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감벤의 유머와 메타픽션적 통찰 -“독서가능성의 현재(Das Jetzt der Lesbarkeit)”를 중심으로-

        이창남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2 사이 Vol.13 No.-

        This paper examines Agamben’s criticism of sovereignty and modern democracy in works such as Homo Sacer and State of Exception, and explores the appropriateness of Agamben’s arguments for contemporary states. First, the theoretical conflicts between Benjamin, Schmitt, and Foucault, to whom Agamben owes his theoretical construction, are reviewed. In particular, along with Benjamin, this paper suggests another modelagainst the concept of absolute control of the sovereignty over “bare life”, that is one of the main axes of the arguments in Agamben’s early works. In addition, this paper analyzes Agamben’s criticism in relation to Guy Debord’s spectacular society based on Walter Benjamin’s concept of the Phantasmagorie, which can be interpreted in way other than that of Agamben and Debord. It highlights the positive aspects of image, mass and technology in Benjamin’s ambivalent position on these issues. Following Agamben’s criticism of international politics, which is based on Carl Schmidt’s perspective on the changes to the Jus Publicum Europaeum, this paper compares the transnational dimension of Agamben’s criticism with that of Michael Hardt and Antonio Negri in their book, Empire. While Agamben extends the model of the twentieth-century German concentration camp to our understanding of the globalized world in general, Hardt and Negri see historical differences between the transnational relations of NaziGermany and those of the contemporary globalized world. Agamben’s diagnosis of the globalized concentration camp leads to severe criticism of the contemporary transnational orders of economics and politics, but it differs significantly from the views on contemporary globalization expressed by the authors of Empire and by others. These differences in “reading the contemporary” are traced in this paper to the religious philosophy of Agamben, and especially to the paradox of his concept of “the messianic rest”, which transcends the limits of reason. All of Agamben’s homo sacri feature this kind of paradox and thus have a somewhat fictional status. This is why Agamben’s arguments taking the ordinary person as a homo sacer sometimes sound humorous. Nevertheless, his arguments based on a possible reading of the contemporary, could be understood as a strong warning sign of the decay of human rights and democracy, which are falling into crisis behind the visible (readable) world. 본 논문은 주권과 현대 민주주의의 위기에 대한 아감벤의 비판을 검토하고, 그의『호모 사케르』,『 예외상태』 등을 축으로 이루어지는 이론의 현실 적실성을 점검한다. 우선 아감벤 이론의 주요축을 이루는 벤야민-슈미트-푸코의 절합적 이론구성을 검토하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범주적 충돌과 모순을 지적하고 있다. 특히 대중, 즉 벌거벗은 생명에 대한 주권지배의 절대성에 대한 아감벤의 입장을 벤야민에 근거하여 그와는 전도된 관점에서 바라볼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아감벤의 주권과 대중의 관계에서 비롯된 현대 민주주의에 대한 비판을 기 드보르에 이어지는 스펙터클의 사회와 관련하여 정리하고 있다. 여기서도 역시 발터 벤야민의 양가적 해석가능성의 여지를 열어두고, 대중과 기술 그리고 대중과 이미지의 관계에 대한 벤야민의 관점에서 합의적 절차와는 다른 의미의 비전을 강조하고 있다. 이어서 국제 관계의 측면에서 전쟁을 매개로한 국제공법체계의 변화에 대한 칼 슈미트의 관점을 일부 전유하고 이를 현대 난민정치 등과 관련시키는 아감벤의 논의와 제국의 등장과 새로운 국제질서를 주장하는 네그리/하트의 논의를 아감벤의 논의와 대별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무엇보다 수용소 패러다임을 전지구화의 모델로 차용하는 아감벤의 인식은 비판이론적 방향에서 첨예한 현실비판을 수행하지만, 현실인식의 측면에서 전지구화에 대한 다른 논자들과 상당한 현재에 대한 독서의 차이를 노정하고 있다. 종교적 입론의 차이로까지 소급되는 이러한 차이들 속에 아감벤의 논의를 정밀하게 포착하기 위하여 끝으로 본 논문은 아감벤의 “메시아적 잔여”라는 개념을 검토하고 있다. 아감벤에게서 현세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설정되고 있는 ‘메시아적 잔여’는 홀로코스트의 유일한 증인이면서 증언할 수 없는 무젤만을 위시한 호모 사케르들이 지니는 역설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개념이다. 이 잔여의 역설로 인해 아감벤에게서 이론이 일상적 경험 속에서는 충격이거나 과장으로 다가오는 측면들은 유머와 픽션적 경향을 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현재성은 어떤 “독서가능성의 현재”라는 관점에서 현실에 대한 하나의 강한 경고의 시그널로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논문의 요지이다.

