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로버트 브랜덤의 ‘프레게식 4층위 개념 구별법’과 그것의 인지과학으로의 적용에 대한 정당성 탐구

        전대경 한국기독교철학회 2022 기독교철학 Vol.34 No.-

        This paper critically advocates "Robert Brandom's Fregean Four-stage of Concept." The author believes that the senses of "concept" in cognitive science and in Brandom's are not incommunicable each other. In cognitive science, "concept" is already being used as somewhat horizontal four-stage which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Brandom's vertical sense. The main concern of this paper is whether Brandom's assertion that Frege's analytical philosophy ought to step into cognitive science, which is an extension of cognitive psychology, can be justified without contradiction within Frege's idea. To this end, in search for Frege's references related to the "distinction method of hierarchical concept," this paper's concern includes Frege's Begriffsschrift(1879; [2015]), which Brandom uses as the main premise for his claim, "On Sense and Reference"(1892; [1952]; [2017]), "Function and Concept"(1891) and others. When considering cognitive science, which explores the essence of thinking, thought, mind, consciousness, et cetera, it is expected that systematizing and interpreting Frege's understanding of psychology or psychologism in a scientific way will help not only research on Frege but also cognitive scientific research. Of course, to this end, first of all, "although Fregean analytical philosophy has not affected (or could not affect) cognitive science, it must actively affect in the future" should be closely examined whether Robert Brandom's argument can be justified within Frege's idea. If it is not justified within Frege's idea that Brandom's application of "Fregean Four-stage of concept" to cognitive science, Brandom becomes a "contradictory Fregean who makes an opposite argument to Frege's." If justified, however, it will not only provide a wealthy re-envisioning interpretations of Frege's anti-psychology, but will also allow cognitive science to have clearer systematic concepts to their research subjects such as animals, babies, adults, artificial intelligence, et cetera. This paper consists of the following order to determine whether Brandom's claim is justified within Frege's idea. First, it is dealt that what Brandom's Fregean Four-stage concept is. Secondly, it is examined that if Frege himself really divides concept into four stages in his own writings. If Frege did not distinguish, Brandom's argument would fail to obtain legitimacy in Frege's ideas. In other words, since Brandom makes a claim that Frege never made, Brandom's claim loses its momentum. That is the reason why Fregean textual reference should be examined. Finally, it evaluates whether Frege's conceptual distinction method, which claims anti-psychologism and logicism, can be applied to cognitive science, which an extension of cognitive psychology. 본 소고는 브랜덤의 ‘프레게식 4층위 개념’을 비판적으로 옹호한다. 논자는 인지과학에서 사용하는 ‘개념’과 브랜덤이 말하는 (프레게식) ‘개념’이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다고 본다. 인지과학에서는 이미 브랜덤의 수직적 4층위와는 다른 방식으로 수평적 4단계로 ‘개념’을 구분해서 사용하고 있다. 본 소고의 주된 관심은 ‘프레게주의 분석철학이 (인지)심리학의 연장선상에 있는 인지과학에 발을 들여 놓으려고 하는(혹은 적극적으로 발을 들여 놓아야 한다는)’ 브랜덤의 주장이 프레게 사상 내에서 모순 없이 정당화될 수 있는지의 여부이다. 이를 위해 본고는, 브랜덤이 자신의 주장을 위한 주된 전거(사실상 유일한 전거)로 삼는 프레게의 Begriffsschrift(『개념표기법』, 1879; [2015])을 포함하여, “On Sense and Reference”(『뜻과 지시체에 관하여』, 1892; [1952]; [2017]), “Function and Concept”(“함수와 개념”, 1891), “On Concept and Object”(“개념과 대상에 관하여”, 1892), Die Grundlagen der Arithmetic(『산수의 기초』, 1884; [2003]), Grundgesetze der Arithmetik(『산수의 근본법칙』, 1966; [2007]) 등에 나타난 ‘개념의 층위적 구별법’과 관련된 프레게의 언급들을 탐색한다. 생각, 사고, 마음, 의식 등의 본질에 대한 경험적 탐구를 하는 인지과학을 염두에 둘 때에, 심리학 혹은 심리주의를 과학적 방법으로 연구하는 데에 대한 프레게의 이해를 체계화시키고 이를 해석해보는 것은 프레게 연구뿐 아니라 인지과학 연구에도 귀중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먼저 ‘프레게주의 분석철학이 인지과학에 그동안 영향을 미치지 못해왔지만(혹은 영향을 미치지 않아왔지만) 앞으로는 적극적으로 영향을 미쳐야 한다.’는 로버트 브랜덤의 주장이 프레게의 사상 내에서 정당화될 수 있는지를 면밀히 살펴보아야 한다. 만약 프레게의 사상 내에서 브랜덤의 ‘프레게식 4 층위 개념’과 인지과학으로의 그 적용이 정당화되지 못한다면, 브랜덤은 ‘프레게의 주장에 정반대되는 주장을 하는 역설적인 프레게주의자’가 된다. 반대로, 만약 정당화될 수 있다면,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프레게의 반심리주의에 대해 다시 돌아보는(re-envisioning) 해석의 풍부함도 제공해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인지과학에서도 더 체계화된 ‘개념 이론’을 받아들임으로써 인지과학의 어떤 연구대상들(가령 짐승, 아기, 성인, 인공지능 등)이 어떤 종류의 개념들을 갖는지를 더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게 해 줄 것이다. 브랜덤의 ‘프레게식 4층위 개념’이 인지과학에 적용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프레게의 사상 내에서 정당화되는지를 판별하기 위해서 본고는 다음의 순서로 구성된다. 먼저, 브랜덤의 ‘프레게식 4층위 개념’이 무엇인지를 살핀다. 그런 다음, 프레게가 정말로 자신의 저술들에서 개념을 4층위로 구분했는가 여부를 살핀다. 만약 프레게가 구분하지 않았다면, 브랜덤의 주장은 프레게의 사상 내에서 정당화되지 않는다. 즉 프레게가 하지 않은 주장을 브랜덤이 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브랜덤의 주장은 그 힘을 잃는다. 그래서 프레게 저작들로부터 전거를 탐색하는 작업을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인지심리학의 확장판인 인지과학에 반심리주의와 논리주의를 주장하는 프레게의 개념 구분법을 적용할 수 있는지를 평가한다.

