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들뢰즈와 가타리의 리좀적 탈주 표현 연구 - 송하영 회화·오브제작품을 중심으로 -

        송하영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4

        연구자의 작품에 투영되어 있는 탈주체의 형상과 속성, 그리고 탈주 방식 등을 들뢰즈와 가타리가 사회 변혁의 방식으로 제시한 리좀적 사유에 연결시켜 살펴보고, 그것이 사회적으로 어떠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지 밝혀보았다. 연구자의 작품에 투영된 탈주체는 어떤 완성체가 아니며 언제나 변화와 생성을 전제하고 있는 질료와 같은 것이다. 이 탈주체는 유·무의식적 욕망이 존재한다. 이 욕망은 들뢰즈와 가타리가 모순된 사회 변화를 추구하는 등의 긍정적 속성을 지닌 생성의 욕망이다. 탈주체에 이 욕망을 배치하게 되면 탈주을 감행한다. 이 탈주 방식은 들뢰즈와 가타리 가 제시한 리좀적이다. 이것은 모순된 것을 해체하고, 외부와의 연결·접속과 단절을 반복하면서 새로운 질서를 생성한 다. 작품에 등장하는 리좀적 탈주체는 반복적 붓질을 한 색면과 결합된 오브제를 가변 설치하여 탈주하는 과정과 방 식을 추상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 작품에서 탈주하는 탈주체들의 목표는 존재자들의 가치와 자유롭고 창조적인 삶 을 인정하는 공간으로 안전하게 착륙하는 것이다. 이 탈주체들은 드넓은 초원을 유동하면서 끊임없이 새로운 풍경을 생성하는 노마드이며, 모순된 사회에 저항하는 예술가, 문학가, 즉 들뢰즈와 가타리가 사회 변혁의 개념으로 제시한 전쟁기계와 거리의 열정을 만들며 새로운 가치와 정치를 창안·창조하는 니체의 아곤 개념과 연결된다. 이들이 추구하 는 것은 기존 질서를 완전 해체하는 것이 아니며, 타자성을 인정하는 가운데 공존할 수 있는 공간을 희망한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forms, attributes, and escape methods of post-subjects projected on the investigator's works in connection with rhizomatic thinking proposed as a way of social transformation by Deleuze and Guattari and examine their social connotations. Post-subjects projected on the investigator's works are not completed wholes of some sort, but like materials whose constant premise is change and creation. In the investigator's works, post-subjects have conscious and unconscious desire. It is the desire of creation with positive attributes including Deleuze's and Guattari's pursuit of changes in a contradicting society. When desire is deployed in post-subjects, they will carry out an escape. This way of escape is rhizomatic proposed by Deleuze and Guattari. It deconstructs contradicting things and repeats connection, contact, and severance with the outside world, building a new order. Rhizomatic post-subjects appearing in the investigator's works depict the escape process and method in abstract ways through the variable installation of objets combined with a color field of repeating brushes. In this work, the goal of post-subjects is to make a safe landing in a space where beings are recognized for their values and free and creative lives. These post-subjects are nomads creating a new landscape continuously, wandering around vast plains, and also artists and literary figures resisting a contradicting society. That is, they are connected to the concept of a war machine proposed by Deleuze and Guattari as a concept of social transformation and to the concept of Nietzsche's Agon to devise and create new values and politics based on street passion. They seek after a space where they can co-exist with otherness recognized rather than the complete deconstruction of the old order.

