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집트와 그리스 신들의 동일시 현상과 ‘이집트식 해석’(interpretatio Aegyptiaca)-헤로도토스와 디오도로스의 이집트 서술을 중심으로-

        김봉철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2024 서양고대사연구 Vol.69 No.-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identification of Egyptian and Greek gods in Herodotus’ Histories and Diodorus’ Library of History. By Investigating by whom and for what reasons such identifications originated, I intend to ascertain whether they could be regarded as the process of interpretatio Aegyptiaca, not of interpretatio Graeca. The term ‘interpretatio Aegyptiaca’ in this paper is derived from, and therefore defined according to the term ‘interpretatio Romana’ mentioned by Tacitus. Interpretatio Romana is ‘a term used to describe the Roman habit of replacing the name of a foreign deity with that of a Roman deity considered somehow comparable’(from The Oxford Classical Dictionary). In the descriptions of Egyptian gods by Herodotus and Diodorus, some of the Egyptian gods are called by both their Egyptian names and Greek gods’ names whom were equated with the Egyptian gods. As an alternative, some of them are called by only the Greek gods’ names instead of their Egyptian names. These ways of calling, of course, imply the identification of Egyptian and Greek gods. Some examples where Herodotus and Diodorus introduce the names of both Egyptian gods and their Greek equivalent gods are that of Amun and Zeus, Osiris and Dionysus, Isis and Demeter, Horus and Apollon. On the other hand, the Egyptian gods they mention only by Greek gods’ names are Typhon, Helios, Hephaestus, Hermes and so on. In this paper I looked into the origins of such identification, focusing on the examples of Amun and Zeus, Osiris and Dionysus, Isis and Demeter, Horus and Apollon. In these four examples described by Herodotus and Diodorus, we can find quite clearly the names of both gods who are equated with each other and the sources of the identification cases. Therefore, inquiry can allow us to figure out by whom and for what reasons such identification originated. My inquiry shows that it was mostly Egyptians who claimed the identification of Egyptian and Greek gods in the writings of Herodotus and Diodorus. Ancient Egyptians had an Egyptocentric sense of cultural superiority. Their sense of cultural superiority was expressed in the pride of their own culture and the idea of their culture spreading abroad. They believed that their culture was superior to any other ones and that it spread abroad and developed into a foreign culture. This belief is also expressed in the writings of Herodotus and Diodorus. This is basically an Egyptocentric perception and corresponds to the theory of cultural diffusion. On this basis, Egyptians could identify Greek gods with their own gods. Therefore, such Egyptocentric