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co-Justice Mission and the Unity of the Church

        Kinurung Maleh Maden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3 선교와 신학 Vol.32 No.-

        This study discusses the WCC (World Council of Churches) commitment on eco-justice mis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re-echo all churches and Christians the fact that justice and love to all creation is already at the heart of Mission. The WCC, based on biblical theological consideration, confesses that eco-justice mission is Triune God’s mission. Thus, the WCC has persistently called the churches in unity to promote and exercise the eco-justice mission to and with all cre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writer revisit and reflect on various commitments of WCC from the official conciliar statements, assembly reports, conference meetings, website accounts, and others. Four areas need to be revisited in order to get wide-ranging reflection of WCC commitments on eco-justice mission: the historical review, cultural context of changing ecological landscape, theological consideration on Triune God, and eco-mission in practice. Historically, the organized and global commitment of WCC on mission to all creation has been for more than two decades. Theologically, the biblical foundation has been intensively constructed. Missionally, the global and various enterprises have been well programmed. So the vision and mission for the justice of the earth is not something new. However, the question is: why is the eco-injustice persistently haunting us? The poverty and oppression are still present directly related to the unjust natural resource distribution, economic international system, and consumerist lifestyle. In fact, within 20 years the changing ‘earth’ landscape is worse; the climate change has affected suffering both to billion of human and non-human. This situation asks the WCC and her members again and again of his missional role as the agent and instrument of God’s mission. By revisiting and reflecting the WCC commitment on eco-mission, this paper is significant to maintain the unity of all churches in promoting and exercising consistently the eco-justice to all creation.

      • KCI등재

        Eco-Justice Mission and the Unity of the Church: A Reflection on the Ecumenical Conciliar Commitment of WCC

        이현모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3 선교와 신학 Vol.32 No.-

        This study discusses the WCC (World Council of Churches)commitment on eco-justice mis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re-echo all churches and Christians the fact that justice and love to all creation is already at the heart of Mission. The WCC, based on biblical theological consideration, confesses that eco-justice mission is Triune God’s mission. Thus, the WCC has persistently called the churches in unity to promote and exercise the eco-justice mission to and with all cre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writer revisit and reflect on various commitments of WCC from the official conciliar statements, assembly reports,conference meetings, website accounts, and others. Four areas need to be revisited in order to get wide-ranging reflection of WCC commitments on eco-justice mission: the historical review, cultural context of changing ecological landscape,theological consideration on Triune God, and eco-mission in practice. Historically, the organized and global commitment of WCC on mission to all creation has been for more than two decades. Theologically, the biblical foundation has been intensively constructed. Missionally, the global and various enterprises have been well programmed. So the vision and mission for the justice of the earth is not something new. However, the question is: why is the eco-injustice persistently haunting us?A Reflection on the Ecumenical Conciliar Commitment of WCC The poverty and oppression are still present directly related to the unjust natural resource distribution, economic international system, and consumerist lifestyle. In fact, within 20 years the changing ‘earth’ landscape is worse; the climate change has affected suffering both to billion of human and non-human. This situation asks the WCC and her members again and again of his missional role as the agent and instrument of God’s mission. By revisiting and reflecting the WCC commitment on eco-mission, this paper is significant to maintain the unity of all churches in promoting and exercising consistently the eco-justice to all creation.

