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녹색기후기금(GCF)의 조직구조와 역할수행에 관한 국제환경법적 검토

        김두수(KIM Doosu) 대한국제법학회 2013 國際法學會論叢 Vol.58 No.4

        GCF는 UNFCCC 제11조에 따라 재정체계를 갖춘 국제기구로서 설립되었으며, 특히 지속가능한 발전의 맥락에서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개발도상국의 온실가스 배출감축과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국제공동체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범지구적 노력의 일환으로 기후변화의 심각성과 긴급성에 대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GCF는 투명하고 책임감있는 방식으로 효과적으로 그리고 효율적으로 운영되어 개도국의 재정지원을 적절하게 수행하며, 기후재정과 관련하여 공적부문과 사적부문 그리고 국제적 차원과 국내적 차원에서 촉진적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GCF는 국가주도의 접근방식을 추구하며, 국가적 차원의 관련 기관과 이해관계자들의 효과적인 참여를 증진하고 강화한다. 또한 GCF는 신청자의 접근가능성을 용이하게 하고, 모니터링과 평가절차를 통해 지속적으로 조직의 운영과 관련하여 연구할 것이며, 기후변화적응과 탄소배출감축을 위한 기금의 효과를 극대화하며, 환경적·사회적·경제적·발전적 공동이익의 증진과 성평등 양자 간의 균형 또한 추구한다. 한편 GCF는 이사회에 의해 운영·감독되며, 이사회는 기금의 결정에 대하여 책임을 지며, UNFCCC COP로부터 지침을 받아 운영된다. 이러한 GCF는 독립된 사무국을 설치하며, 기금의 재정자산을 관리하기 위해 행정적 권한을 갖는 수탁기관을 둔다. 이사회는 선진국과 개도국의 동수로 구성되며, 개도국그룹의 대표는 UN의 관련 지역그룹의 대표들과 소도개도국 및 최빈국들의 대표로 구성된다. 이사회의 구성원은 대체이사를 둘 수 있는데, 이들은 이사회의 이사가 참여하는 회의에 참여할 자격을 가지며, 이사회 이사의 ‘결석 또는 부재’ 시에 이사회의 구성원으로 취급되나, 주요 이사로서 활동하지 않는 한 ‘투표권’은 없다. 이사회 의장(공동의장)은 개도국에서 1명, 선진국에서 1명으로 총 2명이 이사회 구성원들 중에서 1년 임기로 이사회에 의해 선출된다. 이사회는 총의로 의결하며, 반대의견을 제시하는 이사가 존재하는 경우 공동의장은 반대 이사를 직접 설득하는 임무를 수행하며, 이러한 직접적인 대화에도 실패하는 경우에는 다음 이사회에서 제안된 결정의 채택을 위해 고려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이사회의 주요 기능에는 기금과 관련된 모든 요소의 운영을 감시, 운영될 세부사항과 재정구조에 관한 세부원칙의 승인, 환경적·사회적 세이프가드와 국제적으로 수용되는 척도의 원칙의 수립, 기금을 운영하는 실체에 대한 승인 및 취소, 모니터와 행위에 대한 ‘평가의 틀’의 확립, 사무국장·평가부서간부·회계책임자 등 모든 책임자들의 임명 등이 있다. 그리고 사무국은 완전히 ‘독립적’으로 운영되며, GCF의 매일의 운영에 대하여 책임을 지며, 행정적·법적·재정적 전문지식을 제공한다. 사무국의 주요 기능에는 모든 행정적 사무의 수행, GCF 회원국들·이행 주체들 및 양자간 또는 다자간의 관련 기관들과의 연락, GCF하의 ‘활동보고서’의 준비, 프로젝트와 프로그램의 조직·운영, 이사회업무의 보조와 관련된‘모니터링’과 ‘평가’ 기능의 수행등이 있다. 이러한 GCF는 운영상 긴급하고 심각한 기후변화에 대한 판단의 기준문제로 인한 지원 배분의 공정성과 투명성의 문제, 개도국수혜 중심으로 인한 선진국으로부터의 재원 확보의 문제, UNFCCC COP의 지휘 하의 기능으로 인한 강대국의 영향력 행사의 문제, 기술 개발 및 이전의 개도국 수혜의 한계, 급박한 필요성으로 인한 개도국지원의 절차간소화의 필요성, 재원 지원 후의 성과확보를 위한 구체적 조치의 필요, 독립평가기구의 평가의 객관성 확보의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한편 2012년 10월 20일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 GCF 2차 이사회 결과 GCF 사무국의 소재지로 우리나라의 인천 송도가 결정되었으며, 이는 GCF 운영지침서 제22문단에 따라 2012년 12월 카타르 도하 UNFCCC COP18에서 승인되었다. 한편 2013년 7월 30일부터 GCF의 법적 능력(법인격)을 명시하고, 기금의 출연, 출연 방법, 기금과의 협력,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행정적·재정적 지원 등을 규정한 “녹색기후기금의 운영지원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었고, 2013년 6월 10일 대한민국 외교부장관과 GCF이사회 공동의장(2인) 간 서명되어 6월 25일 국회 비준동의를 받아 2013년 8월 27일 발효된 GCF 및 직원들의 특권·면제 등을 규정한 “GCF 본부협정”이 완비되어 GCF 사무국의 인천 송도 이전을 위한 법적 준비를 마치게 되어, 12월 4일 사무국 출범식을 갖게 되었다. 현 시점에서 우리나라는 GCF 사무국 유치 홍보 외에 GCF의 조직구조와 역할수행, 즉 거버넌스 등에 관한 종합적 운영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보다 필요한 상황으로, GCF거버넌스상의 문제점을 직시하여 적절히 대응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기후변화 체제의 재정분야 쟁점과 녹색기후기금(GCF)의 역할

