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설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과 양육환경- 일반청소년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이상준 한국청소년학회 2008 청소년학연구 Vol.1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differences there were in psychosocial adjustment between institutionalized and non-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and what differences caring environments made to their psychosocial adjustmen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37 institutionalized teens and 386 non-institutionalized one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there were generally no differences between the institutionalized and non-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in self-esteem and social skills, which were the indicators of psychosocial adjustment. Second, In the event of the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the boys, girls, elementary schoolers and middle schoolers who were raised in better environments excelled their counterparts who were raised in worse environments in terms of self-esteem, and caring environments made no differences to the self-esteem of the high schoolers. Third, the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whose caring environments were better outdid the others whose caring environments were worse in social skills irrespective of gender and grade of school. 본 연구는 시설청소년들과 일반청소년들의 심리사회적 적응 수준과, 그리고 이들이 지각한 양육환경에 수준에 따른 심리사회적 적응은 성별과 학교급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자 하였다. 이를 위해 15개 아동복지시설 청소년 400명과 6개 초·중·고등학교 42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성별과 학교급에 따라 할당표집으로 조사하여 시설청소년 337명과 일반청소년 386명의 자료를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으로 시설청소년들과 일반청소년들 간에 심리사회적 적응의 지표인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기술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별에 따라서는 사회적 기술의 하위영역에서 시설남학생이 일반남학생보다 주장성이, 일반여학생이 시설여학생보다 공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급에 따라서는 초등학생집단에서는 일반초등학생이 시설초등학생보다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기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기술의 하위영역은 협동성과 공감에서만 일반초등학생이 시설초등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양육환경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에서는 시설청소년의 남학생과 여학생, 초등학생과 중학생들이, 일반청소년의 남학생과 여학생, 초등학생과 중학생, 고등학생들이 양육환경을 더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집단이 덜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집단보다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고등학생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양육환경에 따른 사회적 기술의 차이에서는 시설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성별과 학교급 모두에서 양육환경을 더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집단이 덜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집단보다 사회적 기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일반청소년과 시설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와 학교적응 비교

        남영옥,이상준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8 미래청소년학회지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ich difference there is in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between home-reared adolescents and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and to grasp which effects these adolescents' social support has on adaptation to school. To do thi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that analyzed materials in 228 home-reared adolescents and 242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targe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middle-school students. First, the home-reared elementary-school students were indicated to have higher perception on care-giver's support compared to institutionalized elementary-school students. Second, the institutionalized middle-school students were indicated to have higher perception on friend's support compared to home-reared middle-school students. Third, as for male students, female students, and middle-school students, the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were indicated to have higher perception on teacher's support compared to home-reared adolescents. Fourth, the adaptation to school was indicated to be performed better by home-reared female students than institutionalized female students, and by home-reared elementary-school students than institutionalized elementary-school students. Fifth, in case of home-reared adolescents, the higher perception on care-giver's support, friend's support, and teacher's support led to showing the higher level in adjustment to school. And, in case of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the higher perception on care-giver's support and teacher's support led to showing the higher level in adjustment to school. 본 연구는 일반청소년들과 시설청소년들의 사회적 지지와 학교적응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들의 사회적 지지가 학교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일반청소년 228명, 시설청소년 242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초등학생들이 시설초등학생들에 비해 양육자지지를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설중학생들이 일반중학생들에 비해 친구지지를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학생과 여학생, 중학생들에서 시설청소년들이 일반청소년들에 비해 교사지지를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체적으로 일반청소년들과 시설청소년들 간에 학교적응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별과 학교급에 따라서는 일반여학생들이 시설여학생들에 비해서, 그리고 일반초등학생들이 시설초등학생들에 비해서 학교적응을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일반청소년들은 양육자지지와 친구지지, 교사지지를 높게 인식할수록, 그리고 시설청소년들은 양육자지지와 교사지지를 높게 인식할수록 학교적응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일반가정 청소년과 시설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흡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연구 - 대구광역시 청소년을 중심으로 -

        서보준,김우호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5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2 No.2

