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통합교과의 통합에 관한 시론적 논의

        이종원 ( Jongwon Yi ),이경진 ( Kyeongjin Lee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7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1 No.2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개정의 흐름 속에서 지금까지 통합교과의 성과를 살펴보고, 초등통합교과 교육과정 내에 여전히 잔재해 있는 분과주의적 경향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경향의 극복을 위한 이론적 탐색으로 교과의 의미를 살펴보았으며, 통합교과 통합을 위한 원리와 지향점을 규정하려고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2015개정에서도 주제별 교과서는 바·슬·즐 세 교과의 합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아직 진정한 탈학문적통합이라 이르기 어렵다. 교과는 고정된 실체가 아니기에 `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이란 세 통합교과는 필요에 의해 그 구분을 벗고 단일화가 가능하다. 세 교과가 하나로 통합된 새로운 통합교과는 분과적 지식이 추구하는 `앎`의 습득이 아니라 `삶`의 실천을 지향하는 존재론적 교육이어야 한다. 이러한 원리에 의하면 통합교과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발달 단계의 특성과 배움의 방식에만 맞는 것이 아니다. 1,2학년의 주제 중심의 통합교과는 외국의 활동학습(Classroom activity)의 형태처럼 모든 학년에 적용될 가능성을 내포한다. 향후 `통합 교과`의 궁극적 목적은 전 교과를 풀어헤쳐 통합할 것은 통합하고 분과로 가르칠 것은 분과로 가르치는 서로 상보적인 이중적 구조를 교육과정 내에 구현하는 것이다. 그러나 바·슬·즐이라는 교과명이 남아있는 한 통합교과는 저학년만의 교과라는 인식을 넘어서기 힘들다. 따라서 세 교과를 통합하는 일은 통합교과로서 그 성격을 명료히 하는 일이며, 교육의 대상과 범위를 확장하는 일이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previous accomplishments of integrated subjects in light of the history of educational curriculum reforms, and verified the tendency of departmentalism that persists within integrated subjects of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oday. To overcome this tendency, the meaning of “subject” was theoretically explored, and the principles of and purposes for unifying the integrated subjects sought. The results revealed that following the 2015 reform, the textbooks comprised three integrated subjects―Disciplined Life, Intelligent Life, and Pleasant Life―creating difficulty in referring to them as integrated beyond the subject matter. Since subjects are not fixed according to universality of truth or social consultation, it is possible to overlook their distinctiveness and integrate the three subjects as needed. A new integrated subject that combines these three subjects should form existential education, aimed at the practice of “living” and not the simple attainment of “knowledge” as pursued by departmentalism. According to this principle, integrated subjects not only f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al stage and the learning styles for first and second graders but, based on the same themes, also have the potential to be applied to all grades, which resembles the classroom activities in other countries. The ultimate goal is that “integrated subjects” accomplish a complementary dual structure alongside departmentalism within the educational curriculum: dismantling the entire curriculum and integrating and departmentalizing subjects as each require. However, as long as titles such as Disciplined Life, Intelligent Life, and Pleasant Life are retained, it will be difficult to overcome the idea that integrated subjects are for the lower grades only. Therefore, combining these three subjects will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integrated subjects and extend the educational target and scope.

      • KCI등재

        초등 통합교과 임용시험 문항의 비판적 검토와 개선방안

        조상연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9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3 No.4

        이 연구에서는 초등 통합교과 임용시험 문항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그 결과에 기반한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부터 2019년까지 7년간의 초등학교 통합교과 임용시험 총 28문항을 문항유형과 문항내용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초등학교 통합교과 임용시험 문항의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세 통합교과를 통합하여 문항을 구성하는 것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둘째, 통합교과 및 교과통합 수업 설계를 위해 필요한 전문적인 지식을 평가할 수 있는 문항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교과내용 지식, 교육과정 지식, 교수학적 내용 지식, 그리고 학습자 및 상황 지식 등 네 가지 교사지식 영역을 고르게 출제할 필요가 있다. 넷째, 통합교과 임용시험의 문항의 타당성 확보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review the questions of the elementary teacher employment exam of the integrated subjects,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improving items. For that, a total of 28 questions of the elementary teacher employment exam which was conducted from 2013 to 2019 on the integrated subject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question types and question contents. As a result,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should be integrated that the questions of the elementary teacher employment exam on the three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s that are separated.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questions that can evaluate the expertise required for the design of integrated curriculum and curriculum integrations. Third, four areas of teacher knowledge need to be treated with evenly to develop the questions of the elementary teacher employment exam on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s. And fourth, efforts are needed to ensure validity for the questions of the elementary teacher employment exam on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s.

