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 나타난 ‘하마르티아’에 대한 연구
김인숙(Kim, Insook) 한국문화산업학회 2017 문화산업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연극과 문학에서 주인공을 불행에 빠뜨리게 하는 그래서 관객들에게 연민과 공포를 가져다주는 ‘하마르티아’의 고전적인 의미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시학』에서 ‘하마르티아’를 어떤 문맥에서, 어떤 용도와 의미로 사용하고 있는가를 살펴본다. 사실 그동안 국내외의 여러 학자들이 이 말의 의미와 용도를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관점과 방법을 동원하여 조사를 하였다. 하지만 아직 합의된 결론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핵심적인 문제는 ‘하마르타아’가 인간의 내면적인 지성적인 착오나 판단, 실수, 과오 등을 가리키고 있는가, 아니면 인간의 도덕적인 착오나 판단, 실수, 과오 등을 가리키고 있는가, 아니면 인간의 실존과 전 삶을 좌우하는 어떤 외부적인 힘, 이를테면 주인공이 어쩔 수 없이 비극으로 떨어질 수밖에 없는 운명이나 신의 힘을 가리키고 있느냐는 것이다. 이 논문은 아리스토텔레스가 ‘하마르티아’를 사용하고 있는 『시학』13장은 물론 13장의 전후문맥과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가 13장과 14장에서 훌륭한 비극의 모델로 자주 언급하고 있는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 왕〉에 대한 조사를 통해서, 아리스토텔레스가 ‘하마르티아’를 단순히 주인공의 지성적 혹은 도덕적 무지나 착각, 과실만을 뜻하는 것으로만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을 밝힌다. 오히려 주인공이 전지전능한 신이 아닌 유한된 지식과 능력을 가진 인간이기 때문에, 그가 아무리 이를 벗어나려고 몸부림친다하더라도 결국 벗어날 수 없음으로 인해 비극을 당할 수밖에 없는 인간의 ‘유한적 실존성’(有限的實存性)을 지칭하는 것임을 논증한다. 말하자면 인간의 실존성은, 한편으로 ‘하마르티아’를 벗어나려고 몸부림치는 존재이지만, 다른 한편으로 ‘하마르티아’의 지배 아래 있을 수밖에 없고 그리고 그 결과에 책임을 질 수 밖에 없는 존재라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이 논문은 ‘하마르티아’를 기존의 연구들처럼 하나의 개념으로 이해하기보다는 오히려 복합적인 개념으로 파악할 것을 제안한다. This essay explores a correct possible meaning of the term hamartia which Aristotle employs twice in his Poetics 13with a reference to Sophocles’s Oedipus as the best kind of tragic plot. To be the best kind of tragic plot that arouses pity and fear, according to Aristotle, “a person[protagonist] is one who neither surpasses [us] in virtue and justice, nor who undergoes a chance to misfortune because of evil or wickedness, but who falls because of some hamartia, and who is one of those persons who stand in great reputes and properity...[a person who] involves a chance that moves not from bad fortune to good fortune, but the other way round, from good fortune to bad, not because of evil, but because of a serious hamartia.” Strikingly, since Aristotle offers no definition of the term hamartia in his Poetics, what Aristotle meant by hamartia has been hotly debated in areas such as drama, classical literature, opera and philosophy. The crucial issue at stake is whether hamartia should be interpreted simply as either a hero(ine)"s tragic moral error, mistake, wrongdoing, and sin, or his(her) intellectual mistake, error, and ignorance in judgment, or the protagonist"s human limitations in both intellect and morals, or as referring to external power and force such as fate and god"s providence. In order to find a correct possible meaning and usage of hamartia in western classical plays, this essay focuses especially on Aristotle"s Poetics. Through both diachronic and synchronic approaches to the related text and its context, the essay strives to find the meaning of hamartia and then argues as follows: Aristotle employs the term hamartia in Poetics not simply to mean either the protagonist"s moral error or his intellectual mistake and ignorance of judgment, but embraces a much more compound meaning, including the moral and intellectual limitations of the human protagonist, who is under the power of fate and gods. 