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책논문 : 2012년 여수 세계박람회의 경제적 파급효과와 지역발전 전략

        김상호 ( Sang Ho Kim ) 한국경제통상학회(구 한국경상학회,한국국민경제학회) 2011 경제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입지상접근법을 활용하여 작성한 투입산출 모형을 통해 2012 여수엑스포가 전남에 가져올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다. 분석결과, 2012 여수엑스포는 약 46,468~42,369억 원에 달하는 생산증가를 가져올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는 엑스포개최를 위한 총 투자비의 약 1.95~1.77배에 달하는 액수이며, 2008년 전남 총 산출액의 2.36~2.58% 정도에 해당한다. 여수엑스포는 약 84,323~67,891명에 이르는 고용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2008년 전남의 총 취업자 수인 904,000명의 7.5~9.3%에 해당한다. 여수엑스포는 약 9,006~8,389억 원의 소득증가를 불러올 것으로 관측되었다. 이는 2008년 전남의 총 요소소득인 360,217억 원의 약 2.3~2.5%에 달하는 액수이다. 이 행사의 경제적 효과는 서비스업 부문에서 매우 높게 나타나 서비스업 산업의 상당한 호황이 예상된다. 제조업에 대한 파급효과는 상대적으로 작으나 음식료, 화학, 제1차금속 및 비금속광물 산업 등에 전체 생산효과의 18~20%가 집중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는 엑스포의 경제적인 파급효과의 극대화를 통해 지역발전을 극대화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is to estimate economic impacts of EXPO 2012 YEOSU by adopting a regional input-output model, which is derived by a location-quotient approach. EXPO 2012 requires huge initial investments to construct infrastructure and exhibition facilities, and induces both domestic residence and foreigners to visit Geonnam region. These initial direct impacts will cause backward and forward indirect effects to various industries that are linked with the industries boosted by initial investments. Estimation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EXPO 2012 YEOSU will increase the region`s outputs approximately by 4646.8~4236.9 billion Won, employment by 84,323~67,891 people, and total income by 900.6~838.9 billion Won. (2) The estimated production increase is about 1.95~1.77 times of the total investments made by governments, and amounts to about 2.36~2.58% of the total production of Geonnam Province in 2008. The increased employment and income are equal to about 7.5~9.3% and 2.3~2.5% of the total employment and income of Geonnam in 2008, respectively. (3) Economic impacts are mostly concentrated in services related industries, except several manufacturing industries including the food, chemical and basic metal industries that account for about 18~20% of the total output increase. The paper also provides various policy suggestions to boost regional development in connection with EXPO 2012 YEOSU.

      • KCI등재

        2012여수세계박람회 개최효과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과 평가

        김영기 ( Young Khee Kim ),이정록 ( Jeong Rock Lee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5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8 No.3

        이 연구는 2012여수세계박람회 개최효과에 대한 여수지역 주민의 인식과 평가를 분석한 것이다. 여수지역 주민은 여수세계박람회 개최효과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였고, 비교적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여수세계박람회 개최에 따른 도시발전효과를 측정한 결과, 평점은 5점 만점에 3.61점이며, 종합 만족도는 65.2%로 분석되었다. 지표별 인식 및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수도권을 비롯한 주요 대도시와의 접근성 향상이 79.4%로 가장 높았으며, 도시미관 개선(72.1%), 관광객 증가(70.4%), 시민 자긍심 향상(69.0%), 도시이미지 및 도시위상 제고(67.8%), 도시 내부 교통여건 개선(66.2%), 관광인프라 개선(60.5%), 지역경제 활성화(51.3%), 국제화(49.7%) 순으로 만족도를 보였다. 여수지역 주민은 여수세계박람회 개최를 계기로 축적한 교통관련 인프라 확충이 여수시 도시발전을 약 11년 정도, 주거환경 개선이 도시발전을 약 8년 정도 각각 앞당긴 효과를 제공했다고 평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idents’ perceptions and assessments of impacts of the EXPO 2012 Yeosu Korea, hosted from May 15 to August 15, 2012. Residents of Yeosu area, in general, assessed the impacts of the EXPO highly positively and showed as a high degree of satisfaction. They evaluated the urban development effects of the EXPO as a 3.61 point in a 5 point scale and a total degree of satisfaction of 65.2%. In terms of perception and satisfaction index, it showed that 79.4% of an improvement of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72.1% of an urban environmental improvement, 70.4% of an increase in visiting tourists, 69.0% of a raising of self-esteem as Yeosu citizens, 67.8% of an improvement of city’s image, 66.2% of an enhancement of inner city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60.5% of an enhancement of infrastructure of tourism, 51.3% of an local economy vitaliation, and 49.7% of a globalization effect in order. In conclusion, through the hosting of the EXPO 2012 Yeosu Korea, residents of Yeosu area assessed, the urban development in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was moved advanced by eleven years and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by eight years.