      • KCI등재

        정치와 행정의 분열에 관한 계보학적 고찰: Giorgio Agamben의 「왕국과 영광」을 중심으로

        이문수 ( Lee¸ Moon-soo ) 한국거버넌스학회 2020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7 No.3

        정치를 주권을 형성하고 이를 입법화시키는 것으로 보고, 행정은 입법화된 주권적 의지를 실행하는 것으로 볼 때, 언제부터 어떤 이유로 정치와 행정이 분리된 것으로 사유되기 시작했는지는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문제이다. 본 논문은 이태리 출신 철학자인 Giorgio Agamben의 최근의 저작들을 중심으로 2000년 동안의 서양의 통치기계는 본질/주권/정치라는 축과 실천/오이코노미아/행정이라는 축을 중심으로 하는 양극체제를 형성하면서 발전해왔음을 논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Agamben은 서양 존재론에 깃들어있는 “존재와 실천, 초월적 선과 내재적 선, 신학과 오이코노미아” 사이의 근본적 분열의 기원을 표식이라는 방법론을 사용하여 추적한다. 그리고 이러한 분열은 동시에 ‘왕은 군림하지 통치하지 않는다’라는 전승을 현실화 시키는 왕국과 통치의 양극적 기계를 형성하는 계기가 된다. 그러나 Agamben의 주된 관심은 의심의 여지없이 위의 분열에서 후자, 즉 통치의 내재적, 행정적 측면에 놓여 있다. 그리고 왕국과 통치의 양극적 기계의 성립에 대한 그의 주장은 삼위일체 교의, 섭리와 운명에 대한 신학적 해석을 거처 Rousseau가 「사회계약론」에서 말하는 일반의지와 개별의지의 구별을 통해 현대에 까지 유효한 것이 되고 있다. This article takes a close look at the Giorgio Agamben’s argument that the governmental machine of the Western world for two millennia has consisted of two poles of sovereignty and government, as an attempt to track down the beginning of the public administration. With its aim of refuting the traditional assertion regarding the dichotomy of politics and public administration, this study considers Agamben’s economic theology as providing us with a fresh perspective that can both broaden and deepen the research on the origin of public administration. Specifically, power operates as a bipolar machine, it articulates the transcendent pole of sovereignty and the immanent pole of administration, kingdom and government, auctoritas and potestas, political theology and economic theology. This is the structure of what Agamben calls the governmental machine. In this article, I reconstruct Agamben’s archaeology of economic theology as developed in The Kingdom and the Glory, tracing the signature of secularization to explain the overwhelming domination of the public administration and the operations of the governmental machine. I focus on the paradigm of oikonomia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articulation between sovereignty and governmentality. I conclude the article by indicating that Agamben’s account of the bipolar machine of power can easily face the dilemma coming out of his methodology of presuppositional argument. In other word, for Agamben there is no way out of the myth, “the king reigns, but does not govern,”

