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국시기(1871-1914) 독일 교육사의 동향

        유진영 ( Jin Young Yu ) 한국교육사학회 2011 한국교육사학 Vol.33 No.1

        본고에서는 독일 역사의 시기 중에서 독일 제국시기(1871-1918)를 다룬 교육사의 동향을 알아보았다. 독일 제국 시기는 역사적으로 또한 교육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현재의 독일인의 정체성 형성과 교육제도의 근간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II장과 III장에서 독일제국시기의 교육사를 다룬 교육사 학계의 관련 학술지와『독일교육사 교본 IV』를 살펴봄으로써 제국시기의 교육사 주제들과 연구사 정리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특히 제국 시기의 교육사적 중요성을 드러내주는 주제로서 일반교육분야와 기술교육분야를 살펴보았고, 연구주제와 연구경향에 대한 비판점을 알아보았다. IV장에서는 독일 제국시기의 역사서술의 동향을 살펴보면서 교육사 연구동향의 변화도 함께 비교, 대조하였다. 역사서술방향이 교육사 연구동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2000년 전후의 연구주제들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도 알아보았다. 끝으로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하여 앞으로 교육사 연구 분야에서 새로이 재고되어야 할 점을 제시하였다. 그것은 독일의 교육사연구는 연구주제와 방법론의 다양화를 위해 다른 인접 학문들, 교육학, 역사학, 경제학 및 교육심리학, 교육사회학, 교육철학, 성인교육학, 직업교육학과 특수교육학 등과의 연계가 필요하다는 점이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tendency of History of Education during the German Empire (1871-1914), because the education in this period is very related to the present educational system in Germany. I analysed various themes and points of views from the book "Handbook for German History of Education IV" and from three representative journals on History of Education in Germany, "Historische Bildungsforschung", "Zeitschrift fur p?dagogische Historiographie", and "Jahrbuch fur Universitatsgeschichte". As a result I have found that the tendency of History of Education dealing with the period, the German Empire has mostly been influenced from trends of History. For instance, through the History of technical-vocational education part I found various trends of History of Education like political History of Education, economic History of Education, social History of Education, autobiographical History of Education etc. In conclusion, I came up with suggestions on what needs to be considered and changed in the existing researches on the trends of History of Education in Germany. The research for History of Education needs to be more intensive in relation, not only with history, but also with other human science fields like pedagogy, economics, psychology etc. due to various complicated topics and abstract descriptions in existing researches.