      • KCI등재

        기본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통합교과 성취기준과 교과서 어휘 비교 분석

        송승민,이지연,송미연,주은미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2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two curriculum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vocabulary in achievement standards and textbooks of integrated subjects between the basic curriculum an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Method: For this purpose, achievement standards and textbooks of the integrated subjects in the basic curriculum and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were collected.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performed in six stages: data collection, morphological analysis and extraction, word cleansing, create matrix, network analysis and visualization and analysis. Results: First, vocabulary diversity in achievement standards and textbooks of the integrated subjects were higher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an in the basic curriculum. Second, key words in achievement standards and textbooks of the integrated subject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big themes. Third, in textbooks of the integrated subjects, the basic curriculum emphasized 'us' while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emphasized 'me'. Conclusion: The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integrated subjects of the basic curriculum and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provided implications to be considered in the curriculum revision and other subjects. 연구목적: 이 연구는 기본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통합교과 성취기준과 교과서의 어휘를 비교 분석하여 두 교육과정을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기본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통합교과에서 제시하는 성취기준과 교과서를 수집하여 데이터 수집, 형태소 분석 및 추출, 단어 정제, 매트릭스 생성, 어휘 및 네트워크 분석, 시각화 및 분석의 6단계에 걸쳐 의미 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통합교과 성취기준과 교과서의 어휘 다양성은 초등학교 교육과정이 기본 교육과정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교과 성취기준과 교과서의 주요 어휘는 대주제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통합교과 교과서에서 기본 교육과정은 ‘우리’를 강조한 반면에,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나’를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기본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통합교과를 비교 분석하여 향후 교육과정 개정 및 타 교과에서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후보

        초등 예비교사의 영어-음악 교과 통합에 대한 인식

        조현희,최미영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3 초등교육연구논총 Vol.39 No.2

        There is a growing need to integrate academic disciplines to prepare individuals with abilities to solve complicated issues and problems that are challenging the present world. As educational practitioners, teachers need to be equipped with the knowledge of integrated education and be able to implement it in the classroom. To this e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iscover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integrating English and music and find suggestions for future implementation.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82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aking an English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at an educational university in Korea. English and music integration classes were designed by the researchers and taught by one of the researchers for six week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t the end of the classes, to which 65 pre-service teachers responded. The study found that the English-music integration classes helped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 concepts and gain pedagogical knowledge in both English and music. The pre-service teachers also showed positive affective responses to both subjects. Most of the pre-service teachers said that they wanted to implement the integrated lessons in their future carreer and believed that their experience of taking the integrated lessons would turn out to be helpful. However, the study also highlighted some challenges that need to be addressed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instruction in the future. Some pre-service teachers found the integrated lessons to be difficult, which suggests that integrated classes need to be planned in stages to cater to students’ diverse ability levels and pace of understanding. The imbalance between English and music was another reason for the pre-service teachers’ difficulty in the intergrated lessons. This implies that the integrated lessons need to be managed as a co-teaching system by the instructors of each subject, which would be made effective with the support on the institutional level. In addition, the short time period of the study worked as a constraint in the pre-service teachers’ growth of knoweldge and affective aspects in the English-music integrated instruction as well as in each subject. Sufficient time should be provided for full understanding and exploration of the subjects and their integration. This study constributes to pointing to the value of English-music integration education and implementing it, which has been overlooked in the middle of many initegration education programs centered on science and engineering. This study suggests that more support for active collaboration among instructors should be provided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English-music integrated education and various subjects as well.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취지에 따라 교과 통합 교육을 예비교사 교육에 적용하기 위해 초등 예비교사교육에서 영어-음악 교과 통합 수업을 실시하고 이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예비교사들은 영어-음악 통합 수업이 각 교과의 개념과 지도에 대한 이해 측면에서 도움이 되었다고 느꼈는지, 각 교과에 대한 정의적 측면에 어떤 인식을 갖게 되었는지, 그리고 향후 영어-음악 통합 수업 적용에 대해 어떤 인식을 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A 교육대학교의 3학년에 재학 중인 3개 심화과정의 예비교사들이었으며, 6주에 걸쳐 영어-음악 통합 수업을 실시한 후, 통합 수업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에 대해 설문 조사를 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영어-음악 통합 수업이 각 교과의 관련 개념과 지도 이해 및 두 교과에 대한 자신감, 동기, 태도 등 정의적 측면에서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였으며, 향후 영어-음악을 통합한 교육의 적용에도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사교육에서 통합교육 적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통합교과 출현과 유지 과정에 대한 현상 해석

