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CT 활용 수업 설계에서의 교수․학습 요인 및 교사의 인식 분석

        강민석,김명랑 한국교육방법학회 2012 교육방법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ICT를 활용한 수업 설계에서 나타난 교수․학습 요인과 교사의 인식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교사들이 작성한 ICT 활용 수업 지도안에 대해 내용분석을 실시하고, ICT 활용 수업 설계에 대한 자기보고식 설문 분석 및 성찰보고서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ICT 활용 수업지도안을 활용시기, 활용주체, 수업방법, 수업 유형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ICT를 수업 전반에 걸쳐 활용하였고, 주로 강의식 수업방식을 사용하고 정보제시를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수업 설계에 ICT를 효과적으로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의 ICT 활용 수업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ICT 활용한 수업 설계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수업 운영 및 설계를 효율적으로 하는 측면에서는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교사들의 ICT 활용 수업 지도안 작성 등의 수업 설계와 관련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d analysis of teaching and learning factors and teachers’ perception in the design of lesson with ICT. In order to address research questions, three kinds of data that one is lesson plans with ICT, the other is questionnaires about the desingn with ICT and reflection papers were used for mixed methodology of data analysis. The first result which was analyzed with teaching and learning factors(timing, main user, teaching methods, ICT lesson types) is that teacher generally utilized ICT guide information and present teaching contents using lecture methods. But, the unique principles of lesson design with ICT were considered poorly in lesson plan with ICT. The second result as teachers' perception in the design of lesson with ICT is that participants positively recognized necessity of lesson design with ICT. However, they perceived that lesson design of ICT was difficult to plan and manage efficiently. Also, they generally utilized ICT to guide information and present teaching contents using lecture methods. The study is expected to give a variety of implication on lesson design of ICT in the classroom.

      • KCI등재

        초등학교에서 ICT 활용수업이 학습 및 정보활용능력에 미치는 효과

        임정훈 ( Im Jeong Hun ),이진석 ( Lee Jin Seo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03 초등교육연구 Vol.16 No.2

        본 본 연구는 최근 초등학교 현장에서 새로운 교수-학습체제로 활용되고 있는 ICT 활용수업이 전통적 수업에 비하여 효과가 있는지, 그리고 ICT 활용수업의 대표적인 두 가지 유형인 교사주도형 ICT 활용수업과 학습자주도형 ICT 활용수업에 따라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 학습만족도 및 정보활용능력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4학년 학생 118명을 전통적 수업 집단, 교사주도형 ICT 활용수업 집단, 학습자 주오형 ICT 활용수업 세 집단으로 구분하여 10주간 사회과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수업 종료 후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 검사, 그리고 정보활용능력 신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필기시험 및 실기시험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학업성취도 면에서는 교사주도형 ICT 활용수업 집단이 전통적 수업 집단에 비해 더 높은 학습결과를 나타냈으며, 학습만족도 면에서는 수업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에서 학습자주도형 ICT 활용수업 집단이 전통적 수업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특히, 정보활용능력 면에서는 인터넷 활용능력 신장에 있어서 학습자주도형 ICT 활용수업 집단이 전통적 수업 집단과 교사주도형 ICT 활용수업집단에 비해 높은 성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three types of instruction (conventional instruction(CI), teacher-directed instruction using 1CT(t-ICT), and learner-directed instruction using ICT(1-ICT) on learning achievements, satisfaction, and information utilization skills in elementary school setting. To achieve purpose of the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118 subjects in the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t Incheon cith who enrolled in CI group, t-ICT group, and 1-ICT group. Achievement test, satisfaction test, and paper-pencil test & actual technique for information utilization skills test were used as research instruments for assessing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achievement score between t-ICT group and CI group(F=3.875, p<.05). 2)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satisfaction score between 1-ICT group and CI group(F=7.979, p<.05).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formation searching technique score using Internet(one element among information utilization skills) between 1-ICT and CI, t-ICT(F=8.048, p<.05). In conclusion, the importance of summary of learning contents implemented by teacher, consideration about various types of learner satisfaction, and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specific elements included in information utilization skills were discussed for the better instruction using ICT.

