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흰쥐의 사구체간질세포에서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의 발현에 대한 Endothelin-1, Endothelin-2 및 Endothelin-3의 효과

        신미정 ( Sin Mi Jeong ),김형욱 ( Kim Hyeong Ug ),양철우 ( Yang Cheol U ),김용수 ( Kim Yong Su ),김석영 ( Kim Seog Yeong ),최의진 ( Choe Ui Jin ),장윤식 ( Jang Yun Sig ),방병기 ( Bang Byeong Gi ) 대한신장학회 2003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2 No.4

        목 적 :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MCP-1)은 단핵구, T 임파구 및 호염구를 선택적으로 유도하며 다양한 신장질환에서 발현된다. Endothelin-1은 염증성 사구체신염을 비롯한 신장질환의 신장조직 내 발현이 증가되나 그 작용기전은 자세히 알려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횐쥐의 사구체간질세포를 배양하여 endothelin-1 (ET-1), endothelin-2 (ET-2) 및 endothelin-3 (ET-3)의 MCP-1 발현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였다. 방 법 : 흰쥐의 사구체간질세포를 배양하여 ET-1, ET-2, 및 ET-3로 자극한 후 사구체간질세포 배양액 내 단핵구 화학주성 활성도는 modified Boyden chamber를 이용한 화학주성검사법으로 측정하고 ET-1, ET-2, 및 ET-3 자극 시간 및 농도에 따른 MCP-1 mRNA의 발현은 Northern blot 검사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 과 : ET-1, ET-2, 및 ET-3로 자극한 후 사구체간질세포에서 분비하는 단핵구 화학주성활성도는 자극 전에 비해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10^(-9)과 10^(-8) M의 농도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ET-1, ET-2, 및 ET-3는 높은 농도에서 MCP-1 mRNA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이러한 증가는 4시간부터 시작되어 24시간에 가장 증가되었다. 결 론 : ET-1, ET-2 및 ET-3는 사구체간질세포에서 분비하는 단핵구 화학 주성 활성도와 MCP-1 mRNA 발현을 증가시키며 이를 통해 염증성 신장질환에서 단핵구의 신장 조직 내 침윤에 따른 신 손상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MCP-1) is an important mediator for monocyte/macrophage infiltration in various inflammatory renal diseases and is produced by renal cells. In the process of renal diseases, endothelin-1 (ET-1) is known to play an active role in cell growth, inflammation and fibros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ree isoforms of endothelin regulate MCP-1 expression in cultured mesangial cells. Methods : Mesangial cells were incubated with or without various doses of ET-1, ET-2, or ET-3. To determine the monocyte chemotactic activity, chemotaxis assay was performed in modified Boyden chambers using freshly isolated human monocytes. MCP-1 mRAN expression in mesangial cells was measured by Northern blot analysis. Results : ET-1, ET-2, or ET-3 stimulated monocyte chemotactic activity released from mesangial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ET-1, ET-2 and ET-3 also stimulated MCP-1 mRNA expression in a time-dependent manner, which was seen as early as 4 hours and was maintained up to 24 hours. Conclusion : These data suggest that ET-1, ET-2 and ET-3 stimulate MCP-1 expression in mesangial cells and may contribute to the monocyte/macrophage infiltration in inflammatory renal diseases. (Korean J Nephrol 2003;22(4):358-365)

      • KCI등재후보

        Endothelin-1이 흰쥐의 기관평활근 수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광호 ( In Gwang Ho ),강경호 ( Kang Gyeong Ho ),유세화 ( Yu Se Hwa ) 대한내과학회 1992 대한내과학회지 Vol.42 No.5