        정광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0 No.1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investigate modification of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s form and explain of the influences based that times. In order to this aims, It was examined the formal documents of national curriculum, research's reports, and national integrated elementary curriculum from The forth to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view of this study results, first, the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s was introduced 'subjects integrating' to realize human education or whole-man education. After that, they are transformed integration between subject and life and theme based. Second, it is also mean to optimum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of contents for teaching and learning. And it was intended a specific theme 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ing. 이 연구는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 나타난 통합교과의 통합의 형태 변화를 고찰하고, 이런 통합의 형태 변화에 영향을 미친 것이 무엇인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1981년 제4차 교육과정 고시 이후 현행 2007년 개정 교육과정까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고시문과 해설서 그리고 각 시기별 교육과정 개정 연구 보고서들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먼저 통합교과의 변천 과정에서 나타난 통합의 형태는 3가지로 분석하였다. 첫째, 제4차 교육과정기의 ‘교과서 통합’이다. 이는 교육내용의 양적․질적 적정화를 확보하는 방식이었다. 둘째, 제5차와 제6차 교육과정기의 교과와 생활의 통합 혹은 교과의 공통점 중심의 통합이다. 이는 제5, 6차 교육과정 개정 중 통합교과의 성격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초등학교 교과교육의 내용 적합성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나타났다. 셋째, 활동 주제 및 주제 중심의 통합이다. 결국 ‘주제’ 중심은 통합교과의 지향이 되고 있다.

      • KCI등재

        2015 개정 초등영어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타교과와의 통합 분석 : 초등영어 3, 4학년 지도서를 중심으로

