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통합교과의 통합에 관한 시론적 논의

        이종원 ( Jongwon Yi ),이경진 ( Kyeongjin Lee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7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1 No.2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개정의 흐름 속에서 지금까지 통합교과의 성과를 살펴보고, 초등통합교과 교육과정 내에 여전히 잔재해 있는 분과주의적 경향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경향의 극복을 위한 이론적 탐색으로 교과의 의미를 살펴보았으며, 통합교과 통합을 위한 원리와 지향점을 규정하려고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2015개정에서도 주제별 교과서는 바·슬·즐 세 교과의 합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아직 진정한 탈학문적통합이라 이르기 어렵다. 교과는 고정된 실체가 아니기에 `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이란 세 통합교과는 필요에 의해 그 구분을 벗고 단일화가 가능하다. 세 교과가 하나로 통합된 새로운 통합교과는 분과적 지식이 추구하는 `앎`의 습득이 아니라 `삶`의 실천을 지향하는 존재론적 교육이어야 한다. 이러한 원리에 의하면 통합교과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발달 단계의 특성과 배움의 방식에만 맞는 것이 아니다. 1,2학년의 주제 중심의 통합교과는 외국의 활동학습(Classroom activity)의 형태처럼 모든 학년에 적용될 가능성을 내포한다. 향후 `통합 교과`의 궁극적 목적은 전 교과를 풀어헤쳐 통합할 것은 통합하고 분과로 가르칠 것은 분과로 가르치는 서로 상보적인 이중적 구조를 교육과정 내에 구현하는 것이다. 그러나 바·슬·즐이라는 교과명이 남아있는 한 통합교과는 저학년만의 교과라는 인식을 넘어서기 힘들다. 따라서 세 교과를 통합하는 일은 통합교과로서 그 성격을 명료히 하는 일이며, 교육의 대상과 범위를 확장하는 일이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previous accomplishments of integrated subjects in light of the history of educational curriculum reforms, and verified the tendency of departmentalism that persists within integrated subjects of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oday. To overcome this tendency, the meaning of “subject” was theoretically explored, and the principles of and purposes for unifying the integrated subjects sought. The results revealed that following the 2015 reform, the textbooks comprised three integrated subjects―Disciplined Life, Intelligent Life, and Pleasant Life―creating difficulty in referring to them as integrated beyond the subject matter. Since subjects are not fixed according to universality of truth or social consultation, it is possible to overlook their distinctiveness and integrate the three subjects as needed. A new integrated subject that combines these three subjects should form existential education, aimed at the practice of “living” and not the simple attainment of “knowledge” as pursued by departmentalism. According to this principle, integrated subjects not only f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al stage and the learning styles for first and second graders but, based on the same themes, also have the potential to be applied to all grades, which resembles the classroom activities in other countries. The ultimate goal is that “integrated subjects” accomplish a complementary dual structure alongside departmentalism within the educational curriculum: dismantling the entire curriculum and integrating and departmentalizing subjects as each require. However, as long as titles such as Disciplined Life, Intelligent Life, and Pleasant Life are retained, it will be difficult to overcome the idea that integrated subjects are for the lower grades only. Therefore, combining these three subjects will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integrated subjects and extend the educational target and scope.

      • KCI등재

        초등학교 통합교과 이해를 위한 몇 가지 구상

        김세영 ( Seyoung Ki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8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 현존하는 통합교과의 성격과 특성을 이해하기 위함이다. 통합교과는 그 성격에 대한 이해가 충분할 정도로 논의가 풍성하나, 그것을 교과로 인식 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언제나 이해의 대상이 되어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합교과가 교과로서 어떤 특성을 지녔는지 알아보기 위해 몇 가지 질문을 던져보고 이에 답해 봄으로써 통합교과의 교과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때, 제도적 교과의 의미, 여러 종류의 교과 설정 유형, Deng의 내용이론은 통합교과의 성격을 규명하는 도구가 되었다. 연구 결과, 통합교과는 교육과정 체제면과 법적인 면으로 교과의 위상을 확보하고 있으며, 생활 중심 교과 유형으로서 고유한 교육과정 조직 방식과 내용이론을 구축하고 있는 교과임이 입증되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s and nature of the integrated subjects in elementary schools. There is sufficient research into the nature of the integrated subjects. However, there is controversy over whether the integrated subjects can be recognized as a subject matter. Therefore, in this study, we asked several questions to find out which characters an integrated subjects had. And by answering the questions, we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grated subjects as subject matter. The characters of integrated subjects have been identified by the meaning of institutional subjects, different types of subject matter setting, and Deng's theory of conten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ntegrated subjects held the status of the subject matter through curricular system and laws. In addition, the integrated subjects was proven to be a type of life-centered subject matter that builds its own way of organizing curriculum and theory of content.