        연구배경 : Endothelin-1은 돼지의 혈관 내피세포의 배양액에서 발견된 강력한 혈관수축제로 심혈관 질환의 중요 요인으로 생각되어 많은 연구가 되고있다. 이 물질은 혈관수축 이외에 기관지 수축작용이 강력하며, 최근에는 호흡상피세포에도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Endothelin-1의 작용은 세포의 칼슘이온에 의존하고, 칼슘이온 차단제에 의해 혈관평활근 수축이 억제된다고 알려져, endothelin-1의 작용은 dihydropyridine 유도체로 길항되는 전위 의존성 칼슘이온 통로를 통하여 나타날 것으로 생각되어 왔으나, 다른 연구자들의 보고에 의하면 칼슘이온 차단제가 endothelin-1의 혈관수축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하여 논란이 되고 있다. 지금까지 endothelin-1의 혈관 평활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는 많은 연구가 되어왔으나, 기관지 평활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은 편이다. 이에 endothelin-1이 기관지 평활근에 미치는 영향과 작용기전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시행하였다. 방법 : 흰쥐의 기관을 박리하여 기관절편을 만든 후 Krebs solution이 채워져 이TSms Magnus관에 근육 고정기로 고정한 다음 physiograph에 부착된 isometric transducer에 의하여 등장성 수축 곡선을 그리도록 장치하였다. 결과 : Endothelin-1에 의한 기관수축은 농도에 비례해서 발생하였고, 반응속도는느리며(5분~10분), 작용시간은 길었다(약 60분). Endothelin-1 및 histamine, acetylcholine에 의한 기관의 최대수축은 각각 0.83±0.03g, 0.67±0.03g, 1.29±0.05g 이었으며, EC50(-logM)의 의한 약물의 강도는 enothelin-1이 가장 강했다. Ca_^(2+)-free Krebs 용액에서의 10^(-6)M endothelin-1에 의한 기관수축은 정상 Krebs 용액에서의 반응과 비교하며 의미있게 감소하였다. Endothelin-1의 기관수축은 verapamil(10^(-5)M) 및 atropine(10^(-5)M)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Endotheline-1에 이한 기관수축은 isoproterenol의 농도(10^(-5)-10^(-4)M)에 비례해서 이완되었으며, 10^(-4)M때 92±3%까지 이완되었다. 결론 : Endothelin-1에 의한 흰쥐의 기관수축은 강력하고 오래 지속되며, 작용은 세포의 칼슘 이온에 의존하고, 세포내 칼슘 이온의 유입은 dihydropyridine-sensi-tive 칼슘이온은 통로 이외의 다른 통로를 통하여 이루어 질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Endothelin is a recently discovered potent vasoconstrictor peptide isolated from porcine cultured endothelial cells. Respiratory epithelial cells also contain endothelin. The peptide has been found to exert a wide range of actions including bronchoconstriction and growth promotion in addition to vasoconstriction. The action of endothelin on isolated vasculature has been shown to be dependent on extracellular Ca^(2+), and to be attenuated by dihydropyridine-sensitive calcium channel blockers, which lead to the hypothesis that this compound might be an endogenous agonist for dihydropyridine-sensitive, voltage-dependent Ca^(2+) channels. But this hypothesis is controversial, and the studies about the effect of endothelin on airway smooth muscle are rare. Its role in the regulation of airway smooth muscle needs to be clarified. Method: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on rat trachea superfused with oxygenated (95% O₂-5% CO₂) and warmed (37℃) Krebs solution in 50 ml organ baths. Cumulative concentration-response curves to endothelin-1 were obtained by isometric transducer Connected to physiograph. Results: Endothelin-1 (10^(-9) M~ 10^(-6) M) produced a concentration-dependent, slow-developing and long-lasting contraction of rat tracheal muscle. Endothelin-1 was a more potent contractile agent than histamine, and acetylcholine. Contractions of the tissue to 10^(-6)M endothelin-1 were attenuated significantly in Ca^(2+)-free Krebs solution containing 0.1 mM EGTA but unaffected by verapamil (10-5M). The contractile response to endothelin-1 was completely reversed by isoproterenol, but unaffected by atropine. Conclusion: Endothelin-1 is a potent, slow-developing and long-lasting constrictor of the rat tracheal smooth muscle, and its action is dependent on extracellular calcium ion, but calcium influx is not dependent on dihydropyridine-sensitive calcium channel.

