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통합의 중심으로서의 독일개신교회(EKD)의 공공신학연구

        이상은 ( Lee Sangeun ) 한국조직신학회 2021 한국조직신학논총 Vol.63 No.-

        본고는 2010년대 이후 불평등과 다원주의의 도전 속에서 사회통합의 과제를 수행해 온 독일 개신교회의 공공신학 연구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다양성 속의 일치를 추구했던 볼프강 후버와 시민사회에서 기독교 신학의 응답을 모색했던 베드포드-슈트롬이 지도력을 행사해왔던 EKD의 공공신학적, 교회론적 대응을 살펴보고 있다. 이를 통해 첫째로 시대적, 사회적 도전 속에서 교회가 어떠한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지 방향을 얻고자 하며, 둘째로 신학의 이론적 작업이 실제 세계에서 어떠한 역할로 이어질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셋째, 궁극적으로 한국적 공공신학을 수립하기 위해 어떤 방향적 지침을 얻을 수 있을지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주제를 본고는 특히 후버와 베드포드-슈트롬의 신학적 작업을 비롯, 최근 EKD 내에서 활동 중인 공공정책 담당자들의 연구서들을 통해 살펴보고, 동시에 이 시기 발간된 정책서(Handschrift)들과 일련의 문서 등을 참조하여 고찰해 보고자 한다. 앞으로 한국 신학의 현장에서도 공공신학을 추구하는 교회는 포용과 다양성의 존중, 차이의 존중과 분배의 정의라고 하는 사회윤리적 개념을 추구해 나갈 것이 요청되며, 교회는 이러한 공공성의 담론에 기여하고 길을 모색할 때, 스스로의 생존을 넘어서 세상에 필요한 교회로 자리매김하게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public theology of the German Protestant Church(EKD), which has been carrying out the task of social integration amid the challenges of inequality and pluralism since 2009, centering on the leadership of Huber and Bedford-Strohm. As leaders of the public church, Huber has been seeking answers for the church in the pluralistic society, and Bedford-Strohm for the direction of Christianity in civil society. With this study, this paper at first attempts to find a direction for the role the church should play in the face of social challenges. Second, it examines what practical influence the theology can have in the public sphere. Third, ultimately, it explores to find guidance in establishing Korean public theology. This paper intends to comprehensively consider these topics by referring to the research of the theologians in the EKD and policy documents recently submitted in the German Church (EKD) in relation to this field. Churches pursuing public theology in a complex modern society are required to pursue inclusiveness, respect differences and diversity, and be concerned about the issue of fair distribution of wealth. When the church itself contributes to the discourse of public spheres and try to seek a solution, it will be able to establish itself as a necessary member of society, leaving behind the struggle for its own survival.

      • KCI등재

        신성한 유물론: 발터 벤야민의 정치신학에 대하여

        이택광(Taek-Gwang Lee) 한국비평이론학회 2012 비평과이론 Vol.17 No.2

        This essay argues that Benjamin’s weak messianism is connected to what he discusses in his early writings such as German Romanticism and Goethe. The category of a ‘messiah’ is significant in Benjamin’s conceptualization of political theology. His political theology aims at coming up with the resolution to progressivism which is internalized in orthodox historical materialism and setting up alternative to the teleological end of history. What he wants to do is to prove the possible history of unimproved humanity against the religion of capitalism. For Benjamin, messianism without a messiah could surmount the limit of historicism and solve out the problem of modernity. In this way, the category of divinity takes a core of his discussion on political theology--a messiah is not to determine the legislation of profane sovereign, but rather the legislation of the divine intervention into historical moments. A messiah is a revolutionary event as such and its legislation onwards. Benjamin’s concept of a messiah is the way in which decision is not the solution to the alternatives of catastrophic end of history, but rather the immanent power prompting the transition from within. From this perspective, this essay concludes that the theoretical basis for his political theology is from the way in which he defines the meaning of divinity which stems from his early discussion of German Romanticism as well as Baroque, the very aesthetic dimension of an artwork.

