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회과학원에서의 과학후비 육성 경험

        전국봉 ( Guk Bong Jeon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4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35 No.-

        지난 기간 사회과학원에서는 김일성종합대학과 김형직사범대학을 비롯한 중앙대학들과 지방대학의 사회과학부 졸업생들을 매해 수 십 명씩 받아 과학후비로 키워왔다. 그러나 1980년대에 이르러 온 사회의 주체사상화가 전면에 나서게 된 우리 혁명발전의 새로운 요구에 맞게 사회과학을 보다 높은 단계에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사회과학원 연구집단을 급속히 질량적으로 늘여야 하였으며 이것은 중앙과 지방대학의 사회과학부 졸업생들을 받는 것만으로는 원만히 해결할 수 없었다. 이에 주체 72(1983) 5월 사회과학원에서 사회과학부문 전문가 양성기관으로서 5년제 사회과학대학을 창설운영하도록 하는 조치를 취해주셨다. 이 조치에 의하여 주체 72(1983)년부터 창설된 사회과학대학에서는 매해40명 정도의 우수한 중학교 졸업생들을 받아 사회과학부문 전문가들을 키워내고 있다. 대학에서는 김일성종합대학 사회과학부문 학부들의 과정 안에 기초하여 1~2학년에서는 위대한 ○○님과 경애하는 장군님의 현행노작들과 백두산 3대장군의 혁명역사, 철학, 정치경제학, 조선역사와 세계역사, 한문과 외국어교육을 집중적으로 주고 3학년부터 전문부문학부로 나누어 그에 해당한 전문교육을 주고 있다. 대학 5학년에서는 주로 해당부문의 특강을 많이 조직하여 학년말에는 15~20일 기간의 혁명전지와 혁명사적지, 공장, 기업소, 협동농장, 명승지 등에 대한 현지답사와 견학, 참관 등을 진행한다.사회과학대학에서는 5년간의 과정을 마치게 되면 학생들로 하여금 졸업시험을 치고 졸업논문을 집필하여 변론하게 한다. 그리하여 졸업시험과 졸업논문에 통과된 학생들에 한하여 졸업증과 사회과학의 해당 부문 전문가자격을 주고 해당 연구소에 5급 연구사로 배치한다. 중앙과 지방대학 사회과학부문 학부, 학과를 졸업하였거나 사회과학대학을 졸업하고 사회과학원 해당 연구소에 배치된 성원들은 2~3년간 5급 연구사로 있으면서 전적으로 자질향상사업을 진행하며 과학적 자질을 높여 해당한 급수시험에 응시하는 방법으로 4급 연구사로 올라가며 같은 방법으로 3급, 2급, 1급 연구사로 발전하게 된다. 사회과학원에서는 학위소유자 대열을 끊임없이 늘이기 위하여 연구사들에게 학위논문집필을 적극 추진시키는 한편 전임, 특설, 통신학사반, 박사반 등 상설적인 박사원을 운영하고 있다. 전임, 통신 학사반생들은 1년간 사회과학의 원리적이며 기초적인 문제들에 대해 강의를 받고 학위논문 집필준비를 한 다음 2년 6개월 동안에 학위논문 집필을 완성하게 하여 심의한다. 이상과 같이 사회과학원에서는 과학후비육성사업을 과학연구사업과 함께 2대 혁명과업의 하나로 내세우고 힘 있게 내밀어 사회과학자들의 대를 훌륭히 이어나가고 있으며 앞으로의 사회과학발전을 믿음직하게 담보해나가고 있다. Social science institution established a five-year college of social science as a training school of the social sciences expert in 1973. According to this management, social science college that is established since 1983 has been cultivating the specialized student in social sciences by adopting superior graduates of a middle school about forty students every year. Social science college make students test a graduation examination after a five-year course and make them write a graduation thesis and give diploma only students passed a graduation thesis. Like wise, social science institution has been promoting upbringing of a scientific technician with a work of scientific research as revolutionary tasks and guaranteing development of social sciences.

