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부진(Pu Jin Kim),남상욱(Sang Ook Nam),박희주(Hee Ju Park) 대한소아신경학회 2001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9 No.1
목적: 오랜 기간동안 간질 환자에서 왼손잡이가 많다고 인식되어져 왔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흔하지 않다. 저자들은 간질 환아의 handedness를 조사하고 간질의 원인 및 뇌병변의 위치에 따른 왼손잡이의 빈도 및 handedness에 따른 여러 임상양상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간질 환아에서 왼손잡이의 빈도와 왼손잡이의 주 기전이 간질 자체에 의한 것인지 간질과 동반된 뇌병변에 의한 것인지에 대한 연구로 간질의 원인, 치료 및 예후를 예측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방법: 1996년 1월부터 1999년 8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 소아과에 경련으로 내원하여 간질로 진단받은 환아 15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조군은 신경학적 결함이 없는 환아 158명이었다. 의무기록지에 의한 후향적 조사를 실시하여 두 군간의 handedness, 성별, 연령, 성별에 따른 handedness와 대조군에서 handedness에 다른 첫 경련 발생시의 연령, 연령분포, 간질의 가족력, 경련의 형태, 간질 원인의 유무, 증후성 간질의 원인, 해부학적 병변의 위치, 뇌파 결과에 의한 병변의 위치, 그리고 대상군을 특발성 간질 환아군과 증후성 간질 환아군으로 나누어 handedness를 조사하였다. 결과: 대상군과 대조군에서의 handedness, 성별, 연령, 성별에 따른 handedness의 차이는 없었다. 첫 경련시의 연령, 연령 분포, 경련의 형태, 가족력 유무와 handedness는 관계가 없었다. 증후성 간질 환아군은 오른손잡이에서 25명(17.9%)이었고 왼손잡이에서는 8명(44.0%)으로 왼손잡이에서 증후성 간질의 빈도가 높았고 증후성 간질 환아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왼손잡이가 의미있게 많았으나 특발성 간질 환아군에서는 handedness의 차이가 없었다. 증후성 간질 환아군에서 좌뇌반구에 병변이 있는 경우, 뇌파검사상 왼손잡이에서 국소성 이상 소견있는 경우에 왼손잡이가 많았다. 결론: 대상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왼손잡이의 빈도가 높지 않았으나 증후성 간질, 증후성 간질의 병변이 좌뇌반구에 있는 경우, 뇌파검사상 국소성 이상소견을 보인 경우에서 왼손잡이의 빈도가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간질 환아에서의 왼손잡이의 높은 빈도는 증후성 간질의 원인으로 선행된 뇌병변에 주로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Some reports left handedness is more common in epileptic patients compared with normal populations, but the study on this topics are rare. This can be due to epilepsy itself or brain lesion in epileptic patients. The study about the handedness in epileptic patients may help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of handedness and epilepsy, symptomatic epilepsy, sites of brain lesion, age at first seizure attack, family history of epilepsy. Methods: Subjects were 158 children with epilepsy who were admitted and able to describe the handedness at the Department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1996 and August 1999. We reviewed their sex, age, handedness. At patient group, age at first seizure, age distribution, family history of epilepsy, seizure type, etiology of epilepsy, causes of symptomatic epilepsy, site of brain lesion, localization by EEG were analyzed. Control group is 158 children without neurologic problem. We analysed handedness according to its variables.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handedness between epileptic group and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andedness according to age at first seizure attack, seizure type, family history of epilepsy and age distribution. The left handedness is more common significantly in the group of symptomatic epilepsy, left side brain lesion and focal abnormality by EEG recording. Conclusion: We can fin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ymptomatic epileptic patient group,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left brain lesion and focal abnormality by EEG recording. In the case of bilateral or diffuse brain lesion, most of patients showed right handedness(87.5%). Accordingly, we concluded that high prevalence of left-handedness in children with epilepsy is more related with left side brain lesion than epilepsy itself. We assumed the social factors strongly affect the handedness of epileptic patients when we see that most of patients show the right handedness in the bilateral or diffuse brain lesions.