      • KCI등재

        2012여수세계박람회의 도시발전효과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인식과 평가

        이정록(Jeong-Rock Lee),김영기(Young-Khee Kim),이민석(Min-Seok Lee),장문현(Mun-Hyun Jang) 한국지역지리학회 2016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2 No.2

        이 연구는 2012여수세계박람회의 도시발전효과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인식과 평가를 분석한 것이다. 전문가 집단은 여수세계박람회 개최로 인해 나타난 교통체계 및 접근성 개선, 지역경제 활성화, 관광시설 확충과 활성화, 도시 미관 및 도시재생, 도시이미지 및 국제화 등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과 태도를 하였다. 특히 수도권과 접근성 향상, 여수와 주변지역 간 접근성 개선, 지역경제 활성화, 도시이미지 향상, 관광객 증가, 관광숙박시설 및 관광관련 인프라 확충 등에 대해 매우 우호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전문가 집단은 광역교통망 확충에 의한 도시발전이 약 9.5년, 도시주거환경 개선으로 인해 도시발전이 약 9.4년 정도 앞당겨졌다고 평가하였다. 전문가 집단은 여수세계박람회 개 최로 ‘해양관광도시’라는 여수의 도시 이미지가 강화되었다고 평가하였고, 이런 도시 이미지를 고려해 도시의 미래상을 해양관광도시로 지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ecialist groups’ perception and assessment on the urban development impacts by the EXPO 2012 Yeosu Korea, hosted from May 15 to August 15, 2012. In general, the specialist group positively evaluate about the urban development impacts of the 2012 Yeosu EXPO. They assess considerably positively, in particular on the enhancement of accessibility toward the capital region from Yeosu city, the 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the improvement of the city image, the invigoration of tourism resulted from the expansion of tourists accommodation facilities. In addition, they appraise that the urban development of Yeosu city would be advanced about 9.5 years in the wider transportation network and about 9.4 years the improvement of urban residential environment through hosting of the EXPO. They agree with that the image of Yeosu city as a site of marine tourism wa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EXPO.

      • KCI등재

        2012여수세계박람회에 대한 해외언론의 보도추이 분석: 언어 네트워크 분석기법을 중심으로

        김영기 ( Young Khee Kim ),이정록 ( Jeong Rock Lee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4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7 No.4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개최된 2012여수세계박람회는 해양을 주제로 2012년 5월부터 8월까지 전남 여수시에서 열렸고, 여러 측면에서 성공적인 메가 이벤트로 평가를 받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여수세계박람회 유치 및 개최를 전후로 해외 언론은 여수를 어떻게 보도해 왔는가를 시기별로, 동·서양으로 구분하여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해외 언론들은 여수세계박람회를 기술적 첨단성과 문화적 독창성을 접목시켜 주제를 효율적으로 구현한 엑스포로 평가하였다. 특히 엑스포 유치 전 단계에서는 여수를 한국의 남쪽 끝에 위치한 작은 항구로 보도하였지만, 엑스포유치 이후 및 개최과정에서는 여수를 엑스포를 개최한 발전 잠재력을 아름다운 항구 도시이자 아시아 무역항로의 중심이며 해양생태 복원의 중심도시로 보도하였다. 이런 해외 언론의 보도 내용과 태도는 엑스포 개최가 여수의 국제적인 도시이미지 변화에 일정한 기여를 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It has widely been recognized that the EXPO 2012 Yeosu Korea was a succeeded mega event,according to, at least, the international media’s attention and reports. This study analysed and comparedthe trends of the international media’s reports on Yeosu in terms of before, preparing, during, and, afterperiods of the event, through a semantic network analysis. It was revealed that the images of Yeosu havedramatically been upgraded. The city of Yeosu, before the event, was a small port city of South Korea’ssouthern part of peninsula. The city, after the nomination for the next host city of the exposition, wasdescribed to a city who had a full potentiality to host a world exposition, not a southern port city of SouthKorea. After the event was opened, Yeosu was a city of cutting-edge technology and cultural creativity,who had contributed to solve our humankind’s pending ecological problems. Even after the events closed,Yeosu was continuously impressed as a ex-city of world exposition, a hub city of Asia trade, and a centerfor marine ecological restoration. It was suggested that extended monitoring, differentiated communicationstrategies, long-term planning, and professionalization of the staffs.