      • KCI등재

        미학적 예배와 신학적 사고를 자극하는 설교 - 헬무트 쉬비어 중심으로 -

        윤성민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52

        본고에서는 독일 실천신학자인 헬무트 쉬비어(Helmut Schwier)의 미학적 예배와 신학적 사고를 자극하는 설교 방법론을 소개하고 있다. 한국교회가 열린 예배를 신학적 검토와 비판 없이 교회에 받아들이면서 예전적 예배가 많이 약화하였다. 디트리히 본회퍼(Dietrich Bonhoeffer)가 던진 질문 ‘오늘날을 위한 예수 그리스도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은 조직신학뿐만 아니라 실천실학에서도 중요한 신학적 주제이다. 예배와 설교에서 예수 그리스도가 현대인에게 누구인지를 분명히 나타나야 한다. 그리고 감정만을 자극하는 방식이 아닌 미학적 접근방식으로 예배를 구상할 줄 알아야 하고, 회중이 진리를 자연스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수용미학적으로 회중이 예배 안에서 성서와 예수 그리스도를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현대인의 인식에 맞추어서 예전의 갱신이 일어나야 하고, 회중의 신학적 사고를 자극할 수 있는 설교 방법론을 개발해야 한다. 설교자는 ‘아멘’을 강조하는 방식이 아닌 평신도의 신학적 사고를 자극해야 한다. 이 설교 방법론에서 중요한 것은 ‘질문’이다. 설교자는 설교하면서 짧게나마 답변을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을 주어야 하고, 설교자는 왜 그렇게 믿고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답변을 말하면서 사고의 길에서 평신도와 동행해야 한다. 헬무트 쉬비어는 예배와 설교는 하나임을 강조한다. 수용미학적 관점에서 예배를 갱신하되, 강대상을 극장식으로 바꾸는 예배 갱신이 아닌 예전 갱신이 일어나야 한다. 회중은 예수 그리스도가 오늘날 우리에게 누구인지를 인식하면서 설교를 통해서 그들의 신학적 사고를 발전시켜야 한다. 한국교회의 평신도가 주체적으로 신학적 사고를 할 때 비로소 풍성한 신학적 사고관을 가지고 세상 안에서 기독교인답게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troduces German Practical Theologian Helmut Schwier’s preaching methodology that stimulates aesthetic worship and theological thought. As Korean churches adopted ‘The Seeker Service’ without theological review or criticism, ceremonial worship has weakened a lot. ‘Who Jesus Christ is today’ thrown by Dietrich Bonhoeffer is an important theological subject in practical theology as well as in systematic theology. Who Jesus Christ is to modern people should appear clearly in both worship and preaching. And now, it is necessary to conceive worship from aesthetic approach rather than from emotion-stimulating one. The congregation should be made to recognize the truth in a natural way. It is time to study how the congregation recognize the Bible and Jesus Christ within the worship from the reception aesthetics point of view. And the ceremonial worship should be improved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of modern people. And the preaching methodology that can stimulate the theological thought of congregation should be developed. Now, ordinary believers should be able to think theologically in an independent way rather than emphasizing ‘amen’ at preaching hours. What is important in this preaching methodology is asking questions. Preachers should give time to think about an answer to people briefly. Also, preachers should go with the ordinary believers on the way to thought about why they believe and behave so. Worship and preaching are the same thing. Worship should be improved from the reception aesthetics point of view, but the ceremonial improvement should be pursued rather than trying to change pulpit into a theater-style. The congregation should develop their theological thought through preaching, recognizing what Jesus Christ means to us today. Only when the congregation think in a theological way by themselves, they will be able to live as Christians within this world with rich theological thinking.