      • KCI등재후보

        교원성 질환에서의 혈장 Endothelin-1 증가와 손톱 모세혈관 이상과의 연관성

        도주호 ( Do Ju Ho ),김호연 ( Kim Ho Yeon ) 대한내과학회 2004 대한내과학회지 Vol.66 No.3

        목적 : Endothelin-1은 강력한 혈관수축제로서 교원성 질환에서 증가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손톱 모세혈관 현미경상에서 이상소견의 유무와 혈관의 확장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모세혈관 현미경 검사가 혈장 endothelin-1 농도를 대변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방법 : 전신성 경화증 환자 18명,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환자 54명, 복합 교원성 질환 4명, 다발성근염/피부근염 3명 총 79명을 대상으로 레이노 현상의 유무와 기간 그리고 혈장 endothelin-1 농도를 측정하였다. 동시에 손톱 모세혈관 현미경 검사를 실시하여 거대 모세혈관, 모세혈관의 확장, 모세혈관의 꼬임, 모세혈관의 출혈 혹은 모세혈관 수의 감소와 같은 이상소견의 유무와 모세혈관상의 첨단 사지 너비, 모세혈관 너비 그리고 모세혈관 길이를 측정하여 정량적 검사를 하였다. 결과 : 검사 당시의 레이노 현상 유무에 따라서는 레이노 현상이 있는 군의 endothelin-1 농도가 레이노 현상이 없는 군의 농도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2.433±2.259 n=33, vs. 1.905±1.371 pg/mL n=46, p=non specific). 18명의 전신성 경화증 환자는 모두 레이노 현상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상 손톱 모세혈관 소견의 유무에 따른 endothelin-1 농도는 이상 모세혈관 소견이 있는 군에서 증가되어 있었다(3.940±3.335 pg/mL (n=12), vs 1.573±1.006 pg/mL (n=6), p<0.05). 54명의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환자 중 레이노 현상과 이상 손톱 모세혈관 소견을 같이 가지고 있는 경우 endothelin-1 농도가 4.191±1.696 pg/mL (n=5)로서, 레이노 현상은 있으나 이상 모세혈관 소견은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 1.364±0.636 pg/mL (n=16), 레이노 현상은 없으나 이상 모세혈관 소견을 가지고 있는 경우 2.575±1.690 pg/mL (n=8) 그리고 레이노 현상을 가지고 있지 않고 이상 모세혈관 소견도 없는 경우 1.691±1.215 pg/mL (n=25)보다 높았다(p<0.05). 전신성 경화증 환자 중 레이노 현상의 기간과 endothelin-1 농도를 비교해 보았을 때 통계적인 연관성이 없었으나, 레이노 현상과 이상 손톱 모세혈관 소견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는 레이노 현상의 기간이 짧을수록 endothelin-1 농도가 증가되어 있었다. Endothelin-1 농도와 손톱 모세혈관의 크기를 정량적으로 측정 하였을 때, 전신성 결화증 환자에서는 첨단 사지 너비의 증가와 endothelin-1 농도의 증가와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고(r_(s)=0.577 p<0.05),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환자에서는 첨단 사지너비와 모세혈관 너비 증가가 endothelin-1 농도의 증가와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r_(s)=0.425 p<0.01, r_(s)=0.278 p<0.05, respectively). 결론 : 레이노 현상을 동반한 교원성 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손톱 모세혈관 현미경 검사 특히 정량적 손톱 모세혈관 현미경 검사상 이상 소견은 혈장 endothelin-1 농도의 증가와 연관이 깊다. 그러므로 손톱 모세혈관 검사로서 혈장 endothelin-1 농도의 증가와 질병 활성도의 증가를 간접적으로 추측할 수 있으며, 이는 교원성 질환 특히 레이노 현상을 동반한 환자에서의 추적관찰 및 섬유화 합병증의 조기 발견과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 Since the endothelin-1 may be implicated in the pathogenesis of peripheral vascular diseases associated with connective tissue diseases (CTDs), we examined the plasma endothelin-1 level in association with quantitative nailfold capillaroscopy in patients with CTDs. Methods : We investigated 79 patients with connective tissue diseases (54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18 systemic sclerosis (SSc), 4 mixed connective tissue disease, 3 polymyositis/dermatomyositis). Plasma samples were obtained and endothelin-1 levels were measured by sandwich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The presence and duration of Raynaud phenomenon as well as nailfold capillaroscopy were evaluated in each patient. To examine the quantitative nailfold capillaroscopy, we measured the length of apical limb width, capillary width and capillary length. Results :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Raynaud phenomen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increased plasma endothelin-1 level between two groups (2.433±2.259 pg/mL n=33, vs. 1.905±1.371 pg/mL n=46, p=non specific). All the SSc patients had Raynaud phenomenon and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abnormal capillaroscopic findings, there were increased level of endothelin-1 in abnormal capillaroscopy group compared to normal capillaroscopy group (3.940±3.335 pg/mL (n=12), vs 1.573±1.006 pg/mL (n=6), p<0.05). As compared quantitative examination of nailfold capillaroscopy with plasma endothelin-1 level, in SSc patients the endothelin-1 level correlated well with the length of apical limb width (r_(s)=0.577 p<0.05). In SLE patients the endothelin-1 level correlated well with the length of apical limb width and capillary width (r_(s)=0.425 p<0.01, r_(s)=0.278 p<0.05, respectively). Conclusion : Our data demonstrate that the presence of abnormal capillaroscopic findings reflect increased plasma endothelin-1 level in patients with connective tissue diseases,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nailfold capillaroscopy can be useful to predict the disease activity with the evidence of increased plasma endothelin-1.

