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이과 통합 및 고교학점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대학 교육에 주는 시사점: 연구학교 및 선도학교를 중심으로

        최정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1

        The study examine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ntegration of literature and scienc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impact of these two systems on university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summarized in several ways. First, the overall understanding level of teachers about integrated education of the literature and science in high school was high. On the other hand, the level of teachers' understanding on the purpose and contents of "integrated society" and "integrated science" newly established is relatively low. Second, there were many teachers who responded negatively or reservedly rather than positively to the questions which ask whether integration will be successful. As for the possibility of success, teachers who are working in autonomous high schools are more positive than those in general high schools. Third, the overall level of understanding o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purpose of introducing this system, and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core contents were both high. Nevertheless, teachers who showed negative attitudes about the possibility of institutional settlement were more likely than teachers who showed positive attitudes. Fourth, high school teachers did not consider linking with university education in performing educational activities. Nevertheless, the need to link high school education with college education was highly recognized. Fifth, many teachers answered that the university education will be influenced by the integrated education of the literature and science in high school. It was expected that the integrated education would affect both the liberal arts education and the major education of the university. Teachers raised the necessity that the contents of the newly established subjects like "integrated society" and "integrated science" should be linked to university education. Finally, many teachers thought that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ould also affect college education, which they recognized as having a greater impact on major education than on liberal arts education. This research suggests that follow-up research is needed about the influence of the integrated education an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on university education. It is also necessary to de velop policies for linking high school education with university education. 이 논문은 최근에 도입된 고등학교 문·이과 통합교육과 고교학점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그리고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변화가 대학 교육에 미칠 영향에 대한 교사들의 태도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교육부 지정 연구학교와 선도학교 29개교에 재직 중인 교사 64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정리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우리나라 고등학교 교사들은 문·이과 통합 교육에 대해서는 5점 만점에 3.90점 수준으로, 고교학점제에 대해서는 3.86점 수준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의 이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두 제도의 정착 가능성에 대해서는 부정적이거나 유보적인 태도를 보인 교사가 문·이과 통합의 경우 64.9%, 고교학점제의 경우 78.7%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고등학교 교육성과와 대학 교육과의 연계성에 관한 질문에 대해 교사들은 그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그것을 고려하여 교육 활동을 하고 있지는 않았다. 문·이과 통합교육과 고교학점제 가 대학교육에 미칠 영향에 대하여는 다수의 교사가 긍정적으로 응답함으로써 우리나라 대학의 교육과정 개혁에서 두 가지 제도가 가져올 영향력에 유의할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특히 대학의 교양교육과 전공교육에 미칠 영향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는 또한 우리나라에서 그 동안 학문적 관심의 중심에서 벗어나 있었던 고교-대학 교육의 연계 문제가 갖는 중요성을 보여주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고전시가를 통한 문·이과 통합 교육 시론

        고은,정소연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2

        최근 들어 4차 산업혁명이라고 하는 인공지능 세대에 대해 예견하며 교육계에서도 새로운 시대에 맞는 창의융합 인재상에 대한 논의와 함께 문과와 이과의 경계를 넘어서는 통합 교육과정 개정안이 마련되었다. 문,이과 통합 인재를 위한 창의융합 교육을 지향하는 커다란 틀에 따라 문학교육, 그 중에서도 고전시가교육은 어떻게 나아가야 하는지 탐색해야 할 시점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문과의 중요한 과목으로 여겨진 문학교육, 그 중에서도 고전시가교육이 앞으로 문과와 이과의 구분이 없어지는 교실 상황 속에서 어떤 교육내용이 마련되어야 하는지 탐색하는 시론격의 논의를 진행하였다. 특히 본고에서 중점을 둔 부분은 그간 문과적 영역으로 이해되어온 문학, 특히 고전시가 분야를 어떻게 이과적 성향의 학습자에게 흥미를 유발하고 통합인재로 성장하기 위해 접근되어야 할지에 대한 것이다. 이에 문,이과 융합형 제재로서의 고전시가 작품들을 재조명하고, 이들 작품을 감상하고 해석하는 과정에 있어서 이전과는 다른 문·이과 통합형 교육으로의 접근 가능성을 살핌으로써 이과적 성향의 학습자들도 관심을 가지고 공부할 수 있을 만한 고전시가 교육의 방향에 대해 제안한다. Lately it is sai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come and next generation is in artificial intelligence. Relating thi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as announced, which raise up competent people talented in not only liberal arts but also natural sciences. According to this flow, we explored on the integrative education of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in literature education, especially in Korean classical poetry and songs education. Meanwhile the subject of literature is considered the students of tendency to liberal arts are good at it. So we look through how the students of tendency to natural sciences have interest and are highly accomplished. This discussion would like to propose an educational direction in which natural sciences major learners can also remain attentive by shedding new light on various works that can be utilized for a new purpose - integration of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majors for educating korean classical poetry and songs - and examining potential for different integrative approaches to these works, though it is an beginning essay.