      • KCI등재후보

        국제농업연구기관의 사회과학연구 동향 고찰 -국제미작연구소를 중심으로-

        윤순덕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04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research evolution and achievements, major activities, research manpower, and difficulties for social scientists, using IRRI's internal web site and Social Sciences Division's research literature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Social research started with the establishment of Agricultural Economics Division (AED) in 1966, and it was developed into the Social Sciences Division (SSD) in 1990; 2) Their research has been geared towards developing technological and policy interventions that improve food security and raise the well-being of rice farmers through sustainable increase in the productivity of a rice-based production system; 3) Major activities of social sciences research for about four decades can be classified into the identification of technology needs, technology impact assessment, policy analysis, research prioritization, and capacity building for social science research in NARS (National Agricultural Research Systems). They have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in alleviating the poverty of the rice growing and consuming population; 4) Social researchers at IRRI include economists, anthropologists, gender specialists, geographic information specialists, and rural sociologists; 5) Finally, this paper discusses the difficulties faced by social researchers.

      • KCI등재

        교의학과 인문·사회과학에 대한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본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의 학문적 위치

        강원돈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09 기독교사회윤리 Vol.18 No.-

        Christian social ethics make reflections on earnest attempts of the Christians to realize a better and more righteous life by regulating institutional things. Almost all relations of human beings to their inner lives, other persons and their environments are institutionalized; therefore there must be ethical approaches to these institutional aspects of human relationships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I define such attempts as Christian social ethics. In the article I would locate them in relation to dogmatics and to human and social sciences. Firstly, I deny the traditional thesis that ethics are defined as tasks of dogmatics, as Karl Barth has asserted it strongly. Even if Christian social ethics interpret institutions from a dogmatic perspective, such interpretations cannot take the place of analytical approaches to the reality of institutions. Christian social ethics stand on their own feet if they use dogmatics autonomously in articulating theological foundations of their ethical principles. Secondly, Christian social ethics can find out the place to integrate human and social scientific analyses of reality into ethical reflections if they distinguish criteria of ethical judgment from maxims of ethical praxis. The former is concerned in the transparence of the world to the kingdom of God and it must make clear what should be done in such a perspective. In the meanwhile the latter is, even in the vision of the Kingdom of God, rather interested in suggesting guidelines or alternative concepts to regulate institutional things under historical conditions of reality. In such connections Christian social ethics cannot escape from analyzing institutional realities with help of human and social sciences. Thirdly, Christian social ethics must be selective in using human and social scientific analyses of reality. They accept human and social sciences which can help to disclose ideological disguises, to break superstitions of laws which are suggested to be prevalent in history and society, to be responsible for the future and to promote democracy and public integrity through discourses in the civil society. 기독교사회윤리학은 제도적인 것을 규율함으로써 보던 선하고 보다 정의로운 삶을 실현하고자 하는 기독교인들의 진지한 노력을 성찰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인간이 자기 자신과 다른 사람들, 그리고 환경과 맺고 있는 관계들은 제도화되어 있기에 기독교적 관점에서 인간관계들의 제도적인 측면에 윤리학적인 접근을 할 필요가 있다. 나는 이러한 윤리학적 시도를 기독교사회윤리학이라고 규정한다. 이러한 전제 아래서 나는 한편으로는 교의학과의 관계에서, 또 다른 한편으로는 인문·사회과학과의 관계에서 기독교사회윤리학의 학문적 위상을 정립하고자 한다. 첫째, 나는 칼 바르트가 강력하게 주장한 바와 같이 윤리학을 교의학의 과제로 보는 전통적인 관점을 부정한다. 기독교사회윤리학이 교의학적 관점에서 제도를 해석한다 할지라도, 이러한 해석은 제도 현실에 대한 분석적 접근을 대신할 수 없다. 기독교사회윤리학은 윤리학적 원칙들의 신학적 근거를 명료하게 밝히고자 하는 맥락에서 교의학을 자기 나름대로 활용하여야 한다. 둘째, 기독교사회윤리학은 윤리적 판단의 규준과 윤리적 행위의 준칙을 구별함으로써 인문·사회과학적 현실분석을 윤리학적 성찰에 통합하는 적절한 장소를 발견할 수 있다. 윤리적 판단의 규준은 세상이 하나님 나라에 투명하게 되도록 하는 데 관심을 기울이며, 따라서 이러한 관점에서 당위적인 것을 규명하고자 한다. 반면에 윤리적 행위의 규준은 하나님 나라를 지향하면서도 역사적 현실 조건들 아래서 제도적인 것을 규율하는 지침이나 대안적 구상을 제시하는 데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인문·사회과학의 도움을 받으며 제도적인 현실을 분석하는 일을 피할 수 없다. 셋째, 기독교사회윤리학은 인문·사회과학적 현실분석을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기독교사회윤리학은 이데올로기적 가면들을 폭로하고, 역사와 사회를 지배한다고 참칭하는 법칙들에 대한 미신을 타파하고, 미래에 대한 책임을 촉진하고, 시민사회의 담론을 통하여 민주주의와 공공성을 구현하는 데 이바지하는 인문·사회과학의 통찰을 수용할 것이다.