      • KCI등재후보

        고혈압 환자의 혈장 Endothelin 농도

        최규복(Gyu Bog Choi),김성남(Seong Nam Kim),윤견일(Kyun Ill Yoon) 대한내과학회 1995 대한내과학회지 Vol.48 No.3

        N/A Objectives: Following the discovery in 1988 of Endothelin by Yanagisawa, three types of Endothelin called Endothelin-l, Endothelin-2 and Endothelin-3 were identified. Among them, Endothelin-1 is secret- ed from vascular endothelial cells. Endothelin-1 has been shown to be a potent vasoconstrictor in isolated human vessels as well as having positive inotropic effects on human atria by a direct action on the heart muscle. Infusion of Endothelin-1 into human volunteers has also shown it to be a constrictor of resistance vessels in vivo. So it is possible that Endothelin-1 plays a role in maintenance of blood pressure, But there is debate on the plasma concentration of Endothelin-1 in hypertensive patient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deter- mine plama Endothelin concentration in hypertensive patients and control subjects. Methods: We measured and analyzed the endothelin concentration in plasma and 24- hours urine by radioimmunoassay in 15 patients with essential hypertension, 5 patients with secondary hypertension, 5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and 8 control groups. Results: 1) Comparison between Uncontrolled hypertensive patients and Control subjects: The mean level of plasma Endothelin in patients with essential hypertension(22.7±24.27pg/m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control subjects(4.0±2.9pg/ml; 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urine endothelin concentration and endothelin clearance among each groups. 2) Comparison between Controlled hypertensive patients and Control subjects: The mean level of plasma Endothelin in patients with essential hypertension(8.8±9.88pg/ml) seemed to be higher than that in control subjects(4.0±2.69pg/ml),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mean level of urine Endothelin in patients with secandary hypertension(57.1 + 13,17pg/ml) wn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control subjects(16.1±9.64pg/ ml; p<0.05) and in patients with essential hypertension(14.2±3.46pg/ml; 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in endothelin clearance among each groups. Conclusion: In conclusion, it is hardly to say that endothelin has a primary pathophyaiological role in hypertension. Whereas plasma endothelin concen-tration might to be elevated secondarily as a result of endothelial damage from uncontrolled hypertension. But further study will be need about it.

      • KCI등재

        자궁내막에서 endothelin 의 조직면역화학

        김종인(JI Kim),김택훈(TH Kim),김상표(SP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4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 교실에서 불임, 월경불순, 질출을로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진단적소파술 및 자궁적출술을 시행한, 병리조직 검사상 진단이 확정된 각군간(월경주기)의 조직면역화학법에 의한 endothelin 존재 차이 여부와 각질환(자궁내막 증식증, 자궁선종, 자 궁내막암)에서의 endothelin 존재 차이 여부를 측정하여 면역조직화학 염색정도는 저자들이 정한 scoring system 으로 0-3으로 배점하여 월경주기간의 비교는 nonparametric method 인 kruskal-Wallis 검사를 각 부인과적 질환과 월경주기간의 비교는 Bonferroni-adjusted Mann whiney 검사를 이용하여 검정한 결과 , 본 연구에 이용한 모든 자궁내막 조직에서 endothelin에 대한 면역조직화학법의 검사에 양성반응을 나태나고 있으며, 모든 자궁내막조 직의 stroma 에서는 저자들이 정한 score system 에 0-1의 낮은 조직면역화학반응을 보였으 며 epithelium에서는 전 검사체에서 luminal epithelium에서 glandular epithelium보다 score가 높은 염색의 결과를 보여 주었다. 가장 강한염색은 (score 3)분기기의 luminal epihtelium이였 으며, 다른 월경주기의 luminal epihthelium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소견을 보였다. 자궁내막 증식증, 자궁선종, 자궁내막암 및 자궁내막종의 luminal epihthelium에서는 score 2 정도의 비교적 진한 endothelin 의 염색소견을 보였다. 월경주기의 증식기와 관련된 자궁내 막증식증의 luminal epihthelium에서 endothelin 의 존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주 었으며, 월경주기와 관련된 자궁선종 및 자궁내막종에서의 luminal epihtelium에서의 endothelin 의 존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비교적 진한 염색을 보여주었다. 부인과 질환에서 의 endothelin 의 존재여부는 처음 시도된 것으로 향후 자궁내막 증식증, 자궁선종, 자궁내막 암에서의 endothelin 의 국소적인 역할, 발생기전과의 관계, 각 질환에서의 증상발현과의 관 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The endometrium is a target tissue for the actions of ovarian estradiol and progesterone, which are responsible for it`s growth and differentiation in preparation for implantation. Recently peptide endothelin may be a paracrine factor in the endometrium. Our objective was to determine the localization of immunoreactive endothelin in human cyclic endometrium and gynecologic disease. Fixed dated endometrial tissue(n=42) and tissues of adenomyosis (n=16), adenomatous hyperplasia (n=11), cystic hyperplasia (n=12), endometral cancer(n=19), endometrioma(n=10). Intensity of positive staining was given a score of 0 (negative), 1(low), 2(moderate) or 3 (strongly positive) for each group within each section. Comparison of immunohistochemistry with endothelin from different group (proliferative, secretory, menstrual, senile phase) were conducted with Kruskal Wallis one way analysis. Comparison of each section(adenomyosis, hyperplasis, endometrial cancer, endometrioma) with luminal epithelium were conducted with Bonferroni-adjusted Mann Whitney test. Positive immunostaining for endothelin was observed in all endometrial tissue. Low level of immunoreactivity were observed in endometrial stroma in all tissues. The strongest staining was seen in luminal epithelium throughout the secretory phase. And moderate staining of luminal epithelium in adenomyosis, hyperlasia, endometrial cancer and endometrioma were showed.