      • KCI등재

        증등학교 가정과 교사의 ICT 활용수업의 실태와 인지도

        김미영,김경애,위은하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4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ICT utilization and recognition, to identify the effective and relevant chapters of home economics which can be taught using ICT i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ere were 372 secondary school teachers being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eason why they have ICT utilization Instruction is to help the learners improve the academic accomplishment in the development stage through providing data from web-surfing and presentational data such as developed CD, animation and presentations. 2. Regarding ICT utilization capability, teachers have the capability to send and receive E-mail, make a presentation data, practical use of Internet. In addition, the group with less than 10 years experience have a higher capability in information technology. 3. Concerning ICT utilization recognition, this result shows that ICT Instruction is the most effective to motivate learners, and teachers anticipate ICT Instruction would improve the quality of the teaching & learning. 4. The chapter such as 'how to make clothing and recycling'(database), 'the foundation of cooking and its application'(database), 'gender and acquaintance of the opposite sex', 'nutrition of during adolescence'(simulation program) should be the first priority in the development 본 연구는 중등학교 가정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7차 교육과정에서 권장하는 ICT 활용의 수업 실태와 그 인식도를 알아보고, ICT 활용 교수.학습 방법이 가정과 수업에 보다 효율적이고 적정하게 활용될 수 있기 위해 개발이 요구되는 단원과 자료유형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자는 전국에 소재한 중등학교 교사 372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ICT 활용 수업을 하는 이유로는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를 높이기 위하여 전개 단계에서 제시형 자료를 가장 많이 적용하는 정보 안내 유형의 수업을 진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자신들의 ICT활용 능력에 대한 인지도는 홈페이지와 관련된 영역을 제외한, E-mail 송수신 능력, 프리젠테이션 작성 능력, 인터넷의 활용 능력에 대한 인지도가 높았으며, 정보화 능력에 있어서 교육경력 10년 미만인 집단의 정보화 능력에 대한 인지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ICT 활용 수업에 대한 인식은 수업의 흥미를 높이는데 가장 효과적이며, 73%의 교사가 ICT 활용 수업이 가정과 수업의 질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하고, 교육 경력이 짧은 교사의 기대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ICT 활용 수업을 위해 우선적으로 개발이 요구되는 단원(자료유형)으로는 중학교 2학년의 ‘옷 만들기와 재활용(데이터베이스)’, 중학교 1학년의 ‘조리의 기초와 실제(데이타베이스)’ ‘청소년의 영양(시뮬레이션 프로그램)’, ‘성과 이성교제’ 단원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초등 실과의 ICT 활용 수업 적용 사례 연구 : 「우리 생활과 전기·전자」 단원을 중심으로

