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에너지전환 정책의 현황과 쟁점

        이준서 ( Lee Jun-seo ) 한국환경법학회 2020 環境法 硏究 Vol.42 No.2

        지구온난화를 1.5°C 이상 초과하지 않기 위해 IPCC가 제시한 모델은 이산화탄소의 순배출을 2050년까지 0%로 감축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에너지·토지·도시기반시설·산업체계에서의 급속하고 광범위한 전환이 필요하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보다 적극적인 에너지전환이 요구되는 현 시점에서 기존 법제를 통한 에너지전환 정책의 내용과 한계를 검토하고, 앞으로의 개선방안을 모색해보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에너지전환’이라는 의제가 정책에 명시적으로 반영된 것은 2017년 10월 24일 국무회의를 통하여 ‘신고리 5·6호기 공론화 후속조치 및 에너지전환(탈원전)로드맵’이 확정된 시점이지만, 제3차 녹색성장 5개년 계획을 비롯하여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과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는 이미 온실가스 감축 이행, 배출권거래제 시장 활성화, 에너지 수요관리, 에너지 분권, 에너지 갈등조정, 원자력·석탄화력발전소의 감축 및 재생에너지의 발전비중 확대와 같은 에너지전환을 위한 기본적인 방향과 내용이 제시된 바 있다. 현 정부 초기에 선제적인 에너지전환 정책을 수립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확인한 에너지전환에 대한 국민들의 인지는 예상보다 낮은 수준이었고, 정부의 에너지전환 이행에 대해서도 미흡하다는 평가가 많았다. 에너지전환 정책과 관련된 쟁점은 에너지전환을 ‘탈원전’과 동일시함에 따라 발생하게 된 탈탄소 정책의 추진력 약화, 원전업계를 중심으로 하는 기존 발전사업자와의 갈등,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전환 체계 미흡, 전기요금 개편에 대한 우려,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제도에 따른 지역경제의 의존성 등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에너지전환 정책의 한계와 쟁점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대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에너지전환 정책의 목표를 ‘탈탄소’로 분명하게 설정하고 그에 따른 이행수단을 구체적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녹색성장 5개년 계획, 에너지전환 로드맵, 에너지기본계획, 전력수급기본계획,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 등 에너지전환과 관련된 다양한 계획들을 체계적으로 정비하여 기본계획의 방향에 맞는 이행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셋째, 현행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을 비롯하여 「에너지법」, 「지속가능 발전법」 등 관련 법률 사이에 체계를 우선 정비하고, 탄소배출 저감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 재생에너지의 수용성 확장, 신·재생에너지 관련 기술과 산업육성 등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해기 위한 법제를 정비해야 한다. 넷째, 발전소의 수명을 고려하여 그 기간의 범위 안에서, 건설 초기에 지원금을 집중하여 지원하고 시간에 따라 점진적으로 지원 비율을 감소시키는 발전소 주변지역에 대한 지원사업의 개편이 필요하다. 또한 발전소 운영에 따라 증가되는 사업자 지원사업은 대폭축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not to exceed global warming by more than 1.5°C, the pathway model proposed by the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s to reduce the net emissions of carbon dioxide to 0% by 2050, and this requires a rapid and extensive transition in energy, land, urban infrastructure and industrial systems. It is important to review the contents and limitations and to seek future improvement measures of the energy transition policy through existing legislation at this point in time when a grand transformation is needed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Although the agenda of ‘energy transition’ was explicitly reflected in the policy at the time when the ‘Follow-up measures to publicize the ShinGori Unit 5 and 6 and Roadmap for Energy Transition’ was confirmed, Greenhouse gas reduction implementation, activation of emission trading market, energy demand management, decentralization of energy, conflict adjustment, reduction of nuclear and coal-fired power plants, and expansion of renewable energy generation proportion are basic directions and contents for energy transition included in the third Green Growth Five-Year Plan, the third Basic Plan for Energy, the eighth Master plan for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Despite the establishment of a preemptive energy transition policy in the early stages of the current government, there were many opinions that the public's perception of energy transition through surveys was lower than expected, and it also said the government's implementation of energy transition was insufficient. The issues related to the energy transition policy include weaken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ecarbonization policy that occurred due to identification of energy transition with ‘abolition of nuclear power plants’, conflict with existing power generation companies centered on the nuclear power industry, and insufficient energy transition system focused on renewable energy, concerns about the reorganization of electricity rates and the dependence of local economies on support systems around the power plant area. Through the limitations and issues of the energy transition policy discussed above,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alternatives: First, it is necessary to clearly set the goal of the energy transition policy to ‘decarbonization’ and to specifically set the implementation measures accordingly; Second, various plans related to energy transition such as Green Growth Plan, Energy Transition Roadmap, Basic Energy Plan, Master Plan for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Basic Plan for New and Renewable energy, and Implementation Plan for Renewable Energy 3020 are systematically reorganized and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the basic plans; Third, the legal system should be first developed between the current laws such as the Framework Act on Low Carbon, Green Growth and the Energy Act an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ct, and laws and enforcement decrees should be devised to solve realistic problems, such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expansive acceptance of renewable energy, and technology and industry development related to new and renewable energy; Fourth,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support project for the area around the power plant that focuses on the subsidy at the beginning of construction and gradually decreases the support rate over time, within the scope of that period, taking into account the life of the power plant.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significantly reduce support projects by operators, which increase with the operation of the power plant.

      • KCI등재

        지속 가능한 사회를 위한 독일의 에너지 전환 법・정책 동향과 국내에의 시사점

        한민지,박철호 한국환경법학회 2022 環境法 硏究 Vol.44 No.3

        It has been treated as an unbreakable formula that fossil fuels is directly linked with the economic growth of each country. However, due to the climate crisis and the challenges of sustainable human life, the formula is no longer valid. Humankind has to find new energy for sustainable life instead of fossil fuels, and energy conversion has become an essential task for survival. Actually, energy transition is not a brand-new discussion topic, but the specific content and the purpose of energy conversion vary as a historical background and environment change. Energy conversion usually means a step-by-step conversion process from carbon-intensive status to decarbonization, but the current energy conversion is defined as the transition to a sustainable way of energy-based social and economic systems, rather than optimal energy selection or change in composition. In this point, the move of Germany related to energy transition is very noteworthy. Germany recently revised the 「Renewable Energy Act」extensively. The law stipulates that 100% of electricity will be supplied from renewable sources by 2035. This is to strengthen domestic energy security and move beyond simply responding to the climate crisis to a sustainable society. Korea is also in the same direction as Germany in energy conversion, but it is hard to stimulate energy transition as Korea has the unfavorable industrial structure to increase renewable energy ratio and reduce carbon emission. Accordingly, this paper aims to derive key implications for energy conversion by analyzing the Domestic Implications of Germany's Energy Transition Law and Policy Trends for a Sustainable Society and suggest a legal policy direction suitable for Korea. 그간 화석연료는 깨지지 않을 공식처럼 각국의 경제성장과 등호로 연결되어왔다. 그러나 기후위기와 인류의 지속 가능한 삶이라는 눈앞의 난제 속에서 해당 공식은 새롭게 재편되고 있다. 인류는 화석연료 대신 지속 가능한 삶을 안겨줄 새로운 에너지를 찾기 시작했으며, 이에 따라 생존의 필수 과제로 에너지 전환이 떠오르고 있다. 에너지 전환이 논제로 다뤄진 것은 비단 최근만의 일은 아니나 시대적 상황 및 환경 변화에 따라 구체적인 내용 및 목적이 상이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통상 에너지 전환이라 함은 고탄소에서 탈탄소에 이르기까지 단계적 전환과정을 의미하는 것이지만, 작금의 에너지 전환은 최적의 에너지 선택 또는 구성비의 변화를 넘어 에너지를 기반으로 한 사회・경제 시스템의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의 전환을 의미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와 관련하여 독일의 행보를 매우 주목할 만하다. 독일은 최근 「재생에너지법」을 대대적으로 개정하며 2035년까지 재생에너지로 100% 전력을 조달하겠다는 내용을 법제화하였다. 이는 자국의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고, 기후위기 대응을 넘어 지속 가능한 사회로의 전환을 꾀하겠다는 뜻이다. 우리나라 또한 독일과 같은 행보를 택하고 있다. 그러나 낮은 재생에너지 비율과 탄소 배출량 감축에 불리한 산업구조를 보유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여건상 에너지 전환이 쉽지만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독일의 입법정책 동향을 분석하여 에너지 전환을 위한 주요 시사점을 도출하고, 국내에 적합한 법・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청주시 지역에너지전환의 현황과 방향 모색 : 공동체 에너지를 중심으로

        홍덕화,홍지은 충북연구원 2021 지역정책연구 Vol.32 No.2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way local energy transition experiment is launched in Cheongju and explore the way to accelerate the transition experiments.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ose who are actively involved in the local energy transition projects in Cheongju to study their perception of the local energy transition, their action plans, and their long-term vi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Cheongju, which lacks the capacity of the local civil society and the willingness of the local government, uses niche experiments in other regions as the cognitive basis for the energy transition. In this process, creating niches, building an intermediary organization, and making a long-term vision are emerging as key initiatives. In addition, the catch-up strategy justifies niche experiments that depend on external resources and raises expectations for cooperation between the public sector and local civil society. As niche making is beginning, the conflict inherent in the resource-dependent transition experiment has not yet emerged. In the future, cooperation between community energy and the public sector could be the basis for the compressed local energy transition. For this, it is necessary to more actively consider the possibility of learning by failure and conflictual cooperation. 이 연구는 청주 지역을 사례로 공동체 에너지에 초점을 맞춰 지역에너지전환이 확산되는 양상을 살 펴보고 전환 실험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한다. 이를 위해 청주 지역에서 지역에너지전환에 적극적으로 관여하는 이들을 심층면접하여 현재 상황에 대한 진단과 지역에너지전환 추진 전략, 중 장기적 구상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가 시사하는 바, 지역사회의 전환 역량이 부족한 곳에서는 외부 의 전환 실험을 학습·모방하여 지역에너지전환을 추진해가고 있다. 이 과정에서 공동체 에너지를 기 반으로 한 상징적 사례 만들기와 거점 공간 만들기, 전환 모델 구축이 핵심적인 추진 전략으로 부상 하고 있다. 또한 전환 실험을 확산할 역량이 부족한 상황은 자원 의존적 전환 실험을 정당화하며 공 공협력에 대한 기대를 높이고 있다. 전환 실험이 본격화되지 않은 탓에 자원 의존적 전환 실험에 내 재한 갈등은 아직 불거지지 않고 있다. 향후 공동체 에너지와 공공협력이 단축적 전환 실험의 토대 가 되기 위해서는 실패를 통한 학습과 갈등적 협력의 가능성을 더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 재생에너지 확산 이행방안 연구(Ⅲ)