      • KCI등재

        교과서 중심 통합교과 논술 수업 모형 구성

        김슬옹(Kim Seul-Ong) 돈암어문학회 2008 돈암어문학 Vol.- No.21

        이 논문은 교과서 중심의 통합교과에 의한 통합논술 교육 전략과 실제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통합교과 방식은 세 가지 기준으로 나눴다. 먼저 단일 교과냐 두 교과 이상이냐에 따라 소극적인 단일 교과통합(유형 1-1)과 적극적인 복합 교과통합(유형 1-2)으로 나눴다. 다음으로는 중심 교과 설정 여부에 따라 끌어들이기 교과통합(유형 2-1)과 내보내기 교과통합(유형 2-2), 주제 중심의 교과통합(유형 2-3)을 설정하였다. 세 번째로 외부 텍스트 끌어오기 방식에 따라, 열린 교과통합 1(유형 3-1), 열린 교과통합 2(유형 3-2), 열린 교과통합 3(유형 3-3)으로 설정하였다. 열린 교과통합 1은 교과서와 교과서 외의 단행본이나 주요 매체에 실린 글을 결합하는 방식이고, 열린 교과통합 2는 교과서 텍스트와 학생들이 직접 쓴 텍스트를 결합하는 방식이다. 열린 교과통합 3은 열린 교과통합 1과 2를 합친 것으로, 교과서와 교과서 외 텍스트, 학생들 텍스트를 모두 결합하는 방식이다. 여기서는 복합 교과통합(유형 1-2)이면서 주제 중심의 교과통합(유형 2-3)인, 열린 교과통합 2(유형 3-2) 방식의 수업 전략과 모형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presented a multi-subject integrated essay writing teaching method based on textbook centered subject integration. First, distinction was made between single subject integration(Type 1-1) and multi- subject integration(Type 1-2) depending whether it was on passive subject or active-subject basis. Single subject integration refers to the method of reconstructing Korean language related topics such as hearing, talking, writing and reading within the single subject of study. Next, depending on the core subject selection, a pulling-in subject reconstruction(Type 2-1) and a pushing-out subject reconstruction (Type 2-2), as well as a reconstruction of connecting different subjects on equal basis(Type 2-3) centered on one particular theme, were established. The pulling-in method is a method of integrating another subject with a given subject as the core, and the pushing-out method refers to applying the content or method of a subject, such as debate or singing or drawing, to another subject. Third, depending on the method of pulling in external text, further classifications of closed subject integration, open subject integration 1(Type 3-1), open subject integration 2(Type 3-2), and open subject integration 3(Type 3-3) were made. Closed subject integration is a textbooks-only reconstruction method. Open subject integration 1 is a method integrating textbooks and writings from publications and major media. Open subject integration 2 integrates textbook texts with texts written by students. Open subject integration 3 combines open subject integration 1 and 2, integrating textbook, non-textbook and student texts all together. In this paper, a teaching model for the open subject integration 2(Type 3-2) methods is presented.