본 연구는 연극과 문학에서 주인공을 불행에 빠뜨리게 하는 그래서 관객들에게 연민과 공포를 가져다주는 ‘하마르티아’의 고전적인 의미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시학』에서 ‘하마르티아’를 어떤 문맥에서, 어떤 용도와 의미로 사용하고 있는가를 살펴본다. 사실 그동안 국내외의 여러 학자들이 이 말의 의미와 용도를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관점과 방법을 동원하여 조사를 하였다. 하지만 아직 합의된 결론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핵심적인 문제는 ‘하마르타아’가 인간의 내면적인 지성적인 착오나 판단, 실수, 과오 등을 가리키고 있는가, 아니면 인간의 도덕적인 착오나 판단, 실수, 과오 등을 가리키고 있는가, 아니면 인간의 실존과 전 삶을 좌우하는 어떤 외부적인 힘, 이를테면 주인공이 어쩔 수 없이 비극으로 떨어질 수밖에 없는 운명이나 신의 힘을 가리키고 있느냐는 것이다. 이 논문은 아리스토텔레스가 ‘하마르티아’를 사용하고 있는 『시학』13장은 물론 13장의 전후문맥과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가 13장과 14장에서 훌륭한 비극의 모델로 자주 언급하고 있는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 왕〉에 대한 조사를 통해서, 아리스토텔레스가 ‘하마르티아’를 단순히 주인공의 지성적 혹은 도덕적 무지나 착각, 과실만을 뜻하는 것으로만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을 밝힌다. 오히려 주인공이 전지전능한 신이 아닌 유한된 지식과 능력을 가진 인간이기 때문에, 그가 아무리 이를 벗어나려고 몸부림친다하더라도 결국 벗어날 수 없음으로 인해 비극을 당할 수밖에 없는 인간의 ‘유한적 실존성’(有限的實存性)을 지칭하는 것임을 논증한다. 말하자면 인간의 실존성은, 한편으로 ‘하마르티아’를 벗어나려고 몸부림치는 존재이지만, 다른 한편으로 ‘하마르티아’의 지배 아래 있을 수밖에 없고 그리고 그 결과에 책임을 질 수 밖에 없는 존재라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이 논문은 ‘하마르티아’를 기존의 연구들처럼 하나의 개념으로 이해하기보다는 오히려 복합적인 개념으로 파악할 것을 제안한다. This essay explores a correct possible meaning of the term hamartia which Aristotle employs twice in his Poetics 13with a reference to Sophocles’s Oedipus as the best kind of tragic plot. To be the best kind of tragic plot that arouses pity and fear, according to Aristotle, “a person[protagonist] is one who neither surpasses [us] in virtue and justice, nor who undergoes a chance to misfortune because of evil or wickedness, but who falls because of some hamartia, and who is one of those persons who stand in great reputes and properity...[a person who] involves a chance that moves not from bad fortune to good fortune, but the other way round, from good fortune to bad, not because of evil, but because of a serious hamartia.” Strikingly, since Aristotle offers no definition of the term hamartia in his Poetics, what Aristotle meant by hamartia has been hotly debated in areas such as drama, classical literature, opera and philosophy. The crucial issue at stake is whether hamartia should be interpreted simply as either a hero(ine)"s tragic moral error, mistake, wrongdoing, and sin, or his(her) intellectual mistake, error, and ignorance in judgment, or the protagonist"s human limitations in both intellect and morals, or as referring to external power and force such as fate and god"s providence. In order to find a correct possible meaning and usage of hamartia in western classical plays, this essay focuses especially on Aristotle"s Poetics. Through both diachronic and synchronic approaches to the related text and its context, the essay strives to find the meaning of hamartia and then argues as follows: Aristotle employs the term hamartia in Poetics not simply to mean either the protagonist"s moral error or his intellectual mistake and ignorance of judgment, but embraces a much more compound meaning, including the moral and intellectual limitations of the human protagonist, who is under the power of fate and gods.