        이상엽,이창호,임동순,석광훈,최영웅 한국환경연구원 2021 기후환경정책연구 Vol.2021 No.-

        Ⅰ. 서론 1. 연구목적 및 범위 □ 연구목적 ○ 국내 재생에너지 목표달성을 전제로 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한 근본적 이행방안 모색 □ 연구범위 ○ 재생에너지 확산 현안들의 상호 유기적 관계를 통합적으로 반영 - 경제적, 기술적, 사회적 수용성 현안(1차 연도 분석결과 통합) ㆍ 기술개발, 계통 안정성, 최종 수요부문을 고려한 섹터커플링, 발전원가를 고려한 환경급전 계획, 분산전원 계획, 전력 수요관리, 지역 수용성 등 2. 연구내용 및 수행체계 □ 전환부문 배출전망 및 전력산업구조개편 과제 ○ (배출전망)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상의 전원믹스 반영(1차 연도 분석결과 업데이트) ○ 전력산업구조개편 - 에너지전환 시대에 부합하는 구조개편 검토(재생에너지 산업·기술 확산, 재생에너지 쏠림현상으로 인한 계통제약 문제, 역송전 문제 등 부작용 해소 기여 관점) - 재생에너지 확산 관점에서 본 전기요금 체제의 중요성 - 우리나라에서 취할 수 있는 전력산업구조개편 대안 및 각각의 특징과 장단점 □ 권역별 전기요금 차등화 분석 ○ 지역별 전기요금 차등화 필요성(북상조류 관점, 에너지전환시대 관점) ○ 송전이용요금 중심의 권역별 전기요금 차등화 방안을 분석 □ 권역별 전기요금 차등화의 지역별 경제파급효과 분석 ○ 6개 권역의 지역 산업연관효과 모형 ○ 2030년 권역별 총산출, 부가가치, 취업 및 고용 효과 도출 □ 전기요금 개편 병행 과제(실시간요금제 중심) 분석 ○ 실시간요금제 도입 해외 사례 분석(아일랜드와 영국) ○ 재생에너지 확산의 대표적 지역인 제주 적용 방안 및 시사점 □ 결론 및 정책제언 ○ 1차와 2차 연도의 분석결과 종합 정리 ○ 우리나라 재생에너지 확산과 탄소중립 국가전략의 활성화를 위한 근본적인 정책방향 Ⅱ. 전력부문 배출전망 및 전력산업구조개편 과제 1. 배출전망 □ 분석개요 ○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설비계획을 재생에너지 2040을 기준으로 분석 -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과 노후석탄 조기폐지, 재생에너지 최대목표 적용 ○ 시나리오 분석 - 수요대안(2개), 설비대안(2개), 설비이용률 대안(원전 3개, 석탄 4개), 재생에너지 대안(2개) □ 분석결과 및 시사점 ○ 전원믹스의 신재생에너지 전환만으로는 2030 목표달성 불확실(현 NDC 192.7, 상향 NDC 149.9백만 톤 배출목표 기준) - 원전이용률을 80%로 높이고, 석탄이용률을 60% 이하로 제한할 경우 달성 가능 - 탈원전 기조로 온실가스 감축효과가 상당부문 상쇄 - 노후석탄의 조기폐지 효과는 2030년 이후에 발생 ○ 정책적 과제 - 주요 기술 감축수단에 관한 감축 잠재량 세부 분석 중요(CCUS, 수소발전, 무탄소전원기술) -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상의 수요감소로 인한 감축효과의 변동성 및 불확실성 대비 중요 ㆍ (전력수요) 증가요인(EV 등)과 감소요인(산업구조, 효율향상)에 따른 불확실성 대비 ㆍ (전력공급) 화석연료 발전 규제(단축 시, 투자비 회수; 이용률 제약 시, 비용 보상 문제)와 재생에너지 보급목표 확대(이용률 적용 시, 기후요인 및 입지요건 문제) 대비 2. 전력산업구조개편 □ 구조개편 방향 ○ 세계 전력산업의 흐름과 발전방향 고려 - 규제완화와 진입장벽 제거 - 전력·에너지산업의 새로운 생태계 조성(온실가스 감축, 전력화, 스마트화) ○ 우리의 전력산업 여건과 현실의 반영 - 전력 및 에너지산업에서 나타나고 있는 새로운 정부 역할과 규제체제 고려 ○ 구조개편으로 인해 예상되는 전력수급, 시장측면에서의 긍정적 효과 제시 중요 - 진입규제, 판매 독점, 요금규제 등 전력산업 발전과 진화의 장애요인 완화 - 의무적 시장, CBP 방식 등 시장의 본래 기능 회복을 통한 가격의 적정성 유지 ○ 새로운 에너지자원의 진입 촉진 및 신규설비 진입 시 입지 신호 제공 - 재생에너지, 분산에너지, 수요자원, 신기술 등에 따른 새로운 에너지산업 구축 - 탄소중립 등 기후변화 대응, 시스템 변동성 대응에 필요한 시스템 재구축 - 재생에너지 등 신규설비투자 시 지역별 차등화를 통한 바람직한 입지신호 제공 □ 구조개편 대안 및 특장점 ○ (대안Ⅰ) 발전 및 판매 경쟁 - 판매사업 경쟁도입(배전 포함) - 발전·판매 겸업 허용(전력회사 포함) ○ (대안Ⅱ) 배전부문 분리 및 판매경쟁 - 배전부문을 공영배전회사로 분리 - 배전회사와 발전사 간 공급계약(도매 탁송) - 판매부문의 경쟁도입 ○ (대안Ⅲ) 배전부문 분리 및 판매경쟁 - 발전 및 판매부분 도매 경쟁 - 배전회사와 발전사 간 공급계약(도매 탁송) - 배전부문의 지역 배전회사로 분리 ○ (대안Ⅳ) 발·송·배전 통합형 - 발·송·배전 수직통합(one-KEPCO + IPP/CES) - 발·배전 통합(송전가격입찰) ○ 국내 여건을 고려한 중요 검토 사항 - (기존 판매독점 완화) 송·배전 부문은 한전이 소유하더라도 판매부문에는 분할 또는 신규진입을 허용. 수요측 분산자원 중심의 새로운 에너지산업 비즈니스 창출 중요 - (판매사업의 지역분할) 에너지산업에서 지역의 역할 강화. 지역별 수급여건에 따라 차별화된 투자 여건을 반영한 가격 신호 제공 중요 Ⅲ. 지역차등화 전기요금 분석(송전요금을 중심으로) 1. 지역 차등화 필요성 및 의의 □ 전통적 의미의 필요성(과거부터 지속적으로 제기) ○ (북상조류 문제) 송전망건설, 발전소 주변과 원격지 수요자 간 형평성 등 사회적 갈등. 전력수급 불안요소 ○ (송전망 포화 문제) 송전혼잡비용, 송전손실, 송전설비 투자비 증가 등 전기요금의 상승 요인 ○ (전국 단일가격체제 문제) 지역적 신호 미반영. 지역 간 교차보조 불공정 야기 ○ 지역별 차등요금제 적용의 사회적 공감대 및 수용성 우려 □ 에너지전환(탄소중립) 관점의 필요성 부각 ○ 연료비연동제에서 실시간요금제까지의 단계적, 지역적 전개 중요성 ○ 에너지전환 시대에 전력 공급원가 인상요인 대비책 강화 - 재생발전 변동성 전원 확대에 따른 계통보강 및 계통통합 비용, SMP 급변동, 변동성 전원의 정산제도 정비 등 ○ 에너지전환 시대 지역의 중요성 증대 - 지역주도 분산형 전원의 역할과 의미 증대, 지역주민 수용성 강화, 지역 주도의 분산에너지 활성화 대책 강화, 지역주도의 지역균형뉴딜 추진 강화 등 2. 지역 차등화 분석방법론 및 분석결과 □ 분석방법론 ○ 에너지전환 시대에 송배전 설비의 송전비용을 전력 공급비용의 중요한 기준의 하나로 간주하고, 지역 차등화 접근 - 송배전비용은 송배전을 통한 설비건설, 계통운영, 환경 요인과 관련된 회피편익적 성격 ○ 균등·차등부과 방식과 지역 간 융통 전력 기반 송전비용 배분방식의 결과를 이용해송배전 투자회수를 위한 권역별 차등화 도출 - 지역 간 융통 전력 기준 차등화는 자제공급 및 융통전력 비용을 바탕으로 비용유발의 균등한 부담원칙을 전제하고 지역별 발전 및 수요측 분담금액을 산정 - 송배전 투자비용 회수를 수도권 발전소 회피, 부하증가 회피, 특정선로 회피의 세가지 관점에서 분석 ○ 주요 가정 - (전력수요 및 분석기간)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2030년 - (지역 구분)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비수도권(충청권, 강원권, 전라권, 영남권), 제주 권역 - (분석 전제) 과거 10년 및 최근 추세 반영 ㆍ 설비용량(피크기여도 기준), 최대부하(동계 최대전력 기준), 기본요금 단가 및 사용단가(송배전용 전기설비 이용규정, 2020.4), 설비기간(40년), 할인율(4.5%), 설비투자운영비(6%), 자본회수계수(CRF, 0.0543), 154kV 비율(70%), 배전비용비율(50%), 송주법지원(19%), 선로별 이용률(40%, 50%) 등 □ 분석결과 ○ 균등·차등부과 방식과 지역 간 융통 전력 기반 방식 적용 시 모두 지역 차등화 신호가 강하게 나타남 - 특히, 발전측보다는 수요측에서 지역 차등화 현상이 두드러짐 ○ 투자비용 회수 반영 권역별 차등화 결과 - 송배전설비(345kV 이상 + 154kV + 배전) 이용률 50% 시, 송배전 투자비 회수 비용 (12~15원/kWh) - 권역별 추가비용은 균등·차등부과 방식과 융통 전력 기반 송전비용 배분방식의 결과의 권역별 평균 증감 기준 - 현 지불(4원/kWh: 발전측 1.8원 + 수요측 2.24원) 대비 권역별 추가비용 증가율 (수도권 +8.5%, 비수도권 -12.1%, 제주권 100% 이상) - 분석결과는 송배전비용 기준으로 지역 차등화의 시그널을 제시 ㆍ 현재 수도권과 제주권은 과소지불, 비수도권은 상대적으로 과다지불 상황을 반영 . 향후 지역 재생에너지 확산 과정상의 전기요금 논의에서 검토해야 할 요소 Ⅳ. 지역 차등화 전기요금의 경제효과 분석 1. 분석모형 및 주요지표 □ 분석개요 및 분석모형 ○ 6개 권역, 전력가격 차등화, 3개 대분류 산업(농업, 광공업, 서비스업) 전력수요의 가격 탄력성,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한 지역별, 산업별 파급효과 분석 ○ 2015년 지역 산업연관표의 2018년 기준 IO, 국민계정에 의거한 지역 IO 재구성 - 2030 부문별 경제성장(_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_, KDI, KIET)을 적용한 2030년 다지역 산업연관표 - 지역별 전력 요금과 중간투입 평균비용의 상승, 지역별 물가변동과 그에 따른 산업별 제품과 서비스의 최종수요 변화를 추정 ○ 경제파급효과의 의미 - 교차보조, 누진제,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사회적 편익 고려 등 일반적인 전력요금제도 효과가 아닌, 송전비용의 지역적 적정 배분에 따른 효과(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와 북상 조류 형태의 전력비용을 해당 권역의 기여에 따라 재분배되는 가격 형성 효과) □ 주요지표 ○ 권역별·산업별 총산출량 대비 전력 투입 비중 - 비수도권 지역은 전력 다소비 업종인 시멘트(강원), 석유화학(충청, 영남), 철강(영남) 등 광공업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 - 제주지역은 농업부문이 2.5%로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 ○ 송전비용 지역 차등화에 따른 권역별·산업별 1차 수요효과 - 수도권과 제주권은 농업, 광공업, 서비스업에서 각각 13억 원, 3,231억 원, 1조 2,800억 원과 163억 원, 357억 원, 4,088억 원의 수요 감소 - 송전비용이 현재 대비 감소하는 비수도권(충청권, 영남권, 전라권, 강원) 지역은 모든 산업부문에서 수요 증가 2. 분석결과(경제파급효과) □ 주요 거시지표 ○ 송전비용 지역 차등화 적용으로 기존의 전국 단일가격 대비 총산출량 5조 2,970억 원 증대, 부가가치 2조 6,510억 원 증가, 경제 전체 취업과 고용 각각 2만 420명, 1만 5,004명 증가 □ 권역별·산업별 효과 ○ 부가가치와 취업자 기준으로 송전비용 차등화의 부정적 효과가 가장 큰 부문은 수도권의 서비스업(2030년 각각 9,740억 원, 1만 1,324명 감소 예상) ○ 특히, 영남권(광공업과 서비스업 분야)에서 높은 긍정적 효과 기대(부가가치와 취업자 각각 7,830억 원, 8,163명 증가 예상) ○ 차등화 가격인상이 가장 큰 제주권에서는 서비스 부문에서 부가가치와 취업자의 감소효과 예상 □ 시사점 ○ 송전비용을 고려한 지역 차등화는 경제 전체에 영향. 부가가치 GRDP 기준과 고용은 각각 기준안 대비 0.11%, 0.08% 증가 예상 ○ 특정 요소 가격의 하락이 평균비용의 감소와 이로 인한 수요 확대로 이어지는 현상으로 해석 가능 ○ 송전비용 지역 차등화 정책은 전국 단일 가격 체계로 부과하는 현 방식의 비효율적인 측면의 교정 수단으로 작용 가능 ○ 향후 분산형 전원의 확대, 신재생에너지 공급 확대 측면에서 사회적 고려 필요 Ⅴ. 전력시장의 병행 개혁과제(제주 풍력제약과 전력시장을 중심으로) 1. 제주 특징(고립계통과 재생에너지 간헐성의 이중제약 문제) □ 풍력발전 출력제한 증가(2020년 77회) ○ 비동기화 연계선인 고압직류송전(HVDC)과 육지와의 기술적 연계 한계 존재 ○ 재생에너지 증가에 따른 전력계통의 유연성과 안정성 대비 중요 □ 현 시장제도의 한계 ○ 전력계통의 각종 제약(운영예비력, 송전제약, 전압 안정도 유지, 열제약 등)을 미반영 ○ 열병합발전, 재생에너지, 송전제약 등의 증가로 제약발전(CON) 및 비제약발전(COFF) 정산금도 지속적으로 증가 ○ 현 하루전시장 및 보조서비스 시장의 부분적 개선의 실효성 검토 필요 2. 국외 고립전력계통 사례(하와이, 아일랜드) □ 아일랜드 분석의 중요성 ○ 하와이(지역차등요금제만 도입)는 양수발전 등 대형 인프라에 의존 ○ 아일랜드는 고립계통에서 풍력의 빠른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시장개편 실시(실시간 요금제, 변동성 대비 다양한 보조서비스시장 등) - 유럽 국가 중 변동성 재생에너지(VRE) 비중 2위로, 2030년까지 70% 확대 계획 □ 아일랜드 전력시장(실시간 시장 및 유연성 보조서비스) ○ 하루전시장(Day-Ahead Market), 하루중시장(Intraday Market), 밸런싱시장(Balancing Market) 운영 ○ Delivering Secure, Sustainable Electricity System(DS3)은 14가지 보조서비스(예비력, 주파수반응, 수요반응 등)를 규제가격과 경매입찰(pay-as-bid) 절차의 혼합을 통해 구매하고, 높은 재생에너지 비중을 보완 ○ 송전혼잡 및 제약에 따른 지역 간 가격편차를 헤징할 수 있는 금융송전권시장 (Financial Transmission Right) 도입으로 위험 완화 ○ 실시간 밸런싱시장 - (계통운영기관) 참여자들의 물리적 보고(PN)에 근거해 급전지시. 참여자들에게는 보유 물량 조정을 위한 입찰 및 가격협상 기회 부여 - (계통운영기관) 수급 균형 유지 및 계통제약 문제를 관리. 밸런싱시장 정산가격은 이에 따라 결정 - (밸런싱시장 가격) 매 5분 급전 시간마다 결정. 30분 정산가격은 각 5분 가격들의 평균으로 결정 - (효과) 아일랜드·영국 간 HVDC 연계선 전력거래 합리화. 풍력발전량 변동에 따른 수급 간 차이를 실시간 시장에서 합리적으로 관리하여 풍력발전 확대에 기여 □ 시사점(제주) ○ 지역 차등화 전기요금 도입으로 재생에너지 관련 서비스 및 신기술 진입장벽 일부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 지역 차등 전기요금과 병행해 풍력발전 확대에 따른 제약발전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 할 수 있는 직접적 유인 제도와 시장 질서 대비 필요 - 변동성 재생에너지를 낭비 없이 안정적으로 전력계통에 공급하기 위한 실시간 전력거래와 보조서비스 시장 Ⅵ. 결론 및 정책 제언 □ 지속가능한 전력시장구조의 중요성 ○ 탄소중립을 위한 온실가스 감축은 규제와 지원만으로는 한계 ○ 정상적인 가격과 비용신호를 바탕으로 분산형 재생에너지 설치 규모와 입지 선정 추진 필요 □ 송전비용을 고려한 전기요금 체제 개편의 사회적 논의 필요 ○ 지역을 고려한 분산형 재생에너지 대비 중요 ○ 과거부터 제기되어 온 송전비용을 고려한 지역차등화 전기요금 체제 문제는 에너지전환 시대에 더욱 중요한 의미 - 지역별 가격 차등화 정책은 기존의 전국 단일가격 체제의 비효율성을 교정하는 의미 ○ 전기요금 지역 차등화와 더불어 실시간요금제를 포함한 경쟁적 전력시장 도입 검토 필요 - 재생에너지 확대(공급 과잉·과소 상황)에 효율적으로 적응하기 위한 경제적 가격신호 제공 중요 - 특히 제주·육지 간 HVDC 연계선을 통한 전력거래의 최적화 개선에도 기여 ○ 탄소중립 비용 분담 관점에서 사회적 공론화 및 수용성 확보 추진 중요 Ⅰ. Introduction 1. Research Objectives and Scope □ Research objectives ○ To seek fundamental implementation measures for increasing the use of renewable energy and achieve the renewable energy goals of South Korea □ Research scope ○ Integrated assessment of the organic relationships between the current issues related to the increasing use of renewable energy - Issues on economic, technical, and social acceptance(incorporating the first-year analysis results) ㆍ Technology development, system stability, sector-coupling considering the final demand sector, environmental power supply plans considering power generation costs, distributed generator plans, power demand management, regional acceptance, etc. 2. Research Description and Implementation Schemes □ Emission forecast in the transition sector and challenges in restricting the power industry ○ (Emission forecast) Reflects the power source mix of the ninth power supply and demand plan (update the first-year analysis results) ○ Power industry restructuring - A review of restructuring the power industry in line with the energy transition era (from the perspectives of contributing to spread of the renewable energy industry and technology and overcoming limitations, such as system constraint problems due to herding in renewable energy and reversing power transmission problems) - Importance of the electricity rate scheme from the perspective of increased application of renewable energy - Power industry restructuring alternatives that can be used in South Korea and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alternative □ Analysis of the application of differential electricity rates by region ○ Analysis of the application of differential electricity rates by region (perspective of power flow to the north, perspective of the energy transition era) ○ Analysis of methods for applying differential electricity rates by region based on power transmission costs □ Analysis of regional economic ripple effects of applying differential electricity rates by region ○ Regional industry-associated effect models for six regions ○ Predicting the total production and added values, including employment and hiring effects in each region in 2030 □ Analysis of projects to be performed (real-time electric rate schemeoriented) in parallel with electricity rate restructuring ○ Case studies of real-time rate schemes used overseas (Ireland and the United Kingdom) ○ Application methods and implications in the Jeju region, a representative region for increasing the use of renewable energy □ Conclusion and policy suggestions ○ Comprehensive summary of the first-year and second-year analysis results ○ Fundamental policy direction for increasing the use of renewable energy and active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carbon-neutrality strategy in South Korea Ⅱ. Power Sector Emission Forecasts and Power Industry Restructuring Challenges 1. Emission Forecasts □ Analysis overview ○ Analysis of the facility plans of the ninth power supply and demand plan based on the renewable energy predictions for 2040 - The government’s energy transition policies, early decommissioning of deteriorated coal-fired power plants, and maximum goals of renewable energy will be applied ○ Scenario analysis - Demand alternatives (2), facility alternatives (2), facility use rate alternatives for nuclear power plants(3), four coal-fired power plants(4), and renewable energy alternatives (2) □ Analysis results and implications ○ The achievements of the 2030 goal are uncertain with the renewable energy transition based on the power source mix alone (based on the emission goal of NDC 149.9 million tons and current NDC 192.7 million tons) - If nuclear power plant use is increased to 80% and coal use is limited to 60%, the 2030 goal can be achieved - Greenhouse gas reduction effect is significantly offset by the nuclear phase-out trend - The effects of early decommissioning of deteriorated coal-fired plants will occur after 2030 ○ Policy challenges - Detailed analysis of the reduction potentials for major technical reduction measures is important (CCUS, hydrogen power generation, and carbon-free power technology) - Important to prepare for volatility and uncertainty in the reduction effects caused by demand reduction in the ninth plan ㆍ (Power demand) Prepare for uncertainty based on factors that increase (EV, etc.) and decrease (industry structure and efficiency improvement) demand ㆍ (Power supply) Prepare for regulations on fossil fuel power generation (recovering investments when reduced; cost compensation problem when usage is limited) and expansion of renewable energy deployment goals (climate factor and location problems when the percentage of use is applied) 2. Power Industry Restructuring □ Restructuring direction ○ Consider the trends in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global power industry - Regulation mitigation and removal of barriers to entry - Creation of a new ecosystem in the power and energy industry (greenhouse gas reduction, electrification, and smartization) ○ Reflect our power industry conditions and reality - Consider new government roles and regulation mechanisms appearing in the power and energy industry ○ Important to present positive effects in the market aspect for the power supply and demand expected following restructuring - Mitigate obstacles to advancement and evolution of the power industry, such as entry regulations, sales monopoly, and electricity rate regulations - Maintain the adequacy of prices by restoring the original functions of the market, such as the compulsory pool market and CBP method ○ Promote entry of new energy resources and provide a locational signal when new facility enters - Build new energy industries based on renewable energy, distributed energy, resource demand, and new technology - Rebuild a system required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and system variability, such as carbon neutrality - Provide desirable location-based signals through regional differentiation when investing in new facilities for renewable energy. □ Restructuring alternatives and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 (Alternative Ⅰ) Power generation and competitive sales - Implementation of competitive sales business models (including power distribution) - Allowing operations in both power generation and sales (including power companies) ○ (Alternative Ⅱ) Power distribution sector separation and sales competition - The power distribution sector is separated into public power distribution companies: supply contracts between power distribution companies and power generation companies (wholesale and consignment) - Implementation of competition in the sales sector ○ (Alternative Ⅲ) Power distribution sector separation and sales competition - Wholesale competition in the power generation and sales sectors: Provide contracts between the power distribution companies and power generation companies (wholesale and consignment) - Separation of regional power distribution companies in the power distribution sector ○ (Alternative Ⅳ) Integrated type of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 Vertical integration of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one-KEPCO + IPP/CES) - Integration of power generation and distribution (price bidding for power transmission) ○ Important factors to review considering the conditions in South Korea - (Mitigation of existing sales monopoly) The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sectors are owned by KEPCO but the sales sector is divided, or new entries are allowed. It is important to create a new energy industry business based on the distributed resources on the demand side - (Regional division of sales business) Regional roles are strengthened in the energy industry. It is important to provide price signals that reflect the different investment conditions depending on the regional supply and demand conditions Ⅲ. Analysis of Regional Differential Electricity Rates (Focusing on Power Transmission Price) 1. Need for and Significance of Regional Differentiation □ Need based on the traditional meaning (raised continuously from the past) ○ (Problem of Power Flow to North) Social conflicts such as power transmission network construction and fairness between consumers around power plants and in remote areas. Concerns for power supply and demand. ○ (Power Transmission Network Saturation Problem) Factors that increase electricity rates, such as power transmission congestion costs, loss of power transmission, and increased investment ○ (Problem of National Single Price Scheme) Does not reflect regional signals and causes unfair cross-subsidization between regions ○ Social consensus and acceptance concerns for applying differential pricing by region □ Emergence of need from the energy transition (carbon neutrality) perspective ○ The importance of phased and regional implementation of real-time price scheme from the fuel cost-linked scheme ○ Strengthening measures for factors affecting the power supply cost increase in the energy transition era - System reinforcement and system integration costs resulting from the expansion of variable renewable energy sources, such as rapid changes in SMP and the modification of the payment settlement scheme for variable energy sources. ○ Increased importance of regions in the energy transition era - Increased role and significance of regionally initiated distributed energy sources, strengthening the acceptance of local residents, strengthening of measures for active implementation of region-initiated distributed energy, strengthening of regionally balanced new deals led by regions 2. Analysis Method and Results of Regional Differentiation □ Analysis method ○ Regional differentiation considers the power transmission cost of power transmission and supply facilities in the energy transition era as an important criterion that affects the power supply costs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costs exhibit benefits of avoiding facility construction, system opera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 Differentiation schemes by region recover the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investment by using the results of the equal or differential pricing methods and the power transmission cost distribution method based on the transfer capability between regions - For the differentiation scheme based on the transfer capability between regions, the share of expenses is calculated in terms of regional power generation and demand under the premise of the equal-share principle for costs incurred based on the material supply and transfer capability costs - The recovery of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investment is analyzed from three perspectives: avoidance of power plants in the capital region, avoidance of load increase, and avoidance of certain lines ○ Key assumptions - (Power Demand and Analysis Period) The ninth power supply and demand plan for the year 2030 - (Regional classification) Capital region (Seoul, Gyeonggi Province, Incheon), non-capital region (Chungcheong, Gangwon, Jeolla, and Yeongnam regions), Jeju region - (Analysis Premise) Past 10 years and the latest trends are analyzed, including facility capacity (based on peak contribution), maximum load (based on maximum power in winter), basic unit rate and unit cost of use (regulations for using electrical facilities for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April 2020), facility lifespan (40 years), discount rate (4.5%), facility investment and operation costs (6%), capital recovery factor (CRF, 0.0543), proportion of 154 kV (70%), proportion of power distribution cost (50%), support for laws on compensation and support of areas near power substations (19%), and utilization rate of each line (40% and 50%) □ Analysis results ○ Applying the equal or differential pricing method and regional transfer capacity-based method reveals strong regional differential signals - Particularly, the regional differentiation phenomenon is more noticeable on the demand side than on the power generation side ○ Results of differentiation by region, reflecting investment cost recovery -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investment recovery cost (12-15 won/kWh) when the utilization rate of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y (345 kV or greater + 154 kV + power distribution) is 50% - Additional costs in each region are based on the average regional increase or decrease in the results of the equal or differential pricing method and transfer capacity-based power transmission cost allocation method - Increase in the rate in each region (capital region: +8.5%, non-capital region: -12.1%, Jeju region: over 100%) compared to the current payment (4 won/kWh: 1.8 won on the power generation side + 2.24 won on the demand side) - The analysis results suggest signals of regional differentiation based on the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costs ㆍ The current situations are reflected: underpaying in the capital region and Jeju region and relatively overpaying in the non-capital region. A factor that must be reviewed in the electricity rate discussion in the process of increasing renewable energy use regionally in the future Ⅳ. Analysis of Economic Effects of Regional Differential Electricity Rates 1. Analysis Model and Major Metrics □ Analysis overview and analysis model ○ Ripple effect analysis by region and industry using six regions, differential electricity rates, price elasticity of power demand in three main industry categories (agriculture, mining and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and regional input-output (IO) tables ○ IO as of 2018 in the regional input-output tables of 2015 and reconstruction of regional IO based on national accounts - The 2030 multi-regional input-output tables, which apply the 2030 economic growth by sector (the ninth power supply and demand plan, KDI, KIET) - Estimating the increase in regional electricity rates and average cost of intermediate inputs, regional price fluctuations, and, based on these, changes in the final demand of products and services in each industry ○ Significance of economic ripple effects - Effects based on appropriate regional allocations of transmission costs rather than on effects of usual electricity rate schemes, which consider cross-subsidization, increasing block pricing, and social benefits for renewable energy (effects of forming prices that redistribute the costs of expanding renewable energy deployment and transfer capacity according to the contribution of each region) □ Major Metrics ○ Proportion of power input compared to total output in each region and each industry - In the non-capital region, the mining and manufacturing industry―an industry that consumes a large amount of power―accounts for relatively high proportions: cement (Gangwon), petrochemicals (Chungcheong, Yeongnam), and steel (Yeongnam) - In Jeju, the agriculture sector has a relatively high proportion: 2.5% ○ Primary demand effect by region and industry based on regional differential power transmission costs - In the agriculture, mining and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the demand decreases by 1.3 billion, 232.1 billion, and 1.28 trillion won in the capital region and 16.3 billion, 35.7 billion, and 408.8 billion won in Jeju, respectively - Demand increases in all industries in the non-capital region (Chungcheong, Yeongnam, Jeolla, and Gangwon regions) where the power transmission price decreases compared to the current price 2. Analysis Results (Economic Ripple Effects) □ Major macro-level metrics ○ By applying regional differential power transmission costs, the total output increases by 5.297 trillion won, added values increase by 2.651 trillion won, and total number of employed people and hiring in the economy increases by 20,420 persons and 15,004 persons, respectively □ Effects by region/industry ○ The service industry in the capital region is a sector in which the negative effect of differential transmission costs is greatest based on the added values and number of employed people (expected decreases in 2030: 974 billion won and 11,324 persons, respectively) ○ Particularly, the Yeongnam region (mining and manufacturing industry and service industry) is expected to have high positive effects (expected increases in added values and number of employed people in 2030: 783 billion won and 8,163 persons, respectively) ○ In Jeju where the differential price increase is the greatest, the added values and number of employed people are expected to decrease in the service sector □ Implications ○ Based on the regional differentiation considering power transmission costs, the added values (based on GRDP) and number of employed people in the whole economy are expected to increase by 0.11% and 0.08%, respectively, compared to these values at baseline ○ The price decrease of a certain element may lead to a decrease in the average cost and, as a result, an increase in demand ○ The regional differential power transmission cost policy can function to correct the inefficient aspect of the current method of impose a single-price scheme nationwide ○ Social consideration is required in from the perspectives of expanding distributed energy sources and the renewable energy supply in the future Ⅴ. Parallel Reforms in Power Market (Focusing on Jeju’s Wind Power Constraints and Power Market) 1. Characteristics of Jeju (dual-constraint problem of isolated system and renewable energy intermittency) □ Increase in output restrictions in wind power generation (77 times in 2020) ○ There is a technical limitation of linking with the mainland through high-voltage, direct current (HVDC) power transmission lines, which are not synchronously linked ○ Important to prepare for flexibility and stability of the power system based on the increase in renewable energy □ Limitations of the current market system ○ Various limitations of power systems, including operational reserves, power transmission constraints, voltage stability maintenance, and thermal constraints are not reflected ○ Continuous increase in the constrained ON (CON) and constrained OFF (COFF) energy payment because of the increase in the combined heat and power, renewable energy, and power transmission constraints ○ There is a need to review the effectiveness of the partial improvements in the current market and ancillary service market 2. Overseas Cases of Isolated Power System (Hawaii and Ireland) □ Importance of analyzing data from Ireland ○ Hawaii is the only place that has adopted the regional differential pricing scheme and depends on large infrastructures such as pumped-storage power plants ○ Ireland reformed the market to respond to fast increases in wind power from the isolation systems (real-time price scheme, various ancillary service markets for variability, etc.) - Ranked second in terms of the proportion of variable renewable energy (VRE) among European countries (expansion of this value to 70% by 2030 has been planned) □ Power markets in Ireland (real-time market and flexible ancillary service) ○ Day-ahead, intraday, and balancing markets are under operation ○ Based on the Delivering a Secure, Sustainable Electricity System (DS3), 14 ancillary services (reserves, frequency response, demand response, etc.) are purchased through combinations of regulated prices and pay-as-bid procedures, and the high renewable energy proportion is supplemented ○ Mitigates risks by introducing the Financial Transmission Right (FTR) market that can hedge price variances between regions caused by power transmission congestion and constraints ○ Real-time balancing market - (System Operator) Instruction to supply based on the physical reports (PN) of the participants. Provides participants with bidding and price negotiation opportunities to adjust the possessed amount - (System Operator) Maintains the balance between the supply and demand and manages the system constraint problems, which determines the balance market settlement price - (Balancing Market Price) This price is determined every five minutes in supply time. The 30-minute settlement price is determined from the average of the five-minute prices - (Effect) Rationalization of HVDC-linked power trading between Ireland and the U.K. Contribution to expanding wind power generation by rationally manag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supply and demand caused by variable wind power generation in the real-time market □ Implications (Jeju) ○ Adoption of a regional differential electricity rate scheme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resolving the barriers of entry in the renewable energy-related services and new technology ○ There is a need to prepare the direct inducement schemes and market order that can fundamentally solve the constrained power generation problem that is caused by the expansion of wind power generation in parallel with regional differential electricity rates - Real-time power trading and the ancillary service market for the stable supply of variable renewable energy to the power system without waste is required Ⅵ. Conclusion and Policy Suggestions □ Importance of a sustainable power market structure ○ There is a limitation in the greenhouse gas reduction for carbon neutrality with the support of regulations alone ○ There is a need to select the distributed renewable energy installation size and location based on the normal price and cost □ Social discussion is required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electricity rate scheme reforms considering power transmission costs ○ It is important to prepare for distributed renewable energy considering the regional requirements ○ In the energy transition era, the issue of regional differential electric rate scheme considering the power transmission costs is more important - The regional differential electric rate scheme is important for correcting the inefficiency of the current nationwide single-price scheme ○ There is a need to review the introduction of competitive power markets, including real-time pricing scheme, along with regional differential electricity rates - It is important to provide economic price strategies to adapt efficiently to the expansion of renewable energy (over or under-supply situations) - Particularly, the optimization of power trading through the HVDC lines that link the Jeju region with the mainland. ○ Public deliberation and social acceptance are important from the perspective of sharing the costs of achieving carbon neutrality

