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사적지정책과 역사문화자원의 활용 현황

        윤소영(Yoon So-Young)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1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39

        이 글은 한국의 사적지 활용 정책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일본의 사적지 정책과 그 활용 현황을 살펴본 것이다. 근대일본의 사적 보존과 정비의 역사는 1871년부터 시작된다. 1911년에 구로이타 가쓰미(黒板勝美)는 처음으로 사적(史蹟)이라는 용어를 개념화하였다. 1950년에 문화재보호법이 입법되어 처음 '문화재'라는 개념이 도입되었으며 2단계 지정제도가 창설되어 사적명승천연기념물과 함께 특히 중요한 것은 특별사적명승천연기념물로 지정할 수 있다고 정했다. 문화재 보호 행정기관으로는 중앙에 문화재보호위원회를 설치하였고 지방공공단체는 도도부현(都道府縣) 교육위원회가 담당하는 체계를 갖추었다. 1990년대에 들어 근대 사적 보호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가운데 1996년 문화재보호법 3차 개정에서는「등록문화재제도」가 창설되었고 '문화적 경관' 항목이 신설되었다. 이는 국가 레벨의 문화재뿐 아니라 지역사회의 고유한 유형무형의 문화유산을 포괄하여 보호하겠다는 의도였다. 이 정책을 전국적으로 뒷받침하는 조직이 「전국사적 정비 시정촌 협의회」이다. 이들 협의회는 매년 문화재 담당자의 연수사업과 최신 사적 보존정비 정보 교류, 정부에 대한 예산 진정 활동을 꾀한다. 이와 같이 일본의 사적지정책은 중앙정부와 지방자치체, 일반시민이 유기적인 관계로 운영되고 있다. 최근에 일본의 문화재 정책으로 주목되는 것은 두 가지이다. 첫째, 2007년 문화재보호법 4차 개정과 더불어 시작된 「역사문화기본구상」이다. 이는 역사적 내러티브를 유형·무형 문화재와 현재 삶이 진행되고 있는 인문적 자연적 공간과 결합시켜 통합문화유산으로 자리매김하여 생명력을 불어넣겠다는 것이다. 이는 각 시정촌이 구성한 협의회에서 제안서를 문부과학성에 제출하여 선정되면 장기 프로젝트로 정부가 지원해주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일본은 21세기 문화의 시대의 중심동력을 다름 아닌 민중과 개인의 자발적 참여와 행동에서 구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일본의 입장에서 부정적 문화유산으로 은폐되었던 "전쟁유적"은 일반시민단체에 의해 발굴 보호, 활용되어 왔다. 그런데 이것이 사적지로 지정되고 일선 학교의 평화교육의 장으로 활용되기 시작했다. 즉, 긍정적 사적지뿐 아니라 부정적 사적지도 의미 있는 문화유산으로 자리할 수 있다는 사적지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를 발견할 수 있는 부분이다. In the article, I examined the Japanese policy on the historic sites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their utilization. History of modern Japanese historical sites protection and organization went way back to 1871. Guroita Gatsumi conceptualized the term of "historic sites" for the first time in 1911.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was legalized in 1950 and the concept of cultural properties wa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As the two-tier designation system was introduced, a system to designate a historic site/scenic spot/natural monument and a special historic site/scenic spot/natural monument for a specially important one was established.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Committee as a central administrative agency was established to protect the cultural properties and the board of education by the governorate in local autonomous entities was in charge of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s the protection of the historic sites took the spotlight toward 1990s, the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system was established in the third amendment to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and the article about the cultural view was newly established. This was to protect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native to a local community as well as national cultural properties. The organization to support this policy on a national scale is "the National historic sites maintenance and correction village council". The council performs a study project for the person in charge of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every year, exchanges information about the newest historic sites protection and maintenance, and makes a representation to the government for budget. Thus, the Japanese historic sites policy is operated systematically by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autonomous entities and the public. Recently Japanese cultural properties policy is noticeable in two respects. The first one is "Basic plan for history and culture" which was started with the fourth amendment to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in 2007. Its aim is to infuse vitality into the integrated cultural heritage which would be made by a historical narrative combining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with living human and natural space. When a conference composed by the village councils submits a proposal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proposal is selected, it is operated as a long-term one as a form of government support. Japan seeks the central power in the culture period of the 21st century from the voluntary participation and behavior of the public and an individual. Secondly, the war remains were excavated, protected and utilized by a civic organization, which the Japanese government covered up them as a negative cultural heritage. But they are designated as a historic site and began to be utilized as a ground for school peace education. We can see a paradigm shift about the historic sites, that is, the negative historic sites as well as the positive historic sites can be a meaningful cultural heritage.