      • KCI등재

        야콥 타우베스의 보편주의적 바울 해석

        김진(Kim, Jin) 새한철학회 2018 哲學論叢 Vol.91 No.1

        이 글은 야콥 타우베스의 보편주의적 바울 해석이 지향하는 정치신학적 테제를 밝히고 그 의미를 생각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타우베스가 지향하는 ‘보편주의’는 예외상태를 결정하는 주권자의 정의에 근거하고 있다. 그러나 적과 동지로 구분하는 슈미트와는 타우베스는 사랑으로 적과 하나가 되는 공동체를 지향한다. 타우베스는 프로이트의 유일신교에 대한 독해를 통하여 정치신학자로서 바울의 면모를 발굴한다. 프로이트는 바울이 유대교의 ‘파괴자’인 동시에 ‘계승자’라는 측면을 중시하여, 자신의 ‘아버지 종교’ 이론을 정당화하는 데 적극 활용한다. 프로이트는 바울이 아버지(하느님)의 살해에 대한 죄책감(원죄)을 강조한 데서 그의 천재성을 발견하였다. 타우베스는 바울이 유대인 그리스도교인들의 권력 주장을 해체하여 바울 자신의 사도직에 대한 정당성을 확립했을 뿐만 아니라, 로마제국의 법적 질서를 폐기하는 선언을 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이런 사실에서 타우베스는 프로이트의 역할 모델이 모세가 아닌 바울이었다고 주장한다. 타우베스는 이러한 자기주장을 정당화하기 위하여 바울에서 자기 자신에까지 이르는 정치신학자들을 연결하는 선線을 구상하였는데 마르치온, 스피노자, 루터, 니체, 프로이트, 벤야민, 슈미트, 타우베스, 아스만까지를 그려 놓았다. 여기에서 매우 중요한 사실은 벤야민과 슈미트가 개념화한 ‘정치신학’인데, 타우베스가 이해하는 바울의 ‘보편성’은 바로 정치신학적 맥락에서만 생각할 수 있는 것이다. 그것은 ‘주권자’, 즉 ‘예외상태를 결정하는 자’만이 ‘법 파괴적 폭력’과 ‘법 정초적 폭력’을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타우베스는 모세가 하느님의 진노로부터 유대백성들을 구하기 위해 스스로 자신의 죄를 청하는 기도 의식이었던 욤-키푸르Jom-Kippur 전례의 의미를, 이방인 선교를 위해서 유대인들의 율법 체계를 넘어서야 하는 바울의 상황에 똑같이 적용하였다. 바울은 ‘하느님의 분노’를 지양하기 위하여 ‘하느님의 영’를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느님의 나라’를 세울 수 있는 ‘범 이스라엘’의 구원을 가능하게 하였다. 타우베스의 해석은 바울이 ‘교회의 적’으로 선언한 이스라엘인들이 왜, 그리고 어떻게 다시 돌아와서 하느님의 나라에 참여하는가를 설득력 있게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eal the political theological thesis that Jacob Taubes’ universalist interpretation of Paul implies and to think about its meaning. Taubes’ universalism is based on the definition of a sovereign who determines an exceptional state. However, unlike Schmidt, who divides into an enemy and a comrade, Taubes aims to become a unity with the enemy. Taubes finds Paul’s face as a political theologian through reading about Freud’s monotheism. Freud regards Paul as a “destroyer” of Judaism and a “successor”, and he uses it to justify his Vater-Religion theory. Freud discovered Paul’s genius, as long as he emphasizes the guilt (original sin) of the murder of the Father(God). Taubes assessed Paul’s decree to dismiss the claims of the Jewish Christians not only to establish the justification for Paul’s own apostolate but also to annul the legal order of the Roman Empire. In this fact, Taubes claims that Freud’s role model was Paul, not Moses. In order to justify this assertion, Taubes envisioned the line connecting the political theologians from Paul to himself, to Marcion, Spinoza, Luther, Nietzsche, Freud, Benjamin, Schmidt, Taubes and Asman. The very important fact here is “the political theology” that Benjamin and Schmidt conceptualize, and Paul’s universality, which Taubes understands, can be thought only in the political theological context. It is because only the sovereign, or the one who determines the exceptional state, can operate both the Violence to destroy the law and the Violence that sets the law. Taubes refers to the meaning of the Jom-Kippur liturgy, which was a prayer ritual in which Moses himself called for his sins to save the Jewish people from God’s wrath, the situation of Paul over the Jewish law system for Gentile mission. Paul suggested the “spirit of God”(pneuma tou theou) in order to abolish the “anger of God”(orge theou) and made possible the salvation of the “pan-Israel”(pas Israel) that could establish the “kingdom of God”(basileia tou theou) based on this. Taubes’ interpretation shows convincingly why and how the Israelites, whom Paul declared as the “enemy of the Church,” come back and participate in the kingdom of God.