      • KCI등재

        듀이의 경험 개념에 기초한 예비교사의 통합교과 수업설계경험의 의미 탐색

        박기용 ( Kiyong Park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8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2 No.3

        통합교과는 교사의 전문적 수업설계 능력이 다른 교과보다 더 요구되는 교과이므로, 교사를 준비하는 과정부터 예비교사들은 통합교과 수업을 ‘설계’해야 한다. 수업을 설계하는 일은 국가가 개발한 통합교과를 실행하는 것 그 이상의 적극적 사고와 실천을 기반으로 하는 지적인 문제해결활동이다. 통합교과를 어떻게 설계해야하는가에 대한 이상적 논리를 마련하는 일이 중요한 만큼, 이 논리를 경험하는 방식을 탐색하는 일도 중요하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가 통합교과 수업을 설계하는 일이 이론적 설계 논리를 이해하고 적용하는 것이 될 수 없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으며, 통합교과 수업을 설계하는 진정한 설계 경험이란 무엇인지 듀이의 경험개념을 토대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우선 듀이가 설명한 경험의 의미를 ‘상호작용과 계속성’, ‘능동과 수동의 결합’, ‘하나의 경험’ 개념을 중심으로 정리·종합하였다. 이 개념을 기초로 통합교과 수업설계경험의 의미를 각각 정리한 후, 최종적으로 이 4가지 개념들을 종합하여 예비교사가 통합교과 수업을 설계하는 경험의 과정을 4단계, 설계한 통합교과 수업안에 대한 문제 발견, 발견된 통합교과 수업안의 문제 명료화, 통합교과 수업안 문제의 해결방안 탐색, 해결방안을 적용한 통합교과 수업안 재설계 및 실행으로 구체화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의 통합교과 수업설계 활동이 이론적 통합교과(논리)에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통합교과에 대한 예비교사의 질성(심리)에서 시작하여 그 질성을 재구성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예비교사가 직접 자신만의 수업을 설계하고 설계된 결과에 대하여 계속 갈등하고 이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적극적인 사고를 해나간다면, 그 만큼 이론적 통합교과와의 상호작용은 증대될 것이며, 수업설계 경험은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교사교육자는 예비교사의 자유로운 사고와 갈등과 실패를 적극적으로 독려해야하고, 그들의 실패를 온 마음을 다해 인정해야하며, 그들이 실패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해주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instructional design experience of integrated subjects based on the Dewey’s philosophy. The value of integrated subjects is realized by teacher’s active design experience. Designing integrated subjects demands active thinking and practice. Therefore, pre-service teachers are in need of design experience about integrated subjects. This study examined and defined the meaning of pre-service teachers’ ideal instructional design experience of integrated subjects based on the Dewey’s philosophy about experience that is ‘interactivity’, ‘continuity’, ‘trying and undergoing’, and ‘having an exper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s; Firstly, designing integrated subjects means interaction with environment and reconstruction of design experience is formed through designing and redesigning. Secondly, the processes of ideal design experience of integrated subjects are four stages that are discovering the pre-service teachers’ problems from conflict between practice and theory, clarifying the problems by analysis and evaluation, exploring the solution by interact with theory, and revising and conduction the designed instruction of integrated subjects. The overall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starts of design experience for integrated subjects is pre-service teachers’ mind, not the logic or theory with regards to integrated subjects. The pre-service teachers as a naive, have to design their own instruction and think about designed instruction actively through interacting the theory.