      • KCI등재

        문화재보호법상의 명승 개념의 재조명

        김창규 ( Chang Kyu Kim ) 한국법정책학회 2013 법과 정책연구 Vol.13 No.3

        우리나라에 있어서 명승은 1933년 8월 조선총독부 제령 제6호 ?조선보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령?에 따라 법적 개념으로 도입되었으나, 그 지정은 광복 이후 1962년에 제정된 ?문화재보호법?에 의해 1970년 ‘명주 청학동 소금강’이 처음이었고, 1979년까지 단 7건에 머물렀다. 이와 같이 명승의 개념이 법률에 규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지정의 활성화가 이루어지지 못한 것은 기념물의 한 종류로서 천연기념물과 사적의 주변풍경 자체라는 인식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문화재 중 ‘사적’은 인간의 역사의 흔적이다. ‘천연기념물’은 글자 그대로 인공이 가미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이루어진 것 중에서 인간이 기억하고 되새길 만한 것들이다. ‘명승’은 명승지의 준말로서 이름나고 빼어난 지경을 말한다. 이들 특성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문화재보호법은 제정 당초부터 사적, 명승, 천연기념물을 함께 ‘기념물’의 범주에 두고 보호하여 왔다. 이로 인하여 풍경(지경) 자체가 목적인 명승은 사적과 천연기념물의 보존ㆍ관리를 위한 주변 지역이나 주변 풍경으로 인식되어 그 독자성을 인정받지 못하는 결과가 초래되었던 것이다. 이에 우리 정부는 명승 지정의 활성화를 위하여 2007년 8월 문화재보호법상의 명승 지정기준을 전면 개정하여 종전 사적으로 분류되었던 전설지ㆍ정원 등과 역사문화경관으로서 경작지ㆍ제방ㆍ포구 등을 새로이 명승의 지정대상에 포함시켰다. 더 나아가 2009년 12월에는 종전 ‘사적 및 명승’으로 지정ㆍ관리되어 오던 8건을 명승으로 재분류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정부의 노력에 힘입어 2013년 7월 31일 현재, 총 104개의 명승이 지정ㆍ관리되고 있는 등 괄목할만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현행 문화재보호법상의 명승 개념은 여전히 다른 기념물과의 차별성 내지 독자성을 인정받지 못하고 있으며, 자연경관과 문화경관을 포함한 유산으로서의 명승은 다른 문화재와 달리 국민들이 대부분 문화관광의 대상으로 이용하는 자원이라는 점에서 보존과 함께 적극적 활용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명승의 자원화와 그 활용의 활성화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고는 명승의 가치를 재검토하고 명승 개념을 명확히 하여 다른 기념물과 차별화되는 명승 개념의 독자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이를 통한 새로운 명승자원의 확충과 명승자원 활용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입법방안을 탐구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현행 문화재보호법은 명승을 “경치가 좋은 곳으로서 예술적 가치가 크고 경관이 뛰어난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명승은 ‘경치 좋은 곳’만이 대상은 아니다. 명승은 일반적으로 조망점에서 시각으로 관찰되는 ‘점’ 경관인 경승지에 조성된 자연환경이나 생활모습의 장면 또는 자연적ㆍ인공적인 물체가 놓인 장이다. 그리고 명승은 어느 특수한 장소에서 표현되는 것 뿐만 아니라 우리의 삶이 있는 곳이면 별서의 형태이든 대ㆍ루ㆍ정과 같은 인공적인 구조물과 같이 어느 곳이든지 있을 수 있다. 더 나아가 산의 자태가 유현한 심산유곡의 경승지를 택하여 시나 서화를 남기거나 그 속에서 여생을 즐기며 은둔하여 후학을 양성한 공간도 명승의 대상이 된다. 따라서 명승의 정의는 ‘경치 좋은 곳’ 보다 종전의 ‘경승지’로 확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행 문화재보호법 제2조제1항제3호나목의 명승 정의를 “경승지로서 예술적 또는 경관적 가치가 큰 것”으로 개정하여야 한다. 둘째, 현행 문화재보호법의 명승 지정기준 중 세부기준은 다소 성격이 중복된 명승의 유형을 분류할 때에 역사문화적 가치에 따른 미시적 경관요소 보다는 거시적 경관우세요소인 지형경관의 특성에 따라 분류가 좌우되는 문제점 등이 있으며, 경승지에 해당하는 팔경의 경우에 “저명한 경관의 전망지점”과 “역사ㆍ문화경관적 가치가 뛰어난 곳”의 기준이 혼재되어 불완전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역사ㆍ문화경관적 가치가 뛰어난 곳의 세부유형으로 제시된 명산, 협곡, 곶, 급류, 심연, 폭포, 호소, 사구 등은 사실상 자연경관지의 유형에 해당한다. 따라서 역사ㆍ문화경관명승의 특성에 맞는 세부유형의 개발 및 새로운 명승자원의 유형을 추가하여야 한다. 셋째, 현행 문화재보호법의 평가기준 중 천연기념물의 ‘역사적, 경관적 또는 학술적 가치가 큰 것’은 명승의 ‘경관적 가치’ 및 사적의 ‘역사적 가치’와 중복되어 그 구분의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천연기념물의 평가기준은 ‘학술적 가치’만을 강조하도록 하는 것이 적절하고, 더 나아가 그 대상 중 ‘특별한 자연현상으로서 경관적 가치가 큰 것’도 제외하여 명승과의 중복대상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행 문화재보호법 제2조제1항제3호다목의 천연기념물 정의를 “동물ㆍ식물ㆍ지형ㆍ지질ㆍ광물ㆍ동굴ㆍ생물학적 생성물 또는 특별한 자연현상으로서 학술적 가치가 큰 것”으로 개정하여야 한다. There are various natural topographies and a lot of beautiful scenes in Korea, so our ancestors expressed and handed down the beauty in poetry or paintings from long ago. So these Scenic Sites have served as not only the places where people appreciate splendid natural landscape and live poetical life but also those where our ancestors stretched out literature, thoughts and ideals. In addition, in the Scenic Sites mostly Jeongja(pavilions) and Nugak(palaces) were built and they were installed very carefully with size assimilated with nature and simple beauty neither dominating nor harming natural landscape there. The pavilions and palaces are independent places appreciating natural landscape and are objective elements as part of the landscape enhancing the value of the landscape. The Scenic Sites is included as memorial of a kind of authorized heritage, for its authorization standard, it is a picturesque place or a spot which we can watch famous scenery with famous building, and it has a particularly distinguished natural beauty, so not only aesthetic importance but also peculiarity, rarity and