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Observation of behavior of the Ahlat Gravestones (TURKEY) at seismic risk and their recognition by QR code

        Ercan Işık,Barış Antep,Aydın Büyüksaraç,Mehmet Fatih Işık 국제구조공학회 2019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An Int'l Jou Vol.72 No.5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 and carrying it to the future are at the top of the significant topics of research and implementation in engineering in the 21st century. There are several historical structures in the district of Ahlat located in the east of Turkey on the Lake Van Basin that has harbored many civilizations. Some of such works are the gravestones that are found in the Ahlat Seljuk Cemetery, which is the oldest and largest cemetery in the district. This study firstly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Ahlat Seljuk Cemetery and the gravestones found in it. Observation-based structural analyses were carried out on these gravestones that are found in this area that are known to have belonged to different civilizations based on their physical and constructional characteristics. These stones were built out of Ahlat stone as single pieces. Information is provided on the damages that have occurred on the gravestones in time and their causes. In general, losses of mass, abrasions, separations, collapses and calcifications due to natural conditions, as well as vegetative formations, were observed in the gravestones. To provide an example of other gravestones within the context of the study, the gravestone that is known to belong to the person named Nureddin Ebu Hasan was selected. As a result of the modeling that was carried out for this gravestone by using the finite elements method, modal analyses were carried out. With these analyses, for the gravestone, period, effective mass participation rates and stress values were calculated. The stress values that were obtained in this study were compared to the material safety stress values that were obtained in previous studies. Additionally, QR code application was created for the gravestone that was selected as an example in the study, and information on this gravestone was transferred to an electronic environment. The QR code application includes different language options, visuals of the gravestone and information on the gravestone. The QR application was also supported with a video of the cemetery where the gravestone is located. With this application, access to information about gravestones will be possible by using tablets and smartphones. With a QR code to be created for each gravestone, these gravestones will obtain identity cards.

      • KCI등재

        하와이 빅아일랜드의 초기 한인 비석연구 -비석을 통해 본 이민자들의 생애사 복원-

        김주용 이주사학회 2020 Homo Migrans Vol.23 No.-

        The gravestones of the first-Generation Korean Immigrants in Hawaii are found as the most vivid and important historical records that give a glimpse of their life and death.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what messages the their gravestones tried to convey by analysing the gravestone inscriptions.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gravestones, which were mainly erected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in the Big Island of Hawaii. During the 10 days of the fieldwork conduced in July, 2019 at four different cemeteries, 155 gravestones were investigated. They include 136 gravestones from the Alae cemetery in Hilo, 10 in the old Holualoa Coffee Farm, 6 from the Kona Captain Cook area, and 3 from the Kona Kohala Baptist Church. While there are many studies focusing on the first-Generation Korean Immigrants in Hawaii depending on various forms historical documents and life histories, few studies have paid attention to examining their life and death stories based on the gravestones. The messages engraved on the gravestones informs us of the dead person’s birth to death dates, hometown, religion, occupation, age, family, love, longing for the motherland and so forth. This paper uses these data to explore their life trajectories by matching the data from other official records, including The list of the passengers of Korean ships to Hawaii, 1903-1905, the list of donations to one of the Korean independent activists called Ahn Jung-geun, and the list of passport issuance.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 gravestones as a form of historical records, they are still being damaged and disappearing. Special attention needs to be paid to the gravestones in order to preserve and examine the precious records left by the unknown independent movement fighters from Hawaii and at the same time, the pioneers Korean immigrants to the United States in the early 20th century. 하와이 초기 한인 이민자들의 비석은 그들의 삶과 죽음의 일생을 엿볼 수 있는 가장 선명하게 남아있는 중요한 자료이며, 이를 검토함으로써 과연 초기 이민자들은 비석을 통해 어떠한 메시지를 전달하려 했는지, 그리고 그들의 생애를 알아보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하와이 빅아일랜드로 이민 온 초기 한인들의 묘지에 있는 비석에 대해 간략하게 검토하였다. 빅아일랜드 힐로 Alae 공동묘지 136기, 코나 이민센터 Holualoa 커피농장 10기, 코나 캡틴쿡 6기, 코나 코할라 침례교회 3기 등 총 155기의 비석이 그 대상이었다. 하와이 한인 이민자의 비석을 조사하여 처음으로 비문을 검토하고 자료를 소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한인 이민자들의 비석은 그들의 마지막 기록이다. 비석에서 고향, 종교, 직업, 나이, 가족, 조국애, 그리움 등 그들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의 일생이 담겨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비석조사를 통해서 얻은 내용은 전혀 관련 없을 것 같았던, 하와이 한인 선박 명부와 안중근 의사 성금 명부, 여권발급신청 명부와 연결고리를 찾을 수 있었다. 이 연결고리를 통해 하와이 초기 한인 이민자들의 삶과 죽음을 미약하게나마 복원할 수 있었다는 것은 정말 다행스러운 일이다. 따라서 비석은 하와이 이민 역사와 생활사 연구의 중요한 기초 史料이다. 이처럼 중요한 한인 이민자들의 비석이 지금도 훼손되어 사라지고 있다. 무명의 독립운동가 하와이 초기 한인 이민자들이 남긴 소중한 기록이 사라지기 전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高句麗史에 있어서의 이주(migration)와 디아스포라(diaspora)