권혁성 한국서양고전학회 2019 西洋古典學硏究 Vol.58 No.2
The present paper deals with the problem of ‘hamartia’ as one of the difficulties raised from Aristotle’s Poetics. This problem has been a controversial issue for a long time up to this day in the opposition of two interpretative positions. One of them regards the hamartia as ‘moral fault except vice’, and so can be named “moralist”; the other regards it as ‘morally innocent cognitive error’, and so can be named “cognitivist.” It is, however, possible to take sound insights from both opposed positions and establish a ‘comprehensivist’ interpretation as a way to solve the problem of hamartia. According to this comprehensivist interpretation, the hamartia includes all the range that the two opposed positions speak of. This is confirmed by Aristotle’s discussion of the ideal tragedy in the Poetics chs. 13-14 as follows: The ch. 13 makes the requirements clear that the ideal tragedy ‘as a tragedy’ has to satisfy; in so doing it points out that the requirements are also applied to all other tragedies, and that the hamartia as one of the requirements belongs to all the tragedies; the hamartia is therefore revealed to include not only ‘morally innocent cognitive error’ but also ‘moral fault except vice.’ On the other hand, the ch. 14 makes the requirements clear that the ideal tragedy ‘as an ideal tragedy’ has to satisfy; in so doing it points out that of the range of hamartia revealed in ch. 13 ‘the morally innocent cognitive error’ is suitable for the ideal tragedy. Though it is so restricted for the ideal tragedy, the hamartia is revealed throughout chs. 13-14 to belong also to all other tragedies and include also ‘the moral fault except vice’. 본고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이 던져놓은 오랜 난제들 중 하나인 ‘하마르티아’의 문제를 다룬다. 이 문제는 ‘하마르티아’가 ‘악덕 아닌 도덕적 잘못’임을 주장하는 ‘도덕주의 해석’과 그것이 ‘도덕적으로 무고한 인지적 잘못’임을 주장하는 ‘인지주의 해석’의 대립 속에서 오늘날까지 오랜 논란거리가 되고 있지만, 양 입장의 합당한 부분을 수용하는 ‘포괄주의 해석’이 수립될 수 있기에 적절한 답변으로 인도될 수 있다. 이 해석에 따르면, ‘하마르티아’는 양자의 잘못 모두를 포괄하는 넓은 범위에 걸친 것이다. 이는 이상적 비극에 대한 시학 13-14장 논의를 통해 다음과 같이 지지된다. 13장 논의는 이상적 비극이 ‘비극으로서’ 만족시켜야 할 것을 지적하면서 모든 비극에 적용되는 논지를 제시하는 가운데, ‘하마르티아’를 모든 비극에 귀속시킨다. 이에 따라 그것은 ‘악덕 아닌 도덕적 잘못’과 ‘도덕적으로 무고한 인지적 잘못’ 모두를 포괄하는 넓은 범위에 걸치는 것으로 드러나는데, 14장 논의는 이상적 비극이 ‘이상적 비극으로서’ 만족시켜야 할 것을 지적하는 결론적 논지를 통해 ‘하마르티아’의 이 범위 중 ‘도덕적으로 무고한 인지적 잘못’이 이상적 비극에 적합한 것임을 드러낸다. 이상적 비극을 위해서는 이렇게 제한되지만, ‘하마르티아’는 13-14장 논의 전체에 걸쳐 이상적이지 않은 다른 모든 비극에도 귀속되는 것으로서 ‘악덕 아닌 도덕적 잘못’도 포괄하는 넓은 범위를 갖는다.
성서와 그리스 비극에 나타나는 인간 실존 관련 단어들에 대한 비교 연구
박형철(Hyung Chul Park) 대한성서공회 2016 성경원문연구 Vol.- No.38
This paper examines four Greek words (hubris-hamartia-thanatos-phobos) for human existence in the Bible and the Greek tragedy. While the Bible says that a man is subject to death because of sin, a tragic hero in Greek tragedy dies because of his hamartia. Both perspectives commonly show that human beings live in fear of predestined death. This study aims at re-explaining human existence with four words that a human being is subjected to thanatos because of hubris/hamartia and he lives his life in phobos. After comparing, analyzing and synthesizing four Greek words in the Bible and the Greek tragedy, I have tried to reconstruct and reinterpret them. In due course, human existence will be explained within the intertextuality between the Bible and the Greek tragedy. And this could provide a new approach in translating and interpreting the Bible. Besides these four Greek words, this paper also looks for other words in the Greek tragedy that are related to human life and existence in the Bible. By comparing and applying their meaning, this study will enlighten and suggest new approaches to translating and interpreting how humans are portrayed in the Bible. This study could also suggest new possibilities of rethinking the notion of salvation of human existence not only in the Bible but also in the Greek tragedy. I hope that this study might contribute to broadening the horizon of the biblical text in its exploration of constructive dialogue between the Bible and the Greek tragedy.