      • KCI등재

        하인리히 수소의 신비주의 사상 연구

        김요섭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20 ACTS 신학저널 Vol.44 No.-

        Heinrich Suso(c.1295-1366), a representative of the medieval mysticism, presented a well-balanced mystical ideas which was distinct from the speculative medieval scholasticism but avoided falling into the typical errors of mysticism. As Christian mysticism, he illustrated the importance of the inner dimension of Christian faith and suggested some concrete methods to achieve spiritual progress in Christian life. However, different from his mentor Meister Eckhart’s mysticism, Suso did not forget to point out the inevitable dependency of human beings as creatures in contrast with the absoluteness of God’s existence. He also underlined the practical significance of Christ’s passion, and Christ’s role as the model of the spiritual life. Whenever he explains the nature of spiritual realities and teaches the way of spiritual exercises, Suso consistently stressed the mysterious aspects of spiritual truth and perfect happiness beyond any physical-intellectual dimension. Suso’s use of vernacular German in explaining spiritual progress and its application in daily life enabled his mysticism to influence a wide range of audience in his times. Futhermore, his idea can be considered as a link between the late mysticism and devotio moderna, one of the key renaissance movements. The relatively orthodox theological position and the popular style of Suso’s mysticism were two main reasons for the popularity of his mystical teachings throughout Europe afterwards. However, it is certain that Suso’s mysticism is different from the sixteenth-century protestant theology in soteriological, Christological, and practical points. Most of all, the late medieval german mysticism took spiritual experiences as the foundation of Christian faith, while protestant theologians maintained the word of God as the sole ground of Christian faith and theology. 하인리히 수소(Heinrich Suso, 1295-1366)는 중세 후기 독일의 신비주의를 대표하는 사상가로서 자신의 설교와 저술을 통해 신비주의의 신학적 이탈을 경계하면서도 스콜라 신학의 이성적이며 사변적 접근과는 구별되는 내면적 영성 계발의 필요성과 그 구체적 방법을 제시했다. 무엇보다 수소는 스승 에크하르트와 달리 하나님의 절대성과 차별되는 인간의 불가변적 피조성을 분명히 지적했으며 그리스도의 수난의 실천적 의의와 금욕적 삶의 모범으로서의 그리스도의 역할을 강조했다. 그는 자신의 저술에서 영적 실체적 대해 진술하고 그 실천에 대해 교훈할 때 항상 물리적이며 이성적인 차원을 넘는 선 영적 진리와 지복의 신비적 측면을 강조하기도 했다. 수소의 사상은 중세 후기 신비주의뿐 아니라 이후 나타난 근대적 경건(devotio moderna)과 중요한 이해들을 공유한다. 그는 자신이 생각한 영적 진보의 개념과 그 실천적 적용 방안들을 제시할 때 이해하기 쉬운 독일어로써 그 사유를 쉽게 표현했고 이해가 용이한 문장들을 사용해 대중들의 이해를 높였다. 이와 같은 표현의 용이성은 수소의 신비주의가 중세 후기 독일을 넘어 유럽 전역에 큰 영향력을 가질 수 있었던 가장 중요한 요인들 가운데 하나였다. 그러나 수소의신비주의 사상은 구원론과 기독론, 그리고 신앙의 기초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는 종교개혁 이후 개신교 신학과 명백한 차이를 가지고 있다

      • KCI등재

        1970년대-80년대 한국과 서독의 기독교 연대 : 한국 디아코니아자매회를 중심으로

        윤정란(Yoon Jungra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20 역사문화연구 Vol.73 No.-