      • KCI등재

        아감벤의 공간 그리고 탈식민주의

        김재철(Jaecheol Kim) 한국비평이론학회 2018 비평과이론 Vol.23 No.2

        아감벤의 [호모 사케르] 프로젝트는 ‘수용소’의 역사를 추적하는 ‘고고학’적 연구이다. 아감벤이 영역판 [호모 사케르]의 표지에 아우슈비츠의 설계도를 실었다는 사실은 그의 작업 자체가 전체주의의 ‘공간’적 설계를 이론적으로 도식화하려는 시 도이며, 그의 공간에 대한 사유가 오랫동안 지정학적 공간이 그 분석의 대상이었던 ‘탈식민주의’ 비평과 맞닿아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사실 아감벤의 [호모 사케르] 프로젝트와 관련된 ‘생명정치’ 연구는 인종주의, 민족주의 주권, 난민 문제, 디아스포 라 등 탈식민주의가 주안점으로 삼고 있는 이슈들에 활발히 전유되고 있다. 하지만 그러한 이론의 쓰임에는 문제에 대한 검토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아감벤의 이론을 탈식민주의에 전유하기에 곤란한 이유 중 하나는 그의 이론에 내재하는 칼 슈 미트의 공법철학이다. 특히 주목해야 할 점은 슈미트의 결단주의가 아감벤에게 있어서는 ‘공간’적인 문제로 발전했다는 사실이다. 아감벤의 이론은 주권자의 ‘결단’이 주체를 수용소와 같은 법적권리가 박탈된 ‘예외적인 공간’에 구속하는 권력이라 고 상정한다. 아감벤의 공간 이론에 내재한 슈미트의 결단주의 덕에 수용소가 주체의 ‘합의,’ ‘선택,’ ‘투쟁’을 거치지 않은 주권의 자의적 ‘결단’에만 좌우된 공간으로 이해될 소지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아감벤의 이론이 탈식민주의에 원용될 때 큰 불안으로 남는다. 아감벤이 아리스토텔레스 등 그리스 철학자들의 글을 분석하여 ‘비오스’와 ‘폴리스’의 영역이 일종의 정치적 영역으로서 일치한다고 보았던 점을 고려한다면, 비도시의 영역, 즉 아감벤의 담론에서 ‘수용소’로 요약되는 공간은 ‘조에’의 공간적 위치로 인식된다. 즉 그의 논리를 따르다보면, 탈식민 사회의 영역은 수용소의 공간으로 환원되는 경향이 있다. 사실 아쉴 음벰베를 포함한 많은 탈식민주의 학자들이 아감벤 이론의 공간적인 논리를 그렇게 수용하여, 아프리카와 남미의 탈식민 사회, 탈공산주의 러시아 사회, 가자지구 등에 적용하고 있다. 따라서 아감벤을 경유하여 식민주의를 분석하는 이론은 자칫 식민권위를 ‘주권’으로 피식민자들을 ‘벌거벗은 생명’으로 간주함으로써, ‘식민권력’과 ‘식민지의 삶’의 관계 를 ‘나치의 권력’과 ‘수용의 삶’의 관계 단순화 할 수 있다. 그것의 결과는 ‘저항’과 ‘탈주’가 불가능한 폭력이 일방향으로 흐르는 식민지의 공간을 상상하는 것일뿐이다. Giorgio Agamben’s Homo Sacer series, as an archaeological project, follows history of camps. In its English translation of Homo Sacer, Agamben uses the blueprint of Auschwitz as its jacket showing that his work is an attempt to delineate the spatial design of fascism. Agamben’s philosophy is inseparable from and intricately articulated with postcolonialism that has analyzed the spatial understandings of colonialism. In fact, today Agamben’s theories are extensively received in postcolonial studies, especially, analyzing the issues of racism, national sovereignty, diaspora, and immigration. This essay critically examines receptions of Agamben in postcolonial studies, and reveals their related theoretical problems. The first reason Agamben’s theory is thorny to be used in postcolonial studies is that his theory is based on Carl Schmitt’s decisionism, and this extremely pessimistic philosophy of power relations develops into the question of “space” in postcolonial theories that follows Agamben’s reception of Schmitt. As Schmitt believes that the sovereign is who decides, its Agambenian development tends to understand camps as a space where political power is swayed one-sidedly by sovereign decision. In Agamben’s concept of camp or colonial space, inevitably, subjects are reduced to bare lives, deprived of any political agency. Ironically, Agamben’s theory repeats Nazi’s argument by saying that it should be avoided. Achille Mbembe’s postcolonial theory, for instance, follows Schmitt’s decisionism via Agamben’s spatial understanding, and in his theory the entire postcolonial world is reduced to a camp ruled by sovereign decision where subjects are reduced to bare lives.