viewpoints and the identification phenomenon of gods we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I suggest that the ethnocentrism of ancient Egyptians was an ultimate cause that led to the identification of Egyptian and Greek gods. Among the existing ancient sources, the ones that mention the identification of Egyptian and Greek gods are mostly Greek sources including the writings of Herodotus and Diodorus. On the surface, since such identification cases are found in the writings of the Greeks, they may be seen as the examples of interpretatio Graeca. However, it turns out that it was mostly Egyptians who told Herodotus and Diodorus about the identification of Egyptian and Greek gods. Given the Egyptocentric tendency of ancient Egyptians,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identification cases mentioned by Herodotus and Diodorus reflected the peculiar perspective of the Egyptians.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regard the identification of Egyptian and Greek gods as an example of interpretatio Aegyptiaca, not of interpretatio Graeca. 이 논문은 헤로도토스의 역사 와 디오도로스의 역사편서 에 언급된, 이집트와 그리스 신들의 동일시 현상을 다룬다. 특히 그 동일시 현상이 누구에 의해 어떤 이유로 발생한 것인지를 조명함으로써, 그 현상을 ‘이집트식 해석’(interpretatio Aegyptiaca)으로 간주할 수 있는지를 논의하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 사용하는 ‘이집트식 해석’의 개념은 원래 타키투스가 말한 ‘로마식 해석’(interpretatio Romana) 용어에서 파생한 것이다. ‘로마식 해석’은 ‘로마인들이 외국 신의 이름을 그 신과 동등하다고 여기는 로마 신의 이름으로 대체해 부르는 관행’을 지칭하는데, ‘그리스식 해석’(interpretatio Graeca)이나 ‘이집트식 해석’도 ‘로마식 해석’에 준해 정의된다. 헤로도토스와 디오도로스는 이집트의 신화와 제식에 관한 서술에서 이집트 신들의 이집트어 이름을 그대로 소개하기보다, 그들의 이름을 그리스 신 이름과 함께 혼용하거나 아예 그리스 신의 이름으로만 부르곤 한다. 이런 호명 방식은 당연히 이집트와 그리스 신들 간의 동일시 현상을 내포한다. 헤로도토스가 서로 동일시되는 이집트 신과 그리스 신의 이름을 둘 다 밝힌 주요 사례는 아문과 제우스, 오시리스와 디오니소스, 이시스와 데메테르, 호루스와 아폴론의 사례이고, 디오도로스가 양측 신의 이름을 둘 다 밝힌 주요 사례 역시 헤로도토스 경우와 동일하다. 한편 그들이 이집트 신을 그리스 신 이름으로만 소개한 사례는 티폰, 헬리오스, 헤파이스토스, 헤르메스 등이 대표적이다. 이 논문에서는 위의 동일시 사례 중 아문과 제우스, 오시리스와 디오니소스, 이시스와 데메테르, 호루스와 아폴론의 사례를 중심으로 동일시 현상의 유래를 살펴보았다. 특히 이 사례들을 택한 이유는, 그것들이 동일시 상대가 명시되고 또 동일시 현상의 출처도 비교적 명확히 제시된 것이어서, 이것들의 분석을 통해 그 동일시 현상이 누구에 의해 어떤 이유로 형성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위의 동일시 사례 서술을 중심으로 그 서술의 출처를 살핀 결과, 출처는 대개 이집트인들로 나타난다. 두 역사가의 동일시 사례 서술의 출처가 주로 이집트인들이었다는 것은 그 동일시 현상이 발생한 이유를 설명해준다. 흔히 이집트와 그리스 신들 간의 동일시는 양측의 해당 신들 간의 신성과 기능, 제식 등에서의 유사성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그것은 두 신을 외형적으로 동일시할 수 있는 형식적인 유사성일 뿐이다. 이집트인들에게 그런 동일시를 가능하게 한 근본적인 동인(動因)은 따로 존재했다. 그것은 이집트 중심적인 문화적 우월감이었다. 그들의 문화적 우월감은 자국 문화의 선구성에 대한 자부심과 자국 문화의 해외전파 관념으로 나타난다. 자국의 문화가 선구적인 것이고 따라서 자국 문화가 외국으로 전파되어 그곳의 문화로 발전했다고 본 것이다. 이집트인들의 그런 생각은 헤로도토스와 디오도로스의 저술에서도 확인되는데, 이는 기본적으로 자국 중심적 인식이고 문화전파론적 입장에 해당한다. 이런 기반 하에서 이집트인들이 외국 신과 자국 신을 동일시했으니, 그들의 이집트 중심적 관점과 동일시 인식은 서로 긴밀하게 연관된 것이었다. 현존하는 고대 자료들 중 이집트와 그리스 신들 간의 동일시 사례가 언급된 자료는 거의 그리스인 자료들이다. 언뜻 보면, 그 동일시 사례들이 그리스인의 그리스어 자료들에 ...