        This analyzes, by the methodology of the historical sociology, the stories of the Diaconia Sisterhood in South Korea(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isterhood), which was established in 1980 in Korea and West Germany Christian Solidarity. At the same time, it was examined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ld War, Christianity, and Sisterhood. Sisterhood emerged because of the solidarity of the international liberal anti-communism between West Germany and the Korean Christian Church under Third World Liberal Anti-Communism strategy of the World Councils of Churches (WCC). The WCC launched the Third World Liberal Anti-Communism Strategy of “Indigenization and Contextualization” in order to win the regime confrontation with the Soviet communist camp. Subsequently, the West German Christian Church confronted East Germany through development assistance to the Third World. In this atmosphere, the Korean Christian Church received huge development support from the West German Christian Church. Mainly, it was development projects such as women s resource development, urban industrial mission, poor mission, birth control and so forth. The West German Christian Church sent missionaries to the Korean Christian Presbyterian Church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hn Byung-mu, who led the Sisterhood, insisted on people s theology as a firm anti-communist. Minjung theology was a theological theory aimed at standing politically, economically, and socially superior to North Korea in confrontation with the communist camp. What was noted in folk theology was the victimized neighbors. He thought the “victimized neighbor” that communism was the most suitable soil for self-sustainment, and emphasized the people as the subject of history so as not to deprive the “victimized neighbors” of the communist camp. Ahn Byung-mu proposed to a single female disciple who listened to Minjung theology to a community of faith that could be a colleague of a victimized neighbors. It was a new Cold War Crusade organization best suited for development projects to save “neighbors” who suffered from poverty by their ignorance. A West German missionary, Schweitzer was interested in the women s faith community proposed by Ahn Byung-mu as one of the third world development aid projects in West Germany. Hence Schweitzer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is Women s Faith Community. The reason why the members of Sisterhood participated in the establishment of the faith community was the situation of Korean women at that time. The women had professional higher education, but it was very difficult for them to have a professional career to exercise their abilities. Ahn Byung-mu and Schweitzer suggested ways to solve their difficult situation. The women s faith community was a new profession that promised them a future. Armed with Christian mercy, the Women s Faith Community was the best cultural content that could be supported at home and abroad. The members of Sisterhood actively participated in health and development projects in rural area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Sisterhood and its activities in rural areas were introduced through national and international media. This has been an important example of how Western Christian countries, including the WCC and the West German Christian Society, should approach third world countries and advance development projects. 이 논문은 한국과 서독기독교 연대로 1980년에 설립된 한국 디아코니아 자매회(이하 자매회)를 역사사회학적으로 분석하면서 세계 냉전체제와 기독교, 그리고 자매회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국 디아코니아자매회는 세계교회협의회(World Councils of Churches, WCC)의 제3세계 자유반공주의 전략에 따른 서독 기독교회와 한국 기독교회의 국제 자유반공주의 연대에 의해서 출현하였다. WCC는 소련 공산주의 진영과의 체제대결에서 승리하기 위해 토착화와 상황화라는 제3세계 자유반공주의 전략을 구사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발맞추어 서독 기독교회도 제3세계에 개발지원을 통해 동독과 체제대결을 벌였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한국기독교회는 서독 기독교회로 부터 막대한 개발지원금을 받았다. 주로 여성자원개발, 도시산업선교, 빈민선교, 가족계획사업 등의 개발프로젝트 등이었다. 서독 기독교회는 한국에 처음으로 한국기독교장로회로 선교사를 파견하였다. 자매회를 주도한 안병무는 확고한 반공주의자로서 민중신학을 제창하였다. 민중신학은 공산주의 진영과의 체재대결에서 북한보다 정치, 경제, 사회적으로 우위에 서기 위한 신학 이론이었다. 민중신학에서 주목한 것은 ‘수난당하는 이웃’이었다. ‘수난당하는 이웃’은 공산주의가 자생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토양이라고 믿었고, 공산주의 진영으로 ‘수난당하는 이웃’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 민중을 역사의 주체라고 강조하였다. 안병무는 민중신학을 경청하던 독신의 여성제자들에게 ‘수난당하는 이웃’의 동료가 될 수 있는 신앙공동체를 제안하였다. 그것은 무지로 인해 가난에 시달리는 ‘이웃’을 구원하기 위한 개발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형태의 새로운 냉전 십자군 조직이었다. 서독 선교사 슈바이처는 안병무가 제안한 여성신앙공동체를 서독기독교의 제3세계 개발원조프로젝트의 하나로서 주목하였다. 그래서 슈바이처는 이 여성신앙공동체를 설립하는 과정에서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 자매회 회원들이 신앙공동체 창립에 적극 동참한 것은 당시 한국여성들이 처한 현실에 있었다. 그들은 전문적인 고등교육을 받았지만 자신들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전문적인 직업을 가지기가 매우 어려웠다. 안병무와 슈바이처가 그들의 현실을 타개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해주었던 것이다. 여성신앙공동체는 그들에게 미래가 보장되는 새로운 전문직업이었다. 기독교의 자비로 무장된 여성신앙공동체는 국내외에서 후원을 받을 수 있는 최고의 문화컨텐츠였다. 자매회 회원들은 농촌에서 보건사업 및 개발 사업에 적극 뛰어 들었다. 자매회의 설립과정, 그들의 농촌에서의 활동 등은 국내외 언론을 통해 소개되면서 WCC, 서독 기독교회 등을 비롯한 서구 기독교국가에서 제3세계 국가에 어떻게 접근하고 개발 사업을 전개해야 하는지에 대한 중요한 사례로서 제시되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독일문학과 성서: 문학과 신학의 대화

