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존감으로서의 행복 ― 통합적 행복모델을 향하여

        이기홍 대동철학회 2012 大同哲學 Vol.59 No.-

        행복/웰빙에 대한 담론이 활성화되고 있다. 예로부터 사람들은 ‘행복’이란 무엇이고,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은 무엇이며, 그리고 행복한 삶을 위해서는 어떠한 삶을 살아야 하고, 어떤 삶의 조건이 갖춰져야 하는가 등을 물었고, 헤도니즘적, 에우데모니아/푸르덴셜 행복이론, 비교이론, 자기결정이론 혹은 주관주의적, 객관주의적, 상대주의적, 절대주의적 행복이론, 감정적, 인지적 행복이론, 셋 포인트 행복이론, 진정성이론 등 다양한 행복이론들이 출현했으며 그리고 흥분적 자극, 쾌감, 즐거움, 만족, 평온, 성취, 유용성, 안녕감/웰빙, 삶의 질 등 다양한 행복개념들이 쏟아졌다. 그런데 이들을 통합할 행복모델은 가능한가? 본고가 답하고자 묻는 질문이다. 본고에서 필자는 행복의 정의를 개인/심적 차원이 아닌 인간 삶/실존 차원에 정위시켜 ‘실존적 활성화’와 관련시켜 논하면서, 행복(감)을 실존적 활성화의 부산물로서의 느낌, 즉 실존적 활성감 혹은 실존감으로 규정한다. 이러한 행복개념의 제시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실존적) ‘비평형체계’(non-equilibrium) 및 ‘실존적 셋 포인트’ 개념이다. 필자는 비평형체계를 자기유지를 위한 수단을 자체 내에 구비하고 있으면서, 환경과 구분되는 자기폐쇄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는 시스템을 지칭하며, 그리고 유지되어야 할 비평형상태의 수준을 ‘실존적 셋 포인트’라 칭한다. 두 개념을 필자는 실존체계에다 적용해 실존적 비평형체계와 실존적 셋 포인트를 규정한다. 실존적 비평형계의 셋 포인트는 사람들이 지향하는 하나의 존재론적 지향점이다. 그리고 현실 상황은 그것을 가능케 할 수도 있고, 그렇지 못할 수도 있다. 실존적 셋 포인트와 현실 간의 일치를 통한 실존적 활성화가 곧 행복으로 이해되는 동안, 일치의 다양한 역학적 양상과의 관계에서 다양한 행복의 종류들 및 다양한 행복의 생멸메커니즘이 논의된다. 그리고 이 논의의 결과를 기존의 다양한 행복이론 및 행복개념들과 비교하는 가운데, 편재되어 있는 행복이론 및 개념들의 통합적 상관관계를 제시한다. 여타의 다양한 행복개념들은 결국 실존감의 다양한 양상들로 이해된다. Recently in many areas, it has been discussed on happiness or well-being. People ask, what is happiness, what a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happiness of people, how must live people to be happy, and what conditions must be provided for our happy life. Until now, various theories about happiness have been developed. For example, hedonistic theory, eudaimonia / prudential theory, comparison theory, self-determination theory, subjective and objective theory, emotional and cognitive theory, set-point theory of happiness, authentic theory, etc. Accordingly the concept of happiness is understood in various ways, such as pleasure, excitement, joy, contentment, peace, fulfillment, serenity, utility, comfort, well-being, quality of life, etc.. Before we answer the question of how we have to live to be happy, and what are the conditions of the happy life, we must first answer the questions, such as what is happiness and what is the nature of happiness. The former is a theoretical question of happiness, while the latter is a definitional question of happiness. And the former depends on the latter. But the diversity of the concept of happiness leads also to the production of various strategies of happiness, which often conflict each other. In this context a reexamination of the concept of happiness is necessary. In this paper, I discuss the concept of happiness, not on the mental dimension, but on the existential dimension, as a sort of existential feeling, i.e. as a sort of existential sense, which is a byproduct of life activity/activation. But in this definition of happiness two concepts play an important role; the non-equilibrium system and the set-point. What I mean with the former is a system which is self-closed and maintained by himself, whereas his systemic characteristic distinguishes from his environment. And what I mean with the latter is a certain level of non-equilibrium state, maintaining of which is necessary for the sustaining of the system. I apply these concepts to the existential world/system, and call each of it existential non-equilibrium and existential set-point. The set-point of existential system is a point, at which people are thriving. In this sense it is a normative one. But real existential status of people can correspond to it or not. And the case of non-corresponding divides into two cases; the case in which existential status of people lies below of it and the case in which it lies above it. Gaps between the two can be disappeared again by upward adjustment or improvement of the existential status of the people, by downward adjustment of the existential set-point and by sharing/distribution of the spare of existential resources with/unto environment like another poor people/animal. And in the case of resetting of existential set-point to the higher level, the gap between it and existential status of people can be disappeared by an another improvement of existential status of the people. Whereas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two is understood as state of happiness, i.e. of existential flourishing, various kinds of happiness can be defined according to the ways of the filling of gaps between the two. I close the paper with some comments on the matter of the theoretical question of happiness such as question about the factors that affect happiness, and question about how can we live to be happy. Even though these issues are beyond the scope of this paper, my discussion of happiness gives at least some important hints concerning with the question, how we can handle them.

