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씌어지지 않은 것을 읽기”: 점술의 사유와 이미지 사유

        최화선 종교문화비평학회 2019 종교문화비평 Vol.36 No.36

        In the Mnemosyne Atlas, on which German art historian Aby Warburg was working until his death in 1929, nearly a thousand images of human history are arranged side by side across time and space. The first panel of this work unexpectedly shows images used in ancient Babylonian and Etruscan divination. These images insinuate that both religious thinking and artistic production started when human beings, who are situated somewhere between upward sidereal and downward visceral, began to apprehend the “intimate and secret relations of things, correspondences and analogies” among dissimilar things in the world. However, in the discussion of Warburg’s image science, his interest in divination and human imagination that connects the most disparate things together has been treated as suspicious or pseudo-religious. Apart from the lively discussions on the image-thought opened up by the Mnemosyne Atlas, Warburg’s interest in ancient divination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from scholars of religious studies. This lack of attention is related to the negative perception of divination based on the ambiguity of the divisions of religion / divination / magic, the prejudices against divination, the political use of divination in many examples of ancient history, and the dichotomy of reason and irrationality. In recent years, attempts to explore divination-thought in a new way have been undertaken in several areas. In this essay, I examine divination-thought while focusing on the imagination of religion and the arts, especially with the helpful insights of French art historian Georges Didihuberman. With examples from the clay model of a sheep’sliver in ancient Babylonian divination and the Etruscan “Piacenza's liver,” the discussions about divination in Plato, and the works of contemporary Korean artist Youngzoo Im, I offer another montage of divination-thought and imagethought which cuts across time, space, and discipline via imagination and intuition. 독일의 미술사가 아비 바르부르크(Aby Warburg)가 1929년 세상을 떠나기 직전까지 작업하고 있던 <이미지아틀라스 므네모쉬네(이하 <므네모쉬네>)>에는 1000장에 가까운, 인류 역사의 수많은 이미지들이 시간과 공간을 넘나들며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이미지를 통한 사유’라는 바르부르크의 독특한 관심사를 가장 극명하게 보여주는 이 작업의 첫번째 패널에는 뜻밖에도 고대 바빌로니아와 에트루리아의 점술판이 등장한다. <므네모쉬네>를 시작하는 이미지들은, 하늘의 별과 동물의 내장 사이 어딘가에 위치한 인간이 이질적인 외부세계의 실재들 사이에서 무엇인가 “친밀하고 비밀스러운 상응관계, 유비관계”를 포착하는 순간 종교적 사유와 예술적 행위가 시작되었음을 암시한다. 그러나 바르부르크의 이미지 사유에 대한 논의와 여기서 감지되는 인간의 상상력및 상상력을 통한 지식에 대한 진지한 논의 안에서도 점술은 크게 주목받지 못하거나, 혹은 의심스러운 눈초리로 다뤄졌다. 점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종교/점술/주술 구분의 모호함 및 이로 인한 편견들, 고대사의 많은 예들에서 드러나는 점술의 정치적 이용, 서양 고대 점술론을 검토할 때 흔히 적용되는 이성과 비이성의 이분법적 맥락에서 기인한다. 최근에 와서는 기존 점술 논의의 틀에서 벗어나, 점술의 사유를 새로운 방식으로고찰해보려는 노력들이 다양한 영역에서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을 의식하며 이글에서는 종교와 예술을 가로지르는 상상력을 중심에 놓고 점술의 사유에 대해 다시 생각해본다. <므네모쉬네> 속 고대 바빌로니아인들의 양의 간, 에트루리아인들의 소위 ‘피아첸차의 간’ 모형에서부터, 플라톤과 키케로의 점술에 대한 논의, 그리고 한국의 동시대아티스트 임영주의 작품까지 아우르는 이 글은 이질적인 시대와 지역, 분야를 넘나드는상상력과 직관에 의한 또다른 점술적 사유, 이미지 사유의 몽타주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정초(正初) 점복풍속에 관한 연구 -윷점·오행점·토정비결을 중심으로-