      • KCI등재후보

        사구체신염 환자의 생검조직에서 endothelin - 1 의 발현양상

        배성진(Sung Jin Bae),안원석(Won Suk An),나서희(Suh Hee Rha),김성은(Seong Eun Kim),김기현(Ki Hyun Kim) 대한내과학회 2002 대한내과학회지 Vol.62 No.5

        목적 : Endothelin-1은 강력한 신혈관 수축작용이 있으며, 체내 Na+ 대사에 관여하고, 세포 실험에서는 메산지움 세포의 분화와 수축을 일으키며 세포외 기질 생산을 자극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에 저자는 사구체신염 환자의 신생검 조직에 endothelin-1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여 endothelin-1과 사구체신염의 세포증식성 변화와의 관계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 대상은 정상 신기능의 성인 사구체 신질환자 64예였다. 초점성 사구체신염과 미만성 메산지움증식성 사구체신염의 병리소견을 보이는 IgA 신병증, 막성증식성 사구체신염, 연구균감염 후 사구체신염과 국소성 및 미만성 증식성 낭창성신염 등은 증식성 사구체신염군으로 하고, 미세변화 신증후군, 막성신병증 및 미소변화 IgA 신병증은 비증식성 사구체신염군으로 분류하였다. 환자들의 신생검 조직을 anti-endothelin-1 serum으로 avidin-biotin-complex 법에 의한 immunoperoxidase 염색을 하여 endothelin-1의 발현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증식성 사구체신염군의 생검조직에서 비증식성 사구체신염군에 비하여 사구체 모세혈관 내피세포, 간질내 혈관 내피세포 그리고 세뇨관 상피세포에서 각각 endothelin-1 면역반응이 강하였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endothelin-1은 사구체신염의 세포증식과정이나 세포증식 후의 이차적 손상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 Endothelin-1 has been found to be a potent mitogen in cultured mesangial cells. In addition, the urinary hyperexcretion of endothelin-1 was observed in patients with glomerulonephritis. Methods: The author studied endothelin-1 immunoreactivity in 64 kidney biopsies of patients with various glomerular diseases by immunoperoxidase staining utilizing anti-endothelin-1 serum from the rabbit. Results: A group of Ig A nephropathy with glomerular proliferative change (8 focal glomerulonephritis and 7 diffuse mesangial proliferative glemerulonephritis) and a group of other 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11 membrano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type I, 5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8 focal or diffuse proliferative lupus nephritis) have more prominent endothelin-1 protein expression in the glomerular endothelium, the vascular endothelium and the tubular epithelium than non-proliferative glomerular disease group (12 minimal change nephrotic syndrome, 7 membranous nephropathies, 6 IgA nephropathies with minor glomerular abnormality).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endothelin-1 has a potential role in the pathophysiology of proliferative glomerualr diseases.(Korean J Med 62:530-536, 2002)

