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력거래의 법적 성격에 관한 연구

        송일두 법무부 2019 선진상사법률연구 Vol.- No.86

        Electricity, a form of the energy generated by the movement of electron, has drastically developed humanity and culture due to its ease of operation, transformation and stability. Although electric power industry accounts for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Korean economy, the electric power trading in the view of commercial law has been rarely under the discussion. However, in order to prepare for disputes arising from increased markets and development of electricity technology, the legal nature of electric power trading should be clarified. First of all, electricity can not be stored and can be transmitted only through the transmission line. There is a controversy about the legal nature of electricity in the United States. However, electricity will be treated as a goods in Korean legal system because of Korea Civil Code. Supply obligation could be imposed in that electric power trading is continuous contract especially for daily necessities. The Electric Utility Act provides that no operator of the electricity generation business and operator of the electric sales business shall refuse to supply electricity without a justifiable ground. It also has the character of a contract to sell electricity. Electric power trading in the power market are close to mechanical bidding and calculate procedures, and a typical type of contract for sale is a power purchase agreement. Power purchase agreement is a contract between buyers and sellers that sells electricity at an agreed period and price that includes commercial conditions such as contract period, delivery point, delivery time, electricity volume and price, etc. As a commercial contract, the principle of freedom of contract should be applied more strongly to electric power trading than a general civil contract. However, the principle of freedom of contract may be limited to certain aspects since electric power trading is aimed at providing survival benefits. Finally, electricity trading could be seen as one of the distribution contracts made in the process of the product being distributed from the operator of the electricity generation business to the consumer via the transmission line. The nature of the distribution contract needs to be particularly emphasized since the role of middle merchant as a intermediary will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as the with open of the power market and development of technology. 전자의 이동으로 발생하는 에너지의 한 형태인 전기는 조작의 편리성, 변환의 용이성 그리고 안정성이라는 특성으로 인하여 인류와 문화를 비약적으로 발전시켰다. 우리나라 경제에서 전력산업은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전력거래 자체에 대한 상거래법 차원의 논의는 그리 활발하게 진행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산업규모의 증가와 전력기술의 발전에 따른 분쟁에 대비하고 제도적 정비를 위해 전력거래의 법적 성격이 규명될 필요가 있다. 우선 전기는 저장이 불가능하고 송배전망을 통해서만 전달될 수 있는 등 일반적인 상품과는 구별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에 미국에서는 전기의 법적 성격에 대한 논란이 있다. 다만 민법에서 관리할 수 있는 자연력으로 전기를 물건으로 명시하였기 때문에 우리 법제상 전기가 상품임에는 큰 이견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전력거래는 계속적 계약, 그 중에서도 생활필수재화의 계속적 공급계약이라는 점 때문에 공급의무가 부과될 수 있다. 전기사업법은 발전사업자 및 전기판매사업자가 정당한 사유 없이 전기의 공급을 거부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한 전력거래는 상사계약으로서 계약자유의 원칙이 일반 민사계약보다 더욱 강하게 적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전력거래는 생존배려적 급부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계약자유의 원칙은 일정 부분 제한될 수 있다. 그리고 전기라는 상품을 목적물로 하는 매매계약으로서의 성격을 갖는다. 전력시장에서의 전력거래는 기계적인 입찰 및 정산절차에 가까우며, 전형적인 매매계약의 형태는 전력구매계약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전력구매계약이란 구매자와 판매자간 사전 합의된 기간과 가격으로 전기를 매매하는 계약으로서 계약기간, 전달지점, 전달시기, 전력량, 가격 등과 같은 상업조건들을 담고 있다. 마지막으로 전력거래는 전기라는 상품이 발전사업자로부터 송배전선로를 통해 소비자에게로 유통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유통계약의 하나로 볼 수 있다. 앞으로 전력시장의 개방과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전력거래의 매개자 역할을 하는 중간상인의 중요성이 증가할 것이므로 유통계약으로서의 성격이 특별히 강조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電力産業競爭力提高를 위한 構造改編方案

        유제민(Ryu Je Min) 서울대학교 공익산업법센터 2009 경제규제와 법 Vol.2 No.1

        전기는 국민생활과 산업활동에 필수불가결한 자원으로서 안정적 공급이 중요한 가치로 이해되어 왔다. 또한 기반산업으로서의‘규모의 경제’도 전력산업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였다 이러한 요소들로 인한 전력산업의 특성 중 대표적인 것이 발전ㆍ송전ㆍ배전ㆍ판매의 수직통합 및 공기업독점체제이다. 그러나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전력생산의 비용구조가 과거와는 달라졌고, 규모의 경제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효율성도 그 한계국면에 직면하였다. 또한 공기업의 방만경영에 대한 지적마저 대두되자 전력산업의 구조를 개편하여 이에 경쟁을 도입해야 한다는 논의가 지난 정권부터 설득력있게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전력산업의 구조개편의 핵심은 공기업의 민영화와 자유화를 통한 효율성의 증대인데, 이러한 효율성증대의 전제로서 구조개편의 첫 단계로 달성되어야 할 부분이 송전망의 분리이다. 즉 경쟁사업자들이 공정한 시장경쟁을 하기 위하여는 자유로운 망 접근이 동등하게 보장되어야 하기 때문에 발전, 배전 사업자와는 독립된 사업자에게 송전의 운영이 맡겨져야 한다. 나아가 이러한 송전망 분리의 중요성에 비추어 단순한 회계상의 분리가 아닌 법적ㆍ구조적 분리가 요구된다. 전력산업의 중요성으로 인하여 국가나 공기업으로부터 구조를 개편하여 이를 민영화 및 자유화함에 있어서는 필수적으로 뒤따라야 할 것이 국가의 통제수단으로서의 규제이다. 그 핵심규제내용으로는 독과점 사업자의 경쟁 저해행위 방지, 필수설비에 대한 비차별적 접근 보장, 전기요금 및 품질 보장, 안정적인 전기공급의무 등이다. 이러한 규제는 일반규제기관(공정거래위원회)과 전문 규제기관(전기위원회 등)에 의하여 이루어질 것인데 양 규제기관의 규제가 중복되는 내용이 많은 점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현재 양 규제기관을 관할과 권한을 조정해 줄기관이 없으므로 규제영역과 규제내용을 기준으로 일반 영역과 특수ㆍ전문영역으로 구분하여 규제권한을 통일적으로 조정해 주는 전기사업법상의 입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위와 같이 송전망 분리를 통하여 전력산업에 경쟁요소를 도입하고, 필요한 영역에 대한 규제가 간명하게 이루어진다면 안정적인 전력공급이라는 기존의 목표와 전력산업에의 효율성 제고라는 새로운 목표를 모두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or electricity is a essential element in people’s lives and industries, stability of electricity supply has been highly valued. Along with such need, the idea that economy of scale improves efficiency, has created two peculiarities in the electricity industry - which can be summarized as monopoly by public enterprises and vertical integration in the fields of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and sales of electricity. However,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has brought certain changes in electricity production process, the assertion that the efficiency made by economy of scale has now confronted with its limitations, and the constant criticism concerning complacent management by public enterprises have altogether raised the issue of structural reform in electricity industry which is consequently being discussed lively now in Korea especially from the previous regime. Since the essence of such a structural reform would be improvement of efficiency by privatization in electricity industry, electricity transmission business should be separated strictly from electricity generation and distribution business as a premise in order to achieve a fair market among privatized industries, and the separation must be achieved not only in financial sphere but also in legal and structural spheres. Moreover, regulation by the government is indispensable to leave electricity industry under necessary control, including matters related to fair trade, the right to access to basic infra, the quality, the supply price, and the stability of electricity supply. Since such regulations are expected to be conducted by some general commissions(ex. Fair Trade Commission) and by some specialized commissions(ex. electricity committee) simultaneously, certain legislations to coordinate the jurisdictions and authorities of the regulations would be essential in order to prevent conflicts.