      • KCI등재

        Is Frege’s Venus Translated? - A Peircean (Meta-) Translative Approach

        임동휘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3 人文科學 Vol.128 No.-

        This research aims to make a Peircean approach to translation per se and apply it to Frege’s metasemiotic examples about Venu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Frege’s star-based theorization about the sign, the sense, and the referent, which are claimed to be essential in interpreting proper names (e.g., ‘the morning star’; ‘the evening star’; ‘Phosphorus’; ‘Hesperus’) and analyzing the relation of identity (or difference) therein. With Peirce’s broad, complex, and insightful perspective on translation as a sign process (namely, meaning-making slash semiosis) (Peirce, 1931-1958), Frege’s famous star examples and relevant terms are analyzed metasemiotically and metatranslatively in terms of the mechanisms of the sign’s three components and/or three types (Petrilli, 2003) and, also, with regard to the dynamics of translation types (Jakobson, 1959). Such an analysis shows that (1) Frege’s sign is a verbal sign form (i.e., a linguistic representamen); (2) Frege is aware of the three major sign types (e.g., the symbol; the icon; the index) used in the interpretive/ translative processes of a proper name; (3) Some verbal representamens are the results of intralingual or interlingual translation; (4) Frege’s sense as the abstract visual form is similar to a hypothetically abstracted quality called ‘a ground’ (a preconceptual state of iconicity) unlike the claims about the immediate object or any presentation mode; (5) The power of the Fregean sense in reality is theoretically overrated and empirically unproven in spite of its overgeneralized uses; (6) Frege’s referent is relatively close to Peirce’s dynamical object (as the ultimate referent); (7) Frege’s trichotomy is akin to Peirce’s triadic relation in spite of the phonocentrically static formation and the ocularcentrically random generalization; (8) Sign-internal translative processes are evident in Frege’s sign model; (9) Frege’s Venus-based metalanguage on proper names faces counterexamples; (10) Frege’s metalanguage denies metaphor and metonymy while he utilizes them in the exemplification to his advantage. In conclusion, Frege’s examples and terms can be better explained with a Peircean metatranslative approach.