      • KCI등재

        교육학 이론 및 실제 : 2009 개정 초등 통합교과 교육내용 구성방식에 관한 비판적 고찰: 특징과 향후 과제

        노철현 ( Cheol Hyeon Roh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4 한국초등교육 Vol.2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특징을 ‘통합의 거점’, ‘통합의 요소’,그리고 ‘통합교과와 분과교과의 차이와 관련’이라는 세 측면에 비추어 규정하고, 그와 관련된 향후 과제를 제시하는 데에 있다. 2009 개정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은, 제7차 교육과정 및 2007개정 교육과정이 교과간 통합과 탈교과적 통합의 불완전한 결합 형태를 띠고 있는 것과는 달리, 문자 그대로 탈교과적 통합을 지향한다. ‘대주제’, ‘소주제’, ‘활동주제’의 연쇄로 이루어지는 통합교과 교육내용 구성방식은, 첫째로, 종래 통합교과 교육과정이 기대고 있던 교과 사이의 구분을 없애는 기폭제로 작용하며, 둘째로, 학문으로서의 교과가 배제된 ‘활동’을 통합의 요소로 전면에 내세운다. 마지막으로, 이 관점은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언제나 쟁점이 되어온 통합교과와 분과교과 사이의 관련 문제를 원칙상 무효화한다. 그러나 본 연구의 관점에서 볼 때, 개정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주제체계는 통합교과의 통합을 떠받치는 논리적 근거의 문제, 통합의 요소인 활동 주제의 성격에 관한 문제, 그리고 초등학교 저학년군과 그 이후 학년군 사이의 교과간 연계에 관한 이론적 문제를 제기하며, 그에 상응하는 실제적 조치를 요청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in the National Curriculum 2009 based on ``standard of integration``, ``elements of integration``, ``relation between integrated subjects and separated subjects``, and propose the tasks in relation to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In contrast with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and 2007 revised curriculum,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in the National Curriculum 2009 aims for trans-disciplinary integration in the literal sense of the word. The method of organizing the subject-matters in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which is characterized by a chain of themes(main-themes, sub-themes, activity-themes), show us that 1) it breaks away from the idea of the academic distinction between subject-matters, 2) it proposes mere activities as the elements of integration, and 3) it negates relationship between integrated subjects and separated subjects. From the viewpoint of this article, however, we must give some answers to the following questions; 1) what is the rationale behind the integration of integrated subjects, 2) what is the characteristic of activity-themes as the elements of integration, 3) what does the relation between subject-matters in lower-level and higher-level grades cluster mean?

      • 현 한국의 음악교육과 관련된 통합교육 연구논문 자료조사

        유신실 ( Yu Shin Shil ) 한국달크로즈유리드믹스학회 2016 국내학술심포지엄 Vol.2016 No.-

        이 연구는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와 방대한 정보의 홍수 속에서 좀 더 교육의 효과를 높이고 통합적인 사고 능력을 키우기 위한 새로운 교육 방법들이 어떤 교과들과 연계하여 이루어 지는지, 어떤 연령에서 활발하게 연구되는지에 대해 학위 논문들을 조사하여 보았다. Riss 학술연구 정보 서비스 사이트를 통하여 ‘음악과 타 학문과의 통합 교육’, ‘융합 교육’, ‘음악과 국어통합 교육’, ‘음악과 과학 통합 교육’, ‘음악과 사회 교과 통합 교육’, ‘음악과 수학 교과 통합 교육’, ‘음악과 미술 교과 통합 교육’이라는 주제어로 검색한 결과 주제와 관련된 156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연구 경향을 외형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먼저 통합 교육 관련 이론적 배경으로 통합 교육에서 음악의 음악이 활용되는 이유를 각 교과목과 음악 간의 연관성을 살펴보는 것을 통해 고찰하였다. 또한 음악과 통합 교육에 관한 연구 논문 156편에 대하여 과목별, 연도별, 연령별 연구 동향을 분석해 보았다. 또한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진 시기와 가장 많이 연계되는 교과목, 가장 많이 연구되는 연령대를 분석했다. In fast-changing society and deluge of information, integrated education is considered as an essential thing and education methods has been developed day by day with emergence of integrated education. So in this article, we studied dissertations to know which subjects are related to new education methods for improving integrated thinking ability and increasing education effects more. We selected 156 articles relevant to the themes such as ‘Integrated education between music and other subjects’, ‘Integrated education’, ‘Integrated education between music and languages’, Integrated education music and science’, Integrated education music and society’, ‘Integrated education music and mathematics’ and ‘Integrated education music and arts’. Through these, we tried to analyze research tendency physically. Additionally, we analyzed 156 articles about integrated education and music and found out research tendency according to subjects, years and ages. Among 156 articles, we could organize like this way. 50 articles were for integrated education between music and other subjects, 7 articles were master’s thesis about educational method’ integrating music and science, 14 articles were related to integrated education between music and literatures, 26 articles were about integrated education between music and society, 14 articles were related to integrated education between music and mathematics and 45 articles were classified as integrated education articles between music and arts.