        정호섭(Jung Ho-Sub) 한국고대학회 2017 先史와 古代 Vol.- No.53

        석기혁명 이후 인간의 역사를 정주의 역사라는 틀 속에서만 설명하는 것은 자칫 이주의 역사도 인간의 역사에서 중요한 부분이라는 점을 간과하기 쉽다. 또한 이주사가 근대 이후의 시기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이주의 역사도 오래전부터 정주의 역사 그 반대편에 상당한 폭을 점유하고 있었다. 이는 고구려사회에서도 마찬가지였다. 고구려사 전체를 통해 볼 때 이주의 동기도 다양하였고 그들의 이주지에서의 삶도 각양각색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그들이 이주 민으로서 이주지에서 형성한 정체성이나 그들의 디아스포라 역시도 하나로 일반화할 수 있는 획일적인 것이 아니라 문화적으로 혼합되고 변형되는 다중적이고 복잡한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고구려사에서 이주와 디아스포라를 살펴보면 그것이 동아시아사 속에서 바라보았을 때 국적이나 종족의 의미보다는 그들이 살아간 삶 자체가 보다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이주가 매우 보편적인 것이었고, 종족이나 국적 문제가 그들의 삶 자체를 획일적으로 규정하였던 것은 분명 아니었다. 이주의 역사는 곧 동아시아에서 종족의 융합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의미있 는 것이며, 기본적으로 동아시아의 여러 국가가 다종족 국가였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주사를 통해 고구려 族源 문제나 歸屬 문제를 염두에 두고 논하는 것은 올바른 방향이 아니며, 이주민에 대해 정체성 문제에만 매몰되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이주는 고구려 당시 에도 보편적인 인간 삶의 또 다른 방식이었다. 동아시아 역사분쟁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세계화시대 역사를 바라보는 시각도 동아시아의 공존과 번영을 위해 민족이나 국가에 얽매인 편협한 시각이 아니라 이를 넘어서는 보다 확대된 시야를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한국 사회도 인구의 3% 정도가 다문화가족을 이루고 있는 다문화사회이다. 그동안 한국 사회 의 이주에 대한 대응은 다문화주의 정책을 앞세우며 이주자로 하여금 한국사회로의 맹목적 편입과 동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일방적인 정책과 대응으로는 이주와 이민이 내재하고 있는 복잡하고 다층적인 문제들을 풀어 나갈 수 없다. 이주민에 대한 고구려의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모습과 이주민을 잘 융화시킨 모습은 다문화 문제에 대응하는 좋은 모델로도 상정할 수 있다. 현재적 관점에서 다문화사회로서 성공적인 사회운영을 이루어갔던 고구려의 모습을 재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현시점에서 고구려 이주사를 바라보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Since the Neolithic revolution, emphasizing the impacts of settler’s lifestyle in the history of humankind often blurred the fact that migration has been a significant element. Migration is not an exclusive product of the modern world, but migration had also played the counterpart of the sedentary lives. Migration and lives of the migrants in ancient societies, and its understanding reveals that it was the major lifeway. After moving to another place, the migrants must have faced many problems including discrimination against them, and they had to deal with adaptation and assimilation issues, social and cultural conflicts between the locals and the migrants, formation of migrants group, cultural transformation of the migrants, multiple identities of the migrant groups. New location where the migrants had settled came as a new living environment, and in the meanwhile, it became the cultural space which can be extended to the memorial space with a sense of nostalgia for their homeland. Throughout the history of Goguryeo, there were numerous migrations. Adding up such groups either undocumented or lacking preserved archeological remains is even led to higher migration rates. Either voluntarily or involuntarily migrated population from both directions might also have been large. Goguryeo had embraced not only Chinese people, but also people from surrounding states such as Kitan, Turks, Mohe, Silla, Baekje, and Buyeo. Due to complicated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adjacent countries, Goguryeo was prone to embrace refugees and utilize their diverse cultural abilities for establishing harmoniously co-existing communities. The types of Chinese migrants to Goguryeo and pushing factors of their migration are shown varied. Their lives appeared to have had more privileged than those of Goguryeo migrants to China. The difference is presumed to be derived from the fact that Chinese refugees had strongly held the mindset of the mainland Chinese and culturally far more advanced. Adding to this, Goguryeo’s migration policies allowed the autonomous and half-independently administration schemes for migration groups. These factors contributed to establish a positive diaspora. In particular, we can assume that their diaspora was formed well because documents and archaeological evidence clearly illustrates the context of forming a powerful and distinctive group with same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aspects.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wide range of lives who migrated from China. In particular, it is hard to generalize the identities of Goguryeo people which appear very diverse. Some had led Goguryeo independent campaign and others who went to Silla, founded the country called Shindeokguk. Amongst Goguryeo defectors who went to china, the upper class was assimilated into the Chinese society, while maintaining their identity as refugees from Goguryeo, They had resided in the capital, were appointed as bureaucrats, married to Chinese, and even were buried in Mangshan mountain with their names inscribed in gravestones. Their lives were similar with bureaucrats ofTang Dynasty Chinese. The identity of Goguryeo refugee has been faded and its assimilation into Chinese society had been accelerated over generations. In particular, the absence of homeland and subsequent loss of the network to the previous homeland had accelerated their integration into Chinese society. In addition, the identity of Goguryeo people was sometimes featured as the enemy or the forced migrant from a demolished nation. Their fierce drive to be assimilated into the natives can be imagined.

      • 白頭山定界碑의 건립배경과 건립과정 : Research about erecting background and the process of the border gravestone of Baek Du Mt.

