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학협력정책의 성과평가

        임창빈,정철영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9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outcomes of the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policy implemen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s such, the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related laws and amendments, other related-policy and regulations initiated by the Ministry and later presented a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based on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literature on performance evaluation. For an evaluation of the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policy, a set of surveys on the introduction of cooperation policy and personnel exchange between the university and industry and its performance evaluation were conducted.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policy, the research also examined related literature and carried out interviews with heads of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teams for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quantitative results. This study reported the mediocre outcome of the policy except the introduction of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teams and reflection of cooperation outcomes in the faculty performance evaluation; however, the evaluation of the cooperation policy outcomes was reported high in general in terms of cooperation agreement, cooperation research, patent application and registration and technology transfer. This evaluation on effect of the policy was above the average in terms of appropriateness, satisfaction, and effect. This study indicated factors on the policy outcome as the introduction of the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teams, improvement of the faculty assessment system, financial support of the Ministry, and shift in the awareness among faculty members about the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suggested for improvement: First, both a systematic management of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system and the government's financial assistance are required for enhancement of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hancond, there must be incentive schemes to encourage faculty participation in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Lastly, for a significant progress in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the government is advised to design and implement policies focusing on their feasibility at universities.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인적자원부가 4년제 대학에서의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해 추진한 산학협력정책의 성과를 평가하는데 있었다. 우선 교육인적자원부가 수립한 산학협력 관련 각종 계획 및 법령의 제ㆍ개정 사항 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성과평가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기초로 하여 산출, 결과, 영향으로 구성된 성과평가 모형을 개발하였다. 산학협력정책에 대한 성과평가를 위해 산학협력 제도 및 산학간 인적교류 활성화 제도의 도입 실태 조사지와 산학협력정책의 성과평가에 관한 설문지를 구안하여 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으며, 산학협력정책의 산출, 결과, 영향에 관한 평가 결과를 기초로 하여 각 평가결과 간의 상호 관련성을 논의하기 위해 관련 문헌에 대한 조사와 함께 산학협력단장에 대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산학협력정책의 산출에 관한 평가에서는 산학협력단 도입, 교수업적평가 시 산학협력실적을 반영 등을 제외하고는 정책추진 효과가 저조한 것으로 조사된 반면, 산학협력정책이 추진된 이후 산학협력협정, 산학협력연구, 국내 특허 출원 및 등록, 기술이전 건수 등이 급속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산학협력정책의 결과에 관한 평가에서는 대체적으로 정책효과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산학협력정책의 영향에 관한 평가에서는 산학협력정책의 적절성, 만족도, 효과성 모두가 보통 이상의 평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학협력정책 결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산학협력단 도입ㆍ운영, 교수업적평가제도 개선, 교육인적자원부의 재정지원사업 추진, 산학협력에 대한 대학 경영진과 교직원의 인식 변화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추진이 필요한 정책과제로 첫째, 산학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산학협력단의 체계적인 운영과 이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며, 둘째, 대학 교원의 산학협력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유인책이 마련되어야 하고, 셋째, 대학의 산학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해 정부는 현실성 있는 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일관성 있게 추진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 KCI등재

        대학 교원의 산학협력 평가요인 배점의 적절성 분석

        김동남,김성규,전정환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7 산업혁신연구 Vol.33 No.1

        세계 경제가 기술의 융합화, 정보화 등 현대 산업기술의 특성으로 인하여 급속하게 변하고 있으며, 국가경쟁력의 강화를 통한 국가적 우위를 선점하기 위하여 개방형 혁신정책의 일환으로서 대학의 연구역량을 이용한 대학과 기업 간 산학협력 활동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산학협력활동이 활발해지고 있으며, 범위가 점차 확장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을 인지하고 정부는 산학협력의 활성화를 위하여 2003년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협력촉진에 관한 법률”을 개정하였다. 이후 다양한 정책들을 시행하여 산학협력의 활성화를 장려하고 있다. 대다수의 대학은 산학협력실적을 반영하는 교원 인사제도 구축을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산학협력에 관한 평가가 논문을 통한 평가에 비하여 낮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있으나 활성화되어있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하여 교원의 산학협력에 관한 평가요인을 도출하고 도출된 평가요인 배점의 적절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산학협력 업적평가 제도의 기틀을 마련 할 것으로 기대되며, 앞으로 일반교원 및 산학협력 중점교수의 산학협력활동에 대한 합리적인 평가에 대한 Guideline을 제시함으로써 산학협력의 활성화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The world economy is rapidly moving toward a knowledge-based society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has increased in importance. To secure the national dominant position through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the cooperation between companies and the universities has been on the rise. Accordingly, th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is booming and, Range is gradually expanding. The government is aware of this situation, for the activation of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it amended the “Law on the Promotion of Industrial Education Promotion and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in 2003. Later, we are encouraging the activation of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to enforce a variety of policy. The majority of the University, are trying to build a reflecting faculty personnel system of the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track record. However, evaluation of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is showing a lower percentage as compared to the evaluation and through paper. There are studie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but it's situation that is not activated. This study to this, to derive the cause of the assessment of th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of Professor towards the activation of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tries to analyze the importance of the factors of evaluation that has been derived.

