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적 내용 요소를 반영한 유아수학교육 수업에서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한 다문화교육의 의미 분석

        최순덕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9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3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s of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d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lessons reflecting multicultural content elements. The study lasted from August to December, 2018. The participants include 53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at were attending a three-year college A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Seoul and taking the 'Mathematic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course. Two hours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lessons reflecting multicultural content elements were given once a week over 14 weeks, and qualit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based on various outcomes from lesson activities including a reflective journal. The findings show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a bias about the cont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as they experienced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lessons reflecting multicultural content elements. They formed a perspective of planning actual activities for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aspects of collaboration, anti-bias, ego identity, equality, and diversity as well as culture and having to reflect the cont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on the overall activiti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y were also able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lessons that would pursue diversity and quality and acquire specific teaching skills through plans and mock courses for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activities reflecting multicultural content elements. In addition, they developed confidence and will to practice integrated multicultural education. These findings hold significance by demonstrating that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lessons reflecting multicultural content elements provide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experiences of integrating subject expertise into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us made a contribution to the possibilities of practicing more effective multicultural education. 본 연구는 다문화적 내용 요소를 반영한 유아수학교육 수업을 통하여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한 다문화교육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는 2018년 8월부터 12월까지 수행되었고, 연구 참여자는 서울에 소재한 3년제 A대학교 유아교육과 학생으로 ‘유아수학교육’ 과목을 수강하는 예비유아교사 53명이다. 다문화적 내용 요소를 반영한 유아수학교육 수업은 주 1회 2시간씩 14주 동안 진행되었고, 반성적 저널을 비롯한 다양한 수업 활동 결과물들을 바탕으로 질적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다문화적 내용 요소를 반영한 유아수학교육 수업을 경험하면서 다문화교육내용에 대한 편견을 인식하며 문화뿐만 아니라 협력, 반편견, 자아정체성, 평등성, 다양성 등의 관점에서 수학교육활동의 실제를 계획하고 유아교육활동 전반에 다문화교육 내용을 반영해야 한다는 관점이 형성되었다. 또한 다문화적 내용 요소를 반영한 유아수학교육활동 계획안 작성과 모의수업을 통하여 다양성과 평등성을 추구하는 수업진행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구체적인 수업 기술을 습득할 수 있었다. 아울러 통합적인 다문화교육에 대한 자신감과 실천 의지를 형성하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적 내용 요소를 반영한 유아수학교육 수업이 예비유아교사들에게 다문화교육과 교과 전문성과의 통합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다문화교육의 실천 가능성에 기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그림책활용 유아다문화교육 수업에서 표출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 분석

        김정원 ( Jung Won Kim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3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다문화교육 수업을 통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유아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40명이 8주간에 걸쳐 진행된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다문화교육 수업에 참여하면서 작성한 반성적 저널을 지속적인 비교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본 연구의 그림책활용 유아다문화교육 수업에 참여하면서 유아다문화교육의 실천 현장에서 다문화교육의 교육적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좋은 그림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학습자인 유아들의 문화적 유능감을 향상시키고 유아교사 자신들의 문화적 반응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효과적인 자료임을 깨닫게 되었다. 또한 예비유아교사들은 유아다문화교육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다문화 유아들뿐만 아니라 주류문화 유아들을 모두 교육의 대상에 포함시켜야 하며 교육의 목적도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유아들이 서로의 문화를 진정으로 이해하고 수용함으로써 정의와 평화가 공존하는 사회를 이루는 것이라고 인식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은 자신을 돌아보는 과정을 통하여 편견을 인식한 후 이를 극복하는 과정을 시작으로 다문화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인 정의와 평화가 공존하는 사회를 이루기 위한 유아 교사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by analyzing the reflection journals collected from ``the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clas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0 pre-service teachers in the field of early child education in N-gu, Seoul, Korea. To analyze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their reflection journal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terms of their views on multicultural picture books, student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importance of the teacher`s role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teachers appreciated the value of multicultural picture books as teaching materials in the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also for increasing their own cultural responsiveness. Second, the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at all the children in our society ought to be students of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not only the children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but also the children in the mainstream culture. And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obtained useful ideas for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Third, the pre-service teachers came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teacher`s role in a quality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유아 다문화 교육의 현실과 교육적 대안