        김택중 서울여자대학교 2010 인문논총 Vol.20 No.-

        This paper researched about erecting background and the process of the border gravestone of Baek Du Mt. between Korea and China in the early 18th century. There are two elements to background of erecting border gravestone of Baek Du Mountain. One, the Qing dynasty seriously considered Baek Du Mn. that Manchu race regard to Baek Du Mt. in the cradle of the themselves. The second, a Korean immigrated toward China and the collision occurred with Chinese. In order to erect the border gravestone of Baek Du Mt. between Korea and China advanced the negotiation which is diplomatic. The Qing dynasty led all things but actually about erecting process of the border gravestone of Baek Du Mountain. Qing dynasty refused to erect the border gravestone of Baek Du Mt. site participation of the Bak Kon who represents a Lee dynasty specially. According to it Bak Kon did not participate to erect the border gravestone of Baek Du Mountain. This could not the Korean-Chinese both nations all well. Also the border gravestone of Baek Du Mountain clearly did not reveal about the origin of Du Man River and location of To Mun River. Like this the border gravestone of Baek Du Mt. resultantly was not clear. And because of this, in the future the border gravestone of Baek Du Mt. rather became the cause of the border conflict between Korea and China. 한중양국의 북방국경선은 오랜 세월 동북아시아 국가의 복잡한 흥망성쇠와 함께 분명한 상태는 아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중양국의 북방국경선이 대략적으로 현재의 국경선으로 확정된 것은 조선 초 세종시대이다. 세종시대 조선정부는 평안도 북부지역을 개척하여 여연, 자성, 우예, 무창 등 4군을 설치하고, 함경도 북부지역에 부령, 온성, 경흥, 경원, 회령, 종성 등 6진을 설치하여 행정지배 체제를 확립하였다. 이로부터 한국과 중국의 국경은 대체적으로 압록강과 두만강을 있는 선으로 결정되었다. 그리고 이 시기에 결정된 국경은 16세기 중엽까지 대체로 변동 없이 유지되었다. 또한 양국 사이에 특별한 영토분쟁이나 국경분쟁도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16세기 말 북방의 건주여진족이 부상하면국의 북방국경선에 변화가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건주여진족은 후금을 건립하고 만주일대의 패권을 차지한 후 그 여세를 몰아 1627 년(정묘), 1636년(병자) 두 차례에 걸쳐 조선을 침공한 후 정식으로 조선과 청나라 간의 조약을 체결하여 각자 자신의 국경을 지킬것으 체결하였다.

      • KCI등재

        ‘잊혀진’ 또는 ‘읽을 수 없는(unreadable)’ 기록 속의 여성들: 빅 아일랜드(Big Island) 한인 1세의 묘비와 삶의 궤적

        문경희 이주사학회 2020 Homo Migrans Vol.23 No.-