        김만태 국립민속박물관 2010 민속학연구 Vol.0 No.26

        Before embarking on something important, quite a few people consult fortune tellers, who offer some predictions on its outcome and tell the way to avoid ill fortune and bring good fortune. In order to survive tough living conditions, people have sought help from fortune tellers since ancient times, and now consulting a fortune teller has become a prevalent cultural phenomenon. People tended to have lots of wishes at the beginning of the year, and this led to the creation of lots of types of divination practiced at the beginning of January. Among them,Yut divination, the Five Elements divination and the Tojeongbigyeol predict one's fortune for the year through divination signs called Gwae. According to literary records, Yut divination appeared first, and then the Five Elements divination and the Tojeongbigyeol followed. The Five Elements divination and the Tojeongbigyeol are not directly related to divination of the forthcoming harvest, though they are practiced at the beginning of the year. However, Yut divination was initially one of divination events of ancient agricultural society in which village people played the game called Yutnori whose result predicted the outcome of the harvest of the year. Yut divination has later developed into a divination telling one's fortune or a sort of entertainment. In the Five Elements divination, ‘water’ Gwae and ‘gold’ Gwae are thought to mean good luck. This indicates the feature of agricultural society that valued water has been reflected in the Five Elements divination. As its divination signs became more detailed and various, the Tojeongbigyeol has reflected the features of agricultural society as well as various values of the society which went through rapid changes after the 19th century.

      • KCI등재

        불교에서 점복(占卜)이 다루어지는 방식에 대한 일고찰: 《점찰경(占察經)》에 나타나는 방편(方便)의 위계(位階) 문제를 중심으로

        민순의 종교문화비평학회 2019 종교문화비평 Vol.36 No.36

        The divination performances have long been popular in Korea and intimately related with the Buddhist religious practices in daily life. The Buddhist divination if possible at all is not useful for understanding basic teachings of Buddhist doctrine because this divination practice is not grounded on the Sunyata(空) doctrine. But the Mahayana Buddhism, when deeply spread to Chinese soil, has been accommodated itself with the Chinese folk religions, and exerted to be popularized among the commoners. As one of those folkloric effects was brought in and the divination skills were accepted and finally a forged Buddhist text, Sutra of Divination(Jeomchalgyeong, 占察經), was established in Chinese Buddhism. The methods or skills of how to perform divination are called ‘Jeomchal-beob(占察法)’, whose theories and guidelines are strictly based on the Buddhist text of Sutra of Divination. The Jeomchal-beob seems to be the typical divination practices in Buddhism. Whoever want to do divination firstly picks a sign and ascertains its divinatory meanings in it, the way how to interpret these meanings and accept them as one’s destinations are totally at the disposal of the Buddhist doctrinal theories. The Sutra of Divination interprets this divinatory sign as the result of one’s own karma(業) and advises to do his/her repentances and self-disciplines accordingly. This Buddhist interpretations of divination are creative while Buddhism in general has adopted the local cultures and adjusted itself into enhancing them into universal features of Buddhism. Jeomchal-beob, a kind of upāya(方 便), has usually been treated as a low status in the Buddhist doctrinal system and uniquely accepted as a form of the East-Asian divination. One of the major Buddhist doctrines of repentance and self-discipline of Karma has been adjusted and transformed into Jeomchal-beob. So Buddhist divination of Jeomchal-beob has the dual interpretations that upāya can be retained as both the means and the goal, and the antagonistic against each other as well as the harmonious in favor of each other. 많은 현대 한국인들이 불교와 점복의 인접성을 상정하지만 사실상 점복에 대한 불교의 근본적인 입장은 ‘공(空)에 대한 이해로부터 행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무익하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대승불교가 중국으로 전래된 이후 불교는 동아시아의 민속신앙을 받아들이며 대중화를 도모하는 과정에서 점복의 기술을 받아들이게 되었고, 마침내《점찰경(占察經)》이라는 위경과 그것을 근거로 한 ‘점찰법(占察法)’이라는 수행방식이 고안되었다. 점찰법은 점괘를 뽑아 그 의미를 알아본다는 점에서 전형적인 점복의 양식을띄지만, 《점찰경》에서는 점복 행위와 그 점괘의 의미를 개인의 업보에 대한 해석으로 파악하고 나아가 그 결과에 따라 적절한 참회와 수행을 권장한다. 이는 불교가 타문화의대중적 신행을 받아들이며 그것을 불교적으로 재해석하고 승화시켰다는 점에서 독창적이다. 점찰법은 불교에서 일종의 방편(方便)으로 인식되었고, 일반적으로 방편은 불교의교리 체계 속에서 낮은 위계를 지니는 것으로 간주되지만, 《점찰경》과 점찰법은 점복을방편이라는 독특한 방식으로 변용하여 수용하면서도, 그 수행 방식과 목적을 설명하는데에 불교의 핵심적인 교리를 팽팽히 끌어들임으로써 방편이 수단이면서도 목적일 수있는 길항적이면서도 회통적인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 KCI등재