        오채선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8 유아교육학논집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real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through literatures and research reviews. Also this paper presents the educational alterna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with considering the social changes and policy issues. To do so, firstly, it is reviewed the real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as 3 aspects, which are conceptions and practic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subj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and direc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As a result, the conceptions and practic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has changed from ‘tourist curriculum' and 'anti-biased curriculum' to the 'multiethnic' education. The subj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is changed from general children to minority children.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is changed from the understanding of diversity and overcome of anti-bias to the offer of educational equity and improvement of children's ability. Secondly, The educational alterna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was discussed by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 in early childhood, the approach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identity education from an educational point of view. Thirdly, the multicultural teacher was discussed by the important factor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다문화 교육 연구와 문헌들을 종합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유아 다문화 교육 현실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현재 우리 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사회적 변화와 정책적 변화 등을 인식하면서 우리 실정에 맞는 유아기 다문화 교육에 관한 교육적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유아 다문화 교육의 현실을 유아 다문화 교육의 개념 인식 및 실천, 유아 다문화 교육의 대상, 유아 다문화 교육의 방향의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이때 유아 다문화 교육의 개념 인식 및 실천은 관광 식 교육과정, 반 편견 교육, ‘다인종’ 교육과 ‘소수민족’ 교육으로 변화하였으며, 유아 다문화 교육의 대상은 일반 유아에서 소수 민족 유아로 변화하였고, 유아 다문화 교육의 방향은 다양성 이해와 편견 극복에서 균등한 교육기회 제공과 능력 향상으로 변화하였다. 둘째, 유아기 다문화 교육에 관한 현실을 토대로 교육적 견지에서 바람직한 다문화 교육의 실천 대안을 유아 다문화 교육의 실천 관점, 유아 다문화 교육의 접근, 정체성 교육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셋째, 유아 다문화 교육에서 중요한 요인으로서 다문화적 교사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은유 분석을 통해 본 다문화 교육에 대한 유아 교사와 예비 유아 교사의 인식 차이

        노경남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4

        The changed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aims at the equal education, has increased the needs to develop the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As the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and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is related to the perception on the multiculture, its change was analyzed through metaphorical expression. It was categorized as ‘harmony and integration’, ‘social justification’, ‘expansion’, ‘task’, ‘embracement’ and ‘limit’ through the systematic metaphor analysis step from 347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316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 perceived ‘limit’ as the highest and ‘task’ and ‘embracement’ as low while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harmony and coexistence’ as the highest, and ‘limit’ as low, which is interpreted as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implementing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the fact that they commonly perceived ‘social appropriateness’ as high refers that they perceiv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s essential and basic education. Third, the perception on ‘task’ i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suggests that the development of teacher’s competence is important and the multiculture-friendly educational environment for the implementation of fruitful multicultural education needs to be built. 평등교육을 지향하는 다문화교육은 교사의 다문화 교수역량 계발의 필요성을 더욱 증가시켰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수역량은 다문화교육 인식과 관련이 있으므로 은유적 표현을 통해 인식을 파악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예비유아교사 347명, 유아교사 316명으로 체계적 은유 분석 단계를 통해 ‘조화와 통합’, ‘사회적 당위성’, ‘확장’, ‘과제’, ‘포용’, ‘한계’로 범주화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유아교사는 ‘한계’를 가장 높게, ‘과제’, ‘포용’을 낮게 인식하였고, 예비유아교사는 ‘조화와 공존’을 가장 높게, ‘한계’를 낮게 인식하였다. 이는 다문화교육 실행 경험의 유무에 따른 변화의 차이로 해석된다. 둘째, 공통으로 ‘사회적 당위성’에 대해 높게 인식하는 것은 다문화교육을 필수, 기본교육으로 파악하고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과제’에 대한 높은 인식은 교사역량 계발의 중요성과 내실있는 다문화교육 실행을 위한 다문화 친화적 교육환경 조성의 필요를 제기하는 것이다.