        This study aims to compare two groups to see if stress has an impact on smoking in normal family adolescents vs.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To this end, it conducts a survey of 109 normal family adolescents and 112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in Daegu and the collected data are analyzed using SPSS (18.0)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with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 bivariate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z test. As a result, first, stress difference analysis suggests that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suffer from higher stress than normal family adolescents in general. Second, normal family adolescents suffer from their own stress, school life stress, and family life stress other than peer relation stress, which have an impact on smoking. Third,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suffer from peer relation stress, family life stress, and school life stress other than their own stress, which have an impact on smoking. Fourth, to look at the difference in the impact of stress on smoking in normal family adolescents vs.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are at the higher level of stress than normal family adolescents enough to have an impact on smoking. This suggests that higher stress leads to more smoking. 본 연구는 일반가정 청소년과 시설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흡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두 집단 간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일반가정 청소년 109명과 시설 청소년 1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18.0) 통계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 이변량 분석, 중다회귀분석, z 검정을 적용하여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트레스 차이분석에서는 시설 청소년들이 일반가정 청소년들보다 전체적으로 높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가정 청소년들은 교우관계 스트레스를 제외한 자기 자신 스트레스, 학교생활 스트레스, 가정생활 스트레스가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설 청소년들은 자기 자신 스트레스를 제외한 교우관계 스트레스, 가정생활 스트레스, 학교생활 스트레스가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반가정 청소년과 시설 청소년들의 스트레스가 흡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차이는 시설 청소년들이 일반가정 청소년들보다 전체적으로 높은 스트레스 수준으로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흡연을 경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KCI등재후보

        시설 및 일반가정에 거주하는 중고등학생들의 성지식과 성가치관에 관한 연구

        김경화,민하영 한국청소년학회 2005 청소년학연구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시설 및 일반 가정에 거주하는 중․고등학생의 성지식과 성가치관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구‧경북지역 소재의 중‧고등학교와 육아시설의 남녀 중‧고등학생 332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성지식에서 시설에서 부양되는 청소년들은 일반가정에 거주하는 청소년보다 보다 정확하지 못한 성지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유형과 연령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가정의 청소년들은 중학생집단과 고등학생 집단간의 성지식에 차이가 나타나는 반면, 시설 청소년들은 연령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시설청소년들은 성지식을 습득할 기회가 제한되어 있어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진학하더라도 일관된 성지식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하겠다. 성가치관에 있어서 시설청소년들은 일반가정의 청소년들에 비해 가부장적 고정관념을 더 많이 갖고 있었다. 성가치관은 거주유형과 성별에 따라 상호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일반가정에 거주하는 청소년의 경우에는 성별 간에 차이가 나타났으나, 시설에 거주하는 청소년 집단에서는 성별간의 차이가 없었으며, 남녀 모두 가부장적 성가치관을 내면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examine sexual knowledge and value of the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compared with home-reared adolescent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332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and in the province of Gyeongsangbuk-do .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institutional youth indicated a much lower level of adequate knowledge about sexual matters than the non-institutional youth (t=-6.48, p<.001). On one h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home-reared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on possessing the sexual knowledge(F=30.09, p<.001). On the other hand, the institutionalized students revealed ignorable age-related differences in the acquisition of sexual knowledge(F=1.22). Finally,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concerning the view of sexuality the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were more strongly adhered to sexual ideology, leading to their negative attitude toward sexuality, than the home-reared adolescents. The home-reared students revealed significant gaps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among the institutionalized students.

      • KCI등재

        악기연주 활동을 통한 시설청소년의 사회적기술에 대한 효과 연구

        조정은 한국청소년학회 2010 청소년학연구 Vol.17 No.7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examine how playing musical instruments affects the social skills of adolescents living in care institutions. For this purpose, the adolescents were asked to engage in musical activities, using instruments that are easily accessible at regular schools, as a way of emotional expression in consideration of the psychological, emotional and social changes that the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go through. The research examined whether playing musical instruments had any influence on the adolescents’ social skills in terms of leadership, diligence, sociability and law-abiding spirit. Nineteen adolescents at H Welfare Institute, located in city of Gwangju, were chosen to take a social skills test. The instrument-playing program included song sand tunes from a music textbook for first-year highschool students. The program operated for four months ,and then the participants took the same social skills test for post-evaluation.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 adolescents in the experiment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social skill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comparing scores of the pre- and post- tests, it was observed that significant improvement was made in all four categories of leadership, diligence, sociability and law-abiding spirit. 본 연구는 악기연주 활동이 시설청소년들의 사회적기술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육환경을 중심으로 심리적, 정서적, 사회적인 변화를 고려하여 다양한 감정을 표출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일반학교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악기들을 이용하여 연주활동의 기회를 제공하고, 사회적 기술(지도력, 근면성, 사교성, 준법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광주광역시 소재 H복지원 19명의 학생들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사회적기술 검사를 실시하였다. 악기연주 활동 프로그램은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곡을 중심으로 구성하여, 12회기를 실시한 후 사전검사와 동일한 사회적기술에 대한 척도검사를 통하여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악기연주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사회적기술 점수에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냈다. 또한 실험집단 내의 사전ㆍ사후 점수가 지도력, 근면성, 사교성, 준법성에 있어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 KCI등재

