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복지현장 실무자의 직무에 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IPA)

        조성심,홍순혜,방진희,엄경남,안정선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6 학교사회복지 Vol.0 No.33

        This research aims to study the level of importance that education welfare practitioners perceive in their jobs and the level of their actual performanc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evels by using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o suggest the management strategies for balancing the performance level to the importance level. Thirty-three job tasks of 9 job areas were drawn from the related studies, and based on those job tasks, a survey on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s was conducted among the education welfare workers in Kyoungi province and Pusan city, and the data of 184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all the importance levels in 33 job tasks were higher than the performance level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s were significant in 31 job tasks. IPA showed that the tasks such as ‘Operating education welfare office’, ‘Finding students needing intensive support and analyz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Identifying community resources and searching for available resources’ have high level on both importance and performance so that the tasks must continue as before. The job task that showed high importance and low performance, which was ‘Case management’, needs the most intensive investment to improve the performance level. Other job tasks such as ‘Case Management meetings’, ‘Planning and operating joint projects’, ‘Individual counseling’, ‘ Group counseling’, ‘Family counseling’, and ‘Training personnels working in school social work office’ were grouped as the job tasks with low priority because of their low results on both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s. The job tasks such as ‘Supporting and managing instructors and service providers’, ‘Managing safety of places and facilities’, ‘Making and processing official documents’ and ‘Writing reports and minutes’, which showed low results in the importance level but high in the performance level, were analyzed to have over-investment at present, and accordingly, their excessive investment needs to be reduced and expand to different jobs. Based on the results, the practical and political ways to balance the level of performance to that of importance in job tasks for education welfare practitioners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교육복지현장 실무자가 수행해야 할 직무들에 대해 교육복지현장 실무자들이 그 중요성을 어느 정도로 인식하고 있으며 직무를 실제로 얼마나 실행하고 있는지 현황을 파악하고, 직무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사이에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중요도-실행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직무 중요도에 따른 수행도 균형 전략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교육복지현장 실무자가 수행해야 할 9개 직무영역의 33개 세부 직무들을 도출하였으며, 경기 및 부산지역의 교육복지사 184명이 응답한 직무 중요도와 실행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32개 세부직무에서 중요도가 실행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31개 세부직무에서 중요도와 실행도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IPA분석을 통해 볼 때, ‘교육복지실 운영’, ‘집중지원학생 발굴 및 특성 분석’, ‘지역자원 현황 파악 및 연계 가능 자원 발굴’ 등은 중요도와 실행도가 평균 점수보다 모두 높아 앞으로 계속 유지해 나가야할 직무들로 분류되었다. 직무의 중요도는 높지만 실행도가 낮아, 우선적으로 실행도를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할 직무로는 ‘사례관리’가 가장 두드러졌다. ‘사례관리 회의’, ‘공동사업 기획 및 운영’, ‘개인상담’, ‘집단상담’, ‘가족상담’, ‘교육복지실 관련 인력교육’ 등은 중요도와 실행도 모두 낮아, 직무관리에서 우선순위가 낮으며 점진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영역으로 분류되었다. 반면, ‘강사 등 서비스 제공자 지원 및 관리’, ‘장소와 시설 및 안전 관리’, ‘공문서 작성 및 처리’, ‘보고서와 회의록 작성’ 등은 중요도는 낮게 인식하는데 반해 실행도가 높게 나타나, 이 직무들에 대한 과도한 투입보다는 여기에 투입된 노력을 다른 직무들로 전환할 필요성이 제기 되었다. 이 결과들에 근거해 직무 수행을 개선시킬 수 있는 실천적, 정책적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외식프랜차이즈 가맹점의 불만족 결정요인 -Revised IPA를 중심으로-

        유동근 ( Dong Keun Yoo ),주미자 ( Mi Ja Ju ),김민성 ( Min Seong Kim ),이용기 ( Yong Ki Lee )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13 고객만족경영연구 Vol.15 No.4