      • KCI등재

        독일 연방공화국의 성립과 역사교육 - 1949-1959년 서독의 근현대사 교육을 중심으로 -

        최재호 한국사학사학회 2019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40

        This article researches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education and its policies during the establishment of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In the 20th century, the Germans experienced Nazi dictatorship, the war that ended in defeat, and East-West division following the occupation of the Allies. These series of processes shook off traditional perceptions, faiths, and beliefs of the people and the state. The new republic was tasked with rebuilding the broken national consciousness and uniting society. History education served to support this mission more so than others at mending society. For a long time in German history, conservative history education has been central, which emphasizes nation, tradition and state. In the Weimar era, an education policy that emphasized democracy was tried but was not successful.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this conservative trend continued even after the war. Although a new Republic was established in West Germany in 1949, the education policy was not new, but rather a ‘restoration’ of old education policy in the era of Weimar. Criticism has been raised since the 1960s that such trends led to historical writing and education to avoid responsibility for Nazi past. This study analyzes the education policy in more detail and attempts to review the history education of the founding of the Federal Republic in the 1950s. A look at history education in the 1950s demonstrates that there existed an acknowledgement of the faults of war and Nazis, but without a willingness to blame the German people. It was deemed necessary to only remove the parts related to Nazis and to educate students on liberal and democratic elements from German history. Especially in the problematic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education, this appeared in three forms. First, history education of the 1950s tended to link German history to European history and to emphasize cultural values shared by the Western world in order to revive the heritage of German humanism. For example, the concept of ‘Abendland' was borrowed as a cultural education ideology. Secondly, through emphasizing the succession of the Weimar regime, the history education tried to increase its legitimacy of the West German regime and to highlight distinction from the Nazi regime and the East German regime. Third, the history education of the 1950s sought to emphasize the democratic system of West Germany and to educate the importance of cooperation with the West through anti-communism. Therefore, history education in the establishment period of the Federal Republic was a modification and complement to Weimar, with a focus on advocating a new state system rather than reflecting on the past. This trend of restoration has led to problems in history education since the 1960s. 이 연구는 독일 연방공화국 수립시기의 역사교육정책과 근현대사 교육을 연구대상으로 삼고 있다. 20세기에 독일인들은 나치 독재, 패전으로 끝난 전쟁, 그리고 연합국들의 점령 이어서 분단을 경험한다. 그 일련의 과정은 민족과 국가에 대한 전통적인 인식, 믿음, 신념을 송두리 채 흔들어 놓았다. 새로운 공화국 앞에는 무너진 국민의식을 다시 세우고, 사회를 재통합하기 숙제가 주어진다. 무엇보다 역사교육은 이를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독일 역사에서 오랫동안 민족, 전통 그리고 국가를 강조하는 보수주의적 역사교육이 중심이 되어 왔다. 바이마르 시대에 민주주의를 중시하는 교육정책이 시도되었으나 성공하지는 못했다. 기존의 연구들에 따르면 이러한 보수주의적 경향은 전후에도 지속되었다. 1949년 서독에서 연방공화국이 수립되기는 했지만 그 교육정책은 새로운 것이 아니었으며, 다만 바이마르 시기 교육정책의 ‘복구’였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경향이 나치 과거사를 회피하고 책임을 돌리려는 역사서술과 교육으로 이어졌다는 비판이 1960년대 이후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이를 보다 세밀히 분석하여 1950년대 연방공화국 성립 초기의 역사교육을 다시금 되짚어 보려 하였다. 당시 역사교육을 살펴보면, 전쟁과 나치의 잘못을 인정하기는 했지만 독일인들에게 그 책임을 지우려 하지 않았다. 다만 나치와 연관된 부분만을 제거하고 독일 역사에서 자유민주주의적 요소를 찾아 학생들에게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여겨졌다. 특히 문제가 되었던 근현대사 교육에서 그것은 크게 세 가지 형태로 나타났다. 첫 번째로 독일사를 유럽사와 연관시키고 서구세계가 공유했던, 문화적 가치들을 중시하는 경향을 보였다. 독일 인문주의 유산을 되살리려 했던 것이다. 가령 ‘아벤트란트’ 개념이 문화교육이념으로 차용되었다. 두 번째로 바이마르 체제의 승계를 강조하면서 역사교육은 서독체제의 정당성을 높이고 나치체제 및 동독체제와의 차별성을 부각시키려 하였다. 세 번째는 반공이념을 통해 서독의 민주주의 체제를 강조하고 서방과의 협력의 중요성을 교육시키고자 했다. 따라서 연방공화국 수립기의 역사교육은 바이마르의 것을 수정·보완한 것이며, 과거에 대한 성찰보단 새로운 국가체제를 옹호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었다. 그것이 1960년대 이후 문제제기로 이어지게 된다.

      • KCI등재

        한국 역사교과서에 나타난 독일사를 보는 방식: 7차 교과과정과 2009년 개정 교육과정 「세계사 교과서」의 독일사 서술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최선아 한국독일사학회 2016 독일연구 Vol.- No.32

