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유학기제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인식

        김진섭,문성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15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8 No.1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middle school teachers perceived major features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In 2013, the Free Learning Semester has been proposed by Korean government to provide students with the educational programs which deals with various activities in classroom in order to increase student's learning ability. The Free Learning Semester helps students to figure out their dreams and develops their talents. The government plans to expand the Free Learning Semester to all middle schools by 2016. Since teacher’s perception is an important matter in the application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this study seeks to document the changes in curriculum by observing the perception of teachers in the school that implemented the Free Learning Semesters and those that did not implemented the Free Learning Semesters. 172 teachers from nine middle schools in Busan that their school schedules allowed were surveyed. Two school which operated the Free Learning Semester were compared to seven schools which did not operate the Free Learning Semester.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lmost all (97.7%) teachers in the Free Learning Semester schools have completed a training whereas 74.6% of the teachers in the non-Free Learning Semester schools have not. The usefulness of the training was satisfactory, but the teachers in the Free Learning Semester Schools wanted more practical help with the curriculum. Second, the result,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revealed that the first grade second semester of middle school was the best time to implement the Free Learning Semester. In order for its successful establishment in schools, there needs to be a reliable and effective evaluation system. However, the results regarding the introduction and management of the new system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Lastly, in the Free Learning Semester Schools, the changes in teachers’ percep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The results show that the teachers need the training and the teacher's community to implement the curriculum and set a basis for valuation.

      • KCI등재

        해외사례 분석을 통한 자유학기제 운영 방향과 과제 - 아일랜드·덴마크·스웨덴·영국 사례를 중심으로 -

        김나라,최지원 한국진로교육학회 2014 진로교육연구 Vol.2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oreign career education cases and thereby extract implications for setting directions and challenges for Korea’s Free Learning Semester. To this end, literature review, face-to-face interview, and written interview were introduced to analyze Irish Transition Year, Denish Efterskole, Swedish PRAO, and United Kingdom’s Gap Year. Major findings of the cas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ll career education cases were deeply rooted in development of student in that personal, social, and vocational aspects throughout multiple experiences. Second, all career education cases have developed over a long period. Third, all career education cases have intensive experiential programs. Forth, career education cases have placed in and out of educational system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context. Fifth, all career education cases made students become more mature through standing and reflecting about themselves, career, and labor market. Directions and challenges for Korea’s Free Learning Semester were as follows: First, Free Learning Semester needs to root in humanistic educational philosophy. Second, Free Learning Semester needs specific mechanism for unleashing educational unfair issues. Third, Free Learning Semester needs shared purpose with all stakeholders in society. Forth, Free Learning Semester needs aligned experiantial activities in and out of educational system. Fifth, Free Learning Semester have to integrate academic curriculum and experiential curriculum equally. Sixth, Free Learning Semester fosters students to be communicated and collaborated each other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Seventh, Free Learning Semester needs coordinator with high accountability and expertises. Eighth, Free Learning Semester needs collaboration with coordinator and teachers in school. Lastly, Free Learning Semester make incentive planes for cooperative organizations commited to Free Learning Semester. 이 연구는 해외사례의 의미있는 시사점을 통해 자유학기제의 운영 방향과 과제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해외 사례로 아일랜드 전환학년제, 덴마크 애프터스쿨, 스웨덴 프라오, 영국 갭이어를 선정하여 개념, 도입 배경, 주요특징, 교육적 효과를 문헌연구, 방문인터뷰, 서면인터뷰를 통해 분석하였다. 해외사례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외사례는 모두 학생들에게 기존의 학문 중심의 교육을 넘어 다양한 교육적 활동, 체험 활동을 통해 학생으로 하여금 자신에 대한 성찰, 직업세계에 대한 성찰을 목적으로 하고 있었다. 둘째, 장기적 관점에서 진로교육적인 요소들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왔다. 셋째, 중등교육단계의 학생을 대상으로 짧게는 1-2주, 길게는 1년 이상의 시간을 집중적으로 할애해왔다. 넷째, 진로교육의 운영은 각 국의 교육환경에 따라 교육체제 내․외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다섯째, 교육적 성과는 학생이 자신과 직업세계에 대한 성찰이며, 결과적으로 정신적 성숙의 경험이다. 또한 자신의 진로, 미래의 직업에 대해 더욱 진지하게 고민하며 준비할 수 있는 계기가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해외사례 분석을 통해 도출된 자유학기제의 운영 방향과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학기제는 교육의 본질 회복을 위해 인본주의 교육철학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자유학기제는 구조적 환경 토대 마련을 위해 자유학기제 참여로 인한 교육불평등 해소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자유학기제는 공유된 목적 형성을 위해 사회통합적 측면에서 자유학기제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 넷째, 자유학기제는 교육체제 내외의 통합을 위해 자유학기제 교육활동의 연속성 의미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자유학기제는 교과 유형의 통합을 위해 전통교과와 비전통교과의 통합적 운영에 있어 전통교과의 중요성을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 여섯째, 자유학기제는 체험 유형의 통합을 위해 협업과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다양한 체험활동을 구성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자유학기제는 전담인력의 구성과 함께 전담인력의 책무성과 전문성을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여덟째, 자유학기제는 전담인력뿐만 아니라 관계자, 특히 일반교사의 역할과 참여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아홉째, 자유학기제는 지역공동체 및 산업체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지원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자유학기제의 철학적 기반 형성 가능성 탐색