      • KCI등재

        2012여수세계박람회가 여수지역에 미친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이정록 ( Jeong Rock Lee ),이철 ( Cheol Lee ),나주몽 ( Ju Mong Na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5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8 No.2

        2012여수세계박람회는 2012년 5월부터 8월까지 전남 여수시에서 개최된 대표적인 특별 이벤트에 해당한다. 특별 이벤트가 개최된 후에는 이벤트 개최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 연구들이 다수 발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여수세계박람회가 개최된 후에도 관련연구가 지금까지 부재하였다. 이런 문제점에 의거하여 이 연구의 목적은 여수세계박람회 개최가 여수지역에 미친 경제적 파급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여수세계박람회 개최는 여수지역에 실질적인 경제적 파급효과를 제공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사업체수 증가, 사업체의 종합소득세 증가가 구체적으로 나타났고, 관광관련 업종인 음식점과 숙박업에서 뚜렷한 증가세를 보였다. 입지상법에 의한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결과를 보면, 여수지역 내에 생산유발 85,783억 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29,996억 원, 소득유발 15,863억 원, 고용유발 5만 3,512명이 발생하였다. 여수지역 내에서 발생한 관광부문의 경제적 파급효과는 생산유발 38,097억 원, 소득유발 6,507억 원, 부가가치유발 13,701억 원, 고용유발 25,313명 등으로 분석되었다. The EXPO 2012 Yeosu Korea is a leading special event held in Yeosu city, Jeonnam Province from May to August 2012. It is a general expectation to encounter many research papers on the analyses of economic impacts of special event after the event was held. As far as we found, however, there is no related research. With based on these issues,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identify and examine the economic impacts of the EXPO 2012 Yeosu Korea in hosting area, Yeosu area. The economic impacts of EXPO 2012 Yeosu Korea in Yeosu area are as follows; increase of total number of business, increase of total amount of global income tax, in particular, tourism related business such as food and hospitality sectors,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about 8 trillion and 5,783 billion won in the entire industrial sector, and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about 3 trillion and 8,097 billion won in the tourism related industrial sector.

      • KCI등재후보

        세계박람회 주제구현과 주제적용분야에 관한 연구 -2012 여수세계박람회를 중심으로-

        하지혜 ( Ji Hye Ha ),유진형 ( Jin Hyung Yo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8 No.2