        The world of today was integrated into one living zone beyond the dimension of a mutual exchange simply among countries, thereby having become the era that any race or nation cannot survive independently. Therefore, to proceed with living in the age of globalization, the attitude and the ability of trying to understand about diverse cultures and values, which exist in the world, are essentially demanded and were magnified as the necessary quality. Learning the world history makes us available for rightly understanding history and culture in many countries of the world and for broadening the width of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nd international sense through this. Furthermore, learning the world history can lead to being able to more correctly grasp what the distinctiveness and the universality of Korean history are.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on history textbook so far. But there are many cases of being limited mostly to national history textbook. Thus, the world history is in a situation of being few in its compilations compared to Korean history. The elements other than history textbook are having great influence upon forming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For example, above all, even a question about how much one country and society are giving importance and putting value in history education may be much varied every country. It is also what can be called a level of 'memory culture' in one country or society on the whole. Accordingly, to understand Korean history harmoniously from the position of world history with escaping from a nationalistic sight, the education of world history is needed. There will be a need to be carried out history education that understands both distinctiveness in national history and the generality in universal history. By the way, a matter is that it is not so in the reality of world-history education based on curriculum. The curriculum of world history was clearly stated to sublate the history that was conventionally biased to the focus of Chinese history and European history while passing through the 6th and 7th courses. Hence, this study aims to consider into which direction the description of German history is changed in a field of Western history, which was curtailed among the whole contents of world history. This research is considered to be likely helpful for grasping the distinctiveness and the universality of German history amidst the curriculum of world history. 오늘날 세계는 단순히 국가 간의 상호 교류의 차원을 넘어서 하나의 생활권으로 통합되어 어떤 민족이나 국가도 독자적으로 생존할 수 없는 시대가 되었다. 그러므로 세계화 시대에 살아가기 위해서는 세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문화와 가치에 대하여, 그것을 이해하려는 태도와 능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필요한 자질로서 부각되었다. 우리는 세계사를 학습하면서 세계 여러 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국제 이해와 국제적 감각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나아가 세계사 학습을 통하여 한국사의 특수성과 보편성이 무엇인지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지금까지 역사 교과서에 대한 연구는 많았지만 대부분 국사 교과서에 국한된 경우가 많아 세계사의 경우 국사에 비해 그 편수가 적은 상황이다. 역사의식의 형성에 있어서는 역사교과서 이외의 요소들이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선 예를 들면 한 국가와 사회가 역사 교육에 얼마나 많은 중요성을 부여하고 가치를 두고 있는가의 문제도 나라마다 매우 다를 수 있다. 그것은 전반적으로 한 국가나 사회의 ‘기억문화’의 수준이라고 불릴 수 있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한국사를 국수주의적 시각에서 벗어나 세계사적 입장에서 균형 있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세계사 교육이 필요하고, 민족사의 특수성과 보편사적 일반성을 함께 이해하는 역사교육이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교육과정에 준한 세계사 교육의 현실이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다. 세계사 교육과정은 6차와 7차 과정을 거치면서 기존에 중국사 및 유럽사 중심의 편중된 역사를 지양할 것을 명시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세계사 전체 내용 중 축소된 서양사 분야에서 독일사의 서술이 어떤 방향으로 변화되는지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세계사 교과과정 속에서 독일사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보인다.