      • KCI등재

        자율적 행복론을 위하여 - 칸트 윤리학의 현재와 미래 -

        이철우(Lee, Chul-woo) 대한철학회 2024 哲學硏究 Vol.170 No.-

        본 논문의 목표는, ‘칸트 윤리학의 현재와 미래’를 문제사적으로 고찰하여 오늘날 칸트 연구가들에게 현실적으로 요구되는 과제는 고대 그리스의 ‘철학적 삶의 기술론’의 주제이던 ‘좋은 삶으로서의 행복’을 칸트의 ‘자율도덕’의 틀 안에서 통합하는 ‘자율적 행복론’의 정립임을 밝히고 그 가능성을 짚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저 과제에 이르게 되는 문제를 낳게 한 ― 그리고 1970년대 ‘실천철학의 복권 운동’을 일으킨 ― 존 롤즈(John Rawls)의 사회정의론에서 칸트 윤리학의 연구를 고찰하여 본다. 이에 따르면 칸트의 윤리학은 ‘의무론적 도덕의 근거지움의 프로그램’이라는 좁은 의미의 도덕철학적 반성으로 제한되며, 여기서 고대 그리스의 철학적 삶의 기술론의 중심 주제이던 좋은 삶으로서의 행복은 더 이상 철학적-윤리적 반성의 대상의 지위를 갖지 못한다. 다음으로 롤즈의 ‘사회정의론’이 바탕으로 하고 있는 칸트의 의무론에 대한 비판을 통해 고대 그리스의 좋은 삶의 문제를 윤리학의 근본주제로 복권시키려는 ― 1980년대에 본격적으로 등장한 ― 신아리스토텔레주의의 문제제기와 이에 대한 영미권의 소위 구성주의적 칸트주의자들과 독일어권의 담론윤리적 칸트주의자들의 ― 결과적으로 불충분한 ― 숙고들을 논하여 본다. 신아리스토텔레주의의 비판은 근본적으로 두 가지인데, 첫 번째는 칸트에게서 좋은 삶의 추상으로부터 가능한 정언명법을 통한 도덕의 근거지움에 대한 것이고, 두 번째는 저 좋은 삶으로서의 행복을 윤리학의 중심 주제로 다시 설정하는 것에 관한 문제이다. 이 두 번째 문제는 자율 도덕 역시 도덕의 의미와 관련하여 매우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않으면 안 될 매우 중요한 윤리적 반성의 대상이다. 그리하여 여기서 자율 도덕의 틀 안에서 가능한 철학적 행복론인 자율적 행복론의 가능성은 칸트 연구가들에게 필연적인 윤리적 과제가 된다. 이에 연결하여 2000년대 들어서 저 자율적 행복론의 가능성을 매우 설득력 있게 보여준 오트프리트 회페(Otfride Höffe)에게서 칸트 윤리학의 행위론적 연구를 짧게 고찰하여 본다. 그리고 회페의 저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칸트의 최고선에 관한 이론을, 특히 아리스토텔레스적 좋은 삶의 물음의 자율 도덕적 완성이라는 시각을 통해 자율 도덕의 틀 안에서 통합된 좋은 삶의 윤리학으로서의 ‘자율적 행복론’으로 해석하여 본다. 이 자율적 행복론에서 중심이 되는 물음은 도덕의 근거지움에 관한 것이 아니라, 도덕이 행복으로 인도하여주는지 여부와 정도에 대해 묻는 도덕적 행위의 행복론적인 의미이다. 이 경우 칸트에게서 자율 도덕은 좁은 의미의 도덕철학적 근거지움에 관한 윤리이론적 방식이 아닌 행위론적인 반성을 통해 최고선의 물음에 이르게 된다. 여기서 자율 도덕과 좋은 삶으로서의 행복은 윤리-필연적 조건관계를 갖게 되며, 그리하여 ‘도덕적 삶의 행복론적 의미’를 윤리적 물음의 대상으로 갖게 되는 ‘자율적 행복론’이 칸트에게서 정립될 가능성이 열린다. 끝으로 이 자율적 행복론의 미래적 전망과 의의를 또한 응용윤리적 물음과 관련하여 짧게 언급한다. The aim of this work is to scrutinize the “present and future of Kants ethics” with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ideas, contending that the current task for Kantian scholars is the formulation of an “autonomous theory of happiness”. This theory aims at integrating the concept of happiness as a good life, a fundamental tenet of ancient Greek ethics, into the framework of autonomous morality. To achieve this, the examination commences by evaluating the Kantian moral system that John Rawls presented in his work “A Theory of Justice,” which led to a “rehabilitation of practical philosophy” in the 1970s. Here, Rawls confines Kant’s moral system to the deontological justification program of morality, sidelining the notion of happiness as a good life from ethical contemplation. After this, the critical engagement of Neo-Aristotelianism in the 1980s with the Kantian deontological ethics, and the critical refutation from the constructivist and discourse-ethical Kantian approaches against this Neo-Aristotelian view are put up for discussion. However, this refutation is ultimately unsatisfactory. Neo-Aristotelianism poses the following two pivotal questions: first, concerning the justification of morality through the categorical imperative, which is possible via abstraction of the good life. Secondly, Neo-Aristotelianism attempts to rehabilitate happiness as the good life and the core theme of ethics. For Kantian researchers, the second question leads to the serious ethical task of demonstrating the possibility of an autonomous theory of happiness — a philosophical theory of happiness that is possible within the confines of autonomous morality. In this context, the action-theoretical interpretation of Kants ethics as briefly presented by Otfried Höffe in the 2000s, presents a potential groundwork for the autonomous theory of happiness. Building upon this foundation, Kants doctrine of the highest good is explicated in relation to the autonomous theory of happiness, which is viewed primari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utonomous-ethical completion of the Aristotelian concept of the good life. This autonomous theory of happiness does not concern the deontological justification program for morality, but rather focusses on the eudaemonistic sense of morality, that is, the question whether and to what extent morality leads to happiness. Kants autonomous morality thus arrives at the doctrine of the highest good, not via moral theory, but through the theory of action, wherein an ethically necessary conditional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morality is established. Conseqently, a Kantian autonomous theory of happiness can be established and defended. Concluding, the study briefly discusses the prospects and relevance of this autonomous theory of happiness in relation to applied ethical issues.