김기정(Kijeong Kim)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6
라스 폰 트리에 감독의 영화들은 독특한 형식과 파격적인 내용으로 비평가와 관객을 놀라게 하곤 하였다. 트리에 감독의 영화에는 ‘고통을 당하는 여성을 통한 인간성 탐구’라는 주제가 연속되는데 <도그빌>에서도 외딴 공동체에 방문한 낯선 여성이 겪는 고통을 통해 공동체의 윤리를 성찰한다. <도그빌>은 색다르고 낯선 영화 형식의도입과 일상적 군중이 갖는 어두운 내면에 대한 조명, 그리고 알레고리의 풍부함으로 여러 해석에 열린 텍스트이다. 여러 해석의 갈래에서 이 연구는 영화의 형식 미학을 살펴봄으로써 영화에 대한 감독의 의도를 파악하고 하마르티아를 통해 비극의 원인을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흡사 연극 무대를 그대로 옮겨 온 것과 같은 <도그빌>의 독특한 형식 미학이 추구하는 바는 관객이 전지전능한 위치에서 인물과 사건에 집중하여 인간과 공동체에 관한 윤리적 문제를 정면으로 성찰하게 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하마르티아를 통해 그레이스라는 인물을 자세히 응시함으로써 그녀가 추구하는 이상과어긋나는 현실에서 오는 비극의 정체를 살펴보았다. Lars von Trier’s films used to surprise critics and audiences with their unique form and unconventional content. In Trier’s films, the theme of 'Exploring humanity through suffering women’ continues. In <Dogville>, the community’s ethics is reflected through the suffering of a stranger visiting an isolated community. <Dogville> is a text that is open to various interpretations with the introduction of an unusual and unfamiliar film form, the illumination of the dark inner side of the everyday crowd, and the richness of allegory. In various interpretations, this study grasped the director's intention for the film by examining the formal aesthetics of the film, and examined the cause of the tragedy through Hamartia. As a result, the unusual formal aesthetic of <Dogville>, which is as if the theater stage has been moved as it is, is pursued as follows. It was to allow the audience to directly reflect on ethical issues related to people and communities by focusing on characters and events from an omniscient position. And by looking closely at the character of Grace through Hamartia, we looked into the true nature of the tragedy that comes from a reality that goes against her ideals.
이선형 ( Lee Sun Hyung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人文科學 Vol.- No.80
아리스토텔레스는 『시학』에서 비극의 주요 구성 요소를 플롯, 성격, 사상, 조사, 노래, 장경으로 제시하고 이들 여섯 요소를 모방과 관련되어 셋으로 구분한다. 조사와 노래는 모방의 수단으로, 장경은 모방의 양식으로, 플롯, 사상, 성격은 모방의 대상으로 나눈다. 이들 구성 요소 가운데 인물과 관련된 것은 모방의 대상인 플롯, 사상, 성격이다. 플롯의 경우 유덕한자나 사악한 자가 불행에 빠져서는 안 된다는 점에서, 또한 사상과 성격에 따라 인물의 언행이 달라진다는 점에서 모방의 대상은 인물과 직결된다.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 왕』은 아리스토텔레스가 비극으로 최고의 작품으로 평가하고 있는 만큼, 모방의 대상을 『오이디푸스 왕』의 주인공에 대입시킨다면 비극적 인물의 전형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고귀한 혈통을 지닌 오이디푸스의 사상과 성격을 볼 때 그는 특별히 유덕하거나 악한 인물은 아니다. 특별한 결점이 있다고 보기 어려운 오이디푸스의 성품은 인간이라면 누구나 지니고 있을 법한 일반적인 것이다. 그럼에도 그가 극한 불행에 처하게 되는 이유는 사상이나 성격뿐 아니라 결정적으로 어떤 하마르티아가 작용했기 때문이다. 그것은 한 마디로 오만에 의해 생겨난 자신에 대한 무지라고 할 수 있다. 『오이디푸스 왕』을 진정한 비극으로 간주할 수 있는 것은 해결 능력이 출중했던 주인공이 정작 자신에 대해서는 전혀 문외한이었다는 점에 있다. 그리하여 자신에게 내린 형벌은 현세를 마감하는 죽음이 아닌, 보고 있어도 보지 못했던 과오에 대한 형벌의 의미로 자신의 눈 찌름으로 나타난다. 이처럼 본 연구는 『오이디푸스 왕』에 나타난 플롯, 사상, 성격을 조망하고, 이와 연관 지어 오이디푸스가 불행의 나락으로 떨어지게 된 원인, 즉 그의 과오가 무엇인지 사상 및 성격과 연관 지어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Aristotle presents plot, character, thought, diction, melody and spectacle as the main components of tragedy. These six elements are divided into three parts as follows: diction and melody as the media of mimesis; spectacle as the mode of mimesis; and plot, character and thought as the object of mimesis. Of these, p lot, thought and character, which are the objects of mimesis, are related to the person. The object of mimesis is directly connected with the person in that in the case of the plot, the virtuous or the wicked should not fall into misfortune, and the action of the person changes according to the thought and the character. Aristotle regarded Oedipus the King by Sophocles as the best tragedy. Therefore, from the main character of this tragedy, we will find a typical tragic figure. Oedipus, with his noble lineage, is neither a particularly virtuous nor an evil person in view of his thought and character. The character of Oedipus, which cannot be considered