        중요도-성과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은 고객만족의 관리를 위한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분석방법으로 널리 사용되어왔다. IPA는 품질속성의 중요도와 속성성과를 기반으로 한 2차원 격자로 표현된다. 이러한 2차원의 상호작용에 따라 고객만족 관리에 대한 전략이 수립될 수 있다. 이론적, 실무적 연구들에 의하면, 속성단계 성과와 전반적 만족의 관계는 비대칭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전통적인 중요도-성과분석 적용에 대한 의구심을 제시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정된 IPA(Revis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ReIPA)를 통해 외식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에 대한 가맹점의 불만족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실시하고자 한다. 더미변수를 활용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속성단계 성과와 가맹점의 전반적 만족 간의 비대칭적 관계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전통적인 IPA의 결과와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수정된 IPA 결과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이 외식프랜차이즈 가맹점의 불만족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에서 제시되었다.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is a widely used analytical technique that yields prescriptions for the management of customer satisfaction. IPA is a two-dimensional grid based on customer-perceived importance of quality attributes and attribute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interplay of these two dimensions, strategies for satisfaction management can be derived. As theoretical and empirical work has show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ribute-level performance and overall satisfaction is asymmetric. These findings call into question the applicability of IPA. In this paper, an empirical study on franchisor dissatisfaction with a franchisee in the foodservice industry was undertaken through revised IPA. Using a regression analysis with dummy variables, the asymmetric relationship between attribute-level performance and overall franchisor dissatisfaction could be confirmed. Furthermore, it is shown empirically that the managerial implications derived from an IPA are misleading. Consequently, the traditional IPA needs to be revised.

      • KCI등재

        중요도-만족도 분석(IPA)을 활용한 금형 열처리 중소혁신기업 기술지원사업 성과평가 연구

        오소망,곽춘종,남대근 한국경영교육학회 2016 경영교육연구 Vol.31 No.1

        [Purpose]The performance of the technology support program is analyzed in this research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the heat treatment industry for the policy of supporting enterprise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erformance evaluation is performed in this study to meet the requirements for customer-based local support programs. [Methodology]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erformance evaluation is performed in this study. First of all, this paper analyzes quantitative performance measures such as program-related revenue, hired employees, R&D investment, and intellectual property for program areas and sub-programs. Next, the levels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for major performance measures are collected from participating companies and used for qualitative performance evaluation such as gap analysis, statistical analysis,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Findings]Better performance is shown in quantitative performance measures including program-related revenue, hired employees, and R&D investment. However, the performance of intellectual property is not satisfactory.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of qualitative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e that more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developing and supporting sub-programs that can help save money for participating companies in the future program. [Implications]Along with the performance evaluation, this research proposes the direction of the policy of supporting enterprises. [연구목적]본 연구는 금형열처리 중소혁신기업 기술지원사업의 성과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보다 개선된 기업지원 정책을 수립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수요자 기반의 지역 맞춤형 지원 사업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려는 목적으로 정량적 성과 평가 뿐 아니라 정성적 성과 평가를 병행하였다. [연구방법]본 논문에서는 정량적 성과 평가 뿐 아니라 정성적 성과 평가를 병행하였다. 먼저 참여 기업의 사업 관련 분야 매출액, 고용 인원, R&D 투자액, 지적재산권 획득 현황 등의 정량적 성과지표를 사업 분야와 프로그램 별로 각각 나누어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주요 평가항목 별로 참여 기업이 평가하는 중요도와 만족도를 조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갭분석, 통계분석, 중요도-만족도 분석(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등의 정성적 성과 평가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참여 기업의 지원 사업과 관련한 매출액, R&D 투자액, 고용인원 등의 정량적 성과 지표에서는 모두 성과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적재산권에 있어서는 사업 전후를 비교할 때 대부분의 실적이 감소하였다. 반면, 정성적 성과평가 결과는 향후 기술지원사업에서 한정된 자금과 지원을 최우선적으로 기업의 비용절감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발굴하고 지원하는데 투자해야 함을 시사해준다. [연구의 시사점]본 논문은 정량적 및 정성적 성과 평가 분석 결과와 함께 향후 기업 지원 정책의 방향을 제안한다.

      • KCI등재

        IPA, RIA, RPA 분석을 활용한 배달 음식에서 소비자 중심의 서비스 전략 :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심으로

        양진영,이행주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24 고객만족경영연구 Vol.26 No.1