        This paper examines the gravestone inscriptions of the first-generation Korean immigrants who lived and died on the Big Island, officially called Island of Hawai’i. They are located at the Alae cemetery in Hilo, the Holualoa cemetery in Kona, the Kalahiki cemetery in Captain Cook, and the Kohala cemetery in Kapaau on the Island. Among the total 155 gravestones, this study focuses on the 12 gravestone inscriptions for women and also 14 men who are found to have official records related to their female family members, mainly including their wives called ‘picture brides’. The official records used in this study in line with the inscriptions are from the list of Korean passengers arriving at Honolulu, 1903-1905 and the “passport list” issued at the Japanese Consulate General of Honolulu, 1910-1924. One gravestone is also analyzed intensively in this study informing of some Koreans who joined the Anglican Church from 1904. There are many studies focusing on the first-generation Korean immigrants in Hawaii. The majority of the studies are based on the voices and experiences of the immigrants in Honolulu, Ohau while those who migrated to the neighbor islands such as the Big Island are often taken for granted. Moreover, because men accounted for the majority of the first-generation Korean migrants in Hawaii, most of the studies are based on men’s stories including their immigration backgrounds, arrivals, work and life experiences, and also their participation in a religious community and homeland’s independent movement. Differently from most existing literature, this paper pays special attention to the first-generation women’s life trajectory by analyzing their gravestone inscriptions as well as the men who are connected to them by applying for their visa to Hawaii.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tudy of overseas Koreans in that it focuses on the stories of minority immigrants who are likely to be often marginalized due to the lack of their immigration data and social power. 이 연구는 빅 아일랜드로 불리는 하와이 섬에서 살다가 생을 마감한 한인 1세의 비문에 토대를 둔 것이다. 힐로시에 위치한 알라에 묘지와 코나 및 인근 지역의 옛 사탕수수농장 터에서 발견된 한인 묘지 네 군데에서 발견된 비석의 비문이 그것이다. 총 163기 중에 여성의 것 12기와 여성인지 명확하지는 않지만 특정 여성에 관한 문구가 적힌 비석 1기가 연구의 주요 대상이다. 또한 비문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사진신부와 결혼한 것으로 추정되는 남성의 비문과 선박부, 여권 기록 등을 파악하였다. 파악된 기록을 이해하기 위해 하와이 한인 1세의 출신 배경과 이민, 정착, 결혼과 생활, 종교 등과 관련된 정보를 함께 기술하였다. 국내외를 막론하고 하와이 한인 1세에 관한 연구가 주로 호놀룰루가 위치한 오아후 중심으로 전개된 측면이 있다. 또한 초창기 한인 연구는 1903-1905년에 하와이에 도착한 한인을 기록한 선박부와 감리교 교인명단, 독립운동 등이 중심이었다는 점에서 주로 남성을 중심으로 한 연구였다. 하지만 이 연구는 한인 여성의 비문과 여성의 정보를 담고 있는 남성의 비문 및 여타 기록을 중심으로 그들의 삶과 죽음의 궤적을 파악하고자 시도했다는 점에서 다른 하와이 한인 연구와 차별성을 가진다. 또한 이민 연구에서 자료의 부재 때문에, 또는 사회적 주요 관심사에서 벗어났기 때문에 소외되기 쉬운 소수 이민자의 이야기에 주목한다는 점에서 이 연구가 해외한인 연구에 기여하길 기대한다.