      • KCI등재

        중등 환경과 임용시험 문항의 기본이수과목 분포와 통합성에 관한 연구

        박창용,정민걸 한국환경교육학회 2023 環境 敎育 Vol.36 No.2

        This study analyzed the problem of public secondary school teacher employment examinations for the school years of 2021 and 2023, based on ‘Detailed Contents and Evaluation Areas of Basic Subjects’. The result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amination for 2021 covered 9 basic subjects excluding marine environment, while the examination for 2023 included all the 10 basic subjects. Out of all 37 evaluation areas, the examination for 2021 covered a set of 24 areas, while the examination for 2023 covered another set 24 areas. The examinations for the two school years covered 34 of the 37 evaluation areas, and could measure the qualities of environmental teachers through a fairly broad range of evaluation areas. Second, of the 46 problems of the two examinations, 20 problems integrated two or more evaluation areas. Among the 20 integrated problems, 12 integrated the areas within a single basic subject, 7 integrated two basic subjects, 1 integrated three basic subjects. Among the 20 integrated problems, 2 problems integrated education subject and content subject. Nearly half of the integrated problems asked a word or a phrase as an answer, even though they are descriptive problems. Thus it seems that such approach to answer in the integrated problems needs to be improved to meet integration. Third, there in an urgent need to study the revision of the basic subjects in environment subject. The basic subjects have not changed for more than 15 years, and the related majors have remained nearly same for more than 23 years. Therefore, The basic subjects and the curriculum of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need to be revised to mee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secondary school curriculum and current situation. Based on these result, the approach to answer in integrated problems needs to be improved to accurately evaluate the qualities required for environmental teacher. And also researches to revise the basic subjects and evaluation areas required to meet 2022 revised curriculum. 본 연구는 2021학년과 2023학년도에 실시된 환경교사 임용시험 출제 문항에 대하여 ‘기본이수과목 평가 영역 상세화 기준’을 분석틀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0개의 기본이수과목 중에서 2021학년도의 경우에는 해양환경론을 제외한 9개 기본이수과목에서 문항이 출제되었고, 2023학년도의 경우에는 10개 기본이수과목 모두에서 문항이 출제되었다. 37개의 평가영역 중에서는 2021학년도의 경우에는 24개의 평가영역에서 문항이 출제되었고 2023학년도의 경우에는 24개의 평가영역에서 출제되었다. 2개년도 임용시험에서 출제된 총 46문항의 평가영역을 보면 37개 평가영역 중 34개의 평가영역에서 문항이 출제되어 상당히 많은 평가영역에서 골고루 문항이 개발되어 환경교사의 자질을 측정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2021학년도와 2023학년도 환경교사 임용시험 46문항 중에서 20문항에서 통합적으로 출제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통합적으로 출제된 20문항 중에서 한 기본이수과목 내 평가 영역이 통합적으로 출제된 문항은 12문항이었고 기본이수과목 두 과목이 통합적으로 출제된 문항이 7문항이었으며 기본이수과목 세 과목이 통합적으로 출제된 문항은 1문항이었다. 이 중에서 교과교육영역과 교과내용영역이 통합적으로 출제된 문항은 2문항이었다. 절반에 가까운 문항이 통합적으로 출제된 것은 사실이지만 서술형평가 문항임에도 불구하고 단답형으로 답안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아 그 부분은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셋째, 환경과의 기본이수과목에 대한 개선 연구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한다. 기본이수과목은 15년 넘게 변화가 없었으며 관련 학과 또한 23년 넘게 동일하게 유지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중등 교육과정 개정과 시대적인 변화에 상응하는 기본이수과목 및 평가영역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임용시험에서는 환경교사에게 필요한 자질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통합적인 문항이 출제되어야 하며, 개정된 중등 환경과 교육과정과 시대적인 상황을 반영한 기본이수과목 및 평가영역에 대한 개선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 교과와 타 교과와의주제 중심 통합교육 수업 지도방안