      • KCI등재

        피조세계도 선교의 대상인가? - 복음주의 선교신학 관점에서 바라본 생태신학

        이현모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20 복음과 선교 Vol.49 No.-

        “창조 세계의 보존이 선교인가?”라는 질문은 에큐메니칼 그룹에게는 이미 진부한 주제이다. 1970년대 이후로 WCC 총회는 생태적 관심을 자신의 사역 목표로 채택하고 있고 점차 그 중요성을 더 강조하고 있다. 복음주의 신학에서도 생태신학은 결코 소외된 주제가 아니었다. 로잔운동과 미가 네트워크, 아 로샤 운동, 케이프타운 선언문 2010, 자메이카 행동 요청 등이 생태에 대한 복음주의 관심의 중심을 이루어왔다. 그러나 생태신학을 선교신학의 관점에서 다루는 것은 복음주의 진영에서는 불편한 과제였다. 본고는 이런 상황 가운데에서 생태신학을 복음주의 선교신학 관점에서 다루어보려는 것이다. 피조 세계에 대한 복음주의 세계관은 분명하게 신 중심적 청지기주의이다. 이원론적 인간중심주의는 성경에 대한 편파적 해석에 불과하다. 성경은 창조주와 피조물을 구분하는 점에서는 이원론적이지만 인간과 자연을 이원론적으로 보지 않는다. 이원론적 인간중심주의는 데카르트에게서 유래된 세계관일 뿐이다. 생태중심주의는 결국 범신론 내지는 범재신론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성경은 단호하게 범신론 혹은 범재신론적 성향을 대표적인 우상숭배로 거부하고 있다. 신 중심적 청지기직은 자연은 하나님의 소유이며 스스로 하나님으로부터 부여받은 존재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본다. 인간의 독특성을 인정하되 이것이 자연의 주인 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청지기로서의 사명을 의미할 뿐이다. 또한 인간과 자연 사이에 주체와 객체의 구분은 존재할 수 없다고 본다. 바울은 로마서와 골로새서에서 피조 세계의 구원 문제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피조 세계의 타락과 구원은 인간과 연계된 사건이지만 동시에 분리된 사건이다. 피조 세계의 타락은 인간의 범죄로 인해 하나님으로부터 저주를 받은 사건이다. 피조 세계의 구원은 피조 세계를 타락시킨 인간의 죄와 불순종이 궁극적으로 제거되어서 그 저주에서 해방되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님만이 구속을 행하시지만 피조 세계의 회복에서 인간은 회복된 존재로서 피조 세계의 공의를 이루는 사명을 가지고 있다. 피조 세계의 대붕괴를 의미하는 종말론을 볼 때 피조 세계의 보전을 교회의 선교 사명으로 정의하는 것이 모순되거나 불필요한 일이 아닌가라는 질문이 있다. 이 문제는 해석상의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그러나 최후의 심판에 어떤 일이 벌어질지에 대한 해석이 피조 세계 보존을 외면하거나 파괴하는 인간 행동을 정당화 시키는 근거로 사용되는 것은 합당하지 않은 일이다. 결국 이 주제에 대한 복음주의 진영의 논쟁은 통전적 선교 개념으로 모아지게 된다. 오늘날 복음주의 선교 신학의 주류는 미시오 데이를 인정하되, 교회의 존재를 소극적이거나 부정적으로 보는 견해를 거부하는 미시오 데이를 수용하고 있다. 특히 ‘사회적 책임’을 ‘세상에 대한 책임’으로 변화시켜 가면서 피조세계를 포함하고 있다. 연구자는 창조 세계의 보존이 선교에 포함된다고 주장한다. 특히 생태정의라는 주제가 부상하면서 가난한 자와 미래 세대에 대한 생태학적 책임이 강조되고 있다. 통전적 선교에서 영혼 구원의 궁극성은 반드시 고수되어야 한다. 그러나 하나님의 구속의 최종적 목표가 모든 피조 세계의 회복임도 분명하다. 이 일에 동참하는 선교는 우리에게 명하신 사명이다. The question, “Is creation care mission?” is a banal issue for the ecumenical group. But dealing with eco-the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mission theology was an inconvenient task among evangelical groups. This paper attempts to deal with eco-the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evangelical mission theology in this context. The evangelical world-view on the created world is definitely theocentric stewardship. Dualistic anthropocentrism is nothing more than a biased interpretation of the Bible. The Bible is dualistic in distinguishing the Creator from the creature, but it does not view human and nature dualistic. Dualistic anthropocentrism is only a world-view derived from Descartes. Biocentrism eventually takes the position of pantheism or panentheism. The Bible firmly rejects pantheism or pantheistic propensity as a typical idolatry. Theocenteric stewardship sees nature as God’s property and possesses a value of existence driven from God. Recognize man’s uniqueness, but this does not mean that one is the master of nature, but only mission as steward. In addition,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subject and object between human and nature. Paul speaks of the redemption of the created world in Romans and Colossians. The fall and redemption of the created world is an event connected with man but a separate event at the same time. Only God does redemption, but in the restoration of the created world, man has the responsibility to fulfill the justice of the created world as a restored being. Also, in the eschatology of the great collapse of the creation world, the question is whether it is contradictory or unnecessary to define the conservation of the creation world as the mission of the church. There are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is problem. But it is unreasonable that whatever the interpretation of what will happen at the Last Judgment is used as the justification for human action to ignore or destroy creation care. Eventually, the evangelical controversy on this subject would be gathered into the concept of holistic mission. The mainstream of evangelical missionary theology today embraces missio Dei which rejects the view of the church’s existence either negatively. In particular, the social responsibility in the definition of mission is transformed into a responsibility for the world, which includes the created world. Researcher claims that creation care is a mission. In particular, the emergence of the theme of eco-justice emphasizes the ecological responsibility of the poor and future generations. The ultimacy of soul winning in integral mission must be adhered to. But it is also clear that the ultimate goal of God’s redemption is the restoration of all creation. Participating in this work is a mission to us.