      • KCI등재

        논문 : 조르조 아감벤의 종교적 사유

        김용성 ( Yong sung Kim )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2 문학과종교 Vol.17 No.1

        Many studies on Agamben and his philosophy illuminated the modern philosopher`s deep insight into sovereign power and bare life in human society. Among Agamben`s books, Homo Sacer: Sovereign Power and Bare Life and Profanations are known to portray the representative ideas of his philosophy. Apart from the ideas of sovereign power, bare life, profanation, and secularization, however, it is needed to recognize the fact that Agamben also finds out the strong subversive power of Christian spirituality through rereading of St. Paul`s epistles. As it is illustrated in The Time That Remains: A Commentary on the Letter to the Romans, Agamben`s way of reading of St. Paul`s epistles does not fully support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orthodox Christian church in the aspect that he does not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isti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is people. However, Agamben discovers the dynamic power of messianic ideas in Christianity and St. Paul`s epistles. Especially, he focuses on the idea of the remnant and parousia. Differently from many eschatological theories by modern theologians that are based on the ideas of ``already`` and ``not yet``, he regards parousia as an event that human beings can totally experience at present time. He witnesses the power of messianic ideas which subverts the sovereign power of the Judean society of the early Christian history. Agamben intrinsically quests for the possibility and potentiality from Christian spirituality in order to overcome the potential threat of sovereign power in modern society.

      • KCI등재

        ‘영성의 글쓰기’: 조르조 아감벤의 『불과 글』에 대한 서평

        한금윤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22 문학과종교 Vol.27 No.4

        Abstract: Giorgio Agamben quests for the potentiality that opens space for the ‘literature of spirituality’ in The Fire and the Tale. He criticizes modern literature which lacks fire, and portrays narrative without mystique and imagination. Modern society has been overwhelmed by extreme capitalism and high digital technology transformation. Understandably, it is hard for an author to create an artistic work with mystique and the imagination of fire. However, Agamben argues that the spiritually exhausted situation rather guarantees the turning point and the space of the potentiality for the literature of replenishment. Emphasizing the reflection on the presence of God is crucial for the ultimate happiness of human beings, he illustrates the necessity for the essential integration of fire and literature in an author’s creation of literary work. Agamben’s ‘literature of spirituality’ is related to the potentiality of a person’s spiritual growth and regeneration. 조르조 아감벤(Giorgio Agamben)은 『불과 글』에서 ‘영성의 글쓰기’가 가능한 잠재성을 모색한다. 그는 불을 상실하고 신비가 없는 서사만이 존재하는 현대 문학을 비판한다. 현대사회는 자본주의의 극단과 고도의 디지털 기술혁명이라는 두 가지 환경에 압도당해 왔다. 따라서 작가가 불의 상상력을 보존하여 작품을 창조하는 것은 어려운 도전이다. 그러나 아감벤은 이러한 환경이야말로 오히려 불이 되살아나는 소생의 문학 창조를 모색할 수 있는 잠재성의 영역임을 포착한다. 그는 인간의 궁극적인 행복이 신을 관조함에 있다고 밝히면서, 예술작품 창조를 통한 불과 글의 궁극적 통합을 주장한다. 그가 주장하는 ‘영성의 글쓰기’는 인간의 영적 성장과 재생을 담보하는 예술 행위이다. 『불과 글』은 현대인에게 불에 대한 기억을 소생시키고, ‘문학과 종교’가 지향해야 할 방향성을 제시한다.