        송현민(Song, Hyun-min),김정렬(Kim, Jeong-ryeo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제작된 3, 4학년 지도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과통합 내용을 분석하여 실제 교육 현장에서 교사들이 영어과와 타교과를 통합하여 수업을 진행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제작된 초등영어 3, 4학년 지도서를 대상으로, 교과서에 타교과 연계를 명시적으로 서술한 지도서를 비롯하여, 교과서에서 타교과 연계를 명시적으로 제시하지 않았지만 타교과 연계를 서술한 5종의 모든 지도서에서 교과통합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결과 이에 따라 3, 4학년 초등영어 지도서에서 타교과와의 통합은 11가지 과목에서 총 272회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통합된 교과 과목은 도덕이었고, 이어서 미술, 사회, 국어, 체육, 과학, 수학 순이었으며 통합교과(1, 2학년), 음악, 실과, 기타(정보 등)는 비교적 낮게 나왔다. 주로 많이 활용된 주제나 소재는 도덕의 예절 9회, 규칙 8회, 물건의 소중함이 4회였으며, 미술의 색 및 색상환 등 색과 관련하여 7회가 나왔고, 과학의 동⋅식물, 체육의 운동이 각각 6회로 활용도가 높은 편이었으며, 수학의 사칙연산도 5회로 나왔다. 학습 기법에서는 국어에서 적절한 표정, 몸짓, 말투로 말하기가 15회나 나왔으며, 그 외 미술의 만들기, 감상하기, 표현하기가 각각 4회가 나왔으며, 체육의 표현활동도 4회로 높게 활용되었다. 내용 교과 지식에 대한 안내의 유형은 크게 예시 답안, 지도상의 유의점, 내용 교과 지식에 대한 직접적인 설명의 형태와 그 외 교과통합의 효과에 대한 안내도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지도서 분석 결과 위의 네 가지 형태가 혼합되어 안내가 제시되었으며, 하나의 지도서의 경우 성취기준만 제시되어 있고 어떠한 안내도 제시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지도서에 제시된 내용 교과 지식에 대한 안내가 교사가 수업을 진행함에 도움이 되긴 하지만 안내가 제한적이고 간략하여 실질적 도움의 효과를 느끼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확인했다. 결론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교육 현장에서 타교과와 영어과의 통합 수업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지도서에 자세한 설명과 다양한 자료를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이와 더불어 교사 역량을 확대할 수 있는 교사 교육이 필요하겠다. Objectives In this study, by analyzing the subject integration contents presented in the 3rd and 4th grade guidebooks produced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teachers integrate English and other subjects in the actual education field. Methods For this purpose, for guidebooks for 3rd and 4th grade of elementary English produced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cluding those that explicitly describe linkage with other subjects in textbooks, the textbooks do not explicitly suggest linkages with other subjects, but the content of curriculum integration was analyzed in all five guidebooks that described linkages. Results As a result, the integration with other subjects in the 3rd and 4th grade elementary English guidebooks was 272 times in 11 subjects. The most integrated subject was morals, followed by art, social studies, Korean, physical education, science, and mathematics in that order. The most frequently used themes or materials were moral etiquette 9 times, rules 8 times, and the importance of things 4 times. In relation to colors such as color and color wheel in art, 7 times were shown, animals/plants in science and exercise in physical education were each used 6 times, and the utilization was high, and the calculations in mathematics were also 5 times. In the learning technique, speaking with appropriate facial expressions, gestures, and tone of voice appeared 15 times in the Korean language, in addition, making, appreciating, and expressing art were performed 4 times each, and the expression activity of physical education was used 4 times. As for the types of guidance on content subject knowledge, example answers, notes on guidance, direct explanation of content subject knowledge, and other guidance on the effect of subject integration were also found. As a result of the guidebook analysis in this study, guidance was presented by mixing the above four forms, and in the case of one guidebook, only the achievement standards were presented and no guidance was presented. Although the guidance on the content subject knowledge presented in the guide helps the teacher to proceed with the class, it was confirmed that the guidance was limited and concise, so there was a limit to feel the effect of practical help. Conclusion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detailed explanations and various materials in the guidebooks so that integrated classes with other subjects can be properly conducted in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and in addition, teacher education that can expand teacher competency is needed.

      • 대학의 통합 관련 강좌를 통해서 형성된 초등 예비교사들의 통합에 대한 인식

        정광순 ( Kwang Soon Je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08 통합교육과정연구 Vol.2 No.1

        이 연구는 초등 예비 교사들이 통합관련 강좌를 접하면서 초등학교교육과정에서 `통합`을 인식하는 현상을 과거, 현재, 미래 시점으로 구분하여 밝혀보았다. 첫째, 예비교사들에게 보통, 통합이라는 용어는 현행 `통합교과`와 함께 떠오르는 용어였고, 따라서 통합이란 `합치다`로, 통합의 대상은 당연히 교과였다. 이런 인식 형성의 원천은 예비 교사들이 경험한 `통합 수업`이었다. 둘째, 과거 시점의 통합에 대한 인식을 예비교사들은 수많은 통합적 접근 중 `하 나에 불과 했다`, 혹은 `협의의 통합`이었다는 관점으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현재 시점에서 예비 교사들의 통합에 대한 인식은 지금까지 알고 있었던 것 `이상이었다`는 말로 요약되었다. 생각했던 것 이상의 통합이란 ①다양한 통합을 알게 되었다는 의미, ② 통합을 더 넓은 용어로 상용하게 되었다는 의미, ③ 통합에 대한 나름대로의 새로운 인식을 형성하게 되었다는 뜻이다. 셋째, 예비교사들이 앞으로 더 알고 싶은 통합은 통합 교육과정 및 통합 수업의 실제, 즉, 현실적으로 가능한 실행 방법이나 실행되고 있는 구체적인 사례, 실제로 실행해 보는 경험을 꼽았다. This study aims to review elementary school student teacher`s view-points of integration related integrated curriculum or integrated subject-matters in elementary school program. In order to this aims, It was classified themes by three categories. And there are three questions; First, what did you think about integration in past? Second, what some knowledges of integration did you have in present? Third, What do you want to know about integration in future? By the consequence, first, student teachers dealt the term of integration with the integrated subjects that are subjects in elementary school, integration mean combine, add, and put together, and they think that object of integration is subjects. They knew it as a integrated instruction, however, they still have a vague meaning of it. Second, in present, student teacher`s view-points of integration can sketch as a `more than I thought about it`. That is, integration is various and extensive. And they have got a new perception that is the transition from teaching to learning, appropriate integration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that is what they have to make. Third, what they want to know is the practices or examples of integrated curriculum or integrated instruction.