      • 사회과학원에서의 과학후비 육성 경험

        전국봉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4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5-2

        지난 기간 사회과학원에서는 김일성종합대학과 김형직사범대학을 비롯한 중앙대학들과 지방대학의 사회과학부 졸업생들을 매해 수 십 명씩 받아 과학후비로 키워왔다. 그러나 1980년대에 이르러 온 사회의 주체사상화가 전면에 나서게 된 우리 혁명발전의 새로운 요구에 맞게 사회과학을 보다 높은 단계에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사회과학원 연구집단을 급속히 질량적으로 늘여야 하였으며 이것은 중앙과 지방 대학의 사회과학부 졸업생들을 받는 것만으로는 원만히 해결할 수 없었다. 이에 주체 72(1983) 5월 사회과학원에서 사회과학부문 전문가 양성기관으로서 5년제 사회과학대학을 창설·운영하도록 하는 조치를 취해주셨다. 이 조치에 의하여 주체 72(1983)년부터 창설된 사회과학대학에서는 매해40명 정도의 우수한 중학교 졸업생들을 받아 사회과학부문 전문가들을 키워내고 있다. 대학에서는 김일성종합대학 사회과학부문 학부들의 과정 안에 기초하여 1~2학년에서는 위대한 ○○님과 경애하는 장군님의 현행노작들과 백두산 3대장군의 혁명역사, 철학, 정치경제학, 조선역사와 세계역사, 한문과 외국어교육을 집중적으로 주고 3학년부터 전문부문학부로 나누어 그에 해당한 전문교육을 주고 있다. 대학 5학년에서는 주로 해당부문의 특강을 많이 조직하여 학년말에는 15~20일 기간의 혁명전지와 혁명사적지, 공장, 기업소, 협동농장, 명승지 등에 대한 현지답사와 견학, 참관 등을 진행한다. 사회과학대학에서는 5년간의 과정을 마치게 되면 학생들로 하여금 졸업시험을 치고 졸업논문을 집필하여 변론하게 한다. 그리하여 졸업시험과 졸업논문에 통과된 학생들에 한하여 졸업증과 사회과학의 해당 부문 전문가자격을 주고 해당 연구소에 5급 연구사로 배치한다. 중앙과 지방대학 사회과학부문 학부, 학과를 졸업하였거나 사회과학대학을 졸업하고 사회과학원 해당 연구소에 배치된 성원들은 2~3년간 5급 연구사로 있으면서 전적으로 자질향상사업을 진행하며 과학적 자질을 높여 해당한 급수시험에 응시하는 방법으로 4급 연구사로 올라가며 같은 방법으로 3급, 2급, 1급 연구사로 발전하게 된다. 사회과학원에서는 학위소유자 대열을 끊임없이 늘이기 위하여 연구사들에게 학위 논문집필을 적극 추진시키는 한편 전임, 특설, 통신학사반, 박사반 등 상설적인 박사원을 운영하고 있다. 전임, 통신 학사반생들은 1년간 사회과학의 원리적이며 기초적인 문제들에 대해 강의를 받고 학위논문 집필준비를 한 다음 2년 6개월 동안에 학위논문 집필을 완성하게 하여 심의한다. 이상과 같이 사회과학원에서는 과학후비육성사업을 과학연구사업과 함께 2대 혁명과업의 하나로 내세우고 힘 있게 내밀어 사회과학자들의 대를 훌륭히 이어나가고 있으며 앞으로의 사회과학발전을 믿음직하게 담보해나가고 있다. Social science institution established a five-year college of social science as a training school of the social sciences expert in 1973. According to this management, social science college that is established since 1983 has been cultivating the specialized student in social sciences by adopting superior graduates of a middle school about forty students every year. Social science college make students test a graduation examination after a five-year course and make them write a graduation thesis and give diploma only students passed a graduation thesis. Like wise, social science institution has been promoting upbringing of a scientific technician with a work of scientific research as revolutionary tasks and guaranteing development of social sciences.