      • KCI등재

        제2차 세계대전에 관한 독일과 일본 역사교과서의 비교분석 - 전쟁에 대한 기억과 반성

        김가영 한국역사교육학회 2016 역사교육연구 Vol.- No.24

        In this paper, the external characteristics of 8 history textbooks recently published in Germany and Japan, and their descriptions of themes on the Second World War have been comparatively analyzed, and accordingly the orientation of the history education in each country was deduced. Through this,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collective memory of people in the two countries were investigated, and how they have cleared the past affairs as war criminals was compared between Germany praised to have overcome its past successfully and Japan relatively under endless controversy over its dark past. Also, this paper was aimed at drawing out desired aspects of history education in East Asia that would promote reconciliation and peace beyond the history of a single country. After comparing the external characteristics of textbooks of both countries, the descriptions related to the Second World War was analyzed focusing on four themes including ‘progress of war’, ‘colonial & occupational policy and victims’, ‘resistance’ and ‘war guilt and overcoming the past’. As a result of such examination of the contents on the Second World War that the German and Japanese history textbooks described, 4 main characteristic differences could be found. First, the descriptions of everyday life and people in history were mainly made in the German textbooks while the political history and ruling class were mainly described in the Japanese textbooks. Second, the German textbooks have clearly specified the assailant and the scale in various types of war crimes. In contrast, the Japanese textbooks only described relatively specifically the atomic bomb, group evacuation of children, and air raids by the Allies, and thus highlighted the damage of its own people rather than its committed war crimes. Third,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German history textbooks are the multiperspectivity that suggests various perspectives on controversial issues. Learning that enables students to think and judge historically on their own through historical records and questions invoking critical minds is always emphasized. On the other hand, the Japanese textbooks contain almost no activity requiring discussions, and the number of research activities that may help shaping personal views is drastically few. Fourth, in facing the past, while the Japanese history textbooks deny its negative pasts, the Germany textbooks accept its negative pasts also in its history. The description in the German history textbooks emphasized that all Germans were responsible for the past and war guilt while the Japanese textbooks lacked responsibility and reflection on the war. Various historic events having occurred in the Second World War are also the valuable subjects of history education in that the importance of universal values such as democracy and human rights can be presented to students. It can be stated that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Germany where such aspects are faithfully taught through textbooks is the cradle that fosters mature democratic citizens. Just like the exemplary case of Germany that has made healthy civil society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s through selfreflection, the history education and textbooks in Japan and Korea need to move forward in such direction. 본고에서는 독일과 일본에서 최근 출간된 역사교과서 8종의 외형적 특성 및 제2차 세계대전을 테마로 한 서술을 비교분석하여, 각 국가에서 역사교육이 지향하는 바를 추론하였다. 이를 통해 양국 국민이 갖고 있는 역사의식 및 집단기억을 알아보고, 전범국으로서 과거극복을 훌륭히했다고 평가되는 독일과 상대적으로 과거극복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는 일본의 과거사 청산 모습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자국사를 넘어선 화해와 평화를 도모하는 동아시아의 바람직한 역사교육의 모습을 그려보고자 하였다. 먼저 양국 교과서 형태의 특징에 대한 비교 후 ‘전쟁의 전개’, ‘식민지·점령지 정책과 피해자’, ‘저항’, ‘전쟁책임과 과거극복’이라는 네 가지 테마를 중심으로 제 2차 세계대전과 관련된 서술을분석하였다. 그 결과 독일과 일본 역사교과서의 제2차 세계대전 서술내용을 살펴보면 크게 네 가지 특성의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첫째, 독일교과서는 생활사·민중사 위주의 서술을 보이고 있고, 일본교과서는 정치사와 지배층 위주의 서술을 주로 하고 있다. 둘째, 독일교과서의 서술은 여러 형태의 전쟁범죄에 대해 가해의 주체와 그 규모를 분명하게 명시하고 있다. 반면 일본교과서의 경우 그들이 자행한 전쟁범죄의 모습보다는 원자폭탄, 학동의 집단소개(疏開), 연합국의 공습 등에 대해서만 비교적 구체적으로 서술하여 자국민의 피해를 부각시키고 있는 모습이다. 셋째, 독일교과서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논쟁적인 부분에 있어 여러 가지 관점을 제시하는 다원적 관점의 활용이다. 학생들에게 문제의식을 제시하는 사료와 질문을 통하여 스스로가 역사적으로 사고하고 판단할 수 있는 학습이 항상 강조되고 있다. 반면 일본교과서의 경우 토론을 요구하는 활동은 거의 없고, 개인의 입장을 정리해보는 탐구학습의 개수도 현저하게 적다. 넷째, 일본의 역사교과서는 과거에 대한 대면에 있어서 부정적 과거를 거부하고 있는 반면, 독일은 부정적 과거 또한 자신들의 역사에 수용하고 있다. 독일의 역사교과서는 과거극복과 전쟁책임에 대해 독일인 전체의 책임임을 나타내는 서술이강조되는 반면 일본의 경우 전쟁에 대한 책임과 반성의 모습이 부족하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 벌어진 다양한 역사적 사건에 관한 역사교육은 민주와 인권과 같은 보편가치의 중요성을 학생들에게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소중한 역사교육의 소재이기도 하다. 교과서를 통해 이러한 점을 충실히 교육하는 독일의 교육환경은 성숙한 민주시민을 양성하는 산실이라고 할 수 있다. 스스로에 대한 반성을 통해 건강한 시민사회와 국제관계를 만든 독일의 모범적 사례처럼, 일본과 한국의 역사교육과 역사교과서도 이러한 지향점을 향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독일역사교육에서의 새로운 경향