      •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정광순 ( Kwang Soon Je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0 통합교육과정연구 Vol.4 No.2

        이 연구는 차기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통합교과 교육과정 개발의 기저로서 만하임의 지식 사회학, 듀이의 교과의 진보적 조직, 학교 급별 교육과정의 정체성 연구물을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지식사회학이 추구하는 지식은 객관과 주관을 상호 연계한 간주관성으로 교육과정 지식 선정의 기저를 제시하였다. 교과의 진보적 조직이란 학생과 교과의 관계를 기초로 가장 정합성 있는 교과 조직의 형태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초등학생과 교과의 관계를 기초로 통합교과의 교육과정을 개발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정체성은 이웃하는 유치원과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연계하면서도 독자적인 교육과정이다. 이런 맥락에서 초등학교교육과정이 학생이 교과를 경험하는 과정에서 교과에 호감을 갖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는 관점을 취하며, 따라서 초등통합교과 교육과정은 이런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정체성과 동일한 방향에서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을 고찰하였다. 둘째, 이 기저를 중심으로 차기 통합교과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하나는 지식의 간주간성, 상관성을 기저로 지식의 사회적, 집단적, 대중적 협의 과정을 전제로 통합교과의 교육과정 주제를 선정해야 한다는 점에서 심리사회적 방식을 제안하였다. 두 번째는 교과의 점진적 조직을 기초로 할 때, 저학년에서는 통합교과형이, 고학년에서는 교과통합형이 적절하다는 제안을 하였다. 마지막을 이를 위해서 2007 개정 교육과정을 개선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육과정에 대한 교과, 개인, 사회의 요구조사를 바탕으로 통합교과 교육과정 주제의 원천을 구비하고,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한 세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대주제를 통일할 때, 향후 통합교과 교육과정은 보다 개선된 형태로 개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This study aims to inquire the direction for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developing. In order to this aims, this study researched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On the based them, this study suggested two viewpoints In view of this study results, first, the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would developed on basis the sociology of knowledge, progressive organization of subject-matter, and school curriculum study. Second, It was a statement of mutual agreement dating with a social, a group, and a mass for the future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development. And It is appropriated integrated curriculum approach for lower level of elementary school and in higher level curriculum integration approach. Finally, the future integrated curriculum needs to create a curriculum source study and united the big themes of the current three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 미래형 초등통합교육과정 개정 방향

        강충열 ( Choong Youl Kang ),정광순 ( Kwang Soon Je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09 통합교육과정연구 Vol.3 No.2