      • KCI등재

        1910~1920년대 전력산업정책과 전력업계의 동향

        오진석 한국근현대사학회 2012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63 No.-

        This paper examines the electricity industry policy of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and the movement of companies in the electricity industry during the 1910’s and the 1920’s.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implemented the license system about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electric company and overall price of electricity by Jeongi Saeop Chuiche Gyuchik[electricity business regulation rule].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regulated the electricity industry by administrative guidance without the enactment of Joseon Jeongi Saeopryeong[Joseon Electric Business Act].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had guaranteed the local monopoly of electric companies by the principle that a single region is one electric company. The electric companies with the local monopoly earned high return during 1920’s thanks to rapid increase of demand of electric lamps and electric power. But general industrial capitalists expressed dissatisfaction over the electric companies for higher price of electricity, lack of electric facilities, frequent blackout and unkind service. They commenced the movement of reducement of overall price of electricity and municipalization movement.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must settle this conflict.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induced electric companies to reduce overall price of electricity, and guaranteed the local monopoly of electric companies. Ultimately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made plan of hydroelectric power plants for reducement of overall price of electricity. Against this backdrop,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needed to enact Joseon Jeongi Saeopryeong[Joseon Electric Business Act] and establish the electricity control policy. This paper examines the electricity industry policy of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and the movement of companies in the electricity industry during the 1910’s and the 1920’s.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implemented the license system about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electric company and overall price of electricity by Jeongi Saeop Chuiche Gyuchik[electricity business regulation rule].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regulated the electricity industry by administrative guidance without the enactment of Joseon Jeongi Saeopryeong[Joseon Electric Business Act].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had guaranteed the local monopoly of electric companies by the principle that a single region is one electric company. The electric companies with the local monopoly earned high return during 1920’s thanks to rapid increase of demand of electric lamps and electric power. But general industrial capitalists expressed dissatisfaction over the electric companies for higher price of electricity, lack of electric facilities, frequent blackout and unkind service. They commenced the movement of reducement of overall price of electricity and municipalization movement.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must settle this conflict.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induced electric companies to reduce overall price of electricity, and guaranteed the local monopoly of electric companies. Ultimately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made plan of hydroelectric power plants for reducement of overall price of electricity. Against this backdrop,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needed to enact Joseon Jeongi Saeopryeong[Joseon Electric Business Act] and establish the electricity control policy.

      • WILLINGNESS TO BUY GREEN ELECTRICITY: DO CONSUMERS RESPOND DIFFERENTLY?

        Yingkui Yang 글로벌지식마케팅경영학회 2016 Global Marketing Conference Vol.2016 No.7

        Deregulation of electricity market has brought new business opportunities for electricity suppliers. As of 2011, there are around 60 electricity retailers in the Danish market competing against each other (Yang, 2013). Thus, Danish households have the opportunities to choose different electricity services, green electricity services vs. the conventional brown electricity (generated from fossil fuels) service. However, statistics have indicated that the movement of electricity market deregulation has produced little effect on Danish consumers in terms of switching among suppliers or renegotiating an existing service contract (Yang, 2014). Unfortunately, evidences from the actual market show that the penetration of green electricity remains very low (Yang, 2013). This is bad, because Denmark’s long-term energy goal is to become a fossil fuel independent nation by 2050. The study divided a sample 1022 respondents into two nearly equal sized sub-samples chosen from an Internet Panel administrated by a commercial marketing research firm. One subsample received a positive frame version of the questionnaire regarding subscribing to a green electricity contract, and the other subsample received a negative frame version of the questionnaire. The selected sample reflects the Danish population structure in terms of the major socio-economic variables such as gender and age. Contingent valuation (CV) method was used to value the households’ willingness to subscribe a green electricity service contract (Alberini & Kahn, 2006). As expected, consumers displayed stronger intention to buy green electricity when the situation was framed in a positive maner (i.e., most Danish households have already bought it), as compared to the situation was framed in a negative manaer. The theoretical explaning can be formulated in terms of the theory of social norms. The framing effect also signals the public good side of green electricity in that there seems to be a free rider problem. The relatively low intention to buy green electricity in the negative frame manner (i.e., a few Danish household has bought green electricity) indicates that the free-rider incentive is particularly powerful in large group, where an indivudal may percived that her or his behavior will have only little influence on the collective outcome (Olsen, 1970). The results confimrs the finding from (Ek & So?derholm, 2008).