      • KCI등재

        高麗 中期 三敎調和論者 尹彦旼에 對한 一考察

        魯平奎(Lo Pyoung Gyu) 한국동양철학회 2016 동양철학 Vol.0 No.46

        최자의 시화집인 『보한집』에 윤언이의 臨終偈에 관한 얘기가 들어있다. 1998년 李鍾文은 이 윤언이 시화 중 이 게를 포함한 몇몇 부분은 분명히 윤언이가 아닌 윤언민과 관계된 것으로 잘못 기술되었음을 밝혔다. 본고는 먼저 『보한집』의 윤언이 시화와 「윤언민묘지명」을 비교 분석하여 이 시화의 일정부분만이 아닌 전체가 윤언이가 아닌 윤언민과 관련된 것임을 밝혔다. 다만 최자의 이 시화는 이미 이전에 와전 내지 왜곡된 설화에 근거한 것이기에 이 시화를 그러한 原說話의 일부로 인식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이 과정을 통해 수정된 『보한집』의 윤언이 시화와 「윤언민묘지명」을 바탕으로 윤언민의 유학, 도교, 불교와 관련된 행적들을 나누어 살펴본 뒤 삼교조화로 귀일되는 점을 밝혔다. 또한 그의 삼교조화 사상은 특별히 당시 왕실의 삼교조화에 영향 받은 바가 있었다는 점을 덧붙였다. 이제 『보한집』의 윤언이 시화는 전체가 윤언민이 윤언이로 잘못 전해진 것이 밝혀진 이상, 윤언이는 儒名墨行이라는 비판에서 벗어나 海東孔子로서의 본 모습을 찾아 마땅할 것이다. 그러나 그보다 먼저 그로 인해 한국사상사 속에서 완전히 잊혔던 삼교조화론자 윤언민의 재조명이 시급하다고 여겨지는바, 윤언민이 제자리를 찾으면 윤언이의 명예회복은 저절로 이루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Bohanjib』 is the book of the poetical talks by Choija(崔滋). The poetical talk of YunEonYi(尹彦頤) s buddhist chant is in this book. In 1998, Yijongmun(李鍾文) made known that some parts of the poetical talk including the buddhist chant were related to YunEonmin, YunEonYi s younger brother in fact. At first, in this paper, comparring all the contents of the poetical talk with YunEonmin s gravestone epitaph and analyzing them are tried in this paper. And it is asserted that all the contents of the poetical talk are related to YunEonmin. To the next, with corrected 『Bohanjib』 and YunEonmin s gravestone epitaph, it is examined what YunEonmin s behaviors concerning Three religions are. And it is proven that YunEonmin was a scholar who excellently practiced the reconciliation of Three religions. For it is revealed the fact that YunEonMin was completely mistaken for YunEonYi in the poetical talk of YunEonYi s buddhist chant, YunEonYi should be taken off the slur, and retrieved his honor that he was called as a Confucius in Korea in the contemporary period like Choichung(崔沖). It is more urgent that YunEonMin s presence as a scholar who insisted the reconciliation of Three religions should be highlighted, for he had been deleted in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s. If YunEonMin revives, the distorted image of YunEonYi will be disappeared by itself.