      • 과학기술분야 정부 출연(연)의 사회적 가치 제고방안에 대한 사례연구

        김성철(Seong-cheol Kim),박인서(In-seo Park)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8 No.11

        공공기관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외국에서 일찍이 논의된 사회적 가치에 대해 우리나라는 이제 시작단계에 있다. 이중 과학기술은 정치·경제·사회·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과학기술분야 정부 출연(연)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우리는 과학기술분야 출연(연) 5개 기관을 대상으로 사회적 가치의 개념, 범위를 살펴보고, 각 기관의 대표적인 사례를 알아보았다. 또한 연구개발의 사회적 가치를 측정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고, 기관 종합평가에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을 알아보았다. 과학기술계 출연(연)은 연구성과에 대해 경제적인 분석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사회적 가치에 대한 평가는 미흡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각 기관의 사례를 통하여 다양한 영역에서 사회적 가치가 높은 결과를 도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가치를 높이는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해 적절한 적용과 평가를 포함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There was a lot of discussion about the social value of public institutions. Korea is in the beginning stage of the social value which was discussed earlier in foreign countries. Although science and technology have a great influence on politics, economics, society and culture, research on the social value of science and technology field is still lacking. We looked at the concept and scope of social values and examined the representative cases of five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GRIs) in science and technology. In addition, we examined the methode to measure the social valu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The economic analysis of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GRI in science and technology has been actively carried out, but the evaluation of social value is insufficient. Howeve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ase of each GRI,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ult of social value is derived from various areas. Policy support including appropriate application and evaluation is needed to promote research and development that enhances these social values.

      • KCI등재

        과학기술분야 정부 출연(연)의 사회적 가치 제고와성과측정 사례연구

        김성철,박인서 사단법인 사회적기업학회 2019 사회적기업연구 Vol.12 No.3

        Recently, the social value of public institutions has been actively discussed. Foreign countries have been researching and discussing about enhancing socialvalues and measuring performance, but Korea is now in full-fledged discussionin public institutions. Although science and technology have a great influenceon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in general, research on the socialvalue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GRIs) in science and technologyare still insufficient.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ual definition and scope of social values inline with the contributions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examinesrepresentative research cases of five GRIs. In addition, we reviewed somemethods to measure the social value of R&D performance and found ways toreflect them in the institutional evaluation. As a result of the case study, the social value of GRIs is based on theexpertise and creativity of R&D personnel and that of their research directlyrelated to the social problem solving. In addition, their research activities areexpected to contribute to disasters, environment, health and welfare, and localcontributions, and research support activitie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disasters, health and welfare, community contributions, and other communitycontributions. On the other hand, the evaluation of the social value of GRIs is insufficient compare with that of economical value. Policy support, including appropriateapplication and evaluation, is needed to stimulate research that raises thesesocial values. 근래 공공기관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사회적 가치 제고와 성과측정에 대하여 외국은 오래 전부터 연구와 논의가 있었으나 우리나라는 민간 대기업을 시작으로 이제 공공기관에서도 본격적인 논의단계에 있다. 과학기술은 정치·경제·사회·문화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과학기술분야정부 출연(연)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연구와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과학기술계 출연(연)에 부합하는 사회적 가치의 개념 정의, 범위를 살펴보고, 5개 기관을 대상으로 각각 대표적인 관련 연구사례를 알아보았다. 또한, 연구개발성과의 사회적 가치를 측정하기 위한 방안을검토하고, 이를 기관 종합평가지표에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을 알아보았다. 사례조사 결과, 과학기술계 출연(연)에 맞춘 사회적 가치는 연구개발인력의 전문성과 창의성을 바탕으로 국가 과학기술 관련 문제해결과 직결되는 연구성과에서 차별성을 보유하고 있었다. 그리고 연구활동을 통해재난, 환경, 건강·복지, 지역공헌에 기여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지원활동으로 재난, 건강·복지, 지역공헌, 기타 공동체 기여 등에 기여할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과학기술계 출연(연)은 연구성과에 대해 경제적인 분석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사회적 가치에대한 평가는 미흡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각 기관의 사례를 통하여 다양한 영역에서 사회적 가치가 높은 결과를 도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가치를 높이는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해 적절한 적용과 평가를 포함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 KCI등재

