paradigm shift to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may assume emergence of new players-AI, robots, and objects-and even their subjectivation. 지능정보사회는 정보가 중심이 되는 정보사회를 한 단계 넘어선 지능형 초연결사회를 의미한다. 인공지능이 구체적으로 논의되는 지금, 인공지능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지능정보사회의 대응을 위한 법·제도에 대한 논의를 시작해야할 때이다. 어느 순간 특이점을 넘어설 때는 너무 늦은 대응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인공지능이 우리 사회를 어떻게 변화시킬 지는 예측하기가 쉽지 않다. 다만, 고민스러운 것은 알고리즘이 세상을 지배하거나 적어도 의사결정의 지원을 하게 될 지능정보사회에서 인간은 인공지능과 어떤 관계를 모색할 것인지 여부이다.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인공지능을 지배하거나, 또는 인공지능을 배제하는 것은 해결방안이 되기는 어렵다는 점이다. 인공지능이 중심에 서는 지능정보사회를 대응하기 위한 법제도적인 논의는 사람을 전제하는 현행 법제도를 인공지능으로 대체하는 수준까지 이뤄질 필요가 있다. 지능정보사회로의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법제 정비는 인공지능과 로봇, 그리고 사물이라는 새로운 객체의 출현과 그 객체의 주체화까지도 가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