        본 연구에서는 배달 음식 서비스 업체의 생존과 지속가능경영을 위해 배달 음식 서비스 주문 시 고객이 중요하게 여기는 IPA(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RPA(Repurchase Performance Analysis), RIA(Repurchase Importance Analysis)에 대한 고객 의사결정 요인을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았다. 성별 분석 결과 여성이 남성보다 다른 사람의 리뷰를 더 중요하게 여김을 알 수 있었다. 연령대로 나눈 결과로는 20대는 배달 관련 요인이 40대에서는 정보 서비스가, 50대 이상은 음식과 관련된 요인이 높게 나타났다. 1회 평균 사용 금액에서 3만원 이상인 경우 차별화된 서비스나 정보 서비스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각 배달 음식업체들이 고객의 연령, 성별, 금액대로 나누어 전략을 달리하여 자신들의 충성 고객층을 확보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In this study, IPA(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RPA(Repurchase Performance Analysis), and RIA(Repurchase Importance Analysis) were analyzed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or sustainable management in delivery food services. The analysis results based on gender it was found that women considered other people's reviews more important than men. The analysis results based on age range show that factors related to delivery are more significant for individuals in their 20s, information services are more crucial for those in their 40s, and factors related to food are more pronounced for those aged 50 and above. When the average spending per transaction is over 30,000(won), it appears that differentiated services or information services are important. This research suggests that each food delivery company can contribute to securing their loyal customer base by implementing different strategies based on customers' age, gender, and average spending per transaction.

      • KCI등재

        SW 교육을 위한 직무 및 정책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중요도와 수행도 인식 분석

        김한성 ( Han-sung Kim ),전수진 ( Soo-jin Ju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SW 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직무 및 정책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체계적인 SW 교육 정책 추진을 위한 시사점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교사 18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교사 직무 및 정책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SW 교육에 대한 교사 직무 및 정책 지원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의 인식 차이 분석, 배경변인에 따른 인식 차이 분석, 그리고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를 활용한 현황 진단 및 정책 우선순위분석을 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직무와 관련된 항목보다 정책 지원과 관련된 항목의 중요도가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모든 항목에서 중요도가 수행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남교사의 수행도가 여교사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연수 경험과 강의 수행 경험이 많을수록 수행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 외, 성별, 교직경력, SW 교육 연수 경험, SW 교육 강의 경험에 따른 중요도에 대한 인식 차이는 없었다. 셋째, 교사 직무 관련 IPA 분석 결과를 보면, 학습자 분석, 수준별 지도, 도구 활용과 같은 교수 설계 영역에 집중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정책 지원 관련 IPA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디지털 기기확보, 무선 환경지원, 관련 예산 지원과 같은 학교 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 지원에 보다 집중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에서 SW 교육이 체계적으로 수행되기 위해 필요한 주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lications for the systematic implementation of SW education by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do this, this study surveyed 181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analyzed teachers' perceptions.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eacher tasks and policy support for SW education, the difference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and the status and priority of using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of policy support items is higher than that of teacher task-related items. Also, in all items, the importance was higher than the performance. Second, the performance of male teachers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teachers. In addition, the higher the experience of SW education training and SW teaching experience, the higher the performance,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importance. Third, the results of the IPA analysis related to teacher tasks showed that it is necessary to concentrate on instructional design areas such as learner analysis, personalized teaching, and tool utilization. Fourth,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IPA analysis on policy support, it was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focus more on policy support for school environment improvements such as digital devices, wireless environment, and related budget suppor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key implications are discussed for the systematic implementation of SW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 KCI등재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업무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교사와 교육복지사의 인식

        최경일 ( Choi Kyung Il ),서동미 ( Seo Dong Mee ),송경순 ( Song Gyeong Sun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9 학교사회복지 Vol.0 No.46

        본 연구는 교사와 교육복지사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에서 수행되는 업무의 중요도와 실행도를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대해서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로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5개 대업무와 26개 세부 업무를 문항화해서 경기도 내 초․중․고등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육복지사 전원과 이들 학교에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업무를 담당하는 교사 각 117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교육복지사 93명과 교사 89명에게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육복지사는 프로그램 운영을 제외한 전체의 대업무에 걸친 19개 세부 업무에 대해서 중요도를 실행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인식하였다. 교사는 7개 세부 업무에 대해서 중요도를 실행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인식하였다. IPA 결과, 교육복지사는 10개, 교사는 15개 세부 업무가 지속유지영역에 속한다고 인식하였고, 낮은 중요도와 실행도인 점진개선영역에는 교육복지사는 7개, 교사는 10개 세부 업무가 속한다고 인식하였다. 우선개선영역에는 소수의 세부 업무가 속하였지만, 높은 중요도에 비해서 실행도가 낮은 업무이므로 실천적인 개선 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과잉투자영역에는 교육복지사에게서만 3개의 세부 업무가 제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육복지사와 교사가 인식하는 중요도를 바탕으로 실행도를 개선할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eachers and education workers perceiv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jobs in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and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importance and the performance level through the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For this purpos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research, we constitute 5 major jobs and 26 detailed jobs. And we analyzed data gathered from 93 education teachers and 89 teachers who work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As a results, the education welfare work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19 jobs, except the program opera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erformance level.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7 detailed jobs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bove their performance. As a result of the IPA, teachers recognized 10 jobs and education welfare workers recognized 15 jobs as belonging to high importance-performance area. teachers recognized 7 jobs and education welfare workers recognized 10 jobs are in the area of low importance-high performance. Although there are a few detailed jobs in the area of low importance-performance, because they are less performance than their high importance, a practical improvement strategy should be prepared. In the area of low importance-high performance, 3 jobs were presented only by the education welfare work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ed a practical method to improve the performance based on the importance of education workers and teachers.

