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글 궁체의 美意識 探究

        최영희(Choi, Young-hee) 한국서예학회 2006 서예학연구 Vol.8 No.-

        한글 궁체는 한글 창제의 목적과 그에 따른 창제적 원리의 철학적 사고에서 형성 발전된 한글 서예술의 백미이다. 書寫를 담당한 궁녀에 의하여 정형화된 궁체는 선이 맑고 곧으며 단정하고 아담한 점이 특징이다. 서사를 담당한 궁녀란 왕족의 시중을 드는 여성으로, 궁녀 중 직책 및 지적 수준이 높은 지밀의 나인이나 상궁, 혹은 제조상궁을 이른다. 궁체는 엄격하게 통제된 禁中에서 이들이 어려서부터 오랜 기간 동안의 숙련과 교양을 겸비하는 가운데 서사의 실용적 목적 아래 형성된 산물이다. 특히, 이들은 준엄한 규율과 엄격한 몸가짐으로 공공 지향적 조화의 정신위에서 자유와 절제의 조화로운 실현을 갈구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궁체는 끊임없이 주위환경이나 자연과 융합․조화하며 조선시대의 한글 자체로서 정형화 되었다. 조선시대는 많은 기간 왕후들에 의하여 정사가 이루어졌다. 이때, 왕후들의 공문서 및 문안편지를 궁녀들이 한글로 대필하면서 궁체의 기틀이 마련되었다. 조선시대 궁체는 초기부터 서예술로 형상화 된 것은 아니었으나 외형의 아름다움은 물론 서사자 내면의 性情이 농축된 궁녀들의 일상생활에서 오는 ‘擇善固執’하는 誠과 敬의 마음에서 발현된 것이다. 이는 절대적 我를 배제하고 사회와의 調和를 이룬 克己復禮와 漸老漸熟을 통하여, 자유와 절제를 내면에 응축시킨 人格的 中和美로서 최고의 整齊美․謙讓美․淡泊美로 표출되었다. 그러므로 한글 궁체는 문자를 통해 자기의 사상과 감정을 예술적 형상으로 표현하는 동시에 인격을 수양하는 중요한 수단의 하나로서 인격완성에 최고의 가치를 가진다. Hangeul Gungche is the court style of writing the Korean script that expresses own beauty throughout the natural possession of Korean style; it has the purpose of Hangeul creation and creatively developed its subsequent principle of the philosophical thought. Gungche, used by the court lady who is in charge of making copies, is possessed of clear, straight line and neat, tiny character. The court ladies who are in charge of making copies played a role in serving the royal family and they composed of the lady attendants in the palace or Sanggung(court ladies) or JejoSanggung(senior court ladies) in the high position (with high intelligence) of the royal bedrooms. Gungche has been formed based on the practical purpose of making copies, during the court ladies learned the culture for a long time in the strictly controlled Royal Palace since their childhood. Especially, they thirsted for the harmonious realization of freedom and temperance based on the spirit of public-oriented harmony along with the strict regulations and behavior. In this process, Gungche has been formed as one of the Hangeul patterns in Chosun Dynasty in a way of harmony with the surroundings and nature. In Chosun Dynasty, queens had controlled over the governmental system for a long time. At that time, court ladies wrote many official and greeting letters instead of queens which established the basis of court style writing. Gungche was not used as the calligraphic art from the start, but the beauty that can be shown from outside and copier's temperament inside was composed of court ladies' daily routine that comes from sincerity and respect 擇善固執(keeping the virtue faithfully) heart. It is absolutely comes from excluding "I" that was harmonized with 克己復禮(pursuing the politeness by pressing desire) and 漸老漸熟 (gradual maturity) through freedom and temperance that are located inside. Those two characteristics are composed of moral influence and 中和美(beauty of neutralization) that shows off the beauty of regularity, beauty of humbleness, beauty of ingenuousness and calmness. Therefore, throughout Hangeul Gungche, one's mind and emotion can be expressed with artistic figure and at the same time, controlling one's life with this artistic activity values the most that one can learn from Hangeul Gungche.