간질 환아에서 Handedness와 Footedness의 비교 분석
안성연(Sung Ryon Ahn),남상욱(Sang Ook Nam) 대한소아신경학회 2005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3 No.2
목 적 : 간질 환자의 왼손잡이에 대한 연구는 흔하지 않으나 일부 연구에서 간질 환자, 정신 지체자, 어린 연령에서 좌뇌반구의 손상을 받은 경우 왼손잡이가 많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간질환자에서의 왼발잡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것이 사실이다. 저자들은 대조군과의 비교를 통하여 간질의 원인 및 뇌병변의 위치에 따른 왼손잡이, 왼발잡이의 빈도와, 나아가서 손발 사용의 일치 정도에 대하여 비교 분석 해보고자 한다. 방 법 : 부산대학교병원 소아과에 경련을 주소로 외래를 내원한 환아 중 간질로 진단받은 환아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01년 6월부터 2001년 8월까지 외래를 방문한 130명 환아들에 대하여 손발 사용을 직접 관찰하여 기록하였다. 대조군으로는 간질의 병력이나 신경학적 결함이 없는 소아 130명으로 하였다. 손발 사용에 대한 각 항목당 10개의 수행을 검토하였고 이중 5가지 이상을 주로 수행하는 손과 발을 handedness와 footedness로 정하였다. 대상군에서 첫 경련의 발생연령, 경련의 형태, 간질 원인의 유무와 중후성 간질의 원인, 중후성 간질의 해부학적 위치에 대하여 의무기록지를 통해 분석하였다. 결 과 : 간질 환아 130명 중 왼손잡이는 20.0%, 왼발잡이는 16.0%로 정상 대조군의 4.6%, 5.4%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의의있게 높았으나 (P<0.05), 특발성 간질의 경우는 왼손잡이와 왼발잡이의 비율은 8.9%, 8.9%로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차이는 없었다. 증후성 간질 환자 40명에서 왼손잡이와 왼발잡이의 비율은 45.0%, 31.4%로 대조군에 비해 의의 있게 높았다(P<0.05). 증후성 간질에서 뇌병변의 위치에 따른 차이를 보면, 왼쪽 뇌반구의 이상인 경우에는 100%에서 왼손잡이, 57.1%에서 왼발잡이(28.6%에서 양발잡이)로 나타났으며 양쪽 뇌반구나 미만성의 병변인 경우에는 왼손잡이가 25.9%, 왼발잡이가 26.9%로 왼쪽 뇌병변의 경우 왼손잡이, 왼발잡이의 빈도가 높았다(P<0.05). 손과 발 사용의 일치 정도는 대조군에서는 왼손잡이의 66.7%(4/6)가 왼발잡이였으며, 특발성 간질에서는 50.0%(4/8),증후성 간질에서는 71.4%(10/14)의 일치율을 보였다. 결 론 : 간질환자에서 정상인 군에 비해 왼손잡이, 왼발잡이의 빈도가 높았으며 이러한 차이는 증후성 간질 환자에서의 높은 왼손잡이, 왼발잡이의 비율로 인한 것으로 보이며 왼쪽 뇌반구의 이상이 있을 시에 왼손잡이, 왼발잡이의 빈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 Studies for handedness and footedness of patients with epilepsy are rare. Some studies suggest that left handedness is more common in children with injury in the left hemisphere, mental retardation and epilepsy. We analysed the correlation of handedness and footedness with epilepsy according to the cause of epilepsy and the site of brain lesion by comparing with a control group. Methods: Subjects were 130 epileptic patients who visited the pediatric out-patient clinic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une 2001 to August 2001. A control group was composed of 130 children without history of convulsion or neurologic problems. We let them carry out 10 items or answer the questions on the use of hands and feet. We defined handedness and footedness based on the number of the items carried out dominantly. We analyzed age, type of seizure, cause of epilepsy and site of brain lesions in the symptomatic group by reviewing their medical records. Results : In 130 epileptic patients, left handedness and left footedness were 20.0% and 16.0%, respectively which are higher than 4.6% and 5.4% of the control group(P<0.05). There was statistically no difference between the idiopathic epilepsy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uch as 8.9% and 8.9%. But left handedness in the symptomatic epilepsy group was 45.0% and left footedenss was 31.4%, which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P<0.05). According to the site of brain lesions in the symptomatic group, all the patients with abnormalities in the left hemisphere showed left handedness and 57.1% of the patients showed left footedenss. In cases of abnormalities in both hemispheres or diffuse brain lesions, left handedness was 25.9% and left footedness was 26.9%. The concordance rate of left handedness and left footedness was 66.7% (4/6) in the control group, 50.0%(4/8) in the idiopathic epilepsy group and 71.4%(10/14) in the symptomatic epilepsy group. Conclusion: Left handedness and footedness are more common in the epileptic patients than the control group. This is due to the high proportion of left handedness and left footedness in the symptomatic epileptic patients. Left handedness and footedness in children with epilepsy are much more related to the left side of brain lesions.