      • 산학협력 선도대학으로의 발전에 관한 사례 연구 : A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박문수 한국산학협력정책학회 2023 한국산학협력정책학회지 Vol.3 No.1

        본 연구는 산학협력 선도대학으로 성장하기 위한 A 대학 사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해당 대학은 다양한 산학협력 투자와 자체적인 자구 노력, 정부 지원 등을 바탕으로 산학협력분야 다양한 우수 사례를 창출하였다. 각 영역별 산학협력 우수 사례를 중심으로 산학협력을 선도하는 대학의 발전 방향과 특징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우수 사례의 주요 내용은 다음 과 같다. 첫째, 산학협력 선도대학이 되기 위한 산학협력 문화의 체질화에 관한 내용이다. 둘째, 산학협력의 핵심적인 내용 인 교육과정의 체계화와 관련된 내용이다. 마지막으로 산학협력과 관련된 기술이전 및 사업화와 관련된 사례이다. 이러한 사례 연구를 통해 타 대학의 산학협력 확산을 위한 다양한 함의를 제시하고, 산학협력 발전을 위한 의의를 찾고자 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case of University A to grow into a leading university for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The university created various excellent cases in the field of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based on various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investments, its own self-rescue efforts, and government support. We would like to analyze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universities that lead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focusing on excellent cases of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in each area. The highlights of the best practices are as follows. First, it is about the constitution of an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culture to become a leading university for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Second, it is related to the systematization of the curriculum, which is a key content of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inally, it is an example related to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related to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Through these case studies, we would like to present various implications for the spread of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in other universities and find significance for the development of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 KCI등재

        대학행정 노력 및 산학간 신뢰가 산학협력장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홍은영,최종인 한국벤처창업학회 2018 벤처창업연구 Vol.13 No.1

        In this study, we identify the obstacles that occur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I-U cooperation and look for factors that can overcome them in the ‘university administration’s efforts’ and ‘Trust between I-U’. In the study of existing I-U cooper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ustry and university has accumulated experiences and various channels of bilateral cooperation by sustaining interactions and absorbing capacity of knowledge by path dependence. However, as cooperation increases, ‘I-U cooperation barrier’ are inevitable, which is explained by two perspectives: ‘Difference in mutual recognition’ and ‘Institutional barriers’. In order to induce the achievement of effective I-U cooperation, it is necessary to overcome these obstacles stemming from mutual relations, and it will be possible to maintain the relationship of continuous I-U cooperation. The researchers conducted research on companies participating in the I-U cooperation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of the ‘Ministry of Small and Medium Venture Business’, which is a representative I-U cooperation program in Korea. This project will be promoted in the ‘Small & Medium Business I-U cooperation Center’, an administration-dedicated organization of the university. The researchers measure ‘University administration’s efforts’ and ‘Trust between I-U’to overcome‘I-U cooperation barrier’ In order to clarify the data of the research sample, a questionnaire survey of organizational units was conducted for all companies participating in the ‘I-U cooperation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s’ of the SMEs and Startups between 2011 and 2015, and the responses of 356 organizations were draw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University administration’s efforts’ and Trust between I-U’, the lower ‘Difference in mutual recognition’ and ‘Institutional barriers’. Particularly, it showed higher explanatory power to overcome ‘Institutional barriers’ among obstacles. Therefore, it should be accompanied by the interest, implementation and institutional support of I-U-R subjects to raise the level of these two factors that can overcome ‘I-U cooperation barrier’. 본 연구에서는 산학협력의 관계를 통해 발생하는 장애를 확실하게 이해하고 이의 극복 요인을 대학행정 노력과 산학간 신뢰에서 찾아본다. 기존의 산학협력 연구에서, 산과 학 양자간의 관계는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협력에 대한 다양한 채널의 폭과 누적된 경험을 가지게 된다. 하지만 협력이 누적될수록‘상호인식의 차’,‘제도적 장벽’의 두 가지 관점으로 설명되는 산학협력 장애는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상호간의 관계에서 비롯된 이러한 장애를 극복해야만 효과적인 산학협력 성과를 유도하고 지속적인 산학협력 관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자는 대학행정 노력 및 산학간 신뢰가 산학협력장애를 극복하는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대학의 전담행정조직인‘중소기업산학협력센터’를 통해 사업을 추진하는 국내의 대표적 산학협력프로그램인 중소벤처기업부의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에 참여한 기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표본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사업이 종료된 2011년과 2015년 사이에 본 사업에 참여한 모든 기업을 대상으로 조직단위의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오류 응답을 제외한 356개의 응답을 받아냈다. 연구결과, 대학행정 노력수준과 산학간 신뢰가 높을수록 산학협력 장애요인인 상호인식의 차이와 제도적 장벽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장애요인 중 제도적 장벽을 극복하는 데에 더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산학협력장애를 극복할 수 있는 이 두 가지 요인의 수준을 높이기 위한 산학연관 주체의 관심과 실행 및 제도적 뒷받침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산학협력 매개 주체로서 산학협력중점교수 제도의 운영 실태와 제도 개선 방향