        박시원(Park, Si-Won)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4 환경법과 정책 Vol.13 No.-

        국제사회는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현행 국제법인 교토의정서를 대체하는 새로운 국제기후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치열한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2015년까지 합의에 이르기로 약속한 新기후체제에서는 개도국들도 적극적인 감축행동을 이행해야 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위해 국제사회의 재정지원이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우리나라는 기후재정 메커니즘으로 새롭게 설립된 녹색기후기금(Green Climate Fund, GCF)의 사무국을 유치하는 성과를 거둔바 있다. 온실가스 감축과 적응분야 지원을 위한 성공적인 국제 재정메커니즘의 운영은 선진국과 개도국간의 해묵은 반목과 대립을 불식시키고 협상의 진전을 꾀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임에 동시에 우리나라의 환경외교의 큰 성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GCF의 성공적인 운영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할 과제들이 산적하다. 기금의 규모, 조성방안, 민간자금의 활용범위 및 규모, 기금의 조성시기 등 중요한 쟁점이 여전히 미합의상태이다. 또한 현재 UNFCCC 협약 내외적으로 다양한 기후 관련 기금들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GCF가 기후재정의 주요기금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여타 기금과의 연계 및 차별화 방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GCF가 현재 당면한 쟁점과 과제를 살펴보고, GCF의 역할의 가능성과 한계를 분석한다. 특히 GCF의 역할과 재정 메커니즘에 대한 주요국별 포지션을 분석한다하여 향후 협상 방향성을 파악한다. 이를 바탕으로 GCF의 조기운영과 역할 강화를 위한 적응관련기금과의 통합 및 흡수방안을 제안한다.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in the midst of negotiation to design the new international climate change regime, which will replace the current Kyoto Protocol. The key difference between the Kyoto system and post-Kyoto system is that developing countries will bear burden to address climate change issues. The building of the international financial mechanism to support mitigation and adaptation activities of developing countries is a key to the successful regime design. Against this backdrop, the Green Climate Fund was established in 2010, of which secretariat is hosted by the Republic of Korea. Although the Green Climate Fund would bring new opportunities to developing countries and developed countries alike, there are still so many pending issues to be resolved before the meaningful operationalising of the Fund, including the size of thd Fund, sources, funding mechanism, timeline of capitalization, and so forth. This paper analyzes key challenges to the GCF’s early capitalization and operation. It also discusses the position of major negotiating members to highlight the differences and convergence in their positions. With the analysis, the paper suggests the GCF’s linkage with other adaptation-related funds and possible consolidation. Once the Fund has flow from public finance and gains experience in raising and executing funds in adaptation area, it would have more confidence and capability to actively engage in mitigation support business.