      • KCI등재

        에너지 민주주의의 쟁점과 에너지 커먼즈의 가능성

        홍덕화 한국환경사회학회 2019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23 No.1

        에너지 전환이 가시화되면서 에너지 전환의 전략과 경로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다. 이제 누가, 어떤 방식으로 에너지 전환을 추진하는지가 중요한 쟁점으로 부상하고 있는 것이다. 전환의 정치가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시장 주도의 에너지 전환을 비판하며 에너지체계의 근본적인 재구성을 모색하는 담론으로 에너지 민주주의가 주목받고 있다. 다만 사회운동 속에서 형성되고 있는담론이자 에너지 전환을 정치사회적으로 평가하는 잣대로서 에너지 민주주의에 대한 상상은 하나가 아니다. 본 연구는 에너지 민주주의의 쟁점을 분석하고커먼즈의 시각에서 재해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양한 운동이 결합된 만큼에너지 민주주의는 지역화·분산화, 자유화, 공유화·사회화 사이에서, 나아가투자자·소비자, 노동자, 에너지 시민 사이에서 흔들리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에너지 기반시설을 커먼즈로 사고하는 것은 에너지 민주주의 내부의 균열을 이해하고 새로운 전환 실험을 모색하는 데 도움이 된다. 에너지 민주주의는 분산형 재생에너지체계로의 전환을 둘러싼 경합 속에서 스케일을 가로지르는 새로운 커먼즈가 생성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s energy transition accelerates and transition politics intensifies, the strategy and pathway of energy transition are becoming an issue. And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energy democracy as a discourse criticizing market-led energy transition and seeking fundamental restructuring of energy system. However, the imaginations of energy democracy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s a social movement discourse and a criterion for political evaluation of energy transition.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ssues of energy democracy and reinterpret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mmons. As various social movements are connected, energy democracy includes elements of localization, decentralization, liberalization, commoning and socialization that can conflict with each other in terms of transition strategy. In addition, the imagination of the subject of energy transition is diverging between investors, consumers, workers, and energy citizens. Thinking about energy infrastructure as the Commons in this situation helps to understand the critical issues of energy democracy and to imagine new transition experiments. Energy democracy implies that the new commons are being created across the scale of energy infrastructure in the contention of the transition to a decentralized renewable energy system.

      • KCI등재

        서울시 성대골 사례를 통해 본 도시 지역공동체 에너지 전환운동에서의 에너지 시민성 형성 과정

        박종문(Jongmun Park),윤순진(Sun-Jin Yun) 한국공간환경학회 2016 공간과 사회 Vol.26 No.1

        이 연구에서는 지역공동체를 통한 에너지 시민성의 형성 과정과 내용, 에너지시민성 형성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에너지 전환운동의 촉진 요인과 제한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후쿠시마 핵발전사고를 계기로 2011년부터 에너지 전환운동을 펼쳐나가고 있는 서울시 동작구 성대골 에너지자립마을의 에너지 전환운동을 사례로 선택하여 심층면접과 참여관찰, 문서정보 내용분석을 활용하여 사례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 지역공동체는 지역 주민들이 에너지 전환운동에 참여할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상호 신뢰를 기반으로 에너지와 환경문제에 대한 구성원들의 인식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교육의 장을 제공함으로써 에너지 시민성을 함양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성원들의 에너지 시민성은 참여 형태와 정도에 따라 각기 다른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데, 개인적 요인과 공동체 내외부의 다양한 요인들이 에너지 전환운동의 참여를 촉진하거나 제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체 에너지 전환운동에 좀 더 많은 시민들이 참여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공동체 구성원들의 관심사와 성향, 욕구가 다름을 이해하고 에너지운동이 심화되는 과정에서 다양한 종류의 활동이나 사업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공동체 내에 서 좀 더 활발한 정보 공유와 소통에 힘쓰면서 공동체의 에너지 전환운동 활동을 정치적으로 해석하지 않도록 에너지 전환 노력이 전 사회적으로 함께 진행될 필요가 있음을 발견했다. In the midst of increasing environmental issues and social conflicts associated with energy use, various urban community energy transition movements- that seek to expand the use of renewable energy and reduce energy consumption through energy conservation and efficiency improvement within local units- have been initiated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in order to combat climate change, go beyond nuclear power and thus resolve social conflicts. This case study is centered on the energy transition movements in Sungdaegol Energy Transition Village in Dongjak-gu, Seoul where energy transition movements have taken place since the 2011 Fukushima nuclear disaster in Japan. By performing in-depth interviews, participatory observation, content analysis of relevant documents,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formation process and contents of energy citizenship shaped by local communities and the catalytic factors and constraining factors of energy transition movements which strongly influence energy citizenship formation.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show that local communities foster energy citizenship by being a place where local residents can participate in energy transition movements and at the same time serving as an educational arena that enables changes in local residents’ perceptions of energy and environmental issues based on mutual trust. The study also reveals that energy citizenship of local residents is formed in different ways depending on the method and degree of participation; various factors including personal,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can either promote or constrain participation in energy transition movements. This study concludes that in order for more residents to participate in community energy transition movements there is a need to: understa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interests, preferences and desires among residents; have more diverse activities and projects; increase efforts to share and communicate information; and make efforts for energy transition prevalent in all areas of society in order to avoid community energy transition movements being interpreted as political activities.

      • KCI등재

        지역주도형 에너지 전환을 위한 사회혁신 담론의 가능성- 도시를 중심으로 -

        한빛나라 한국지역사회학회 2022 지역사회연구 Vol.30 No.1

        As the Korean government declares carbon neutrality by 2050, the local-driven energy transitions are gaining importance for the realization of national carbon neutrality. Local energy transitions are not only transitions towards distributed low-carbon energy systems, but also deep social transitions that include awareness-raising of local communities, bottom-up processes in decision-making, community capacity building, and behaviour change of energy consumers. Local energy transitions ultimately aime at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realizing sustainability. In particular, the energy transition for cities further emphasizes these social aspects. Cities have high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costs, and high energy demand due to high-density population, and they are places where energy inequality is a serious problem. Therefore, energy transitions in cities include not only expanding low-carbon energy sources in terms of energy production, but as well in terms of energy consumption changing consumers’ behavior, spreading low-carbon living practices. They also include enhancing energy access to contribute to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social, environmental, economic implications of energy transitions, and based on the nexus of technology and society,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Social Innovation as a driver of energy transions for cities. Social innovation discourse suggests a conceptual solution for local-driven energy transitions by redefining the role of local stakeholders and innovates rigid energy production and consumption structures in Korea. 정부가 2050년 탄소중립을 선언함에 따라, 국가적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지역주도의 에너지 전환이 강조되고 있다. 지역 에너지 전환은 저탄소·분산형의 지역 에너지 시스템 전환인 동시에 이를 실현하기 위한 지역 사회의 인식 제고와 의사결정과정 참여, 지역 역량강화, 에너지 소비자의 행동 변화 등을 포함하는 심층적인 사회적 전환이며, 궁극적으로는 삶의 질을 개선하고 지속가능성을 실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도시의 에너지 전환은 이러한 사회전환적 측면을 더욱 강조한다. 도시는 재생에너지 개발 비용이 높고 인구과밀로 인하여 에너지 수요가 높으며 에너지 불평등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는 공간이다. 따라서 도시의 에너지 전환은 에너지 생산 측면에서 저탄소 발전원을 확산할 뿐 아니라 소비의 측면에서 소비행동을 바꾸고 저탄소 이니셔티브를 확산하며, 에너지 접근성 개선을 통해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해야 한다. 본 연구는 도시를 중심으로 지역 에너지 전환의 사회·환경·경제적 함의를 분석하고, 기술-사회 넥서스에 기반하여 지역 에너지 전환의 동인으로서 ‘사회혁신 담론’의 가능성을 탐색했다. 사회혁신 담론은 에너지 분야에서 지역 이해관계자들의 역할을 새롭게 정의하고 경직된 에너지 생산과 소비 구조를 혁신하여 지역 사회와 함께하는 지역 에너지 전환의 물꼬를 트는 담론적 솔루션을 제시한다.