        허선영(Heo, Sun-Young),장후은(Jang, Hoo-Eun),이종호(Lee, Jong-Ho) 한국지역지리학회 2015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1 No.4

        2011년부터 시행된 교육과학기술부의 LINC 사업을 통해 산학협력중점교수 제도가 처음 도입된 이후, 산학협력 중점교수의 수는 가파르게 증가하였고, 산학협력 활동의 매개 주체로서 산학협력중점교수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산학협력중점교수 제도 운영에 필요한 인건비의 70%를 LINC 사업비에 의존하고 있는 프로젝트 사업의 특성상 LINC 사업에서 중도 탈락하거나 LINC 사업이 종료된 후에도 산학협력중점교수 제도 가 존속할 수 있을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을 비롯해 산학협력중점교수 제도 를 운영하고 있는 대학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및 전문가 심층면담조사 결과를 토대로 산학협력중점교수의 실태 및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제도 개선방안을 법・제도적, 재정적, 구조적인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the LINC project initia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n 2011, the number of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Faculty’ has been sharply increased for the last five years. It is viewed that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faculty have played a prime role for promoting the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However, there is a potential threat that about 70 per cents of total expense needed for maintaining the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faculty system are dependent upon finances of the LINC project. There is a concern that the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faculty system will be disappeared, if a university or college fails to be selected in the LINC project or the government decides to suspend the LINC project. In order to grasp the realities and policy alternatives on the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faculty system, this paper conducts a literature survey, a questionnaire survey, the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and the persons concern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we suggest policy implications in terms of legal, financial and structural dimensions.

      • KCI등재

        新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김태영,설원식,이영일,고혁진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12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industry - university collaboration pla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esent state of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and government support projects, and analysis of major overseas cases. The following is the plan for activating the new crop cooperation. Firs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innovation of education system and establishment of new education course based on future demand through future-oriented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Second, active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should stimulate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entrepreneurship based on university resources. Third, it should act as an anchor of regional innovation by actively cooperating with local innovation entiti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model that can generate profits and contribute to university finance.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산학협력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혁신적 변화가 요구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산학협력의 현황과 정부의 지원사업을 진단하고, 해외 주요사례분석을 통하여 신산학협력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의 전반적인 산학협력 수준은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부의 산학협력 지원사업은 양적으로는 충분하나, 부처별 중복지원 문제, 산학협력 지원의 양극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해외 주요 대학의 특징은 지역산업과의 연계가 높다는 점이며, 대학이 적극적으로 창업생태계를 주도하고 있다는 점이다. 신산학협력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지향적 산학협력으로, 미래수요에 기반한 신교육과정 개설과 교육방식 혁신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능동적 산학협력으로 창업교육 확대와 대학보유 자원을 기반으로 한 창업을 활성화해야 한다. 셋째, 지역혁신주체와의 적극적 협력으로 지역혁신의 앵커역할을 수행해야 하며. 수익 창출형 산학협력 모델을 개발하여 대학 재정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대학의 제도적 요인이 산학 공동연구에 미치는 영향