to have any particular flaws, is a universal one that anyone would have. Nevertheless, the reason he falls into bad luck is due to hamartia rather than thought and character, and it would be an ignorance of oneself caused by hybris. The reason why Oedipus the King is a real tragedy is that the main character, who solves the Sphinx’s riddles, does not know who he truly is himself at all. Thus, Oedipus punishes himself not by killing himself ― which means the end of the world for him ― but by physically stabbing out his own eyes which had prevented him from looking at things clearly. In summary, this study argues that Oedipus’s hamartia is the true cause of his falling into misfortune, and the character of Oedipus the King, rather than plot or thought, prompts his hybris that provokes his ignorance, which is the essence of his hamartia.
정가은,정봉석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3 건지인문학 Vol.- No.37
The film <Secret Sunshine> directed by Lee Chang-dong portrays a contemporary woman who experiences a metaphysical conflict between di- vine salvation and human forgiveness while undergoing an extreme tragic event on the surface. However, at a deeper level, the film also shows the alienated aspect of a person accumulated with ignorance and falsehood. This paper examines the director's genre attitude in the film,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 protagonist, Shin-ae, is a character who builds a fantasy inflated by vanity. Shin-ae, like Oedipus' tragedy, acknowledges her ha- martia of hubris and has a self-centered aspect of Alazon, a comedic protagonist. However, no discovery that anagnorisis tragic or comic re- versal is made, and there is no tragic catharsis or comedic correction as a result. This is because Shin-ae ultimately fails to discover her own hamartia. This means that the genre of <Secret Sunshine> does not rise like a tragedy or fall like a comedy. Through this analysis, this paper re- veals that Lee Chang-dong's genre stance is located in the position of irony, which is neither a tragedy nor a comedy. The director's camera ulti- mately captures Shin-ae, who is still lingering in her own fantasy without progressing towards an ethical subject beyond the phantasy. It is only up to the audience to discover it. 이창동의 <밀양>은 표면적으로 극단적인 비극적 사건을 겪은 동시대의 한 여성이 신의 구원과 인간의 용서 사이에서 존재론적 갈등을 경험하는 영화로 보인다. 하지만 그 심층에는 무지와 허위에 쌓인 한 인간의 소외된 모습을 여실히 보여주는 필름이기도 하다. 본 논문은 주인공 신애가허영으로 부풀려진 환상을 구축하는 인물이라는 점에 주목하면서 감독이취하고 있는 영화의 장르적 태도를 고찰해보았다. <밀양>의 신애는 오이디푸스의 비극처럼 오만이라는 결함을 노정하는 동시에, 희극의 주인공처럼 자기기만적인 알라존의 면모를 갖는다. 그러나 비극적 전환이나 희극적 역전을 동반하는 어떠한 발견도 인지도 이루어지지 않으며, 그에 따른비극적 정화 효과나 희극적 교정의 결과 또한 발생하지 않는다. 왜냐하면신애는 끝내 자신의 결함을 발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는 <밀양>의 장르가 비극처럼 상승하지도 희극처럼 하강하지도 않음을 의미한다. 이러한분석 끝에 본고는 이창동 감독의 장르적 입장이 비극도 희극도 아닌 아이러니의 위치에 서 있음을 밝혀보았다. 감독의 카메라는 궁극적으로, 환상을 가로질러 윤리적 주체로 나아가지 못한 채, 여전히 자신의 환상 속에머무르고 있는 신애를 비춘다. 그것을 발견하는 것은 오로지 관객들의 몫이다
교육의 비극적 현실에 대한 해석: 『시학』의 하마르티아(hamartia) 개념을 중심으로
이정인 ( Jeong In Lee ),유재봉 ( Jae Bong Yoo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6 교육철학연구 Vol.38 No.1
이 논문은 현실 교육에서 한 번의 대입 시험 때문에 불행에 빠지고 지속적으로 고통을 받는 이들에 주목하여 이를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지금의 교육 현실은 학생들이 나름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불행에 빠질 수밖에 없다는 점, 한 번의 사건으로 인해 당사자에게 감당하기 힘든 파국적인 고통을 준다는 점에서 비극의 구조와 유사하다. 따라서 이 논문은 비극에서 불행을 일으키는 단초인 ‘하마르티아’ 개념을 해석하여 비극적 상황이 어떻게 일어나고 그렇게 일어난 비극적 상황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지, 나아가 그것이교육 현실에 주는 함의는 무엇인지 검토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비극의 단초가 되는 하마르티아(hamartia)의 개념을 분석하고,『시학』에 나타난 하마르티아와 비극의 관계를 제시하며, 하마르티아와 비극의 관계에 비추어우리나라 입시제도 및 학생들이 겪는 고통과 낙인 등의 문제를 해석하고 논의한다. 『니코마코스 윤리학』과『시학』에 나타난 하마르티아는 의도치 않은 결과를 초래한 무지의 상태이자, 그 상황이라면 충분히 있음직한 상태를 의미한다. 하마르티아로 인해 생긴 비극적 상황은 비극적 정서에 비추어 볼 때인간이라면 누구나 가질 수 있는 무지의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파국적인 고통을 주는 것이 부당하다는 판단을 전제한다. 