        심지아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A Study of Guidance Plan for the Theme-centeredIntegrated Education of Music and Other Subjects,According to Revised 2009 CurriculumJia Shim Abstract: In modern society, learning has developed into a more professional and systematic form, and there has been a drastic increase in knowledge. However, integrated thinking skills, which compose this in a meaningful and systematic manner, have actually regressed.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it is considered that integrated education, which enables for well-rounded development with holistic thinking abilities and integrated discernment, is needed. The research method and contents of this study are listed in the following. First, integrated education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me based integrated education were considered. Second, the evidence of integrated education displayed in the middle school education curriculum of 2009 was examined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integrated education through connection between music and other subjects. Third, musical pieces in music subject was based on to select the theme associated with the integrated education of music and subjects such as Korean language・Art・Society, and a teaching-learning guidance plan was provided. The integration between Music, Social studies, and Korean language subjects was conceived as a unit called ‘Patriotism’, and integration between Music and Art subjects was conceived as a unit called ‘Nature and Environment.’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plans and application of measures and guidance for more professional and creative integrated education between various subjects are to be implemented in the future. Key Words: Theme-centered Integrated Education of Music, Revised 2009 Curriculum, A Study of Guidance Plan, Music Educational Plan, Various Subjects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 교과와 타 교과와의주제 중심 통합교육 수업 지도방안심 지 아** 연구 목적: 현대 사회에는 전문적이며 체계적인 지식과 정보는 폭발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이를 의미 있게 조직하고 구성할 수 있는 통합적 사고력은 그에 미치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총체적인 사고력과 통합적 안목을 지닐 수 있도록 하는 통합교육이 꼭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연구 방법: 본 논문에서는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주제 중심통합수업지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통합교육과 주제 중심 통합교육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한다. 둘째, 음악과 타 교과 간 연계를 통한 통합교육의 타당성 입증하기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통합교육의 근거를 검토해본다. 셋째, 음악 교과에 나온 제재곡 중심으로 국어, 미술, 사회교과와 통합교육에 연관성 있는 주제를 선정하여 교수-학습 지도안을 마련한다. 연구 내용: 음악, 사회, 국어 교과 간 통합은 ‘조국애’라는 단원으로, 음악과 미술 교과 간 통합은 ‘자연과 환경’이라는 단원으로 지도안을 구상하였다. 결론 및 제언: 주제 중심 통합교육은 학생들의 흥미를 고려한 주제를 선택하고 이에 따라 교육을 실시하기 때문에 음악수업에 관심을 가질 수 있으며. 자발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다른 교과와의 연계를 통해 총체적인 안목을 갖도록 하여 음악의 생활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앞으로도 음악과 다양한 교과 간에 전문적이며 창의적인 통합 교육에 대한 방안 및 지도안 계속 나오길 바란다. 핵심어: 음악과 주제중심통합교육, 2009개정 교육과정, 지도방안, 음악교육방안, 다양한 주제 □ 접수일: 2022년 7월 27일, 수정일: 2022년 8월 15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본 논문은 저자의 석사학위논문의 일부를 수정・보완한 것임. **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음악이론(음악학) 음악교육 박사과정(Doctoral Course, Chung-Ang Univ., Email: jia-86@hanmail.net)

      • KCI등재

        고등학교 윤리 교과서를 활용한 통합논술 지도방안 연구

        송기호 ( Gi Ho So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7 윤리교육연구 Vol.0 No.12