        李丙煉(Yi Byung-Lyun) 역사교육연구회 2008 역사교육 Vol.107 No.-

        Since the 1970s the form and contents of German history education have faced substantial changes. The research I am engaged in tries to answer the question to what extent publicly discussed problems like human lights, peace, environmental issues or the third world have become a topic in German history education. In the context of the above-mentioned issues the research work is limited to the environmental aspect. Compared to Korean history school books where environmental problems are not dealt with at all these problems are a greater but still unsatisfactory issue. I have carried out the research with the help of Gem-Jan history school books, magazins on history didactics and other specialist literature. The history didactics on environmental issues seems to be based on the theory of the "handlungsorientierten Geschichtsunterricht". Especially environmental problems are an interdisciplinary issue, they can be dealt with from the angles of different disciplines, Environmental history is dealing with the relation between man and environment or man and nature. In this context the terms environment and nature have the same meaning even though the term environment has an antropogenic implication. The history school book "History Book" deals with the topic environment in the widest sense of the word. In the "History Book" environment above all means the space and time in which people are leading their lives, as well as their world view. In connection with the middle ages and the early modem times I presented statements and material on environmental issues. It is also possible to reconstruct the history of the world on the basis of its environmental aspects. Man has always had a dose relation to water, fields and wood, from the very first beginning to the present time. In this context students are supposed to learn why forests in Germany are maintained to an extent which cannot be found anywhere else in the world.

      • KCI우수등재

        ‘독일모델’ 배우기의 너머

        이동기 역사학회 2017 역사학보 Vol.0 No.235

        이 글은 지난 2년 동안의 한국의 독일사연구를 정리하고 평가한다. 독일사연구는 ‘독일모델’에 대한 한국 사회의 실천적 관심에 크게 영향받았다. 지난 2년 동안 독일통일과 유럽연합에서의 ‘독일문제’, 이주사와 난민 문제 및 역사교육과 공공역사 등은 한국의 독일사 연구에서 중심적 지위를 차지했다. 독일사연구사들은 ‘독일모델’의 직접 전이에 동의하지 않지만 독일의 경험에 대한 한국 사회의 관심과 정보 요구에 응하지 않을 수 없었다. 독일사연구자들이 주로 한국 현실의 압박과 한국 사회의 요구에 조응하는 주제와 대상들에 매달리는 것 그 자체를 놓고 규범적 논의를 하는 것은 이미 무의미하다. 중요한 것은 그런 주제들에 대해 ‘독일모델’의 직접 전이의 차원을 넘어서 연구하는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review the research of German History in South Korea during the last two years 2015~2016. The Germany-historians in South Korea are most influenced by the demands of Korean civil society and politics to learn the ‘sucess model’ of Germany. Their research efforts have mainly focused on peace politics of West Germany before 1990, the German reunification, Germany’s new role in Europe, and migration and refugee problems. The historical education and public history were also placed at the center of the Korean research about German history. Even if they don’t agree to a possible direct transfer of the German Model into Korea, they see themselves pressed to react to the needs and demand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information and knowledge on German experience of the contemporary history and current events. Now it is not important to inquire if this trend of the research could be seen as meaningful or undue. The real point is how the highly demanded themes are to be researched beyond learning the transfer of the German ‘success model’.