이러한 부당함은 비극적 상황이 있어서는 안 되는 문제 있는 상황이라는 점과 교육 현실의 비극적상황 또한 문제가 있는 부당한 상황임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교육 현실에서 모른다고 하여 부정적인 인식을 씌우고 고통을 당연시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오히려 교육에서의 무지의 상태는 자연스러운 것이며, 무지를 실패로 규정하기보다는 배움을 위한 계기로 삼아야 한다. With a one-time failure in an entrance exam, students in South Korea fall into misfortune and consistently suffer from its conseque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interpretation of the realities of Korean education by exploring the concept of tragedy in Aristotle``s Poetics. This studyis based on the idea that this Korean educational phenomenon is analogous to a structure of tragedy in which (a) a hero is bound to fall into misery in spite of his or her effort and (b) just one incident leads a hero to an deeply painful situation. Especially,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hamartia’ which is a prime cause leading a hero to the tragic downfall in Poetics, in order to ask whether it is fair for students to experience painful situations because of one test. In Nicomachean Ethics and Poetics, hamartia means a state of ignorance which anyone is likely to live in, and which results in an unwished situation. Considering that tragic emotions are pity and fear, a tragic situation which hamartia triggers has an implication that the situation is undeserved. Feeling undeserved means that though hamartia is merely an ignorant state anyone can experience, it is unjust to consider the state guilt and to take inflicting distress for granted. This also can apply to a tragic situation represented in educational circumstances. It is not right to justify pains students undergo or simply stigmatize them because they do not know something. In particular, from an educational point of view, a state of ignorance is natural for human being. Therefore, we should regard the ignorant state as an opportunity for better education rather than a failure.
비극을 통해 새롭게 조망하는 구원의 드라마 - ‘하마르티아(hamartia)’를 중심으로
문영빈,박형철 한신대학교 한신신학연구소 2013 신학연구 Vol.50 No.1
This study reinterprets the soteriology of Hans Urs von Balthasar's Theo-Drama in constructive dialogue with literary discourse of tragedy focusing on the notion of harmatia. While the term is used in the New Testament to denote sin, it signifies tragic error/flaw in judgment of a hero in tragedy. We excavate its complicated semantic usages deployed in Greek and Shakespeare's tragedies in order to explore how it could illuminate the entire stages of theo-drama: creation, the fall, and the Christ event, (incarnation, death, and resurrection), and eschatology. In doing so, this notion is also used as a lens to re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two trinitarian Persons (Father/Son) via the mediation of the third Person (Spirit). The hamartia of the Trinity is conceived not as fatal flaws as in the case of tragic heroes but as fatal love demanded for redeeming tragic human existence in the drama of salvation. The thrust of our argument is that this trinitarian hamartia compelled by fatal love signifies the pathos of the Trinity disclosed in the drama of salvation, in which tragic human existence is overcome by the tragic death of Christ. Now in this post-Christ era the tragedy of human existence is an already-overcome tragedy, but it is still a yet-to-be-overcome tragedy in the eschatological hope of catharsis, as his resurrection ushered in the phase of tragi-comedy in the drama of salvation. Teasing through the rich semantic nuances of hamartia in tragedy, this study, we hope, could open up new fertile possibilities of rethinking the entire loci of constructive theology: soteriology, Christology, the Trinity, and eschatology, among others. We also hope that this work, in its exploration of constructive dialogue between theology and tragic literature/drama, could contribute to enriching the resources of theology and broadening its horizon.