        (연구배경 및 목적) 세계박람회를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먼저 주제를 어떻게 구현하고자 하는 목표가 분명해야 할 것이다. 주최국에서는 주제를 구현하기 위해 가장 효율적으로 분배하고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해 주어야한다. 세계박람회의 위상과 개최여건이 크게 변화함에 따라 주최국의 입장에서 오늘날의 세계박람회가 과연 무엇을 위해 개최되는지, 그리고 목적하는 바를 이루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명확하게 제시해 주어야 한다. (연구방법)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세계박람회의 개최 환경 및 주제의 변화를 살펴보고 주제구현 사례로 2012여수세계박람회의 참가국가이드라인 주제 매트릭스 틀로 분석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21세기 세계박람회의 주제는 친환경을 강조하고 있으며 향후 친환경적인 라이프스타일을 강조하는 주제로 진행될 것이다. 여수세계박람회의 주제 매트릭스 분석결과 주제구현에 있어 매우 미흡한 점이 많이 발견되었으며 그것을 보안하여 우리나라에서도 등록박람회가 열리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foremost priority while preparing for a successful World Expo is to provide a clear objective concerning the development of the theme. It is imperative for the host country to adopt the most effective measures to subdivide and utilize the main theme. As the World Expo`s relevance as well as the conditions of its hosting have significantly changed over time, the organizer must clarify the ultimate purpose of hosting the event, and indicate the specific measures for attaining the goals. (Method) This study provides a theoretical examination of the World Expo and looks at the thematic development of Expo 2012 Yeosu, Korea. The changing environment surrounding the expos is examined by the study of documents. Moreover, the success factors and theme-oriented approaches are indicated. The thematic matrix laid out in the Participation Guide is used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illustration of the theme of Expo 2012 Yeosu Korea. (Result) The themes of the 21st century expos highlight environment friendliness. An increasing emphasis will be placed on ecologically friendly lifestyles in the future expos. The analytical results of the thematic matrix of Expo 2012 Yeosu Korea indicate many areas for improvement. It is hoped that Korea will be able to host a registered exposition by implementing these measures for improvement.

      • KCI등재

        2012 여수세계박람회 준비의 실효성 평가

        최창호(Changho Choi) 한국항만경제학회 2013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29 No.1

        2012년 5월 12일부터 8월 12일까지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2012여수세계박람회가 개최되었다. 105개국 및 10개 국세기구가 참가한 이번 대회의 관람객은 820만 명에 이른다. 본 연구는 여수엑스포 준비의 실효성을 평가하였다. 교통 분야를 중심으로 교통대책의 수립과 집행 과정에서 나타난 특이사항을 파악하여 향후 우리나라에서 개최되는 대규모 국세행사에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규모 국제행사의 교통대책을 수립할 때는 개최지역의 지리적 특성과 교통수단의 통행저항을 적절하게 반영해야 한다. 둘째, 중앙정부와 지자제의 업무분장을 명확히 하여 이로 인한 갈등과 예산낭비 및 교통대책의 비효율을 예방해야 한다. 셋째, 교통운영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교통안내의 효율성을 확보해 관람객의 혼란과 불편을 최소화 시켜야 한다. 넷째, 교통대책의 대외적 객관성과 합리성을 확보해야 하고 이를 토대로 시기적절한 예산조달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International Exposition Yeosu Korea 2012 was held from May 12th 2012 to August 12th 2012 in New Port area of Yeosu-city, Jeollanam-do, Korea. 105 Nations and 10 international organizations participated in this mega event, and the total number of visitors amounts to 8.2 million. This study appraises the effectiveness of preparation for Yeosu Exposition.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is not on criticizing the problems that occurred in the transport measures. Instead, it looks at the current aspects of establishment and execution process and suggests how they can be applied differently in future transport management for international mega events held in Korea.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establishing transport management plans for international mega events, the geographical features and trip resistance of the venue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Second, tasks should be distributed distinctly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 in order to prevent any dissension or inefficiency. Third, transport management needs to be consistent and transport guidance should be efficient in an effort to minimize visitor inconvenience. Last, transport management must be regarded as objective and rational from the outside view and the budget should follow timely based on this account.

      • KCI등재

        2012여수세계박람회 후속 해양스포츠 도시모델연구

        김민철(Min Cheol Kim) 한국사회체육학회 2010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41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strategy to develop Yeosu into marine city through EXPO 2012 YEOSU KOREA and city model for water sport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Yeosu which is going to hold international marine event in 2012.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Yeosu is going to be easy of access from other cities and implement SOC and should hold many kinds of water sports events throughout the EXPO period so that Yeosu makes their own image as a marine city and should develop a traditional water sports festival in the city. Second, after the EXPO to utilize the exposition ground and the facilities of SOC and facilities for leisure, Yeosu should construct leisure water cluster that is connected to tourism, sports, marine resources. The types of clusters that could be constructed in Yeosu are sports type, professional type, well-being and recreation type, experience type. Third, a possible future for water sports is a cruise ship industry, to share water sports facilities with neighboring cities of south coast, to attract water sports events, to change the structure of the exposition ground that integrates water sports as a leisure industry. Yeosu have to prepare some method to utilize the exposition ground after the EXPO. If Yeosu couldn` t utilize the exposition ground properly, the city may be confront with some problems. But through water sports, Yeosu will overcome those problems. And through city model for water sports that is suggested in this study, local government can develop their city with less budget.