      • KCI등재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활용한 유아세계시민 관련 연구동향 및 교육담론 분석

        양진희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relation to democratic civic educ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nd peac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o do this, the network text analysis was conducted for 249 articles published in KCI journals and domestic dissertations published from 2000 to 2018. The analysis subjects of analysis were collected through searching in the RISS database offered by the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KER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e most published articles were 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issues also were concentrated in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econd. the keyword that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in five educational discourses were ‘multi-culture’ followed by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perception’, ‘early childhood teachers’, ‘children’, ‘multicultural family’, ‘experience’, ‘activity’, ‘program’, ‘understanding’, ‘attitude’, and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in consecutive order.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core keyword network node centrality, ‘multiculturalism’ and ‘perception’, ‘activity’,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program’,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had a high degree centralit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s that early childhoo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at the level of social education wher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families, and regional communities are interconnected, and the definition of a concept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also be redefined to resolve multiplicity and ambiguity. 본 연구는 유아세계시민교육을 지표로 하여 관련 연구인 유아민주시민교육, 유아다문화교육, 유아국제이해교육, 그리고 유아평화교육의 계열적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5개 교육담론 간 특징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00년부터 2018년까지 발표된 국내 학위논문과 KCI 등재지에 게재된 학술논문 249편을 대상으로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대상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제공한 데이터베이스(RISS)에서 상세검색을 통해 수집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다문화교육을 주제로 한 논문이 가장 많이 발표되었으며, 유아다문화교육에 대한 담론이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5개 담론을 중심으로 살펴본 주요 핵심어는 연구주제와 관련된 ‘다문화’가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으며, 다음으로 ‘유아다문화교육’, ‘인식’, ‘유아교사’, ‘유아’, ‘다문화가정’, ‘경험’, ‘활동’, ‘프로그램’, ‘이해’, ‘태도’, 그리고 ‘다문화유아’ 등의 순으로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셋째, 주요 핵심어 네트워크 노드 중심성을 분석한 결과, ‘다문화’와 ‘인식’, 그리고 ‘활동’과 ‘유아교사’, ‘프로그램’, ‘경험’, ‘이해’ 등이 높은 중심성의 위치를 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유아세계시민교육은 유아교육기관, 가정, 그리고 지역사회가 상호 연계된 사회교육 차원에서 연구의 방향이 이뤄져야 할 뿐만 아니라, 세계시민교육의 개념 정의 또한 다층성과 모호함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육 실행능력 간의 관계: 다문화교육 인식 매개 효과

        권연정,이미화,송나리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2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육 실행능력 간의 관계:다문화교육 인식 매개 효과권 연 정*ㆍ이 미 화**ㆍ송 나 리*** 요약: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이 다문화교육 실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인식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사립유치원 교사 221명을 대상으로 설문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빈도분석, Pearson의 상관분석, 회귀분석, Sobel-test 방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 다문화교육 실행능력, 다문화교육 인식 모두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육 실행능력 간의 관계에서 다문화교육 인식을 매개로 하였을 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준비 정도를 예측하고 나아가 유아 다문화교육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할 것으로 기대한다. 핵심어: 다문화감수성, 다문화교육 실행능력, 다문화교육 인식, 유아교사, 매개효과 □ 접수일: 2022년 3월 8일, 수정일: 2022년 3월 25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0일* 주저자, 성신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박사과정(First Author, Doctoral Course, Sungshin Women’s Univ., Email: kyj9778@naver.com)** 공동저자, 성신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박사과정(Co-author, Doctoral Course, Sungshin Women’s Univ., Email: zzxx1109@naver.com)*** 교신저자, 성신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강사(Corresponding Author, Lecturer, Sungshin Women’s Univ., Email: nari0148@hanmail.ne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Ability to Practice MulticulturalEducation: The Mediation Eff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PerceptionYeonjung Kwon, Mihwa Lee, & Nari Song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effect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on multicultural education execution ability. To this end,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221 teachers i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an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of Pearson,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test method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al education execution abilit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perception all had a positive correl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execution abi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significant effect and a partial mediating effect when multicultural education awareness was mediated.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will predict the degree of prepara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nd further seek directions to actively cope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for infants. Key Words: Multi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al Education Executive Ability, Multicultural Education Perception, Early Childhood Teacher, Mediating Effect

      • KCI등재

        예비유아특수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다문화 신념과 다문화 효능감 비교

        권미지,이미아,권미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3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6 No.4