      • KCI등재

        대학보직교원의 역량탐색 :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를 활용하여

        유정아(Yoo, Jungah) 한국열린교육학회 2015 열린교육연구 Vol.23 No.3

        이 연구는 대학 보직교원이 갖추어야 할 역량이 무엇인지를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문헌분석 및 심층인터뷰를 통해 설문문항을 추출한 후, IPA 설문지를 개발하였고, 전국 11개 대학교의 교원과 직원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중 성실하게 응답한 150부의 설문지를 IPA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와 T검증, 일원배치 분산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보직교원에게 필요한 역량 중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세 개의 항목은‘책임성’,‘의사소통’, ‘문제분석역량’으로 나타났고, 실행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세 개의 항목은‘리더십’,‘의사소통’,‘책임 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중요도와 실행도의 평균값이 가장 높게 나타난 세 개의 항목은‘책임성’,‘의사 소통’,‘리더십’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중요도는 높으나 실행도가 낮아 집중적으로 개선되고 개발되어야 할 역량은‘헌신’,‘배려’,‘자기조절’로 나타났다. 탐색된 역량에 대한 집단별 차이분석 결과, 교원의 보직 경험이나 보직횟수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교원의 연령대, 계열, 성별, 보직유형, 그리고 교원과 직원 집단에 따라서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ing of college administrative professors’ competence. The study methods are interview and IPA(Importance – Performance Analysis), T-test, and ANOVA. The interviewee of this study are 9 professors who had been college administrative professor or who are now college administrative professors. IPA survey questionnaire is developed according to interview result, 100 professors and 100 employee who are in 11 universities are IPA survey objects. The result of this study as follows. 1) The college administrative professors’ high important competence are‘responsibility’,‘communication skill’, and‘problem analysis skill’. 2) The college administrative professors’ high performance competence are‘leadership’, communication skill’, and‘responsibility’. 3) High importance and high performance competence are ‘responsibility’,‘communication skill’, and‘leadership’. 4) High importance and low performance competence are‘sacrifice’,‘concern’, and‘self regulation’ 5)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fessors’ sexual group, age group, and administrative type.