      • KCI등재

        고전기 아티카 예술에서의 신성의 시각화 : 신과 신상, 인간의 이미지

        김혜진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12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11 No.-

        고대 그리스 신화와 미술에서 신상에 관한 연구는 고전미술의 역사와 그 맥을 같이 했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오래된 주제이다. 전통적으로 그리스 다신 에 대한 도상(학)적 접근이 이러한 주제에 있어서 연구의 주를 이루었던 것에 비해서, 최근에 이 주제가 문헌학과 고고학, 인류학 등과 같이 고대 그리스 사회를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학문적 접근을 통해 재조명되고 있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자료를 통해 그리스의 다신 이 어떻게 시각적으로 재현되었고 그 결과물인 신상이 숭배자들에게 어떻게 인식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그리스인의 사고에서 신상이 탄생하게 된 배경과 신의 형상을 시각화하는 원리와 방식, 신상의 종류를 고고학과 문헌증거를 통해 살펴보고, 고전기 아티카의 미술에 재현된 신상의 이미지를 대상으로 신상에 대한 그리스인들의 태도를 추론해 보고 성소와 신전에 봉헌 물로 기능하던 봉헌부조에 재현된 신과 신상, 숭배자의 도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끝으로 이러한 고찰을 통해 미술에 반영된 고대그리스인들의 종교관을 유추해 보고 그리스종교에서 설정된 신과 신상, 그리고 인간(숭배자)의 관계에 대해서도 통찰해 보고자 한다. In ancient Greek religion, the principle of anthropomorphism characterized the Greek gods, assimilating them into mortals in bodies and personalities through the means of epithets and personification. The worshippers practiced rituals, made sacrifices and votive offerings to the gods to pray and offer thanks for their goodwill. The religious interactions between the divine and the worshippers were materialized by the visualization of the divine. It mattered to the Greeks that they “could see” the divine, and the latters were depicted in a number of visual forms, in which they were believed to exist. These were aniconic (e.g., symbols), semi-iconic (e.g., herms), and theriomorphic (e.g., Pan) forms as well as anthropomorphic statues called agalmata. The statues were usually located in sanctuaries or temples, and functioned as cult images or votive offerings. In the classical period, the religious notion that the cult statues were regards as sacred-as the divine themselves-is verified by the iconographical phenomena in some Attic vase-paintings. In them one finds that the image of the Parthenon created by Phidias in 438 BCE substituted the figure of Athena and “living” Artemis was represented as a statue. The visual ambiguity (or fusion) in the representations of the gods and their statues is witnessed frequently in the Attic votive reliefs that depicted worshippers practicing rituals in front of gods in their sanctuary or temple. The architectural frames of the votive reliefs referred to the place of cult activities, and the figures of gods referred to the cult statues. However, the gods in the Attic votive reliefs seemed more like living statues than those in marble, as they gazed at the worshippers' rituals and reacted to their activities. Furthermore, the gestures of the worshippers alluded to the interaction with the gods. The repertories of the Attic votive reliefs attest to the religious notion that the Greeks in the temples or sanctuaries saw not just the statues of gods in stone but faced the divine and prepared to react to them. In ancient Greek religion and art, the unseen gods are brought into being by visualizing divinity and displaying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immortals and mortals. Through the medium of statues, in particular, the Greeks embodied the existence of the polytheoi materially and the worshippers maintained the devices with which to communicate with gods individually. The Greek notion of visualizing the divine reveals an aspect of the human-oriented thought in the classical period.

      • KCI우수등재

        호메로스의 신들, 제우스, 모이라이(운명)와 성서의 하나님

        김한 한국영어영문학회 2019 영어 영문학 Vol.65 No.4

        The main concern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Greek gods in Greek mythology—including Zeus and Moirae—and God the Creator of the world in Bible. The Greek mythology begins with Homeros. Ilias, along with Odysseia, attributed to Homeros, has proved as a living influence to western literature and culture as the very origin of classical and mythological resources; and its written version, usually dated to B.C. 900. This paper examines the Homeric gods in Ilias, who are ‘‘the ever-present characters’’ in the epic. In the literary Trojan War of the Ilias, the Olympic gods, goddesses, and demigods fight and play great roles in human warfare. How can we identify these? Is the divine intervention is a discrete occurrence for its own sake, or are such godly behaviors mere human character metaphors? In order to overcome the deep pessimism about life in this world in which we find all is vanity, St. Paul offers the prescription for us: not to make full use of this world that is passing away but hold lightly to the things of this world(1 Corinthians 7.29-31), His faith and understanding of the world and its Creator enables to find the salvation from those disappointing aspects of life: he finds where sin abounded, grace abounded much more ; and he could confess his strength made perfect when he is weak. The paradoxical truth leads him to keep the dialectical distance from the world. And we find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Jew and the Greek” for the same God over all is rich “unto all that call upon him,”(Romans 10, 12) ‘His calling’ is the Thing.