      • KCI등재

        글자쓰기의 운동성 측면에서 본 한글 바탕체의 형태적 원류

        김대연,안병학 한국기초조형학회 2023 기초조형학연구 Vol.24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Korean calligraphy style, which is the root of Batangche in terms of the mobility of letter writing. Batangche is mainly used in the main text type and has been settled for a long time, and there are many views that its formative origin is found in Gungche, a brush type formed during the Joseon Dynasty. To be more accurately expressed, in this case, the expression "Haeseoche" or "Hangul-Haeseoche" is used rather than simply "Gungche". However, this expression rather obscures the meaning of the place where Batangche is rooted in Korean calligraphy. This is because "Gungche" and "Haeseoche" are completely different types of writing. Batangche is a typeface refined by influencing from Oryun Haengsildo, Hanseongche No. 4, and Choi Ji-hyuk's No. 2, and although these types have their formative origins, none of them can be considered Gungche. This is because if classified as calligraphy, it is not a Gungche, but rather a written body influenced by the Chinese writing method. To explain this accurately, we looked at China's Haeseoche based on the method of writing, and Unhaebonche compared and analyzed each other, targeting the edition of Oryun Haengsildo, and the Gungche's Okwonjunghoeyeon. In terms of the mobility of writing, the analysis of these two showed that Gungche was a Korean typeface developed by women in the palace, Haeseoche was the formative origin of Chinese refined typeface, and Hangul Haeseoche confirmed through historical sources that it refer to Unhaebonche, which was written by a man among the Korean words influenced by Chines Haeseoche. Taken together, Unhaebonche, which is usually represented by the expression Hangul-Haeseoche, is influenced by the familiar writing technique of writing Chinese characters apart from Gungche, so it can be seen that it has similar properties in terms of the mobility of writing letters. For this reason, it is reasonable to view the morphological origin of Batangche in terms of the mobility of writing as Unhaebonche, not Gungche.