      • KCI등재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프레게 의미이론 비판

        박정일 ( Jeong Il Park ) 한국논리학회 2013 論理硏究 Vol.16 No.3

        In this paper I will try to show how Wittgenstein criticized Frege`s theory of meaning. Frege`s theory of meaning can be compressed as sense-reference theory. Frege distinguishes between sense and reference on all the linguistic expressions. In particular, he regards that a sentence has sense and reference. This distinction was raised from, so to speak, the problem of identity sentences. Wittgenstein`s “fundamental thought” of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is the key of his direct criticism of Frege`s sense-reference theory. That is, it is an attack on Frege`s thought that the reference of a sentence is a truth value and truth values are “objects themselves” (in Frege`s meaning). According to Wittgenstein, such an object does not exist and according to his picture theory, the function of a name and that of a proposition are fundamentally different. By the way, Frege can reply justly to this criticism that it is insufficient. In short, Frege`s ‘sense’ and ‘reference’ etc, are the technical terms. Hence Wittgenstein`s decisive criticism of Frege`s theory consists in accusing his theory of logical flaws. There is an another route to the sense and reference of a sentence which Frege introduces. In discourses of judgement stroke and content stroke in his Begriffsshrift and in those of horizontal stroke since his “Function and Concept”, Frege deals with the sense and reference of a sentence. Wittgenstein criticize that the sense of a complex sentence such as ∼p would by no means be determined by Frege`s determination.