      • KCI등재

        신약석의에 있어서 헬라어에 대한 총체적 접근방식의 중요성

        크리스C.카라구니스 ( Chrys C. Caragounis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1 생명과 말씀 Vol.3 No.-

        이 논문은 신약성경의 언어를, 그것을 전체로서의 헬라어의 역사적 발전 속에 둠을 통해, 올바른 전망 속에 위치시키고자 노력한다. 전체 헬라어에 대한 신약성경 헬라어의 관계는, 전체 헬라어에 대한 고전 헬라어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1528년에 에라스무스(Desiderius Erasmus)가 도입한 발음법으로 인하여 왜곡되었다. 그 결과 헬라어는 두 개의 부분으로 나뉘었다.(신약성경을 포함하는) 고대 헬라어와 (비잔틴 헬라어 및 중세 헬라어를 포함하는) 현대 헬라어. 이런 인위적인 분리는 두 가지의 무시무시한 결과를 낳았다: 비헬라인이었던 에라스무스의 발음은 헬라어 발음을 조화롭지 못한 소리들의 뒤범벅으로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많은 의사전달의 요소들, 이를테면 언어유희와 여러 수사학적 표현들의 의미를 모호하게 만들었다. 기원전 5세기 이후로 헬라어는, 역사적 헬라어 발음(the Historical Greek Pronunciation)으로 발음되어 왔다. 또 다른 그리고 보다 심각한 문제는 후대의 헬라어를 분리해 내고 그것을 심각하게 고려하기를 거절했기 때문에, 신약성경의 해석과 관련된 많은 자료들이 무시되어 왔다는 것이다. 그것은 신약성경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는데 커다란 손실을 안겨 주었다. 그 이유는 신약성경은 고대 헬라어에서 현대 헬라어로 넘어가는 변천시기에 기록되었기 때문이다. 이 시기는 900년 동안 계속 되었다(알렉산더[335 B.C.]로부터 유스티니안[Justinian, A.D.565]까지). 그 시기의 마지막에 헬라어는 신헬라어(Neohellenic)의 모습을 갖게 되었다. 그러므로 우리는 신약성경의 본문을 연구할 때 종합적 혹은 통시적 접근방식을 취해야만 한다. 위의 사실이 의미하는 것은 신약성경은 고전 헬라어 단계의 요소들뿐만 아니라 이 시대 동안 등장하기 시작했던 요소들, 즉 신헬라어의 특징을 이루었던 요소들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이 논문은 이 사실을 다양한 방법을 통해, 또 많은 예들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이 논문은 헬라어에 대한 통시적 접근방식의 중요성을 증명한다. 동시적 접근방식이 엄격하게 학문적이고 비판적인 방법으로 적용될 경우 헬라어의 역사 전체는 서로 연관성을 갖게 된다. 신약성경과 800년의 차이가 있는 호메로스의 언어와 신약성경을 비교해 보고(논노스[Nonnos]를 통해), 신약성경과 2000년의 차이가 있는 신헬라어와 신약성경을 비교해 보면, 호메로스의 헬라어보다 신헬라어가, 그것이 더 큰 시간적 차이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선약성경과 훨씬 더 가까움이 분명하게 드러난다. 마지막으로, 선별된 몇 개의 신약 본문에 대한 상세한 석의는, 변천기에 새로 발전된, 신헬라어의 특징을 이루는 새로운 의미들과 구문들이, 고대 헬리어에 있어서의 의미보다 신약 본문의 해석에 훨씬 더 적합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이 갖는 신학적 중요성은 엄청난 것이다. 본문에서 다룬 본문들로는 성령 안에서 열매를 맺기 위해 그리스도 안에 머물러야 함에 대해 논하는 요한복음 15:1-7과 하나님의 나라가 미래의 것인가 아니면 이미 도래한 것인가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해 온 마태복음 12·18등이 있다. The present article seeks to place the language of the New Testament in proper perspective, by locating it i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Hellenic language as a whole. The relation of New Testament Greek, along with that of classical Greek, to the entire Greek language has come into disaray through the pronunciation introduced by Desiderius Erasmus in 1528, which had as its result the division of the language into two parts: ancient (including the NT) and modern, including Byzantine and mediaeval Greek. This artificial division had two dire consequences: the un-Greek Erasmian pronunciation not only made the language sound as a jumble of inharmonious sounds but it also obscured many communicatory aspects, as for example, word-plays and other rhetorical figures. Ever since the 5th century B.C. Greek was pronounced in the Historical Greek Pronunciation. The other, even more serious matter, was that by separating the later period and refusing to take it into consideration, much material relevant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New Testament was disregarded to the detriment of a more exact interpretation of the New Testament. This is so, because the New Testament was written during the period of transition from ancient to modern. This period lasted 900 years (from Alexander [335 B.C.] to Justinian [A.D. 565]), at the end of which the Hellenic language emerged as Neohellenic. We must, therefore, apply the holistic or diachronic approach to in investigating the text of the New Testament. The above implies that the NT exhibits not only elements from the ancient phase of the language but also elements that were coming into being during this period, which characterize Neohellenic. This is shown in this study in many ways and through many examples. The article, then, illustrates the importance of the diachronic approach to the Greek language, in which the entire history of the language becomes relevant, when applied in a strictly scientific and critical manner. Comparition between the NT and the Homeric language (through Nonnos), which was 800 years away, and Neohellenic, which is 2000 years away, shows clearly that Neohellenic, in spite of its greater distance from the NT, is much closer to the NT than the language of Homeros. Finally, detailed exegesis in a few selected NT texts, shows that the new meanings and structures that developed during the period of transition, which characterize Neohellenic, are better suited to interpret the NT texts than the ancient meanings. The theological importance here is immense. Such examples, includes the important text of John 15:1-7 concerning the aspect of abiding in Christ in order to bring forth fruit in the Holy Spirit, as well as that central text concerning the coming of the Kingdom of God (Mt 12:28), which has played a vital role in the understanding whether the Kingdom of God is future or has already come.