      • KCI등재

        데리다와 아감벤의 인간/동물관계에 근거한 윤리학과 정치학에 대한 연구

        구자광 새한영어영문학회 2009 새한영어영문학 Vol.51 No.3

        This paper aims to interpret Jacques Derrida's and Giorgio Agamben's ethical and political projects in terms of human/animal relations. They maintain that division of human/animal has been produced by operations of 'conceptual machinery'(Derrida) or 'anthropological machinery'(Agamben). In either case, the division has been established through the sacrifice of animals by the 'particular' species, humans. Conceptual and anthropological machinery has been instituted as the 'sacrificial structure.' Human/animal relations began with the 'initial violence' to animals. Derrida's acknowledgment that sacrifice is inevitable in any case leads him to thinking about institutions founded on 'the least violence.' Agamben claims the necessity to sever any 'nexus' or 'joint' that links human/animal life to institutions based on sacrifice. In Derrida, 're-founding' or 'inventing' a new 'least bad' institution starts with the coming animal others. The coming others make the machinery 'out of joint' which will drive humans to 'invent' a 'least bad law and politics.' Thus arises inevitable negotiations between the coming others and the existing machinery. Derrida will wait for the others to come and after that he can try any new political projects. The problem in Derrida seems to be that coming others can be used to serve the existing machinery just by providing opportunities to make the machinery work more effectively, less violently. Derrida would not give up the idea of improvement with all his deconstructive strategies. Agamben tries to just render any institutional divisions 'in-opera-tive.' By 'severing the nexus' in the machinery that has produced divisions, inclusion/exception, everything will return to its 'original context' in which no sacrificial exclusion was instituted. Instead of proposing any alternative institutions which will lead to the same stalemate as before, Agamben's political action of 'division of divisions' is just to return everything to its original 'free usage.' Following Benjamin, Agamben believes a possibility of 'happy life' could arise from 'free usage' of things liberated from the machinery. The 'coming community' can start with the free and liberated things. Agamben's project can open a totally revolutionary possibility.

      • KCI등재

        조르조 아감벤의 패러다임과 사용 개념에 대한 소고

        김영훈(Kim Young Hoon)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서강인문논총 Vol.0 No.45

        본 논문은 지금까지 한국의 아감벤 논의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패러다임과 사용이라는 개념을 전경화한다. 일반적으로 아감벤의 정치철학저서로 분류되는 『호모 사케르』와 『예외상태』는 그를 21세기 초반 가장 중요한 정치이론가로 만드는데 기여했다. 그러나 아감벤의 경력을 초창기부터 쫒아온 사람들에게 정치사상가 아감벤은 다소 놀라운 변모이다. 그의 전체 저작에서, 혹은 호모 사케르 기획에서 이 두 권의 책은 핵심적이지만 동시에 한정적이다. 20년에 걸친 호모 사케르 시리즈를 이해하기 위해 호모사케르라는 형상은 무엇보다 중요해 보인다. 그러나 호모 사케르는 아감벤이 사용하는 다양한 패러다임 중 하나일 뿐이다. 차라리 그의 사유에서 보다 핵심적인 것은 패러다임이나 사용과 같은 개념이다. 특히 그의 사용 개념은 오늘날 우리의 이론 사용에 있어서 새로운 가능성 혹은 문제를 제기한다. 본 논문의 결론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의/나의 조르조 아감벰 읽기-사용을 반성한다. In Korea, Giorgio Agamben has been mainly introduced as a political theorist since his Homo Sacer made him an international academic star in the late 1990s. Thus, most discussions on him have been centered around on his political concepts, such as homo sacer, the bare life, the state of exception, and the camp. Despite the significance of Agamben’s political project, for those who have followed his writings from his early career, it is rather surprising to see him only as a political theorist. In fact, in his oeuvre, Homo Sacer and State of Exception hold rather distinguished positions. “Homo sacer” is an important concept in Agamben’s thought. However, it is only one of the many paradigms Agamben uses in his various works. Following this line of thought, this paper argues that his less well-known concepts, such as paradigm and usage, can be more crucial for us to understand Agamben’s thought better. In conclusion, taking a cue from Agamben’s concept of usage in his recent works, this paper suggests a critical reflection on the way Agamben’s theory has been introduced and used in Korea.

