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환경불평등 해소를 위한 수용체 중심 위해관리 기반 연구

        정다운 ( Dawoon Jung ),윤성지,김시진,김선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9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초연구보고서 Vol.2019 No.-

        환경유해인자 노출로 인한 건강영향은 수용체의 생물학적, 사회경제적, 문화적 특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이러한 차이로 인한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환경유해인자에 대한 노출뿐 아니라 생물학적, 사회경제적 요인 등을 모두 고려하는 수용체 중심의 종합적인 위해관리의 도입 및 적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불평등한 건강피해의 해소를 위하여 환경약자를 우선 고려하는 수용체 중심의 위해관리 도입 관련 기반 조사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우선 환경보건의 틀 안에서 환경불평등과 연관된 용어들의 개념을 정리하여 연구의 범위를 설정하였다. 또한 환경불평등의 해소를 위하여 WHO와 EPA가 개발한 위해관리의 이론적 배경을 검토하고 환경불평등을 고려한 위해관리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수용체 중심 위해관리의 첫 단계인 누적위해성평가에서 환경불평등 요소를 평가하기 위한 주요 인자 및 방법론을 검토하였다. 특히 미국 EPA에서 체계적으로 구축하고 있는 환경정의 로드맵에 따른 누적위해성평가의 방법론을 분석하고, 국내 도입 및 응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사례 연구를 통하여 누적위해성평가의 시행이 정책과의 연결을 통하여 환경불평등 해소에 기여하는 과정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 과정의 결과물로 수용체 중심의 위해관리 도입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여 향후 정책수립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건강피해는 균등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본 연구의 결과가 개인과 집단의 의지와 상관없이 불공평하게 나타나는 건강피해를 해소하기 위한 주춧돌이 되어 환경약자의 보호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The health effects of exposure to environmental hazards vary depending on the biological, socioeconomic,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receptor. To resolve the inequalities in environmental health caused by these difference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nd apply a comprehensive risk management system that considers both biological and socioeconomic factors in addition to exposure to environmental pollutant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basic research to establish receptor-oriented risk management that takes into account the environmentally disadvantaged population. First, we examined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inequality within the framework of environmental health. In addition, we analyzed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risk management developed by WHO and EPA to resolve environmental inequality. Next, we reviewed major factors and methodologies for evaluating environmental inequality as part of the cumulative risk assessment, the first step in receptor-based risk management. Specifically. we analyzed the environmental justice roadmap’s methodology formulated to assess environmental justice as part of the cumulative risk assessment process, and evaluated the possibility of its application in Korea. Finally, we examined a case study that demonstrates how well-planned cumulative assessment can contribute to mitigating environmental injustice. Based on our results, we came up with suggestions for implementing receptor-oriented risk management that takes into account environmental justice. Health damage from environmental hazards does not occur equally.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unequal health damage from environmental hazards, and the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ally disadvantaged.

      • KCI등재

        Environmental Aid from the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Justice

        정지영(Ji Young Jung) 국제개발협력학회 2012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3 No.3