      • KCI등재

        유목적 읽기의 속성 고찰 - 들뢰즈와 과타리의 천 개의 고원 12장의‘유목론’을 토대로 -

        김도남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3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6 No.-

        This discussion examined the properties of text comprehension by nomadic readers. It is based on the nomadism discussed in Chapter 12 of Deleuze and Guattari’s A Thousand Plateaus. Nomadic readers practice nomadic reading that creates their own lives. Nomadic reading is reading that reflects the nomadic nature of nomadic life. The characteristics of readers who perform nomadic reading are as follows. First, it controls reading in one’s own life. Second, it roams the text world for self-creation. Third, it creates meaning by responding to text arrangement. Fourth, it creates self-consciousness that changes through text and connection. Fifth, it exists through the practice of the self-consciousness it has created. The reading properties of this nomadic reader are as follows. First, the reader cuts the current perception and recognizes it creatively. Second, the reader achieves a unique understanding by breaking away from text understanding of mole properties. Third, the reader becomes self-aware by connecting to the contents of the text in the way of rizome. Fourth, the reader transcends one’s consciousness of the present object. Fifth, the reader understand the text that creates one’s own life. Nomadic reading is reading in which the reader creates himself for his own life.

      • KCI등재

        신소설 여성인물의 탈주 양상과 가치유형

        장노현(Jang, Nohyun) 한국비평문학회 2015 批評文學 Vol.- No.58

        Escape narrative is popular in Sinsoseol. This paper is an analysis of Samgaksan and Ongnyeondang in which escape narrative constitutes the nucleus of the story. I studied escape of female characters and their value domain through this analysis. I grouped escape pattern of female characters in Sinsoseol into two categories, which is typical case and untypical case. The typical case represents by Ongnyeondang and the untypical case is in Samgaksan. I applied Universal Value Theory designed by Shalom H. Schwartz to explain the characters’ value domain. I compared and analyzed the beginning of escape, the process of escape, and the end of escape which are described in the two works. First, a review of the beginning of escape, while Okhyeong’s escape in Ongnyeondang begins under involuntary conditions, Simssi of Samgaksan executes escape on her own active judgment. Simssi have the value domains of Self-Direction and Stimulation and this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at of Okhyeong. Second, while Okhyeong tries to keep her feminine identity which Confucian patriarchy impose on, Simssi doesn’t cling to the past identities but tries to become other. Simssi keeps Openness to Change through her refusal to conform to the existing system. Thirdly, Okhyeong reverts to the existing system by being captured by pursuer but so is Simssi. The pursuers in Sinsoseol believe in the value domain of Tradition, have an inclination toward Conservation. However Simssi executes re-escape after her return, which is major difference from other escape narrative.

      • KCI등재

        노마디즘에 나타난 교육인간상 탐구

        노상우(Ro, Sang-Woo),송혜린(Song, Hye-Ri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4 敎育思想硏究 Vol.28 No.1

        본 연구는 들뢰즈와 가타리가 제시한 노마디즘의 철학적 사유가 어떤 교육적 인간상을 내포하고 있는가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노마디즘에 내포된 인간관의 특징을 살펴보고, 둘째 그러한 인간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적 과제는 무엇인가를 알아본다. 이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들뢰즈와 가타리는 '선분'이라는 개념을 통해 근대성의 특징을 '이항성', '통일성', '초코드화'로 보고 이것의 문제를 비판한다. 근대는 지배적인 질서가 요구하는 규범이나 규칙에 스스로를 동일시하는 메커니즘을 형성하게 되며, 교육에서도 그 사회가 지향하는 이념과 규범을 내면화한 표준화된 인간상을 전제한다. 노마디즘은 이러한 인간상을 극복하고자 한다. 둘째, 노마디즘적 인간은 이미 고정되거나 주어진 틀에 가두어 지는 것을 거부하고, 타고난 잠재성에 따라 끊임없이 자신을 변형하고 다른 무엇이 되고자 하는 욕망을 실현하는 존재이다. 셋째, 노마디즘에 바탕을 둔 교육적 인간상은 낯선 곳에서 새로운 나를 발견하고, 무엇이든 접속과 소통을 통하여 배우고 탐구하는 '탈주적-유목적 인간형'이다. 또한 자신을 둘러싼 타자들과의 적극적인 교류를 통해 신체적 감각을 활동시켜 새로운 자기생성과 자기변혁을 추구하는 사람이다. 이상과 같은 논의는 어떤 초월적인 규정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삶의 관계에 기반한 탈근대교육을 연구하는 데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what kind of the ideal of an educated person the philosophical thought of Nomadism, which Deleuze and Guattari suggested, contains. Two subjects for this are to examine humanity connoted Nomadism and to look into what is the educational aim to cultivate such human.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Deleuze and Guattari point out the character of modernity as binomical properties, unity, surcodage. The problems of this is to form mechanism identifying itself to the standards and the rules which the dominant order in modern age requires. And it premise the standardized man internalized the ideology and social norms which the society aim for in education. Second, the type of man in Nomadism, as creator of itself, refuses to be confined in the frame fixed and given. And the man in Nomadism is the being who has the purpose to fulfil the desire which translates itself constantly at the born potential and wants to become new something. Third, the man which the Education wants to realize in the life of Namadism is to find new self at an unfamiliar place. And it is being who learns through the connection with something and communication and does research on something. Also, it is the being which lets physical sense act constantly and makes new things and creates through active interchange with the another person surrounding itsel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study about the post-modern education based on the relationship of free life which is not bound by transcendent rule.