손잡이를 고려한 ‘손가락에 실을 감아 시작매듭 짓기’ 교육
정지윤,이동원 한국실과교육학회 2019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2 No.4
Education on ‘making a knot by winding a thread on a finger when starting hand sewing’ began with a brief explanation in the 4th curriculum. Illustrations were added in the 5th curriculum, and photographs were added after the 6th curriculum. In the 2009 and 2015 revised curriculum, a method of ‘making a knot by winding a thread in a needle when starting hand sewing’ was presented in one textbook. The textbooks of all curricula were the same as the method of ‘making a knot by winding a thread in a needle when starting hand sewing’ The subjects were right-handed (93.9%), left-handed (6.1%) and two-handed (0%).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andedness and the possibility of ‘making a knot by winding a thread on a finger when starting hand sewing’. In the group of 112 students of ‘Before class, making a knot by winding a thread on a finger when starting hand sewing’, hand of finger winding a thread’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andedness before the class with handedness of ‘making a knot by winding a thread on a finger when starting hand sewing’. But, After class, ‘hand of finger winding a threa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handedness (p<.05). ‘the direction of winding the thread’ and the handednes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fore and after class. In the group of 69 students of ‘Before class, not making a knot by winding a thread on a finger when starting hand sewing’, hand of finger winding a thread’ and ‘the direction of winding the thread’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andedness after the class with handedness of ‘making a knot by winding a thread on a finger when starting hand sewing’. In the total group, ‘hand of finger winding a thread’ after the class with handedness of ‘making a knot by winding a thread on a finger when starting hand sewing’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handedness (p<.05), but ‘the direction of winding the thread’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r education, we proposed four methods of winding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round the right forefinger or left forefinger. Since there is no priority or superior handedness on the handedness, the purpose of education with handedness on ‘making a knot by winding a thread on a finger when starting hand sewing’ was to provide students with various methods of ‘making a knot by winding a thread on a finger when starting hand sewing’ and taking classes without the inconvenience of the handedness. In addition, these educated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to develop the ability to guide students of various handedness in future primary education. 손잡이를 고려한 ‘손가락에 실을 감아 시작매듭 짓기’ 교육을 통해 예비초등교사로서 다양한 손잡이 가능성을 발견하고, 미래의 초등교육의 현장에서 손잡이의 다양성을 고려한 교육을 할 수 있는 능력 개발을 목적으로 실과 의생활교육 관련 과목을 수강하는 교육대학교 1학년 184명을 대상으로 손잡이를 분석하고, 다양한 손잡이를 고려한 ‘손가락에 실을 감아 시작매듭 짓기’ 교육을 하는 수업 전과 후의 차이를 빈도, 교차분석, 검정으로 분석하고, 손잡이에 따른 ‘손가락에 실을 감아 시작매듭 짓기’ 교육 방법을 제안하였다. 수업 전, ‘손가락에 실을 감아 시작매듭 짓기를 할 수 있다’고 한 집단(112명)에서 ‘실을 감는 손가락의 손’은 손잡이 집단에 따른 ‘손가락에 실을 감아 시작매듭 짓기’ 수업 전에는 손잡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수업 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 .05). ‘손가락에 실을 감는 방향’은 수업 전과 후 모두 손잡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업 전, 손가락에 실을 감아 시작매듭 짓기를 할 수 없다’고 한 집단(69명)에서 손잡이 집단에 따른 ‘손가락에 실을 감아 시작매듭 짓기’ 수업 후의 ‘실을 감는 손가락의 손’과 ‘손가락에 실을 감는 방향’은 손잡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체 집단의 손잡이 집단에 따른 ‘손가락에 실을 감아 시작매듭 짓기’ 수업 후의 ‘실을 감는 손가락의 손’은 손잡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p<.05), ‘손가락에 실을 감는 방향’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실을 감는 손가락의 손’이 손잡이에 더 영향을 받는 요인이며, ‘손가락에 실을 감는 방향’은 손잡이에 큰 상관없이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편한 쪽으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손잡이에 의한 불편함 없는 ‘손가락에 실을 감아 시작매듭 짓기’ 수업을 위해 실을 오른손 집게손가락 또는 왼손 집게손가락에 시계 방향이나 반시계 방향으로 감는 4가지 방법을 제안하였다.