        본 연구는 예비유아특수교사와 예비유아교사 간 다문화 신념과 다문화 효능감을 비교분석한 연구로, 대상자의 배경변인(학년, 종교, 출생 후 성장도시, 경제적 수준, 다문화 관련 수강 경험 유무)에 따라 다문화 효능감과 다문화 신념에 차이가 있는지, 다문화 효능감과 신념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광주․경남․대구․충남 소재의 7개 대학교의 유아특수교육과 학생 184명, 유아교육과 학생 171명 총 3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예비유아특수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효능감에서는 두 집단 간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다문화 신념에서는 예비유아특수교수가 예비유아교사에 비해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신념의 하위 영역 가운데 다문화 민감성과 다문화 기관풍토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배경변인에 따라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공과 학년, 다문화 관련 수강 경험 유무가 다문화 신념과 다문화 효능감에서의 차이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유아특수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신념과 다문화 효능감 간의 관계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원양성기관 담당자들이 대학 내 예비교사들을 위한 다문화 교육을 제공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이며, 나아가 예비교사의 전공특성에 따른 다양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re-servic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in multicultural belief and teacher efficacy. A participants of 355 pre-service education teachers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ing.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pre-servic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in teacher efficacy. However, pre-servic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s multicultural beliefs were higher than thos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There were differences in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organization climate. The study findings indicated that the multicultural belief and teacher efficacy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major, grade, multicultural education's experience. Also,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e-service education's multicultural belief and teacher efficacy.

      • KCI등재

        은유와 이미지를 통해 본 유아교사의 다문화가정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남기원(Ki-won Nam),이수연(Su-youn Lee)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8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27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지역의 유아교사 191명을 대상으로 유아교사의 다문화가정에 대한 인식을 점검하고 다문화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다문화 가정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유아교사의 다문화 가정에 대한 인식 유형에 따른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1과 2를 위해 연구대상자들의 언어적 은유를 자료로 수집하고, 연구문제 3을 위해 은유적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는 다문화 가정에 대해 ‘다양성을 가진 가정’ ‘우리와 공존하는 가정’ ‘우리사회의 동화에 어려움을 가진 가정’ ‘내재적 문제를 가진 가정’ ‘나와 다른 낯선 가정’ ‘창조적 문화를 창출하는 가정’ ‘사회적 약자인 가정’ ‘특별한 가정’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는 다문화교육에 대해 공존의 가치를 추구하는 교육, 다양성을 인정하는 교육, 필수적인 교육, 미래를 준비하는 교육, 실행하기 어려운 교육, 편견을 없애주는 교육, 내가 경험한 교육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은유분석을 통해 범주화된 다문화가정에 대한 긍정적 인식유형과 부정적 인식유형에 기반하여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미지 분석한 결과 유아교사는 두 범주 모두에서 다문화교육에 대해 긍정적 기대와 방향성을 가지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explore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191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area.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multicultural families? Second, what is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Third, what is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type? For the research questions 1 and 2, the linguistic metaphors of the subjects were collected and the metaphorical images were analyzed for the research question 3 as follows. Fir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ware of multicultural families ‘ family with diversity’, ‘coexistent family with us’, ‘family with difficulties in assimilation of our society’, ‘family with inherent problems’, ‘unfamiliar family with me’, ‘weak family’, and ‘special family’.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cognized the multiculture education that there were the education pursuing the value of coexistence, education to recognize diversity, essential education, preparation for the future, education that is difficult to execute, education for the elimination of prejudice, and an educational method for multiculture. Third, as a result of image analysis of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positive recognition type and negative recognition type for multicultural families categorized through metaphor analysis,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positive expectations and direction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in both categories.