      • KCI등재

        분열과 탈주에 기반한 윤동주 시의 소수성 연구

        윤호경 한중인문학회 2015 한중인문학연구 Vol.48 No.-

        다문화사회의 소수자들의 삶은 개선을 위한 여러 가지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위태롭고 불안한 상태에 있다. 이들의 문제를 자기화해서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언제나 다수자라고생각해 왔던 우리의 정체성에 내재하는 소수자로서의 정체성을 발견하는 일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민족시인’으로 불리며 사랑받아온 윤동주 시의 소수적 정체성을 분석함으로써 우리안의 소수성을 발견하고, 그의 시가 지닌 저항성의 외연을 파악하고자 한다. ‘소수자’는 사회적 약자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의 지배적 척도와 규범을 거부하고새로운 삶의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는 적극적인 주체를 말한다. 반면, 다수자는 소수자를 척도화함으로써 다수성의 규범 아래에서 지배하고자 한다. 식민지 조선에서 조선인은 다수적 척도와 규범을 공유하지 않는 소수자였고, 일제는 동화 정책을 통해 조선인들을 척도화하고자 했다. 이러한 억압을 피할 수 없는 상황에서 윤동주는 외적으로는 다수성을 갖추되, 치열한 자기반성과 성찰을 통해 다수성의 지배에서 벗어나 소수자로서의 저항을 지속하고자 했다. 윤동주의 작품에서 저항은 주로 시적 화자의 내적 분열을 통해 형상화된다. 그의 내적 분열은 한 곳에 정착할 수 없는 유목적 정체성과 깊은 관련을 맺으면서 하나의 정체성, 합일된자아로 환원되지 않는 지속적인 탈주의 양상을 보인다. 그의 의식은 체제와 질서로부터 끊임없이 탈주함으로써 이에 저항하고, 기존의 삶의 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삶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소수성을 보여준다. 동일성으로 수렴되지 않는 윤동주의 분열된 의식은 저항의 대상인일본에도 적용되어, 그는 일제에 저항하면서도 개별자로서의 일본인들의 삶의 실상을 이해함으로써 항일이 의미하는 제한된 저항의 범주에서 벗어난다. 윤동주는 어느 사회에서나 정도의 차이를 두고 소수자로 살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정체성을 통해 그는 간도, 조선, 일본에서 다른 이들의 시선에는 포착되지 않는 균열과 모순을발견하고 이에 저항할 수 있었다. 이처럼 자기 자신 안에 존재하는 소수성을 발견하는 일은사회의 실상과 삶의 진실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다양한 층위의 소수자들의 문제를 자기화하는 일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Multicultural society caused some problems regarding foreign laborers‘ human rights, but most Koreans don’t consider these as their own problems. To take these as ours, it is necessary to find identities inherent in us as minority.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investigate Yun Dong-ju’s identities as the minority, who has been thought as ‘the major author’ in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rough analyzing his poems. Minority means not only the disadvantaged or vulnerable members of society, but also means active subjects who present new ways of lives. While majority is characterized by ruling power and dominating force, minority is characterized by rejecting standard measures and dominant norms. Many Koreans were minority in colonial period compared to Japanese. However, Japanese imperialism aggressively pushed Koreans to assimilate to Japanese culture under oppressive policies. Yun Dong-ju was also forced to change his name to Japanese name, and he chose to change it. But, although he accepted the major norm outwardly, he tried to continue his resistance by refusing it intensively in his inner side. Yun Dong-ju’s resistibility is mostly poetized by fragmentation of subject in his works. To reflect on himself, he divided his egos into two or three. This kind of fierce self-examination has a connection with his nomadic identity which never settled down in one site, and it made his reflection constant and continual. Through dividing his egos, Yun Dong-ju has escaped from standard measures and dominant norms, and it means that he rejected all the oppressive systems and rules putting pressure on him. In this way, Yun Dong-ju also has divided thoughts about Japan which he had to protest. As a result, he could know the actual circumstances of Japan imperialism, and also understand andsympathize the lives of Japanese. Yun Dong-ju lived his life as the minority in societies such as Kando, Chosun and Japan. As a minority, he could see through the contradiction and the truth of societies and resist the undue pressures. As he did, having identities as minority would make us understand the reality of our society, and also make the problems regarding diverse minority as our own.