      • KCI등재

        전기절도의 구성요건에 관한 소고

        김동원 대한변호사협회 2017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68

        There are some issues about the corpus delicti of "theft of electricity" - who is the owner of electricity, who occupies electricity, what the taking away of electricity means and the intention of the theft of electricity. The owner of electricity is decided by the civil law. Therefore, the change of the owner requests two things – a legal act to change the owner and the transfer of electricity. The occupation of the electricity is determined not by who has the right to use the electricity or who can control the use of all electricity of certain place, but by who has the right to control the conduit that the electricity flows. Taking away of electricity could be conducted by using the electricity by connecting the electric appliance to the electric installation. Therefore, it could be treated as the theft of electricity to use electricity with no right. And the intention of the theft of electricity includes the intention to be an owner of the electricity, thus, the act to waste electricity could not be the theft of electricity. 이른바 전기절도의 구성요건에 관한 쟁점으로는 전기의 소유자, 전기의 점유자, 전기에 대한 취거의 의미, 전기절도에 있어서의 고의의 의미 등이 있다. 전기의 소유권은 형법상 별도의 소유권개념이 없는 이상 민법의 규정에 따라 전기에 대한 물권변동을 일으키는 법률행위의 존재 및 전기의 인도를 통하여 결정되고, 전기의 점유는 전기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의 보유 여부 내지 일정한 전기사용장소 전체에 대한 전기의 사용을 통제할 수 있는지 여부와는 별개로 구체적으로 공급되는 전기가 흐르고 있는 도선 등의 소유권 내지 그에 대한 사용․수익을 할 권한의 존부에 따라 결정된다. 전기에 대한 취거는 전기시설을 전기설비에 연결하는 방법 등을 통하여 전기를 사용하면 그로써 이루어진다고 본다면 족하고, 구체적인 전기사용장소 전체에 대하여 전기의 유입을 통제할 권한 등을 취득할 것을 요구할 필요는 없다고 볼 것이므로, 타인이 체결한 전기사용계약에 기하여 공급되는 전기를 권한 없이 사용한 경우에도 전기에 대한 취거가 인정될 수 있다. 나아가 전기절도의 고의는 불법영득의사를 포함하는 개념이므로, 단순히 전기를 소모시키는 행위는 전기에 대한 손괴죄를 구성할 뿐 절도죄를 구성하지는 않는다.

      • KCI등재

        기획논문 : 「전기」의 의미 변모와 근대적인 의의 -A.콩트의 3단계의 법칙 의 시점을 중심으로-

        장후천 ( Houquan Zhang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2015 언어사실과 관점 Vol.36 No.-