      • KCI등재후보

        2012년 이후 남북한 교육제도의 비교·분석을 통한 교육통합 방안 연구

        이용을(Lee Yong-Eul) 한국공공사회학회 2018 공공사회연구 Vol.8 No.3

        이 논문은 통합교육과정 수립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민족 공동체 통일방안’ 3단계에 기초를 두고, 교육통합의 단계를 ‘평화공존 상황에서의 교육통합 방안’, ‘실질적 통합단계에서의 교육통합 방안’으로 나누어 제시해본다. 『한민족공동체 건설을 위한 3단계 통일방안(이하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은 대한민국의 공식적인 통일방안이다. 이 통일방안은 통일과정을 1단계인 화해․협력단계(평화정착, 교류․협력 제도화), 2단계인 남북연합단계(사회․문화․경제공동체 실현, 민족공동생활권 구축), 3단계인 통일국가 완성(정치공동체 실현, 단일민족국가 통일)의 3단계로 설정하고, 흡수통일이 아닌 통일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려는 점진적이고 단계적으로 성취한다는 것이다. 12년제 의무교육과 2015 문이과 통합 교육과정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면 첫째, 남북한은 공히 지식정보화시대에 부응하기 위한 교육정보화 추진, 둘째 남북통합교육과정의 형태, 셋째 남북한 통합교육의 비교, 넷째, 정치사상교과, 다섯째,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나누어 비교해 보았다. This paper seeks to lay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making plans for an integrated educational curriculum. To this end, I"d like to come up with an integrated curriculum. which divide into" an integrated educational curriculum under peaceful co-existence circumstances" and an integrated educational curriculum in the process of substantial integration. 『A Three-Stage Unification Plan for the Construction of Korean Community』is the official plan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unification plan groups the unification progress into three stages: the conciliation and cooperation in the first stage, the south-north confederation in the second stage, and the completion of a unified nation in the third stage and seeks to achieve a progressive and gradual unification which can minimize the side effects resulting from other unification plan, not through absorption unification. I divided and examin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12-year compulsory education : firstly. the South and North Korea both push forward with educational information in order to respond to the knowledge-information society. secondly, the forms of South and North Korea integrated curriculum. thirdly, the comparison of South and North Korea integrated curriculum, fourthly, subjects of political thoughts, and lastly, creative experience

      • KCI등재

        영미문학 교육과 사이버네틱스

        강석진(Suk Jin Kang)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2020 영미문학교육 Vol.24 No.3

        Cybernetics, particularly second-generation cybernetics, may provide the framework for thinking and learning necessary for contemporaries living in a hyperconnected era. The educational content and teaching methods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need to be redesigned so that students can be more familiar with the products of modern science, including AI and virtual reality. In addition,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classes should demonstrate an inclusive and receptive attitude to the common languages of science, mathematics, and machine language as well as their achievements. The core competencies in the field currently classified as humanities need to be cultivated intensively so that graduates can contribute to social organization and live a meaningful life by providing values that can be shared with engineering and business students.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needs to reinforce the core competencies of humanities in line with modern industrial structures. It seems possible to partially consider a convergent approach with cybernetics and related management theories with aesthetic content in classes. Expanding aesthetic sensibility education into practical disciplines such as engineering and business management can also be meaningful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