        문대영,정재영 한국실과교육학회 200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1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pply and analyze an instruction case using ICT of practical arts subject. In this study eight step model of instruction using ICT was proposed as 1) selection theme, 2) establishment goal, 3) decision type of activity,4) identification ICT using ability of students, 5) planning ICT using activity, 6) setting problem, 7) planning presentation of students, 8) planning assessment. Instruction case using ICT of practical arts subject was applied to 32 students of 5th grade in B elementary school. To analyze instruction case using ICT of practical arts subject image scale test and image drawing test about electricity & electron were performed. Then interviews with teacher and students were accomplished. The result of image scale tes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instruction. But it was identified that the drawings about electricity & electron were more concrete after the instruction through the image drawing test. Teacher recognized the problem and the possibility of generalization of instruction using ICT of practical arts subject. And teacher has an affirmative perception using ICT for practical exercise of practical arts subject. Students were in difficulties to practice exercise of electricity & electron, but they can get near to electricity & electron using ICT. 이 연구는 5학년 실과 「우리 생활과 전기·전자」 단원을 중심으로 하여 ICT 활용 수업 사례를 개발, 적용하고 분석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ICT 활용 수업 모형을 1) 주제 선정, 2) 수업 목표 수립, 3) 수업 활동 유형 결정, 4) ICT 활용 선수능력 확인, 5) ICT 활동 계획, 6) 문제 설정, 7) 결과 발표 계획, 8) 평가 계획의 여덟 단계로 제시하고 이에 따른 수업 설계안을 개발하였다. B초등학교 5학년 1반 학생 32명을 대상으로 ICT 활용 수업을 적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분석을 위해서 전기·전자에 대한 이미지 조사, 전기·전자에 대한 이미지 표현 그림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학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한 면담을 수행하였다. 5학년 실과 「우리 생활과 전기·전자」단원에 대한 ICT 활용 수업 전과 후에 학생들의 전기·전자에 대한 이미지 조사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이미지 표현 그림을 분석한 결과 수업 전에는 전기·전자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을 그림으로 표현했으나, 수업 후에는 전기·전자에 대한 구체적인 장면들을 그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CT 활용 교육에 대한 교사 면담 결과 실과 교과의 ICT 활용 수업에 대한 문제점과 함께 일반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실과의 실습 지도를 위한 ICT 활용 수업의 적합성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도 확인할 수 있었다. ICT 활용 교육에 대한 학생 면담 결과 학생들은 전기·전자 관련 실습을 어려워했지만 ICT 활용 수업을 통해 비교적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초등학교 수업에서 정보통신 테크놀로지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권성연 ( Soungyoun Kwo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업에서 정보통신 테크놀로지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교육 패러다임 변화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ICT활용 방안에 시사점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수업에서 ICT 활용의 목적과 형태, 그리고 활용의 필요성 및 효과성, 장애요인 등에 대한 인식을 묻는 설문을 개발하여 서울·경기 및 충청권 소재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초등 교사 1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ICT 활용이 필요하다는 의견에는 보통 이상의 긍정적 반응을 나타냈다. 효과성 측면에서는 ICT 활용 수업이 학습내용과 개념 이해를 돕고, 수업목표 달성에 효과적이라는 것에 가장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으나 학습자 중심 수업, 고차원적 학습을 촉진한다는 응답은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였다. 둘째, 수업에서 ICT 활용의 장애요인으로는 테크놀로지 인프라의 부족을 가장 크게 인식하였고 그밖에 시간과 지원인력 부족도 높게 인식하였다. 셋째, 수업에서 ICT를 활용하는 목적으로 학생의 흥미유발과 주의집중을 위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구체적인 예나 추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라는 응답이 다음 순위를 나타냈다. 반면 학습자 주도적 활동을 위해 ICT를 사용한다는 응답 비율은 낮게 나타났다. 넷째, ICT 활용 수업은 교사 중심적 형태로 운영하는 비율이 높았다. 학습자 중심 수업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이유로 교실 내에 학생이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가 갖추어져있지 못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학생의 통제와 주의집중이 어려워서 라는 응답이 다음으로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정보화의 고도화 단계로 인식되는 국내의 ICT 활용 수준이 학교 현장에서는 충분히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에 기반하여 학습자 중심의 ICT 활용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strategies and plans for ICT utilization leading to the educational change by identifying the current status of ICT use and teachers` perception of needs, effectiveness and barriers of the utilization of ICT in elementary school.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ed at 123 teachers who work at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erceived the needs of utilization of the computer technology moderately, in terms of effectiveness, the most positive perception was that computer technology could facilitate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learning content, and the following was computer could help to achieve the learning objectives. But the perception of facilitating the student-centered high-order learning as for using computer was relatively low. Second, the biggest barriers of utilizing computer technology was low accessibility to computers in classroom, and irrelevant computer equipment, lack of time and technical support were following. Third, the most frequent purpose of the utilizing ICT in class was to facilitate students` interest and gain attention, the next was to provide concrete examples and additional information. Whereas, the utilizing ICT for the sake of student-directed activities was very few. Fourth, computer technology integrated class was more teacher-centered than student-centered, the most severe barriers to implement student-centered class was lack of computer for students in classroom, and difficulty in control and concentrating of students during the clas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were suggested to utilize computer technology for more student-centered way in classroom.