        메이지의 계몽사상가들은 문명개화에 적극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새로운 학술 사상을 표현하기 위해 수많은 개념을 한자어의 형태로 고안하였다. 새로운 한자어에는 「철학」이나 「심리학」, 「민주」 「과학」 등과 같은 추상개념의 단어가 많은데 「전기」와 같은 과학 기술의 용어도 포함되어 있다. 필자는 이렇게 새로 만들어진 한자어를 서양근대의 문명을 이식하는 프로세스에 착안하여 「근대 한자어」라 칭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근대」는 일본의 근대라는 의미가 아니라 「서양근대」의 의미이다.「근대 한자어」를 고찰함에 있어서, 주로 아래의 세 가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첫째는 단어 구성의 문제이며, 또 하나는 단어의 의미 형성과 변모의 문제이다. 나아가 일중한의 사이에서 차용의 사실이 있다면 차용 관계도 중요한 문제이다. 본론은 과학기술의 개념으로써 중요한 용어인 「전기」를 고찰한 것이다.「전기」에 대한 지금까지의 선행 연구에서는 「전기」가 ‘electricity’의 번역으로써 중국어로부터 일본에 전해졌다라는 설이 유력하였다. 그러나 몇 가지 문제점이 남는다. 하나는 「전기」가 일본에 전해지기 전에 그것에 해당하는 네덜란드어 역의 「월력」(에레키)과 같은 의미인 것처럼 여겨지고 있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당시의 「전기」가 과연 오늘날의 「전기」와 같은 의미의 용어였는가 하는 문제이다. 구와키 아야오(1935 : 4)는 「에레키테르 물어(物語)」에서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전기라는 말은 나중에 중국으로부터 도입된 것이다」라 말하고 있다. 야마다 다카오(1958 : 420)는 「한자 번역의 서책으로부터 들어왔다」고 분류하고 있다. 그 때문인지 필자가 2001년에 국어학회에서 발표했을 때에 「전기」를 일본의 근대 한자어로 분류하자 질문자로부터 「중국어라는 것이 정설이다」라고 지적 당하였다. 그러나 그 정설이 어떠한 기준으로 어떻게 정해졌는지는 꼭 명확하지만은 않다. 특히 「전기」와 같은 근대성을 지닌 과학 기술의 용어는 글자의 출현 순서만으로 판단할 것이 아니라, A.콩트의 지식의 「3단계의 법칙」이나 과학사의 척도로 판단할 필요가 있다.「전기」라는 말은 중국어에서 유래했다는 견해는 일찍부터 존재하여, 가와모토 고민(1857 : 3)은 「기해관란광의(氣海觀瀾廣義)」에서 네덜란드어인 「에레키테루」에 해당하는 단어를 「중국인이 최근 전기라 번역함」이라고 말하고 있다. 가와코토 고민(1857)이나 구와키 아야오(1935), 야마다 다카오(1958)의 「전기」 중국어 설에는 특별히 구체적인 중국어의 문헌은 거론되고있지 않다. 이에 반해 마츠이 도시히코(1983)는 「전기」라는 용어가 영국의 선교사 W. 뮤어헤드(William Muirhead 모유렴(慕維廉))의 「지리전지(地理全志)」(1853-54년) 속에서 확인되었다고 구체적인 문헌을 언급하여 명확히 지적하고 있다. 또한 야쓰미미 도시후미(1992 : 118)는 미국 선교사 맥고원(D.J.MacGowan)이 번역한 「박물통서」(1851년)에 대하여 상세히 논고하면서 「전기」라는 단어의 시작이 맥고원의 「박물통서」에 있었다고 말하였다.그러나 「박물통서」의 번역 예가 가장 빨랐다는 이유로 현대의 「전기」라는 용어가 중국어에서 유래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신빙성이 빈약하다고 여겨진다. 왜냐하면 당시 번역된 「전기」라는 말의 의미가 현대의 「전기」와 꼭 합치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박물통서」의 기술에서도 엿볼 수 있듯이 「마찰전기」「정전기」의 의미로써 사용하는 것도 있다. 이것은 제2차 산업혁명의 상징으로써 이해되고 있는 현대의 「전기」의 개념과는 거리가 먼 것이다. 또한 야쓰미미 도시후미(2007 : 93)는 「중국에서는 「전기」는 기(氣)가 아니기 때문에 「電(電)」 한 자로 사용되게 되었으나 일본에서는 여전히 「전기」가 사용되고 한국에서도 「전기」의 한글 표기가 사용되고 있다」고 기술하고 있어, 여기에서는 확실히 주장하고 있지는 않지만, 중국에서는 「전기」라는 용어가 그 후사용되지 않게 되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電氣”/전기」는 지금도 「“電氣化”/전기화」 「“電氣工程學”/전기공학」 「“電氣工程師”/전기 엔지니어」와 같이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용어이다. 한편 「전기」라는 용어가 중국어에서 유래했다는 주장과는 반대로 중국의 연구자 중에는 일본의 근대 한자어로써 인정하는 사람도 있다. 예를 들면 언어학자인 왕리(王力1980 : 526)는 「「電」이 접두어로 되어 있는 복합어는 모두 일본어에서 유래한다」고 기술하였다. 최근 장후천(張厚泉 2006 : 58)은 「박물통서」(1851년)를 언급하며 이 책이 아마도 가장 일찍 「전기」를 사용한 중국어 문헌이며 전기는 「전」과 「기」의 복합어로 「기」는 중국 고대 철학의 개념이라 지적하고, 유선전보의 순간적인 통신기능이 「전기」의 형성을 촉진했다고 밝혔다. 중국어의 「전기」가 일본어에 들어오기 전에 네덜란드어인 ‘Elektriciteit’의 일본어 역인 「에레키데리세이리테이」 「에레키(越歷)」에는 이미 「기(器)」의의미가 있었다. 고토 리슌은 「홍모담(네덜란드 이야기)」 (하권) (1765년)에서네덜란드어인 「Elektriciteit/에레키데리세이리테이」를 「모든 고통 있는 병자의 아픈 곳에서 불을 취하는 기구」. 「에레키테리」란, 「이 도구를 연구하여성취했을 때의 사람의 이름을 지금은 이 도구의 이름으로 한다」고 기술하고있다. 또한 모리시마(가쓰라가와) 추료도 「홍모잡어 「5권」」(1787년)에서 「이기구는 먼 서양의 사람, 전광의 이치를 추구하여 처음 만들어낸 완기翫器(장난감) 중 더욱 희귀한 물건」이라 기록하여, 「기(器) (의료기구)」 「완기(장난감)」로 인식하고 있었다. 상기 2개의 문헌은 사이토 세이(1967) 「일본어에 미친 네덜란드어의 영향」이나 스기모토 쓰토무(1995) 「에도의 번역가들」등 에서 거론되고 있다. 「불을 취하는 기구」 「여러 종류의 에레키테루를 새로만들었다」 「완기 중 더욱 희귀한 물건」이라 기록되어 있는 점으로 미루어 난학자들은 네덜란드어 ‘Elektriciteit’를 모두 「기(氣)」가 아닌 「기(器)」로써 인식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에레키테루는 그 후 오오츠키 겐타쿠의 문하생인 하시모토 소키치(담재曇齋)의 「阿蘭陀(오란다) 에레키테루 구리원(究理原)」(1811년)에서 「호박(琥珀) 」 「호백(虎魄)」의 의미라고 설명되어 있다. 또한 같은 책 「천기기제조병명의(天氣器製造倂名義)의 변(弁)」에서는 천기기(天氣器)로도 번역되고 있다. 그러나 하시모토 소키치가 「전(電)」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구리원(상권)」의 목록에는 「플라스크의 물로 사람을 몹시 놀라게 하는 도설(圖說) 및 전(電)을 나타내는 그림」과 같이 「전(電)」을 사용한 흔적을 확인할 수있다. 한편, 「전기」라는 자연과학의 용어는 20세기의 초반까지, 예를 들어 엄복(嚴復)과 같은 중국의 계몽사상가에게 있어서도 사용하는데 상당한 저항이 있었던 용어였다. 엄복 이전, 외교관인 곽호도(郭蒿燾 1905 :29)는 「윤기여파려일기(倫敦與巴黎日記)」에서 영국의 발전소를 견학한 내용을 「모든 전기는 석탄 속에서 나온다」라고 적고 있다. 곽호도는 1876년 12월에 영국에 부임하여 이듬해 2월부터 일본 공사 우에노 가게노리나 이노우에 가오루 등과 빈번히 교류하여, 1878년 1월에 우에노 가게노리로부터 「동경개성학교 일람(東京開成學校一覽)」이 도착하여 설명을 받았다는 사실을 일기에 적고 있다. 「동경개성학교일람」에는 「왈대기중전기(曰大氣中電氣)」 등 39과목의 학과 명이 거론되고 있다. 엄복과 대조적으로 곽호도의 일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기」는 우에노 등 일본의 외교관으로부터 받은 영향이라고 단언은 할 수 없지만, 그럴가능성은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동경개성학교란 말할 것도 없이 도쿄대학의 전신으로, 1874년에 설치된 법학·화학·공학의 3과로 구성된 근대적인 학교이다. 동경개성학교의 과목에서는 「전기」는 확인할 수 없으나 메이지9 (1876)년 「동경개성학교 일람」「제10장」 「제2조」에는 「전기학용의 모든 기기 중 귀중한 것은 람스덴씨 플레이트 대전기기(大電機器), ···」 (p.27), 「제2년 물리학 전기유동론」 (p.47), 「제1 보통과」에 「대기 중의 전기」 (p. 59)라는 기술이 있는 점으로 미루어,곽호도의 일기 내용에 대한 신빙성은 매우 높다. 부언하자면, 「제1년 초보물리학」에는 아직 「정월력학, 동월력학」의 용어가 사용되었다.「전기」에 대해서는 서주(1870 : 58)도 「백학련환(百學連環)」 「총론」에서 프랑스의 철학자 A.콩트의 지식의 「3단계의 법칙」을 응용하여 「천둥(雷) 」과 「전기」의 관계에 대해서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다. 서주는 「천둥(雷)」에서 「전기」로 변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였는데, 「주공(周公)의 역리(易理)」나 「음양의 다툼」이라는 개념으로 해석했던 「전기」를 제2단계인 형이상학적개념으로 설명한 것은 분명하다. 이는 가와모토 고민 등의 난학자가 접촉했던 중국에서 전해진 한자역의 「전기」였다. A.콩트는 인간의 지적 발전은 신학적·형이상학적·실증적이라는 세 개의 「stage」 = 「장」(단계, 상태)를 거침으로써 완성된다고 주장한다. 이 점으로 미루어 A. 콩트의 지식의 「3단계의 법칙」으로 서로 다른 시기의 「전기」의 의미가 제2단계 혹은 제3단계에 있는 지를 검증하는 것은 이 학문의 중요한 과제라는 것을 주장하고 싶다. 이 법칙에 따라서 과학기술 용어의 의미를 정의한다면, 근대 한자어는 당연히 서양 근대 문명의 의미를 포함해야만 한다. 다시 말해, 현대의 「전기」라는 한자어는 A. 콩트가 주장하는 제3단계에 있는 말이며, 과학사의 시점에서 본다면 산업혁명의 의미를 반영하고 있다고 규정하지 않을 수 없다. 제2차 산업혁명(전기·석유)의 통설은 나라에 따라 다소 다르지만, 19세기 후반이라는 것은 거의 일치한다. 즉, 전화기·축음기(1877), 전구(1879), 발전기(1880)가 발명된 후의 개념이라는 말이다. 상기의 고찰 결과 「전기」는 일본의 「월력(에레키)」과 「기구」나 「기계장치 」로써 난학에서 출발하였으나, 중국의 한역 양서는 보다 빨리「Electricity 전기」의 본질을 밝혀냈다는 점이 확실하다. 그 때문에 중국어의 한역 양서에서 음양론이나 오행설 등으로 설명하여 번역한 「전기」를 받아들인 시점에서 이미 중국어의 「전기」와 일본어의 「월력(에레키)」에는 그 의미영역이 상이했었다. 그 후 지식의 제2단계에 있는 중국어의 「전기」를 차용하여 「에레키 」 대신 사용했는데, 그 다음에 제3단계의 「전기」가 외교관을 통해서 중국으로 역수출되었다고 여겨진다. 