손잡이를 고려한 ‘손바늘에 실 꿰기’ 교육에 관한 연구
정지윤,김지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9 實科敎育硏究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andedness and the change of the handedness by ‘threading the handneedle’ class considering the handedness. And a teaching method for ‘threading the handneedle’ according to the handedness was proposed. The handedness of the subjects were right handed 168 (93.9%), left handed 11 (6.1%) and two-handed 0 (0%), the average left handedness of Koreans was lower than 10~12%. On the basis of ‘two-handed’, the right-handed group, ‘always right-handed’ and ‘mainly right-handed’ group tend to hold the scissors in a right-handed manner. The left-handed group, ‘mainly the left hand’ and ‘always the left hand’ tended to hold the scissors in a left-handed manner. Although the hand holding the scissors when cutting the thread wa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the classification of the handedness, the preferred handedness after class showed a 9.45% change in right handedness, a 36.4% change in two-handedness, a 29.2% change in left handedness. On the basis of ‘two-handed’, the right-handed group, ‘always right-handed’ and ‘mainly right-handed’ group tend to grab the threads in a right-handed manner. The left-handed group, ‘mainly the left hand’ and ‘always the left hand’ tended to grab the threads in a left-handed manner. Although ‘the hand holding the thread’ wa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the classification of the handedness, the preferred handedness after class showed a 17.0% change in right handedness, a 42.9% change in two-handedness, a 23.4% change in left handedness. The difference of ‘the hand pulling the thread into the needle’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fore class in consideration of the handedness but after the class in consideration of the handednes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5). The preferred handedness after class showed a 16.6% change in right handedness, a 53.5% change in two-handedness, a 32.6% change in left handedness. The method of ‘threading the handneedle’, which has been suggested in textbooks so far, was an education for right-handed people. This suggests a method of ‘threading the handneedle’ that are not bound by the handedness. In this class, teach that there is no priority or superior grip and that you can choose a more comfortable one and thread the handneedle. It is believed that this education has shown the possibility that pre-primary teachers can educate various handedness of ‘threading the handneedle’ in future primary education sites. 예비초등교사 184명을 연구의 대상으로 손잡이와 손잡이를 고려한 ‘손바늘에 실 꿰기’ 수업을 통한 ‘손바늘에 실 꿰기’의 손잡이 변화를 알아보고, 손잡이에 따른 ‘손바늘에 실 꿰기’ 교육 방법을 제안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손잡이는 오른손잡이는 168명(93.9%), 왼손잡이 11명(6.1%), 양손잡이 0명(0%)이었으며, 한국인 왼손잡이 평균 10~12%에 비해 낮은 결과를 보였고 양손잡이가 없었다. 손잡이를 고려한 ‘손바늘에 실 꿰기’ 수업에서 ‘손바늘에 꿸 실을 자르기 위해 (쪽)가위를 잡는 손’은 ‘양손’을 기준으로 ‘항상 오른손’ ․ ‘주로 오른손’의 오른손잡이 집단에서는 오른손 지향적으로 (쪽)가위를 잡는 경향을 보였으며, ‘주로 왼손’ ․ ‘항상 왼손’의 왼손잡이 집단은 왼손 지향적으로 (쪽)가위를 잡는 경향을 보였다. 