      • KCI등재

        진통중 정상 만삭 임신부와 자간전증 임신부에서 혈장 Endothelin치의 비교

        김종인(JI Kim),김택훈(TH Kim),이인규(IG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4

        1993년 1월1일부터 1995년 6월 30일까지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에 분만 및 검 사를 위해 입원한 임신부중 자간전증으로 진단되어 유도분만을 시행한 53예, 동일한 임신주 수의 산과적 합병증이 없는 정상임신 20세, 내과적, 산과적 합병증이 없는 동일한 연령의 비 임신 여성 20예에서 검사를 시행하였다. 자간증 임산부의 입원시 경련방지를 위해 MgSO4를 사용하였으며, 유도분만중 분만진행 1기 에서 검사혈을 채취하였고, 정상임산부에서도 분만 1기에 검사혈을 채취하여 본 연구에 이 용하였다. 정상임부군의 혈장 endothelin 치 (24.09 +or- 9.20 pg/ml)와 자간전증군의 혈장 endothelin (24.14 +or- 5.57 pg/ml)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비임신 대조군 (20.03 +or-6.62 pg/ml)은 정상임신부나 자간전증에 비해 모두 유의하게 낮은 endothelin 치를 나타내었다. 자간전증군에서 정상 임산군보다 높은 endothelin 치를 나타낸다는 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에 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의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는데, 이는 항 경련제인 MgSO4를 사 용한 군이 사용치 않은 군에 비해 낮은 혈중 endothelin를 보인다는 연구 결과를 통해 볼 때, 본 연구에서는 경련을 방지하기 위한 MgSO4를 사용한 결과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MgSO4의 사용유무, 분만진통과 MgSO4의 사용할 때기와의 관계, 분만후의 endothelin 치를 비교함으로써 endothelin 의 자간전증에서의 병태 생리학적인 역할 규명에 도움이 되리 라 사료된다. To compare the maternal plasma endothelin level in normal pregnancies and preeclmpsia, 20 normotensive term pregnancy women and 53 preeclamptic women during first stage of labor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 I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eimyung University from January 1, 1993 to July 31, 1994 and 20 normal reproductive aged women as control group were studied. All preeclamptic pregnant women were treated with magnesium sulfate on admission. The plasma endothelin of control group , normotensive pregnant and preeclamptic were 20.03 +or-6.623 pg/ml, 24.09 +or- 9.20 gp/ml and 24.14 +or- 5.57 pg/ml, respectively.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levation of endothelin in normotensive pregnant women during labor and preeclamptic women during labor compared with nonpregnant control group (p<0.05). No statistical difference of endothelin level was found between preeclampsia and normal pregnancy during first stage of labor. Above results may suggest that endothelin would be anticipated with parturition. But further studies should be needed about comparison without magnesium sulfate therapy in preeclamptic pregnant women and normal pregnant women with or without labor.

      • SCOPUSKCI등재

        사람 신장의 근위세뇨관상피세포에서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의 발현에 대한 Endothelin-1의 효과

        김형욱 ( Kim Hyeong Ug ),이명자 ( Lee Myeong Ja ),김소양 ( Kim So Yang ),신영신 ( Sin Yeong Sin ),양철우 ( Yang Cheol U ),진동찬 ( Jin Dong Chan ),김용수 ( Kim Yong Su ),장윤식 ( Jang Yun Sig ),방병기 ( Bang Byeong Gi ) 대한신장학회 2003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2 No.6