      • The Importance of the Holistic Approach to Greek for the Exegesis of the New Testament

        ( Chrys C. Caragounis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1 Life and Word Vol.3 No.-

        The present article seeks to place the language of the New Testament in proper perspective, by locating it i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Hellenic language as a whole. The relation of New Testament Greek, along with that of classical Greek, to the entire Greek language has come into disaray through the pronunciation introduced by Desiderius Erasmus in 1528, which had as its result the division of the language into two parts: ancient (including the NT) and modern, including Byzantine and mediaeval Greek. This artificial division had two dire consequences: the un-Greek Erasmian pronunciation not only made the language sound as a jumble of inharmonious sounds but it also obscured many communicatory aspects, as for example, word-plays and other rhetorical figures. Ever since the 5th century B.C. Greek was pronounced in the Historical Greek Pronunciation. The other, even more serious matter, was that by separating the later period and refusing to take it into consideration, much material relevant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New Testament was disregarded to the detriment of a more exact interpretation of the New Testament. This is so, because the New Testament was written during the period of transition from ancient to modern. This period lasted 900 years (from Alexander [335 B.C.] to Justinian [A.D. 565]), at the end of which the Hellenic language emerged as Neohellenic. We must, therefore, apply the holistic or diachronic approach to in investigating the text of the New Testament. The above implies that the NT exhibits not only elements from the ancient phase of the language but also elements that were coming into being during this period, which characterize Neohellenic. This is shown in this study in many ways and through many examples. The article, then, illustrates the importance of the diachronic approach to the Greek language, in which the entire history of the language becomes relevant, when applied in a strictly scientific and critical manner. Comparition between the NT and the Homeric language (through Nonnos), which was 800 years away, and Neohellenic, which is 2000 years away, shows clearly that Neohellenic, in spite of its greater distance from the NT, is much closer to the NT than the language of Homeros. Finally, detailed exegesis in a few selected NT texts, shows that the new meanings and structures that developed during the period of transition, which characterize Neohellenic, are better suited to interpret the NT texts than the ancient meanings. The theological importance here is immense. Such examples, includes the important text of John 15:1-7 concerning the aspect of abiding in Christ in order to bring forth fruit in the Holy Spirit, as well as that central text concerning the coming of the Kingdom of God (Mt 12:28), which has played a vital role in the understanding whether the Kingdom of God is future or has already come.

