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oogle Earth Mash-up 등고선 지도를 활용한 지형단원 수업의 효과 분석

        최진호,백민호,범용관,엄정섭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1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9 No.2

        Contour lines are widely adopted as representation of terrain relief in traditional landform class. Yet, contour maps are difficult to comprehend for most students due to their abstract nature. It is hypothesized that the Google Earth could help students overcome these difficulties. This study was done by the following steps. First, four different types of landform were selected from high school textbooks: mountainous (highly elevated plateau, erosional basin), fluvial (terrace and incised meander), coastal terrace, parasitic volcano. Second, contour maps were uploaded into Google Earth using web-based mash-up services. Finally, the effectiveness of those materials is analysed through the four experimental classes at high school located in Kyunggi Province. In particular, integration among satellite data and digital maps takes advantage of each component, and enables the landform structures to be visualized, interacted with and deployed all on the Web. Google Earth based class ultimately brought out tremendous improvement on student? score and comprehension level. The classes using Google Earth can overcome the limitation that it is hard to take field trips and will draw the learners?interest in the geography class. 지리교과의 지형단원 수업에서 주로 사용되는 등고선 지도가 대상 지형을 평면 지도로 표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왜곡현상과 기호화로 인해 학생들이 이를 인지하고 개념화하는데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하고자 Google Earth 영상과 등고선을 중첩하여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침식분지, 고위평탄면, 하안단구, 감입곡류하천, 해안단구를 주제로 하여 Google Earth 매쉬업 지도를 제작하였으며, 수업의 효과와 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해 경기도 소재 고등학교 학생 4개반을 실험반과 비교반으로 설정하여 실험수업 후 성취도 평가와 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업 효과에 대한 긍정적 반응과 더불어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와 이해도가 증진된 것으로 분석되어 Google Earth와 등고선 매쉬업을 활용할 경우 지형단원 수업의 질을 크게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1:1000 수치지도와 연계된 Google Earth 영상 지도

        엄정섭(Jung-Sup Um)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8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1 No.-

        본 논문에서는 Google Earth와 1:1000 수치지도를 연계한 영상지도를 활용하여 대학 캠퍼스의 투수면을 감시할 수 있는 개념을 제안하고자 한다. 캠퍼스에서 건물, 도로 등 불투수면의 증가로 인한 자연경관의 훼손 등 각종 현안에 대한 해결책을 강구하는 데 있어 대상지역의 공간적인 특성과 자연환경에 대한 거시적인 평가와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Google Earth 영상과 수치지도를 결합함으로서 거시적인 차원에서 캠퍼스의 투수경관을 감시할 수 있는 영상지도가 제작되었다. 61cm 공간해상도의 Google Earth 영상은 화단, 침엽수, 활엽수, 잔디 등 세부적인 투수면의 유형을 보여주었으며 수치지도는 도로, 건물, 주차장 등 캠퍼스 전체의 불투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 캠퍼스에서 투수면을 감시하기 위해 Google Earth 영상지도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is primarily intended to propose a new concept for image map of pervious coverage using Google Earth and 1:1000 scale digital map. Solutions of many landscape problems depend on area-wide assessment and interpretation of spati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ver the study area. An operational, user-friendly image map system has been produced by combining Google Earth with digital map. In particular, integration among satellite data and digital maps takes advantage of each component, and enables the pervious landscape structure to be visualized, interacted with and deployed simultaneously. The 61cm resolution of Quickbird data realistically identified the major type of pervious surface by large scale spatial precision while the digital map revealed successfully the area-wide impervious parameters such as road, building and parking lots in the study area. It is anticipated that this research output could be used as a valuable reference to confirm the potential of Google Earth image map in monitoring the pervious coverage in university campus.