      • KCI등재

        몸짓의 꿈: 홍상수 영화 <자유의 언덕>에서 내레이션과 꿈, 몸짓의 관계에 대한 고찰 -아감벤의 「몸짓에 관한 노트」에 비추어-

        최수임 ( Soo Im Choi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4 현대영화연구 Vol.10 No.3

        홍상수 영화 <자유의 언덕>에서 내레이션은 영화 속 세계의 리얼리티의 성질을 새롭게 만든다. 이 작용은 어떻게 일어나며, 이에 대하여 영화론적으로 어떠한 고찰이 가능할까? 이 논문은 <자유의 언덕>에서 보이스-오버 내레이션이 행하는 기능을 분석하고 사유한다. 조르조 아감벤은 영화 매체에 관한 글 「몸짓에 관한 노트」에서 “영화의 요소는 몸짓이지 이미지가 아니다”라는 테제를 제시하면서 영화 이미지가 진동하는 두 가지 “이율배반적인 극성”을 논한다. 몸짓을 사물화해의지적 기억 속에 잡아 “마술적 고립”속에 담아두는 성질, 그리고 몸짓의 잠재력을 보존하면서 비자발적 기억이 현현하게 하는 “번쩍이는 이미지” 로서의 성질이 그것이다. 이 두 속성은 <자유의 언덕>에서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며, ‘몸짓’과 ‘내레이션’, 그리고 ‘꿈’은 어떠한 상호작용을 하고 있을까? 이 글은 아감벤이 영화에 관해 쓴 글에서 <자유의 언덕>의 고찰에 흥미로운 단초를 제공하는 지점들을 포착해 이 영화를 그에 비추어 논한다. 그를 통해 <자유의 언덕>의 보이스-오버 내레이션과 ‘쓰기’ 및‘텍스트’의 관계와 작용, 그리고 이 영화가 지닌, 지극히 사실적이면서도 동시에 꿈과 같이 모호한, 독특한 (비)리얼리티의 바탕을 ‘몸짓’과 ‘꿈’의 개념을 통해 밝히고자 한다. 조르조 아감벤의 ‘몸짓으로서의 영화’에 관한 논의를 생각할 때, 홍상수의 <자유의 언덕>은 ‘몸짓의 꿈’을 지향하는 영화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서술자 역할을 하는 캐릭터-내레이터의 보이스-오버 내레이션은 관객을 의지적 기억의 재현으로부터 비자발적 기억의 현현으로 그리고 끝내 언어활동으로서의 내레이션 자신을 무화시키며 ‘몸짓의 나라’로 보내기 위한 장치의 역할을 한다. 홍상수의 영화가 지속적으로 시도하는 내러티브적 실험은 내러티브를 정교화하기 위한 것이기보다는 오히려 영화를 내러티브로부터, 즉 이야기로부터 해방시켜 ‘몸짓의 예술’로 만들고자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때, 영화 <자유의 언덕>은 추억으로 굳어진 마술적 고립의 이야기이기보다는, 기억을 유동적으로 뒤섞고 빠뜨리고 새롭게 씀으로써 사실과 상상의 경계를 모호하게 흐트러뜨리는 가운데 이야기/기억 자체가 무화되고, 비로소 마치 꿈에서처럼 비자발적으로 풀려나오는 몸짓들이 전시되는 매체에 가깝다. 그 속에서 이 영화가 담아내는 ‘몸짓’들은 단순히 재현된 사실이나 이야기에 담긴 리얼리티가 아닌, 사실/비사실, 기억/비기억의 경계를 무화하며 삶 그 자체를 담아내는, 존재론적 질감을 지닌 새로운 종류의 (비-)리얼리티를 가진 것으로 감지된다. This essay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voice-over narration, dream and gesture in Hong Sang-Soo’s film Hill of Freedom (South Korea, 2014)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ought of cinema by Giorgio Agamben. Agamben argues that ‘the element of cinema is gesture and not image’ and every image ‘is animated by an antinomic polarity: on the one hand, images are the reification and obliteration of a gesture; on the other hand, they preserve the dynamis intact.’ (Agamben, “Notes on Gesture”, Means Without End: Notes on Politics, p.56.) The main question about the examination of Hill of Freedom in light of this thought of cinema is which aspect of the two this film realizes more strongly: Is it the film of gesture or that of image? This question is related to the function of the voice-over narration in this film. In this essay, the narrator, Mori, plays an important role to determine the texture of the (non-)reality of the (re)presented events in the film. Are they represented as caught in the memory of the character, or as liberated from the memory and presented like the events in dreams? Are the gestures in this film, finally, even from the dream and the narration as linguistic activity, liberated? Agamben’s thought of cinema is a sort of ‘media-biopolitics’, which sees gesture as ‘intersection between life and art, act and power, general and particular, text and execution.’ (Agamben, “Marginal Notes on Commentaries on the Society of the Spectacle”, Means Without End, p. 80.) From this perspective, this essay analyzes the possibilities of the ‘gesture’ in the contemporary film by Hong Sang-Soo, who has sought to present the human gestures with the cinematic dispositif as ‘dream of gesture’.