      • KCI등재

        녹색기후기금(GCF)의 법인격 관련 문제

        정민정(Min Jung Chung) 서울국제법연구원 2012 서울국제법연구 Vol.19 No.2

        현재 외교통상부는 녹색기후기금(GCF)와 대한민국 정부 간의 본부협정 체결을 준비하고 있는데, 두 가지 법적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하나는 국제기구의 국제법상 법인격과 본부협정 체결능력과의 관계이고, 다른 하나는 국내 법률의 제정이 필요한가 여부이다. 특히 후자와 관련하여서는 녹색기후기금은 물론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와 향후 유치할 국제기구까지 종합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가칭 “국제기구법”이라는 일반법을 제정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대한민국 정부가 녹색기후기금과의 본부협정 체결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제기된 네 가지 법적 논점 (①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 결정의 법적 성격, ② 법적 구속력이 없는 문서에 의한 국제기구 설립이 가능한지 여부, ③ 국제법인격의 취득시기와 ④ 국제법상 법인격과 본부협정 체결능력과의 관계)에 관한 해답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① 해외사례, ② 국제법인격과 국내법인격의 관계, ③ 국제기구의 다양한 유형과 ④ 본부협정의 발효가 늦어지면서 나타나는 법적 공백의 문제, 그리고 ⑤ 국제기구의 비회원국 내에서의 국내법적 지위 문제와 같은 다각적인 측면에서 볼 때, 국제기구에 관한 일반법의 제정이 필요하다는 제언을 하였다. The Korean government was committed to hosting the Secretariat of the Green Climate Fund (GCF) to spread the vision of green growth as an international asset. In this article, I will analyze the legal issues related to concluding a headquarter agreement with the GCF and the necessity of making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Law, or a domestic law that would determine the legal status of an international entity within the domestic legal sphere. In order to do so, I will examine the international law for the legal status of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and draw upon a precedent of establishing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The legal statu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under international law provides such organizations with rights, privileges, obligations, and authority for the execution of its activities. The legal status of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is a different concept from the legal status of its member States. The status of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is essentially related to its functional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can exercise the rights, privileges, obligations, and authority given to it explicitly or implicitly by member States. Generally,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has the international juridical or legal personality, the legal capacity and the privileges and immunities (P & I). The constitutive instrument on which the GCF`s establishment is based, is the decision of the 2011 Conference of Parties (COP17) of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f Climate Change (UNFCCC), which is a non-binding recommendation. In order to establish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from the COP decision without an establishment agreement, it needs to be supplemented by the making of a national law and a headquarter agreement between the host state and GCF. Although the contracting parties have agreed to confer to the GCF legal personality, at this stage, the international legal personality of the GCF is only potential. It is only through the concrete exercise of its power independently from its members that the GCF may acquire international legal personality. However, nothing prevents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generally considered as not possessing international legal personality from concluding international treaties, although the conclusion of treaties is an important indicator of the international legal personality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Moreover, the importance of headquarter agreements is rather limited as normally a host state provides for the legal personality in the domestic legal system, regardless of its membership in the organization. There is no direct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 legal personality and domestic legal personality.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may possess international but not domestic personality, or the other way around. Nothing keeps a state from conferring domestic legal personality on an organization deprived of personality in international law. Further, there is fast-growing room where the constitutional rules on the relation between municipal and international law cannot answer the legal status of an international entity within the domestic legal sphere. Therefore, the crux of the matter remains the making of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Law.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hat domestic legal personality of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should derive directly from the enactment of domestic measures as much as possible, which would lessen a problem for the stability of its legal status.