      • KCI우수등재

        프레게 논리주의에서 논리적 진리와 분석적 진리

        박준용(Jun-Yong Park) 한국철학회 2007 哲學 Vol.91 No.-

        논리주의의 인식론적 동기는 논리적 진리가 경험 과학의 진리와 다른 특별한 지위를 지닌다는 데 있다. 산수가 논리학의 일부라는 프레게의 견해 또한 논리적 진리가 기하학이나 경험 과학의 진리와 다른 특별한 지위를 지닌다는 것을 전제한다. 그가 논리적 진리를 가장 일반적인 진리라고 규정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나는 이 글에서 그가 논리적 진리에 부여한 일반성이 어떤 뜻을 지니는지, 그런 일반성이 기하학 및 경험 과학의 법칙이 지니는 일반성과 어떤 점에서 다른지를 규명한다. 나는 먼저 그의 논리적 일반성 개념에 대한 리켓츠와 맥팔레인의 견해를 살펴보고 그런 견해가 옳지 않음을 보인다. 프레게의 논리 법칙이 사고 자체의 규범이라는 후자의 견해에 나는 동의하지만, 논리적 일반성이 규범적 일반성에 지나지 않는다는 견해에는 반대한다. 프레게의 논리적 일반성이 일차적으로 서술적인 것이라는 점에서 나는 전자의 견해에 동의하지만, 논리적 어휘의 주제 중립성에 근거해서 논리적 진리의 일반성을 규명하려는 시도는 실패할 수밖에 없음을 보일 것이다. 나는 이어서 프레게의 논리적 일반성 개념에 대한 나의 해석을 제시한다. 나는 비논리적 술어와 논리적 술어에 대해 차례로 고찰한 후, 어느 경우든 술어의 적용범위는 참인 명제들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을 밝힌다. 따라서 나는 용어의 주제 중립성에 의한 더밋과 리켓츠의 논리적 일반성 설명을 버린다. 이어서 나는 프레게의 논리적 일반성은 논리 법칙이 어느 주제에 관한 논의에서나 추리의 전제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임을 밝힌다. 나는 마지막 절에서 진리의 지배 범위 인식에 대한 프레게의 견해를 살펴본다. 나는 진리의 인식론적 본성에 의해 지배 범위를 알게 된다는 것이 프레게의 생각임을 밝힌다. 또한 나는 논리학의 근본 법칙의 참을 순수 사고만으로 인식할 수 있고, 그로부터 연역되는 다른 모든 법칙들 - 즉 분석적 진리들 - 도 그 참을 순수 사고만으로 인식할 수 있다고 그가 생각하였음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나는 프레게 논리주의에 두 측면 - 순수 사고에 의한 산수 진리 인식 및 산수 진리의 일반적 적용 가능성 - 이 있고, 전자를 논증하면 바로 후자도 논증된다는 것이 그의 견해라고 주장한다. Frege's logicism presupposes the thesis that logical truths have a special status which geometrical truths and truths of empirical sciences do not have. It is well known that Frege characterized logical truths as maximally general truths. In this paper I will answer the following two questions: In what sense did he regard logical truths as maximally general? In what respects does his logical generality differ from non-logical generalities which geometrical truths and truths of empirical sciences have? My discussion of these problems is divided into three parts. In the first part of it, I will show that both Ricketts' descriptive interpretation of Frege's logical generality and MacFarlane's prescriptive interpretation of it are incorrect. While I agree with MacFarlane in that Frege's logical laws should be regarded as prescriptions for our thinking in general, I do not accept his claim that Frege's logical generality is no other than prescriptive generality. I agree with Ricketts in that Frege's logical generality is a descriptive generality in the first place, but I will show that his characterization of Frege's logical generality by the topic-universality of logical terms is not harmonized with Frege's requirement that concepts have sharp boundaries. In the second part of my paper, I propose my own interpretation of Frege's logical generality. I begin with the question: In what sense is the applicability of empirical predicates restricted to special domains? I will argue that, pace Ricketts and Dummett, the range of applicability of terms should be determined by the range of validity of true propositions in which they occur. And I will also argue that Frege regarded logical truths as ones which can be used as premises of inferences about any subjects whatsoever. It is in this sense that Frege regarded logical truths as being maximally general. In the last part of my paper, I will argue that for Frege our knowledge of range of validity of a true proposition depends upon our knowledge of epistemological nature of it. In the light of his epistemological doctrines and his theory of sense, the question of whether some basic laws of a system of truths are logical or not is determined by whether its truth can be known by pure conceptual thought or not. Lastly, I conclude that Frege's logicism is just the thesis that arithmetical truths have all domains of knowledge as their range of validity, and that his attempt to demonstrate this thesis was exactly the attempt to show that arithmetical truths can be known by pure conceptual thought alone.