        이재창(Lee, Jae Chang),조한아(Jo, Han 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3

        지금까지 자유학기제와 관련하여 여타 실천적인 논의는 진행되었으나 철학적 기조에 대한 논의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교육과정의 기반이 되는 교육철학은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예상치 못하게 발생하는 문제점과 변수들에 대해 일관된 해결방향을 제시해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유학기제와 실존주의 철학이 지니는 연관성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자유학기제의 기저 철학이 실존주의가 될 수 있을지에 대한 가능성을 탐색해보았다. 연구결과, 자유학기제는 정책 기조, 정의, 교육 목표, 교육과정 등에서 실존주의 철학과 많은 유사점이 발견되었다. 이에 반해, 실제 교육구현양상에서는 다소간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자유학기제 정책과 실존주의 철학은 온전히 일치한다고 결론지을 수는 없었다. 하지만 자유학기제의 기본 틀이 실존주의 철학과 많은 유사점을 보이고 있다는 점을 볼 때 실존주의 철학이 교육에 대해 제시하는 제안들이 자유학기제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이 상당히 많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The Free Learning Semester hasn t discussed about it s educational philosophy even though it will be introduced to the all of the Korean middle school in this year. The philosophy of curriculum provides consistent guideline to solve unexpected problems which are caused during the curriculum operating. Therefore, If we successfully discuss about the philosophical base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then, we can expect that curriculum philosophy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will provide the Free Learning Semester policy the achieving of educational purpose and helping the excellent curriculum operating. So this study researched central aim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and investigated the view of human and education in the philosophy of existentialism. And this study explored whether the philosophy of existentialism could be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through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ilosophy of existentialism and the Free Learning Semester. The study result shows that keynote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policy, definition, educational purpose and curriculum are similar with the philosophy of existentialism. But there are some gap in aspect of practice. So we can not conclude the philosophy of existentialism affected to the Free Learning Semester policy. And we can judge there are some problem with presuming the philosophy of existentialism a foundational philosophy for the Free Learning Semester policy. But the fact that basic frame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is similar with the philosophy of existentialism informs us that the philosophy of existentialism can provide several important implication to the Free Learning Semester.