        황경연,성을현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5

        Universities are introducing and utilizing several systems to respond to an environment in which the importance of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is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mbined effect of institutional factors on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ve research. Through a review of the existing literature, we presented a conceptual model in which university institutional factors combinatorially affect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ve research. Major institutional factors of universities to promot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include new professors with industry experienc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concentration professors, and human resources for industry-university linkages. Six-year data from 2016 to 2021 on institutional factors and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ve research were obtained through Higher Education in Korea. Fuzzy 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fsQCA) was used for data analysis. Seven solutions describing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ve research were derived through fsQCA. In the seven solutions, the number of new professors with industry experience, number of non-tenur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concentration professors, and number of personnel in charge of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served as key conditions. As a result, it is evaluated that the key factors influencing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ve research are the number of new professors with industry experience, the number of non-tenur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concentration professors, and the number of personnel in charge of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대학은 산학협력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여러 제도를 도입하여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의 주요 제도적 요인이 산학 공동연구에 결합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존 문헌을 통해 대학의 산학협력 관련 제도적 요인을 검토하였고, 제도적 요인이 산학 공동연구에 결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개념적 모델을 제시하였다. 주요 산학협력 촉진 제도로 산업체 경력 신규임용 교원, 산학협력중점교수, 산업체 연계인력 등이 있다. 제도적 요인과 산학 공동연구 간의 관계 분석을 위한 자료는 대학알리미 사이트를 통해 확보하였으며, 2016년부터 2021년까지 6년간의 자료이다. 자료 분석에는 퍼지집합 질적 비교분석(fsQCA)이 활용되었다. fsQCA 결과에서 제도적 요인이 산학 공동연구를 설명하는 7개의 솔루션이 제시되었다. 7개의 솔루션에서 산업체 경력 신규임용 교원 수, 비전임 산학협력중점교수 수 및 기술이전·사업화 담당자 수가 핵심 조건인 솔루션이 각각 5개, 5개, 4개이었다. 결과적으로 산업체 경력 신규임용 교원 수, 비전임 산학협력중점교수 수 및 기술이전·사업화 담당자 수가 산학 공동연구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제도적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 효과적 산학협력성과 도출에 관한 연구

        홍은영(Eun-Young Hong),최종인(Jong-In Choi)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8 No.5

        본 연구에서는 산학협력 성공의 선행요인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성과 도출요인을 대학행정의 노력과 신뢰에서 찾아본다. 산학협력의 성과를 통해 기업은 경쟁우위를 점하고 국가경제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에 성과의 선행요인을 발굴하고 장려하는 것은 중요하다. 하지만, 산학협력 주요 운영주체인 산학협력단은 기술이전수익의 확대 등 양적인 성장에 비해 수익 및 인력구조의 질적인 성장이 수반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산학협력 핵심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는 핵심조직과 그들이 추진하는 산학협력프로그램을 대상으로 ‘대학행정노력’과 ‘신뢰’요인을 측정하고, 이 두가지 요인이 산학협력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국내 산학협력프로그램 중 오랜 역사를 가진 중소벤처기업부의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을 대상으로 산학협력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연구표본의 명확성을 위하여 2011년과 2015년 사이에 중소벤처기업부의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에 참여한 모든 기업을 대상으로 조직단위의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356개 조직의 응답을 이끌어 냈다. 연구결과, 대학행정의 노력수준과 산학간의 신뢰가 높을수록 산학협력성과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효과적 산학협력성과 도출을 위해 이 두 가지 요인의 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산학연관 주체의 관심과 실행 및 제도적 뒷받침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we identify the factors leading to the success of Industry University cooperation and look for the factors that yield effective performance from the ‘University administration efforts’ and ‘Trust’. Through the achievements of I-U cooperation, companies can gain competitive advantage and contribute to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dentify and encourage performance factors. Although I-U cooperation foundation is running as the main actor of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it is not accompanied by qualitative growth of profit and manpower structure compared to quantitative growth such as expansion of technology transfer income. In spite of these structural limitations, we measured the factors of "university administration efforts" and "trust between industry and academia" in core organizations that are actively performing core roles of I-U cooperation and I-U cooperation programs they pursue. And we analyze the effects of these two factors on the achievements of I-U cooper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the ‘university administration effort’ and ‘trust’, the higher the performance of I-U cooperation. Therefore, it should follow the interest, execution and institutional support of industry-academics to raise the level of these two factors to achieve effective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results.

      • KCI등재

        대학교수의 산학협력 업적평가 분석 및 강화 방안

        오세희(Oh Seh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07 열린교육연구 Vol.15 No.2