      • KCI등재

        김열규의 『한국문학사』 기술의 특수성

        류정월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23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100 No.-

        이 논문은 김열규의 『한국문학사』(탐구당, 1983)가 가지는 한국문학 연구서로서의 특징과 성과를 살펴본다. 『한국문학사』는 시대와 장르를 넘나들면서 하나의 텍스트와 다른 텍스트의 연결고리를 추적하는, 일종의 상호텍스트성의 궤적을 만든다. 이 논문에서는 들뢰즈와 가타리의 후기구조주의적 관점에 따라 ‘김열규’를 욕망하고 행동하는 주체이자, 기호체계에 귀속될 수밖에 없는 주체로 전제하며, 그러한 관점에서 새롭게 열리는 길이 어떤 것인지 살펴봄으로써 『한국문학사』의 특수성을 논하고자 한다. 이는 두 가지 방향으로 이루어지는데, 하나는 『한국문학사』에서 이루어지는 시학적이며 구조적인 측면을, 다른 하나는 각 텍스트가 연계되는 다소 무질서해 보이는 리좀적 측면을 살피는 것이다. 『한국문학사』를 이루는 세 장은 『삼국유사』를 중심으로 연계되는데, 그 개별 텍스트(가령 <단군신화>) 분석에서 특히 시학적이며 구조적 시각은 두드러진다. 텍스트 세부를 다양한 이론들을 통해 읽어냄으로써 참신하고도 풍부한 논의를 생산한다. 또한 『삼국유사』가 현대 텍스트에까지 잇달아 있는 맥락을 밝히고자 한다는 점에서 통합의 의지를 드러내기도 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 『한국문학사』는 『삼국유사』뿐 아니라 현대문학 및 문화 콘텐츠들로 대상을 확대하면서 주 텍스트와 부 텍스트의 경계를 흐리게 한다. 이 텍스트에서 저 텍스트로, ‘그리고-그리고-그리고’로 무수히 확장되는 수평적 연결망은 마치 리좀과 유사하다. 마지막으로 본 논의는 이러한 두 측면의 관계를 밝히면서 결국 문학 작품의 유기성을 전제하는 통합과 종합의 의지가 리좀적 방향으로 견인된다고 본다. 『한국문학사』는 단순히 강의실 밖으로의 공간적 탈주 혹은 고전에서 현대로의 시간적 탈주뿐 아니라, 한국문학에 대해 새로운 인식을 요청하는 인식적 탈주를 감행하면서 결국 『한국문학사』는 한국문학을 봉쇄가 불가능한 대상으로 재영토화한다. 『한국문학사』는 ‘문학사 아닌’-‘새로운 문학사’의 사이에 있는 텍스트이며, 그 담론적 저자로서 김열규는 탈주선을 그리는, 당대로서는 유표화된 유목적 주체라 하겠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