      • KCI등재

        프레게 제한― 수의 정의와 적용 가능성

        박준용 한국논리학회 2007 論理硏究 Vol.10 No.2

        In this paper I consider Wright's interpretation of Frege's constraint on definitions of arithmetical concepts. Wright thinks that this constraint requires us to incorporate the applications of arithmetical concepts into their definitions. According to him, we don't have to observe Frege's Constraint in establishing a field of mathematics if we should think of it structually. And he asserts that we should think of it structually unless there is an a priori route through which we can obtain some knowledge of basic concepts of it by our reflection on their empirical applications. On the basis of this interpretation, he asserts that, unlike number theory and geometry, we don't have to observe Frege's Constraint in establishing real analysis, since we cannot obtain any knowledge of the identity of a particular real number when we reflect on any procedure of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empirical quantities. I show that Wright's assessment of Frege's Constraint on real analysis is not correct. At first, I investigate an example which he regard as our reflection on empirical applications of arithmetical concepts by which we can obtain some a priori knowledge of them. On the basis of it, I try to show that there are some principles which govern the application of arithmetical concetps, and that what Frege's Constraint requires us is that we should define these concepts in such a way that those principles hold. Secondly, I show that Wright's interpretation of Frege's constraint depends on too narrow a conception of applications of arithmetic. After I investigate Frege's conception of applications of arithmetics, I devide quantities to which real numbers can be applied into three kinds, i.e., arithmetical quantities, pure spatial quantities, and physical quantities. I show that application principles of real numbers hold not just with pure spatial quantities but also with physical quantities. I conclude that Frege's Constraint is tenable in establishing real analysis. 나는 이 글에서 프레게 제한에 대한 라이트의 해석이 옳지 않다는 것을 보인다. 우선 나는 그가 산수 개념의 적용에 대한 반성을 통해 그 개념에 대한 선천적 지식을 얻을 수 있다고 여긴 사례를 검토한다. 이 검토를 기초로 나는 산수 개념의 적용을 지배하는 원리가 있고, 프레게 제한은 바로 그런 원리가 성립하도록 해당 개념을 정의하라는 요구임을 보인다. 둘째로 나는 라이트의 해석은 수학의 적용에 대한 아주 좁은 견해에 의존한다는 것을 보인다. 나는 산수의 적용에 대한 프레게의 견해를 살펴본 후에 실수가 적용될 수 있는 양을 산수량, 순수 공간량 및 물리량 세 부류로 나눈다. 나는 실수 적용 원리는 순수 공간량만 아니라 물리량에 대해서도 성립한다는 것을 보인다. 이에 근거해서 나는 실수 이론을 확립하는 데에도 여전히 프레게 제한은 유효하다고 결론짓는다.

      • KCI등재

        프레게에서 지시체 없는 뜻의 문제

        김영진(Young-jin Kiem) 한국현상학회 2007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34 No.-

        언어적 기호가 지시하도록 의도되는 사물이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경우 그 언어적 기호는 과연 유의미한가? 만일 그렇다면 그 같은 유의미성이 어떻게 가능한가? 이는 프레게가 그의 고전적인 1892년 논문 “뜻과 지시체에 관하여”에서 다루는 문제들 중의 하나이다. 우리는 프레게가 그 문제를 풀기 위하여 언어적 기호의 뜻(Sinn)과 지시체(Bedeutung)를 구분하고 언어적 기호는 그것이 지칭하는 지시체를 결하더라도 어떤 뜻을 소유함을 통해 그 유의미성을 확보한다는 입장을 개진했다고 종종 듣는다. 이것이 지시체 없는 뜻의 문제에 관한 이른바 더밋 류의 고전적인 프레게 해석이다. 그런데 비교적 근래에 새롭게 제시되었지만 적지 않은 영향력을 끼치는 에반스의 해석에 따르면, 지시체가 없는 표현에 뜻을 귀속시킬 수 있는 이론적 근거의 여지가 프레게 의미론의 틀속에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다. 이 두 해석 중 어느 것이 더 타당할까? 지시체 없는 뜻의 문제에 관한 프레게의 확정적이고 최종적인 입장은 무엇일까? 이 물음들과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 필자는, 우리가 통상적으로 간주해 온 것과는 사뭇 달리 지시체 없는 뜻의 문제에 대한 프레게의 실제 입장이 상당히 애매하며 그리고 바로 그 애매성이 그 문제에 대한 더밋과 에반스의 상호 모순적인 해석에 나름대로의 타당성을 각각 제공하기에 프레게의 입장은 어떤 형태의 이론적인 수정 내지 관점의 변경을 필요로 한다고 주장한다. 필자는 그 주장이 어떻게 성립하는지를 밝히면서, 지시체 없는 뜻의 문제에 대한 프레게의 난점이 어떤 방식에서 보다 더 적절하게 해결될 수 있는지를 언어의 지향성과 정신의 지향성 사이의 병행성과 그 특징을 해명함으로써 제시한다. Could the linguistic signs that do not have any referents in the world be meaningful? If so, how is such meaningfulness possible? This is one of the main issues that Frege dealt with in the classical 1892 paper 'On Sense and Reference'. We are often told tha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Frege made a distinction between the sense and reference of a linguistic sign, and provided the view that even if a linguistic expression lacks a referent, it can in principle be meaningful by way of having a sense (or senses) associated with that expression. This is the classical interpretation of Frege's semantics suggested by Dummett and his followers. Meanwhile, according to the recent new interpretation made by Evans, in Frege's semantics there is no real theoretical room for ascribing a sense (or senses) to the expression that lacks a referent. Between those two interpretations of Frege's semantics, which is correct? What could be Frege's ultimate solution for the puzzle about sense without reference? In this paper the author argues that Frege's real position concerning the philosophical issue is, in fact, quite ambiguous, and that since the ambiguity seems to bring about the two opposing interpretations in question, Frege's stance on the issue requires some theoretical modifications or a change of view. The author, while trying to make the claim clear, suggests how to overcome Frege's ambiguity about the problem of sense without reference, chiefly by means of clarifying the parallelism between the intentionality of language and that of the mind.