        연구목적: 개발도상국의 환경 문제는 대부분 환경 정의의 문제와 맞물려 있다. 이 논문은 환경 정의의 관점으로 환경 원조를 비판하고자 한다. 환경 정의 관점에서 글로벌 및 지역 원조 체계의 구조와 행태를 재점검할 것이다. 연구의 중요성: 환경 정의 관점으로 환경 원조를 다룬 연구논문은 거의 없다. 환경 원조에 대한 양적 평가를 넘어서, 이 연구는 정의의 관점으로 환경 원조의 한계점을 논하고자 한다. 이로써 환경 원조의 지속가능성과 효율성을 달성하기 위해 의미있는 통찰력을 제공할 것이다. 연구방법론: 이 논문의 연구분석틀로 사용될 환경 정의 관점은 원조 체계 내에 환경불평등을 양산하는 정치적/경 제적 구조를 재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환경 정의 개념은 환경 정의 운동과 이론 관련 기존의 문헌 조사에 근거를 둔다. 연구결과: 글로벌 및 지역 원조 체계 내에 분배, 절차, 인식, 능력 측면에서 환경불평등을 양산하는 한계점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맹점은 환경 원조의 지속가능성과 효율성을 저해하는 요소이기도 하다. 결론 및 시사점: 원조 체계 내에 존재하는 불평등을 지양하려면, 환경 정의의 원칙을 인식하는 환경 원조가 필요하다. 이 논문은 협력의 다각화, 환경규제 강화, 생태민주주의 내재화와 같은 정책 시사점을 제안한다. Purpose: Environmental degradation and struggles in developing countries are almost always linked to questions of environmental justice. This paper aims to criticize environmental aid governance through the lens of environmental justice. From the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justice, the pattern and the structure of global and local aid governance will be reexamined. Originality: There are not many academic articles dealing with environmental aid from an environmental justice perspective. Beyond a merely quantitative evaluation of environmental aid, this article attempts to illuminate environmental aid governance in justice terms, which will offer meaningful insights in order to achieve sustainability and efficiency of environmental aid. Methodology: The notion of environmental justice employed as a research analysis framework will enable us to reexamine political and economic processes embedded in the aid governance that create environmental inequality. This methodological framework is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 review of environmental justice movements and academic theories. Result: My study finds that the pattern and the structure of global and local environmental aid have some limitations that generate loopholes for environmental inequality in terms of distribution, procedure, recognition, and capability. These limitations can be one of the greatest obstacles to sustainability and efficiency of international environmental aid. Conclusions and Implication: In order to redress injustice in aid governance, we need such environmental aid that recognizes the principles of environmental justice. Policy implications are suggested as follows; concerted collaboration with diverse partners, reinforcement of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internalization of ecological democracy within the aid governance.

      • KCI등재

        Environmental Aid from the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Justice

        정지영 국제개발협력학회 2021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3 No.3

        Purpose: Environmental degradation and struggles in developing countries are almost always linked to questions of environmental justice. This paper aims to criticize environmental aid governance through the lens of environmental justice. From the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justice, the pattern and the structure of global and local aid governance will be reexamined. Originality: There are not many academic articles dealing with environmental aid from an environmental justice perspective. Beyond a merely quantitative evaluation of environmental aid, this article attempts to illuminate environmental aid governance in justice terms, which will offer meaningful insights in order to achieve sustainability and efficiency of environmental aid. Methodology: The notion of environmental justice employed as a research analysis framework will enable us to reexamine political and economic processes embedded in the aid governance that create environmental inequality. This methodological framework is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 review of environmental justice movements and academic theories. Result: My study finds that the pattern and the structure of global and local environmental aid have some limitations that generate loopholes for environmental inequality in terms of distribution, procedure, recognition, and capability. These limitations can be one of the greatest obstacles to sustainability and efficiency of international environmental aid. Conclusions and Implication: In order to redress injustice in aid governance, we need such environmental aid that recognizes the principles of environmental justice. Policy implications are suggested as follows; concerted collaboration with diverse partners, reinforcement of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internalization of ecological democracy within the aid governance.