      • KCI등재

        에너지 전환 전략의 분화와 에너지 공공성의 재구성

        홍덕화(Deokhwa Hong) 한국환경사회학회 2017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21 No.1

        본 논문은 에너지 공공성의 시각에서 사회운동진영의 에너지 전환 전략이 분화되는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에너지 전환 전략은 정부의 전력산업 구조개편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사회공공성 투쟁의 등장과 퇴보, 재생에너지시장의 성장, 지역적 전환 실험의 확산을 배경으로 분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최근 제시되고 있는 에너지 전환 전략은 시장활용론, 에너지 사회공공성론, 지역화·공유화론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각 전략은 발전주의적 에너지 공공성에 대한 평가가 상이할 뿐만 아니라 공기업의 소유 및 운영 구조, 전환의 스케일, 전환의 주체 측면에서 각기 다른 전환 전략을 추구하고 있다. 시장활용론은 사유화를 통한 공정한 시장경쟁을 에너지 전환의 지름길로 보는 반면 에너지 사회공공성론은 전력산업을 재통합하고 민주적 통제를 강화하는 것을 에너지 전환의 출발점으로 삼는다. 지역화·공유화론의 경우 지역에너지공사와 에너지시민이 주도하는 사회적 경제를 통해 전력산업을 분산화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다시 말해 시장활용론과 에너지 사회공공성론, 지역화·공유화론은 발전주의적 에너지 공공성을 재구성하는 방향으로 각각 시장화, 민주적 공익성, 전환적 공공성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diversification of an energy transition strategy from the viewpoint of energy publicness. In the process of responding to the restructuring of an electric power industry by Korean government, the energy transition strategy of social movements was diversified in the background of anti-privatization struggle, the growth of renewable energy market, and the spread of transitional experiments. The energy transition strategies that are recently proposed can be divided into 3 groups: marketization, democratic de-commodification, and localization of the commons. Each strategy is not only different in evaluation of developmental energy publicness, but also pursues different transition strategy in terms of ownership and operation in electric power industry, scale and subject of energy transition etc. The marketization strategy sees fair market competition as a shortcut to energy transition, while the democratic de-commodification strategy seeks to vertically reintegrate the electric power industry and to strengthen democratic control. The localized commons strategy seeks to de-centralize the electric power system through energy cooperatives led by energy citizens as well as a municipal enterprise owned by local government.

      • 재생에너지 확산 이행방안 연구(Ⅰ)