      • KCI등재

        그리스 신화 속 수면

        유수연 대한수면연구학회 2019 Journal of sleep medicine Vol.16 No.1

        Objectives: There was also an observation about the “sleep” in the Greek era, which is called the primordial current of modern medicine, which is interpreted as a phenomenon organized by God and appears in various forms in Greek mythology. Methods: We used the words ‘Greek mythology,’ ‘Sleep,’ ‘God of Sleep, ’‘Greece,’ and ‘myth’ in English and Korean on Google site for information on sleep in Greek mythology. Results: In Greek mythology, stories appeared about the sleeping god Hypnos, his wife Pasithea, and the dream gods Oneiroi, to explain the mystery of sleep. The various ideas of ancient Greeks’ sleep are reflected in legends about Ceyx and Alcyone, Psyche, Endymion, Ariadne, Argos, and Polyphemus. Conclusions: The images of sleep in Greek mythology that have continued for decades include observations and experiences of mankind. This can be interpreted from a medical point of view as the important significance of sleep on humans.

      • KCI등재후보

        예루살렘 성전 재건 기록들 속에 나타난 ‘성전’의 이해

        박성숙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 2019 구약논집 Vol.14 No.-

        In the Biblical account of Ezra concerning rebuilding of the Temple by the Israelites who had returned from exile, there is no mention of glory of the the Lord(כְבוֹד־יְהוָה) filling the Temple. The phenomenon is clear indication of God’s presence and it had occurred immediately after the completion of erection of Tabernacle in wilderness (Ex 40:34) and building the Temple of Solomon (1 Ki 8:11(2 Chr 5:14). For the terms which refer to the Temple itself convey the most basic information to understand the notion of the Temple, this article starts with the analysis of the terms describing the Temple in the Masoretic text of Ezra, in its Greek translation and in the other parallel text in Septuagint. Then I try to figure out whether notion of the rebuilt temple differs from the previous one. The terms are used in Masoretic text are basically בית and היכל and their Aramaic equivalents. And many times, they are accompanied with various words such as Lord(יהוה), God(אֱלֹהִים) of Israel), Jerusalem and so on. Like the Temple(בית) of Solomon, the rebuilt Temple is the House of God who have made covenant with Israel and Jerusalem is the place where God have chosen that His name may be there (2 Chr 6:6; Ez 6:12.). In the same sense, the Greek translation in Septuagint refers Jerusalem Temple mostly using οἶκος, the Greek equivalent of בית, for the Temple is considered as a dwelling place of God. There is no coherence of terminology in Greek Esdras. However, the book begins with the Passover feast which appears in 2 Chronicles 35 and mention the building of the Temple of Solomon. Thus, it underlines that the rebuilt Temple is, just like the previous one, place where the ark of covenant is located and is the place that God promised to be with people of Israel. The rebuilt Temple, which is a visible symbol of covenant between God and Israel, at same place in Jerusalem indicates the restoration of Israel under God’s protection. 