particularity etc. it contains in the course of its formation. The Scenic Sites of Korea was first provided by law in 1933 “Joseon Treasure, Historical Remains, Scenic Sites and National Monuments Protection Order”. However, the Scenic Sites wasn`t designated until 1970s when “Myeonju Cheonghagdong Sogeumgang” located in Gangneung-si, Gangwon-do was designated by Korea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in 1962, after that only 7 Scenic Sites were designated until 1979. In this circumstance, on August 29, 2007, the designation criteria were totally revised to attempt a full change to include historical-cultural landscapes in the target of the designation by including legendary places and gardens which had been classified as historic sites previously and allowing to designate farmlands, dykes and inlets newly. This changed concepts of the former Korea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and Traditional Scenic Sites significantly and introduced the concept of attractions more. For plans to invigorate the designation of the Scenic Sites in the future and to preserve their value as national heritage constantly, this article suggests to the followings:First of all, the Scenic Sites is defined as the ‘scenic wonderland’ which has a value of artistic and superior landscape by Korea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However, the purpose of the Scenic Sites isn`t for only ‘scenic wonderland’. In general, the Scenic Sites is a stage where a scene of natural environment or of a life formed in a place of beautiful scenery, which is a point scenery visually observed from a viewpoint, or a natural or artificial object is placed. The Scenic Sites could be a fixed scene, which is a natural or artificial characteristic, or an expression of human lives. The Scenic Sites is an expression of human experiences made after experiencing and perceiving the natural environment. The Scenic Sites is not limited to what is expressed in a specific place but can exist wherever we live, whether as a outhouse or an artificial structure such as a pavilion. Therefore the Scenic Sites is a term for the concept that includes various types of the objects presented and ‘scenic wonderland’ refers to ‘scenic site or picturesque place’ should be corrected. Thus, since the definition of Scenic Sites in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should imply various aspects and significances of the Scenic Sites, it would be desirable to express it as “the picturesque place with great artistic or scenic value”. Secondly, the designation criteria for the Scenic Sites in Korea`s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divided broadly the objects of the Scenic Sites designation into natural landscape sites and historic-cultural landscape sites. However, as discussed above, since the Scenic Sites are not heritages limited to landscape, it is desirable to express as picturesque place, rather than landscape. Furthermore, mountain, hill, plateau, plain, volcano, river, seaside, riverside and islands are included in natural landscape sites while historic-cultural landscape sites include famous mountain, canyon, strait, cape, swift currents, abyss, waterfall and lakes and dune, etc. The type of historic-cultural landscape mostly belongs to natural landscape sites. Thus it is judged that total improvement is necessary for the designation criteria to make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the type of the Scenic Sites clear and to allow to grasp the types Scenic Sites easily. In addition, we should carefully review and edit in or out detailed items so that the Scenic Sites can represent Korea`s unique and characteristic beauty of the land. Lastly, the standard of value of the natural monuments in the Korea`s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has to be distinguished from that of the Scenic Sites. Thus,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s definition of natural monuments would be desirable to express it as “animal, plants, topography, geological feature, minerals, cave, biologic products, or special natural phenomenon with great academic value”.

