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래 워크숍을 활용한 교육대학생의 미래사회 및 직업탐색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장현진 한국실과교육학회 2019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the future societies and career exploration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of education by using the futures workshop method,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developed and operated a future societies and career exploration program using futures workshop in one of liberal arts subject at 'S' University of Education. Future self-efficacy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students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workshop.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er developed a 4-hour Future exploration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of education, which included futures workshop to discuss for future societies and career exploration. This is meaningful as a first developed program introducing the future workshop method for university student of education. Second, education college students have the highest possibility of continuous growth society among the four alternative futures, but the most preferred future is the transformative society. The students were able to create the necessary industrial fields and the role of the necessary occupations, although it was difficult to elaborate the job that would be spotlighted in the four alternatives future societies. Third, in the pre and post test of the futures workshop, the level of future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increased. Based on the students feedback of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future workshop is meaningful sharing of future ideas through team activities, and changes in students’ future perception and readiness behavior. Through this research, the researcher suggested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future societies and career exploration program and related research development. 이 연구의 목적은 미래 워크숍을 활용하여 교육대학생을 대상으로 미래 사회 및 직업탐색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고, 그 효과성을 검토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S교육대학교 1학년 교양과목에서 미래 워크숍을 활용한 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영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토하기 위해 미래 워크숍 사전과 사후에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미래 효능감을 조사하고 참여 소감을 받았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 워크숍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팀 활동으로 4가지 미래 사회와 직업 세계의 모습을 탐색하는 4시간 분량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는 우리나라 교육대학생에게 미래 워크숍 방법을 적용하여 구성했다는 점에서 새로운 시도라는 의미가 있다. 둘째, 미래 워크숍을 적용한 결과 교육대학생들은 4가지 대안적인 미래 가운데 지속적인 성장사회의 실현 가능성을 가장 높게 보았지만, 현재와 다른 획기적인 발전이 이루어지는 변형사회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학생들은 4가지 미래에서 주목받을 직업을 구체적으로 도출하는 것은 어려워하였지만, 그 사회에 필요한 산업 분야와 직업인의 역할에 대해서는 활발하게 논의 하였다. 셋째, 프로그램 참여 학생에 대한 미래 효능감 사전-사후 조사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미래 효능감 수준은 사전보다 사후에 더 높아졌다. 학생들의 프로그램 참여 소감은 미래를 상상하는 활동이 보람 있었고, 팀 활동을 통한 생각의 공유가 의미 있었으며, 그리고 미래에 대한 인식과 준비 행동의 변화를 유발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이를 통하여 이 연구에서 적용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적용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미래 워크숍을 활용한 미래 사회 및 직업탐색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그리고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 방법론을 활용한 미래교육 키워드 분석

        권선아(Sun Kyun),김한나(Hanna Kim),이수영(Soo Young Lee)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5

        본 연구는 ‘미래비전 수립 워크숍(이하 미래워크숍)’과 ‘신문기사’로부터 수집한 미래교육 관련 텍스트를 대상으로 텍스트마이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미래워크숍에는 창의‧융합 교육에 관심과 경험을 지닌 전‧현직 초중등 교사 및 교육전문가 그리고 대학생 25명이 참여하였다. 25명의 참여자는 6개의 집단으로 나뉘어 미래교육과 관련된 자유토론을 수행하였고, 토론의 내용을 담은 녹취록을 텍스트 자료로 활용하였다. 신문기사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인 빅카인즈으로부터 2017년 1월 1일부터 2018년 2월 28일까지 보도된 자료를 수집하였다. 1)텍스트마이닝을 통하여 수집된 텍스트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였고, 2)키워드 빈도분석을 거쳐 워드 클라우드를 생성하였으며, 3)미래교육과 관련된 주요 키워드 두 개를 추출하여 미래사회 시나리오 별로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미래워크숍에서는 미래사회와 미래교육에 대한 다양한 전망이 논의된 반면, 신문기사에서는 교육정책 수행 및 그 이해관계자들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루었다. This study compared/analyzed the results of text-mining of Future Education related text collected from ‘Future Vision Workshop (hereafter, Future Workshop)’and ‘newspaper articles’. 25 elementary & middle school teachers, education experts, and college students, who were interested in and experienced in STEAM education, attended the Future workshop. 25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conducted discussion related to future education, and the recoding of the discussion was used as text material. The newspaper articles were collected from BIGKINDS (i.e., newspaper database system), which were published from Jan 1 2017 to Feb 28 2018. 1)Keywords were extracted from collected text through text-mining, 2)Wordcloud was created through Keyword frequency analysis. 3) Two keywords related to future education were extracted and a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each future scenario. Results indicated that various prospects for future society and education were discussed in the future workshop, compared to the newspaper articles featuring the implementation of education policy and stakeholders.