      • KCI등재후보

        이그나티우스의 가치관 속에 나타나는 일곱 가지 행복론: 이그나티우스의 일곱 서신을 중심으로

        조윤호 개혁신학회 2023 개혁논총 Vol.65 No.-

        What is Happiness? It is impossible to give a single answer to this question. This is because happiness appears in different forms depending on each person’s circumstances and circumstances. Aristoteles looks for happiness in two ways: one is given through a “divine element,” and the other is created through a “human element,” such as learning and training. Augustinus, on the other hand, explains happiness through divine providence. Ignatius’ theory of happiness is closely related to his own values. Aristotle explains happiness in terms of the pursuit of happiness. On the other hand, Ignatius connects the source of happiness with faith. This is a confession that the source of happiness is from God. He proves this with three values. (1) The value of faith (2) The value of role (3) The value of true suffering. Happiness is not something to be found or discovered. Ignatius gives us a clear answer to this question. His seven theories of happiness, which appear in his three values, are a good representation of this.(‘Values that make God proud’, ‘Values of union with Christ’, ‘Values based on assurance of faith’, ‘Values of working together’, ‘Values of forming one mind’, ‘As the chosen ones’, ‘Values of resurrection assurance') The theory of happiness in Ignatius's values is comprehensively explained through ‘discipleship’ and ‘faith of the cross’ that resemble Christ. It is worthwhile to study his theory of happiness in the context of the seven epistles he wrote. Here we encounter the true value of his thoughts and his theory of happiness. And through the seven theories of happiness, we know why faith in God is so important.

      • KCI우수등재

        행복의 시공간적 분포에 대한 믿음과 주관적 안녕감

        설선혜,최종안,최인철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34 No.4

        Lay theory is implicit assumptions about the social world that individuals hold, which influences personal experiences and behaviors. Previous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ay theories and happiness suggested various lay theories are associated with individual differences in experiencing happines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how the belief in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happiness is related to individuals’ happiness. In Study 1, belief in happiness distribution was measured by self-reported survey and then correlated with participants’ self-reported feeling of happiness, In Study 2 and Study 3, participants performed behavioral tasks in which they predicted others’ levels of happiness on spatial and temporal dimensions. Participants’ beliefs on the happiness distribution were estimated based on their responses in the tasks and were correlated with subjective well-being measures. Results of Study 1-3 revealed that participants who believed happiness is not equally distributed across space and time tended to feel lower level of happiness and have lower life satisfaction. In Study 4, we found that belief in the economic distribution is not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or other subjective well-being measures. Our findings suggest that belief in unequal distribution of happiness is negatively linked to individuals’ level of happiness and this relationship may not be domain-general but be specific to the domain of happiness. 내재 이론(Lay theory)은 개인이 지니고 있는 사회적 세상에 대한 암묵적 가정으로 개인의 경험과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내재 이론과 행복 경험 간의 관계를 조사한 선행 연구들은 행복과 관련된 다양한 내재 이론들이 행복의 개인차와 관련되어 있음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행복의 시간적, 공간적 분포에 대한 믿음이 개인의 행복 수준과 어떻게 관련되어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1에서는 행복의 공간적 분포와 시간적 분포에 대한 전반적 믿음을 자기보고 설문을 통해 측정하고 행복감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2와 연구 3에서는 사람들이 타인의 행복을 지각하는 양상을 공간적 차원과 시간적 차원에서 각각 측정하고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1-3의 결과, 행복이 시간적, 공간적으로 불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다는 믿음이 강한 사람들이 행복감을 덜 경험하고, 삶의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4에서는 경제적 부의 분포에 대한 믿음이 삶의 만족도와 관련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행복의 불균등 분포에 대한 믿음이 개인의 행복 수준과 부적으로 관련되어있음을 보여주며, 이러한 관련성은 자원 분포에 대한 일반적 믿음보다는 행복에 영역 특정적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