        배 경 : Endothelin-1은 신장 혈관과 사구체간질세포를 수축시키는 혈역학적 작용 뿐 아니라 사구체간질세포 증식의 촉진, 세포외 기질의 축적 등과 같은 면역학적 기전으로도 신 손상에 관여한다. 그러나 endothelin-1이 화학주성물질의 분비 조절 또는 면역세포의 침윤에 관여하는 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endothelin-1이 근위세뇨관상피세포에서 염증세포의 침윤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화학주성물질 중 하나인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MCP-1)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방 법 : 사람의 신장 근위세뇨관상피세포를 배양하여 endothelin-1 (10^(8)-10^(6) M)을 처리하고 8, 16, 24, 48 및 72시간 후에 배양액 내 MCP-1 농도를 ELISA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Endothelin-1 자극후 MCP-1 mRNAdm 발현정도는 Northern blot 방법으로 평가하였으며 MCP-1 유전자 발현에 관여하는 전사인자로서 NF-κB와 AP-1의 활성도는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 (EMSA)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결 과 : 근위세뇨관상피세포 배양액 내 MCP-1 농도는 자극 전에 비해 endothelin-1 (10^(-7) M)으로 자극 후 48시간에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여러 농도의 endothelin-1 (10^(-8)-10^(-6) M)으로 자극하였을 경우 MCP-1 단백질 생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MCP-1 mRNA 발현도 endothelin-1에 의해 증가되었다. Endothelin-1 NF-κB와 AP-1 활성도를 증가시켰으며 NF-κB 복합체는 p65와 p50이, AP-1 복합체에는 c-Fos와 c-Jun이 증가된 활성도의 주요 아형임을 알 수 있었다. 결 론 : Endothelin-1은 신장 근위세뇨관상피세포에서 MCP-1 단백질과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NF-κB와 AP-1 활성도를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endothelin-1이 근위세뇨관상피세포에서 MCP-1 발현의 증가를 통한 염증성 변화 유발로 신 손상에 관여할 것임을 시사하며, MCP-1 발현의 증가의 기전으로 endothelin-1에 의한 NF-κB 및 AP-1 활성도 증가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Background :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 1 (MCP-1) is produced by renal cells and an important mediator for monocyte/macrophage infiltration in various inflammatory renal diseases. In the process of renal disease, endothelin-1 is known to play an active role in cell growth, inflammation and fibros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endothelin-1 regulates MCP-1 expression in cultured human proximal tubular epithelial cells. Methods : Primary cultured human proximal tubular epithelial cells (PTEC) were incubated with or without various dose of endothelin-1. MCP-1 concentration in PTEC conditioned medium was measured by sandwich ELISA. MCP-1 mRNA expression was analyzed by Northern blotting. The NF-κB or AP-1 activity in response to endothelin-1 was measured by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 Results : Endothelin-1 (10?? M) stimulated MCP-1 production in PTEC, which was significant at 48 hours and various doses of endothelin-1 (10?? 10? M) increased MCP-1 production from PTEC in a dose-dependent manner. Northern blot analysis revealed that endothelin-1 stimulated MCP-1 mRNA expression. Endothelin-1 (10?? M) stimulated both AP-1 binding activity and NF-κB subunit bound to the DNA probe and that c-Fos and C-Jun are major AP-1 subunit bound to the DNA probe. Conclusion : Our results suggest that endothelin-1 may stimulate MCP-1 expression in proximal tubular epithelial cells through the activation of NF-κB and AP-1 binding activity. (Korean J Nephrol 2003;22(6):655-663)

      • KCI등재후보

        미세변화형 신증에서 cyclosporine A 투여 후 혈액 및 요중 endothelin-1치의 변화

        김제우,김지홍,이진성,김병길,김현숙,Kim Je-Woo,Kim Ji-Hong,Lee Jin-Sung,Kim Pyung-Kil,Kim Hyeon-Suk 대한소아신장학회 1998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2 No.1

        Purpose : It has been reported that endothelin-1 can b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cyclosporine A nephrotoxicity. Levels of endothelin-1 was assay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cyclosporine A on the plasma and urine levels of this peptide. Method : Nine patients who were less than 15 years of age and were also diagnosed as steroid dependent minimal change nephrotic syndrome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ssay of endothelin-1 was done before and 3 months after cyclosporine A treatment.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8.3{\pm}4.6$ years. Result :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lasma levels of endothelin-1 before and after 3 months of cyclosporine A treatment ($3.22{\pm}0.39$ pg/mL vs. $3.84{\pm}1.52$ pg/mL, P=0.64). Also there was no changes in the urine levels of endothelin-1 ($21.8{\pm}5.8$ pg/mL vs. $20.3{\pm}3.1$ pg/mL, P=0.30). Conclusion : No significant changes of endothelin-1 levels were found with 3 months of cyclosporine A treatment. Further studies with longer durations will help clarifying the effect. 목적 : Endothelin-1은 cyclosporine A와 관련된 신독성의 발생에 관련될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이에 저자 등은 cyclosporine A가 혈액 및 요중 endothelin-1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6년 2월부터 1997년 3월까지 스테로이드 의존성 미세변화형 신증으로 진단받고 cyclosporine A를 투여받은 15세 미만의 환아 9례를 대상으로 cyclosporine A 투여 전과 투여 3개월 후의 혈장과 소변에서 endothelin-1치를 측정하였다. 평균 연령은 $8.3{\pm}4.6$세였다. 결과 : (1) 혈중 endothelin-1치는 cyclosporine A 투여 전에 $3.22{\pm}0.39$ pg/mL였고, cyclosporine A 투여 3개월 후에 $3.84{\pm}1.52$ pg/mL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64). (2) 요중 endothelin-1치는 cyclosporine A 투여 전에 $21.8{\pm}5.8$ pg/mL였고 cyclosporine A 투여 3개월 후에 $20.3{\pm}3.1$ pg/mL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30). 결론 : 혈액 및 요중 endothelin-1치는 비교적 단기간의 cyclosporine A 투여에 의해서는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향후 장기간의 cyclosporine A 투여가 endothelin-1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배양된 제대정맥내피세포에서 중증자간전증환자 혈청이 내피세포 생육 및 Endothelin-1합성에 미치는 영향