이스라엘이 포로 생활에서 귀환한 후에 성전을 재건에 것에 대해 기록한 에스라서에는 광야에서 성막의 건립과 솔로몬의 성전의 완성 직후에 나타나는 ‘하나님의 영광(כְבוֹד־יְהוָה)이 가득했다’는 하나님의 임재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표현(출 40:34; 왕상 8:11(대하 5:14)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본 논문은 성전을 묘사하는 성경의 용어들 자체가 성전에 대한 이해를 돕는데 가장 기초적인 정보를 담고 있음에 기반해 에스라서의 마소라 본문과 칠십인경에 기록된 에스라서 그리스어 번역본, 그리고 칠십인경에 포함된 외경 에스드라 Ⅰ서의 평행 본문에서 성전을 묘사하는 용어들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서 이 본문들이 담고 있는 재건된 성전에 대한 이해가 과연 기존의 성전에 대한 개념과 같은 결을 가지고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마소라 본문은 히브리어 בית와 היכל 그리고 이에 상응하는 아람어 단어를 기본으로 여기에 여호와(יהוה), (이스라엘의) 하나님(אֱלֹהִים) 그리고 예루살렘을 덧붙인 용어들로 성전을 가리킨다. 솔로몬이 지은 성전(בית)과 마찬가지로 재건된 성전은 이스라엘과 언약하신 하나님의 집이며 예루살렘은 하나님의 이름이 거하는 곳(대하 6:6; 스 6:12)이다. 칠십인경에 에스라서의 그리스어 번역이 예루살렘의 성전을 가리키는 언어를 בית의 그리스어 상응어인 οἶκος로 일관되게 번역한 것도 성전을 하나님이 거주하는 공간으로 이해한 것에 기인했다고 본다. 외경 에스드라 1서에서는 이러한 언어의 통일성은 보이지 않지만, 책의 시작을 역대하 35장 요시아의 유월절 축제로부터 시작하며 솔로몬의 건축까지 함께 언급함으로 재건되는 성전도 하나님과 이스라엘 백성 간의 언약의 증거인 법궤를 중심으로 지어진 이전의 성전처럼 하나님이 이스라엘에 임재하시기로 한 약속을 보여주는 장소라는 것을 강조한다. 하나님과 이스라엘 간의 언약의 가시적인 상징인 성전이 예루살렘에 재건된 것은 곧 하나님의 보호아래서 이스라엘이 회복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 KCI등재

        영화에 나타난 그리스 신화의 신들의 의상 연구

        류수현(Soo Hyeon Rhew) 한국복식학회 2013 服飾 Vol.63 No.6

        This research is to analyze costumes of Greek Mythology Gods in films using Morris` semiotics. In film Clash of The Titans, Zeus` costume of shining gold armored body suit and long manteaux expressed the limitless sublime. The definite form contouring body shape of his costume also demonstrated classical beauty. Hades` costume of dark colored armor, long manteaux, and transformation via smoke also described the limitless sublime. The unbalanced and irregular shaped armor showed ugliness. In Percy Jackson & The Olympians: The Lightening Thief, the armor and long manteaux of Zeus showed the limitless sublime. The beauty of his body and his sophisticated business wear indicated classical beauty. These features were also present in Poseidon`s costume as well. The limitless sublime and ugliness are implied in Hades` look by portraying him as having a monster body with horns and wings, and his costume of punk look. In Immortals, gods of Olympus wore clothing that was reminiscent of Egyptian times, which represented a time of strong royal authority, in order to expose the limitless sublime. Classical beauty was shown in the beauty of their body. Titans` costumes and look of non-human being were composed of black and red to present ugliness. The inherent meanings of Gods` costumes are death of god, patriarchy, and the good triumphing over the evil. The Greek gods are not held in the same reverence in the contemporary society. However mythology inspires lots of visual creations. The results help to accumulate a creative design database for fashion.