      • KCI등재

        일중 김충현 궁체의 서맥 고찰

        정복동(Jeong Bok dong) 한국서예학회 2018 서예학연구 Vol.32 No.-

        일중은 가전된 궁중의 우수한 한글서체를 독학으로 익혀 자신만의 서풍을 완성한 근현대서예가이다. 그는 한글과 한자서예를 병행하되, 한글서예를 중시한다. 일중 궁체의 서맥은 순원왕후의 둘째 공주 복온공주가 일중 가문에 하가 시 가지고 온 고전자료에 근거하고 있다. 하지만 고전 임모에 있어서 온고지신의 창작정신으로 용필법은 한자필의를 사용하였고, 결구법은 궁체를 임모하여 자신만의 개성 있는 서풍을 완성한다. 일중이 서예계에 남긴 대표적인 족적은 궁체만으로는 인간의 감성을 표현하기에 부족하다고 여겨서, 한문서체의 5체처럼 한글도 그와 같이 다양한 서체로 표현하도록 훈민정음 제자원리를 근거로 고체(판본체)를 작품화한 것이다. 그러므로 한글서체를 한자서체와 비견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확대하였다. 이와 같이 고전을 중시하는 교육관은 후학들에게도 스승의 아류가 되지 않도록 가르쳤다. 그 일환으로 교과서와 서예교본 등에 소장하고 있는 왕실의 고전 자료를 아낌없이 소개하여 스스로 서법을 터득할 수 있는 토대자료를 제공한다. 아울러 한글서예의 필법에 관한 논문과 교과서 및 저서를 간행하여 일반대중에게 널리 서예를 보급하고자 하였다. 또한 5백이 훨씬 넘는 작품을 궁체정자, 궁체흘림, 고체, 한자의 5체, 한글과 한자의 혼서, 궁체의 변형체 등 다양한 서체로 다양한 규격에 발표를 하였다. 일중은 일생이 학예일치로 온고지신하는 서예가이자 교육자의 삶이었다. 일중의 교육관을 한 마디로 표현하자면 ‘청출어람’이라고 할 수 있다. 자신은 물론 후학들이 보다 발전하고 자신만의 세계를 열어갈 것을 바랐던 것인데, 현재 그의 훌륭한 제자들이 그의 예술정신의 맥을 이어 서예의 발전을 도모하는 데에서 그 가르침과 배움의 열정이 ‘저 강물처럼 밤낮으로 쉬지 않고 흐르는 것’을 볼 수 있다. lljoong is a modern calligrapher who taught himself the excellent writing style of the Korean script used at royal court, which was passed down in the family, and perfected his own style of calligraphy. Although he practiced both Korean and Chinese calligraphy, he put more emphassis on Korean calligraphy. The legacy of lljoong’s Gungche(a court style of Hangul calligraphy) originated from the classical materials that princess Boak-on, the second dauhghter of Queen Soon-won, brought when she was married to lljoong’s family. However, when it comes to imitating classical calligraphy, in the spirit to ‘review the old and learn the new’, he used a writing style of Dhinese characters os to a technique to write calligrphic work with a brush and imitated Gungche for structure, thereby completing his unique calligraphic style. lljoong’s one of the representative footprints is that he worked on the writing style of Jumminjeongeum Haerye on the abasis of the principle of creation of Humminjeongeum, so that Hangeul could be written in many calligraphic styles like the five script styles in Chinese calligraphy. He believed that Gungche alone was not enough to express various human emotions. Therefore, he expanded a writing style of Korean scripts to be comparable to that of Chinese scripts. His view of education emphasizing classics taught hes students not to be simply imitators of their teacher. For instance, he introduced the royal classical works that were possessed in textbooks and calligraphy course books to the students and provided a foundation that they could learn calligraphic styles themselves. Furthermore, he published a number of theses, textbooks and publications regarding writing techniques