      • KCI등재

        정비사업을 통해 본 부여 정림사지 문화재 조경의 특성

        김미진 ( Kim Mi-jin ),소현수 ( So Hyun-su ) 한국전통조경학회 202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9 No.4

        정림사지 정비사업은 사찰을 구성하는 건물의 원형복원을 목표로 하였으나 점차 사역의 경관을 조성하는 조경 정비로 이행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실에 주목하여 다음과 같은 정림사지 문화재 조경의 특성을 정리하였다. 첫째, 문화재 조경은 문화재보호법상 지정된 문화재와 주변에 지정된 문화재 보호구역을 공간적 범위로 하여 경관을 조성, 유지, 관리하는 조경 행위로서 유구 보호 및 정비, 기능별 공간 배치와 동선계획, 문화재 보호를 위한 구조물 설치, 방문자 편의를 위한 시설물 도입, 식생경관 조성을 포함하는 작업이다. 둘째, 정림사지 문화재 경관은 일제의 문화재 지정과 발굴조사로 사찰명이 밝혀진 ‘고적조사사업’, 광복 이후 ‘백제탑공원 조성’, 사적으로 지정된 ‘백제문화권 개발사업’, 고증의 어려움으로 전각의 복원 대신 공원과 박물관 건립으로 이행된 ‘백제문화권 특정지역 종합개발사업’, 백제 창건 당시 가람 배치를 회복하고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정림사지복원사업’으로 전개되었다. 셋째, 부여신궁(扶餘神宮) 외원(外苑)과 연계된 기념공원 조성, 일제강점기의 시가지계획 실현, 발굴 유구와 사역의 보호환경 조성, 가람 배치의 원형복원, 문화재의 진정성 회복과 활용이라는 정림사지 경관 변화의 배경을 확인하였다. 넷째, 정림사지 경관은 문화재 지정대상과 범위, 토지이용, 동선ㆍ포장, 유구정비 수법, 구조물, 시설물, 식생으로 결정되는데 이들의 정비 양상을 고찰한 결과, 문화재 영역의 시각적 차별화로 위계성 부여, 문화재 지정 범위 확장을 고려한 과정적 경관 조성, 가역성을 고려한 유구 정비로 진정성 확보, 역사문화경관에 어울리는 식생경관 조성, 오픈스페이스 제공으로 문화유산 향유가치 증진이라는 정림사지 문화재 조경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The maintenance project of the Jeonglimsa temple site started with the objective of restoring the original structure of the temple, however, it was gradually transitioned to a landscaping maintenance project over time that constructs a landscape of the temple area. With paying attention to these facts, this study summarized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heritage landscaping of the Jeonglimsa temple site as follows. First, Cultural heritage landscaping is a landscaping act that creates, maintains, and manages landscapes within the spatial scope of the cultural heritage designated under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and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rea established around it. It is a work that includes protection and maintenance of the excavated remains, spaces by each function and plans for moving lines, Installation of structures to protect cultural properties, adoption of the facilities and structures for convenience of visitors, and construction of vegetation landscape. Second, the cultural heritage landscaping of the Jeonglimsa temple site has been developed in 5 periods, and these include ‘the period of historical site investigation’ that the temple name was identified through the designation of cultural assets and excavation investigation by the Japanese rule, ‘the construction period of Baekje Tower Park’ after the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rule, ‘the period of Baekje Cultural Area Development Project’ designated as a historical site, ‘the period of the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 for a Specific Area of Baekje Culture’,which was proceeded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park and museum instead of restoring the temple building due to the difficulty in gathering the pieces of historical evidence, and ‘the period of the Jeonglimsa temple site restoring project’, which was designated as a World Heritage Site while restoring the buildings deployment in the Buddhist temple at the time of foundation era of Baekje Dynasty. Third, this study verified the landscape changes of the Jeonglimsa temple site that have been transitioned, for instance, the creation of a commemorative park linked to the outer garden of Buyeo Shrine, the implementation of urban planning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creation of a protective environment for the excavated historical structures and temple area, the restoration of building deployment in the Buddhist temple, and the sincerity restoration and utilization of cultural assets. Fourth, the landscape of Jeongnimsa temple site is determined by the subject and scope of cultural property designation, land use, movement lines and pavement, repairing methods of remains, structures, facilities, and veget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heritage landscape of Jeongnimsa Temple were derived, such as creating a procedural landscape considering the expansion of the cultural heritage designation scope, securing authenticity by maintaining relics in consideration of reversibility, creating a vegetative landscape suitable for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and enhancing the value of cultural heritage enjoyment by providing an open space.

      • KCI등재

        중국의 건축문화재보호에 관한 법제 연구

        신찬호 동국대학교 비교법문화연구소 2019 比較法硏究 Vol.19 No.1

        China's architectural cultural properties have important historical significance as 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y have historical value, cultural value and scientific research value as a major component of immovable cultural properties. They als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rotection of international architectural cultural properties. While urbanization is advancing rapidly, however, there is no detailed classification of architectural cultural properties, and there are not enough evaluation indicators in demolition, making it difficult to protect architectural cultural properties. This imbalance in the protection capacity of each region in China requires a review of the protection of architectural cultural properties. The protection of Chinese architectural cultural properties is mainly defined by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Historical and Cultural City Protection Standards” promulgated by the Chinese Ministry of Construction in October 2003 classifies "Building heritage" into four: intensively protected historic monuments and sites of county class or higher approved and promulgated by the people's government as officially protected monuments and sites, candidacy listing building, historic building general building structure. “Rules for the Protection of Historic Cultural Properties in China” define "historic cultural properties" as immovable ones worthy of being left behind by history creation or human activity, which contain ancient historic sites, ancient graves, ancient architecture, ancient cave temples, stone statues, modern historic sites and memorial architecture, history and culture street declared to be protected by the state and existing affiliated cultural properties. Architectural cultural properties are like other tangible cultural heritages. They are the legacy left in individual societies through different stages of development, records of Chinese history and the continuation of Chinese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 of Chinese architectural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egislative history,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중국의 건축문화재는 유형문화유산으로서 중요한 역사적 의의를 가지고 있다. 이동할 수 없는 문화재의 주요 구성부분으로서 역사적 가치, 문화적 가치, 과학적 연구 가치를 가지고 있다. 또한, 국제적인 건축문화재보호 활동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도시화가 급격하게 진전되는 반면건축문화재에 대한 상세한 구분이 없고, 평가지표가 부족하여 철거하는 방식이어서 건축문화재 보호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중국내 각 지역의 보호 역량의 불균형으로 건축문화재보호에 대한 재검토가 요구되고 있다. 중국의 건축문화재에 대한 보호는 주로 “문화재보호법(文物保护法)”을 중심으로 규정하고 있다. 또한, 2003년 10월 중국 건설부에서 공포한 “역사문화도시 보호규범(历史文化名城保护规范)”은 “건축유산”을 문화재보호단위로서현급이상 인민정부가 비준 및 공표한 중점보호 고적 문화재, 보호건축, 역사건축, 일반 건축구조물 등 4가지로 분류하고 있고, “중국고적문화재보호준칙(中国文物古迹保护准则)”에서는 “고적문화재”를 인류가 역사창조 또는 인류활동으로 남겨진 가치가 있는 이동이 불가한 것으로 고문화유적, 고대무덤, 고대건축, 고대석굴사원, 석각, 근·현대 역사유적 및 기념건축, 국가가 보호하도록 공표한 역사문화거리 및 기존의 부속문화재가 포함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건축문화재는 기타 유형문화유산과 같다. 이는 개개의 사회에서 서로 다른발전단계를 거쳐 남겨진 유산이고 중국의 역사를 기록하는 것이고 중국의 문화를 이어가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건축문화재보호의 개념, 입법연혁,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Trends in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eservation and Maintenance of Landscapes of Historic Sites in Korea