      • KCI등재

        여수세계박람회 서비스품질, 감정반응, 지각된 가치 및 만족 간 구조적 인과관계

        김주연(Ju-Yeon Kim),최현주(Hyun-Joo Choi),안경모(Kyung-Mo Ahn)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3

        본 연구는 2012여수세계박람회의 서비스품질이 참관객의 긍정적 감정반응,지각된 가치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우선, 여수세계박람회의 서비스품질 척도를 전시컨텐츠, 공연의 질, 인적서비스, 접근?편리성, 소요비용 5가지 차원으로 구성하였다. 각 구성개념간의 영향관계 분석결과, 전시컨텐츠, 공연의 질, 소요비용이 참관객의 긍정적 감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 중 전시컨텐츠가 참관객이 느낀 긍정적 감정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가치에 있어서는 전시컨텐츠, 소용비용과 접근편리성이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으며, 그 중 박람회 관련 소용비용이 지각된 가치에 가장 높은 영향력을 가졌으며, 접근편리성,전시컨텐츠 순으로 파악되었다. 참관객이 박람회서비스에 대해 느낀 긍정적 감정과 지각된 가치는 모두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이 중 참관객의 긍정적 감정이 지각된 가치보다 다소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This research has analyzed the influence of Yeosu Expo’s service quality on emotion,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First of all, the Yeosu Expo’s service quality scale was composed with five types of levels : exhibition contents, quality of performance, human service, approach? convenience and necessary expense. As the result of influence analysis, exhibition contents, quality of performance and necessary expense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attendee’s positive emotion. Exhibition contents, necessary expense and approach?convenience to approach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in perceived value, and necessary expense related to the expo had the highest influence among the three values. Also, the attendee’s positive emotion and perceived value towards service from expo was analyzed to have satisfactorily significant influence.

      • KCI등재

        이벤트 자원봉사자의 사회적 자본과 조직시민행동에 관한 연구 - 2012여수세계박람회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

        곽서연,강순화 한국자치행정학회 2014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8 No.4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 형성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이벤트 자원봉사자의 사회적 자본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이벤트 운영과 관련된 실천적 함의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선행연구와 이론을 근거로 이벤트 자원봉사자의 사회적 자본은 대인신뢰, 기관신뢰, 규범, 네트워크로 자원봉사자의 조직시민행동은 이타행동, 양심과 배려, 시민정신, 스포츠맨십 항목으로 설문을 구성하여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밝히는데 일차적인 목적을 둔다. 또한 이벤트 자원봉사자의 경험유무에 따라 조직시민행동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 이벤트 자원봉사자 사회적 자본이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력이 있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이벤트 자원봉사자의 경험유무에 따라서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벤트 자원봉사자 조직에서 자원봉사자 관리에 적용하고 실천적이고 정책적인 함의를 도출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The object is that this research pays attention to importance of social capital formation and investigates the influence that the social capital of the event volunteers reaches on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proposes the practical undertone related to the event management.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xperienc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the event volunteers, it tries to compare whether there is the difference which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ow is or not. For this, on the basis of the preceding research and theory, the volunteer's the social capital of the event volunteers comprises the survey through the adult confidence, trust of institution, norm, and network in the altruistic behavior, conscience and consideration, citizenship, and sportsmanship item and the causal sequence between variables is clearly made public and the first purpos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xperienc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the event volunteers, it tries to compare whether there is the difference which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ow is or not. It confirmed positive that there is the influence that result of this research and event volunteers social capital is positive to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xperienc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the event volunteer,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the difference noted to the organized citizen's action. In the event volunteer organizati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pplies to the volunteer administration and draws the undertone which is practical and political and will become basic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