      • KCI등재

        생명 봉사적 통전 선교

        임희모(Hee Mo Yim)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08 선교와 신학 Vol.22 No.-

        본 논문은 생명 죽임을 일상화하는 지구화와 생태계 파멸 위기 시대에 생명 봉사적 통전 선교를 제안하는 글이다. 이 글의 본문은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첫 부분은 이분적 통전 선교를 비판한다. 역사적으로 선교는 영혼 구원과 회심 및 교회 개척을 강조하는 복음주의 선교와 세상에서 사회적 실천을 강조하는 에큐메니칼 선교로 분화 발전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이 두 흐름을 하나로 통합하려는 신학적 노력 즉 통전 선교신학이 논의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통전 선교선학은 이분적 선교 즉 개인주의적 차원에서 영혼 구원을 강조하는 선교와 세상에서 인간화된 사회를 만들려는 에큐메니칼 선교를 통합하려는 것으로서 오늘날 생태계 위기 이슈에 충분히 접근하기 어려운 한계를 가지고 있다. 둘째 부분은 생명 봉사적 통전 선교를 서술하기 위하여 신학적으로 삼위일체 하나님을 재해석한 것이다. 먼저, 자연과 생태계와 호흡하며 아픔의 경험을 느끼며 이들을 구원할 수 있는 하나님을 내재적이고 초월적 하나님으로 이해한 것이다. 또한 그리스도 역시 인간 중심주의를 넘어서서 우주의 창조와 구원을 이끄는 우주적 그리스도를 서술하였다. 그리고 피조물의 고통에 참여하여 생명을 구원하는 영으로 성령님을 서술한 것이다. 셋째 부분은 생명 봉사적 통전 선교의 신학적 근거와 전략을 기술하였다. 신학적으로 생명 봉사적 통전 선교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선교이다. 아버지 하나님의 선교와 아들 그리스도의 선교 그리고 선교의 영으로서 성령님의 선교를 서술하였다. 특히 성령님의 선교적 역할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하나님의 선교사로서 우주의 생명 구원을 위하여 파송된 예수님을 녹색메시야로 해석하였다. 이러한 선교신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생태 영성과 선교 전략을 서술하였다. 생태 영성은 생명 봉사적 영성으로서 녹색 메시야의 삶을 따르는 것으로 규정하였다. 또한 지구화와 생명 죽임 시대의 선교전략으로 지역성 살리기와 네트워크 구축 선교를 강조하였다. 그리고 교회가 구체적으로 시행해야 할 선교적 과제를 몇 가지 덧붙였다. In the context of life-taking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ecological crisis, the article criticizes the existing integral mission theory and suggests a life-giving integral mission as an alternative. The article consists of three parts mainly. The first part analyzes the existing integral mission theory which studies the dualistic forms of the evangelical and the ecumenical missions. The mission theory tries to integrate the bipolar foci which are based both on the individual mission to save souls and to plant churches, and on the ecumenical mission to establish just social structures. The integral theory does not work efficiently in the mission fields and also cannot embrace adequately the life-giving mission in the present ecological crisis. In order to formulate a life-giving integral mission, the second part interprets Trinitarian theology from the ecological perspective. God is viewed as immanent in the world and the eco-sphere, and is also transcendent. Further, Christ is understood as the cosmic Christ who creates and saves all creatures in the cosmos. Finally the Holy Spirit is regarded as the Spirit of life who groans with all the creatures and saves them from all suffering. The Spirit is the energizing power of mission to all creatures in the cosmos. The third part articulates the life-giving integral mission theory which is based on Trinitarian mission. Particularly the works of the Holy Spirit are emphasized in integrating the missional elements. Further the article describes the Green Messiah Jesus, the Missionary of God who is incarnated to save the cosmos including the human world and the ecosphere. The Green Messiah as the Missionary redeems the cosmos in the form of a servant to serve life. That is, through suffering and death before the ecological catastrophe, he saves life. In addition the article describes eco-spirituality and its mission strategies such as locality mission and network mission. In conclusion the article suggests some items which should be practiced concretely in the mission fields and churches.