실을 자를 때 (쪽)가위를 잡는 손이 손잡이 분류의 중요한 요인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수업 후의 선호하는 손잡이가 ‘항상 오른손’ ․ ‘주로 오른손’의 오른손잡이에서 9.45%, ‘양손’의 양손잡이에서 36.4%, ‘주로 왼손’ ․ ‘항상 왼손’의 왼손잡이에서 29.2%의 변화를 보였다. 손잡이를 고려한 ‘손바늘에 실 꿰기’ 수업에서 ‘손바늘에 꿸 실을 잡는 손’은 ‘양손’을 기준으로 ‘항상 오른손’, ‘주로 오른손’의 오른손잡이 집단에서는 오른손 지향적이었으며, ‘주로 왼손’, ‘항상 왼손’의 왼손잡이 집단은 왼손 지향적인 경향을 보였다. ‘손바늘에 꿸 실을 잡는 손’ 또한 손잡이 분류의 중요한 요인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수업 후의 선호하는 손잡이는 ‘항상 오른손’ ․ ‘주로 오른손’의 오른손잡이에서 17.0%, ‘양손’의 양손잡이에서 42.9%, ‘주로 왼손’ ․ ‘항상 왼손’의 왼손잡이 23.4%의 변화를 보였다. 손잡이를 고려한 ‘손바늘에 실 꿰기’ 수업에서 ‘손바늘에 꿴 실을 잡아당기는 손’의 차이는 수업 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수업 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p<.05)를 보였다. 수업 후 선호하는 손잡이는 ‘항상 오른손’ ․ ‘주로 오른손’의 오른손잡이 16.6%, ‘양손’의 양손잡이 53.5%, ‘주로 왼손’ ․ ‘항상 왼손’의 왼손잡이 32.6%에서 변화를 보였다. 지금까지 교과서에서 제시되었던 ‘손바늘에 실 꿰기’ 방법은 오른손잡이를 위한 교육이었다. 이에 손잡이에 구애 받지 않는 ‘손바늘에 실 꿰기’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이 교육에서 더 우선되거나 우월한 손잡이는 없고 더 편한 쪽을 선택하여 ‘손바늘에 실 꿰기’를 하면 된다는 점을 교육한다. 이 교육을 통해 예비초등교사들이 미래의 초등교육현장에서 다양한 손잡이의 ‘손바늘에 실 꿰기’를 교육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고 보아진다.
대학생의 손잡이 유형에 따른 손가락 길이비(2D:4D)의 특성
김수일(Kim, Soo-Il),조근자(Cho, Keun-Ja)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손잡이 유형에 따른 손가락 길이비(2D:4D)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자료수집은 2010년 10월 4일부터 2012년 4월 30일까지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들은 손잡이 유형 평가 후, 캘리퍼를 사용하여 양손의 집게손가락과 반지손가락의 길이가 측정되었다. 연구 결과, 2D:4D는 왼손잡이는 왼손에서, 오른손잡 이는 오른손에서 성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그러나 손잡이 유형에 따라서는 남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남자에서 왼손잡이는 좌우 2D:4D 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나, 오른손잡이는 오른손이 유의하게 2D:4D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좌우 2D:4D의 상관관계는 남자에서는 오른손잡이의 상관관계가 높았고, 여자에서는 왼손잡이의 상관관계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2D:4D는 한국인에서 손잡이 유형사이에 차이는 없으나, 성차이와 좌우 2D:4D의 상관관계는 손 잡이 유형에 따라 다른 특성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2D:4D according to type of handedness. Data was collected from October, 4th, 2010 to April, 30th, 2012. After handedness assessment, 2nd and 4th finger length were measured by vernier calipers. This study showed remarkable gender difference of 2D:4D in left hand for left handers and right hand for right hander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ype of handedness in each gender. The correlation between left and right 2D:4D in males right handedness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left handedness, otherwise, in case of female, that of left handedness was higher than that of right handed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2D:4D of left handedness does not differ from that of right handedness, however, gender difference and correlation between left and right 2D:4D show differen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handedness.