      • KCI등재

        아감벤의 『내용없는 인간』을 통해 살펴본 미학의 역사와 해체

        김대중(Dae-Joong Kim) 한국비평이론학회 2019 비평과이론 Vol.24 No.3

        본 논문은 이탈리아 철학자인 죠르지오 아감벤의 첫 저작이자 미학서적인 『내용 없는 인간』을 꼼꼼히 읽고 이에 대한 해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죠르지오 아감벤의 『내용 없는 인간』은 저서의 중요도에 비해서 한국에서 거의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아직 제대로 된 해설 역시 나오지 못했다. 물론 본 논문은 그의 저작 전체를 요약 정리하기 보다는 서구 미학사와 철학사, 그리고 죠르지오 아감벤의 전체 저작들간의 상호문맥 속에서 이 저작의 주요 부분들을 해석하려 한다. 『내용 없는 인간』 중에서도 본 논문은 먼저 플라톤과 니체와 칸트를 통해 어떻게 아감벤이 서구 예술의 기원에 대해 추적하는지를 파악하였다. 이후 예술가와 예술가 관객의 변증법과 어떻게 이 삼항이 서로를 배제하고 이화되어갔는지의 계보학적 연구를 해제하였다. 또한 『내용 없는 인간』에서 아감벤이 어떻게 서구 역사속에서의 취향의 인간과 미학의 발생과 미학이 무인공간이 되어간 역사, 현대 키치예술과 비평가의 역할을 설명하는지 해제하였다. 다음에는 『내용 없는 인간』에서 생산이라는 동일한 의미의 기원인 포에이시스와 프랙시스와 작업의 계보학적 의미추적을 살피고 어떻게 이 세 가지 개념들이 현대에 들어와 모호한 영역 속에 들어가게 되었는지의 역사를 논의하는지를 정리하였다. 또한 『내용 없는 인간』의 후반부에 논의된 마틴 하이데거의 미학론에 대한 아감벤의 해설 및 비평과 그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된 발터 벤야민의 이론을 소개하고 의미를 살폈다. 마지막으로 아감벤이 살핀 발터 벤야민의 현대 예술에 대한 관점을 ‘역사 천사’와 ‘멜랑꼴리 천사’를 대조하여 밝히면서 글을 마무리하였다. This paper aims to critically review Man Without Content, the first published work of Giorgio Agamben, a widely renown Italian philosopher, mostly reading carefully and engaging critically his work in the context of his oeuvre. Giorgio Agamben’s Man Without Content has rarely been reviewed or discussed in Korea but this work, though excluding politics as its main topic rather concentrating on history of the Western aesthetics, is the starting point of his entire philosophy that roughly speaking purports to deconstruct Western metaphysics, politics, and aesthetics genealogically tracing down their origins. This paper does not summarize all his arguments in Man Without Content but center several important arguments in the book: discussion on the origin of Western art; dialectics of artist, art, and spectator; emergence of man of taste and aesthetics in Western history; ambiguous erasure of differences among three different origin of pro-duction(poiesis, praxis, work). In turn, the paper focuses on philosophical and aesthetical meanings of Agamben’s juxtaposition of Martin Heidegger’s aesthetics and Walter Benjamin’s potentiality of new aura through destruction of tradition. In the last part, the paper delineates Agamben’s comparison and contrast between Angel of History and Angel of Melancholy to discuss the contemporary art as no-man’s land where artist becomes a man without content, while Angel of Melancholy as angel of art reveals a dim realm of potentiality where art deconstructively overcomes its nothingness and revive itself in a new form.