      • KCI등재

        연구 워크숍을 통해 바라본 청소년의 미래 직업 탐색 연구

        박성원,강경균 한국실과교육학회 2014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7 No.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help teenagers imagine their future on their own, searching for solution to work out not only present but future problems and discover aspect of future society they wish, finding out a job they want to realize in such society and create it. To accomplish such purpose, we had been executing futures workshops with one hundred and sixty one students in high schools of profession. Before progressing workshop, we developed and confirmed procedure of future research workshop, qualitatively investigating/analyzing the forecasted characteristics of future society, future job of teenager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below. First, we developed a program of a futures workshop that is composed of past research, recomposition of presence, forecasting diverse futures, exploring four scenarios of the future, decision-making for recommended future, establishment of plan for realizing future, institutionalization of futures studies. Second, as result of three workshops, the sub-areas of self-efficacy towards futures, which are ability to shape new meanings, ability to make a decision and put it into action, ability to challenge the status quo, and ability to learn something new by cooperating with others, appear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the second and the third workshop except for the first. Third, participants chose a conserver society as the most likely future and a transformative society as the most desirable future among others. Forth, as future jobs that had been induced by participants, there were a designer of virtual reality, an expert on child personality management, a party planner, a developer of artificial intelligence as if we assume that Korea is economically most powerful country in the world. What is more, if we suppose society is going to be disrupted someday by variety of reason, there were several more such as a virus manager, a public security maintainer, a bicycle energy developer. Besides, if society turns into the conserver society for some reason such as lack of energy, they forecasted that jobs like a road manager, a sweeping labor, a goods transporter would be more promising. At last, if society turns into a transformative society, jobs like a planet construction expert, a chip security expert, a robot designer, a campaigner for right of robot, a designer of virtual space would rise.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이 직접 미래를 상상하고, 현재의 문제 뿐 만 아니라, 미래의 문제를 풀어낼 대안 미래를 탐색하며, 스스로 바라는 미래사회의 모습을 찾아 그 사회에서 자신이 실현하고픈 직업을 발견하거나 창조하도록 돕기 위함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성화고등학교 161명을 대상으로 미래 연구 워크숍을 진행하였다. 워크숍을 진행하기에 앞서 미래 연구 워크숍 과정을 개발하고 검토하였으며, 미래 연구 워크숍의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미래 연구 워크숍을 경험한 청소년의 미래 효능감을 조사․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 연구 워크숍은 과거연구, 현재의 재구성, 다양한 미래 예측, 4가지 대안 미래 탐색, 선호하는 미래 결정, 미래 실현을 위한 계획 수립, 미래 연구의 제도화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는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였다. 둘째, 세 차례의 워크숍을 진행한 결과, 1차를 제외한 2, 3차 미래 연구 워크숍을 경험한 참여자들은 미래 효능감의 하위영역인 새로운 의미 생성력, 실천력, 사회개선력, 의사소통력 4가지 영역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참여자들이 예측한 미래 사회상 중 선호하는 미래로는 변형사회를, 가장 가능성 있는 미래로 보존사회를 선택하였다. 넷째, 참여자들이 도출한 미래 직업은 한국이 세계 최고의 경제 강국이 되었을 때를 가정했을 때, 가상현실 디자이너, 아동 인성 관리 전문가, 파티 플래너, 인공지능 개발자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사회가 여러 가지 이유로 붕괴됐을 때를 가정했을 때, 바이러스 관리인, 치안 유지자, 자전거 에너지 개발자 등을 도출하였다. 또한 사회가 에너지 부족 등의 이유로 보존사회로 진행될 경우 도로관리 관리자, 청소 노동자, 운송업자 등이 지금보다 더 유망해 질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가 변형사회로 이동할 경우, 행성 건축 전문가, 칩 보안 전문가, 로봇 디자이너, 로봇권리 보호 운동가, 가상공간 디자이너 등의 직업이 부상할 것으로 예상했다. 청소년들은 미래 연구 워크숍을 통해 다른 인문계 학생들과 달리 졸업 후 직장을 찾는 경우가 많아 자신의 진로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고 있었다. 이런 인식의 바탕에서 진행하는 미래 연구는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게 하였다. 그리고 청소년들은 좀 더 구체적으로 자신의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고 볼 수 있었다.