      • KCI등재

        Google Earth를 이용한 비행정보 시각화 시스템의 구현

        박명철(Myeong-Chul Park),허화라(Hwa-Ra Hur)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0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5 No.10

        본 논문은 항공기의 비행정보를 효과적으로 시각화하기 위하여 Google Earth를 이용한 시스템 구현에 대해 기술한다. 이 시스템은 Google Earth 에서 제공하는 상세한 위성 영상 정보를 이용하기 위하여 COM API 를 이용하였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항공기의 다양한 장치에서 얻어진 비행정보를 OpenGL을 이용하여 각종 계기판에 표시하고 실제 비행모습을 가시화하기 위하여 Google Earth Map에 연동하여 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비행평가 및 개선에 이용될 수 있고 향후, 비행소프트웨어 개발에 적용될 수 있다. This paper presents implementation of a system for effective visualizing flight information of aircraft using Google Earth. This system in order to use a detailed satellite image which provide from Google Earth used COM API. This system appeared the various flight information of the aircraft in the instrument panel using OpenGL and the aircraft flight condition is visible in the Google Earth Map. This research result used to flight evaluation and improvement. In future will be able to apply to flight software development.

      • KCI등재

        예비교사들이 경험한 구글어스 활용 지리수업의 특징과 유용성

        함경림 ( Kyungrim Har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1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들이 경험하는 구글어스 활용 지리수업의 특징과 유용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지리교육에서 테크놀로지의 중요성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교사들의 실천적인 테크놀로지 활용 역량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글어스 기반의 지리수업 설계 과제와 반성적 경험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으며, 예비교사들의 수행 과정을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 개념적 틀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업 프로그램을 통해 예비교사들은 구글어스, 지리 내용, 그리고 교수법을 의미있는 방식으로 통합하였다. 구체적으로 예비교사들은 줌, 매핑, 스트리트뷰 기능을 활용해 지구적 수준의 개념(예, 경로)과 지역적 수준의 현상(예, 종교)을 연결하였으며, 구글어스의 차원과 파노라마 기능을 활용해 눈으로 직접 경험하기 힘든 큰 규모의 지형과 도시구조의 특징을 실제로 관찰하게 하는 수업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논쟁적 이슈의 경우, 구글어스의 자료를 근거로 하는 문제해결이나 역할극 수업을 설계하였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예비교사들은 구글어스가 학생들의 지리개념 이해를 촉진하고, 지리적 기능과 공간적 사고의 발달을 지원하고, 지리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높이는데 유용한 도구임을 인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usefulness of geography lessons using Google Earth experienced by pre-service teachers. A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Google Earth-based lesson design assignments and reflective experience was designed and applied.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e technological pedagogical, and content knowledge (TPACK) was used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pre-service teachers qualitatively. Results indicate that instructional scaffold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tegrating Google Earth in pedagogically meaningful ways, depending on geography contents. Specifically, pre-service teachers used the zoom and mapping function of Google Earth to connect concepts at the global level (e.g. path) and phenomena at the local level (e.g. religion). Using the panorama and dimension function, geography lessons was designed to actually observe the features of large-scale topography and urban structures that are difficult to experience with the eyes. In the case of controversial issues, they designed problem solving or role-play lessons based on Google Earth data. And pre-service teachers have experienced that Google Earth is a useful tool to support students' development of geographic concepts, skills and spatial thinking, and to enhance their teaching expertise.

      • KCI등재

        연구논문 : Google Earth를 활용한 포항 송도해수욕장의 해안선 변화 감시(2003-2010)

        최진호 ( Jin Ho Choi ),엄정섭 ( Jung Sup Um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1 환경영향평가 Vol.20 No.3

        This paper examines the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in the shoreline boundary caused by artificial structures in Songdo Beach of South Korea. Quickbird Images of 2003, 2005, 2007, and 2010 extracted from Google Earth were used to identify changing trends of shoreline boundary. The most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area where groins were extensively established, inducing the sand beach much narrower than before in almost 75% of the area(15070.72m2 in 2003 to 3877.46m2 in 2010). The Google Earth made it possible to identify area-wide patterns of shoreline change subject to many different type of artificial structures, which cannot be acquired by traditional field sampling. Groin heights, lengths and profiles can be modified during maintenance operations if the Google Earth monitoring indicates that the initial layout is not operating properly as a physical barrier to control sediment transport. It is anticipated that this research could be used as a valuable reference to confirm the outputs from past field researches for coastal processes to respond to storms in more visual and quantitative manner.