      • KCI등재

        『金石集帖』의 여성 묘주 탁본 연구

        박영민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2 民族文化硏究 Vol.96 No.-

        This paper explores rubbings related to female graves from The Album of Inscriptions (金石集帖, Geumseokjipcheop) housed at Kyoto University Library, shedding light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gravestones and epigraphs. This paper also aims at analyzing the way female lives and death were dealt with in Chosŏn Korea. The questions this paper raises is to be answered in the following order. First, this paper examines what the aspects of left (左, Zuo) engraved on the husband's tombstone are like. The tombstone building practice is accompanied by the funeral ceremony, and especially in women's funerals, the significance of ‘Fuzuo (祔左),’ meaning female is buried on the left side based on the husband's grave, and woman obeys her husband even after death, is emphasized. Even during Chosŏn dynasty, however, there were anomalies due to the location of the husband's tomb and geomancy, including suffering from an early death without children. which case woman was returned to her parents who tried to set up a gravestone, and show their daughter’s life objectively regardless childbirth or parenting. This phenomenon is also seen in the family of Sarim in the early Chosŏn Dynasty. Next, it is revealed what kind of woman's monument was erected. Building a monument is a costly, labor-intensive task. Nevertheless, not all female owners of the gravestones are not the wife or mother of a bureaucrat who served as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or a good mother who had children and raised them well. These tombstones indicates that there was a perception that everyone’s life should be remembered during the Chosŏn dynasty. And the format of the female gravestones is elucidated; this style does not change much depending on whether the owners of gravestones are male or female. Nonetheless, a unique form was created such as planning and building a common tombstone for couples. This paper aims to deepen comprehension of the life and death of women, and the attitude of women toward life and death in the Chosŏn Korea. However, since it was not easy to set up a gravestone, understanding of women's lives and deaths through the monument is probably limited to upper-class women. 본 연구는 일본 교토대학 부속도서관(이하 교토대학) 소장 『金石集帖』에 수록된 女性墓主 拓本을 분석하여 여성묘주 碑石과 碑文의 특징을 밝히고, 이를 통해 조선시대가 여성의 삶과 죽음을 대하는 태도를 보다 깊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다음 순서로 진행되었다. 먼저, 남편의 비석에 새겨진 “祔左”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비석은 장례문화에 수반되는 행위인데 여성의 장례에서는 “祔左의 禮”를 중시하였다. “부좌”는 남편의 무덤을 기준으로 그 왼쪽에 묻혔다는 뜻으로 여성이 죽음 이후에도 남편을 따른다는 從葬을 의미한다. 그런데 조선시대에도 “부좌의 예”를 행하지 않은 여성들이 있었다. 남편의 무덤의 위치가 부좌를 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고, 풍수적인 이유 등으로 부좌를 하지 못한 여성들이 있었다. 그 이외에는 자식이 없이 일찍 죽은 여성들이 부좌를 하지 못하고 친정 묘역으로 돌아갔다. 친정에서는 자식이 없이 요절한 딸의 일생을 출산, 양육, 출가외인 등의 관념으로 재단하지 않고 비석을 세워 드러내고 알리고자 하였다. 조선전기 사림 집안에서도 볼 수 있는 일이었다. 동시에 남편이나 시댁 관련 정보를 비문에 새겨 딸 혹은 누이가 시댁이나 남편과의 갈등이나 불화로 인해 부좌를 하지 못하였다는 오해를 警戒하고자 하였다. 다음, 조선시대는 어떤 여성의 비석을 세웠던가를 밝혔다. 비석을 세우는 일은 비용과 인력과 공력이 드는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석의 여성묘주가 반드시 높은 관직을 역임한 관료의 아내나 어머니, 자식을 낳아 잘 기른 훌륭한 어머니는 아니었다. 이러한 여성묘주의 비석은 조선시대에 누구의 삶도 기억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다음, 여성묘주 碑文의 형식을 분석하였다. 묘도문자의 형식은 묘주가 남성인가 여성인가에 따라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성묘주의 비문이라는 점에서 독특한 형식이 생성되었다. 撰者는 부부 공동의 비석을 기획하였고, 공동 撰者의 비석이 세워졌으며, 비석이라는 공간에서 부모와 나와 나의 자녀가 함께 존재하는 애틋하고 정겨운 가족의 모습을 만들어내기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조선시대의 여성의 삶과 죽음, 조선시대가 여성의 삶과 죽음을 대하는 태도, 조선시대의 여성의 존재 양상에 대한 이해를 보다 깊게 하고자 하였다. 단 비석이 세우는 일이 쉬운 일이 아니었기에 비석을 통해 여성의 삶과 죽음을 이해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층 여성에 대한 이해로 제한될 한계가 있다.