전지수(ZEN Zi Soo) 유럽헌법학회 2017 유럽헌법연구 Vol.23 No.-
왼손잡이는 우리 주변에서 흔히 발견할 수 있다. 하지만 대한민국은 오른손잡이 중심의 사회이다. 물론 오른손잡이 중심의 사회가 문제될 이유는 없다. 그러나 왼손잡이를 간과한 사회는 문제될 수 있다. 가령 다수의 오른손잡이 중심의 사회로 인하여 소수자인 왼손잡이의 권리가 제한될 경우, 이러한 사회는 자유민주주의의 다양성 존중 원칙에 부합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다양성 존중의 결핍으로 인한 왼손잡이의 기본권 제한은 우리 헌법의 자유민주주의가 지향하는 소수자보호라는 헌법의 정신에 반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국가제도 아래에서 왼손잡이는 어떠한 불편과 제한이 있는지 소수자보호의 맥락에서 “다양성 존중”의 시각을 견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살펴보면 오른손잡이 중심의 교육환경으로 인하여 왼손잡이의 능력을 신장함에 있어 불편 내지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자유민주주의 사회에서 모든 국민은 각자의 개성과 그러한 개성을 통해 능력을 최고도로 신장시킬 수 있는 교육환경에서 교육을 받을 권리를 보장 받을 수 있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손잡이에 따른 교육환경 및 교육편의시설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왼손잡이의 개성을 존중하고 더 나아가 왼손잡이의 능력을 신장하기에 적합한 교육환경 및 교육편의시설에서 헌법 제31조 제1항의 ‘균등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를 보장받을 수 있어야 할 것인바, 이는 소수자보호의 원리와 다양성 존중의 차원에서 모색할 수도 있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현행법령에서 경례ㆍ선서방식을 오른손으로 제한해온 것은 질서유지를 위한 유산으로 볼 수 있겠으나, 우리 사회윤리의 본질적 구성부분을 이루고 있는 가치질서의 측면에 대한 부조화로 볼 수도 있다. 즉, 군인경례(제식)가 갖는 특수성과 달리 일반적인 국민의 경례ㆍ선서까지 왼손을 제한하는 것은 왼손잡이의 일반적인 행동자유권 또는 개성의 자유로운 발현권 제한의 가능성이 있고, 이러한 제한이 그 정당성과 이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의 적정성에 비추어 합리적 근거가 없는 것이라면, 특별한 사정 또는 왼손잡이 및 장애등을 고려하여 헌법 제10조의 행복추구권과 자유민주주의가 지향하는 소수자보호의 원리에 부합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하는 것이 다양성 존중의 차원에서 요구되는 헌법적 쟁점이라 할 것이다. Left-handed is often found around us. But Korea is a right-handed society. It does not matter for right-handed society. However, it has problem of ignoring for left-handed. For example, if the right of left handed is limited caused by right handed, it is not fit for diversity of democracy society. In other words, limitation of fundamental rights for left handed caused by the lack of respecting diversity, it is against the spirit of constitution regarding protection of the minority under the liberal democracy of Constitution. First, there is limitation to improve the ability of left handed caused by the education system of right handed. All of the people have the guarantee of right for education to improve the ability by personality. Like wisely, we have to respect the personality of left handed in order to guarantee of right to choice of education system and amenities, furthermore, right to be educated equally in Article 31 of Constitution for left handed, it can be possible for us to find a difference of protection of the minority and respecting diversity. In addition, salute and oath is the legacy of right handed to maintenance of order. on the other hand, it deems disharmony in value order of social ethics in contrast of military salute, it is possible for left handed’s salute and oath to limitation of general right to freedom of action or freedom to act according to one’s natural personality. If this limitation has no legal basis compared with justification and propriety, it has constitutional issues in respecting diversity. So it is essential to improve the right for the protection of the minority aimed at Article 10 of Life, liberty and the pursuit of happiness & liberal democracy in the light of special consideration or left handed or disable.