      • KCI등재

        교사의 ICT 활용에 대한 학생의 수업인식 구조관계분석

        고유정 ( Yujung Ko ),장재홍 ( Jae Hong Ja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7 No.2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ICT 활용이 중학교 학생이 인식하는 교사의 수업능력, 수업이해도, 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국·영·수 교과별 구조관계분석을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부산교육연구정보원에서 수집한 부산교육종단연구(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BELS) 제 2차년도(2017년) 교사, 학생, 학교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ICT 활용에 대해서는 교사의 설문을, 교사의 수업능력에 대한 인식과 수업이해도 및 수업태도에 대해서는 학습자의 설문을 사용하여 ICT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응답과 학생의 응답을 매칭시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의 ICT 활용이 영어 교과에서만 학생이 인식하는 교사의 수업능력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사의 ICT 활용이 영어와 수학 교과에서 학생의 수업이해도와 수업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어 교과의 경우 교사의 수업능력 인식을 매개하여 수업이해도와 수업태도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학생의 교사 수업능력 인식은 국어, 영어, 수학 모든 교과에서 수업이해도와 수업태도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를 통해 국어, 영어, 수학의 교과에 따라 교사의 ICT 활용과 수업능력 인식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라 학생의 수업이 해도와 수업태도 또한 달라질 수 있음을 세부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tructurally explore the impact of teachers' use of ICT on students' perceived teaching competencies of teachers, their understanding of learning, and learning attitude, comparing Korean, English, and mathematics subject areas. For the study, the 2nd year data of teachers, students, and school from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was used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for analysis. The analysis was performed after matching teacher responses on their ICT use and student responses on perceived teaching competencies of teachers, their understanding of learning, and learning attitude. Results showed that 1) teachers' capability for and level of ICT use influenced students' perceived teaching competencies of teachers only in English; 2) teachers' capability for and level of ICT use had an impact on students' understanding of learning and their learning attitude in English and mathematics, and especially in English, it was mediated by students' perceived teaching competencies of teachers; 3) students' perceived teaching competencies of teachers affected students' understanding of learning and their learning attitude in all three subject areas. This study confirms differences between three subject areas regarding teachers' ICT use and students' perceived teaching competencies of teachers, which results in differences in students' understanding and learning attitude.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ICT 활용수업의도와 관련변인 연구

        박성열,김한성,고주은,주민호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9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1 No.4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ICT 리터러시 수준, ICT 활용가치, ICT 활용환경이 ICT 활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723명의 특성화고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관련 변인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특성화고등학교 교사들의 ICT 리터러시 수준은 유사한 과거 연구결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었다. ICT 활용수업의도의 경우 ICT 활용환경과 ICT 활용가치 변인을 삽입한 모델의 분석결과 ICT 활용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학습 관련 역량이 향상될 것이라 기대하는 ICT 활용가치가 교사들의 ICT 활용수업을 더욱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ICT 환경이 ICT 활용을 촉진시키거나 영향을 준다는 보편적인 연구결과에 반해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ICT 환경은 그들의 ICT 활용수업의도에 영향력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현재의 특성화고등학교 ICT 활용환경에 대한 지원책보다는 실제 활용 시의 가치에 대한 인식전환 등을 모색해볼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ICT literacy level, ICT utilization value, and ICT utilization environment on specialized high school teachers’ intention to use ICT. ICT literacy and intention to use ICT were surveyed among 723 specialized high school teachers. The ICT literacy level of specialized high school teachers wa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similar research results. In the case of the intention of using ICT class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model incorporating the ICT utilization environment and ICT utilization value variables further promote teachers’ ICT utilization classes by expecting that ICT utilization values that students' related learning ability will be improved through ICT utilization classes. Contrary to the general findings that ICT environment promotes or influences the use of ICT, ICT environments of specialized high school teachers do not have an influence on their intention to use ICT. Thus, there seems to be a need to seek a change in perception of the value of practical use.