      • KCI등재

        남북 환경협력과 한반도 탄소중립 기후공동체 구축 방안 : 녹색기후기금(GCF) 재원 및 기후프로젝트 활용을 중심으로

        한상민 한독사회과학회 2022 한독사회과학논총 Vol.32 No.1

        본 연구는 파리협정을 기반으로 한 신기후체제 출범 이후 국제사회가 기후위기를 매우 ‘긴급한(urgent)’ 지구적 도전과제로 인식하고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공동의 노력을 강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남북 환경협력의 방향을 새롭게 고민하고 ‘한반도 탄소중립 기후공동체’ 구축을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대응의 중추적 국제 금융기구인 녹색기후기금(Green Climate Fund: GCF)의 재원과 기후프로젝트 활용을 위한 접근 방식과 남북 기후협력의 실제적 운영 방안에 대해 주목하고자 한다. 우선 제2장에서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평가보고서에서 발표된 지구적 기후위기의 현황과 전망을 간략히 살펴본 후, 남북한이 UNFCCC에 제출한 기후변화 국가보고서(National Communication)의 주요사항들을 점검해 본다. 제3장에서는 남북 환경협력의 과제 및 한계를 어떻게 해결하고 극복해야 할지, 그리고 Post-2020 신기후체제 하에서 한반도 기후공동체를 향한 남북 환경협력의 방향에 대해 고찰해 본다. 제4장에서는 파리협정 제11조 ‘재원(finance)’을 통해 기후재원의 역할과 중요성을 살펴본 후, GCF 재원과 기후프로젝트 활용을 중심으로 남북 기후협력의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direction of environmental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and present policy measures to build a ‘Carbon-Neutral Climate Community of the Korean Peninsular’ at a time whe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recognized the climate crisis as the most serious global problem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Climate Regime based on the Paris Agreement. In particular,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financial resources of the Global Climate Fund (GCF), a pivotal international financial organization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the approach to taking advantage of climate projects, and practical ways of advancing climate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Chapter II presents first the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the global climate crisis in the 4th Assessment Report (AR4)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and then analyzes the main points of each National Communication (NC) submitted by the two Koreas to the UNFCCC. Chapter III considers how to solve and overcome the challenges and limitations of the inter-Korean environmental cooperation and the direction of inter-Korean environmental cooperation toward the carbon-neutral climate community on the Korean peninsula under the Post-2020 New Climate Regime. In Chapter IV, after examining the role and importance of the climate finance through Article 11 of the Paris Agreement, we will have a close look at the ways to promote inter-Korean climate cooperation toward a carbon-neutral community on the Korean Peninsula, focusing on the taking advantage of GCF’s funding and climate projects. Chapter V concludes with a summary of the research and a discussion of the main arguments.

      • KCI등재

        녹색기후기금 평가체제 논의동향과 대응 방안

        정지원 ( Ji One Jung ),임소영 ( So Young Lim ) 한국환경정책학회 2012 環境政策 Vol.20 No.2

        According to the decision adopted at the UNFCCC COP16 held in Cancun in 2010, negotiating parties decided to establish a Green Climate Fund (GCF) to be designated as an operating entity of the financial mechanism of the UNFCCC. The GCF will support projects, programmes, policies and other activities to support developing countries vulnerable to the risk of climate change. This paper focuses on themonitoring and evaluation systemof the GCF and aims to provide useful policy insights for Korea. Korea has been participating as one of themember of the transitional committeewhich was organized for the design of the GCF and expressed an interest of hosting the GCF. This paper first introduces the historical background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GCF. Key issues in the designing process of the GCF will be addressed. For the monitoring and evaluation system, discussion on the following components is described in detail: organization, fiduciary standards, environmental and social safeguards, and participation of stakeholders. This paper suggests that Korea should build capacity to participate in the future discussion of developing the monitoring and evaluation systemof the GCF.