물론 「근대 한자어」에 대한 문헌을 세밀히 조사하여 중국어인지 일본어인지를 묻는 대조연구가 필요하지만, 「근대한자어」에 대하여 그 말의 당시 의미용법이 현재와 같은지 어떤지를 명확히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덧붙여 말하자면 그 용어의 사용이 일본과 중국, 한국의 근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탐구하는 것이 바로 「근대 한자어」 연구의 의의라 하겠다. Enlightenment thinkers of the Meiji Period devised a number of concepts using Chinese words in order to fully influence the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and to express the new academic ideas. The new Chinese words often included the words of abstract concepts such as “Philosophy”, “Psychology”, “Democracy”, and “Science” and also included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such as “Electricity.” These newly devised Chinese words were called the “Modern Chinese Words” in this study, referring to the process of implanting the modern Western civilization. Here, the term “Modern” means “Modern Western” instead of “Modern Japanese.” There three basic problems relating to the examination of the "Modern Chinese.” They are the problem of the word structure, and the formation and the change of the word’s meaning. In addition, if there were borrowings of words between Japan, China, and Korea, the borrowing relationship becomes another important problem. This study focused on “Electricity”, an important term representing the concept of science and technology. For “electricity”, there is an established theory that “electricity” was transmitted to Japan from the Chinese as a translation of electricity. Still, however, there are few problems. One is that "electric" is regarded to have the same meaning as “Ereki”, the Dutch translation that corresponds to “electricity” before “electricity” was introduced to Japan. Another one is the problem of whether “electricity” at the time meant the “electricity” today. Ayao Kuwaki (1935: 4) argues in "Erekiteru Story" that “As you are well aware of, the term ‘electricity’ was introduced from China later.” Takao Yamada (1958: 420) classified the term to have been “introduced through Western books translated into Chinese.” For this, when I had a presentation at the Society of Japanese Linguistics in 2001 where I classified “electricity” as the modern Chinese word of Japan, I was rectified by the questioner, “It has been established that it is Chinese.”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clear how it became established by which criteria. Particularly for the scientific and technical terms that reflect modernity such as “electricity”,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Three Stages Law” of A. Comte or the criteria of science history rather than determining it only by the order of textual appearance. The view that the term, “electricity”, was derived from Chinese existed for a long time; Koumin Kawamoto (1857: 3) indicated in “Kikai Kanran Kougi” that the Chinese translated the word that corresponds to the Dutch word, “Erekiteru”, as “electricity” recently. The theory of “electricity” coming from Chinese by Koumin Kawamoto (1857) or Ayao Kuwaki (1935), and Takao Yamada (1958) does not mention specific Chinese literature. On the contrary, Toshihiko Matsui (1983) clearly indicates that the term "electricity" was found in the “Universal Geography (1853~54)” by the English missionary, William Muirhead by indicating the specific literature. In addition, Yatsumimi Toshifumi (1992: 118)discussed “Hakubutsu Tsusho (1851)” translated by the American missionary, D.J. MacGowan in detail and argued that the origin of the word "electricity" is the “Hakubutsu Tsusho” by MacGowan. However, the argument that the modern term of the “electricity” was originated from China solely based on the fact that the translation of “Hakubutsu Tsusho” was dated the earliest somewhat lacks credibility, because the meaning of the word translated into “electricity” at the time does not necessarily square with the meaning of modern day “electricity.” As it was suggested in the description of “Hakubutsu Tsusho”, the term was also used to indicate "frictional electricity" or "electrostatic.” This is far from the concept of modern “electricity” which is understood as a symbol of the Second Industrial Revolution. Yatsumimi Toshifumi (2007: 93) also argued that, China uses “電(電)” as “electricity” is not “氣” whereas Japan still uses “電氣” and Korea also uses the Hangeul notation for “electricity.” Although he did not clearly argued here,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term, “電氣” had not been used in China since then. However, “電氣/ electricity” has been widely used in the form of “電氣化 (Electrify)”, “電氣工程學 (Electric Engineering)”, and “電氣工 程師 (Electric Engineer).” Contrary to the argument that the term “electricity” was derived from the Chinese, some Chinese researchers recognize it as the modern Chinese word of Japan. For example, Li Wong (1980: 526) said all compound words prefixed by “電” were originated from the Japanese.” Recently, Houquan Zhang (2006: 58) said "Hakubutsu Tsusho" (the 1851) is perhaps the earliest Chinese literature that used the term “electricity” and argued that “電氣 (electricity)” is the compound word of “電 (thunder)” and “氣 (energy)” where “氣 (energy)” reflects the concept of ancient Chines philosophy and that the instant communication of wired telegram accelerated the formation of the word, “electricity.” “Ereki” and “Erekideriseiritei”, the Japanese transliteration of the Dutch word, ‘Elektriciteit’ already had the meaning of “器 (device)” before the Chinese word “電氣 (electricity)” was transmitted to Japan. Rishun Goto described “Elektriciteit” as the “device which takes fire from the pain of all suffering patients” and “Erekiteri” is the “name of the person who developed this device and the name is now used to indicate the device” in “Dutch Tale” (Vol. 2) (1765). Churo Morishima also recorded in “Komo Zatsuwa (Vol. 5)” (1787), “This is a rarer object among the toys that Western people built for the first time using the principle of electric lightning”, regarding it as a “device (medical equipment)” or toy. The