      • KCI등재

        An Eco-Evangelism of the Korean Christianity in an Eco-Crisis Era: Inductive Mission Model Approach

        Nam Sung-Hyuk 한국선교신학회 2024 선교신학 Vol.74 No.-

        이 논문은 현대 환경 위기 시대에 한국기독교의 상황에서 생태-전도 개념을 탐구한다. 복음전파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심각해지는 생태위기의 상황에서 복음전파에 대한 이해를 살핀다. 이 연구는 특히 세속화된 사회 환경에서 개인의 경험과 실질적인 문제 해결의 중요성을 강조되는 현대사회 의 특성을 고려하며, 한국교회 전도가 연역적 방식에서 귀납적 방식으로 전환하고 있음을 다룬다. 생태-전도는 생태 신학과 귀납적-사명 모델의 학제간 대화를 통한 융복합 접근 방식으로 이해되며, 이 접근법의 공통 가치에는 상호 의존성, 지속 가능성, 사회 정의, 그리고 적극적인 커뮤니티 참여가 포함된다. 한국기독교에서의 세 가지 사례연구를 통해, 이 연구는 생태-전도가 실제로 어떻게 실행되는지를 보여주며, 환경 복원 노력에 비신자들을 참여시키고 의미 있는 방식으로 복음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생명 중심의 복음전파를 촉진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생태-전도는 기독 교인들이 그들의 행동을 통해 복음의 가르침을 구현하고, 생태위기에 대응 하는 것이 그들의 더 넓은 세계적 사명의 중요한 부분임을 인식하도록 촉구한다. This paper examines Eco-Evangelism in Korean Christianity, addressing contemporary environmental challenges. It emphasizes shifting from deductive to inductive evangelism, focusing on personal experiences and practical solutions. Eco-Evangelism combines eco-theology with the Inductive Mission Model, promoting values like interdependence, sustainability, and social justice. Through three case studies, it demonstrates how Eco-Evangelism engages non-believers in environmental restoration efforts, inviting them to experience the Gospel firsthand. Ultimately, Eco-Evangelism calls on Christians to embody Gospel teachings through environmental action as part of their broader mission.

      • KCI등재

        The Eco-Lifegiving Holistic Mission of the Korean Churches

        임희모 한국선교신학회 2012 선교신학 Vol.29 No.-

        본 논문은 지구가 신음하고 한국의 환경지수가 최악에 떨어져 있는 상황에서 한국교회가 참여한 생태계를 위한 생명봉사적 통전선교를 논의하려는 것이다. 지구가 신음하는 상황은 인구폭발, 가난의 확대, 다양한 종의 멸종, 벌목, 물의 부족과 오염, 토양의 침식과 퇴화, 넘쳐나는 쓰레기, 에너지 소비의 확산, 대기오염, 민물과 해수의 오염, 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 등으로 드러난다. 오늘날 한국의 환경 생태계 상황은 새만금 사업, 4대강 사업, 제주도 강정마을의 평화와 생태계 지키기 갈등, 그리고 지난 10월에 개최된 유엔사막화방지회의에서 드러난다. 본 논문은 한국교회의 환경생태 선교를 논의하되 생명봉사적 통전 선교 관점에서 접근한다. 이미 논의된 통전선교는 이원론적인 복음주의 선교와 에큐메니칼 선교를 통전시키는 것으로 사회정치적 차원에서 논의된 것이기 때문에 오늘날 생태계 위기의 상황에서 한계를 갖는다. 생명위기의 시대에는 유기적, 총체적, 관계적 특성을 유지하는 생명봉사적 통전선교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환경과 생태 문제를 다루는 방식으로 환경주의와 생태주의를 동시에 취하고 있다. 기존 질서에 대한 이해와 변혁 지향의 정도를 기준으로 볼 때 환경주의는 위기관리 차원에서 보다 손쉽게 적용이 가능하고 생태주의는 신학적 논의는 깊게 하였으나 현실변혁은 쉽지 않은 상황에 있다. 본 논문의 구조는 먼저 환경생태계의 위기 상황을 지구적 차원과 한국의 국지적 차원에서 논의하면서 레스터 브라운의 미국의 환경 대응안을 검토하고, 한국교회의 생태환경 관련 주요 사건을 다룬다. 그리고 성경이 제시하는 창조를 이해하면서 생태청지기직을 강조하고, 한국신학자들과 선교학자들이 천착한 생태환경 관련 논문을 분석한다. 여기에서는 한국연구재단 등재지로서 「한국기독교신학논총」, 「선교신학」, 「선교와 신학」에 실린 것으로, 선교적으로 실천가능성을 비치고 있는 논문은 8개가 있었는데, 책 1권과 자료집 1개를 추가하여 10개의 글을 3카테고리 즉 신학적 윤리적 에큐메니칼 논문, 복음주의적 논문, 그리고 생명봉사적 통전 선교 논문으로 분류하였다. 끝으로 이러한 생태계를 위한 생명봉사적 통전 선교를 한국교회가 어떠한 방식으로 했는가를 4가지 즉 윤리적 선교, 종교적 대화 선교, 네트워크 선교, 생명봉사적 통전선교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환경생태에 대한 생명봉사적 통전선교가 환경생태 위기의 시대에 한국과 전 세계는 물론 민둥산이 되어있는 북한 땅에서도 추진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The Eco-Lifegiving Holistic Mission of the Korean Churches