of Korean calligraphy to spread calligraphy among the general public. Additionally, he released more than 500 works written in various calligraphic styles, such as Gungche in printed form, Gungche cursive writing five script styles of Chinese characters, Korean mixed script, and a variant Gungche. lljoong was a calligrapher and an educator who united study and art with an attitude to ‘review the lod and learn the new.’ lljoong’s view of education can be defined as ‘Cheong-Chul-Eo-Lam’ which means students surpass their master. He wished that not only himself but also his students would develop and advance their own art styles. Now, lljoong’s students inherit his spirit and make efforts to develop calligraphy, which shows that his teaching and the students’ passion to learn ‘continuously flow day and night like a streaming river.’

      • KCI등재

        몸의 운동성과 글자꼴의 관계 - 언해본체와 궁체를 중심으로

        김대연,안병학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24 한국예술연구 Vol.- No.45

        이 연구는 한글 글꼴 디자인에서 글자쓰기에 관한 이해가 글꼴 개발의 중요한 형태적 기준 역할을 한다는 점을 전통적 한글 글씨체인 언해본체와 궁체를 대상으로 한 운동성과 글자꼴의 관계 분석을 통해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전통적인 한글 붓글씨체는 언해본체로부터 궁체로의 변화를 겪었는데, 이러한 변화는 글자를 쓰는 몸의 운동성 변화에서 그 주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글자 획의 단면을 도식화하고 이 도식을 이용해 전통적인 한글 글씨체 가운데 언해본체와 궁체를 분석했다. 그 결과 두 글씨체는 글자를 쓰는 ‘필법(筆法)’과 글자를 구성하는 체계 면에서 매우 다른 운동성을 띠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몸의 운동성 변화가 한글 글씨체의 변천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 널리 쓰이고 있는 바탕체류의 디지털 서체의 형태에서도 글자쓰기의 운동성으로부터 영향 받은 형태를 발견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연구의 결과가 글꼴 변화의 계보 탐구에 중요한 근거 중 하나로 참조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show that the understanding of writing in Korean font design serves as an important morphological criterion in font development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movement and letter forms in traditional Korean writing styles, Eonhaebonche and Gungche. Traditional Korean brush calligraphy underwent a transformation from Eonhaebonche to Gungche. This change can be attributed to alterations in the movement of the body writing the letters. To verify this, cross-sectional diagrams of letter strokes were schematized, and these schematics used them to analyze the Eonhaebonche and Gungche.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two writing styles have very different movements in terms of both the penmanship and the organization of the charact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serve as a foundational base for exploring the genealogy of font changes influenced the movements of handwriting, as can be found in digital fonts such as Batangche that are widely used today.