다양성을 고려한 ‘손바늘에 실을 감아 만드는 손바느질 시작매듭 짓기’ 방법의 개발에 관한 연구
정지윤,김지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1 實科敎育硏究 Vol.27 No.1
‘손바늘에 실을 감아 만드는 손바느질 시작매듭 짓기’ 방법의 교육 현황은 문헌연구를 통해 분석 하고, 예비초등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의 실제에서 얻어진 사례를 ‘손바늘과 실을 올리는 손가 락의 손’과 ‘손바늘에 실을 감는 방향’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성이 반영 된 ‘손바늘에 실을 감아 만드는 손바느질 시작매듭 짓기’ 방법을 개발하여 제시함으로서 ‘손바늘에 실을 감아 만드는 손바느질 시작매듭 짓기’ 방법의 새로운 교육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손바늘에 실을 감아 만드는 손바느질 시작매듭 짓기’ 방법의 교육 현황은 2015 개정교육과정 초등학교 실과 6 1종의 교과서와 2009 개정교육과정을 대비하는 시기 이후 출판된 예비초등교사 교육을 위한 실과와 관련된 전공서적들에서 사진과 설명으로 제시되고 있다. ‘손바늘과 실을 올리는 손가락의 손’은 전체 집단과 오른손잡이 집단에서 ‘주로 오른손’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주로 왼손’, ‘항상 왼손’, ‘항상 오른손’, ‘양손’의 순으로 같은 경향을 보였으나, 왼손잡이 집단은 ‘주로 왼손’, ‘양손’, ‘주로 오른손’, ‘항상 왼손’의 순이었으며, 지금까지의 일반적인 손잡이의 예측과 다른 경향을 보였다. ‘손바늘에 실을 감는 방향’은 전체 집단과 오른손잡이 집단에 서 ‘시계 방향’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반시계 방향’, ‘때때로 다름’의 순으로 같은 경향을 보 였으나, 왼손잡이 집단은 ‘반시계 방향’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시계 방향’, ‘때때로 다름’의 순으로 다른 경향을 보였다. 손잡이와 ‘손바늘에 실을 올리는 손가락의 손’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차이(p<.05)를 보였으나, 손잡이와 ‘손바늘에 실을 감는 방향’간에는 통계적인 유의미한 차이 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손바늘과 바느질 할 실을 잡는 손’이 손잡이 분류의 중요한 요소인 것과 관계있는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교육 현황과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다양성을 고려한 ’손바늘 에 실을 감아 만드는 손바느질 시작매듭 짓기‘ 방법을 개발하여 새로운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was analyzed and the cases of pre-primary elementary teachers on the method of ‘making a knot by winding a thread on a hand needle when starting hand sewing’ was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 new direction of education for the ‘making a knot by winding a thread on a hand needle when starting hand sewing’ method that reflects diversity was suggested. The ‘making a knot by winding a thread on a hand needle when starting hand sewing’ method was presented in photographs and explanations in one type of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6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in practical arts education books for pre-primary elementary school teacher education published after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he hand that raises the hand needle and thread’ showed the same tendency in the order of ‘mainly right hand’, ‘mainly left hand’, ‘always left hand’, ‘always right hand’ and ‘both hands’ in the whole group and right-handed group. The left-handed group was ‘mainly left hand’, ‘both hands’, ‘mainly right hand’ and ‘always left hand’. These tended to be different from the predictions of conventional handles so far. ‘The direction of threading a hand needle’ showed the same tendency in the order of ‘clockwise’, ‘counterclockwise’ and ‘sometimes different’ in the whole group and right-handed group. However, the left-handed group showed different tendency in the order of ‘counterclockwise’, ‘clockwise’, and ‘sometimes differen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5) between the handedness and the ‘the hand that raises the hand needle and thread’,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andedness and the ‘the direction of threading a hand needle’. ‘The hand holding the needle and the thread’ to be sewn seems to be related to the important factor in the classification of handedness. Lastly, based on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and case analysis, a new direction of education was suggested by developing a ‘making a knot by winding a thread on a hand needle when starting hand sewing’ method that considers diversity.
조근자(Keun-Ja Cho),김수일(Soo-Il Kim) 대한체질인류학회 2010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3 No.1
왼손잡이는 유전성을 가지고 있으며 오른손잡이와 대뇌조직화의 양상이 서로 다르며 인체의 비대칭성은 발생초기에 어느 한쪽의 세포분열이 더 빠르다는 것을 암시한다. 지문 역시 유전성향이 있고 개인마다 다르며 선천적으로 결정되어 일생동안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손잡이 유형을 분류하고, 손잡이 유형에 따른 지문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지문이 선천적으로 우세한 손에 따라 유전적으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대전ㆍ충남지역의 대학생 1,063명을 대상으로 손잡이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평가한 후 지문채취에 동의한 199명(왼손잡이: 55명, 오른손잡이: 144명)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5.0을 이용하여 신뢰도분석, 교차분석, X² test,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손잡이 유형에 따른 지문의 성별 빈도는, 남자와 여자 모두 왼손잡이가 오른손잡이보다 활형이 많고(남자 4.7%, 여자 12.3%) 소용돌이형은 적었으며(남자 31.3%, 여자 38.2%), 왼손잡이와 오른손잡이 모두 성별에 따라 지문분포순서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왼손과 오른손 모두 왼손잡이가 오른손잡이보다 활형과 자쪽고리형이 많고 노쪽고리형과 소용돌이형은 적었다. 