      • KCI등재

        뜻 이론에 대한 카플란의 비판에 관하여

        최용호 대한철학회 2023 哲學硏究 Vol.168 No.-

        카플란은 고유 이름과 지표사 같은 단칭어들을 분석하면서 프레게의 뜻 이론이 한계를 갖는다고 비판하였다. 그러나 필자는 두 가지 점에서 프레게가 카플란의 비판을 피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먼저 카플란은 단칭어들이 대상을 직접 지시한다고 주장할 뿐, 프레게가 정보를 제공하는 동일성 진술을 설명할 목적으로 뜻 이론을 도입한 이유는 무시한다. 카플란은 또한 독창적인 지표사 분석을 통해 프레게식의 뜻 이론이 지표사를 포함하는 문장을 취급할 수 없다고 주장하지만, 필자는 프레게의 뜻 이론과 필자가 제안한 확장된 맥락의 원리에 의해 지표사를 포함하는 문장을 취급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를 보이기 위해 먼저 프레게의 뜻 이론과 이 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가능 세계 의미론을 살핀 다음 프레게에 대한 카플란의 비판이 어떤 형태로 진행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겠다. Kaplan criticized Frege’s theory of sense as having limitations while analyzing singular terms such as proper names and indexicals. However, I argue that Frege can avoid Kaplan's criticism in two ways. First, Kaplan only claims that singular words refer directly to objects, but ignores the reason why Frege introduced the theory of meaning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informative identity statements. Kaplan also argues, through an original analysis of indexicals, that Frege's theory of meaning cannot handle sentences containing indexicals. I argue that Frege's own theory of meaning and the expended principle of context proposed in this paper can handle sentences containing indexicals. To show this, we will first look at Frege's theory of meaning and possible world semantics based on this theory, and then look specifically at the form in which Kaplan's criticism of Frege progresses.

      • KCI등재

        프레게 논리개념과 메타이론적 관점

        박준용 ( Jun Yong Park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5 철학연구 Vol.0 No.52