        청소년의 긍정적 정신건강 유형에 따른 행복에 대한 암묵적 이론에서의 차이: 서울지역 청소년 대상 예비 연구

        윤정미,김진영 한국청소년학회 2017 청소년학연구 Vol.24 No.10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aspects of implicit theories of happiness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implicit theories of happiness according to positive mental health types of adolescents. Implicit theories of happiness are lay person's own cognitive constructions and belief about happiness. Participants were 417 adolescents who were asked to complete the Positive Mental Health Scales for Adolescents and the Implicit Theories of Happiness Questionnaire which was composed of two open-ended questions. Following thematic analysis of implicit theories, the relationships between implicit theories and positive mental health types were examined. Results showed that implicit theories were depended on positive mental health types, and mental well-being was as important to the implicit theories of happiness as mental illness. Flourishing group tended to associate the values of personal relations with happiness, reflecting more ideal aspect of happiness. While flourishing and struggling group tended to report material value as the least important values of implicit theories of happiness, languishing and floundering group tended to report material value as the top. Lastly the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청소년의 행복에 대한 암묵적 이론을 밝히고 긍정적 정신건강 유형에 따른 행복에 대한 암묵적 이론에서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는 예비연구이다. 행복에 대한 암묵적 이론은 일반인들이 행복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인지적 구조와 신념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417명의 행복에 대한 암묵적 이론과 긍정적 정신건강을 조사하였으며, 행복에 대한 암묵적 이론은 주제 분석 후 각 범주의 응답 빈도를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청소년의 행복에 대한 암묵적 이론은 크게 일곱 개의 범주로 분류되었으며, 긍정적 정신건강 유형에 따라 암묵적 이론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번영과 분투 유형의 행복에 대한 암묵적 이론이 유사한 한편 쇠약과 부적응 유형의 암묵적 이론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쇠약과 부적응 유형의 암묵적 이론에서는 다른 두 유형의 암묵적 이론에 비해 외재적 가치가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유형들에 비해 번영 유형은 대인관계를, 분투 유형은 성격적 강점을 중요한 암묵적 가치로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 및 제한점,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정신장애인의 행복과정