왼손과 오른손의 손잡이에 따른 손가락별 지문유형은 왼손에서 가운데손가락(p<0.05), 반지손가락(p<0.05), 새끼손가락(p<0.01)이 손잡이 유형에 따라 유의하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지문의 능선 수는 왼손잡이가 왼손 집게손가락(10.2)과 가운데손가락(11.4)에서, 그리고 오른손 가운데손가락(11.0)과 반지손가락(14.0)에서 오른손잡이보다 유의하게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삼교차점수는 양손 모두 왼손잡이가 가운데손가락, 반지손가락, 새끼손가락에서 유의하게 오른손잡이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삼교차점수도 왼손잡이(12.6)가 오른손잡이(14.1)보다 유의하게 적었다(p<0.05). 지문의 형태는 손잡이의 유형에 따라 지문유형 분포, 피부능선수, 삼교차점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왼손잡이에서 활형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왼손에서 왼손잡이와 오른손잡이의 지문차이가 현저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문은 선천적으로 우세한 손잡이의 발달에 따라 유전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Left handedness is known to be related with inheritance and is different from right handedness in brain development and various aspects of perceptive and cognitive performance. Fingerprints are also related with inheritance and do not change for the whole life. In addition, individuals have different fingerprint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dentify genetic correlation between fingerprints and handedness by examining how different fingerprints are between left handers and right handers. The study group to imprint fingerprints was composed of 55 left handers and 144 right handers of 1063 college students. The reliability of handedness assessment tool was Cronbach’s α=0.948. The imprinted fingerprints were classified by fingerprint type (arch, radial loop, ulnar loop, whorl). Finger ridges and triradii in fingerprints were also counted. We performe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ross-tabs analysis, X2 test,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 by SPSS win 15.0 for the data. The left handed males and females exhibited more arch types than the right handers and less whorl types than the right handers. The left handers in both hands exhibited more arch and ulnar loop types than the right handers and less whorl and radial loop types than the right handers. In the left hand, the 3rd (p<0.05), 4th (p<0.05), and 5th (p<0.01) fingerprints of the left hander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right handers. The finger ridge counts of left handers were significantly less than those of the right handers in the 2nd and 3rd fingers of the left hand, and in the 3rd and 4th fingers in the right hand. The triradii counts of left handers were significantly less than those of right handers (p<0.05) in the 3rd, 4th, and 5th finger of the left and right hand. Total triradii counts of left handers were also significantly less than those of right handers (p<0.05).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fingerprint type, finger ridge and triradius counts of the left hander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right handers, and fingerprints may reflect genetic tendency for handedness.
Genetic localization of the SPC gene controlling pod coiling direction in Medicago truncatula
Xiaocheng Yu,Qiulin Qin,Xia Wu,Dandan Li,Shengming Yang 한국유전학회 2020 Genes & Genomics Vol.42 No.7
Background Handedness in plants introduced by helical growth of organs is frequently observed, and it has fascinated plant scientists for decades. However, the genetic control of natural handedness has not been revealed. In the model legume Medicago truncatula, pods can be coiled in a clockwise or anti-clockwise manner, providing a model for genetic analysis of plant handedness. Objective We aimed to localize the Sense of Pod Coiling (SPC) gene controlling pod coiling direction in M. truncatula. Methods Linkage analysis was used with a biparental population for fine mapping of the SPC gene. The genome sequence of M. truncatula Mt4.0 was used for marker identification and physical mapping.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between the parental lines were converted to CAPS (cleaved amplified polymorphic sequences) markers. Genetic map was constructed using the software JoinMap version 3.0. Gene predication and annotation provided by the M. truncatula genome database (http://www.medic agoge nome.org) was confirmed with the programs of FGENESH and Pfam 32.0, respectively.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 PCR (qRT-PCR) was used to analyze the relative expression levels of candidate genes. Results The genetic analysis indicated that the anti-clockwise coiling is dominant to clockwise and is controlled by the single gene, SPC. The SPC gene was delimited to a 250 kb-region on Chromosome 7. Total of 15 protein-coding genes were identified in the SPC locus through gene annotation and sequence analysis. Of those, two genes, potentially encoding a receptor-like kinase and a vacuolar cation/proton exchanger respectively, were selected as candidates for the SPC gene. Conclusions The result presented here lay a foundation for gene cloning of SPC, which will help us to understand the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helical growth in plant org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