        김형석,심우경 한국전통조경학회 2014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12 No.-

        Since the modern concept of preservation of cultural properties was introduced, interest in preservation and maintenance of landscapes of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historic sites has been insufficient compared to architecture. A historical place’s atmosphere cannot be recreated just by restoring a few buildings; harmony with the entire landscape is essential. Forty years have passed since landscape architecture focusing on fabricating scenery was introduced to Korea, but there has been much trial and error in creating the landscape of historic site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preservation and maintenance of the landscape of historic sites in Korea by surveying four post-independence periods in terms of the circumstances of each time period and maintenance projects of major historic sites. Thus,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and their relationship with other elements. Between independence and the 1950s, Korea suffered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in the aftermath of the Korean War, and cultural properties were managed by a restrictive preservation policy. Of course, the surroundings and environments of cultural properties were neglected. In the 1960s–1970s, state-led historic site maintenance projects and the concept of area preservation became predominant. Landscape architecture played a crucial role in environment preservation, such as repair and purification of historic sites according to land development. In addition, landscape architecture created a new boundary by reorganizing space beyond the level of simply maintaining historic sites. However, at the time, there were not enough experts of landscaping of historic sites, and subjective opinions were rather influential. During the 1980s–1990s, national identity was established based on economic growth, and Japanese-style landscapes of palaces were repaired. In this period, Korea devoted itself to establishing its national identity by holding international competitions and events thanks to its increased economic power. Since 2000, thanks to its growth, the role of landscape architecture has become critical in repairing and maintaining historic sites. However, because there are still many legal and institutional limitations, landscaping professionals have restrictions in creating the landscape of historic sites, which requires improvement. The result confirms that maintenance of historic sites is related to political intentions, values, and international trends. This study also demonstrates that the role of landscape architecture has changed accordingly. Proper preservation and maintenance of the landscape of historic sites will help in the study and dissemination of Korea’s landscape culture and will lay the foundation for establishing a Korean identity.