      • KCI등재

        중학교 자유학기제 운영 사례와 교육과정적 함의 탐구

        강현석,전호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1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의 자유학기제 운영 사례를 통해 중학교 자유학기제가 야기한 변화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를 통해 자유학기제가 중학교 현장에 올바르게 운영될 수 있는 사항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의 자유학기제 운영 학교에서 3가지 구성원(학생, 교사, 학부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는 크게 세 부분으로 이루어졌다. 첫째, 자유학기제에 대한 학교 구성원들의 인식 및 만족도를 조사 및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 구성원들은 자유학기제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높은 만족도를 보여주었다. 둘째, 자유학기제 운영 실태를 조사 및 분석하였다. 학교 구성원들은 비교적 교과 교육과정 및 자유학기 활동 전반에 만족하고 있었으나 지역사회 인프라 활용 및 평가 방식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나타났다. 셋째, 자유학기제로 인한 학교 구성원의 다양한 측면의 변화를 조사 및 분석하였다. 학교 구성원들은 정의적 영역과 진로 영역에서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으나 학습적 영역에서는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에 근거하여 자유학기제가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과 자유학기제의 활성화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case study analyzed the changes caused by the free learning semester school in middle school through Daegu Metropolitan City 's case. Through the research, We tried to suggest some things that the free learning semester can be operated properly in the middle school field. In this study, we conducted surveys and interviews with three groups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in Daegu Metropolitan City 's free learning semester school. The study consisted of three parts. First, we surveyed and analyzed the awareness and satisfaction of school members on the free learning semester.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chool members had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learning semester and showed high satisfaction. Second, we surveyed and analyzed the status of the management free learning semester. Although the school members were satisfied with the curriculum and the free learning semester activities, there were various opinions about the community infrastructure and evaluation methods. Third, we surveyed and analyzed the changes in various aspects of school members due to the free learning semester. School members showed positive responses in the affective domain and career domain, but negative responses in the learning domain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 explained implications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for the national curriculum. And we suggested detailed plans for the activation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 KCI등재

        『파이데이아 제안』의 관점에서 자유학기제 고찰: 교수 학습을 중심으로

        정은주 ( Jeong Eun-ju ) 한국교육철학회 2017 교육철학 Vol.62 No.-

        The free semester program was implemented in Korean middle schools from 2016 in order to establish the turning point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reform. This study examined the diversific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which is one of the `classroom innovations` in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searched f or its value and problems. For this study, the teaching and learning styles were compared based on the Paideia Proposal proposed by Adler, which led the America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reforms in the 1980s. Free semester teaching and learning were reviewed based on three main types proposed by Adler-learning of knowledge, development of function, and expansion of understanding. The fundamental goal of the free semester program is to encourage students to be self-directed, creative, able to solve problems themselves, and to lead a happy school life. In order to do this, various methods are practiced in teaching and learning, but acquiring knowledge, a task to be done at the beginning of middle school, tends to be neglected. Also, some students complained of fatigue due to participation in excessive learning activities, projects, and performance evaluations. Leading active participation in learning is positively valued, but basic learning functions for active participation must also be trained at school. These functions are useful skills for knowledge acquisition, discussion, and seminars. Gradual efforts are needed to ensure that student participation activities do not end with the free semester but continue in the regular semester.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자기 이해’ 향상을 위한 자유학기제의 철학적 검토: 찰스 테일러의 ‘자아’ 개념을 중심으로

        박진은 숙명여자대학교 인문학 연구소 2022 횡단인문학 Vol.10 No.1

        ‘자유학기제’는 2016년 전면 도입된 이래 현재 자유학년제로 확장되어 적극 운영 중이다.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의 주요 목표 중 하나인 학생의 ‘자기 이해’를 Charles Taylor의 관점을 빌려 철학적으로 검토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자유학기제의 우수사례와 행복인성교육을 위한 교사용 지도서를 분석하여 해당 정책이 추구하는 자기 이해의 성격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 성격을 철학적으로 검토하고자 Taylor의 자아 개념을 분석하였고, 그는 자아의 성격을 관계적이고 도덕적으로 규정함을 도출하였다. 이에 비추어 자유학기제의 실천 방향을 검토한 결과, 현재의 자유학기제는 관계적 자아의 성격을 이해하는 데에는 도움을 주지만 도덕적 자아의 성격을 이해하는 데에는 부족하다고 평가했다. 자유학기제는 학생의 자기 이해를 추구하는 정책이라는 점에서 이에 부합하는 활동이 더욱 적극적으로 개발되고 소개되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유학년제는 핵심적 목표 달성에 성공한 교육정책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Free learning semester system’ is a new education policy that is gaining a lot of attention and will be more actively enforced. This paper is a philosophical study on one of the primary objectives of free learning semester, “self-understanding”, with focus on Charles Taylor’s concept. This paper presents the findings of the following three analyses. First, the nature of self-understanding was analyzed through the good practices and teacher’s guidebook on free learning semester. Second, Taylor’s concept of self was analyzed to build the framework needed to examine free learning semester philosophically. Taylor’s nature of self is relational and moral. Third, the effect of free learning semester on the learner’s self-understanding was analyzed based on Taylor’s concept of self. As a result, it turned out that the free semester helps students understand the personality of the relational self, but is insufficient to understand the personality of the moral self.