      • KCI등재

        성서 번역본으로 이방에 열린 선교의 문:

        김신애(Shin Ae Kim) 한국선교신학회 2017 선교신학 Vol.46 No.-

        온 인류를 향하신 하나님의 구속사적인 계획은 그 분의 시간표 안에서 이방 선교의 문이 열리기를 기다리며 준비되고 있었다. 박창현이 지적한 것처럼 예수와 수로보니게 여인과의 만남 (마가복음 7:24-30)은 복음이 이방인들에게 열린 유대교적 종교개혁의 시작이었다. 디아스포라의 유대 공동체는 이방인들과의 긴밀한 접촉을 통해서 새로운 변화에 개방적이며 자유로운 사고 방식을 가졌으며 국제 공용어인 헬라어를 구사하였다. 한편 디아스포라 유대인들의 예배와 토라에 따른 생활양식을 접한 이방인들 가운데 이스라엘 민족의 역사와 삶 속에서 고백되어지는 하나님을 “경외하는 사람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무엇보다도 히브리 성서의 헬라어 번역본(칠십인역)으로 인해 이방인들에게도 성경을 읽을 수 있는 기회가 열리게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초기 기독교 선교에 미친 디아스포라 유대인들의 헬라어 성서 번역본의 역할과 영향, 그리고 한국 교회 선교역사에서 활약한 한글 성경 번역의 의미를 살펴볼 것이다. God’s plan for the salvation of all nations already had been ripening in His timetable through the Diaspora Jews’ contacts with Gentiles and Greek language. There were Gentiles who became “God fearer” by experiencing Jewish neighbors’ worship and lifestyles according to their Torah. The Jewish Hebrew Torah exposed to the Gentiles was the Greek translation of the Torah, the Septuagint.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show the influence of the Diaspora Jews’ Greek translation of the Torah, the Septuagint, on the mission for the Gentiles in the beginning of the early history of Christian mission. I will also point out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Bible in the early Korean Church.

      • KCI등재

        극장으로서의 지옥도: <신과 함께: 죄와 벌>에 나타난 특수효과 이미지 낯설게 하기

        박선,김금동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20 현대영화연구 Vol.16 No.3

        This study examines the special-effect images of Along with Gods (2017), focusing on their dramatic functions and the spectatorship that they elicit. Most existing literature on the film compares it with the original “webtoon” of the same title and the folkloric tales on which the original story is based. The studies devote themselves to interpret the moral and symbolic meanings underpinning the seven hells the movie portrays. This study attends to the rhetorical aspects of the film’s special-effect images in two respects. First, Along with Gods lays bare the devices of special-effect images, enabling the audiences to observe, not getting immersed in, the audio-visual spectacles. Second, the seven hells represent the architectural designs of Western theaters. This study notes that the hells are modeled after the drive-in theater, the hologram theater, the Octagon, and the Greek-style outdoor theater. These theatrical designs serve to show that genuine cinematic communication lies in catharsis, not in spectacles. 본 연구는 한국영화 <신과 함께: 죄와 벌>(김용화 감독, 2017)에 나타난 특수효과 이미지의 극적 기능과 잠재적 관객성을 고찰한다. <신과 함께>에 대한 국내 연구는 주로 동명의 웹툰원작과 그것이 기반으로 하는 한국 본풀이 신화와의 비교론적 관점에서 진행됐다. 그 결과 영화 속 일곱 개의 지옥도가 품은 도덕적, 상징적 의미를 풀이하는 데 집중되었다. 본 연구는 <신과 함께>를 디지털 특수효과의 수사학이라는 관점에서 다음과 같이 해석한다. 첫째, 해당 작품은 할리우드 블록버스터가 특화시킨 특수효과 이미지의 관습적 쓰임새를 반복하는 동시에 전복시켜 관객으로 하여금 블록버스터 영화의 이미지시스템을 관조하도록 만든다. 둘째, <신과 함께>가 제시하는 일곱 개의 지옥도는 서구의 공연문화가 발전시킨 극장의 건축양식을 반영한다. 본 연구는 각각의 지옥도에 드라이브인, 홀로그램, 격투장, 고대 그리스식 노천극장 등을 대입시켜 그 극적 기능을 해석한다. 지옥도의 극장형식은 영화의 진정한 소통이 스펙터클이 아닌 카타르시스에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