      • KCI등재

        조선시대 한글 發記의 서예사적 意義 및 궁체의 典型 모색

        최영희(Choi Young-Hee) 한국서예학회 2015 서예학연구 Vol.27 No.-

        조선시대 국혼 등 왕실행사를 진행하면서 소요된 혹은 소요될 물품과 그 수량 등을 한글로 필사한 發記 719점이 장서각에 소장하고 있는데, 이 가운데 640점을 영 인하여 古文書集成 권十二․十三을 통해 소개되었다. 이들의 정확한 제작․필사시기는 알 수 없으나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는 壬午 (1882년) 발기류 가운데 ‘임오-988’ 발기와 그보다 앞선 丙寅(1866년) 발기류 가 운데 ‘병인-1732’ 발기의 서체를 비교 분석한 결과 點․畫, 자․모음의 結構에 따른 연결, 접필 등에서 오는 외형적 특징이 같았다. 궁체 흘림체로 필사된 두 발기의 특징은 子母字에서 橫모음의 기필은 모두 逆入 하여 方劃을 구사하였으며, 縱모음은 露鋒으로 起筆하였다. 또한 橫모음 가로획은 長短의 변화가 심하였다. 초성 자음은 상하합자보다는 좌우합자에서 縱母音에 따라 형태변화를 주었으며, 轉折處는 轉이나 折을 자유로이 구사하였다. 音節字는 上下合字에서 子․母音의 結構를 연결하고 있으나 左右合字는 독립하여 결구하고 있다. 또한 한 문자 안에서 가볍게 연결하여 단정한 가운데 첫 기필부분이 크거나 한쪽으로 치우치기도 하지만 마지막 收筆 點畫이 그 문자의 上下 左右의 무 게를 안배하여 굵기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균형감과 안정감을 주고 있다. 단지 ‘병 인-1732’ 발기가 肥瘦의 차이가 적절하고 완만한 곡선 운행 등으로 공간을 확보하 는 운필의 정교함과 종성과의 거리를 멀리하여 悠長함을 나타내어 궁체의 典型으로 제시하였다. 한글 발기의 한글서예사적 의의는 첫째, 궁체로 필사된 발기는 자모자의 용필 및 결구 등이 일정하다. 따라서 궁중에서는 하나의 모범서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행사에 참여한 궁중 여성 특히 나인들의 일상과 직위 이름 등을 확인할 수 있어 궁중 여인들의 생활상을 탐색할 수 있다. 셋째, ‘조선시대에 궁녀들이 쓰던 한글의 글씨체’라는 궁체의 사전적 의미는 여기 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넷째, 한글 발기에 필사된 궁체는 균형감과 안정감을 주는 운필의 정교함은 물론 이고 특히 흘림체는 悠長한 아름다움으로 경제성 및 가독성과 함께 감상성이 좋은 서체이다. 그러므로 한글 발기는 한글서예의 모범서가 되기에 충분하다. In Jangseogak library, there are 719 pieces of Balgi that is a record written in Hangeul presenting the supplied or needed to be supplied items and their quantity for royal event in Joseon dynasty such as a royal marriage. Of them, 640 pieces are introduced through volume 12 and 13 of A Collection of Ancient Documents ( 古文書集成 ) by copying the original in photograph to print out. Despite the hardship of figuring out the exact time of production, there has been found the exterior similarity in the way of putting dots and lines, the structure of consonant and vowel, and the attachment of dots and lines or consonant and vowel after analyzing the calligraphy of Im-oh 988 Balgi in the Balgi of year Imoh (Year 1882) which accounts for the largest quantity and Byeong-In 1732 Balgi in the Balgi of year Byeongin (Year 1866) which is the former than Im-oh Balgi. As for the features of those two records written in cursive type of Gungche, firstly in phonemic writing, every horizontal letter was written in reverse to fit in the square frame of each character and the vertical was written by erecting the writing brush to lay the trace of the brush. In addition, there are considerable variations of length in the horizontal stokes. The initial phoneme of consonant was varied by final vowel combined widthways rather than lengthways, turning and shifting the direction of brush stroke without any restrictions. Secondly in syllabic writing, the letter combined widthways is to compose the consonant and vowel while that combined lengthways is to do respectively. Also, the balance and the stability are presented by adjusting weight or position of the character with its final dot and line balancing widthways and lengthways even though the first writing is sometimes slanted or bigger than others while being neat within a lightly connected character. It is presented as the quintessence of Gungche for Byeongin 1732 Balgi has an exquisiteness of brush stroke making space by gradual movement of curves and proper difference in thickness and tenuity and also makes long but elegant brush stroke by putting its distance with final consonant. The Balgi written in Hangeul has it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Korean calligraphy in that; firstly, the Balgi written in Gungche has steady strokes and structure of phonemic writing. Hence it is found that there was an exemplar book in the court. Secondly, it shows the lives of women in the court by recording the routines and positions of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royal event, especially those of the court ladies. Thirdly, the dictionary definition of Gungche is originated from these records that the font of Hangeul was used by the court ladies in Joseon Dynasty. Fourthly, Gungche used in Hangeul Balgi is the calligraphic font having an exquisiteness of brush stroke, which offers balance and stability, and especially its cursive type is efficient and suitable for appreciation and easy reading with the beauty of being long but elegant. Thus, Hangeul Balgi has its sufficient qualification to be a model for Hangeul calligraphy.