      • KCI등재

        다문화교육 정책학교(유치원) 유아교사들의 경험 탐색

        조민지 ( Jo Min-ji ),황인애 ( Hwang In-a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연구 Vol.41 No.3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 정책학교(유치원) 유아교사들의 경험과 운영 개선을 위한 요구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충청남도에 소재한 다문화교육 정책학교(유치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심층면담을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들의 경험을 살펴보면, 다문화교육 정책학교(유치원)에서는 운영 지원을 통해 다문화교육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었다. 다문화교육은 교육과정 전반에 걸쳐 다루어지고 있었으며 유아교사들은 그 과정 속에서 유아들이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며 다문화에 대한 이해가 높아짐을 발견하였다. 또한 유아교사들은 다문화교육 실행 경험을 통해 다문화교육 역량을 갖춘 교사로 변화됨을 느끼고 있었다. 둘째, 운영 개선을 위한 유아교사들의 요구를 살펴보면, 유아교사들은 다문화교육 운영에 있어 유치원의 현실 상황을 고려한 운영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또한 다양한 요구를 지닌 부모를 위한 맞춤형 부모교육 지원이 필요하며, 다문화교육 전문가의 역량 강화와 인력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질 높은 다문화교육 현장을 위해서는 유아교사에게 적합한 다문화 교육연수 및 인프라가 구축되기를 희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문화교육 정책학교(유치원) 뿐만 아니라 유아교육현장에서 효과적으로 다문화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기초자료와 다문화교육 정책이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School (kindergarten) and their necessity to improve the operations. To fulfill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infant teachers working a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School (kindergarten) in Chungcheongnam-do.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infant teachers,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School (kindergarten) actively conducted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the operation support. Multicultural education was administered throughout the curriculum. The infant teachers observed their students recognizing each other’s differences and acquiring an increased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ism. Early childhood teachers also felt that they were transformed into the teachers equipped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ies through their experience in implementing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regarding the necessity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improve the operations, the participants expressed the need to establish operational measures considering the reality of kindergartens in operating multicultural education. A customized parental education support was suggested for parents with various needs, and the requirement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ts and the human resources support was indicated. The participants asserted their hope to establish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raining and infrastructure suitable for infant teachers at high-quality multicultural education si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s the basic data and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that can contribute toward an effective practi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well as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schools (kindergartens).

      • KCI등재

        다문화보육 실천 어려움에 관한 연구: 보육교직원의 다문화보육 컨설팅 사전질문지 내용 분석을 바탕으로

        김혜영 한국유아교육학회 2023 유아교육연구 Vol.43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early childhood educators’ challenges when enacting multicultural pedagogy in early childhood settings. The study employed ‘attribution theory’ as a theoretical framework.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utilized as a data analysis method to examine the underlying mechanism which shapes early childhood educators’ experiences of enacting multicultural pedagogy. The unit of analysis consisted of 171 early childhood educators’ pre-consulting questionnaires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The study revealed that early childhood educators faced two strands of difficulties: first, the challenges of caring and educating children from non-dominant cultures, and second, the challenges of enacting multicultural pedagogy in early childhood settings. It was observed that the early childhood educators attributed differently per challenge and made several attribution errors. By examining the attribution errors,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majority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held rather deficit perspectives towards marginalized children and families, based on the assimilation approach. In addition, many early childhood educators understood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a tourist curriculum approach.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specific curricular contents that should be addressed during multicultural education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early childhood educators. 본 연구는 다문화보육 실천에 어려움을 느끼는 보육교직원의 내면을 이해함으로써 추후 보육교직원 대상 다문화교육을 실시할 때 보다 전략적이고 효과적인 교육을 구상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이론적으로는 ‘귀인 이론(attribution theory)’를 사용하고 방법론 적으로는 ‘질적 내용 분석(qualitative content analysis)’을 사용하여 보육교직원이 작성한 컨설 팅 사전질문지 171건을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보육교직원이 언급한 어려움은 크게 다문 화 영유아를 보육하며 겪는 어려움과 다문화보육을 현장에서 실천하려 할 때 겪는 어려움, 두 가지로 분류되었다. 보육교직원은 각 어려움의 요인을 다르게 귀인하였는데, 이는 귀인 과정에 서 발생하는 여러 오류가 작용한 결과로 이해할 수 있었다. 다양한 귀인 오류의 발생 원인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많은 보육교직원이 문화결핍 패러다임 및 동화주의적 사고를 바탕으로 다 문화 영유아 및 양육자를 이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다문화보육의 목적, 실천 방법 등에 대해서도 관광식 접근법이라는 잘못된 인식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 으로 보육교직원 대상 다문화교육 내용 구성에 도움이 되는 제안을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