        이상엽,박주영,박종윤,이창호,임동순,석광훈,최영웅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 기후환경정책연구 Vol.2020 No.-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범위 ❏ 연구의 목적 ㅇ 국내 재생에너지 목표 달성을 전제로 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한 이행방안 모색 ❏ 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한 연구범위 ㅇ 전환부문에서 정부 목표 재생발전 비중 달성 가능성 및 에너지시장의 구조적 문제로서, 특히 전력시장과 재생에너지 기술개발과의 관계 분석 ㅇ 재생에너지 환경영향평가 및 제주지역 사례를 대상으로 수용성 측면 분석 2. 연구의 내용 및 수행체계 ❏ 국가 재생에너지 목표와 이슈 ㅇ 국가계획에 제시된 재생에너지 목표 현황과 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한 점검 요소 분석 ㅇ 현재 정부에서 추진 중인 재생에너지 제도개선 상황 정리 ❏ 전환부문 현황 및 과제 분석 ㅇ 전력수급 및 에너지믹스 전망기반 에너지믹스 대안 설정 및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 여부 분석 ㅇ 에너지전환 및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 위한 현안 도출 ❏ 국내 에너지시장 거버넌스 분석 ㅇ 현 전력시장 구조가 재생에너지 기술개발에 미치는 영향 파악 ㅇ 전력요금 및 세제 개편의 필요성과 기술개발 촉진 방향 관점에서 현안 도출 ❏ 재생발전사업의 환경평가 현황 및 부동의 사례 분석 ㅇ 지역의 재생에너지 확산 관점에서 사회적 수용성의 이론적 개념과 환경영향평가에서 다루는 재생에너지 비동의 원인 분석 ❏ 지역 재생에너지 현황 및 과제 분석 ㅇ 국내 지역에너지 확산의 가장 대표적인 지역인 제주도를 대상으로 제주도의 특징, 주요 추진 현황 및 현안 분석 Ⅱ. 국가 재생에너지계획 현황 및 이슈 1. 국가 재생에너지 목표 현황 ❏ 우리나라의 재생에너지 목표는 에너지기본계획, 2030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전력수급 기본계획 등에서 제시 ❏ 2050 저탄소발전전략에서 재생에너지 목표에 기반해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설정 예정 2. 국내 재생에너지 확산 과제 및 이슈 ❏ 시장 및 제도, 재생에너지 확산 기반, 기술개발 및 확산, 사회적 수용성 관점에서 단계적으로 개선할 사항과 중장기 근본적으로 전환되어야 할 국가 현안을 우선 분석 ❏ 각 현안은 시장·기술·정책·사회 혁신의 융합적 관점에서 접근 중요 3. 재생에너지 확산 주요 추진 동향 ❏ 시장, 정책, 기술, 사회적 관점에서 분석 4. 재생에너지 수용성 이론: 개념과 지역사회 갈등요인 ❏ 재생에너지 수용성이란 주체와 대상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는 다차원적인 결과 ㅇ 재생에너지 수용성을 사회·정치적, 시장, 지역사회의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각 영역에 적합한 선행연구 소개 ㅇ 지역사회 영역 수용성 갈등요인에 초점을 두고 환경 보존에 대한 의지, 절차적 불공평성과 이윤 배분의 불공정성을 대표적인 재생에너지 지역사회 수용성 갈등의 원인으로 보고 각 갈등 원인에 대한 이론적 배경 및 관련 국내외 사례 분석 Ⅲ. 전환부문 현황 및 과제 1. 전력수급, 에너지믹스,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및 전망 ❏ 전력수급계획과 에너지기본계획을 활용하였으며, 계획기간 이후는 설비 건설, 폐지 등 전원별 특성과 수명, 이용률 등을 고려하여 추정 ❏ 주요 분석결과(2040년 기준) ㅇ 발전량 636(8차 기준)~646(9차 기준)GWh ㅇ 전원별 에너지믹스(신재생에너지 30.7%(RE4030)~36.3%(RE4035)) ㅇ RE4030/RE4035 RE 설비 및 발전량(95,961~114,522MW, 198,300~234,188GWh) ㅇ 9차 기준/RE4035 온실가스 배출량(원전이용률 80%, 석탄이용률 60%; 166.3MtCO<sub>2</sub>) 2. 주요 현안 및 과제 ❏ 공급부문은 설비증설, 폐지, 수명연장, 연료전환에 대한 고려가 중요하며, 수요부분은 수요예측, 수요관리 달성도 등 변동성 반영이 필요 ❏ 재생에너지 공급은 정책이행도, 에너지원별 잠재량, 환경제약 등에 대한 고려 중요 ❏ 에너지전환의 성공적 이행을 전제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위해서는 원전 및 석탄 이용률 관리가 향후 과제 Ⅳ. 에너지시장 거버넌스 현황 및 과제 1. 에너지전환의 기술적, 제도적 쟁점 ❏ 지금까지의 국내 정책들은 비교적 단순한 연료선택에 집중 ㅇ 시장제도와 기술체제에 의해 지배되는 에너지 부문은 비탄소·탄소전원의 이분론적 대립보다는 통합적 접근법 필요하고, 기술과 제도 모두 강한 경로의존성을 가짐 ❏ 경로의존성 극복을 위해 자원배분(연료믹스, 단순요금제)을 넘어 재산권, 거래제도 등 상위단계 제도들의 개혁 필요 2. 해외 에너지전환의 시장제도적 접근 및 결과 사례 ❏ 미국 오일쇼크 직후 산업용 열병합발전 및 재생에너지의 공정한 전력망 접속 보장하는 「전력산업규제정책법(PURPA, 1978)」 제정 ❏ 고효율 가스복합(CCGT)기술의 상용화(1980s)(GE F-class 등) ❏ 자가용 가스발전 산업체들의 전력시장진입 요구 및 경쟁체제도입(미국, EU) ❏ 가스복합의 원전·석탄의 시장점유율 잠식(2000~2010s)(주요 선진국) ❏ OECD 전력시장개편 환경적 성과 ㅇ 전력시장 자유화수준과 태양광·풍력의 진입수준 정비례 관계 ㅇ 경쟁도입과 발송배전 분리는 고효율·저탄소 신규 발전사업자를 늘려 생산성 향상과 CO<sub>2</sub> 저감에 기여 ㅇ전력시장 경쟁도입은 석탄에서 가스와 RE 전환유도 3. 시사점 및 과제 ❏ 에너지전환은 에너지믹스 조정을 넘어 지속적인 사회변화 필요 ❏ 전력시장 구조개편은 소비자들의 선택과 참여 유도 ❏ 그간 제안된 친환경 전기요금제도들은 현행 국가독점시장에서 전기요금에 복지개념이 혼재되어 추진 ❏ 전기요금은 시장참여자들의 자율성을 보장해 원가와 각종 유인을 반영하되, 복지는 국가가 기본적인 소득을 보전하는 정책으로 개선 필요 ❏ 전력시장개방 및 에너지전환 시 전기소비자, 전력산업계, 전기다소비 중화학업종 등의 소외와 저항도 고려 필요 Ⅴ. 재생발전사업의 환경평가 현황 및 부동의 사례 1.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의 환경평가 현황 ❏ (대상) 육상풍력, 육상태양광, 수상태양광 발전사업: 전략환경영향평가, 환경영향평가, 소규모환경영향평가 ㅇ 총 7,489건에 대한 협의(동의 및 조건부동의) 비율은 약 92% ㅇ 에너지원별 부동의 비율(육상태양광 2.8%, 수상태양광 1.4%, 육상풍력 4.9%) 2.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의 환경적 고려사항 ❏ 환경영향평가 관점의 환경문제는 시설 운영 관련 사항이 아닌, 입지선정에 관한 사항(수상 태양광은 지역 수용성의 현실적 문제) 3.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의 환경평가 부동의 사례 조사 4.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의 환경영향평가 현안 ❏ 환경피해 및 사회적 갈등 최소화를 위한 정책설계(발전원별 보급목표 및 이행방안) 개선 중요 ❏ 개발가능지역을 대상으로 입지 우선순위를 정하는 사업 추진 전략이 중요 ㅇ “잠재량 및 입지지도” 등 정보 활용성 제고 Ⅵ. 지역 재생에너지 현황 및 과제 1. 제주 재생에너지 보급 정책의 특징과 의의 ❏ RE 보급 연구 관련 물리적 여건 ㅇ 제주지역: 태양광 및 풍력의 잠재자원 측면에서 유리한 자연적, 환경적, 물리적 여건 ㅇ 상대적으로 독립된 전력계통: 제주 재생에너지, 특히 풍력의 사례는 기술적, 물리적 정책 수행 경험과 시사점 제공 - 제주 전력계통 내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늘수록 지역 내 전력 공급 계통운영의 안정성한 출력제한 다수 발생 사례의 현실적 문제와 해결 방안 시사점 제공 - 관련 주체 간 협의사례, 출력제한에 따라 풍력발전사업자의 매출 감소 보전, 수용 논의는 효율적 정책 조치 정보 제공 ❏ RE 보급 연구 관련 정책 경험 ㅇ 제주의 에너지 자립형 수급정책: 재생에너지 보급 측면에서 국가 장기 비전 선행 ㅇ 전기 중심의 에너지 자립기반 구축 노력, 에너지원별 공급의 균형 안정 정책 도입 ❏ 지역 재생에너지 보급 수용성 논의와 경험 ㅇ RE 보급 확대를 위한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정책 수용성 ㅇ 주민-주민 갈등과 정책 수용성 2. 제주 재생에너지 보급 현황과 정책성과 ❏ 제주 지역의 RE 설비용량은 전국 평균보다 빠른 증가세 ㅇ 2012~2017년 기간 동안 연평균 증가율 39.6%(설비용량 603MW, 전국 대비 설비용량 비중 3.8%, 2012년 대비 2.4%p 증가) ㅇ 제주 태양광발전 연평균증가율 64.9%(전국, 44.9%); 풍력발전 21.9%(전국, 18.9%) 3. 제주 재생에너지 주요 추진 현황 ❏ 지역 전력수요 둔화와 재생에너지 공급 증대에 따른 수급 불일치 ❏ 제약발전 최소화 위한 정책 ㅇ 단기적으로 재생 발전량 조절 개선 필요하며, 중기적으로 제주-육지를 연결 전압형 HVDC(초고압직류송전) 연계선 역송전 ㅇ HVDC 기술적 요인, 용량 측면에서 실효성 제고 및 근본적으로 CFI의 현실성 재검토, V2G(vehicle to grid) 등 대안적 ESS 방안 필요 ❏ 공공주도형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ㅇ 제주 재생에너지 자원, 특히 풍력 발전 공공적 관리 주도: 대규모 부지 사용에 따른 난개발 방지 및 경관훼손 최소화, 발전설비 지역의 주민수용성 증진과 이익공유화, 개발 이익의 도외 유출 최소화 ㅇ 제주에너지공사 사업시행예정자로 지정, 공공적 관리 거버넌스 확보, 풍력발전 부지선정과 건설 도민 참여형 개발사업 형식(지구지정제도와 이익공유화제도) ❏ 민자 태양광발전 사업 ㅇ RPS 제도에 기반한 민자 태양광발전 사업 추진 ㅇ 민간 주도태양광발전 사업 활성화 및 사업대상지 발굴, 수용성 확보 등 공공주도형 태양광발전 사업 병행 ㅇ 건물옥상 및 주차장, 영농형태양광 등 입지의 기존 용도와 태양광 발전을 병행할 수 있는 도민참여형/수익형 사업모델 발굴 ❏ 지역재생에너지계획 WG 및 관련 위원회에 도민(비전문가) 참여 확대 ㅇ 지역에너지계획 WG과 관련 위원회(에너지위원회, 풍력발전사업심의위원회, 풍력자원 공유화기금 운용심의위원회, 환경영향평가심의위원회)에 도민참여 보장(수용성 확보) ㅇ 관-민간 의사소통 채널 확보 및 도내 에너지 분야 상설 갈등 전문기구 마련 ❏ 정책 집행 과정에 주민 감시 및 참여 확대 ㅇ 시민단체 및 주민들이 주요 정책의 집행과 과정의 문제점을 감시하는 모니터링단 운영 ㅇ 지역 내 현장 목소리를 듣고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옴부즈맨 제도 운영 Ⅶ. 현안종합 및 2차 연도 주요 연구과제 ❏ 전환부문, 에너지시장 거버넌스, 환경영향평가, 지역에너지(제주 사례) 중심으로 국내 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한 주요 현안을 아래와 같이 종합 정리 분석 ❏ 주요 현안은 재생에너지를 공급하고 수요하는 측면, 동시에 지역 내 재생에너지 사업의 원활하고 효과적 추진을 위한 기술적·제도적 측면으로서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 ㅇ 전환부문의 정책적·기술적 측면의 안정적인 저탄소 전원믹스 실현이 중요 ㅇ 전환부문의 저탄소 전원믹스 실현은 국내 에너지시장이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구조일 때 가능 ㅇ 지역에너지 현안 중 지구지정제도 및 사업인허가권 정비는 환경영향평가 부문의 개발가능입지 기준 및 협의지침, 모니터링 제도 개선과 연계 추진이 중요 ㅇ 전원구성, 가격구조, 기술투자, 소비자 참여 등의 정상화를 위한 에너지시장의 거버넌스 개선은 국내 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한 가장 근본적인 과제 ❏ 2차 연도 연구에서는 금번 1차 연도에서 도출된 핵심 현안을 바탕으로 구체적 이행방안과 이행에 따른 파급효과를 분석할 계획 ㅇ 1차 연도에서 분석된 핵심현안을 더욱 압축적으로 구체화하여 추진 ㅇ 전환부문의 중요성을 고려해, 곧 확정될 제9차 전력수급계획, 최근 2050 탄소중립 비전 발표 등 새로운 여건 반영, 석탄발전 제약, RE 보급률 확보방안, 재생발전 변동성 대비 등에 초점을 둔 이행방안 제시 ㅇ 지역에너지와 에너지시장 거버넌스의 중요성을 고려해, 지역과 발전시장 구조개편에 초점을 둔 이행방안으로써, 지역별 차등요금제 도입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이에 따른 경제적 효과를 중점 분석 Ⅰ. Introduction 1. Objective and scope of the research ❏ Research objective ㅇ To implement a plan for renewable energy diffusion with an aim to accomplish the goal of renewable energy availability at the domestic level. ❏ Scope for research for the diffusion of renewable energy ㅇ Analysis of the possible achievements of the government’s targets for renewable power generation capacity with respect to energy transition, and assessment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urrent electricity market and the development of renewable energy technology as a structural problem of the energy market. ㅇ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analysis for renewable energy acceptance with respect to the Jeju region case study. 2. Research topics and system performance ❏ Goals and issues to be addressed for the implementation of domestic renewable energy ㅇ Assessing the status of the renewable energy targets as proposed in the national plan. ㅇ Summary of the improvement status of renewable energy system initiatives undertaken by the government. ❏ Analysis of current status and tasks in the transformation sector ㅇ Assessment of alternative combinations for energy mix based on the demand and supply of electricity, and subsequent performance analysis in terms of success or failure of the greenhouse gas reduction goals. ㅇ Resolving pending issues to achieve energy transition and greenhouse gas reduction targets. ❏ Investigating the governance of the domestic energy market ㅇ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the present electricity market structure on the technical development of renewable energy. ㅇ Importance and need for the electricity price and tax reforms and resolving pending issues to accelerate technical development. ❏ Status of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f the renewable power generation project and analysis of the disagreement cases: ㅇ Analysis of the theoretical social acceptance of the domestic renewable energy diffusion and the reasons for disagreement for the development of renewable energy ❏ Analysis of the status of the regional case of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ㅇ Studying the characteristics of Jeju island, which represents the regional energy diffusion case, understanding the major enforcement situations and the pending issue in Jeju island. Ⅱ. Status and issues of the domestic renewable energy plan 1. Status of the domestic renewable energy plan ❏ The goals for domestic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which included the road map for greenhouse gas emission reductions by 2030, and a basic plan for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were proposed in national energy master plan. ❏ An initiative was undertaken to set the greenhouse gas reduction goals based on the renewable energy targets of 2050 low-carbon emissions development strategy(LEDS). 2. Renewable energy diffusion tasks and issues ❏ Examining the factors in the energy market system that need step-wise improvement, understanding the foundation of renewable energy dispersal, and technical developments for energy dispersal and social acceptance along with resolving the domestic pending issue needs on a mid/long-term basis. ❏ Understanding importance of resolving each pending issue using a convergent perspective of market-technology-policy-social-innovation. 3. Major domestic trends for spreading renewable energy ❏ Analysis from market-technology-policy-social-innovation perspective 4. Renewable Energy Acceptance Theory: Concept and factors for regional social conflict ❏ Acceptance of renewable energy is a multidimensional approach, which includes technological and social participation. ㅇ The approach i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three categories, which are socio-politics, energy market, and regional society, and previous literature in each category is studied. ㅇ Commitment to environmental conservation, procedural biasness, and biasness in profit distribution represent the conflict factors for the social regional renewable energy acceptance. Subsequent analysis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related cases on each conflict factor is required. Ⅲ. Current Status and Tasks of transformation sector 1. Estimation of electricity supply, energy mix,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 Power supply plan and the general energy plan were applied, and the electricity supply was estimated after the planning perio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ower source, such as facility construction and abolition, life span, and utilization rate. ❏ Major analysis results (based on the year 2040) ㅇ Generation was in the range of 636 GWh (based on 8th plan) - 646 GWh (based on 9<sup>th</sup> plan). ㅇ Energy mix applied for power supply consisted of 30.7%(RE4030)-36.3% (RE4035) renewable energy. ㅇ Power generation capacity was 95,961-114,522 MW and 198,300-234,188 GWh for RE4030 and RE4035 RE equipment, respectively. ㅇ Based on the 9<sup>th</sup>plan/RE4035 greenhouse gas emission was 166.3 MTCO<sub>2</sub>(nuclear power plant utilization rate80%, coal utilization rate 60%) 2. Major pending issues ❏ Considerations in facility extension, abolition, and life span extension, and fuel conversion are important issues for the supply sector, whereas reflection in flexibility, such as demand prediction and demand management achievement are essential issues for the demand sector. ❏ Policy execution rate, potential for saving under each energy source, and environmental limitations are important considerations in the renewable energy supply. ❏ Assuming that energy transition will be successfully executed, future projects for controlling greenhouse gas emissions will include the management of nuclear power plants and coal utilization rates. Ⅳ. Status of the energy market governance 1. Technical and institutional issues of energy conversion ❏ Until now, the domestic policies focused on a relatively simple fuel mix selection. ㅇ As the energy sector is governed by the market system and technology system, an integrated approach is required rather than the contradictory approach of non-carbon power supply. Additionally, technology and market system both have a strong path-dependency. ❏ Path-dependency can be overcome by the application of upper-level systems, such as property rights or trade system over the resource dispersal (fuel mix, simple rate system). 