        시설보호 청소년의 음악치료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질적 연구

        최주희,남현우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7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시설보호 청소년의 음악치료 경험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들은 12세∼15세의 남자 청소년 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시설보호 청소년의 음악치료 경험의 본질적 의미를 알아내기 위하여 Giorgi의 현상학적 질적 연구 방법에 따라 인터뷰와 분석이 이루어졌다. 시설보호 청소년의 음악치료 경험은 연구 참여자의 심층면접을 분석한 결과, 15개의 하위구조와 5개의 주제, 3개의 본질특성으로 범주화 되었다. 시설보호 청소년의 음악치료 경험에서 나타난 주제는 ‘음악치료가 뭐지?’, ‘자유롭고 편안해요.’, ‘마음이 안 좋았어요.’, ‘시설생활이 가끔 힘들어요.’, ‘음악치료가 좋아요.’로 나타났다. 이러한 주제들이 범주화 된 본질특성은 ‘생소했던 음악치료’, ‘발생된 정서적 경험’, ‘시설의 엄격한 규율화에 대한 도피’로 나타났다. 도출된 주제들을 구조적으로 통합하여 시설보호 청소년들의 음악치료 경험의 의미를 진술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음악치료를 통하여 시설보호 청소년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논의와 한계점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eply understand the music therapy experience of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and to explore their views on their experiences. Thos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seven boys aged between 12 and 15 years. Interviews and analyse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Giorgi's phenomenological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determine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music therapy experience of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They were 15 sub- structures, 5 subjects, and 3 essence traits of music therapy experience of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Major themes of music therapy experience of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were 'what is music therapy?', 'free and comfortable', 'I was not feeling well', 'facility life is sometimes difficult', and 'I like music therapy'. The categorized natures of these topics were 'unfamiliar music therapy', 'emotional experience', and 'escape to strict discipline of the facility'. Results of this study, discuss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understanding the experiences of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through music therapy are presented.

      • KCI등재

        시설거주 청소년의 삶의 의미, 신체상, 자존감 및 이타성과 탄력성간의 관계

        이안영,김진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6 한국청소년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시설거주 청소년의 성에 따라 삶의 의미, 신체상, 자존감, 이타성 및 탄력성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들 변인 간 관계와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전국 18개 시설에 거주하는 만 13세부터 24세 사이의 청소년으로 남자 122명, 여자 133명, 총 255명이었다. 연구 결과 첫째, 시설거주 청소년의 삶의 의미, 신체상, 이타성 및 탄력성에 성차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남자는 여자보다 신체상 전체와 삶의 의미 전체, 삶의 의미 하위영역인 삶의 즐거움이 유의하게 높았다. 여자는 남자보다 이타성 하위영역인 협력․조력과 탄력성의 하위영역인 대인관계가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시설거주 청소년의 삶의 의미, 신체상, 자존감, 이타성과 탄력성간 관계는 정적 상관관계였다. 즉, 삶의 의미, 신체상, 자존감, 이타성 수준이 높으면 탄력성 수준도 높았다. 셋째, 시설거주 청소년의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력은 삶의 의미, 이타성, 자존감 순서로 유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meaning of life, body image, self-esteem, altruism, and resilience in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as well as how these variables affected on resilience. The subjects were two-hundred and fifty five adolescents (122 boys, 133 girls) aged from 13 to 24 in 18 residential welfare institutions across the country.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Purpose In Life (Crumbaugh & Maholick, 1969)', 'Body Esteem Scale(Mendelson, Mendelson, Andrews, Balfour, & Bucholz, 1997)', 'Self-Esteem Scale(Rosenberg, 1965)', 'Altruism Scale(Lee, 1993)', 'Ego-Resiliency Scale(Block & Kremen, 1996)'.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meaning of life, body image, altruism and resilience as a function of sex. That is, boys bettered in body image, meaning of life, and happiness of life than girls. However, girls had higher degree of cooperation․suppor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meaning of life, body image, self-esteem, and altruism and resilience. This means that where the meaning of life, body image, self-esteem, and altruism are high, the resilience becomes high. Third, the adolescents' meaning of life, self-esteem, and altruism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ir resilience, but body image had no influence.

      • KCI등재

        시설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사회적지지 지각과 공격성간의 관계

        유안진,한유진,최나야 대한가정학회 2002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4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of social support and aggression of early adolescents. The subject were 220 adolescents aged 11 & 14 years, who were enrolled 11 child welfare facilities or 6 public schools(3 elementary & 3 middle schools) in Seoul. That is, 110 institutionalized(IA) & 110 middle class home-reared adolescent (HA)s were examined. They subjec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 on social support and aggres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1)IAs perceived less support from peers or adults and showed more aggressive behaviors than HAs. 2)Significant sex difference was observed in aggression. Girls showed lower level of aggression than boys. 3)Adolescents' aggress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ocial support. The more support from friends, classmates, and parents HAs perceive, the less aggression they reported. Though support from peers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only with anger expression, support from parents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all the components of aggression. And the more support from friends and classmates IAs perceive, the less aggression they reported. These findings implicate that social support is a important factor in preventing aggressive behaviors of early adolescents.