      • KCI등재후보

        지구공동체 윤리로서 환경정의와 환경교육

        최병두(Byung-Doo Choi) 한국공간환경학회 2007 공간과 사회 Vol.27 No.-

        이 글은 지구공동체의 새로운 윤리로서 환경정의에 관한 실천적 이론적 관심을 고양하고 이를 환경교육의 핵심에 놓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근대 자본주의의 발전은 환경불평등을 초래했으며, 특히 최근 시장메커니즘에 기초한 신자유주의적 세계화 과정은 이를 심화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환경불평등을 심화하는 시장의 논리에서 환경정의의 윤리로 전환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환경정의의 윤리는 이러한 환경불평등으로 고통받는 다양한 계층 및 인종들에 의한 실천운동에서 제기되었다. 환경정의에 대한 관심이 증대함에 따라 환경불평등에 관한 다양한 경험적 연구와 더불어 철학적·사회이론적 전통들 ― 자유주의, 공리주의, 마르크스주의, 포스트모더니즘 등 ― 에 기초해 환경정의를 개념화하기 위한 연구들이 전개되고 있다. 또한 환경정의에 대한 실천적 이론적 관심 증대는 환경정의를 중심으로 한 환경교육에 대한 강조로도 이어지고 있다. 환경정의교육은 전통적 환경교육과는 달리 도시사회에 심화되고 있는 계층, 인종, 지역 간 환경불평등의 문제들을 부각시키고 여기에 윤리적·실천적으로 접근해 환경정의에 기초한 생태공동체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is paper contributes to promote practical and theoretical interests in environmental justice and to place it to the center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modern capitalism has brought about environmental inequalities, and in particular the neoliberal globalization process operating on the basis of market mechanism tends to have accelerated them. Thus,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logic of market which has generated and deepened environmental inequalities should be replaced with the ethics of environmental justice. The ethics of environmental justice has emerged from practical movements of peoples of diverse classes and ethnic groups who have suffered from environmental inequalities. As the concerns on environmental justice have increased, there have been both various empirical researches on environmental inequalities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to conceptualize environmental justice under several kinds of philosophical and social theoretical traditions(e.g. liberalism, utilitarianism, Marxism, postmodernism, etc.). What is more, such increasing concerns with environmental justice has been reflected on education for environmental justice. Environmental justice education, unlike traditional environmental education, gives the main focus to environmental inequalities between classes, ethnic groups and regions and tries to construct ecological communities in which humans and other members of ecology can share their environments and hence co-evolve each other.

      • KCI등재

        연구논문 : 환경복지 개념 도입에 관한 시론적 연구

        고재경 ( Jae Kyung Koh ),정회성 ( Hoi Seong Jeong ) 한국환경정책학회 2013 環境政策 Vol.21 No.3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werlfare`` as a newframework of environmental policy to deal with emerging environmental challenges and social inequality at the same time. Large-scale and global environmental hazards such as climate change, loss of biodiversity and stresses on food-producing systems pose a major threat to human health and well-being of the future generation as well as the present one. Furthermore, the socially and economically disadvantaged are often more vulnerable to increasing environmental risk, and environmental goods and services vary between different areas and communities. The welfare state, faced with new challenges, reveals limitations to ensure the quality of life, which demands a new paradigm to link the environmental inequality and social inequality.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welfare`` is founded on the premise that a clean and healthy environment is vital for everyone`s quality of life and happiness, and it puts priority on environmentally vulnerable groups excluded from minimum environmental services. ``Environmental welfare`` is an emerging concept in environmental policy, therefore, in this paper a preliminary theoretical framework is constructed by reviewing similar concepts such as environmental justice, environmental equalit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his paper also suggests basic principles and guidelines of environmental welfare policy, which should be developed in detail in the future research.