      • KCI등재

        ICT활용 수업이 학습자의 학습능력과 어머니의 자원관리행동에 따라 가정과 학업성취와 자원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장정숙,장윤옥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4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6 No.2

        본 연구는 교사주도 및 학습자주도 ICT활용 수업이 학습자의 특성인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그리고 어머니의 자원관리행동에 따라 가정과 학업성취와 자원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결과 ICT활용 수업유형이 학습능력에 따라 가정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학습능력에 따라 가정과 학업성취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학습능력이 높거나 중간정도인 학습자들이 학습능력이 낮은 학습자들 보다 가정과 학업성취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ICT활용 수업유형이 어머니의 자원관리행동에 따라 가정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는 차이가 있었는데 어머니의 자원관리행동 수준을 높게 인식한 학습자들에 있어서는 학습자주도 ICT활용 수업을 받은 학습자들의 가정과 학업성취가 강의식 수업을 받은 학습자들 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ICT활용 수업유형이 학습능력과 어머니의 자원관리행동에 따라 학습자의 자원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어머니가 환경친화적인 자원관리행동을 많이 한다고 인식하는 학습자들일수록 환경친화적인 자원관리행동을 더 많이 실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the teacher-directed and the learner-directed ICT used instruction on learning achievement of home economics and resource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the learning ability of students and resource management behavior of a moth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middle school students, who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 traditional instruction group, teacher-directed ICT used instruction group, and learner-directed ICT used instruction group.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e experimental instruction. After experimental instruction, the learning achievement and resource management behavior was estimated by test sheets. The data were processed with two-way ANCOVA and Scheff test for post-hoc analysis.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fluences of the ICT used instruction on learning achievement of home economics according to the learning ability.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fluences of the ICT used instruction on learning achievement of home economics according to the resource management behavior of a mother.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fluences of the ICT used instruction on the resource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the learning ability. Four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fluences of the ICT used instruction on the resource management behavior of a student according to the resource management behavior of a mother.

      • KCI등재

        중학교 교사의 수업 중 ICT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ICT 교수효능감과 지각된 ICT 유용성을 중심으로

        정성희(Sunghee Jung),임규연(Kyu Yon L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4