      • KCI등재후보

        신기후체제에 적합한 법정책 방향 -GCF(Green Climate Fund)Project 개발과 관련하여

        김민철 ( Min Chul Kim )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15 국제법무 Vol.7 No.2

        Post-2020 Climate Change Regime is the new climate agreement to replace Kyoto Protocol. Unlike the previous agreement that put most responsibility to developed countries, developing countries are now equally responsible. Also, the importance of adaptation is as significantly discussed as carbon reduction is. Korea actively involves in this agreement, by officially claiming carbon reduction target and attending international climate agreement like COP21. Domestically, there is ``The 2nd National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is in progress. At this point, participation to GCF business development can be a good chance for environmental industry. This paper primarily investigates legal policies that would better adapt to the revision of renforcement Decree of the Framework Act on Law Carbon, Green Growth J and Post 2020. In addition, GCF``s legal status is defined and the result of recent 10th GCF board meeting is summarized to discuss the risks of GCF businesses and participation of environmental industry to these projects. GCF project development for overseas expansion of domestic industries is needed. The Government is developing a project of generation from waste landfill gas to reduce emission of developing countries. Also contacting the NDA (National Designated Authority), explaining our project development direction, checking the interests of the involved country, and asking for support from the NDA is needed. Also, feasibility check of the economic, environmental, and legal aspect is needed. Cost-benefit analysis, internal return rate analysis and sensitivity analysis can be methods of economic feasibility check. Establishing and evaluating mid, long-term investment plans are also important. For environmental feasibility check, environmental effects evaluation will be the effective. Establishing environmental effect reduction methods can be another solution. Laws regarding licensing and facility installment and operation are also needed to be checked. Under post 2020 system, Korea should properly revise carbon trading policy, disaster preparation policy, law for disaster prevention in sleep sloped regions, coast management act and regulation on facility installment and operation. However, the agreement about the Post-2020 Climate Change Regime was not concluded by the COP21. Therefore, a specific discussion about the enactment and amendment is difficult. It is a limitation of this study. Finally,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ost 2020-based enaction of Special Act on Energy Business Development and Climate Change Adaptation Law.

      • KCI등재

        우리나라 기후기술협력 프로세스 상 젠더 주류화 전략 연구: 유엔기후변화협약 하에서 기후기술과 젠더 주류화 현황 분석에 기반하여

        이계영,오채운 한국기후변화학회 2020 한국기후변화학회지 Vol.11 No.5

        The issue of gender equality was introduced to the global arena in 1995 at the 4th World Conference on Women. Since then, the United Nations has pursued gender mainstreaming as an instrument to integrate gender perspectives into policy formulatio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toward gender equality. In the area of climate change, it has been recognized that gender inequality not only exacerbates the vulnerability of women to climate change, but also negatively influences the effectiveness of global action to combat climate change. Thus,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UNFCCC) has employed gender mainstreaming strategies since 2014 to galvanize the gender-mainstreaming actions of both parties to the UNFCCC and its constituted bodies. This paper discusses the gender mainstreaming strategies of two constituted bodies of the UNFCCC, the Climate Technology Centre & Network (CTCN) and the Green Climate Fund (GCF), designed to provide technology support to developing countries. These constituted bodies have mainstreamed gender perspectives in their governance and project implementation processes. Korea has been in collaboration with the CTCN and the GCF in its efforts to support developing countries in terms of climate technology development and transfer on the basis of the Global Climate Technology Cooperation Strategy established in 2018. In 2020, Korea plans to revise this plan considering the gender-mainstreaming efforts of the CTCN and the GCF. Therefore,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gender mainstreaming efforts of the CTCN and the GCF based on the gender-mainstreaming frame, with gender elements required at each stage of the project cycles. The analytical result shows that the CTCN and the GCF reflect gender elements required for each stage of a project cycle. Though the CTCN and the GCF have some differences and require further refinement in their gender-mainstreaming efforts, they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mainstreaming gender perspectives in the Korean climate technology cooperation strategy.