      • KCI등재

        일제강점 전후 도쿄제국대학 세키노 타다시의 강원도 문화재 조사와 식민성 - 1912년 원주 지역 고적 조사 활동을 중심으로 -

        왕현종 ( Wang¸ Hyeon-jong ) 강원사학회 2022 江原史學 Vol.- No.38

        본 논문은 일제강점 전후 도쿄제국대학 공과대 건축·고고·미술사학자 세키노 타다시의 강원도 문화재 조사, 특히 원주지역 고적조사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는 1902년부터 조선의 문화재와 고적에 대한 조사를 시작하여 1909년 이후 1915년까지 매년 한 차례씩 수개월에 걸쳐 각종 문화재의 상태와 등급을 매겨 보존의 가치를 매겼다. 특히 1912년 가을에는 강원도 지역 고적조사에 나섰는데, 춘천, 강릉, 오대산, 원주 일대 문화재를 조사하였다. 특히 원주 지역의 조사에 대해 원주는 신라 말기철불, 석물, 석탑 등 귀중한 문화재가 집중되어 있으며 경주 불교유적지에 버금간다고 평가하였다. 특히 흥법사지, 거돈자시, 법천사지 등 신라말 고려초에 만들어진 거대한 사찰과 석탑, 부도탑, 비문 등에 주목했다. 그런데 강원도 일대 문화재의 조사기록은 현재 일본 도쿄대학 종합박물관에 세키노 타다시의 ‘필드카드’로 남아있다. 그중에서 원주 문화재 36개 유물에 대한 47장의 필드카드에서는 문화재 발견 경위, 보존상태, 등급과 가치 등을 자세하게 기록하였다. 필드카드는 당시 문화재 보존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유물 사진촬영과 조사내용을 상세하게 기록한 노트였다. 이러한 기록을 바탕으로 이후 「조선고적조사표(朝鮮古蹟調査表)」, 「고적조사약보고서(古蹟調査略報告書)」, 『조선고적도보(朝鮮古蹟圖譜)』 등으로 체계적으로 정리되었다. 한편 원주 지역의 문화재는 흥법사지 진공대사비 발견 사실이나 법천사지 지광국사 현묘탑의 반출과 같이 원 소재지에서 무단 이전되었으며, 1915년 조선공진회의 전시물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또한 조선의 학문과 문화발달을 중시하는 학자인 안확, 정인보 등은 세키노의 조선고적조사에 대해 비판적으로 본 반면, 최남선과 같은 이들은 그들의 공로를 인정하기도 하였다. 그러므로 1912년 강원도, 원주 지역에 대한 세키노 타다시의 조선 문화재 조사는 다음과 같이 평가할 수 있다. 하나는 체계적인 조사활동을 통하여 조선 각지의 문화재의 보존가치를 재평가할 수 있었다. 다른 하나는 일본인들의 문화재 약탈을 유발하고 식민지 지배의 역사적 정당화를 초래했다는 의미에서 일제의 식민지성을 그대로 나타냈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reviewed the Gangwon-do Cultural Heritage Survey, focusing on the Wonju area, by Sekino Tadashi(關野貞), an architectural, archaeological, and art historian at Tokyo Imperial University before and after the Japanese colonial era. He began investigating Joseon’s cultural properties and monuments in 1902 and valued preservation by rating the condition of various cultural properties once a year from 1909 to 1915. In particular, in the fall of 1912, a survey was conducted on historical sites in Gangwon-do, and cultural assets in Chuncheon, Gangneung, Odaesan, and Wonju were investigated. Wonju deemed that valuable cultural assets such as an iron Buddha, stone objects, and stone pagodas in the late Silla period were concentrated and comparable to the Buddhist ruins in Gyeongju. He especially considered large temples, stone pagodas, stupas, and inscriptions made in the late Goryeo Dynasty, such as the Heungbeopsaji, Geodonjashi, and Beopcheonsa Temple sites. However, the research records of cultural assets in Gangwon-do remain at the Tokyo University Museum in Japan as Sekino Tadashi's "field card.” Among them, 47 field cards for 36 relics of Wonju Cultural Heritage recorded the details of the discovery and the preservation status, rating, and value of the cultural heritage. The field card was a notebook that recorded the details of the photographs and investigations of relics as the preservation of the cultural properties was improperly performed at that time. The contents of these records were systematically organized into the Joseon Historical Survey Table, the Historical Survey Report, and the Joseon Historical Archives. Meanwhile, cultural properties in Wonju were transferred from the original location without permission, such as the discovery of a vacuum monument at Heungbeop Temple Site and the removal of the Stupa of State Preceptor Jigwang from Beopcheonsa Temple Site, and were used as an exhibition in 1915. Moreover, scholars such as An-hwak and Jeong In-bo, who value Joseon’s academic and cultural development, were critical of Sekino's investigation of Joseon’s historical sites, while those such as Choi Nam-sun also recognized their contributions. Therefore, Sekino Tadashi's survey on Joseon cultural properties in 1912 in Gangwon-do and Wonju can be evaluated as follows. First, through systematic survey activities, it was possible to reevaluate the preservation value of cultural properties in various parts of Joseon. Second, it can be said to represent the colonial nature of the Japanese Empire in that it led the Japanese to loot cultural properties and caused the historical justification of colonial rule.

      • 고도 익산 백제문화유산의 활용 방안

        문이화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015 馬韓, 百濟文化 Vol.26 No.-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Baekje Cultural Heritage in Iksan Mun, Ehwa (Research Institute for the Mahan-Baekje Culture, Wonkwang University) This is to study how to utilize cultural inheritances of Baekje Kingdom in Iksan. There are several cultural inheritances of Baekje in Iksan, especially Kumma-myon and Wangkung-myon, including Wangkungri remains and Miruksa temple sites. It was under the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that the places were designated as an ancient capital according to the special law for the preservation of ancient capitals in 2004. And in 2006, the work began to register Iksan historical site as an UNESCO world heritage site. From the year 2011, the work expanded with the new name ‘Baekje historical site’ combining Iksan site and Kongju and Buyeo site. Then Baekje historical site was registered a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this July. Considering such a significant importance of Baekje cultural heritage, some measures have to be taken for locals and visitors as well as a few experts to enjoy the cultural heritage. The utilization of cultural inheritance of Baekje Kingdom will contribute to solving the problem. We can utilize cultural heritage effectively through tourism and education. In case of Iksan site, most of the heritage are buried in the ground. Therefore their utilization is as much difficult, compared with cultural heritage of other sites. To make good use of cultural heritage, several suggestions will be studied profoundly, for example, the application of diverse mass communication and digital instruments, the art of storytelling, and the mobilization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as well as the preservation and the maintenance of cultural heritage sites. 본고는 익산지역에 산재해 있는 백제문화유산의 활용방안을 검토하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익산지역에는 금마면과 왕궁면을 중심으로 하여 왕궁리유적과 미륵사지 등 백제문화유산이 다수 분포하고 있다. 이러한 역사문화적 환경을 바탕으로 2004년에는 「고도보존에 관한 특별법」에 의하여 고도로 지정되었으며, 2006년부터는 「익산역사유적지구 세계유산등재추진」 작업이 시작되었다. 2011년 「공주․부여역사유적지구」와 통합하여 「백제역사유적지구」라는 명칭으로 세계유산등재가 추진되었으며, 올해 7월 왕궁리유적과 미륵사지가 공주․부여의 백제문화유산과 함께 <백제역사유적지구>라는 명칭으로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이와같이 미륵사지, 왕궁리유적 등 익산의 백제문화유산이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이 때에 지역주민과 내방객들이 그 가치를 향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마련해야 할 과제가 대두되었다. 이에 과제 해결 방안의 하나로 백제문화유산을 활용한 다양한 방법을 사례를 들어가면서 제시함으로써, 이러한 목적을 이루는데 일조하고자 한다. 문화유산은 관광과 교육의 목적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되는데 익산지역의 백제문화유산은 주로 매장문화유산으로서 일반 문화유산에 비하여 문화유산의 활용에 어려움이 큰 편이다. 따라서 활용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문화유산의 보존 및 정비를 기본으로 하고, 첨단 디지털 기법과 스토리텔링 기법, 지역의 인적․물적 자원 활용 등 몇 가지의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 한국 사적지 조경 보존,정비의 흐름과 특성