      • KCI등재

        <명주옥연기합록>의 이본과 영남대본의 가치

        박은정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2 민족문화논총 Vol.51 No.-

        Korean novel Myeongjuokyeongihaprok is the third work in the series of Hyeonssiyangungssangringi, which is connected to Myeongjugibong, and Myeong- juokyeongihaprok. The novel is composed of 25 volumes and 25 books and there are 2 versions of Korean manuscripts: Yeungnam University Version and Sogang University Version. This study aims at raising the values of the two different versions of the novel by reviewing them bibliographically and by contrasting them. Yeungnam University Version was transcribed between 1895 and 1898 by three court ladies including Kim Cheolyeong who was King Cheoljong’s concubine, and Seo Yusun, a court lady belonged to Jeodonggung. They transcribed the novel by hand on the back of letters called Geulwolji. One can find the fact that they transcribed the novel through the record of transcription written by Mrs. Yun Baekyeong. The beautiful style of court ladies' handwriting called Gungche and the handwriting of Mrs. Yun Baekyeong herself raises the value of Yeungnam University Version. Sogang University Version does not have any record about the work of transcription, so it is not possible to estimate when it was transcribed exactly. Notwithstanding, the handwriting is very neat and it has been kept in a very good condition. These two different versions of Myeongjuokyeongihaprok has little difference in the contents that can influence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k, so it seems that any version can be selected as the subject of a study. There are only a few differences in the title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and the phonetic transcription of some Korean words, but it is not easy to tell which version precedes even after considering such differences. Yeungnam University Version of Myeongjuokyeongihaprok has high values in a variety of views including the novel history, bibliography, calligraphy, and Korean linguistics. First, it shows the fact that Korean novels were read and transcribed in palaces at the end of 19th century and early 20th century. Second, it delivers the fluent handwriting Gungche used for the transcription by hand. Third, it tells us the changes of Korean language at that time. In short, it is a living witness that shows vividly the scenes of court ladies being absorbed in reading Korean novels. <명주옥연기합록>은 <현씨양웅쌍린기>, <명주기봉>, <명주옥연기합록>으로 이어지는 <현씨양웅쌍린기> 연작의 세 번째 작품이다. 현재 25권 25책의 한글 필사본 2종이 전하고 있다. 본고는 <명주옥연기합록>의 두 이본에 대한 서지적 검토와 대비 고찰을 통해 각 이본의 가치를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영남대본은 1895년에서 1898년 사이 철종 황제 후궁인 김상궁 철영 씨와 저동궁 지밀상궁인 서유순 씨 외 또 다른 궁녀가 글월지의 이면에 필사한 것이다. 이들의 필사 사실은 윤백영 여사가 직접 남긴 필사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서강대본은 특별한 필사기가 없어 필사시기를 추정할 수는 없지만, 정제된 서체로 필사되어 있으며 보관상태가 매우 좋다. 두 이본은 한자 표제와 표기법, 오기와 탈락 등에 있어서 다소 차이를 보인다. 한자 표제는 어느 것이 옳은 표기인지 확정하기 어려우며, 표기법은 영남대본이 다소 선행된 형태를 띠고 있다. 오기와 탈락은 영남대본에서 좀 더 많이 나타나지만 서강대본의 경우도 오류가 없는 것은 아니다. 둘 다 작품 해석에 큰 영향을 미칠 만한 정도의 것은 아니어서 어느 이본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도 무방하리라 판단된다. <명주옥연기합록>은 이르면 19세기 초반, 늦으면 19세기 중반 무렵에 전문작가에 의해 창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영남대본을 통해 20세기 전후 궁궐에서의 한글소설 독서 및 필사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본문 필사에 사용된 유려한 궁체와 윤백영 여사의 필체가 담긴 필사기는 영남대본의 가치를 높여준다. 영남대본은 소설사적・서지학적・서예학적・국어학적으로 그 가치가 매우 높은 자료이다. 궁중 여인들의 한글소설 탐독 현장을 생생하게 담고 있는, 살아 있는 자료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산돌남계연담 글꼴을 활용한 서예 수업 사례 연구

        박영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5 미술교육연구논총 Vol.43 No.-

        As it can be seen in the 2009 revised art textbook, elementary school calligraphy instruction consists mainly of copy-training and composition. Copy-training refers to replicating example texts presented in the textbook, while composition refers to writing in students’ own styles. Compared to the previous art textbooks,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individualized styles has been emphasized. However, the copy-training method has remained unaltered, and consequently students are still learning from fonts and example texts whose authenticity is unclear. Here I report a case study in calligraphy education that utilizes the SANDOLL-Namgyeyeondam font. A sequel to the Panbonche copy-training method for third and fourth graders, this is a Gungche copy-training method for fifth and sixth graders. A model for standard Gung-che, Namgyeyeondam is a manuscript from the late Joseon period. Developed based on the manuscript, the SANDOLL-Namgyeyeondam font confers two benefits to copy-training methods: it is a widely recognized, authentic font, and students can prepare their own example texts using word processors. 2009 개정 미술교과서를 보면, 초등학교 서예 수업은 주로 임서와 창작으로 이루어진다. 임서는 교과서에 제시된 서제를 따라 쓰기이며, 창작은 자기만의 글씨체로 쓰기이다. 이전 교과서에 비하면 개성 있는 서체 만들기의 중요성이 커졌다고 하겠다. 다만 임서 방식은 변하지 않았고, 학생들은 여전히 출처가 분명하지 않은 서제를 다 같이 따라 쓰는 실정이다. 산돌남계연담 글꼴을 활용한 서예 수업 사례를 정리한 이 글은 3․4학년에 해당하는 판본체 임서 수업 사례에 이어 5․6학년 궁체를 다루고 있다. 조선 후기의 필사본으로 궁체 정자의 모범인 남계연담의 원형을 살려 개발한 산돌남계연담 글꼴은 두 가지 면에서 활용 가치가 크다. 고전 서체로서 정평이 나 있으며, 한글프로그램에서 원하는 서제와 크기대로 출력해서 체본으로 삼을 수 있어 개성을 살리고흥미를 높일 수 있다. 이 연구는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사례이지만, 초등 서예 수업의 변화를 염두에 두고 진행하였다.