      • KCI등재

        해양오염의 환경적 불평등 개선을 위한 법적 연구

        최석문 한국환경법학회 2024 環境法 硏究 Vol.46 No.1

        이 글은 해양오염으로 인한 환경적 불평등이 지속되고 있는 시점에서, 환경정의에 관한 법이론적 논의를 기초로 그 불평등을 개선하기 위한 법해석론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작성되었다. 이를 위하여 해양오염으로 인한 환경적 불평등 현황을 파악하고, 법이론적 관점에서 환경권, 평등권, 환경법의 일반원칙으로 구분하여 환경적 불평등과 관련된 쟁점을 환경정의 관점에서 분석하며, 나아가 문제점 극복을 위한 법적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환경정의 관점에서 지역주민, 미래세대 등 사회적 약자들은 해양환경이 제공하는 편익을 제대로 누리지 못한 채 해양오염 위험의 부담을 안고 있고, 해양오염과 관련된 충분한 정보를 제공받지 못하여 형식적으로 의사결정절차에 참여하고 있으며, 오염원인자는 해양오염 피해에 대한 배상 및 제거의무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오히려 피해자는 해양오염 피해로부터 신속하고 충분하게 구제받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해양오염으로 인한 환경적 불평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헌법재판소와 법원을 비롯한 사법부가 현행법 체계의 한계를 인식하고, 법률 해석에 있어서 (ⅰ) 환경권과 평등권의 효력 확대, (ⅱ) 해양환경영향평가 하자에 대한 적극적 심사, (ⅲ) 해양오염 피해에 대한 정보접근 보장, (ⅳ) 해양오염 피해 소송의 원고적격 인정범위 확대, (ⅴ) 해양오염 원인자에 대한 실질적인 책임 분배를 관철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 제시한 법해석론적 해결방안이 적극적으로 검토되어 우리나라에서 해양오염으로 인한 환경적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길 기대한다. This article was written to suggest a legal interpretation method to improve the inequity based on legal and theoreical discussions of environmental justice when environmental inequity due to marine pollution continues. To this end, we are trying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environmental inequity caused by marine pollution, analyze issues related to environmental inequity from the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justice by dividing it into environmental rights, equal rights, and general principles of environmental law from the perspective of legal and theoretical perspective, and further seek legal solutions to overcome problems. From an environmental justice point of view, socially disadvantaged people, such as local residents and future generations, bear the risk of marine pollution without properly enjoying the benefits of the marine environment. And they participate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formally because they do not receive sufficient information related to marine pollution. Meanwhile the people who caused the pollution don't properly fulfill the obligation to compensate and remove damage from marine pollution, and rather, the victim does not receive prompt and sufficient relief from marine pollution damage. In order to improve environmental inequity caused by such marine pollution, it is necessary for the judiciary, including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court, to recognize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legal system and interpret the law as follows. ; (ⅰ) to expand the effectiveness of environmental rights and equal rights in legal interpretation, (ⅱ) to actively review defects of marin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ⅲ) to guarantee access to information on marine pollution damage, (ⅳ) to expand the scope of standing to sue for marine pollution damage, and (ⅴ) to distribute substantial responsibilities to the causes of marine pollution. It is hoped that the legal interpretation solution presented in this article will be actively reviewed, laying the foundation for resolving environmental inequity caused by marine pollution in Korea.

      • KCI등재후보

        Analysis of environment influencing factors in China based on STIRPAT model

        ( Juanjuan Dai ),( Weining Shen ),( Hanmo Jang )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19 지역개발연구 Vol.51 No.2

        Since the reformation and the opening-up policy in 1978, China has achieved a high economic growth for about 30 years. However, the problem of economic disparity in China has been worsened than ever before, and the environment inequality is beginning to be more noticeable. China faces the challenge this environmental inequality. In this paper, we first calculated the Green Contribution Coefficient in the 31 provinces in 2000 and 2014, and then clarified the fact that there existed regional environmental inequality in China. Based on the STIRPAT model, various factors affecting environmental in China from 2000 to 2014 were analyzed by th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panel data on industrial air pollution published by each ministry. We examined the hypothesis that the increase in GDP, secondary industry ratio, the energy industry investment has a negative influence on Chinese environment. The environmental inequality is to be balanced by the progress of industrial structures in the various regions of China.