        채완순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09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3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ntity theory concerning the process of obtaining happiness for people with schizophrenia. This study focused on "what is the process of schizophrenics' obtaining happiness?" based on grounded theory methodology(Strauss & Corbin, 1998).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 outpatients diagnosed as schizophrenia.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otal 163 concepts were drawn, which were classified into 44 subcategories and 15 superordinate categorie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ategories by paradigm showed that in the process of schizophrenics' achieving happiness, the causal condition was " being regarded as dead", and the contextual condition corresponding to this phenomenon was "no way out", "not treated as human beings". The core phenomenon was "wanting to live happily as though having normal lives". The intervening condition to boost this core phenomenon was 'exhibiting strong will', 'recognizing the possibility of change', and 'overcoming obstacles in their surroundings to improve their opportunities to change'.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thinking of themselves as normal people', 'thinking positively', 'adjusting their expectation', and 'experiencing a sense of accomplishment'. The results were 'feeling happiness in daily life', 'restoring self-esteem', 'reconciliating broken relationships', and 'having hope'. The core concept in the process of schizophrenic people obtaining happiness was revealed as 'experiencing happiness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limitation'. The process of schizophrenic people obtaining happiness was 'the stage of denying happiness', 'the stage of craving for happy life', 'the stage of grasping how to get happiness, and 'the stage of experiencing happines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self-esteem type', 'simple-thinking type', 'expectation-adjusting type', and 'accomplishment-seeking type'. This study are expected to have significance in establishing the theory on the happiness of schizophrenics by defining the process of schizophrenics' obtaining happiness and the types based on grounded theory.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행복과정에 대한 실체이론을 개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정신장애인의 행복과정은 어떠한가?’로 Strauss와 Corbin(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정신분열병 진단을 받은 정신장애인 사회복귀시설 이용자 12명이었다. 연구결과, 총 163개의 개념이 도출되었고, 이를 44개의 하위범주와 15개의 상위범주로 유목화 할 수 있었다. 정신장애인의 행복과정 패러다임모형에서 인과적 조건은 ‘죽은 목숨과 같이 여겨짐’, 맥락적 조건은 ‘사방이 가로막힘’, ‘인간대접 못 받음’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은 ‘정상생활을 하며 행복하게 살고 싶음’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중심현상을 촉진하는 중재적 조건은 ‘강한 의지가 힘이 됨’, ‘변화가능성을 인식함’, ‘나를 둘러싼 자원을 변화의 기회로 삼음’으로 나타났다. 작용/상호작용전략은 ‘정상인으로 생각하기’, ‘긍정적으로 생각하기’, ‘기대수준 조절하기’, ‘성취감 경험하기’로 확인되었으며 그 결과 ‘평범한 일상을 소중히 여김’, ‘자존감이 회복됨’, ‘끊어진 인간관계가 회복됨’, ‘소망을 가짐’으로 나타났다. 정신장애인의 행복과정의 핵심범주는 ‘온 힘을 다해 나의 한계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행복경험하기’였으며, 과정분석은 ‘행복부인단계’, ‘행복한 생활에 대한 갈망단계’, ‘행복을 얻는 방법 터득단계’, ‘행복경험단계’로 확인되었다. 이 과정에서 정신장애인의 행복과정 유형은 ‘자존감 지킴형’, ‘단순 사고형’, ‘기대 조절형’, ‘성취 추구형’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정신장애인의 행복과정을 근거이론 방법을 활용하여 그 과정과 유형 등을 밝힘으로써 정신장애인의 행복에 관한 이론 구축 및 정책적, 임상적 개입에 그 함의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아동용 행복신념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강금주 ( Kang Keumjoo ),신현숙 ( Shin Hyeonsook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0 아동교육 Vol.2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행복에 대한 아동의 암묵적 이론을 탐색하여 아동용 행복신념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있다. 