        2008년 이후의 대입 전형에 있어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는 통합 논술고사의 성격을 분석해봄으로써 현행 7차 교육과정 하에서의 윤리 교과서의 역할에 대하여 새롭게 조명해 볼 필요성이 있다. 다양한 교과목들에서 습득한 지식들과 그림, 그래프, 통계, 문학작품, 신문사설 등을 유기적으로 종합하여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만 하는 ``통합교과형`` 논술에서 윤리 교과는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 것인가 현행, 한국의 논술고사가 프랑스의 바칼로레아와 미국의 실용주의에 토대를 둔 것이라면 윤리 교과가 논술에서 차지하는 위상은 재고될 필요성이 있다. 윤리교과가 논술에서 갖는 상관 관계가 밀접한 만큼 교과 현장에서의 윤리 학습도 논술형태에 맞추어서 재구성되어야만 할 것이다. 윤리교과서속에서 쟁점화되는 제시문들을 통하여 논점을 찾아내고 이를 토대로 사회 현상과 관련시켜 자신의 독창적인 주장을 SET지안에 요약해보며 그 주장하는 논거를 교과서속의 철학사상을 활용하여 나만의 인용구로 활용해보는 등 일체화학습을 진행시켜 나간다면, 논술은 윤리 교과안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될 수 있을 것이다. 전체적으로 볼 때, 여러 교과간의 지식이 통합되는 최근의 논술고사 성향 가운데, 특히 도덕·윤리 교과는 논술을 담당하는 중심 교과로서의 역할을 담당해 나가야만 할 것으로 사료된다. It is necessary that we contemplate a new role of ethics textbooks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 of integrated-subjects-essay-writing which will be a crucial factor for university admission procedures in 2008. What kind of role that ethics should play on integrated subjects essay writing, which will be performed by integrating knowledge acquired through various subjects studying, pictures, graphs, statistics, literature works, newspaper editorials? If we assume ongoing integrated subjects essay writing tests in Korea are rooted from the French baccalaureat and American pragmatism, the status of ethics in integrated subjects essay writing should be reconsidered. Now ethics has closer correlation with integrated subjects essay writing. The ethics teaching methods in school contexts are required to be redesigned in accordance with the writing. Students are expected to carry out the writing successfully through ethics, recognizing controversial passages in the text book, and then relating the passages with social phenomena, putting their own views on SET paper, utilizing the paper based on philosophical ideas in the textbooks as their own quotations. Ethics are expected to take a leading role on integrated subjects essay writing, given that integrated subjects essay writing requires integrated knowledge of various subjects.

      • KCI등재

        2015 개정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이한나 ( Lee¸ Hanna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1 초등교육연구 Vol.34 No.3

        이 연구에서는 제5차 통합교과 교육과정 개발 이후 일관적으로 지향해 온 통합교과의 탈교과적 접근에 비추어 볼 때, 2015 개정 통합교과 교육과정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2015 개정 통합교과 교육과정은 두 가지 점에서 지금까지 통합교과 교육과정이 교육의 내용을 학습자의 삶을 중심으로 구성하고 조직하는 탈교과적 통합을 지향해 온 것과 차이가 있었다. 첫째,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다룰 때 사용해 온 ‘주제(대주제, 소주제, 활동주제)’를 ‘영역, 개념, 지식, 내용’ 등의 용어로 대체한 점, 둘째, 통합교과를 분과교과와 연계하도록 안내하는 점이었다. 이런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통합교과가 통합교육과정으로서 특수한 지향점과 국가수준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하나의 교과교육과정으로서 일반적인 요구사항을 모두 반영해야 하는 딜레마를 논의할 수 있었다. 하나는 탈교과적 통합을 지향하면서도 이를 다시 교과라는 틀로 제시해야 한다는 점, 다른 하나는 타 교과들과 구별되는 영역을 가지고 통합교과만의 독자적인 내용을 다루면서, 그것이 종국에는 학생들이 통합교과 이후에 학습하게 될 교과들과 연계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 두 가지 쟁점은 향후 통합교과 교육과정 개정에서도 숙고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critically reviewed the 2015 revised integrated curriculum which reflected the direc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light of the consistent direction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ain revision of the 2015 revised integrated curriculum differed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 integrated curriculum has formed. In particular, it replaces the ‘topics’ that have been used to deal with the contents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with ‘concepts, knowledge, and contents’ and guides each integrated subject to be linked to specific subjects. This contrasts with the fact that the integrated curriculum has been aiming for trans-disciplinary integration, which organizes the curriculum around the lives of learners. Through this, I discussed the dilemma that the integrated curriculum should overcome. The dilemma is that while the integrated curriculum aims for trans-subject integration, it should be presented in the framework of the subject again and while dealing with the unique contents of integrated subjects that distinguish them from other subjects, it should eventually be linked to other subj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