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지적 영역의 교육목표분류학 비교

        김옥남 안암교육학회 2006 한국교육학연구 Vol.12 No.2

        The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has been continuously developed and recently D. R. Krathwohl who was a co-writer of Bloom's original taxonomy published the revised book with L. W. Anderson. So This study purpos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educational taxonomy studies by comparing and analysing Bloom's original taxonomy with the recent alternatives, and in this study all four taxonomies - Bloom et al(1956), Hauenstein(1998), Marzano(2001), Anderson & Krathwohl(2001) were examined. Three alternatives raise commonly two points of Bloom et al.'s taxonomy, which are irrelevance of 'knowledge' category and hierarchical relation of 'analysis', 'synthesis' and 'evaluation'. In which, Hauenstein(1998) propose 'conceptualization' instead of 'knowledge' and put 'synthesis' after 'evaluation', and Marzano(2001), Anderson & Krathwohl(2001) propose 'knowledge dimension', and Marzano exclude 'evaluation' category, and Anderson & Krathwohl(2001) establish 'create' as the highest level. The result of comparing, it was reasonable and suggested that a alternative having two dimension structure is more proper rather than others. And It is worth to consider interchanging the place of 'synthesis' or 'create' with 'evaluate', and including meta-cognition as the major-category or sub-category of objectives. And the directions of educational taxonomy study are these,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taxonomy and difference of cognitive objectives in school level. They can be answering by educational taxonomy, so taxonomy studies must refine educational taxonomy. 본 연구의 목적은 이와 같이 인지적 영역에서, Bloom 등의 분류학에 대한 세 가지 대안적 분류학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목표분류학의 의의와 연구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Bloom 등의 분류학을 살펴본 후 그 대안으로 제시된 Hauenstein(1998), Marzano(2001), Anderson과 Krathwohl(2001)의 분류학을 비교하고 논하였다 세 가지 대안적 분류학은 Bloom 등의 분류학에 대한 두 가지 공통된 문제제기를 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지식’ 범주의 부적절성을 지적하면서, 이에 대한 대안으로 Hauenstein은 ‘개념화’라는 범주를 제안하여 ‘지식’과 ‘지적 능력 및 기능’이 아닌 ‘지적 능력 및 기능’으로 목표들의 성격을 단일화하여 위계성을 도모하였다. 이에 비하여 Marzano와 Anderson과 Krathwohl은 별도의 차원으로 분리시켰다. 둘째, ‘분석’, ‘종합’, ‘평가’의 관계 설정에 관한 것으로, Hauenstein은 ‘분석’을 ‘평가’의 하위 유목으로 포함되게 하고 ‘평가’보다 ‘종합’을 더 수준높은 목표로 설정하였다. Marzano는 ‘분석’에 ‘평가’적 요소가 포함되는 것으로 보고 ‘평가’를 범주에서 제외하였다. Anderson과 Krathwohl 역시 ‘창안하다’를 최상위 수준의 목표로 하고 있다. 본고에서 Bloom 등의 분류학과 그 대안적 분류학들을 살펴보면서 앞으로 교육목표분류학에 대해 다음과 같은 질문을 제기하게 되었다. 분류학으로서의 체계성과 복잡성을 가진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어떤 요소들을 가져야만 분류학이라고 할 수 있는가? 또한 우리 교육에서, 각 학교급별로 추구해야 하는 인지적 목표가 같은지, 실제로 그러한 목표를 달성하고 있는지 등에 대한 답을 찾는 데에 중요한 틀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앞으로 분류학으로서의 체계를 보다 정교화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인지이론이 미술교육목표분류학 설계에 주는 시사점 탐구