two literatures above were mentioned in “Dutch Influence on Japanese Language” by Sei Saito (1967) or “Translators of Edo” by Tsutomu Sugimoto (1995). The fact that it was recorded as the “device to take fire”, “~ made a variety of types of Erekiteru ~”, and “a rarer object among the toys~”, shows that the scholars of Dutch studies have regarded the Dutch word, “Elektriciteit”, as “器 (device)” instead of “電氣 (electricity).” Later, Erekiteru was described to be “amber” in “Oranda Erekiteru Kumoritoki (1811)” by Soukichi Hashimoto, a pupil of Gentaku Otsuki. Also, is also translated as weather instrument (Erekiteru) in “天氣器製造倂名義” of the same book. However, It does not mean Soukichi Hashimoto did not use the term “electric.” The list of “Kumoritoki (Vol. 1)” shows the trace of using “電” in the “Diagram or figure that makes people greatly surprisesd with the water in the flask” in its list. On the other hand, the natural science terms called “electricity” was a term that faced considerable resistance in its use even for Chinese enlightenment thinkers such as Fu Yan until the beginning of the 20thcentury. Songtao Guo (1905: 29), a diplomat before Fu Yan, described that “all electricity comes from coal” his report on the visit to a power generation plant in England in <London and Paris Diary> dated September 12, 1877. Songtao Guo arrived in England in December 1876 and frequently exchanged with Japanese consul Kagenori Ueno and Kaoru Inoue from February of the following year and he wrote in his diary that he received “Tokyo Kaisei School List” as a gift from Kagenori Ueno with explanation in January 1878. The “Tokyo Kaisei School List” mentions the names of 39 subjects including “Atmospheric Electricity.” In contrast to Fu Yan, it is possible that the “electricity” used in Songtao Guo’s diary could have been influenced by Japanese diplomats such as Ueno although it cannot be affirmed as so. Needless to say, Tokyo Kaisei School established in 1874 is the predecessor of the University of Tokyo, and is a modern school which was composed of three departments including law, chemistry, and engineering. Although it was unable to find “electricity” in the curriculum offered by Tokyo Kaisei School, the credibility of the contents of Songtao Guo’s diary is quite high considering the descriptions such as “The most precious one of all machines for electrical science is Mr. Ramsden’s large electric machine called ‘Plate’ … (p. 27)”, “Second Year Physics - Electrical Flow Theory” (p. 47), and “Electricity in Atmosphere” in “1. General” (p. 59) in Article 2 of Chapter 10 of the <Tokyo Kaisei School List> written in Meiji 9 (1876). In addition, the <First Year Elementary Physics> used terms like “Static Ereki (Electricity) Science, Dynamic Ereki (Electricity) Science.” For “electricity”, Amane Nishi (1870: 58) also expl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under and “electricity” in a simple manner using the “Three Stages Law” of A. Comte., the French philosopher in the “Introduction” of the <Encyclopedia>. Amane Nishi has been described the process of change from the “thunder” to “electricity”, and it is clear that he explained “electricity” as a metaphysical concept in the second stage while it had been interpreted as the concept of “Zhougong’s Logic of Change” or the “Struggle between Yin and Yang.” This was clearly the “electricity” imported from Chinese translation that the scholars of Dutch studies such as Koumin Kawamoto contacted. A. Comte stated that human intellectual development is completed as it passes through three “stages” = “places” (steps, states) such as theological, metaphysical, and empirical stages. Therefore, I wish to argue that verifying whether the meaning of “electric” in different times is in the second or third stage based on the “Three Stages Law” of knowledge by A. Comte. is an important issue of this study. If you define the meaning of the science and technology terms in accordance with this law, the modern Chinese words must naturally include the meaning of modern Western civilization. In other words, “electricity” as a modern Chinese word is the word in the third stage insisted by A. Comte. and has to be considered that it reflects the meaning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science. Although the common view of the second industrial revolution (electricity and petroleum) is somewhat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untry, they all agree that it took place in the late 19th century. In other words, it is the word of the concept that came after the invention of telephone and phonograph (1877), light bulb (1879), and generator (1880). According to the discussion above, it is clear that China``s translation of Western books identified the essence of the "electricity" earlier while Japan started to understand “Ereki” as a “device” or “mechanical device” from Dutch studies. For that, the meaning of “electricity” in Chinese and that of “Ereki” in Japanese already had different area of meaning at the time China acknowledged “electricity” as it was described with the Yin-Yang theory or the Five Elements theory in Western books translated into Chinese. Later, Japan borrowed “electricity” in Chinese in the second stage of knowledge and used it instead of “Ereki” and it is conceivable that “electricity” in the third stage of knowledge could be exported back to China through diplomats. A controlled study inquiring whether a word is Chinese or Japanese by thoroughly reviewing the literatures on “Modern Chinese” is of course necessary; however, clarifying whether the meaning and usage of the word at the time were the same as the current meaning and usage of the word is all the more important. In other words, exploring how the use of the word influenced the modernization of Japan, China, and Korea is the very purpose of studying “Modern Chinese Words.”