      • KCI등재

        한글서예 궁체의 개념정의에 관한 고찰

        신현애 한국동양예술학회 2019 동양예술 Vol.45 No.-

        한글서예 궁체는 어떠한 한 사람이나 한 계층의 집단에 의해 일시에 갑자기 형성된 것이 아니다. 훈민정음이 반포된 이후 원추형의 모필 붓으로 실용의 문자로 사용되면서 이미 궁체로의 조짐은 보이기 시작하여 많은 사람의 손을 거치면서 궁체의 정형화된 법도가 생기게 되었다. 이 과정에 왕실 구성원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였다. 그들이 직접 쓴 글씨에 이미 궁체의 모습이 나타났으며, 서사상궁들을 훈련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철저한 학습을 할 수 있게 하였다. 이 과정에 정형화된 궁체가 정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궁체를 ‘女官들이 학습하던 글씨’, 혹은 ‘궁녀들이 배우던 글씨’라고 정의하는 것은 한국의 고유한 문화전통으로서의 지위를 의식하지 못하고 한글서예사를 통시적으로 보지 못한데서 기인한다. 또한 이러한 현상은 일제의 식민사관적 사유를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여 誤用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모든 원인은 한글서예에 관한 연구가 아직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본 논문은 궁체에 관한 편협적이고 단편적인 시각에서 정의 내려진 개념을 불식시키고 올바른 개념의 정의를 내리고자 좀 더 통시적 시각에서 접근하였다. 역사적 변천 · 철학적 근거 · 미학적 관점을 바탕으로 궁체의 풍격을 논하고 개념정의를 도출하려고 시도하였다.

      • KCI등재

        한국 한시의 특징과 전개 염정시(艶情詩)의 면모와 미적 특질 -고려시대의 시를 중심으로-

        하정승 ( Jung Seung Ha ) 동방한문학회 2008 東方漢文學 Vol.0 No.37

        Love is the eternal and the most common theme of literary works in all ages and countries. Chinese poetry about love is called `Yeomjungsi(艶情詩)`·`Aejungsi(愛情詩)`·`Hyangyeomchesi(香렴體詩)` in Chinese and Korean academic world. The origin of love song is 『the Book of Odes』 in China, while it is the ancient songs like a `Hwangjoga` in Korea. The tradition of Chinese poetry about love is as much long and old. If we look at the history of Chinese poetry, the speaker is divided into two parts, man and womam. The writer of chinese poetry written by male speaker is man. But the writer of Chinese poetry written by female speaker is man or woman. And chinese poetry written by female speaker is divided into two types. One type is that the speaker is the heroine of the poem, the other type is that the speaker has a objective point of view. In fact, our ancestor as a man of noble birth scorned singing about true love between male and female. Fortunately, however, not all poets thought so. Some poets from noble birth recognized love between male and female as intrinsic feelings of human. Even a part of poets translated popular songs about love into Chinese poetry in Goryeo periods In this scipt, I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a literary history of `Yeomjungsi(艶情詩)`·`Yeomjungsi(艶情詩)` written in Goryeo periods is to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poetry about pleasure of love, poetry about agony of farewell, poetry about betrayal. I considered the techniques of expression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in these poetry. No poetry doesn`t sing about life more heartily and sadly than a love song. `Yeomjungsi(艶情詩)` makes the people a present of laughter and tears through showing various aspect of love. Readers indirectly experiences love affair via poetry. This is aesthetic attractiveness and literary benefit of `Yeomjungsi(艶情詩)`.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