      • KCI등재

        특수학교 자유학기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 2016년 연구학교 담당교사 면담을 중심으로 -

        손지영 ( Son Ji-young ),문현미 ( Mun Hyun-mi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6 No.3

        본 연구는 특수학교에서 자유학기를 담당한 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운영의 어려움, 운영을 위해 수행한 노력, 필요한 지원에 대해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14개교의 담당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에 참여한 특수교사는 총 18명으로, 연구자가 특수학교에 방문하여 연구학교 담당교사와 개별면담 또는 소그룹 면담을 실시하였고, 총 14회의 심층면담이 이루어졌다. 반구조화된 면담으로 진행되었으며, 면담 내용은 모두 녹음과 전사의 과정을 거쳐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3개의 영역과 13개의 대주제, 44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구체적으로 자유학기 기획 및 준비과정, 교과수업 운영, 자유학기활동, 학생 평가의 영역에서 각각 어려움과 운영을 위해 수행한 노력이 도출되었다. 자유학기제를 위해 필요한 지원으로는 제도적 지원, 매뉴얼 및 양식 보급, 교사연수 제공, 인력풀 및 기관목록 제공, 예산 및 인력지원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특수학교 자유학기제의 운영 방향과 정책적 시사점에 대한 논의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hallenges of operating free learning semester, efforts made for proper operation, and required supports by interviewing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d operated a free learning semester. In this study, eighteen teachers from fourteen special education schools which have run a free learning semester research school were interviewed in depth. Researchers visited the special education schools and interviewed the teachers individually or in group. Total of fourteen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interviews were done with a semi-structured interview. These interviews were analyzed after recorded and transcribed. By analyzing the data gathered from the interviews, three categories, thirteen topics along with forty-four sub-topics were identified. Topics in challenges and operational efforts were planning free learning semester, managing subject classes, implementing free learning semester activities, and evaluating students. Additionally, institutional support, distribution of manual and document templates, opportunities of teacher’s training, distribution of instructor pool and institution list, and financial and human resource support are also identified. Based on these results, direction of operation an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free learning semester in special education schools were discussed.

      • 자유학기제 시행에 따른 음악과 사회정서학습(SEL) 프로그램 개발

        조정은 한국음악교육학회 2016 학술세미나 및 연수회 Vol.201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music program for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SEL) in order to systematically apply SEL centered on music activities before the sweeping implementation of free learning semester. To this end, first, this study examined measures to approach music activities in secondary schools centered on theoretical examination on the meaning of free learning semester and SEL. Second, competence of SEL and application and design mechanism of music teaching-learning were applied and then SEL music program plans were presented which may be implemented for free learning semester. Third, SEL programs were created in the form of talk concerts for the purport of free learning semester, and social emotional competency was trained centered on music activities. Lastly, for expression, appreciation and making a way of life music disciplines in secondary schools, singing, instrumental music, and music making were presented so that in a systematic class, music activities and SEL could be made organically.