        초등학교 1, 2학년을 대상으로 한 초등통합교육과정은 제 4차 교육과정기에 도입된 이후 약 4반세기 동안 교과중심 통합에서 아동중심 통합으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이런 발전의 맥락에서 미래에는 기존의 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과를 "통합 활동"(Integrated Activities)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편제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앞으로 국가 수준의 초등학교 1, 2학년 교육과정 편제는 국어, 수학, 통합활동의 세 영역으로 구성하고, 국어와 수학에서 배운 3Rs이 통합활동을 하면서 활용되도록 하는 맥락적 학습을 활성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더불어 생활을 기반으로 접근하는 유치원 교육과정과 3학년 이상의 분과 교과적 접근과의 실질적인 연계를 강화해 줄 수 있게 된다. 연구자는 이런 통합활동 편제를 제안하는 세 가지 배경과 필요한 후속 조치 두 가지에 대해 설명하였다. The integrated curriculum for the first and second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has been continuously developed for 25 years since the fourth national curriculum reform in 1981. From this developmental point of view, the future integrated curriculum for them needs to create a new curriculum area, "Integrated Activities" in which the current three integrated subjects(Right Life, Wise Life, Happy Life) are integrated again in one textbook. Accordingly, the regular curriculum areas are composed of Language Arts, Mathematics, and Integrated Activities. This format makes the 3 Rs` of the Language Arts and Mathematics contextually utilized while studying the Integrated Activities and enhances the connectivity with the kindergarten curriculum where fully integrated learning is activated and the subject-oriented curriculum of the third grades. The researcher explained three rationales for the suggestion of the Integrated Activities and two necessary measures for fulfilling the purpose of it.

      • KCI등재

        초등예비교사들의 ‘민주주의와 교육’에 대한 학습경험이 통합교과의 가치 내면화에 미치는 영향 탐색

        박기용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9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Dewey’s ‘Democracy and Education’ on pre-service teachers’ internalization about the ideal of integrated subject. This study designed by a case study, 29 pre-service teachers, purposively sampled, were participated in Dewey’s ‘Democracy and Education’ learning activities that were composed of concrete experience, reflective observation, abstract conceptualization, and active experimentation based on Kolb(1984)’s experiential learning. The results of learning experiences about Dewey’s ‘Democracy and Education’ were evaluated by pre-service teachers’ epistemological belief, conception of knowledge, learning, and teaching, and integrated subject lesson plan related the ideal of integrated subj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s; Firstly, only 10% of pre-service teachers’ epistemological belief were changed more sophisticated after Dewey’s ‘Democracy and Education’ learning activities. Secondary, almost every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 of knowledge, learning, and teaching were changed toward the ideal of integrated subject after Dewey’s ‘Democracy and Education’ learning activities. Lastly, almost 41% of integrated subject lesson plan designed by pre-service teachers were related the ideal of integrated subject after Dewey’s ‘Democracy and Education’ learning activities. From this study,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s of Dewey’s ‘Democracy and Education’ were effect on their internalization about the ideal of integrated subject. 통합교과가 교육 현장에서 성공적으로 안착되려면, 교사교육단계부터 통합교과가 추구하는 교육적 이상 즉, 앎과 삶의 통합을 통한 인간 삶의 성장의 가치를 예비교사들이 내면화해야한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듀이의 ‘민주주의와 교육’을 직접 경험하는 것이 통합교과의 가치를 내면화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이 가정들을 Kolb(1984)의 경험이론을 토대로 구체적인 교육경험으로 계획·실행·평가하였다. 연구자가 2018년 1학기 00대학교에서 진행한 ‘교육과정’ 과목에서 예비교사들이 ‘민주주의와 교육’을 경험하는 과정을 ‘구체적 경험-반성적 관찰-추상적 개념화-적극적 실험’으로 계획·실행한 다음, 그 경험의 효과를 ‘인식론적 신념’, ‘지식, 학습, 수업의 개념’, ‘통합교과 수업지도안’의 변화 측면에서 통합교과의 가치와 관련지으며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민주주의와 교육’의 경험을 통해 통합교과가 추구하는 교육적 이상과 합치하는 세련된 인식론적 신념으로 변화된 예비교사는 10% 밖에 되지 않았지만, ‘지식, 학습, 수업’에 대하여 예비교사들이 자유 기술한 개념은 거의 대부분 통합교과가 추구하는 교육적 이상과 합치하는 방향으로 변화했다는 사실, 그리고 약 41%의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통합교과 수업지도안에서의 학습활동은 통합교과가 추구하는 교육적 이상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있다는 사실에 기초하면, 예비교사들이 ‘민주주의와 교육’을 경험하는 것은 통합교과의 가치 내면화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다는 결론을 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