        HeeMo Yim 한국기독교학회 선교신학회 2012 선교신학 Vol.29 No.-

        본 논문은 지구가 신음하고 한국의 환경지수가 최악에 떨어져 있는 상황에서 한국교회가 참여한 생태계를위한 생명봉사적 통전 선교를 논의하려는 것이다. 지구가 신음하는 상황은 인구폭발, 가난의 확대, 다양한종의 멸종, 벌목, 물의 부족과 오염, 토양의 침식과 퇴화, 넘쳐나는 쓰레기, 에너지 소비의 확산, 대기오염, 민물과 해수의 오염, 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 등으로 드러난다. 오늘날 한국의 환경 생태계 상황은 새만금 사업, 4대강사업, 제주도 강정마을의 평화와 생태계 지키기 갈등, 그리고 지난 10월에 개최된 유엔사막화방지회의에서 드러난다. 본 논문은 한국교회의 환경생태 선교를 논의하되 생명봉사적 통전 선교 관점에서 접근한다. 이미 논의된 통전선교는 이원론적인 복음주의 선교와 에큐메니칼 선교를 통전시키는것으로 사회정치적차원에서 논의된것이기 때문에 오늘날 생태계 위기의 상황에서 한계를 갖는다. 생명위기의 시대에는 유기적, 총체적, 관계적특성을 유지하는 생명봉사적 통전 선교가 필요하다. 본논문은 환경과 생태문제를 다루는 방식으로 환경주의와 생태주의를 동시에 취하고 있다. 기존 질서에 대한 이해와 변혁 지향의 정도를 기준으로 볼 때 환경주의는 위기 관리 차원에서 보다 손쉽게 적용이 가능하고 생태주의는 신학적 논의는 깊게 하였으나 현실변혁은 쉽지않은 상황에 있다. 본 논문의 구조는 먼저 환경생태계의 위기 상황을 지구적 차원과 한국의 국지적 차원에서 논의하면서 레스터브라운의 미국의 환경대응안을 검토하고, 한국교회의 생태환경 관련 주요 사건을 다룬다. 그리고 성경이 제시하는 창조를 이해하면서 생태청지기직을 강조하고, 한국신학자들과 선교학자들이 천착한 생태 환경관련 논문을 분석한다. 여기에서는 한국연구재단 등재지로서 「한국기독교신학논총」, 「선교신학」, 「선교와신학」에실린것으로, 선교적으로 실천가능성을 비치고 있는 논문은 8개가 있었는데, 책 1권과 자료집 1개를 추가하여 10개의 글을 3카테고리 즉 신학적 윤리적 에큐메니칼 논문, 복음주의적 논문, 그리고 생명봉사적 통전 선교 논문으로 분류하였다. 끝으로 이러한 생태계를 위한 생명봉사적 통전 선교를 한국교회가 어떠한 방식으로 했는가를 4가지 즉 윤리적선교, 종교적대화선교, 네트워크선교, 생명봉사적 통전선교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환경생태에 대한 생명봉사적 통전선교가 환경생태 위기의 시대에 한국과 전 세계는 물론 민둥산이 되어있는 북한 땅에서도 추진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기독교 신학의 비주류 전통 다시보기: 생태여성신학의 함의