        김용욱(Yong Yook Kim),나욱렬(Wook Yull Na),이종건(Jong Kun Lee),이영(Young Lee),백은정(Eun Jeong Baik),나종구(Jong Gu Rha),김사진(Sa Jin Kim),이형근(Hyung Gun Lee),신종철(Jong Chul Shin),김수평(Soo Pyung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7

        목적 : 중증자간전증 환자의 혈청이 배양된 제대정맥 내피세포의 생육과 endothelin-1의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합병증이 없이 분만한 정상 임산부로 부터 제대정맥 혈관 내피세포를 얻어 정상임신부의 혈청 또는 중증 자간전증 환자의 혈청과 함께 생체외 배양을 하여, 비색 MTT법으로 제대정맥 혈관내피 세포의 생육에 대한검사, endothelin-1의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동시에 정상임신부 및 자간전증 환자 혈장내의 endothelin-1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1. 비색 MTT 측정에서 환자 또는 정상 산모의 혈청과 24시간 동안 배양시킨 배양액의 흡광도는 각각 0.0837±0.0129와 0.0718±0.0078로 두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48시간 동안 배양시킨 실험에서 흡광도는 0.1268±0.0186과 0.1133±0.0103으로 두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정상임신부의 혈청내 endothelin-1의 농도는 22.66±8.6 fmol/ml, 중증자간전증 환자의 혈청내 endothelin-1의 농도는 49.98±25.27 fmol/ml로 중증자간전증 환자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3. 정상임신부의 형청을 가한 경우 endothelin-1의 함성량은 37.52±18.41 fmol/ml이며 중증자간전증 환자 혈청을 가한 경우는 97.58±53.64 fmol/ml 로 중증자간전증 환자의 혈청은 endothelin-1의 함성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P<0.05) 결론 : 자간전증 환자의 혈청은 혈관내피세포의 생육에는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선택적으로, 특이하게 내피세포기능중 Endothelin-1의 합성을 현저히 증가시켰다. Objectives: In order to assess the effects of sera from severe preeclamptic patients on endothelial cell viability in vitro and endothelin-1 synthesis in cultured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Methods: The cultured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were incubated with media containing 10% sera from women with either preeclamptic patients or normal pregnancies for 24 hours or 48 hours. After then, their viability was measured by colorimetric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assay and their production of endothelin-1 was measured. We also measured the serum levels of endothelin-1 level in sera obtained from the normal and severe preeclamptic pregnancies. Results: The calorimetric MTT assay revealed that after 24 hours, the absorbances in the media treated with normal pregnancies and severe preeclampsia sera were 0.0718±0.0078 and 0.0837±0.0129, respectively and after 48 hours, they were 0.1133±0.0103 and 0.1268±0.0186, respectively. Serum obtained from severe preeclampsia did not affect endothelial cell viability. 2. The serum mean levels of endothelin-1 in normal and severe preeclamptic pregnancies were 22.66±8.6 fmol/ml and 48.98±25.27 fmol/ml. The mean level in preeclamptic sera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rmal pregnant women. (P<0.05) 3. After 24 hours, the mean amount of endothelin-1 stimulated by normal pregnant and severe preeclamptic sera were 37.52±18.41 fmol/ml and 97.58±53.64 fmol/ml, respectively. The mean amount of endothelin-1 in preeclamptic sera-treated cell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rmal pregnant sera-treated cells. (P<0.05). Conclusion: The sera from severe preeclamptic women do not affect cell viability but act selectively on specific activation of their function such as endothelin-1 production. And it is necessary that the identification and isolation of the putative serum factor(s) will be performed to resolve the pathogenesis in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