      • KCI등재

        미래워크숍을 활용한 진로직업상담가의 미래인식과 미래역량 및 미래적응력 변화 탐색

        염인숙,임금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11

        본 연구는 미래워크숍을 활용하여 진로직업상담가의 미래인식과 미래역량을 도출하고 미래적응력 향상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진로직업상담가 25명을 대상으로 미래워크숍을 진행하였으며, 서면 작성된 자료와 미래워크숍에서 진행된 토론 내용을 통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단어 빈도분석과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고, 합의를 통해 주제어 도출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미래인식 키워드는 로봇, 인공지능, 여가, 교육, 편리, 장애인 등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미래노동현장에서는 첨단 기술로 인한 변화를 가장 많이 전망했다. 셋째, 진로직업상담 현장에서는 제4차 산업혁명 관련 전문 진로직업상담사와 로봇상담사가 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넷째, 진로직업상담가의 미래역량으로 정보처리능력, 전문상담능력, 의사소통능력, 윤리의식이 도출되었다. 끝으로 미래워크숍 참여 이후 진로직업상담가의 미래적응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미래역량은 진로직업상담가의 직무교육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derive future recognition and future competency of career counselors using future workshop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improving future adaptability. For this purpose, the future workshop was conducted for 25 career counselors and the data written and the discussion contents of the future workshop were analyzed. For analysis, word frequency analysis and corresponding sample T-verification were conducted, and the main words were derived through consensus. The results, First, the keywords of future recognition showed high frequency of robot, artificial intelligence, leisure, education, convenience, and the disabled. Second, the future labor sites projected the most changes due to high technology. Third, at the career counseling site, professional career counselors and robot counselors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e expected to appear. Fourth, future competencies of career counselors were derived from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y, professional counseling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and ethical consciousness.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future adaptability of career counselors increases after participating in future workshops, and the future competencie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for job training of career counselors.

      • KCI등재

        미래워크숍 방법을 적용한 시민교육․간문화교육의 활성화․제도화방안 연구: 독일의 사례와 함의

        허영식,정창화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12 EU연구 Vol.- No.3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are the results of a study that focused on the strategies for activating and institutionalizing civic/inter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application of future workshop method. In order to arrive at such an aim, this study deals with the following themes: theoretical background focused on the key words (future workshop, civic and intercultural education), two cases (i. e. everyday-oriented and adult civic education) in Germany regarding the attempts to develop civic education applying the method of future workshop, and the implications of German cases for an attempt to develop the strategies for activating and institutionalizing civic/intercultural education in Korea by applying future workshop method. The bottom line of this paper can be formulated as follows: We are able to derive some appropriate and relevant implications or clues from the German cases, mutatis mutandis, under the methodological and substantial (content-related) aspects, for developing strategies to activate and institutionalize civic/intercultural education by applying future workshop method. In this regard, for example, methodological relevance, importance of everyday-oriented approach to interconnect everyday life world and political system, possibilities of creative methods/organizations and diverse learning places/activities, and, last but not least, the demand for addressing the problem of deficit regarding the institutionalization of civic/intercultural education. In this context we have to pay attention also to the parameters of civic/intercultural education and diversity management to let interculturalism as an alternative to multiculturalism strike root. 이 글은 미래워크숍 방법을 적용하여 시민교육․간문화교육의 활성화․제도화방안을 탐색하는 데 주된 목적을 두고, 독일의 적용사례를 소개하였으며, 이어서 한국의 시민교육․간문화교육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시도를 수행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할 때, 본고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사항은 다음과 같이 몇 가지 명제로 정식화하여 제시할 수 있다. 첫째, 미래워크숍 방법을 시민교육의 발전방안 탐색에 적용한 독일의 두 가지 사례(일상지향 시민교육, 성인대상 시민교육)에 비추어 볼 때, 필요한 수정을 가하여 한국의 시민교육․간문화교육을 위한 함의를 방법적 측면에서 찾아볼 수 있다. 둘째, 내용적 측면에서 도출할 수 있는 시사점으로는 예를 들어 시민의 일상생활에 대한 접근성 고려, 창의적인 방법과 조직, 다양한 학습장소와 학습활동의 가능성을 탐색해야 할 필요성 등을 들 수 있다. 셋째, 미래워크숍을 적용하여 한국 시민교육․간문화교육의 활성화․제도화방안을 탐색하는 맥락에서 특히 시민교육의 제도적 미비문제를 해결할 수 방안에 대해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넷째, 다문화사회에 대처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간문화주의의 제도적 착근을 위한 매개변수로서 시민교육으로서의 간문화교육과 다양성관리가 중요한 의제로 거론되고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 맥락에서 또한 시민교육과 간문화교육의 교차점 혹은 상호관계도 역시 명료화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