        송희영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9 문학과종교 Vol.24 No.3

        After the Reformation and the translation of the Bible by Luther in 1517, German literature has produced great religious literature through the ages, and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German literature was born on the basis of the Bible. After the Enlightenment in Germany, Goethe’s Faust, the romantic works in the 19th century, Rilke’s poems in the 20th century, Joseph and his brothers by Thomas Mann are the works created from the motives of the Bible. The discussion of ‘religion and literature’ in Germany has been active as late as in the 1980s, which results from the distinct character restricts of German history. Based on the symposium in Tübingen, studies on ‘literature and religion’ have actively progressed since the late 1980s. In addition, beyond Germany active research was expanded to Austria in the 2000s. 1517년 루터의 종교개혁과 성서번역 이후 독일문학은 오늘에 이르기까지 각 시대마다 위대한 종교문학을 탄생시켰으며, 독일문학은 성서의 기반위에서 탄생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독일 계몽주의 이후 18세기 클롭슈톡의 『메시아』를 비롯해 괴테의 『파우스트』, 횔덜린의 시, 19세기의 낭만주의 작품들을 걸쳐 20세기 릴케의 시, 토마스 만의 『요셉과 그의 형제들』은 성서적 모티브를 통해 새롭게 탄생된 작품들이다. 전후 서독의 하인리히 뵐의 『아담아, 너는 어디에 있느냐?』와 동독의 슈테판 하임의 『다윗 왕』, 페터 학스의 『아담과 이브』 역시 성서적 소재를 통해 히틀러의 파시즘과 동독의 전체주의에 항거하고 있다. ‘종교와 문학’에 대한 독일의 논의는 1980년대에야 비로소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1984년 튀빙엔대학에서의 ‘신학과 문학. 20세기의 대화가능성과 한계들’이라는 주제로 문학인과 신학자들의 시대에 대한 진단과 반성, 책임을 토대로 문학과 신학의 상호협력이 필요하다는데 공감을 보였다. 튀빙엔에서의 심포지엄을 토대로 1980년대 후반부터 ‘문학과 종교’와 관련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척되었다. 또한 연구의 활성화는 독일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독일어권 문화에 해당하는 오스트리아에서도 확대되어 나갔다.

      • KCI등재

        십자가, 바흐와 브람스를 잇다: <독일 레퀴엠>의 신학적 상징어법

        황순도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24 성경과신학 Vol.110 No.-

        This study explored the theological symbolism contained in Brahms’s “German Requiem”. By analyzing his Requiem movements 2 and 6 first, this study was able to see the historical multi-layered nature of early music, which expressed the cross of Christ, from the Middle Ages to Bach. In this works, the symmetrical structure of the seven movements, with the chiasmus, the tonal Trinity symbolism and the cross figure, which are known as primary theological symbols in Bach’s works, were observed. Brahms’s own musical and theological expression was also discovered, such as a C-H-E-motive for implying Christ in a cryptography and the narrative of the cross. Through detailed examination of the score,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reversal drama of the crucifixion and resurrection was implied in the motive transformation as Brahms’s unique ‘developing variation’ technique. This interpretation is based on Werckmeister’s theological speculative view that the seventh partial tone among harmonic overtones corresponds to dissonance, which could be linked with the secret of the cross. In conclusion, this study exemplified that the transformation of the cross motive in the sixth movement was already planned in the second movement and this motivic variation technique of Brahms could be seen as Luther’s Christocentric notion of biblical interpretation.

      • KCI등재
      • KCI등재

        Goethe’s Asses: Wilhelm Meister’s Apuleian Theology of Curiosity and the Prospect of a World Literature

        애들러안소니 한국비교문학회 2010 比較文學 Vol.0 No.52

        The following paper compares Goethe’s Wilhelm Meister to the Metamorphoses, also known as the Golden Ass, of Apuleius, arguing that the Meister-novels involve a subtle transformation of Apuleius’s novel of transformation. In this way I hope to argue that the putative realism of the modern novel should not be understood merely as the triumph of secularization, but in fact has a theological basis. At the center of this hidden theology of the novel is the concept of curiosity: Wilhelm Meister receives, and transforms, Apuleius’s treatment of curiosity. In contrast to Augustine, Apuleius will regard curiosity not as merely sinful, but as leading towards a certain kind of salvation. Wilhelm Meister will radicalize this theology of curiosity: curiosity saves us by initiating us into the world, understood not as the merely real opposed to the ideal and transcendent, but as nature in its abiding openness to change and trans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