        김동욱 한국미술교육학회 2019 美術敎育論叢 Vol.3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cognitive theories on developing a new taxonomic system of art educational objectives. For this purpose,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education and the flow of cognitive researches since the 1960s has been examined, and the existing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was examined based on cognitive theories. The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of the 1960s revealed the cognitive nature of perception, and provided the basis of art education as visual education. And the symbolic system theory of the 1970s and 1980s revealed the cognitive nature of art as literacy education in terms of symbol processing and interpretation. Since the 1990s, the embodied cognitive theory has provided a theoretical basis for expanded cognition in art education by including sense, behavior, and external environment into cognition. On the other hand, Bloom's taxonomy, as the standard of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Anderson and Krathwohl's taxonomy which modified Bloomʼs one, both deal with only propositional knowledge and thinking, so there is a limit to exclude the art educational elements such as intuition and emotion. Meanwhile, Wilson 's taxonomy of art educational assessment does not cover the diversity of contemporary art education due to the formalism in modern art and the nature of academic department center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system of taxonomy of art educational objectives which improves the problems of existing taxonomy from the perspectives of cognition. 본 연구에서는 인지에 기초한 새로운 미술교육목표분류학을 개발한다는 목표아래 인지이론이 새로운 분류학 체계 개발에 어떤 시사점을 주는지 탐구한다. 이를위해 1960년대 이후 인지연구의 흐름과 미술교육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기존 교육목표분류학의 체제를 인지이론을 바탕으로 검토하였다. 1960년대의 정보처리이론은 지각의 인지적 성격을 밝혀 시지각 교육으로서 미술교육의 근거를 제공하였고, 1970~80년대의 상징체계론은 상징 처리와 해석의 관점에서 문해력 교육으로서미술교육의 인지적 성격을 밝혀주었다. 1990년대 이후의 체화된 인지이론은 신체감각과 행위, 외부환경까지도 인지에 포함시킴으로써 미술교육의 확장된 인지에 대한이론적 바탕을 제공하였다. 한편 블룸의 교육목표분류학과 이를 수정한 앤더슨과크래스홀의 분류학은 명제적 지식과 사고만 다루고 있어 직관과 정서 등 미술교육적요소들을 배제하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윌슨의 미술교육평가분류학은 모더니즘미술의 형식주의와 학과 중심 성격으로 인해 현대 미술교육의 다양성을 포괄하지못한다. 따라서 인지주의의 관점에서 기존 분류학의 문제점을 개선한 새로운 미술교육목표분류학 체계 개발이 요구된다.

      • KCI등재

        인지 중심 미술교육목표분류학 체계 연구- 분류학 설계의 과정과 결과를 중심으로 -

        김동욱(Kim, Dong Uk) 한국미술교육학회 2019 美術敎育論叢 Vol.33 No.2

        본 연구는 인지이론이 미술교육목표분류학 설계에 주는 시사점을 탐구한 지난 호 연구에 이은 후속연구로, 분류학 개발의 실제 과정과 결과를 다룬다. 블룸의 교육 목표분류학을 개정한 앤더슨과 크래스홀의 분류학 체계를 기본 틀로 하여 윌슨의 미술교육평가분류학의 내용요소들을 대입하고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여 재구조화하는 방식으로 설계를 진행하였다. 앤더슨과 크래스홀의 분류학이 명제적 지식과 논리적 사고에 기초해 있고, 윌슨의 분류학이 학과주의적 지식만 다룬다는 한계에 따라 확장된 인지 관점에서 미적 지식과 통합적 지식, 직관적 사고 등 새로운 미술교육의 내용과 인지 요소들을 추가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지식교육이 놓치고 있는 종합 지적인 인지교육을 지향하는 분류학 체계를 만들고자 했다. 이 분류학에 대해 전문가 62명을 대상으로 두 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이 분류학이 타당성과 적합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미술교육목표분류학은 미술교육 내용학 분야의 기초적 연구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수업설계, 교육평가, 역량측정 및 진단, 교육과정 개발, 교재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미술교육의 인지적 실천에 기여할 수 있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actual process and results of the taxonomy development as a follow up study after the last issue study which explored the implications of cognitive theory on designing the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for art. Based on the taxonomic system of Anderson and Krathwohl, which revised Bloomʼ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content elements of Wilsonʼs educational evaluation taxonomy for art were assigned, and the knowledge and thinking elements which had not been covered in both taxonomy were added to this taxonomy design. Because of the limitation that Anderson and Krathwohlʼs taxonomy only deals with propositional knowledge and thinking, and Wilsonʼs taxonomy based on discipline, this study has added the elements of aesthetic knowledge, integrated knowledge, and intuitive thinking to the taxonomy in the viewpoint of expended cognition. For this taxonomy, two times of delphi surveys on 62 experts in related fields have been conducted, and confirmed that this taxonomy is valid and appropriate. This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for art based on cognition can be used not only as a basic research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al contents but also in various fields such as class design, educational evaluation, competence measurement and diagnosis, curriculum and textbook development, and it can help cognitive practice of art education.