      • KCI등재

        구글어스 기반의 지리교육 사이트 설계 및 구현

        이선주,강영옥 대한공간정보학회 2010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geographic education by implementing the map-based geographic education site which mashed up with Google earth by referring the various materials of geographic education which exist in on-line and off-line. In recent years map-based geographic education is required by the radical change of geoweb environments, but there have been few researches in this field. This research is folded up as follows: First, we designed the contents through the textbook analysis and then collect various data related to the contents such as pictures, video clips, conceptual map, etc. which are required to explain the concept. Second, we mashed up the collected data on the Google earth by using the Google's open API. Third, we implemented the geographic education website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contents in textbook and the various collected data. This research is important in both that it explores the possibility of the map-based education rather than the text-based education in the geographic field which handles mainly the space and finds the best method to express the various concepts of the textbook on the geoweb environm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공간에 다양하게 존재하는 지리 관련 학습 자료를 지도를 기반으로 매쉬업한 지리교육사이트를 구현해 봄으로써 지도를 기반으로 한 지리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최근 지오웹환경의 급격한 변화는 지리교육에 있어서도 지도에 기반한 다양한 변화가능성을 제안하고 있지만, 지리교육분야에서 그와 관련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첫째, 교과서 분석을 통하여 콘텐츠를 설계하고, 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 영상, 개념도 등 다양한 관련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둘째, 수집된 자료를 구글의 오픈 API를 활용하여 지도기반으로 매쉬업하였으며, 셋째, 교과서 분석에 따른 내용분류와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지리교육사이트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는 공간을 다루는 지리교육에서 텍스트위주가 아닌 지도기반으로 교육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고, 지오웹환경에서 교과서의 다양한 개념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구글어스를 이용한 독일지역학 강의 -독일지역학 강의에서 구글어스의 구체적 활용가능성에 관하여

        이군호 ( Koon Ho Lee )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14 독일언어문학 Vol.0 No.66

        Seit 2005 gibt es das internetbasierte Programm Google-Earth. Dies gibt uns erstmals die Moglichkeit online nicht nur Ausschnitte der Erde zu betrachten, sondern vergleichend, fast luckenlos, die gesamte Erdoberflache jeweils in selbstgewahlten und veranderbaren Mabstaben in den Blickwinkel des Betrachters zu rucken. Durch verschiedene Navigationsvarianten und die Moglichkeit unterschiedliche Informationsebenen bewusst ein-und auszublenden zu kombinieren, eroffnen sich fur den Unterricht in Geographie eine Vielzahl neuer Dimensionen. Die vorliegende Arbeit geht aber davon aus, dass Google-Earth nicht nur in Geographie, sondern auch in deutscher Landeskunde von grober Bedeutung sein und eine entscheidende Rolle spielen kann. Sie befasst sich mit der Fragestellung, wie Google-Earth zu einem kompetenzorientierten Landeskunde Unterricht konkret beitragen kann. Sie enthalt eine kurze Funktionsubersicht, Unterrichtsvorschlage bzw. Anwendungsbeispiele und eine kleine Menge Arbeitsauftrage far die Studenten. Google-Earth prasentiert sich schließlich nicht nur auberhalb, sondern auch innerhalb der Universitat, als nutzlich und flexibel.