      • KCI등재

        자유학기제 시행에 따른 음악과 사회정서학습(SEL)프로그램 개발

        조정은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5 음악교육공학 Vol.- No.2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music program for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SEL) in order to systematically apply SEL centered on music activities before the sweeping implementation of free learning semester. To this end, first, this study examined measures to approach music activities in secondary schools centered on theoretical examination on the meaning of free learning semester and SEL. Second, competence of SEL and application and design mechanism of music teaching-learning were applied and then SEL music program plans were presented which may be implemented for free learning semester. Third, SEL programs were created in the form of talk concerts for the purport of free learning semester, and social emotional competency was trained centered on music activities. Lastly, for expression, appreciation and making a way of life music disciplines in secondary schools, singing, instrumental music, and music making were presented so that in a systematic class, music activities and SEL could be made organically. 본 연구의 목적은 2016년 자유학기제의 전면적인 시행을 앞두고 음악활동 중심의 사회정서학습(SEL)의 체계적인 적용을 위하여 SEL 음악프로그램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자유학기제의 의미와 SEL의 이론적 고찰을 중심으로 중등학교에서의 음악활동 접근 방안을 살펴보았다. 둘째, 사회정서학습(SEL)의 유능성과 음악교수-학습의 적용 및 설계원리를 알아보고, 자유학기제에 시행할 수 있는 SEL음악 프로그램의 학기 단위 계획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SEL 프로그램은 자유학기제의 취지를 살려 <Talk Concert> 형식으로 교수-학습 과정안을 구안하였으며, 가창, 기악, 감상의 음악활동이 토론형식과 함께 사회정서 유능성을 훈련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중학교의 음악교육과정 영역인 표현, 감상 그리고 생활화를 위한 활동이 체계적인 사회정서학습의 음악프로그램과 유기적으로 연계될 수 있는 자유학기제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중학교 자유학기제 국어과 수업의 교육과정 재구성 및 수업 개선 사례 연구

        정현선,오은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9 No.2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ing patterns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instructional improvement in a free-semester middle school and analyzed students’ and teachers’ responses. A free-semester program was introduced in order to help students search for future careers as well as their aptitudes. During the free-semester, diverse instructional approaches including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instructional improvements were explored and attempted. As a case study on a school in the Kyunggi province, this study analyzed the school curriculum,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KLE) textbooks and worksheets, and interviewed 3 teachers and 5 students. As a result, this study revealed that KLE curriculum was reconstructed according to core-achievement standards, domain-integrated approaches, and subjects-convergence principles. In terms of instructional methods, cooperative learning was empathized and instructional methods were revised according to the purposes of the free-semester programs. In addition, the analyses of the interviews revealed that the free-semester programs contributed to the possibilities of (1) realizing a communicational purpose in KLE, (2) fostering positive attitudes toward Korean language learning, (3) converging KLE instruction with other subjects, and (4) facilitating organization of teachers’ learning communities. 이 연구는 자유학기제 연구학교에서 이루어진 국어과 수업의 교육과정 재구성 및 수업 변화의양상과 이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반응을 분석한 사례 연구이다. 자유학기제는 학생들의 꿈과 끼를 살리고 진로 탐색 및 선택 활동을 장려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자유학기가 적용되는 기간동안 교육과정 재구성과 교과수업 방법 개선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진다. 이 연구는 자유학기제 연구학교였던 경기도 소재 S중학교의 운영 계획서, 국어 교과서, 국어 학습 활동지를 분석하고, 자유학기에 이루어진 국어 수업에 대해 국어 교사 2인 및 학생 5인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FGI) 를 실시‧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어과 수업의 교육과정 재구성은 교육과정 차원에서 핵심 성취기준에 따라 학습 목표 및 하위 영역을 통합하거나, 교과서 차원에서 중복되는 내용은 통합하거나 생략하고 단원 순서를 재조정하는 방식으로 나타났으며, 교과 차원에서는 국어과와 타교과의교과 연계 수업을 시도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초점집단면담을 분석한 결과, 교사와 학생이 자유학기의 국어과 수업을 경험하면서 (1) 국어과 교육이 지향하는 의사소통 교육의 본질 실현 (2) 국어과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긍정적 태도 함양 (3) 국어과 수업의 의사소통 관련 내용을바탕으로 한 국어과 통합 수업 및 타교과와의 의미 있는 연계 수업 구현 (4) 교육과정 재구성과수업 활동 개선을 위한 국어과 및 타교과 교사와의 교사 학습 공동체 형성에 기여할 수 있음을보여주었다. 이 연구는 자유학기제의 교육과정 재구성과 수업 활동 개선이 다소의 시행착오에도불구하고 국어과 수업 개선에 어떻게 의미 있게 기여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조건이 무엇인지를보여준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