      • KCI등재

        역량기반 교육목표 개발과 분석을 위한 Hauenstein 신 교육목표분류학의 재조명

        임유나(Lim, Yoo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1

        오늘날 ‘역량’이 학교교육의 방향과 목표로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영역의 목표 분류 체계뿐만 아니라 이들을 종합하는 ‘행동적영역’까지 설정하고 있는 Hauenstein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을 탐색하여 역량기반 교 육목표에의 적용 가능성과 한계를 검토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영역으로 구분된 교육목표분류학들의 특징, 역량의 개념과학교교육에의 역량 도입의 의미를 탐색한 후, Hauenstein의 분류학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Hauenstein의 분류학은 세 영역의 총합을 전체(행동적 영역)로 판단한다는 점에서 비판 가능성이 있었고, 학습 상황적 맥락이 보다 강조되어야 할 필요성과학습과학의 발달에 따른 분류 체계 위계 수준의 타당성 재검토가 요구되었다. 그럼 에도 불구하고, 그의 분류학은 유기체로서의 학습자와 전인적 학습의 관점, 경험의 강조와 구성주의의 아이디어, 인지적 영역과 비인지적 영역들을 통합하는 행동적 영역의 설정 등 역량과 공통의 개념적 틀을 공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역량교육을 위한 교육목표/성취기준을 개발, 분석하거나, 역량기반 수업 체계의 틀을 수립하는 데 있어 적용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Hauenstein의 분류학은 인지적 영역뿐만 아니라 비인지적 영역의 중요성을 재고한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었다. Today competency is emphasized as the goal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auenstein’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which creates classification systems for not only the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otor domains but also the behavioral domain-and examine its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for competency-based education. After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several taxonomies for the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otor domains, as well as the concept of competency and the meaning of adopting this concept in schools, the study analyzed Hauenstein’s taxonomy. Hauenstein’s taxonomy is likely to be criticized in that it sets the sum of each domain as the whole (the behavioral domain). Learning context should be emphasized more in his conceptual framework. It would be better to review the validity of his taxonomy’s hierarch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learning science. Nonetheless, Hauenstein’s taxonomy is applicable for developing and analyzing educational objectives or achievement standards for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establishing a framework for a learning system. This is because the taxonomy and the concept of competency have the same conceptual framework, with an emphasis on holistic learning, experience and the idea of constructivism, and the integration of the cognitive and noncognitive domains. Moreover, Hauenstein’s taxonomy promotes a reconsideration of the importance of both the cognitive and the noncognitive domains.

      • KCI등재

        Anderson과 Fuller의 교육목표 분류법을 이용한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의 수업 목표 분석

        최현종(Hyun-Jong Cho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9 No.9

        본 연구는 Bloom의 교육목표 분류법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수정한 Anderson의 분류법과 프로그래밍 수업목표에 적용할 수 있는 Fuller의 분류법으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새롭게 출판된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 6종을 분석하였다. Anderson 분류법에 의하면 교과서마다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개념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 이해하다와 적용하다의 목표들이 더 많이 제시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Fuller 분류법으로 동종의 교과서 6종을 분석해 보니 프로그램 코드의 해석과 생산 영역이 대체로 균형 있게 제시되어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추후 이루어지는 정보 교과만의 교육목표 분류법 연구와 교과서 개발에 좋은 사례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 This study has analyzed the learning objectives in 6 Informatics textbooks that were published this year in the basis of 2009 revised curriculum using Anderson'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at was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and Fuller's taxonomy that was presented for programming activities. Some dimensions of Anderson's taxonomy, such as conceptual and procedural knowledge, understand and apply in cognitive process are much more used in learning objectives in 6 Informatics textbooks. Interpreting and producing dimensions of taxonomy are well presented to balance in 6 Informatics textbooks by analysis of Fuller's taxonomy. This results will be a good case study in research about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development of Informatics textbooks.