        스포츠사회과학 연구에서 생명윤리의 문제: IRB의 적용

        김동규,김현수 한국체육철학회 2015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3 No.4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Responsible Conduct of Research (RCR)' and ‘Good Research Practice (GRP)' expanding on all levels of the individual researchers and the research-related organizations in the recent years shall be applied to the social science researches in sports aiming for the quantification of recognition. Viewed from the fact that the protection of life is the main objective in the life ethics, the social science researches in sports, unlike the experiments and observations of the natural science, may be considered as irrelevant to the duty to protect the subject in terms of there being no physical contact. However,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rotection of the subject should be performed in the research areas of the social science as well. This reflect that the omission of the IRB discussion process may bring about the controversy for being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the direct damages result from the social science researches in sports, even though the life ethics ranges the whole researches targeting the human. The research of the victims of sexual assault in the area of sport psychology and that of the sexuality in the area of sport sociology fall into this category. In addition, the fact that IRB's deliberation of the researches aiming for aiming for the quantification of recognition should be obtained in the <Bioethics and Safety Act> may be the argument for this claim. And also, it is pointed out that life ethics may lead to a result which exceeds the 'consensus' among the members of the research communities of the social science in sport. 이 연구는 최근 연구관련 기관이나 연구자 개인에게 전방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책임 있는 연구의 수행(RCR)', '바람직한 연구의 실천(GRP)'의 개념이 인식의 계량화를 목적으로 하는 스포츠사회과학 연구에도 적용되어야 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논의하였다. 생명윤리가 피험자의 보호를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보면, 자연과학적 실험이나 관찰 등과는 달리 스포츠사회과학 연구들은 물리적인 접촉이 없다는 점에서 피험자의 보호의무와는 무관한 것으로 비춰질 수 있다. 하지만 이 연구에서는 사회과학 연구영역 또한 피험자 보호가 필요한 영역임을 주장하였다. 이는 생명윤리의 범위가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전반으로 정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포츠 사회과학 연구에 있어서 직접적인 피해유발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IRB 심의과정을 생략하는 것은 논란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스포츠심리학 연구에서 성폭행피해자 대상의 연구, 스포츠사회학 연구에서 섹슈얼리티와 관련한 연구 등이 그러한 경우들이 된다. 아울러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이 인식의 계량화를 목적으로 하는 연구들에 대해 IRB의 심의필을 요구한다는 것도 이러한 주장에 대한 논거가 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생명윤리는 스포츠사회과학 연구공동체 구성원들의 ‘합의’를 논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서는 결과를 초래하는 것임도 지적하였다.

      • KCI등재

        1930년대 미주 한인사회주의운동의 발생 배경과 초기 특징 ― 시카고의 재미한인사회과학연구회를 중심으로

        고정휴 한국근현대사학회 2010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54 No.-

        The Korean Academy of Social Science, KASS, was formed by a group of Korean students in Chicago, USA on October 18, 1930. Social Science here signifies the theory and practice of socialism at that time and in particular indicates Marxism and Leninism, which led to the Bolshevik Revolution. This research addresses three issues. The first concerns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the KASS's advocation of proletarian revolutions in the US-based Korean community, which was known to be conservative. The second issue deals with the organization and members of the KASS. Twenty-two have been so far known to have participated in it. It has been confirmed that several core members such as, Ko Pyung-nam, Kim Pong-sung, Kim Ho-chul, Lee Edward Young, and Han Se-kwang, attended Lewis Institute in the late 1920s and 1930s. They are also the members of the Korean Student Union(Koryo Hakuhoe, 高麗學友會) in Chicago. This report next presents the major activities of the KASS, one of which was to organize 'open lectures' and 'current situation forums,' informing the US-based Koreans of the world situation and the national movement trends of Korea and international society. These activities were aimed at taking the initiative of the national movement of the Korean society in the US and to propagate socialism.