      • KCI등재

        지역별 차등 전기요금제 적용을 위한 공간 단위 검토: 시‧군‧구별 전력 자급률을 기준으로

        이정섭,이강원 한국경제지리학회 2023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26 No.2

        Recently, there has been a lot of discussion about the regional pricing of electricity and electricity self-sufficiency. In Korea, power generation facilities are highly ubiquitous and there is an imbalance between electricity production and consumption regions. So it is proposed to charge different price by region, instead of the current nationwide uniform price, and the regional electricity self-sufficiency rate is proposed as a criterion for identifying electricity production and consumption regions. However, many discussions set the spatial unit for measuring electricity self-sufficiency by 17 Si · Do, which needs to be analyzed for its appropriatenes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lectricity self-sufficiency rate using 17 provinces and 229 Si·Gun·Gu as the spatial uni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are 7 and 10 electricity producing and consuming regions at Si · Do level, but 38 and 191 at Si · Gun · Gu level. In addition, although the electricity self-sufficiency rate measurement has the advantage of identifying electricity production and consumption areas in a simple and intuitive way, we points out that it has some problems with the criteria for regional pricing of electricity. 최근 지역별 차등 전기요금제 도입과 전력 자급률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발전 시설의 편재성이 상당히 높고 전기 생산과 소비지역 간 불균형이 존재하기에 현행 전국 동일 전기요금제를 대신해서 지역별로 다른 요금을 부과하자는 것이며, 전기 생산과 소비지역을 구분‧식별하는 기준으로서 지역별 전력 자급률이 제시되고 있다. 그런데 상당수 논의에서 전력 자급률을 측정하는 공간 단위를 17개 시‧도 지역으로 설정하고 있는데, 그 적절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전력 자급률을 17개 시‧도 그리 고 229개 시‧군‧구를 공간 단위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시.도 단위에서는 전기 생산량이 소비량보다 많은 지역이 7곳, 그 반대가 10곳이지만 시‧군‧구 단위에서는 각각 38곳과 191곳이었다. 아울러 전력 자급률 측정은 간단하고 직관적으로 전기 생산과 소비지역을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전기요금의 지역 차등의 기준으로는 몇몇 문제가 있음을 지적한다.

      • KCI등재

        우리나라 전력시장의 효율성과 안정성 - 해외 전력시장 경험의 교훈

        안현효(Hyeon-Hyo Ahn) 한국경제발전학회 2007 經濟發展硏究 Vol.13 No.2

          본 논문은 전력시장 구조개편(1998~2004)의 산물인 전력시장을 평가함으로써 한국의 전력산업구조개편의 교훈을 도출하고자 한다.<BR>  현재 전력거래소에서 관리하는 원가반영시장(CBP: 2001~)은 양방향 입찰시장(TWBP) 이전의 임시방편적인 시장이었다. 하지만 전력시장구조개편이 중단된 현재 CBP 시장은 발전부문에 지나친 초과이윤이 지불되는 문제와 과잉설비투자의 위험을 가지고 있어 전력거래소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단일 SMP 제도를 추진하고 있다.<BR>  본 논문은 다양한 해외의 전력구조개편 실험을 살펴봄으로써 현재 우리나라 전력시장에서 나타나고 있는 문제가 전력시장의 설계 오류가 아니라, 전력시장의 아이디어 자체의 문제라는 교훈을 이끌어 내고자 한다. 이에 의하면 전력시장이 초래하리라고 기대된 전력산업의 경쟁력 강화라는 목표는 정보의 비대칭성, 전력시장에서의 시장지배력, 전력거래의 조정실패의 문제 등으로 인한 시장실패 때문에 달성하기 어려운 과제가 되었다. 이는 전력이라는 서비스가 수요와 공급이 매우 비탄력적이라는 특수한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전력은 생산 후 송ㆍ배전망을 통해서 소비자에게 전달되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계통안정성의 문제가 나타난다.<BR>  본 연구는 효율성과 안정성의 측면에서 볼 때, 전력시장은 전력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이를 통한 가격의 하락 등 초기의 약속을 달성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리고 전력시장에 대한 보다 근본적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This article offers insights regarding the implications of reform in the electric power industry in Korea since 1999 based on detailed analysis of the Korean electric power market. Korea Power Exchange(KPX) is responsible for the wholesale electricity trade(Market Operation: MO), called Cost-based Pool (CBP), as well as system operation(SO) of transmission process of electricity. In order to keep the retail price at a reasonable level, Korean government and KPX have operated dual marginal price system called Base-Load Marginal Price(BLMP) and System Marginal Price(SMP).<BR>  However CBP market, after the termination of electricity restructuring reform, shows some drawbacks such as the risk of overinvestment for generation sector owing to the malfunction of CBP market inducing more revenues into generation sector from distribution sector.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PX tries to introduce single SMP system. This proposal, however, conceals single SMP is not workable because it causes the inflation of electricity price.<BR>  By examining the experience of electricity markets in other countries, this article raises the fundamental question whether the electricity market has fundamental weakness owing to the uniqueness of electricity itself or not. This article summarizes the problems of electricity market as market failure owing to market power, asymmetries of information and transaction cost from vertical dis-integration. This experience shows it appears as an unfulfilled promise that efficiency and price decline will be obtained through the electricity market.<BR>  Furthermore, electricity market must guarantee transmission reliability too. The market operation in this sector necessarily increases the electricity trade from one region to another, which can increase the burden at the transmission line.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market operation and system operation of transmission demands the critical reevaluation of electricity market including supply stability as well as efficiency of resource allocation. Since the restructuring the electricity industry, the frequent blackouts have been closely related to the market operation.<BR>  After close reexamination of the electricity market experience of different countries, this article concludes the fundamental reexamination of the market is necessary and must be, instead of further development of electricity market.

      • KCI등재

        신·재생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전기소매사업자에 대한 법적과제

        이현정(Lee, Hyun-Jeong),김하나(Kim, Ha-Na)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7 환경법과 정책 Vol.18 No.-