2. Case studies of market-institutional approach, and results of international level energy conversion ❏ The USA oil shock of 1974 led to the enactment of Public Utility Regulatory Policies Act (PURPA) of 1978), which guarantees a power system based on the industrial combined heat and a fair access to renewable energy power grid. ❏ High-efficiency gas mix using combined cycle gas turbines (CCGT) and General Electric’s F-class (GE F-class) gas turbine technology were commercialized in the 1980s. ❏ The entry of the private power generation companies into the power market introduced a competitive system (USA, EU). ❏ Coal market shares of the gas mix were taken over by nuclear and coal power plant of major developed countries from 2000 to 2010. ❏ Environmental performance of the reorganize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power market: ㅇ A linear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the degree of power market liberalization and the degree of initiation of solar energy and wind power development. ㅇ Introduction of competition and separate dispersal patterns contribute to productivity enhancement and CO2 reduction by promoting high-efficiency·low-carbon power producers. ㅇ Competition in the power market promotes conversion of coal to gas and RE. 3. Implications and Challenges ❏ Energy transition requires a sustainable social change rather than adjustments in the energy mix. ❏ Reorganization of the power market structure creates opportunities for consumer participation. ❏ The suggested environmentally friendly electric rate systems are boosted and the inclusion of the electricity price in the current national monopoly market ensures welfare for all. ❏ Policy revisions are needed in the electric fee such that it not only reflects the prime cost and other factors, which guarantee the liberalization of the market participants, but also ensures the national welfare by safeguarding the national income. ❏ To promote power market and energy conversion, problems associated with alienation and resistance by the electricity consumer, power industry, and heavy electricity consuming chemical industry need to be addressed. Ⅴ. Status of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disagreement cases for the development of renewable power generation projects 1. Status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f the renewable power generation projects ❏ Strategic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small-scal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were considered for onshore wind power, onshore solar energy, and off shore solar energy development projects. ㅇ The consultation rate for 7,489 cases (agreement or disagreement) was approximately 92%. ㅇ Disagreement rate of each energy source type was 2.8%, 1.4%, and 4.9% for onshore solar energy, offshore solar energy, and onshore wind power, respectively. 2.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for renewable energy generation projects ❏ The environmental issues that arose during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were related to the location allocation, not to the management of the facilities (offshore solar energy is a regional adaptation problem). 3. Evaluation of the environmental impact disagreement cases of the renewable energy generation projects 4. Pending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ssues ❏ Revisions in policy design are important to minimize environmental damage and social conflicts (dispersal goals and implementation measures for each power source). ❏ Project promotion strategy for deciding the priority locations for development is important. ㅇ Information pertaining to the “saving potential and location map” should be applied. Ⅵ. Regional renewable energy status and tasks 1.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Jeju renewable energy supply policy ❏ Physical conditions about the RE dispersal research ㅇ Jeju region has favorable environmental, and physical conditions for solar and wind energy development. ㅇ Relatively independent electrical power systems: The renewable wind energy development at Jeju demonstrates technical capability and significant policy implementation. - The Jeju case demonstrates problems and solutions for power output limit, which is related to the stability of the system operation of the intra territorial power supply, by proving an increase in the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ratio among different electrical power systems. - It provides for maintenance against downturn in sales of wind power operation and discusses power reception based on the discussion between related subjects, cases, and output limit. It finally provides effective policy information. ❏ Policy expertise in RE dispersal research ㅇ Independent energy supply and demand policy of Jeju: The policy is supported by the national long-term vision of renewable energy dispersal. ㅇ An effort has been initiated to establish an independent electricity foundation and to introduce a stable policy for maintaining the supply balance for each energy source type. ❏ Discussion and expertise in the acceptance of the regional renewable energy supply ㅇ Lack of policy revisions is the biggest obstruction for the execution of RE dispersal. ㅇ Conflict between residents and policy revisions also acts as an hindrance for energy dispersal. 2. Jeju renewable energy dispersal status and policy outcomes ❏ The RE capacity of Jeju region shows comparative higher power generation than the national average. ㅇ The average annual increase in the power generation rate was 39.6% during 2012-2017 (installed capacity 603MW, and the rate of installed capacity compared to the national capacity 3.8% in 2012 increased by 2.4%) ㅇ Average annual rate of solar power generation in Jeju was 64.9% (44.9% national capacity), and the wind power generation rate was 21.9% (18.9% national capacity) 3. Major promotion status of Jeju renewable energy ❏ Energy supply and demand showed unbalnce owing to the decrease in the regional power demand and increase in renewable energy supply. ❏ Policy to reduce the curtailment of renewable energy ㅇ Improvement is required to control the renewable energy generation needed for short-term reverse transmission of high voltage direct current (HVDC) line, which connects Jeju with the main land. ㅇ The effectiveness of technical factors, capacity of HVDC, re-examination of CFI practicability, and consideration of alternative ESS plans such as V2G (vehicle to grid) is required. ❏ Public-driven expansion of renewable energy diffusion ㅇ Public administration for Jeju renewable energy resources, particularly, wind power generation includes preventing unsustainable development owing to large site utilization and damage minimization to the landscape, encouraging acceptance of the residents to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and subsequent profit-sharing, and minimizing diversions of developmental profit out of Jeju. ㅇ Jeju energy corporation was appointed as the project implementer and was responsible for acquiring public management governance, selection and subsequent construction of a site for wind power generation, and development of a business model, which includes participation of residents (district designation system and profit-sharing system). ❏ Solar power generation business by private investment ㅇ Impetus to the solar power generation business by private investment can be based on the RPS system. ㅇ It should run parallel with a public-led solar power generation business by the initiation of private solar power generation business, finding a suitable site for business, and adaptation. ㅇ Application of a profitable business model, which includes citizenparticipation, and enhancing the existing site elements, such as building rooftop, and parking lot, and inclusion of farming along with the solar power generation are crucial for the development of the business model. ❏ Expansion of citizen’s participation in the regional renewable energy plan WG and related committee ㅇ Citizen participation in the regional renewable energy plan WG and related committees (energy committee, review committee on wind power projects, review committee on the operation of the wind resource allocation fu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view committee) is critical. ㅇ Establishment of government-private sector communication channel and a permanent organization, which specializes in conflicts management in the energy dispersal in the province should be initiated. ❏ Increase in monitoring and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 the policy enforcement process ㅇ This includes execution of a monitoring group where civic groups and residents monitor the procedure and problem associated with the energy policies. ㅇ Additionally, the ombudsman system should be incorporated to investigate any complaints in the region and solve the corresponding problems. Ⅶ. Synthesis of pending issues and main research projects for 2nd year of the plan ❏ Comprehensive analysis on the major pending issues for domestic renewable energy diffusion with an emphasis on the transformation sector, energy market governanc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regional energy (Jeju case) ❏ The major pending issues that need to be addressed are the supply and demand of renewable energy, which are closely connected to the technical and institutional issues, required for the smooth and effective functioning of sub-regional renewable energy businesses. ㅇ Politically and technically stable low-carbon power mix of the transformation sector is important. ㅇ A low-carbon power mix in the transformation sector is possible only if the domestic energy market can support it. ㅇ Modification of the district designation system and business licensing should be prioritized among other regional energy pending issues and should be boosted while connecting with standards for location available for development and consultation guideline of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long with revisions for the monitoring system. ㅇ The revision of energy market governance for the normalization of power composition, price structure, technology investment, and participation of consumers is the most fundamental task necessary to ensure domestic diffusion of renewable energy. ❏ During the second year of research, detailed implementation measures and ripple effects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plan will be analyzed based on the key pending issues deduced from the first year. ㅇ The key pending issues analyzed in first year will be concisely materialized and boosted. ㅇ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the transformation sector, implementation measures will be proposed with an emphasis on the latest developments, such as the 9th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plan to be announced shortly, the recently released 2050 carbon-neutral vision, restriction in coal development, acquisition of RE dispersal rates, and measures for renewable energy generation variability. ㅇ Owing to the importance of regional energy and energy market governance, the introduction of locational marginal power price system will be proposed in detail and the corresponding economical effect will be analyzed. This will serve as an implementation measure for the structural reorganization of the region and the energy development market.