      • KCI등재

        의제설정의 공공성으로 본 ‘한국형’ 인문사회과학 싱크탱크의 길

        이시윤 역사문제연구소 2024 역사비평 Vol.0 No.148

        1999년 정부출연 인문사회과학 국책연구기관들을 총괄하는 경제사회연구회와 인문사회연구회가 출범하고 2005년 경제·인문사회연구회로 통합된 이래 ‘한국형 싱크탱크(think tank)’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뤄져 왔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연구기관의 목표와 역할이라는 중심 정체성을 둘러싼 혼란 또한 오랜 기간 계속되었다. 이 글은 반복된 혼란의 근본적인 원인이 국책연구기관들이 생산해 온 지식의 공공성(公共性)에 대한 평가의 부재로부터 온다는 것을 지적하고, 공공성의 확보를 위해 상향식 의제설정을 확대하는 것으로부터 ‘한국형’의 길을 모색할 것을 제안한다. 먼저, 본고는 싱크탱크에서 생산된 지식의 공공성이 국가-시민사회-학술영역 사이 교집합을 형성하는 정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함을 골자로 하는 이론적 개념틀을 논의한다. 이어 2010년대 경제·인문사회연구회에서 수행된 796건의 연구 프로젝트 키워드 분석 결과를 통해 이곳이 거의 전적으로 하향식(top-down) 의제의 지식을 생산해 왔음을 본다. 결론에서는 국책연구기관이 아래로부터의 상향식(bottom-up) 의제 설정 채널의 확보를 통해 국가-시민사회-학술영역 사이 ‘생산적 긴장상태’를 형성함으로써 지식의 공공성을 확보할 것을 제안하고, 이로부터 인문사회과학 싱크탱크를 만들어 나가는 데 필요한 고민 지점들을 논의한다.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Economics and Social Sciences and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Humanities in 1999, which oversaw state-funded research institute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nd their merger into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Econom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 2005, efforts to build a “Korean think tank” have been ongoing. However, confusion over the central identity of research institutes’ goals and roles has persisted for a long time. This article argues that a fundamental cause of the repeated confusion is the lack of evaluation of the public nature of the knowledge produced by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and suggests that a ‘Korean-style’ path to securing publicity begins with expanding bottom-up agenda setting. First, this paper discusses a theoretical conceptual framework that suggests that the publicness of knowledge produced by think tanks should be evaluated by the extent to which it forms an intersection between the state, civil society, and academia. Then, through a keyword analysis of 796 research projects conducted by the Nationa Research Council for Econom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 the 2010s, we show that the institute has almost exclusively produced knowledge with a top-down agenda. In the conclusion, I propose that the institute should secure the publicness of its knowledge by creating a “productive tension” between the state, civil society, and the academic sphere through securing channels for bottom-up agenda-setting, and discuss the issues that need to be addressed in the futur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think tanks.

      • KCI등재

        한국전쟁과 냉전의 사회과학자들-한국전쟁의 경험은 어떻게 미국 냉전 사회과학의 일부가 되었는가?-

        정준영 ( Jung Joon Young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0 No.59

        이 논문은 냉전 사회과학 확립의 전환적인 계기로서 미국 사회과학의 한국전쟁 개입 과정과 그 내용을 분석한 연구 성과들에 기반 하여 주요한 쟁점과 연구 과제를 조망한 것이다. 미 공군대학의 인적자원연구소(HRRI)가 한국전쟁에서 실시한 조사연구 프로젝트를 분석의 준거로 삼았다. 제2차 세계대전의 종전으로 지식과 과학의 전쟁동원 역시 종료되었지만, 한국전쟁의 발발로 사회과학은 다시 국가에 복무할 기회를 부여받았다. 미국의 사회과학자들은 군의 요청에 따라 한국이라는 전장에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그 조사 결과는 사회과학의 방법으로 가공되어 미국 사회과학 저널에 학술 논문으로 게재되기도 하였다. 전쟁동원이라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도 ‘프로젝트 발주-현지조사-보고서 작성-연구논문 제출’이라는 학술연구의 전형적 프로세스가 작동했던 것이다. 이 논문에서 부각시키고자 한 것은 이 학술의 과정에서 추상화와 계량화를 통해 탈맥락화되고 은폐된 현실의 지점들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historical process of American social scientists’ intervention in the Korean War served as an opportunity to establish the cold war social science. The case of analysis is the research project conducted by the Human Resources Research Institute (HRRI) of the U.S. Air University in the Korean War. The war mobilization of academic knowledge was terminated by the end of World War II, but with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social science was given the opportunity to serve the state again. At the request of the army, American social scientists carried out the projects to collect and analyze data on the battlefield.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processed by the methods of social science and published as academic papers in the social science journals. Even in war mobilization, the typical process of academic research, “project ordering-field research-report preparation-submission of research paper”, worked normally. What is intended to be analyzed in this paper are points of reality decontextualized and concealed through abstraction and quantification in the course of that academic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