정가은(Ga-eun Chung),정봉석(Bong-seok Jeong) 동남어문학회 2023 동남어문논집 Vol.1 No.55
<버닝>은 이창동의 작품 중 가장 모호하며 불투명한 장르적 태도를 견지하는 필름이다. 본고는 <버닝>의 불투명성을 주인공 종수가 가진 결함(hamartia)이 필터처럼 세상과 그의 사이를 가로막고 있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오이디푸스처럼 오만(hubris)이라는 하마르티아를 가진 종수는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비극의 주인공(hero)으로 상승해갈 가능성을 담지한다. 그러나 종수의 하마르티아는 오이디푸스의 경우와 달리 발견, 전환되지 않는다. 오히려 벤을 살해하는 선택을 함으로써 종수는 사회의 내부로 편입하지 못하고 증상으로 발현하게 되는 결말을 보인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창동의 <버닝>은 오이디푸스와 스핑크스의 관계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필름이라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대의 비극과 달리 주인공 종수가 증상적인 주체로 발현하는 과정을 탐색함으로써 <버닝>의 장르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조르주 아감벤의 수수께끼 담론을 기반으로 <버닝>에 내재한 수수께끼 모티프와 메타포 구조를 비교함과 동시에 오이디푸스와 종수의 하마르티아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궁극적으로 이창동 감독의 카메라가 취하고 있는 장르적 태도가 아이러니의 위치에서 비롯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Burning> is the most ambiguous and opaque film among Lee Chang-dong's works in terms of its genre attitude.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opacity of <Burning> is due to the flaw(hamartia) that the protagonist Jong-su possesses, which acts like a filter blocking his relationship with the world. Like Oedipus, Jong-su, with his hamartia of hubris, has the potential to become the hero of tragedy, as Aristotle describes it. However, Jong-su's hamartia, unlike Oedipus, is not an-agnorisis or peripeteia. Instead, by choosing to kill Ben, Jong-su fails to integrate into society and ends up manifesting as a symptom. From this perspective, Lee Chang-dong's <Burning> can be seen as a modern reinterpret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Oedipus and the Sphinx. This paper explores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Burning> by exploring the process in which the protagonist Jong-su manifests as a symptomatic subject, unlike the heroes of ancient tragedy. To do so, the paper compares the enigma motifs and metaphor structures inherent in <Burning> with those in Georges Agamben’s enigma discourse and analyzes the hamartia of Oedipus and Jong-su. Through this analysis, it is ultimately confirmed that Lee Chang-dong's generic attitude, as conveyed through his camera, stems from the position of irony.
김민(Min Kim) 한국영미어문학회 2024 영미어문학 Vol.- No.152
This paper analyzes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classical tragedies and the essence of tragedy in modern drama, mainly focusing on John Millington Synge’s Riders to the Sea. Arthur Miller defined the possibility of modern tragedy as the tragic experience of the common man in relationship to the environment. However, in the modern era, the environment is often represented or segmented by capitalism, leading to the misconception that modern tragedy may be succinctly defined by the struggles of ordinary people facing continuous situational hardships in pursuit of their dreams. In contrast, Synge’s tragic drama Riders to the Sea (first performed in 1904), which this paper observes, is grounded in an isolated natural setting while still remaining connected with the realm of the divine or the universe. Focusing on the phase of vanishing hamartia, the escape from guilt of the subjects, and the expansion of the concept of necessity from outer to their inner sphere, this paper argues how classic tragic essence is also manifested in modern plays, provoking profound thoughts among the audience and elevating their souls through elegant suffering and intellectual clarification in its own way. In its characteristic of stillness, where the conclusion is drawn out over an entire lifetime of struggle and disguised to obscure emotional suffering beneath a veneer of pessimism or idealism, the modern tragic drama establishes its own tragic genre with catharsis and magnitude. This contributes to a deeper level of meaningful understanding in the lives of all ordinary people in the contemporary 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