      • 中國 소재 韓國古代史 관련 金石文 資料의 現況과 展望

        拜根興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2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

        우선 중국에서 지난 왕조에서 수집한 금석문 연구자료들의 상태를 재고하였다. 그리고 한국고대사와 관련하여 중국에 있는 금석문에 관한 연구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을 재시하였다. 특히 이러한 금석문은 한국과 중국간의 관계와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학술적으로 명확하게 규명ㆍ논의되지 않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중요한 문제들에 대한 개인적인 견해와, 마지막으로 앞으로의 금석문에 관한 연구전망을 제시하였다. Firstly, the status of research collections on the epigraply of past dynasties in China is reviewed. Then, personal opinion on the state-of-the-art of study on gravestone epitaphs in the chinese cisborder, which are related to Korea ancient history, is presented, Especially, these gravestone epitaphs associated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China, which are not yet cleared up in academia, are categorized and discussed. Personal viewpoint on these important ones is proposed. At last, perspective of future eccavation and study on such gravestone epitaphs is presented.

      • KCI등재

        南冥先生神道碑 踣碑事件에 관한 소고-사건과 관련된 通文을 중심으로-

        김익재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3 남명학연구 Vol.40 No.-

        Duk-san gravestone namely Nam-myoung’s cenotaph[南冥先生神道碑] by Mi-soo, Huh-Mock[眉叟 許穆] was established in 1585, but damaged and destroyed by The Cho’s in Duk-san[德山 曺氏 門中], descendant of Nam-myoung, Cho-sik[南冥 曺植] in 1926. Because of this incident, a lawsuit was filed between The local school annexed to the confucian shrine of Chin-ju[晉州 鄕校] and The Cho’s in Duk-san[德山 曺氏 門中]. The local school annexed to the confucian shrine of Chin-ju[晉州 鄕校] argued that it was obviously wrong to eliminate the work of Mi-soo, Huh-Mock[眉叟 許穆] and harm cenotaph[南冥先生神道碑] of ancestor, so The Cho’s in Duk-san should restore the memorial stone and apologize to The confucian scholars of the district. On the other hand, The Cho’s insisted that they could not sit back and watch the situation anymore, since the contents of epitaph written by Mi-soo, Huh-Mock contained insults of Mi-soo who was their ancestor and also revered by everybody. However, we do not need to consider it malicious, if we examine it grammatically. Nevertheless, The Cho’s in Duk-san concluded that the contents was ill-intentioned, because Mi-soo was disparaging Mi-soo in 「Dap-hak-ja(答學者)」 of 『Ki-un(記言)』. This article is written in order to clarify the viewpoint of The Cho's in Duk-san in this incident over Nam-myoung’s cenotaph. 眉叟 許穆이 지은 德山碑 즉 南冥先生神道碑는 1585년에 세워졌는데, 1926년에 南冥 曺植의 후손인 德山 曺氏 門中에 의해 훼손되어 없어지고 말았다. 이 사건으로 인해 晉州 鄕校와 德山 曺氏 門中 사이에 법적 소송이 벌어졌다. 진주 향교는, 미수 허목의 글을 없앴다는 이유와 조상의 신도비를 훼손한 것은 명백한 잘못이므로, 비석을 원상복귀하고 도내 유림에게 사죄하라고 주장하였다. 반면에 덕산 조씨 문중은, 미수 허목이 지은 비문의 내용에 자기들의 조상이자 만인이 추앙하는 남명 선생을 비하하는 내용이 들어있기 때문에 더 이상 두고 볼 수가 없었기 때문이라는 주장을 폈다. 하지만 실상 문법적으로 본다면, 비문의 내용을 굳이 악의적으로 보아야 할 이유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문의 내용이 악의적인 의도에서 지어진 것이라고 덕산 조씨 문중에서 단정하는 이유는 바로 『記言』에 실린 「答學者」에서 미수가 남명을 폄하하고 있다는 뜻을 드러냈기 때문이라고 보아야 한다. 본고는 남명선생신도비를 둘러싸고 벌어진 사건에 대해 덕산 조씨 문중이 어떤 시각으로 임하고 있는가를 구체적으로 밝히려는 목적으로 작성된 글이다.