        나는 이 글에서 프레게 논리관이 메타이론적 연구를 불가능하게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이 없음을 논증한다. 나는 그런 주장을 다음 둘로 나누어 고찰한다. (1) 프레게의 논리학은 가장 보편적인 과학이므로 메타이론적 논의를 허용하지 않는다. (2) 프레게의 논리이론은 이미 해석된 이론이므로 메타이론적 논의를 허용하지 않는다. 나는 어떤 메타이론적 논의도 우리로 하여금 보편과학으로서 프레게 논리학 밖으로 나가길 요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근거로 (1)이 설득력이 없음을 논증한다. 그리고 나는 보편과학으로서 프레게의 논리학은 서술 차원에 관한 이론을 통해 어떤 단계의 과학이론에 대해서든지 메타이론적 관점을 제공한다는 사실을 근거로 (2) 역시 설득력이 없음을 논증한다. 마지막으로 나는 프레게식의 유형론적 메타이론이 20세기 초의 메타이론 연구에 실질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보인다. According to some interpreters of Frege’s philosophy of logic, his conception of logic does not allow any meta-theoretical standpoint. In this paper, I show that their assertions are unfounded. I classify their assertions into two theses: (1) Frege’s conception of logic as the universal science does not allow any meta-theoretical standpoint. (2) Frege’s conception of logical theories as fully interpreted ones does not allow any meta-theoretical standpoint. I argue that (1) is untenable, since no meta-theoretical research requires us to go outside the discourses of Frege’s logic as the universal science. And I argue that (2) is also untenable, since Frege’s universal logic with his theory of hierarchies of levels does allow some meta-theoretical standpoint for any scientific theory with some specific order. Finally I argue that Frege’s type-thoeretical metatheory had actual influences over the 20 century meta-theoretical researches.

      • KCI우수등재

        프레게적 술어 이론들 사이에서

        선우환(Hwan Sunwoo) 한국철학회 2007 철학 Vol.91 No.-

        프레게는 여러 시기를 통해 술어, 개념, 함수 등에 대해 서로 다른 이론과 해명을 제시했고, 또한 프레게의 그런 여러 이론들을 기초로 해서 다른 철학자들이 나름대로의 프레게적 이론들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프레게적 주어/술어 구분과 관련해 필자가 제안한 수정 이론을 프레게 성숙기의 표준 이론, 프레게 초기의 이론과 그것에 기반한 기치의 이론, 프레게 후기의 이론과 그것에 기반한 더밋의 이론, 위긴스의 이론, 재해석된 프레게 이론 등의 다양한 프레게적 술어 이론들과 비교하면서 논의한다. 그런 과정에서 다른 여러 프레게적 이론들이 각각 어떤 문제점들을 지니는지 그리고 그 중에서 수정 이론이 술어 이론으로서 어떤 비교 우위와 차별성을 가지는지를 보인다. 필자는 수정 이론이 그런 다양한 프레게적 술어 이론들 중에서 술어가 함수적 표현이라는 점에서 주어와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프레게의 통찰을 가장 잘 구현하면서, 동시에 말 개념의 역설을 비롯한 철학적 문제들을 가장 잘 해결한다는 것을 주장하며 그 주장을 위한 논변들을 제시한다. Frege has proposed several different theories of predicates, concepts, and functions over his different stages of philosophical development. Other philosophers have added their own Fregean theories which are developed out of them in several different ways. I myself have proposed and developed my own Fregean theory called "the Revised Theory" in previous articles. In this paper, I compare the Revised Theory to other Fregean theories: Frege's Standard Theory in his mature period, Frege's early theory, Frege's later theory, Geach's theory, Dummett's theory, and Wiggins's theory. On the basis of this comparative work, I argue that my Revised Theory is a better theory than any other existent Fregean theories including Frege's own theories. Among other things, I show that my theory incorporates Frege's insight about the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predicates (predicative expressions) and subjects (singular terms) in the most agreeable way.

      • KCI등재

        프레게의 언급이론과 뜻 개념의 문제

        최용호 ( Choi Yongho )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건지인문학 Vol.0 No.20

        This paper aims to resolve a problem with Frege’s sense/reference distinction: a sentence employing empty name has thought as a sense. First, I will outline Frege’s theory of reference and how he had tried to solve the problem, what was the solution of B. Rusell, and why did G. Evans point out what the distinction has no coherence, especially in a thesis: a sentence without truth value has thought as its sense. Then, I will illustrate my idea that each of views can be adjusted to maintain Frege’s sense/reference distinction. Russell was correct on what there is, but we do not need his radical theory because I believe that if we can say that empty name refers what does not exist in this world, or fictional, a sentence with the empty name is false; Evans was correct, but Frege can hold his distinction if we can say the sentence with the empty name is fal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