        정미현 ( Meehyun Chung ) 한국조직신학회 2015 組織神學論叢 Vol.41 No.-

        In the Christian tradition, there were two kinds of streams: The mainline stream emphasizes the institutional authority of the church based on the sinfulness of the human being. But in this stream there was a lack of femininity and ecological sensitivity. Women, body and nature are negatively considered. The subline stream, on the contrary, has sensitivity to women, body and nature in organic relationships. For this paper, in order to reveal the hidden subcultures within Christian tradition, related to femininity-friendly, body-friendly and eco-friendly thoughts, I attempt to investigate Celtic spirituality, medieval mysticism and Moravian tradition. Pelagius, Hildegard of Bingen and Comenius are three major examples out of this tradition. In spite of different theological approaches about salvation, some commonalities can be evaluated positively. That means that a creation-centered spirituality, cosmic Christology, gender justice approach could be positively considered. These elements can be updated and applied for contemporary theological debate regarding eco-feminism. Facing the ecological crisis of the contemporary very urgently requires a paradigm shift. Repentance and metanoia based on humble self-reflection on human misery and the ecological crisis is necessary. Due to gratitude for salvation which is given to us as a gift through the crucifixion and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we can break the bondage of an unjust chain. It could be recovered through a wholesome relationship between God, human and nature. It means to live with responsibility and a proper ethical manner. Eco-feminist theology thus corrects shady details of the Christian tradition, and explores how to erupt a creation centered spirituality in a Christian tradition. It could be combined with a creation centered inclusive idea of salvation. Today``s era requests us to reevaluate the Christian tradition and reestablishment of this tendency. It implies breaking andro-centric, individualistic and abstract ideas of salvation and to move toward creation-centered inclusive salvation, which is underscored in WCC document of 2013 as well.

      • KCI등재후보

        Convenanting for Justice in the Economy and the Earth

        박성원 한국민중신학회 2008 Madang: Journal of Contextual Theology Vol.0 No.9

        Many global people’s movements have responded to neo-liberal economic globalization regime. What kind of response would or should the church make? What would be a unique response that the church would or should make? First, what is my poor neighbour, theologically? We need to ask, not only who my poor neighbour is, but also what my poor neighbour is. We need to be theologically clear on the issue of poverty. How do we perceive poverty, theologically? We are not talking about what I might call “voluntary poverty” or honest poverty found in the dictionary that is encouraged by some religions like Buddhism and others. Second, would humanitarian approach be enough in dealing with victims of systematic injustice? Would the confessional approach make a difference? Since Accra, I keep saying that there is a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a humanitarian approach and a confessional approach in theological dealing with the poor. If one takes a humanitarian approach my poor neighbour still remain as the other. What does this mean to us in the face of systematic injustice by which 80% of God’s people on earth suffer because of global economic injustice and the whole eco-system of God’s creation is groaning for salvation? Third, what is our priority between church unity and global justice? One of the major concerns for those who were hesitant to go for confessing action in Accra was the worries of possible division of the churches. I still remember our debate between myself and a colleague and friend of mine from Europe on this issue. For those who reached the stage and readiness to confess they can go ahead while those who have not yet reached that stage may express their solidarity with those who confessed and may join the confession at a later stage. Fourth, should the ecumenical witness to economic justice be pragmatic or prophetic? One of the major critiques on our analysis was that the churches’ analysis on neo-liberal economic globalization was not scientific, practical and thorough enough. Of course, the churches’ analysis can never be scientific enough. However, what should be the basis for the churches’ witness to economic justice? Should it be practical and pragmatic or prophetic? Fifth, whom do we serve; God or mammon? All the ecumenical documents pointed out many negative consequences of neo-liberal economic globalization, like the growing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ecological destruction, erosion of democracy, colonization of consciousness, etc. From a theological point of view,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s would be mammonism.