      • KCI등재

        소비범주의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을 통한 생애주기별 소비생활 개선 방안

        김영두 ( Kim Young Doo ) 한국소비자학회 2018 소비자학연구 Vol.29 No.5

        본 연구는 소비자의 소비생활을 생애주기에 따라 맞춤식으로 개선을 함으로써 소비생활을 전 생애에 걸쳐서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소비생활과 관련된 기존 연구들은 특정 소비범주, 특정 연령대 혹은 특정 직업군 등의 소비생활을 고찰하여 전체적인 소비생활을 파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전 생애주기에 걸쳐서 소비생활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①소비활동이 발생하는 11가지 소비범주를 분석의 대상에 포함하여 다차원의 소비범주를 고려하였고, ②한 개인은 전 생애주기에 걸쳐서 특정 가족생애주기(family life cycle)에 지속적으로 소속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가족생애주기를 활용하여 개인의 전 생애주기에 걸쳐서 소비생활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③소비자는 한정된 자원을 가지고 소비의 최적화를 도모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여 자원 활용의 효과성을 높이는데 유용한 방법론인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방법론을 활용하여 각 가족생애주기 단계별로 소비생활을 효율적으로 개선하는 대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소비범주는 의생활, 식생활, 주생활, 의료서비스, 교육서비스, 금융서비스, 정보통신서비스, 교통·자동차서비스, 경조사지원서비스, 뷰티·헬스서비스, 문화·여가서비스로 구분하였고, 가족생애주기는 독신기, 부부가족기, 자녀학령전기, 자녀학령기, 자녀독립전기, 자녀독립기, 은퇴기로 구분하였고 IPA는 소비자들이 지각하는 소비범주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 의하면 식생활과 주생활 범주는 소비자들의 가족생애주기 전 단계에서 중요한 소비범주로 인식되었으며, 의료서비스, 의생활 그리고 문화·여가서비스 범주가 그 다음으로 중요한 소비범주로서 인식되었다. 각 소비범주의 중요도를 가족생애주기에 따라 분석해 본 결과 의생활, 식생활, 주생활, 의료서비스, 교육서비스, 정보통신서비스, 경조사지원서비스, 뷰티·헬스서비스, 교통·자동차서비스 범주가 가족생애주기 간에 중요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만족도를 가족생애주기에 따라 분석해 본 결과 의생활, 주생활, 의료서비스, 교육서비스, 교통·자동차서비스, 금융서비스, 경조사지원서비스, 식생활 범주가 가족생애주기 간에 만족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발견되었다. 소비생활을 개선하기 위해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을 함께 실시한 결과 독신기와 부부가족기의 경우 주생활과 금융서비스 범주, 자녀학령전기의 경우 주생활, 금융서비스와 의생활 범주, 자녀학령기의 경우 주생활과 교육서비스 범주, 자녀독립전기의 경우 주생활 범주, 자녀독립기의 경우 주생활과 금융서비스 범주, 은퇴기의 경우 주생활 범주가 가족생애주기 단계별로 집중적으로 개선해야 할 소비범주로 파악되었다. 이상의 발견사항을 바탕으로 가족생애주기에 기초한 소비생활 개선하기 위한 맞춤식 정책, 정보제공 및 교육 방안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ways to effectively improve the consumers' consumption life throughout the entire life cycle (family life cycle) based o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methodology. In this study,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methodology is used to derive a priority for efficient improvement of the consumption life based on the family life cycle stages. Consumption life was composed of consumer's consumption category. This study analyzed the perceived importance (important consumption categories which were chosen by consumers using partial ranking method) and satisfaction of consumers in each consumption category. In addition,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methodology, priorities for improving the consumption life based on each family life cycle stage were derive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based on the theories about consumption life, family life cycle,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methodology. This study conducted chi-square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ANOVA) using data from the Korea Consumer Agency's “2015 Consumption Life Indicators in Korea”. The IPA methodology was used to derive priorities for improving the consumption life based on the stages of the family life cycle. According to the family life cycl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the consumption categories. The following consumption categories should be first concentrated in order to improve consumers' consumption life: housing and financial services in single people and married couples with no children; housing, financial services and clothing in married couples with children below elementary school age; housing and educational services in married couples with children below high-school age; housing in married couples with dependent children; housing and financial services in married couples with independent children; and housing in the retired. In this study, consumption categories were classified as clothing, food, housing, medical services, educational services, financial services, telecommunication services, transportation· vehicle services, congratulatory·condolence support services, beauty·health services, and culture·leisure services. Family life cycle stages were classified as single people, married couples with no children, married couples with children below elementary school age, married couples with children below high-school age, married couples with dependent children, married couples with independent children, and the retired. Perceived importance based on family life cycle stages significantly differ in consumption categories such as clothing, food, housing, medical services, educational services, telecommunication services, congratulatory·condolence support services, beauty·health services, and transportation· vehicle services. Perceived satisfaction based on family life cycle stages significantly differ in consumption categories such as clothing, housing, medical services, educational services, transportation·vehicle services, financial services, congratulatory·condolence support services, and food. Food and housing were found to be important in all stages of family life cycle, and the following consumption categories have salient meaning for specific family life cycle stage: clothing and culture·leisure service in the single people, medical service and financial service in the married couples with no children; educational service and clothing in the married couples with under elementary school children; educational services and medical service in the married couples with below high-school children; medical service and culture·leisure service in the married couples with dependent children; medical service, transportation·vehicle service, and congratulation·condole support service in the married couples with independent children; medical service, health service, telecommunication service in the retired. In order to improve the consumers’ consumption life efficiently, it is necessary for marketers and policy-makers to provide customized strategies or implementation of policies, informational services, and educational support.