        정부의 대학재정지원사업 지원 및 대학에서의 지식과 기술의 창출ㆍ확산을 위한 산학협력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어 그 유인체계로서 대학교수의 산학협력 업적평가에 대한 고찰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 110개 대학의 대학교수업적평가 규정에서 나타난 대학교수들에 대한 산학협력 업적평가 실태를 분석하고, 대학교수들의 산학협력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일반적인 대학교수의 업적평가 영역인 교육ㆍ연구ㆍ봉사영역과 구분하여 산학협력 영역을 별도로 구분하는 대학이 적었고, 인정항목 역시 상이하였다. 또한 대학교수들 역시 산학협력영역을 별도로 구분하지 않으며, 인정항목은 대학이 자율적으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였다. 대학교수의 산학협력 업적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먼저 교수들의 산학협력 업적에 대하여 인센티브를 확대하는 등 보상체제를 마련함으로써 동기부여를 할 수 있는 방안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나아가 관련 제도를 개선하는 등의 노력 및 다른 대학의 우수사례를 벤치마킹하여 업적평가 규정에 반영할 수도 있다. 정부 차원에서는 산학협력이 요구되는 분야에서는 대학평가에 반영하거나 정부의 대학재정지원에도 반영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the present condition and improvement o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performance of university professors in Korea, which is to contributed the creation and diffusion of technology and knowledge. To support this theme, this study analyzed the present condition of university professor performance regulation of 110 university and surveyed recognition o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to university professors. As a result, only a few university have a separated area o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and the most of university are included it that is general university professors performance area, education, research, service. University professors also prefer performance within three general area, and think that university decide evaluation item by self-regulated. Furthermore, the university and government manage to the various action plan for improving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 KCI등재

        대학의 산학협력운영에 대한 주관성 연구

        윤성중,이도희 한국경영교육학회 2015 경영교육연구 Vol.30 No.6

        This study on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aimed at practitioners in the university scene in the industry as a new growth engine of the 21st century scene, universities and research field and support organization, governments diagnostic level for the mutual enemy Development of industry, academia and government cooperation based on mutual collaboration It was from the diagnosis of understanding and awareness. In particular, for this study, subjectivity, utiliz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called Q methods, the comments collected to target practitioners engaged in the field of each institution were recognized based on the typology. It was defined a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four types. <Type Ⅰ> the Cooperation subject is out mainly by “Company”, was named “corporate-led”. <Type Ⅱ>, What is the biggest impact on the industry, academia and government cooperation and stressed that the government’s performance, was named as “enhancing government influence type”. <Type Ⅲ>, this industry, academia and government cooperation agency of the government has provided good support, industry, academia and government cooperation supported the government’s budget to emphasize that enough, “university-government-assisted” was named. <Type Ⅳ> the University are emphasizing a dedicated organization, activities, support services should be equipped during the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s for industry, academia and government cooperation activities, was named as a “university systematically managed.” Qualitative research is to discover the essential properties of an object by reconstructing the language in everyday life as it happens with many people or things for the purpose of social phenomena. Thus, the real world of social phenomena, things, various “seeing things as they are” a person such as is shown there to hear that and reconfigure complex phenomenon and language as interpretative paradigm that says the essential attributes the method over methodology. 본 연구는 21세기의 신성장동력으로서 산업현장, 대학 및 연구현장 그리고 지원기관인 정부가 상호 협업에 근거한 산학협력의 상생적 발전방안을 위한 진단차원에서 대학, 현장에 있는 실무자를 대상으로 산학협력에 대한 이해와 인식의 진단에서 출발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주관성 연구를 위하여, Q방법이라 하는 질적연구방법을 활용하여, 각 기관의 현장에 종사하고 있는 실무자를 대상으로 취합한 의견을 바탕으로 한 인식을 유형화하였다. 분석결과 4가지의 유형으로 정의되었다. <유형 Ⅰ>은 산학협력 주체가 주로 ‘기업’으로 내고 있어, 「기업주도형」으로 명명하였다. <유형 Ⅱ>는 산학관협력 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정부(관)임을 강조하고 있어, 「정부역할강조형」으로 명명하였다. <유형 Ⅲ>은 정부의 산학관협력 지원기관이 잘 마련되어 있다”, “정부의 산학관협력 지원예산이 충분함을 강조하고 있어, 「대학-정부지원형」으로 명명하였다. <유형 Ⅳ>는 대학은 산학관협력 활동지원을 위한 전담조직, 활동지원 행정시비스 체계가 갖추어져야 함을 강조하고 있어, 「대학체계적 관리형」으로 명명하였다. 질적연구는 사회현상의 여러 가지 인물이나 사물을 있는 그대로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언어를 재구성함으로써 사물의 본질적 속성을 발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현실세계, 사회현상, 사물, 인물 등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면서(seeing things as they are)” 그곳에서 보여지고 듣게 되는 다양하고 복잡한 현상과 언어들을 재구성하여 그 본질적 속성을 밝히는 해석적 패러다임으로써 방법(method)이상의 방법론(methodology)이다. 따라서, 질적연구방법론의 활용은 다양한 연구 소재의 개발 및 연구방법의 활용가능성을 제고한다면, 그 유용성에 무한한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