      • 독일 군사사 연구소(Militärgeschichtliches Forschungsamt)의 변천과정과 그 시사점

        김태산 ( Kim Taesan ) 공군사관학교 2019 空士論文集 Vol.70 No.-

        This paper analyzes the development of the German Military History Research Office(Militärgeschichtliches Forschungsamt, MGFA) and draws its implications. The MGFA, which was the oldest and largest Military History Research Office in Germany, created and supported many research results in various fields over the past 60 years. For example, it published Handbuch zur deutschen Militärgeschichte 1648 bis 1939, Das Deutsche Reich und der Zweite Weltkrieg, Anfänge westdeutscher Sicherheitspolitik, etc. Because of these, the MGFA made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military history and the history education in the Bundeswehr. The MGFA expanded the horizon of research on the military history during the Cold War. After the German Reunification, it has published studies on the National People's Army(Nationale Volksarmee, NVA) and the history of crisis regions, where the Bundeswehr was dispatched. In addition, many research results for historians and the general public have contributed to the popularization of military history. Therefore this study on the German Military History Research Office shows constructiv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military history research institute.

      • 독일 군사사 연구소(Militärgeschichtliches Forschungsamt)의 변천과정과 그 시사점

        김태산 ( Kim Taesan ) 공군사관학교 2019 군사과학논집 Vol.70 No.0

        본고는 독일 군사사 연구소의 변천과정을 분석하고 그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독일 군사사 연구소는 군사사를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독일 최고(最古)이자 최대(最大)의 연구소로 지난 60여 년동안 독일 군사사 학문 발전에 기여하는 연구 성과들을 꾸준하게 남겼으며, 그 대표적인 산물로는 『독일군사사 안내서』,『독일 제국과 제2차 세계대전』,『서독 안보정책의 기원』등이 있다. 이런 도서들을 비롯하여 연구소의 많은 연구 성과물들이 장병 역사교육에 반영됨으로써, 연구소는 연구와 교육 영역에서 그 조화를 이루어낼 수 있었다. 냉전기에 연구소는 군사사의 연구 지평을 점점 확대하였으며, 재통일 이후에는 동독군에 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였다. 최근에는 독일 연방군의 해외파병이 늘어나면서 연방군이 파견된 지역에 관한 출판물이 간행되고 있으며, 특히 군사사가를 위한 전문 서적을 비롯하여 일반 대중을 위한 군사사 도서들이 출판되고 있다. 결국, 독일 연방군과 학계, 대중 사이의 교량 역할을 하고 있는 독일 군사사 연구소에 관한 연구는 국내 군사사 연구소의 발전을 위한 건설적인 개선 방안들을 제시해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development of the German Military History Research Office(Militärgeschichtliches Forschungsamt, MGFA) and draws its implications. The MGFA, which was the oldest and largest Military History Research Office in Germany, created and supported many research results in various fields over the past 60 years. For example, it published Handbuch zur deutschen Militärgeschichte 1648 bis 1939, Das Deutsche Reich und der Zweite Weltkrieg, Anfänge westdeutscher Sicherheitspolitik, etc. Because of these, the MGFA made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military history and the history education in the Bundeswehr. The MGFA expanded the horizon of research on the military history during the Cold War. After the German Reunification, it has published studies on the National People's Army(Nationale Volksarmee, NVA) and the history of crisis regions, where the Bundeswehr was dispatched. In addition, many research results for historians and the general public have contributed to the popularization of military history. Therefore this study on the German Military History Research Office shows constructiv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military history research institute.