      • KCI등재

        IPA방법에 의한 사이버대학 운영에 대한 중도탈락자의 인식 및 재학생 중도탈락 방지를 위한 개선사항의 우선순의 규명

        강민석 ( Min Seok Ka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IPA 방법을 활용하여 사이버대학 중도탈락자가 인식하고 있는 사이버대학 운영에 대한 중도탈락자들의 인식 현황을 파악하고, 중도탈락 방지를 위해 필요한 학교 운영의 개선 사항의 우선순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A 사이버대학 총 36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전화 설문을 실시하였다. 360명의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중도탈락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중요도와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였으며, 중도탈락 방지를 위한 개선 사항을 탐색하기 위해 중요도-만족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사이버대학 운영에 대하여 중도탈락자가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에 비해 실제 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IPA 를 통해 개선 영역은 지속적 유지영역, 시급 개선 영역, 점진 개선 영역, 잠재적 기회 영역으로 분류되었으며, ‘교수-학습 상호작용’ 영역이 시급 개선 영역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구체적인 개선사항으로 ‘다전공을 위한 학과의 다양성’, ‘온라인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 ‘오프라인 면대면 상호작용’, ‘학사관련 상담 및 안내의 충실성’, ‘지도교수의 충분한 상담’에 대한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사이버대학 중도탈락자들의 인식 현황을 도출하고, 중도탈락 방지를 위한 개선방안의 우선순위를 실증적으로 도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perception of dropout students though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regarding cyber Universities`management, and explore improvement proposals for prevention of dropou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360 students in A Cyber University answered the questions on the phone.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12.0. In order to analyz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which dropout students perceived, paired t-test was conducted. Moreover, to investigate improvement proposals for prevention of dropout,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was conducted. As the result of analysis, performance is significantly lower than Importance which students perceived regarding cyber Universities` management. In addition, domain of improvement is classified as 4 domains - domain of sustaining maintenance, urgent improvement, progressive improvement and potential opportunity. In particular, domain of instruction-learning interaction was included in domain of urgent improvement. Specifically, the following are variables of urgent improvement, various field of study,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 in online environment, face to face interaction in offline environment, counsel and guide regarding academic affair and consult of advisor. Some further research ques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

        전통적 IPA와 수정된 IPA를 활용한 컨벤션 선택속성 개선방안

        김이태,류예빈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19 호텔경영학연구 Vol.28 No.1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was the method to compare importance and performance. Although the traditional IPA was commonly used to identify strategic priorities of a company due to its usefulness, its flaws were exposed. So a revised IPA correcting the traditional IPA’s faults was proposed. Therefore, this study used both methods to analyze IPA to propose an improvement plan for convention attendees’ importance and satisfaction. To collect data, we conducted surveys targeting attendees who participated in conventions. Traditional IPA and revised IPA were carried out with the data. It showed a different result according to method. At first, in the traditional IPA, among the eleven attributes, there were six variables inquadrant I, and three attributes in quadrant III, meaning the attributes were relatively concentrated. On the other hand, using Deng’s (2007) revised IPA, there were three attributes in quadrantⅠ, two attributes in quadrantⅡ, one attribute in quadrantⅢ and three attributes in quadrantⅣ.According to the meaning of each quadrant, we recognized the attributes to keep up the good work, to concentrate, to avoid low priorities and to reject overkill.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this research expos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methods and proposed improvements of convention satisfaction for attendees. 전통적 IPA는 간단하고 해석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기업의 전략적 우선순위 식별에 자주 활용되었 으나, 그에 따른 문제점이 지적되면서 수정된 IPA가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컨벤션 성공여부를 가름 하는 컨벤션 참가자의 만족도 평가를 통해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두 가지 IPA를 이용하여 참가 자가 인식하고 있는 중요도와 만족도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2017년 부산에서 개최된 8건의 컨벤션 참가자들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412부의 유효표본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 IPA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11개의 속성 중 6개가 Ⅰ사분면에 위치하였으며, 3개의 속성이 Ⅲ사분면에 분포하였다. 그 결과 지속적으로 유지 해야 할 속성과 우선순위가 아닌 속성을 구분할 수 있었으나, 전통적 IPA에 해 지적되었던 Ⅰ, Ⅲ 사분면에 집중되는 것을 피하지 못했다. 둘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Deng(2007)이 제시한 수정된 IPA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Ⅰ사분면 3개, Ⅱ사분면 2개, Ⅲ사분면 1개, Ⅳ사분면 3개의 속성 이 분포되었다. 각 사분면 의미에 따라 유지 및 개선, 과잉노력 지양 속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두 가지 분석방법을 통해 차이가 있음을 밝히며, 참가자의 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선방안 을 제시하였다. IPA가 지니고 있는 문제점을 인지하고, 개선된 수정된 IPA를 활용하여야 하며, 이후 후속연구에서는 다양한 접근을 통해 타당한 연구방법의 논의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