      • KCI등재

        호모 사케르(Homo Sacer)는 한국사회의 ‘위험의 외주화’ 담론 분석의 철학이 될 수 있는가?

        정재요 새한철학회 2022 哲學論叢 Vol.109 No.3

        This thesis consists of an analysis of ‘risk outsourcing’, which can be seen as a bio political discourse in today's Korean society, especially through the political philosophy of ‘Homo Sacer’ presented by Giorgio Agamben.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evaluate whether Agamben's philosophy is suitable for Korea's labor reality, and to examine more closely the bio politics inherent in the discourse of risk outsourcing. In accordance with this plan, Chapter 2 of the thesis examines the political philosophy of Homo Sacer proposed by Giorgio Agamben at a rough level in order to prepare a framework for research analysis. The following Chapter 3 deals with the risk outsourcing established as a bio political discourse in Korean society. Chapter 4, which occupies the core part of the paper, consists of analyzing the discourse of risk outsourcing in Korean society through the theory of Homo Sacer presented by Giorgio Agambe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themes related to Homo Sacer's political philosophy, such as the paradox of sovereignty, the order of exile, the non-identifying area, the state of exception, and the concentration camp, functioned as a meaningful prism in analyzing the discourse of risk outsourcing. 이 글은 오늘날 한국사회의 생명정치적 담론으로 볼 수 있는 ‘위험의 외주화’를 조르조 아감벤이 제시한 ‘호모 사케르’(Homo Sacer)의 정치철학을 경유하여 분석‧검토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아감벤의 사유가 과연 우리의 노동현실에 적실성을 가진 이론인지를 평가하고, 위험의 외주화 담론에 내재한 생명정치성을 보다 면밀하게 고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러한 기획에 따라 본고의 2장에서는 연구 분석의 준거를 마련하기 위한 차원에서 아감벤이 제시한 호모 사케르의 정치철학을 개략적인 수준에서 검토하고, 3장에서는 한국사회의 생명정치적 담론으로 설정한 위험의 외주화에 관한 내용을 다루어본다. 논문의 핵심부분을 차지하는 4장은 아감벤이 제시한 호모 사케르의 이론적 틀을 경유하여 한국사회의 위험의 외주화 담론을 분석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결과, 호모 사케르의 정치철학에 관한 테마들인 주권의 역설(포함된 배제)‧추방령‧비식별역‧예외상태‧수용소 등은 ‘위험의 외주화’ 담론에 대한 해석적 고찰에 있어 유의미한 프리즘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