      • KCI등재

        도로 토목 공사 현장에서 UAV를 활용한 위성 영상 지도의 정확도 분석

        신승민 ( Seung-min Shin ),반창우 ( Chang-woo Ban ) 한국산업융합학회 2021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Vol.24 No.6

        Google provides mapping services using satellite imagery, this is widely used for the study. Since about 20 years ago, research and business using drones have been expanding. Pix4D is widely used to create 3D information models using drones. This study compared the distance error by comparing the result of the road construction site with the DSM data of Google Earth and Pix4 D. Through this, we tried to understand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 of distance measurement in Google Earth. A DTM result of 3.08 cm/pixel was obtained as a result of matching with 49666 key points for each image. The length and altitude of Pix4D and Google Earth were measured and compared using the obtained PCD. As a result, the average error of the distance based on the data of Pix4D was measured to be 0.68 m, confirming that the error was relatively small.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altitude of Google Earth and Pix4D and comparing them, it was confirmed that the maximum error was 83.214m, which was measured using satellite images, but the error was quite large and there was inaccuracy.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difficulties in analyzing and acquiring data at road construction sites using Google Earth, and the result was obtained that point cloud data using drones is necessary.

      • 구글 어스를 활용한 항전통합실험실 비행 모델 구축에 관한 연구

        최원우,권재정,김태현,허성재 한국항공우주학회 2013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3 No.11

        본 논문에서는 구글 어스(Google Earth)를 활용한 항공전자통합실험실 비행모델 개발에 대해 기술하였다. 일반적으로 항공전자 통합실험실에서 비행 모델이 활용되는 가장 큰 이유는 실제 비행을 통해서만 획득할 수 있는 항공기 자세, 속도, 고도, 위치 등의 비행 정보를 동적 시뮬레이션을 통해 모의함으로써 실제와 유사한 비행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함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구글 어스를 비행모델내 외부비행환경(OTW) 소스로 적용할 경우, 실제와 동일한 위성지형정보가 시현되기 때문에 디지털 무빙 맵 검증이나 비행 궤적 생성, 비행 시험 결과 분석, 비행시험 전 브리핑 툴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자체 비행 모델(6DOF)을 구글 어스와 연동함으로써 양방향 비행 데이터 모의 환경을 시스템 엔지니어에게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report experimental studies of developing flight Model in Avionics System Integration Laboratory using the technology of Google Earth. Generally,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using flight model in SIL is to simulate flight data such as aircraft attitude, airspeed, altitude, position instead of real flight. If proposed flight model based on Google earth which provides satellite imagery were applied in OTW source, it can be utilized in various parts such as certification for DMAP, generation for flight path and analysis for flight result, tool for pre-flight briefing. Also, it can be provides handshaking environment for flight simulation to system engineer by connecting with internal 6DOF flight model.

      • KCI등재

        COLLADA와 KML을 이용한 3차원 지질 모델링 자료의 구글어스상 가시화

        최요순,엄정기,박명호 한국자원공학회 2012 한국자원공학회지 Vol.49 No.4

        본 논문에서는 3차원 응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개방 표준 XML 스키마인 COLLAborative Design Activity(COLLADA)와 XML 기반의 스크립팅 언어인 Keyhole Markup Language(KML)을 이용하여 3차원 지질 모델링 자료를 구글어스를 통해 가시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시추공 로깅 자료, 지질 단면도, 3차원 볼륨 자료, 3차원 격자 자료와 같은 다양한 3차원 지질 모델들을 삼각망 형태로 표현하고, 물리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COLLADA 파일이 사용되었다. 또한, COLLADA 파일에 저장된 3차원 지질 모델링 자료들을 구글어스로 불러올 수 있도록 KML 코드를 작성하였다. 캐나다 그로스몬트 탄산염암 저류층 일부지역에 대한 사례연구 결과, COLLADA 파일과 KML 코드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3차원 지질 모델링 자료를 구글어스를 통해 효과적으로 가시화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to visualize 3D geological models on Google Earth using COLLAborative Design Activity(COLLADA, an open standard XML schema for establishing interactive 3D applications) and Keyhole Markup Language(KML, the XML-based scripting language of Google Earth). COLLADA was used to represent different 3D geological models such as borehole, fence section, surface-based 3D volume and 3D grid by triangle meshes(a set of triangles connected by their common edges or corners). KML codes were designed to import the COLLADA files into the 3D render window of Google Earth. An application to the Grosmont formation in Alberta, Canada showed that the combination of COLLADA and KML enables Google Earth to visualize 3D geological structures and proper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