다음과 같이 세 단계를 거쳐 G광역시 4개 지역 소재 초등학교에서 수집한 5,6학년 아동 550명의 자기보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첫째, 이 가운데 132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지를 실시하고 응답내용을 분석하여 행복에 대한 아동의 암묵적 이론을 탐색하였고, 예비문항 55개를 추출하였다. 행복에 대한 우리나라 아동의 암묵적 이론은 대인관계 및 친사회성, 긍정정서, 자유 지향적 쾌락, 물질적 웰빙, 자기실현 및 성취, 만족 및 긍정성, 음미, 건강으로 개념화되었다. 둘째, 아동 24명과 전문가 4명을 대상으로 예비문항의 중요도 평정을 시행하고, 아동 394명의 자료에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최종 척도 30문항을 선별하였다. 아동용 행복신념 척도는 긍정 정서 중심의 행복신념 9문항, 부담·걱정 회피 중심의 행복신념 3문항, 물질·외재적 보상 중심의 행복신념 6문항, 자기실현 중심의 행복신념 5문항, 친사회적 관계 중심의 행복신념 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 아동 394명의 자료로 아동용 행복신념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척도를 구성하는 각 요인의 구인신뢰도와 내적일관성 지수가 양호한 기준을 충족하였다. 또한 행복신념 척도의 하위요인들이 주관적 안녕감(정서적 안녕, 삶의 만족), 웰빙, 긍정적 학교 경험의 하위요인들과 유의한 상관을 보여 아동용 행복신념 척도의 공인타당도가 확인되었다. 행복에 대한 아동의 암묵적 이론을 토대로 개발된 아동용 행복신념 척도는 우리나라 아동들이 행복을 개념화하는 양상을 밝히고, 행복에 대한 아동의 신념을 이해하고 측정하며, 행복에 대한 아동의 관점을 개선하는 노력에 유용하다는 데서 이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의 주제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Children’s Beliefs About Happiness Scale by exploring their implicit theories of happiness. Five-hundred fifty 5th and 6th graders attending elementary schools in 4 districts in G City, Ko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per-pencil self-report surveys and analyzed in the following three steps. First, open-ended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132 children to explore their implicit theories of happiness. Korean children were found to conceptualize implicit theories of happiness a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prosociality, positive emotion, freedom-oriented pleasure, materialistic well-being, self-fulfillment and achievement, satisfaction and positivity, savoring, and health. Second, 24 children and 4 experts (3 elementary school teachers, 1 school psychologist with a doctoral degree) rated the importance of each of the preliminary 55 items. The data from 394 children were analyz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e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The Children’s Beliefs About Happiness Scale was composed of 5 subscales (30 items) such as positive emotion-centered happiness beliefs (9 items), burden·anxiety avoidance-centered happiness beliefs (3 items), material and external reward-centered happiness beliefs (6 items), self-actualization-centered happiness beliefs (5 items), and prosocial relationships-centered happiness beliefs (7 items). Thir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final scale were analyzed. Reliabilities of the five subscales, average extraction variance, and internal consistency were found acceptable. In addition, the five factors of children’s beliefs about happines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subjective well-being (emotional well being, satisfaction with life), well-being, and positive school experiences; thus,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Children’s Beliefs About Happiness Scale was confirmed. The Children’s Beliefs About Happiness Scale would be useful for clarifying children’s conceptualization of happiness, understanding and measuring children’s beliefs about happiness, and improving their perspectives on happiness.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presented.