      • KCI등재

        Bloom의 교육목표분류학에 대한 비판과 그 대안 탐구 : 일선 교사들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On the Basis of the Teacher's Interview

        강현석,정재임,최윤경 경북대학교사범대학부속 중등교육연구소 2005 중등교육연구 Vol.53 No.1

        본 연구는 두 가지의 모티브로 시작되었다. 하나는 Bloom이 오래 전에 제안한 교육목표 분류학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반응에 대한 구체적 대안 찾기이며, 다른 하나는 교육목표분류학에 대한 최근의 일련의 개정 작업에서 발견되는 Bloom에 대한 대안의 모색이다. 교육목표분류학은 교육의 과정에서 중요한 도구로 기능을 해오고 있다. 도구는 항상 새롭게 만들어져야 한다. 학문적 논의와 현장의 실천적 노력에서 보다 정교하게 보완하고 그 대안을 모색 할 때가 되었다. 그것은 실제 수업이나 교사양성의 맥락에서 보다 구체화되어 적용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그 작업의 일환으로 교사의 인터뷰와 몇 가지 대안을 단서로 하여 하나의 가능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학교교육의 중핵으로서 교육과정, 교수·학습, 평가의 문제는 교육목표분류학의 이론적 논의와 현장 실천의 문제가 연계되어야 하는 숙제를 안고 있다. This study starts with two kinds of motive. One is searching for practical alternatives of teachers' responses in service about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Bloom suggested. The other is exploring alternatives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recently.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has functioned as a crucial instrument on the process of education. This kind of instrument should be made as a newer one. It is time this instrument should be made as a newer one. It is time this instrument were made to be revised precisely and alternatives of that were explored through disciplinary discourse and practical efforts in service. It should be applied to be specified in the context of instruction and cultivating teachers. The study has tried to suggest possible alternatives on the basis of teachers' interview and some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s a clue. A matter of curriculum, teaching · learning , and evalu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connection with theoretical discussion on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a practical matter in service.

      • KCI등재

        교사 직무수행 지식 기준의 인지적 성격 분류

        김옥남 한국교육방법학회 2006 교육방법연구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 직무 수행에 필요한 지식 기준이 인지적으로 어떤 성격을 가지는지를 알아봄으로써, 교사양성 교육에서 이와 같은 교사의 직무수행에 필요한 지식의 성격을 고려하여 보다 종합적인 차원에서 인지적 영역의 교사양성 교육 목표를 설정하도록 하는 데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교육개발원의 2005년 연구 결과 중 교사 직무수행 지식 기준에 대해 최근에 제안된 Anderson과 Krathwohl의 분류학을 사용하여 인지적 성격을 분류하였다. 분류 결과는 ‘개념적 지식’을 ‘이해하다’라는 인지적 활동이 매우 높은 비율로 요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직무수행 지식 기준의 이러한 인지적 성격은 교사양성 교육과정 설계에 시사점을 준다. 첫째, 현장 연계성 제고의 요구를 보다 실질적으로 반영하기 위해서는 개념적 지식을 이해하는 것만이 아니라 지식 차원에서는 절차적 지식과 메타인지 지식, 인지과정 차원에서는 ‘적용하다’, ‘분석하다’, ‘평가하다’, ‘창안하다’ 중에서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사양성 교육과정에서 직무수행기준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지식 기준과 수행 기준의 관계에 대해 분명히 해야 한다. 교육공학에서는 수행 목표를 중심으로 수행에 필요한 지식과 하위 수행이 무엇인지를 밝혀내고 위계화하여 교수를 설계한다. 물론 여기에는 ‘수행’과 ‘지식’에 대한 관점 및 의미를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교사양성 교육과정의 현장 연계성 제고를 위한 방안의 하나로서 직무수행 지식 기준을 인지적 목표 중 일부로 포함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교육목표와 내용에 반영하고 활용할 것을 제안하며, 이를 위해서는 국가 수준에서 교사의 직무수행기준을 보다 발전시켜 그 활용가능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cognitive classification of teachers' Knowledge standards which were developed by KEDI's study team. And those standards were classified using Anderson & Krathwohl's educational taxonomy(2001) that was written by Krathwohl who is co-author of Bloom et al.'s taxonomy, so this taxonomy has a meaning as a revised edition of original taxonomy. The result of study is that teachers' knowledge standards consist of?conceptual knowledge' in the knowledge dimension, and 'understand' in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This means the cognitive domain of teachers' performance standards is in a cognitively very low level and simple, so it is needed to try to consider various and plentiful cognitive objectives although using teachers' performance standards in terms of improving the articulation about practice when constructing curriculum for teachers preparation. Therefore, I suggest that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teachers preparation should reflect and use teachers' knowledge standards in educational objectives, contents, and pedagogy for design of curriculum and that research institutions in the national level should refine the standards.