      • KCI등재

        임희모의 선교신학 연구 - ‘생명봉사적 통전선교론’을 중심으로 -

        최재룡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15 신학과 사회 Vol.29 No.3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Life-Serving Integral Mission Theory’ of Prof. Dr. Hee-Mo Yim. Korean missiologists would study and introduce various mission theories of foreign scholars. It is not yet activated to study on mission theories of Korean missiologists. But it is necessary to revaluate the results of researches by Korean scholars in order to develop a Korean indigenous mission theology. And for this case I chose Hee-Mo Yim who is a Missiology professor in Hail University. Yim’s mission theology named ‘Life-Serving Integral Mission Theory’ has formulated on the line of the integral mission theology of world churches. But he wants to overcome limitations of the integral mission theology by criticism on its dualistic thought etc. Understanding contexts is also one of important posts of Yim’s mission theology. Ecological crisis and the globalization of neo-liberal economic system are two most important factors which consist of context of 21st century according to Yim. And he thinks that people in the third world are experiencing those power systems as ‘Life-Killing Power’. That is why his studies and researches are concentrated on the third world. He interprets the theology of missio dei through the Pneumatology to make the balance among the Tri-unity. He emphasizes wholisticity and strategical flexibility because mission fields of the third world are familiar with wholistic world view and at the same time have the diversity of situations. Yim adopted contextualization as his methodology for the dialogical process between contexts and theological reflection. And he bears mission strategies through the process because he puts emphasis on strategical thoughts. Churches as mission bodies, leaders, and their networks are main posts for his strategical thoughts. Therefore the renewal of churches themselves, missional leadership and spirituality of mission leaders, and formulation of networks in many phases like as unity and co-work of churches or solidarities with non-ecclesiastical bodies are important. From all those discusses, I can make a conclusion that Yim’s ‘Life-Serving Integral Mission Theory’ is a mission theory to integrate theory-praxis, field-oriented, and self-renewal. 한국선교학계는 아직도 해외의 학자와 그들의 이론을 연구하는 데에 경도되어 있어서, 국내 학자들의 연구 성과가 상대적으로 경시되고 있다. 필자는 한국선교학계의 주체적 발전을 위해 국내 선교학자들의 연구 성과를 재평가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한일장신대 선교학 교수인 임희모의 선교론을 분석하였다. 임희모의 생명봉사적 통전선교론은, 세계교회 차원에서 진행되어 온 통전선교신학형성 및 발전 과정과 연속성을 갖는다. 다만 서구신학계를 중심으로 논의된 기존 통전선교신학의 한계점을 비판하면서 새로운 단계의 통전선교신학을 발전시키는 노력이생명봉사적 통전선교론으로 열매를 맺은 것이다. 이러한 발전에서 ‘생명 죽임의 세계’ 로 요약되는 그의 상황 이해가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지구적 차원에서의 생태위기, 그리고 그 근원에서 탐욕을 체제화 하여 생명의 파괴와 억압을 초래하고 있는 신자유주의 경제체제의 지구화가 바로 그것이다. 임희모는 이러한 생명죽임의 현실이 특히제3세계의 가난하고 억눌린 이들 안에서 보다 적나라하게 드러난다고 보고, 제3세계지역 현장들을 중심으로 생명봉사적 통전선교를 연구해 왔다. 이렇게 형성된 임희모의 생명봉사적 통전선교론은, missio dei 를 삼위일체 하나님의 생명 살림으로 이해하면서, 예수를 ‘녹색 메시야’로 해석하고, 비선형적이고 비정형적인 성령론적 사고를 통해 동시다발적이고 다초점적이며 유연한 전략적 접근을 통해생명 살림에 이르는 통전적 선교를 주장한다. 그는 이러한 missio dei 의 신학을 현장에 매개하는 방법론으로 상황화(contextualization)의 틀을 사용하고 있다. 특정 선교현장의 상황을 면밀히 분석함으로써 선교의 과제를 찾고 그곳에서 일어나는 missio dei 를 분별함으로써 접근 전략을 산출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접근에서 임희모는 선교활동체로 갱신된 교회, 선교적 영성과 리더쉽을 갖춘 지도자, 그리고 교회 안팎으로 일치와 협력과 연대를 이루는 네트워크 등을 중요한 전략적 기둥들로 사용하였다. 이처럼 임희모의 생명봉사적 통전선교론은 세계 선교학교의 발전과 함께 호흡하는공명 가운데 형성되었다. 또한 현장지향적으로 이론과 실천을 통합하는 선교론이며자기갱신적 선교론이라고 그 특징을 요약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