      • KCI등재

        행복에 관한 주관주의와 객관주의 비교와 과제

        전대석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科學 Vol.- No.84

        행복에 관한 이론과 견해들은 다양하다. 하지만 행복에 대한 일반적인 관념은 주관적이고 상대적인 것에 가깝다. 또한 행복에 대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형식적 정의는 ‘인생에서 가장 좋은 것 또는 궁극적인 목적’이다. 또한 행복의 추구는 일종의 권리인 동시에 의무로 인식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행복은 우리의 삶을 규제하는 성격을 가진다. 그것은 우리의 삶에 동기를 부여하며 방향성을 설정한다. 행복에 관한 다양한 견해를 이해하기 위해 우선 행복이 가지고 있는 규범성을 밝히고, 행복에 대한 이론들을 두 개의 관점, 즉 주관주의와 객관주의를 중심으로 구분하여 살펴볼 것이다. 다음으로 행복이 가지고 있는 규범성이 행복에 대한 관점들과 맺는 관계들을 밝히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행복이 갖고 있는 규범성은 행복에 대해 주관주의적 관점을 취할수록 약화되고 객관주의적 관점을 취할수록 강화된다는 점을 논증할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main issues of various views on happiness an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normativity. Theories and views about happiness can be explored from various perspectives. However, the general notion of happiness is being discussed more in relation to subjectivism and relativism. In general, the pursuit of happiness is recognized as both a right and a duty. Besides, the generally accepted formal definition of happiness is ‘the best thing or ultimate purpose in life (Telos)’. In this respect, happiness has a regulating character in our lives. And it motivates and sets a direction in our liv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various views on happiness, we will first clarify the normativity of happiness and examine it based on subjectivism and objectivism. Then we will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normativity of happiness and various views on happiness. In conclusion, we will argue that the normativeness of happiness is weakened as we take a subjective view of happiness but is strengthened as we take an objective one.