        ( Hyung Suk Kim ),( Woo Kyung Sim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4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 Vol.12 No.-

        한국에 근대적인 문화재 보존 개념이 도입된 이래 사적지 내외의 면적(경관) 보존?정비에 대한 관심은 점적인 단위인 건축에 비해 미흡했다. 역사적 장소의 분위기는 건물 몇 채를 복원한다고 만들어지지 않으며 전체 경관과의 조화가 필수적이다. 경관을 조성하는 조경이라는 분야가 한국에 도입 된지 40여년 만에 국내 조경분야는 많은 성장을 이루었지만 사적지 경관 조성에는 많은 시행착오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사적지 경관 보존?정비를 시대상황, 주요 사적지 정비사업 등을 배경으로 광복 이후 네 시기로 구분하여 고찰하였으며, 이를 통해 각 시기별 흐름과 특징 그리고 기타 요소와의 관계를 조명하였다. 광복 후~50년대는 한국전쟁 등의 여파로 정치적, 경제적으로 어려운 시기로서 이 시기 문화재 관리는 제한적 보존정책이 이루어지던 시기였다. 따라서 문화재 주변 경관이나 환경은 방치할 수밖에 없었다. 60~70년대는 국가 주도의 사적지정비 사업 및 면적보존 개념이 대두된 시기였다. 사적지 보수?정화사업 등 국토개발에 따른 환경보존에 조경이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였으며, 단순히 사적지를 정비하는 수준이 아닌 공간의 재구성을 통해 새로운 경역을 만들어 냈다. 하지만 당시의 사적지 경관 조성은 전문가가 부족하였고, 주관적인 면이 많이 작용하였다. 80~90년대는 경제적 성장을 바탕으로 한 국가 정체성 확립의 시기로 궁궐을 중심으로 일본식 조경 정비 등이 이루어졌다. 이 시기는 신장된 경제력을 바탕으로 국제대회, 국제행사를 유치함에 있어 국가정체성 확립에 주력하던 시기였다. 2000년대 이후 조경분야의 성장으로 사적지보수?정비에 있어서 조경의 역할이 중요해 졌다. 하지만 법과 제도적인 측면에서는 많은 제약이 있어 조경 전문가에 의한 사적지 경관 조성에는 여전히 한계가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이를 바탕으로 살펴 본 결과 문화재를 포함한 사적지 정비는 정치적 의도와 가치관, 국제적인 흐름 등과 같이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조경의 역할 또한 이에 따라 변화해 온 것을 알 수 있었다. 사적지 경관의 올바른 보존?정비는 한국의 조경문화를 연구하고 보급하는데 있어 실증적인 전달의 도구로서 도움이 될 것이며 민족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밑거름이 될 것이다. Since the modern concept of preservation of cultural properties was introduced, interest in preservation and maintenance of landscapes of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historic sites has been insufficient compared to architecture. A historical place`s atmosphere cannot be recreated just by restoring a few buildings; harmony with the entire landscape is essential. Forty years have passed since landscape architecture focusing on fabricating scenery was introduced to Korea, but there has been much trial and error in creating the landscape of historic site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preservation and maintenance of the landscape of historic sites in Korea by surveying four post-independence periods in terms of the circumstances of each time period and maintenance projects of major historic sites. Thus,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and their relationship with other elements. Between independence and the 1950s, Korea suffered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in the aftermath of the Korean War, and cultural properties were managed by a restrictive preservation policy. Of course, the surroundings and environments of cultural properties were neglected. In the 1960s?1970s, state-led historic site maintenance projects and the concept of area preservation became predominant. Landscape architecture played a crucial role in environment preservation, such as repair and purification of historic sites according to land development. In addition, landscape architecture created a new boundary by reorganizing space beyond the level of simply maintaining historic sites. However, at the time, there were not enough experts of landscaping of historic sites, and subjective opinions were rather influential. During the 1980s?1990s, national identity was established based on economic growth, and Japanese-style landscapes of palaces were repaired. In this period, Korea devoted itself to establishing its national identity by holding international competitions and events thanks to its increased economic power. Since 2000, thanks to its growth, the role of landscape architecture has become critical in repairing and maintaining historic sites. However, because there are still many legal and institutional limitations, landscaping professionals have restrictions in creating the landscape of historic sites, which requires improvement. The result confirms that maintenance of historic sites is related to political intentions, values, and international trends. This study also demonstrates that the role of landscape architecture has changed accordingly. Proper preservation and maintenance of the landscape of historic sites will help in the study and dissemination of Korea`s landscape culture and will lay the foundation for establishing a Korean identity.