      • KCI등재

        시설보호 아동 · 청소년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

        김예린(Kim, Yerin),유순화(Yoo, Soonhwa),안진영(An, Jinyou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8 한국청소년연구 Vol.29 No.3

        본 연구는 국내에서 발표된 시설보호 아동․청소년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 관련 최근 연구 논문을 분석하여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와 시설보호 아동․청소년 대상의 집단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2년부터 2017년 사이의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시설보호 아동 · 청소년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에 관련된 연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와 국회도서관 논문 데이터베이스에서 ‘시설보호 아동 · 청소년’, ‘집단 프로그램’을 주제어로 수집하여, 총 62편을 본 연구의 분석대상 논문으로 선정하였다. 분석결과, 문헌적 특징은 2002년부터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사회과학 분야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론적 근거는 문화예술을 바탕으로 한 프로그램이 51.6%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주제로는 정서 관련 주제가 37%로 가장 많았다. 연구방법으로는 1편의 질적연구를 제외한 61편의 연구가 실험 설계 방법을 실시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포함한 실험연구가 총 24편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측정도구에서는 정서관련 척도가 38.7%로 가장 높은 비율이었다. 구조적요인에서 연구대상은 초 · 중 · 고등학생으로 다양했으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논문이 49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프로그램은 집단 구성원 수 6명~10명, 집단회기 9~12회기, 회기당 운영시간 60~90분으로 진행된 방식이 많았다. 효과성은 54편의 논문이 효과성이 있다고 보고되었으며, 가장 많이 제시된 제언으로는 프로그램 적용의 다양화와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프로그램 제공의 필요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및 한계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group programs aimed at institutionalized children and adolescents in Korea. This paper also seeks to put forward for consideration basic materials aimed at better quality provision to group programs programs for institutionalized children and adolescents.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62 articles on group programs for institutionalized children and adolescents from 2002 to 2017 with evaluation factors including the follow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topic, research methods and measurement instruments, research subjects, structural factors, the everyday practices of such programs and their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The most frequent theoretical background appearing in such papers was culture and art. The most frequent subject was the emotional subject. Quantitative research was used the most as a research methodology. In terms of the measurement instruments used, emotion related scales were the most common. In terms of structural factors, 9∼12 sessions and 60~90 minutes per sitting was the most common. A total of 54 papers were reported to be effective, with the most frequent suggestions being the diversity of the program coverage in terms of both area and ag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gave rise to a number of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hich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일반청소년 및 가정외보호청소년 비교를 중심으로

        양은별,김태우,박은혜,이소연,정익중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5 학교사회복지 Vol.0 No.31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청소년과 가정외보호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공통요인으로 자아존중감, 우울․불안, 비행과 더불어 친구관계, 교사관계, 학업성적을 투입하고 다음으로 일반청소년에게 해당하는 친양육자태도와 지역사회만족도, 가정외보호청소년에게 해당하는 주양육자태도와 생활만족도를 각각 고유요인으로 투입하여 분석하였다. 한국청소년패널조사의 초등학교 4학년 패널 5차년도 자료와 전국 아동양육시설, 그룹홈, 가정위탁지원센터를 군집표집한 중학교 2학년 조사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일반청소년과 가정외보호청소년의 학교적응에 공통적으로 자아존중감, 학업성적이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비행은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일반청소년의 우울․불안은 학교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친양육자태도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외보호청소년의 경우에는 친구관계, 교사관계와 더불어 아동양육시설, 그룹홈, 위탁가정에서의 생활만족도가 학교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학교적응 향상을 위해서 대상 집단별 차별화된 개입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at predictors are needed to promote school adjustment of general adolescents and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and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For this purpose, we categorized the factors into common and unique factors. The data was obtained from the fifth wave of 2010 Korea Youth Panel Survey(KYPS), and from survey of 8th grade students in child residential institutions, group-homes and foster care support cent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ommon factors such as self-esteem, academic achievement were found to significantly increase school adjustment of both groups, whereas delinquency had a negative impact on school adjustment. Second, depression․anxiety and parenting attitude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school adjustment of general adolescents. Third, peer attachment, teacher attachment and life satisfaction in out-of-home care service have positive effects on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we need to offer differentiated intervention according to target groups to improve their school adjus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