        2015년 12월 채택된 파리협정이 2016년 11월 4일 공식 발효됨으로써 우리나라는 UN기후변화 사무국에 제출한 자발적 국가결정기여(INDC: Intended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를 이행하기 위해 노력할 의무를 지게 되었다. 특히 파리협정의 내용에는 교토의정서상 규정된 범위인 온실가스 감축만이 아니라 적응, 재원, 기술이전, 역량배양, 투명성 등을 포괄하고 있어 파리협정의 모든 당사국은 이를 위해 노력할 의무를 지게 된다. 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에너지, 산업공정, 농업, 폐기물 등 경제전반에서 온실가스 배출전망치 대비 37%를 감축한다는 목표를 설정하였고 구체적인 수치로는 국내시장 25.7%, 해외 탄소시장 11.3%를 포함한 것이다. 이에 우리나라도 신재생에너지의 확대를 위해 전력시장의 진입규제를 대폭 완화시켜 사실상 전력소매시장이 일부 개방되어 일반인이 스스로 생산한 전기를 일정지역 내에서 판매할 수 있게 되었다. 기존은 생산한 전력은 한국전력이나 전력거래소에서만 판매할 수 있었기 때문에 적은 자원을 판매하는 데에도 전력거래소의 회원가입, 한국전력과의 계약 등의 절차가 필요하고 이에 따른 비용이 소요되어 불필요한 규제로 인식되어 왔다. 이를 위해 전력거래지침과 전기사업법을 개정하여 이를 통해 전기차 충전사업자 및 에너지저장장치 등의 에너지 신기술을 이용한 충전사업도 전기판매사업에 해당하게 되었다. 그러나 한편으로 전력소매시장을 개방해 일정 구역의 소규모 분산전원을 자금력을 가진 소수의 사업자가 독점하게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지적도 있어 전기요금의 무분별한 인상과 공급계약에 관련된 법적 문제점에 대해서도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소규모 태양광발전소 운영자와의 신축주택에 따른 일조방해로 발전량 손실과 관련해 손해배상결정도 있어 향후 소규모 신재생에너지 생산자가 증가할 경우 이에 따른 분쟁도 증가될 우려가 있어 기본적인 가이드라인이 제시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보다 앞서 소매전력시장을 전면 개방한 일본의 전력시스템 개혁의 개요 및 계약유형 등을 살펴본 후 신재생에너지를 비롯한 소규모 전기사업자를 일반인이 선택해 공급계약을 체결과 관련된 법적과제를 검토한다. At the New Year meeting with top officials,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nnounced to relieve the regulations that control the entry to electricity market in order to foster new energy industries as one of measures for ‘creating new engines for economic growth.’ Retail electricity market becomes partly open, and consumers can also sell electricity to other consumers within a certain area. The Electric Power Exchange Guidelines and the Electric Utility Act will be revised, which will allow electric vehicle chargers and energy storage systems to resell electricity to the power market. To implement the deregulation of the electricity market, the Guideline for Exchange of the Small-scale New and Renewable Power was recently revised on February 29. Even with the exchange of a small amount of electricity, several processes such as the membership application to Korea Power Exchange and the contract with the Korea Power Electric Corporate (KEPCO) are required. The deregulation aims at fostering the relevant industries by reducing the increased costs for industries to comply with requirements. The generation sector detached from the vertically-integrated monopoly KEPCO due to the electric sector reform in 2001, and the KEPCO has been in charge of transmission, distribution and sales of electricity. Generation and investment in power plants are determined through competition among six KEPCO subsidiaries and privatized generation companies including energy subsidiaries of conglomerates (SK, GS, Posco, etc.) and small and medium-scale energy companies. Based on these circumstances, as this deregulation allows the participation of other entities to the electricity market, the changes in electric service industries and the accelerated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and new industries are expected. Also, as electricity consumers’ options diversify, the existing patterns of electricity consumption are likely to change. The creation of new businesses can be expected through competition of the provided services. However, the legal issues related to electricity supply contract and a thoughtless rise in electric rates need to be discussed since it is warned that few operators with enough funds could monopolize small-scale distributed power within a certain area. Recently, compensation for the decreased electricity generation from small-scale solar panels due to a new building was determined. Therefore, the relevant guidelines need to be established to appropriately respond to these disputes.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legal recommendations for the retail electricity market opening, by examining the relevant judicial affairs in Japan where the retail electricity market has completely opened on April 1, 2016, and electricity consumers can choose and make a supply contract with an electric utility. A person or a prosumer can make a contract with electricity utilities to sell the generated electricity. Like the precedents observed in Japan, people are likely rather consign the trade to the commissioned traders. We also need to include the commissioned traders into ‘electricity sellers’ of our laws and respond to these changes by revising the relevant laws and guidelines. Prosumers’ contributions to the environment will be expanded according to increased exchanges of small-scale new and renewable power. However, as mentioned earlier, the relevant guidelines are required, focusing on legal systems and protection of electricity consumers to foster the compliance capacity for the stable power supply and stimulate prosumers.

      • KCI등재

        전기절도와 점유침해

        권오걸(Kwon Oh Geol)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법학연구 Vol.53 No.4

        본 논문은 전기에 대한 절도죄의 성립과 관련하여 절도의 의미는 무엇인가를 검토한 것이다. 즉 전기에 대한 점유의 의미와 그 점유의 침해는 일반적인 재물의 점유와 점유의 침해와 같은 모습을 가지는 것인가라는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절도죄의 객체는 타인이 점유하고 있는 재물이다. 형법은 관리 할 수 있는 동력은 재물로 간주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형법 제346조), 동력에 전기가 포함된다는 것이 통설과 판례의 태도이다. 그러므로 타인이 점유하고 있는 전기를 점유자의 동의 없이 침탈하는 경우에는 전기절도죄가 성립한다. 전기는 맛, 색깔, 빛깔이 없는 무형의 에너지로서 생산과 동시 소비된다. 전기나 전파 등과 같은 경우에는 눈에 보이지 않고, 고정된 것이 아니라 계속적으로 이동하는 에너지이기 때문에 일반 재물처럼 점유의 취득이 될 수 없다. 전기의 특성에 기초해 볼 때 전기에 대한 공급과 차단의 권능을 가지는 것이 사실상 전기에 대한 점유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에 대한 절도죄 즉 전기에 대한 점유의 침해 역시 타인이 가지고 있는 전기에 대한 공급과 차단의 가능성을 침해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전기에 대한 공급과 차단의 가능성을 침해하지 않는 경우에는 비록 타인의 전기를 사용하였다고 하더라도 전기에 대한 절도가 아니라 전기에 대한 불법사용에 따른 민사배상의 문제로 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A Theft is accomplished by stealing goods that another person is possessing. Therefore the object of theft is goods that another person kakes the possession to the goods. The possession at the Theft has meaning of the object as well as the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law. According to the Korean Supreme Court Decision(2008Do3252) and common view recognize Electricity as the object to the Theft. But I think the possession and disseisin to the Electricity kept distinct from the possession and disseisin to the general goods. That is in the Theft to the Electricity, authority to supply and shut off the Electricity is the possession of the Electricity. And the meaning of the disseisin to the Electricity also is the infringement of the authority to supply and shut off the Electricity. Therefore at the subject-decision although accused used the Electricity supplied in the apartment without agreement of the management office of the Apartment, Authority to supply and shut off the Electricity still was under the dominion of the management office of the Apartment during the using Electricity by the accused. Consequently accused’s action was not the disseisin to the Electricity. Finally accused’s action does not amount to the Theft, but just correspond to the obligation of the civil compens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