      • KCI등재

        불교 사찰 사적(史蹟) 지정을 통한 문화재로서의 가치 인식 확장과 보존·활용 증진 -영광 불갑사(佛甲寺)를 사례로-

        류호철 동아시아고대학회 2023 동아시아고대학 Vol.- No.69

        Designating and registering cultural properties serves to preserve, manage, and utilize their value based on law. We can effectively preserve the value of a cultural property by designating or registering it as a type of cultural property appropriate to its characteristics. Accordingly, Buddhist temples with a long history have been designated and registered as individual cultural properties, but it is regrettable that there are not many places where the temple area itself has been designated a historic site (史蹟). Designating and registering only individual cultural properties, such as temple bulidings and relics, and not temple areas as a whole raises the concern that this will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preserva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cultural properties. For example, Bulgapsa Temple, located in Yeonggwang-gun, was formed in ancient times and was rebuilt in the 17th century after the two Japanese invasions of Korea during the Joseon Dynasty, surviving to the present day. However, while it includes 13 designated and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the temple area itself has not been designated as a historical site. Designating the temple pavilion alone as a cultural property only recognizes its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as a building, whereas designating the temple area as a historical site would focuses on the history and culture formed and continued within the space. In other words, doing so would recognize that the temple area has sense of place (placeness). Therefore, to actively recognize, preserve, and utilize the historical and cultural meaning and value of Bulgapsa Temple as a cultural property, it is desirable to designate the entire area of Bulgapsa Temple, a space where culture has been formed, as a cultural property. In other words,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value of sense of place (placeness) as a cultural property, for cultural properties can also have practical meaning in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when designating and registering them as types that can encompass various values. 문화재를 지정·등록하는 것은 그것이 갖는 가치를 법률에 근거해 보존·관리하고 활용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그 문화재의 특성에 적합한 문화재 유형으로 지정 또는 등록할 때 문화재로서의 가치를 효과적으로 보존할 수 있다. 이에 비추어 긴 역사를 이어온 불교 사찰들은 전각이나 유물들만 개별 문화재로 지정·등록되어 있을 뿐 사찰 영역이 사적으로 지정된 곳이 많지 않아서 아쉬움이 크다. 사찰에 있는 전각과 유물 등 개별 문화재만 지정·등록하고 사찰 영역은 지정하지 않는 것은 문화재로서 사찰이 갖는 가치의 일부에만 주목하는 것으로, 문화재 보존·관리와 활용에 긍정적이지 않은 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 예컨대 영광 불갑사는 고대에 형성되어 지금까지 역사를 이어가고 있는 사찰이다. 그런데 지정·등록 문화재가 13건에 이르지만 사찰 영역 자체는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지 않다. 사찰 전각만 문화재로 지정하는 것은 그것이 갖는 건축물로서의 역사적·문화적 가치만 인정하는 것인 데 비해, 사찰 영역을 사적으로 지정하는 것은 그 장소 안에서 형성되고 이어져 온 역사와 문화 전체에 주목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사찰 영역은 장소성을 갖는 문화재이다. 따라서 문화재로서 불갑사가 갖는 역사적·문화적 의미와 가치를 적극적으로 인식하고 보존·활용하기 위해서는 문화가 형성되어 이어져 온 공간인 불갑사 영역을 문화재, 즉 사적으로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화재로서의 장소성이 갖는 가치에 주목해야 한다는 말이다. 문화재는 다양한 가치를 포괄할 수 있는 유형으로 지정·등록할 때 보존과 활용도 실질적 의미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경주 소재 문화재의 지정 현황과 성격

        김신재 ( Kim Sinjae ) 대구사학회 2021 대구사학 Vol.143 No.-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assets in Gyeongju, which were designated as 'treasures' and 'historic sit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It also analyzes the designation trend for cultural assets in the city from the day of liberation to the end of the 1960s in order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asset preservation. No cultural asset in Gyeongju has lost the designation before and after the enactment of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Additionally, there has been no cultural asset in Gyeongju that had not been designated as a cultural treasure due to concerns over promoting national consciousness but received the designation after the day of liberation. By the end of the 1960s, the Gold Crown from the Geumgwanchong Tomb and the East and West Three-story Stone Pagodas at Gameunsa Temple Site in Gyeongju were designated as National Treasures. In addition, wooden structures from the Joseon Dynasty period, such as the Mucheomdang House and the Hyangdan House in the Yangdong Village, were designated as 'treasures' and many of the royal tombs of Silla were newly designated as 'historical landmarks'. Part of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s cultural policy involved protecting the cultural assets in Gyeongju by assigning them designation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policy was centered on the cultural assets and stone structures from the Silla period. While wooden structures, such as the magistrate's offices, which symbolize the Joseon period, were neglected, the Sillan cultural assets were preserved and protected as assets of the Japanese Empire to promote national assimilation and civilization assimilation. The study came to a conclusion that making greater efforts to restore the original Sillan cultural and historical sites damaged by railways and roads is the preferable way to overcome the Japanese Colonial Era's policy of preserving cultural assets. (Dept. of korean history, Dongguk University / ksj@dongguk.ac.k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