      • KCI등재

        한국인의 행복개념에 대한 분석

        최은수,김윤영,YukikoUchida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2 No.2

        Happiness research has primarily been conducted based on the American model of happiness. The agentic concept of happiness in the West emphasizes the positive feeling state stemming from individual achievement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owever, previous studies on lay theories of happiness in other East Asian countries, such as China and Japan, have suggested that these meanings of happiness differ from those of the Western cultural contex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lay theory of happiness among Koreans us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Furthermore, the authors compared the Korean model of happiness with that of the Japanese and Americans from Uchida and Kitayama (2009). The findings from the present research indicate that the Korean model of happiness involves both positive and negative states and consequences of happiness, unlike the uniformly positively connoted happiness in Western cultural contexts. The paper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the implications of the current findings on happiness research in the Korean culture. 행복에 대한 연구는 서구 중심의 학자들과 학문적 토대 아래 이루어져 왔다. 서양에서는 행복을 개인적인 성취와 대인관계에서의 긍정적인 정서적 경험으로 개념화하고 있다. 하지만 일본이나 중국 같은 동양권 문화에서 수행되었던 연구에 따르면 행복의 개념이 서양의 개념과 다르다는 것을 제안해준다. 본 연구는 83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양적 분석 방법과 질적 분석 방법을 사용해 한국인들이 행복을 어떻게 개념화 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Yukiko와 Kitayama (2009)에서 일본인들과 미국인들의 행복개념을 비교 연구할 때 사용한 방법을 이용하여 한국인의 행복개념을 이전의 일본과 미국 데이터와 비교하는 작업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한국인들은 행복으로 인해 생기는 긍정적인 결과와 부정적인 결과를 모두 고려하는 변증법적인 행복 개념을 가지고 있어 일본인들과 비슷한 행복개념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복을 지배적으로 긍정적인 경험으로 지각하는 미국인들과는 차이를 보였다. 또한 한국인들은 정서 상태로서의 행복과 삶의 다른 영역 (대인관계, 일)에 영향을 미치는 기능으로서의 행복으로 분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인들의 행복개념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시도를 통해 한국인이 가지는 행복개념의 특수성을 기존의 서구 중심의 행복 연구와 이론에서 정의하는 행복개념과 함께 고려하는 통합적인 시각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해준다.

      • KCI등재

        부모행복감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유아미,이경화 열린부모교육학회 2022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test instrument of parental happiness. To achieve thi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what are the concepts and components of parental happiness' and 'whether the test for parental happiness is vali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02 parents with children from infancy to adolescents. The procedur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components and initial questions of the parental happiness test were derived through the content validity of the first expert and the content evaluation of the second expert. Seco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collected data, so the validity of the parental happiness test was verifi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al happiness was defined as emotion that had basic requirements to take care of children as parents, maintain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family members, and felt as individuals as parents grew up. Second,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parent happiness test was composed of 48 final items, in three categories of existence, relationship, growth, and 11 components. Third, the internal consistenc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s were analyzed to confirm that the parental happiness test is acceptable. The parent happiness test instrument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an evaluation instrument to identify and manage individual happiness as a parent, and it will be helpful for parent role performance because of high parental efficacy. It can als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for parents and couples.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행복감 검사도구를 개발하여 타당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부모행복감의 개념과 구성요인이 무엇인지’, ‘부모행복감 검사도구는 타당한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여 이를 밝혔다. 연구대상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부터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 602명이었다. 검사도구 개발 절차를 살펴보면 첫째, 1차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과 2차 전문가 내용평가를 통해 부모행복감 검사도구의 구성요인과 초기 검사문항을 도출하였다. 둘째, 수집된 데이터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및 구인타당화 작업을 실시하여 부모행복감 검사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부모행복감의 개념을 ‘부모로서 자녀를 돌볼 수 있는 기본 요건을 갖추고 있고, 가족들과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하면서 부모로서 개인이 성장해가면서 느끼는 정서’로 정의하였다. 둘째,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를 통해 부모행복감 검사도구를 존재, 관계, 성장의 세 가지 범주, 11개 구성요인으로 최종 48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셋째, 문항 내적일관성 확인과 구인타당도 검증을 통하여 부모행복감 검사도구가 수용 가능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부모행복감 검사도구는 부모로서 개인의 행복감을 파악하고 관리하는 자기보고식 평가도구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자기점검 및 성찰을 함으로써 부모 역할 수행하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며, 또한 부모 교육 및 부부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