      • KCI등재

        볼로냐 프로세스 도입이후 독일 대학의 교육사교육에 관한 동향연구

        유진영 ( Yu Jinnyoung ) 한국교육사학회 2017 한국교육사학 Vol.39 No.3

        2002년부터 도입된 볼로냐 프로세스는 독일의 학위제도 뿐만 아니라 대학의 교육과정에도 커다란 변화를 야기했다. 교육학과 교직과정에서 다양한 학업모델과 개혁을 시도하며 학업과정의 표준화, 유연성, 이동성을 추구했고 이 방향에서 대표적인 시도가 교육과정의 모듈화이다. 교육학 교육과정 내에서 교육사(역사적 교육연구)는 현재 대학에서 교육학부 및 철학부에 소속된 교육학과와 교직과정에서 모듈화된 방식으로 전공영역에 포함되어 있다. 그래서 본 논문의 목적은 볼로냐 프로세스가 도입된 이후 독일 대학의 교육학수업과정 전반과 교사양성과정의 변화, 교육사(역사적 교육연구) 연구현황 등을 파악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파악을 위해 각 대학의 교육과정을 사례로서 파악하고, 교사양성과정에 대한 규정(LPO), 독일교육학회의 핵심교육과정 권고규정, 최근의 연구동향 문헌 등을 살펴보았다. II장에서 교육학의 학사 및 석사과정의 변화와 교직수업과정의 현황을 파악한다. III장에서는 교육사의 연구동향을 고찰하고, 독일교육학회(DGfE)의 권고 기준에 따라 대학의 수업과정에서 교육사의 교수방법과 기준 및 현황 파악에 관해 모듈편람 및 교직시험규정(LPO), 최근의 연구자료에 의거하여 조사하였다. IV장에서는 교육학 분야 역사적 교육연구 영역에 있는 독일 대학 교수직과 해당대학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최근 독일 대학의 교육학 교육과정 개혁과 시도에서 나타나는 도전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how the Bologna process introduced since 2002 has caused major changes in the educational curriculum of universities as well as in the academic curriculum of Germany. The Bologna process sought various academic models and reforms in the course of education and education courses and pursued the direction of standardization, flexibility, and employment. The important attempt in this direction is Modularization of the curriculum. History of Education is currently designated as a required module in the pedagogical courses at universities, department of education and philosophy, and colleges in universitie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s changes in the course of education, education of teachers and history of education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Bologna process in Germany. As a method of study this study identified the courses in each university as a case of a case study, the Regulations for Teaching and Education of Teachers, and the recent literature of education at German universiti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thodology, analysis standard and status of the teaching professor (Historische Padagogik) in the course of the university course in the chapter II, based on the module handbook and the LPO in order to see how historical pedagogy is being taught in a real university. In Chapter II, it will be informed about the practical facts of teaching in the course of teaching in addition, teaching methods, criteria, and status of teaching staff. These are investigated based on the module handbook and the latest research materials (LPO) and the latest research materials. In Chapter III, the review criteria were reviewed in accordance with the recommendation criteria of the German Academy of Education (DGfE), which is considered to be fixed in the course of the university`s academic curriculum and how much of this core curriculum is reflected. Based on the recommendation criteria of the German Educational Society (DGfE), we examined whether the recommendation and modularization proceeded well. In Chapter Ⅳ, we sought to identify the German university professors and their respective universities in the field of history of education.

      • KCI우수등재

        민주사회를 위한 역사교육의 기여

        고유경(Ko, Youkyung) 역사학회 2016 역사학보 Vol.0 No.230

        Since 1973, the Students’ Competition on German History for the President’s Award has been organized by the Körber Foundation. It goes back to a joint initiative by the former Federal President Gustav Heinemann and the founder Kurt A. Körber from Hamburg. They wanted to encourage German youth to trace back the democratic tradition of German history. Approximately 136,000 young people aged 8 to 21 years have participated in the 24 competitions called over the past 43 years. The Students’ Competition on German History has thus developed into the largest non-professional research undertaking in Germany. With topics like the German democracy, history of everyday life, everyday life under National Socialism, environmental crisis and the problems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etc., the Students’ Competition has repeatedly addressed socially relevant subjects opening up a public debate about history. ‘Learning by researching’ and ‘Staying close to real life’ are two slogans which characterize young people’s approach to their projects. The Körber Foundation has assisted their efforts by publishing Spurensuchen, its history magazine which is distributed nationwide to schools and other educational establishments. By doing so, the Students’ Competition has contributed not only to the renovation of the history education, but also to a democratic history culture in German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