      • KCI등재후보

        환경정의에 관한 충북지역 중·고등학생들의 의식 연구

        강영복,송영미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03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1 No.3

        본 연구에서는 환경 정의(正義)적 의식을 확산시켜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환경 부정의(不正義)가 없는 사회를 이룩하고자 중·고등 학생의 환경 정의에 관한 의식을 조사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은 청주지역 중ㆍ고등학교 학생 548명을 대상으로 2002년 7월 8일~7월 20일 사이에 설문조사를 통하여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 대상 학생의 환경정의 개념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환경 피해 제외자에 대한 인식이 낮았는데 이는 학생들이 환경오염에 의한 피해를 받지 않을 수 있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환경정의론적 시각에서의 환경문제 인식에 있어서 학생들은 노약자 등 저항력이 약하고 건강이 나쁜 사람들이 피해를 더 많이 받는다는 것은 아주 높게 인식하고 있는 반면에 소득이 높거나 권력이 있는 사람일수록 환경피해를 적게 받을 수 있다는 것에 대한 인식은 아주 낮았다. 이상의 결과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환경교육을 실시하는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실생활에서 발생하는 환경피해 사례와 갈등 상황을 가급적 많이 제시하고 개인과 집단의 이해관계에 따라 피해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과 환경 피해를 보는 시각을 넓혀 주어야 한다. 이러한 교육을 통해 실천적인 환경지식을 함양하여 환경부정의나 환경 불평등에 대한 비판과 올바른 방향제시 등의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심각한 환경문제에 직면한 우리는 교육을 통해 의식을 전환함으로써 환경정의적인 관점에서 환경문제를 보고 해결할 수 있는 실천적 능력을 갖게 됨으로써 인간사회에서 정의와 평화를 실현하고 자연과 생명 공동체가 함께 하는 사회를 이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cognition of the environmental justic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Chungbuk district. The survey was done using questionnaires in 2002, and the subjects were 548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Environmental recognition in terms of environmental justice is low. The recognition of environmental justice was related to sex, grade, regional character. This study suggest as follows: We teachers should suggest damage cases and conflict situations in actual life as many as possible. Our education should broaden the viewpoint of environmental damage and provide practical knowledge of environment so as to poster the competence to criticise and suggest positive alternatives to environmental injustice and environmental inequality.

      • KCI등재

        한국사회 고등학생의 기회불평등의식

        이성균 ( Sungkyun Lee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社會科學論集 Vol.47 No.2

        이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기회불평등의식 현황을 정리하고, 학교교육 및 가정배경 등 사회·심리적 요인이 기회불평등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한국사회에서 고등학생들의 학교교육 평가는 아버지의 학력과 직업, 그리고 계층소속감에 따라서 많은 차이를 보이며, 고등학생의 거주지 교육생활 환경도 부모의 학력 및 직업 등 가정배경에 따라서 상기하게 평가된다. 대부분의 중학교 졸업자들이 고등학교를 진학하는 한국사회에서 교육기회는 형식적으로 평등한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부모의 경제적 능력과 같은 사회경제적 요인에 따라서 학교와 거주지에서의 교육경험이 차별적으로 나타난다. 고등학생들의 기회불평등의식은 이러한 사회경제적 요인의 격차를 반영한다. 현재 고등학생들은 가족배경이 개인적 성공의 주요 요인이라고 평가하며, 교육·인맥형성·노동시장의 기회공평성에 대해서 부정적이다. 회귀분석결과에 의하면, 가정배경 가운데 주관적 계층지위와 아버지의 직업이 기회불평등의식에 영향을 미치며, 상류층 가정 혹은 화이트칼라 직업의 아버지를 둔 고등학생은 기회불평등이 덜 심각하다고 의식한다. 또한 고등학생들의 기회불평등의식은 학교교육과 지역의 교육생활 환경에 영향을 받는다. 부모의 직업 등 가정배경이 동일하다면, 학교의 다양한 교육적 역할과 지역의 교육생활 환경을 긍정적으로 평가할수록 고등학생들은 기회불평등이 덜 심각하다고 의식한다. 따라서 학교를 포함한 전 사회적 차원의 정책을 통하여 사회경제적 격차를 해소한다면, 이에 대한 학교 및 지역 등에 대한 평가도 긍정적으로 변화할 것이며, 이러한 변화가 궁극적으로 기회불평등 의식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social consciousness of opportunity inequality among the high school students and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s of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on social consciousness of opportunity inequality. The school experiences of the Korean high school students differ by the jobs of their parents and self-perception of social stratification status. We could also fin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evaluation of local environment for education activities according to such family backgrounds as the education levels of their parents and the stratification status perceptions. Even though the opportunity for education seems to be formally equal in Korea where most junior high school graduates go on to the high school, the students different evaluate the educational experiences at the school and the local community according to the family backgrounds. The social consciousness of opportunity inequality among the high school students reflects the gaps of socio-psychological factors. Many students agree with the argument that family background is one of the main factors to decide their own success. They have a negative attitude about the opportunity equality for the education, social networks and the labor market achievements. Among the family backgrounds, father`s job and stratification status significantly affect the social consciousness of opportunity inequality. Their evaluations of the school experiences and the local environment for education activities also affect their attitude. If the family backgrounds are same, those with the positive school experiences and the favorable local environment tend to show a less inequality-oriented attitude. The findings therefore imply that the social and educational policies that could reduce the socioeconomic gaps could consequently affect the social consciousness of opportunity inequality in Korea.