        목적 본 연구는 중학교 교사의 수업 중 ICT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탐색하고 이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여 수업에서의 ICT 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방법 국제 비교 연구인 국제 컴퓨터 정보 리터러시 연구(International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Study, ICILS) 2018의 일환으로 조사한 전국의 중학교 교사 1,934명의 응답 자료를 사용하여 교사의 ICT 관련 연수 경험, 교사 간 ICT 협력학습 경험, ICT 교수효능감, 지각된 ICT 유용성, 수업 중 ICT 활용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교사의 ICT 관련 연수 경험은 교사 간 ICT 협력학습 경험에 유의한 직접 효과를 가졌으나 ICT 교수효능감, 지각된 ICT 유용성, 수업 중 ICT 활용에는 유의한 직접 효과를 가지지 않았다. 둘째, 교사 간 ICT 협력학습 경험은 ICT 관련 연수 경험과 ICT 교수효능감, 지각된 ICT 유용성, 수업 중 ICT 활용을 매개하는 간접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업 중 ICT 활용에 대한 ICT 협력학습 경험, ICT 교수효능감, 지각된 ICT 유용성의 직접 효과를 검증한 결과, 모든 변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직접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ICT 교수효능감과 지각된 ICT 유용성은 교사 간 ICT 협력학습 경험과 수업 중 ICT 활용을 매개하는 간접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교육현장에서 효과적인 ICT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교사의 ICT 교수효능감과 지각된 ICT 유용성을 높일 수 있는 교사 간 협력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variables affecting middle school teachers’ ICT use in class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promoting ICT use in class by identify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m. Methods Panel data from 1,934 middle school teachers nationwide collected as part of the International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Study(ICILS) 2018 were used to deter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ICT-related learning experience, ICT-related collaborative learning experiences, ICT teaching efficacy, perceived ICT usefulness, and ICT use in class. Results First, teachers ICT-related learning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ICT-related collaborative learning experience,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ICT teaching efficacy, perceived ICT usefulness, and ICT use in class. Second, ICT-related collaborative learning experience had indirect effects that mediate ICT-related learning experience, ICT teaching efficacy, perceived ICT usefulness, and ICT use in class. Third, ICT-related collaborative learning experience, ICT teaching efficacy, and perceived ICT usefulness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ICT use in class. Fourth, ICT teaching efficacy and perceived ICT usefulness were found to have indirect effects that mediate ICT-related collaborative learning experience and ICT use in class. Conclusions In order to promote effective ICT use in school, strategies to encourage teacher collaboration that can increase teachers ICT teaching efficacy and perceived ICT usefulness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ICT 활용수업에서 탈전문화 문제의식과 ICT 수용태도와의 관계

        최윤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7 교육과학연구 Vol.38 No.1

        ICT 활용수업에서 탈전문화는 교사가 수업을 계획, 실행, 평가하는 과정에서 타인에 의해 만들어진 교수자료에 맹목적으로 의존하면서 나타난다. 이 과정에서 교사는 학생들의 개인차를 고려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못하고 이미 만들어진 소프트웨어를 수동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수업이 표준화되고 주어진 프로그램의 단순한 실행자로 전락하여 수업전문가로서의 권위를 상실하게 된다.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활용수업의 교육적 효과는 교사가 ICT를 어떻게 활용하는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교사가 자신의 수업목적에 맞게 ICT를 재구성하여 적절히 활용하면 수업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지만, 무비판적으로 양적인 사용에만 치중한다면 오히려 수업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이 연구에서는 ICT 활용수업에서 나타나는 탈전문화 현상에 대한 교사의 비판적 인식과 향후 ICT 수용태도와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탈전문화 문제의식이 ICT 수용태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ICT 태도, ICT 활용능력, ICT 사용수준 변인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탈전문화 문제의식 수준은 ICT 수용태도에 부적인 상관을 나타내며, ICT 태도와 ICT 사용수준 변인에서 탈전문화 문제의식은 매개효과를 통해 ICT 수용태도에 영향을 주었다. 곧, 탈전문화 문제의식이 높은 교사는 비판적이며 선택적인 ICT 수용태도를 가질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eacher's awareness of the de-professionalization in the use of ICT instruction, an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itical cognition and attitudes towards the use of ICT. The de-professionalization of teachers refers to the deskilling of their work, which includes the standardization, simplification, and routine-making of their teaching performance.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degree of teacher's awareness of the de-professionalization were relatively low. Second, the influential level of a teacher's awareness of the de-professionalization is the highest influential variable that of his or her ICT attitude and the extent of his or her ICT use. Third, there were mediator effect the teacher's awareness of the de-professionalization among his or her ICT attitude, the extent of his or her ICT use and his or her attitude towards the use of ICT.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s impacting a teacher's attitude towards the use of ICT is the teacher's awareness of the de-professionalization. In the future, if teacher are concerned with the de-professionalization of their profession, they will utilize ICT in their teaching practices to a low degree. What's more, they will be critical attitude and utilize selective mater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