      • KCI등재

        외국인 묘지 기념물의 디테일 특성 - 양화진 외국인 묘지공원을 사례로 -

        이상석 한국조경학회 2004 韓國造景學會誌 Vol.31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monuments in the Seoul Foreigners′ cemetery at Yanghwajin, a place where many prominent Christian missionaries and other Christians have been buried near Choltusan. I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gravestone details, the researcher has divided the details into 4 analysis categories: forms, symbols, epitaphs, and materials. For this research, 281 monuments were selected including 68 of missionaries, 26 of U. S. Army Soldiers, and 13 of teacher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ere 26 types of monuments. This includes simple and standardized types like the tablet, headstone, marker, and monolith. These were used more often than other shaped types such as the Cross, obelisk, sculpture, etc. Standardized types made in Korea have been preferred after the 1950s even though the beauty of the gravestones has been degraded. Symbolical decorations related to religious, social, professional or military emblems were also introduced to strengthen their symbolical objectives. Among them, fie Cross was the most predominant Christian symbol and emblem. The families wanted to inscribe epitaphs, the greater part of which originated from the Bible, poems, idioms related to tribute, rest, supplications to deity, love, achievement, to express human sentiment and religious faith. When using materials for making monuments, monument makers have mostly used stone because of its durability. Until the 1950s, various stones had been used to make monuments, for most marble and granite were brought from foreign countries. These were very different from the Korean white marble stone used for many monuments. After the 1950s, the source of stone has been limited to Korean stone, for Korean could make stone monuments that foreigners were agreeable. Especially, a black marble stone called "O-Suk" which means black stone, has been used as a main material. The study identifi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monument details in the Seoul foreigners′ cemetery at Yanghwajin. First, Christianity has been applied as the main concept, while symbolizing the homogeneity of religious, family, social, professional or military groups by having the symbolic form, symbol, and epitaph in common. Second, monuments made after the 1950s have been standardized into unattractive and monotonous forms by the limited materials, and so the beauty of the monuments has been degra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