      • KCI등재

        한국 에너지전환의 미래 : 다양한 스케일의 전환 경로 탐색

        한재각(HAN, Jae-kak) 한국공간환경학회 2020 공간과 사회 Vol.30 No.1

        이 글은 한국의 에너지시스템을 다층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다양한 전환 경로를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선 전환연구 및 전환의 지리학에 대해서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다양한 전환 경로를 탐색하기 위한 ‘사회기술 시나리오’ 방법론과 네덜란드 에너지전환의 시나리오를 검토한다. 이어 한국의 에너지시스템을 거시환경, 레짐 그리고 틈새라는 다층적 관점을 통해서 분석한 후, 한국의 에너지전환을 위한 세 가지 전환 경로 - 중앙집권적 점진적 전환 경로, 에너지 분권과 자립의 경로, 그리고 동북아 슈퍼그리드 경로 -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토론할 것이다. 이 각 전환 경로는 국가적, 지역적, 국제적 스케일의 전환 경로를 보여준다. 이는 한국의 에너지전환 담론이 국가적 스케일에 갇혀 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다양한 스케일 사이에서의 경합과 이에 대한 분석과 토론은 에너지전환의 달성 가능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Korea’s energy system from a multi-level perspective( MLP) and explore various transition pathways. First of all,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transtion studies and the geography of transition, and examines the ‘socio-technical Scenario’ methodology and the scenario of Dutch energy transition to explore the various pathways. After analyzing Korea’s energy system through the MLP of landscape, regime and niche, I will develop and discuss three transition pathways for energy transition in Korea: centralized and gradual pathway, energy decentralization and independence pathway, and Northeast Asia Super Grid pathway. Each of these transition pathways represents a national, regional and international scale. This pointed out that the current discourse on energy conversion in Korea is confined to the national scale, and competition between the various scales and its analysis and discussion will help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achieving energy trans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