      • KCI등재

        환경정의 관점에서 본 전자폐기물 처리과정 분석

        이현정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20 국제지역연구 Vol.24 No.3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emergence of new services and devices, people around the world are living a faster and more convenient life, but the amount of electronic waste is also increasing rapidly. Electronic waste is currently being exported to developing countries where labor costs are low and environment-related legislation is loose. However, hazardous wastes can not be exported to countries where waste imports are prohibited according to the Basel Convention. Nonetheless, electronic waste is exported in the form of used equipment, recycled products, and assistanc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ss of electronic waste disposal in terms of environmental justice that can be discussed in connection with unequal distribution of environmental burden and benefits. First, electronic waste disposal has been dealt with in areas that are not under the interest of developing countries. Second, environmental justice is difficult to realize in circumstances where environmental risks and interests are dealing in the form of exchange. Third, a distributional, procedural, and practical definition is prerequisite for realization of ecological justice. After all, in order to achieve environmental justice,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individual actors are important. Most of all, it is difficult to solve the problem through distribution once electronic waste is produced so it is best to reduce the environmental burden itself by minimizing the generation of waste as much as possible. 정보기술의 급속한 발달과 새로운 서비스 및 기기의 등장으로 전 세계 사람들은 보다 빠르고 편리한 생활을 영위하고 있지만 더불어 전자폐기물 양 또한 급증하고 있다. 이에 전자폐기물은 현재 인건비가 싸고 환경관련 법안이 느슨한 개발도상국으로 수출되어 처리되고 있다. 그러나 유해폐기물은 바젤협약에 따라 폐기물 수입이 금지된 나라로는 수출을 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자폐기물은 중고기기 혹은 재활용품, 원조의 형태로 용도가 변경되어 수출이 자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환경 부담과 편익의 불평등한 분배를 연결하여 논의할 수 있는 환경정의의 관점에서 전자폐기물 처리과정을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첫째, 전자폐기물 처리과정은 환경적 위해와 의사편익이 교환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어 분배적 정의와 절차적 정의가 지켜지지 않고 있었다. 둘째, 환경정의는 실질적 정의의 실현을 강조하지만 실질적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우선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과정과 상황의 순조로운 처리가 전제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선진국은 실질적 정의 실현을 목적으로 수입중단, 생산자확대책임제도 등을 시행하기 앞서, 폐기물이 수입되지 않았으면 생기지 않았을 개도국의 현재 문제들에 대해 책임감을 가지고 처리해야 한다. 셋째, 생태적 정의의 실현은 분배적, 절차적, 실질적 정의가 실현되어지면 당연히 실행되어짐을 알 수 있었다. 결국 전자폐기물 처리과정에서 환경정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선진국과 개도국이 부담과이득을 함께 한다는 것, 선진국과 개도국 누구도 배제될 수 없다는 것, 선진국과 개도국 모두 책임에 따른 행동을 해야 가능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