      • 정책보고서 2015-12 : AllB 출범과 GCF 운영을 고려한 한국 환경외교의 방향 및 정책 과제

        이정석 한국환경연구원 2015 수시연구보고서 Vol.2015 No.-

        올 연말 공식 출범을 앞둔 AIIB와 본격적인 사업 운영을 앞둔 GCF는 한국 환경외교방향 설정에 새로운 시사점을 던지고 있다. AIIB의 설립과 GCF의 운영은 세계 시장을 대상으로 인프라 사업 시장과 기후변화 사업 시장이 열리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한국은 그간 중견국 외교를 통해 추구하여 왔던 목표, 즉 국제사회의 노력에 동참하면서 동시에 한국의 국익을 극대화하려는 노력을 더욱 강화해 나아가야 할 시점이다. AIIB 설립과 GCF 운영을 계기로 살펴본 향후 한국 환경외교의 방향은 한국 중견국외교를 지금보다 한 단계 더 높은 차원으로 고양하고, 국내 체질개선의 기회로 삼아 AIIB와 GCF가 국제사회를 대상으로 벌일 인프라 및 기후변화 대응 사업 시장에 한국의 산업과기업들이 진출하여 한국의 국익을 증대하는 방향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1) 인프라 사업과 기후변화 대응 사업을 별개의 사업으로 규정짓지 말고 상호 통합할 수 있는 방향에서 사업 모델을 개발해야 할 필요가 있고, 2) 현 정부가 국정과제로 제시하고 있는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를 현실화한다는 측면에서 북한의 AIIB 가입을 추진하고, 향후 AIIB 운영을 염두에 둔 한국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와 중국 일대일로의 연계, 더 나아가 러시아 신동방정책과의 연계를 추진할 필요가 있으며, 3) 장래 AIIB중요 의사결정에 한국의 목소리를 적절히 반영할 수 있도록 아세안 국가들과 긴밀한 협조채널을 지금보다 더욱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 SCIESCOPUSKCI등재

        ON THE LARGE DEVIATION FOR THE GCF<sub>𝝐</sub> EXPANSION WHEN THE PARAMETER 𝝐 ∈ [-1, 1]

        Zhong, Ting Korean Mathematical Society 2017 대한수학회지 Vol.54 No.3

        The $GCF_{\epsilon}$ expansion is a new class of continued fractions induced by the transformation $T_{\epsilon}:(0, 1]{\rightarrow}(0, 1]$: $T_{\epsilon}(x)={\frac{-1+(k+1)x}{1+k-k{\epsilon}x}}$ for $x{\in}(1/(k+1),1/k]$. Under the algorithm $T_{\epsilon}$, every $x{\in}(0,1]$ corresponds to an increasing digits sequences $\{k_n,n{\geq}1\}$. Their basic properties, including the ergodic properties, law of large number and central limit theorem have been discussed in [4], [5] and [7]. In this paper, we study the large deviation for the $GCF_{\epsilon}$ expansion and show that: $\{{\frac{1}{n}}{\log}k_n,n{\geq}1\}$ satisfies the different large deviation principles when the parameter ${\epsilon}$ changes in [-1, 1], which generalizes a result of L. J. Zhu [9] who considered a case when ${\epsilon}(k){\equiv}0$ (i.e., Engel series).

      • KCI등재

        ON THE LARGE DEVIATION FOR THE GCFε EXPANSION WHEN THE PARAMETER ε∈[−1, 1]

        Ting Zhong 대한수학회 2017 대한수학회지 Vol.54 No.3

        The GCF$_\epsilon$ expansion is a new class of continued fractions induced by the transformation $T_{\epsilon}:(0,1]\to (0,1]$: $$ T_{\epsilon}(x)=\frac{-1+(k+1)x}{1+k-k\epsilon x} \ {\text{for}}\ x\in \big(1/(k+1), 1/k\big]. $$ \noindent Under the algorithm $T_{\epsilon}$, every $x\in (0,1]$ corresponds to an increasing digits sequences $\{k_n,{n\ge1}\}$. Their basic properties, including the ergodic properties, law of large number and central limit theorem have been discussed in \cite{Sc}, \cite{SZ} and \cite{Zh}. In this paper, we study the large deviation for the GCF$_\epsilon$ expansion and show that: $\big\{\frac{1}{n}\log k_n, n\ge1\big\}$ satisfies the different large deviation principles when the parameter $\epsilon$ changes in $[-1,1]$, which generalizes a result of L.~J.~Zhu \cite{Zhu} who considered a case when $\epsilon(k) \equiv 0$ (i.e., Engel se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