      • 한국어교육의 개념과 갈래

        김승환 개신어문학회 2010 개신어문연구 Vol.0 No.31

        What is the notion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how can we classify it? There are many different terms and concept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depending upon purpose and goal.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teaching and learning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Literature based on the educational procedure and metho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focused on language for last 40 years. This orientation might back to the national resistance against Japanese rule during the Colonial Period(1910 -1945). Korean must have collectivity consciousness of one nation embedded in Korean Language. Language of Korean is not only language but spirit and soul of the colonial Chosun, which symbolizes and substitutes the nos-existing State of Korea.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lassified as Social Science, not Humanities according to the Korean Research Foundation. Reason comes from the subject as Education. In an academic hierarchy or classification, education belongs to Social Science. Automatically,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lassified the field of the Social Science.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two sides a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Lots of educator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would regard it as Humanities as well as Social Science. Ideal form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will be mixed system and form of two sides.

      • KCI등재

        도덕교육을 위한 가치, 규칙, 덕의 분류학

        김상돈 ( Sang Don Kim ) 한국윤리학회 2012 倫理硏究 Vol.8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taxonomy of values, rules, and virtues as a methodological tool for achievement of moral education. In general, the goal of moral education is to make ``moral human being`` by intentional education. But that is too broad or rough to depict in details what is ``moral human being`` as the goal of moral education. Therefore ``moral human being`` should be more specified. In this study, it will be suggested that the taxonomy of values, rules and virtues would be a useful tool for it. As we know, the contemporary meta ethical debates are divided three parts; ontological, epistemological, and practical debates. But those debates may affect moral education negatively, because that there are many different opinions about what is morality. The same may be said of normative ethical debates. Each ethical theories insist their own ``morals`` on their own position. There are many different ``morals``, id est, many different ``good``, ``right``, ``duty`` etc., which ethical theories such like conventionalism, egoism, hedonism, utilitarianism, deontology insist. So, in order to teach effectively morals students, their differences should be understood more accurately by some objective and neutral tools that can compare, analyse and evaluate them. In this study, it will be insisted that the taxonomy of values, rules and virtues will be a very useful tool.

      • KCI등재

        컴퓨터교과교육 : Anderson의 교육목표분류법을 이용한 중학교 정보 교과서의 수업목표 분석에 관한 연구

        최현종 ( Hyun Jong Choe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4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7 No.1

        수업 목표는 수업 시간에 제시되는 목표로 수업 설계의 기본 방향과 틀을 제공하여 효과적인 교수ㆍ학습을 설계할 수 있게 해주고, 수업 평가의 지침이 된다. 다른 교과에서는 Bloom의 교육목표 분류법의문제점을 수정한 Anderson의 분류법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교과의 수업목표와 평가의 성취수준을 분석하는 연구가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Anderson의 분류법이 정보 교과의 수업목표진술에 적절한지 정보 교사의 설문을 통해 확인하고, Anderson의 분류법으로 중학교 정보 교과서 6종의수업목표를 분석하였다. 설문 결과를 통해 Anderson의 분류법이 Bloom의 분류법보다 정보 교과의 목표진술에 더 유용하다는 결과를 얻었고, 정보 교과서 6종의 분석 결과 개념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 이해하다와 적용하다의 목표들이 더 많이 제시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교육목표 분류법 연구와 교과서 개발에 좋은 사례 연구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 Learning objectives is used to be a good guidance of a class evaluation and activity design for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n class. Anderson`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at was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has presented in research field of other subject matters and used as a better guideline for analyzing learning objectives in textbook and achievement levels in test recently. This study has behaved some questionnaires for that Anderson`s taxonomy is suitable for a guideline of stating learning objective in Informatics subject matter, and analyzed the learning objectives in 6 Informatics textbooks by Anderson`s taxonomy. It has proposed that Anderson`s taxonomy is satisfactory for expressing learning objective of Informatics subject matter in class and some dimensions, such as conceptual and procedural knowledge, understand, and apply,are much more used in learning objectives in 6 Informatics textbooks. This results will be a good case study in research about taxonomy of educat ional objectives and development of Informatics textboo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