        『난중일기』 擲字占(척자점)의 易學的(역학적) 의미: 版本(판본)과 典故(전고)문제에 대한 문헌고증적 분석을 통해

        임채우 ( Chae Woo Lim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3 동방학지 Vol.161 No.-

        이순신장군은 『난중일기』에서 14차에 걸쳐 척자점을 친 결과에 대해 상세한 기록을 남겼다. 본고에서는 척자점에 대한 기존 연구의 문제점들을 분석비판하고, 윷점에 관한 여러 판본들과 필자 소장본들 을 종합해서 난중일기에 보이는 척자점은 바로 윷점의 다른 이름이라는 점과 함께 척자점의 실체를 밝히고 그 원형을 추정해보았다. 척자점법에 보이는 64조의 윷점사 는 주역의 64괘 배열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64괘와의 관련속에서 점사의 의미를 추정해볼 수 있다. 윷점은 중국에서 유래한 점법이 아니고, 그 점사 속에는 ‘승려가 환속하다’는 점사나 ‘가난한 이가 보물을 얻었다’는 점사에서 처럼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우리의 문화와 정서가 담겨있다. 이 윷점은 양반계층이 아닌 우리의 민간에서 생성되고 유전된 점법으로서 우리의 독자적인 주역 해석인 동시에, 윷이란 간편한 도구를 사용해서 한국식으로 간이화된 주역점법으로 정립되었다는 점에서 역학사적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Admiral Yi Sun-sin left a detail records in the War Diary (亂中日記) about the results of 14 times of pratice a letter-divination. This paper anallyzed and criticized the existing studies` problems for letter-divination, synthesized a several block books and documents belongs to the writer about Yut-divination. And proved the fact that the letter-divination in War diary was another name of Yut-divination, then presumed the original form. The 64 of Yut-divination has the organization of Yijing`s 64hexagrams system, It is possible that presume the divination`s meaning in relate with 64 hexagrams. The Yut-divination was including our cultures and emotion with Joseon dynasty, for examples of divination like ``A priest quit the prietshood.``, ``A poor man got a treasures.`` It was not originated from China. This divination was created and succeeded among the people, not the noble. It is our own interpretation of Yijing, and on the other hand, Yut-divination is simplified Zhoui-divination that was changed into Korea style using Yut, simple tools. Therefore, Yut-divination has the historic meaning of Yi-philosophy.

      • KCI등재후보

        『詩經』에 나타난 占術文化 연구

        신성수 ( Sung Soo Shin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3 인문학연구 Vol.0 No.23

        점술문화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고대사회의 문화적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이 논문에서는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문헌인 『詩經』을 통하여 고대 중국인의 점술문화를 살펴보았다. 『시경』속에 담겨 있는 점술문화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시경』에 나타난 점술유형과 『周禮』에 기술된 점술유형을 볼 때, 占卜과 占筮 그리고 占夢이 고대 점술문화의 원형임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周易』筮法과 관련하여 .蓍의 재료가 되는 蓍草가 당시 널리 퍼져 있는 식물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占은 인간의 실존적 삶의 과정에서 펼쳐지는 극한 상황에서 인간으로서의 선한 召命을 받고자 하는 간절한 의도에서 행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렇지만 지나치게 남용되는 점술로 인한 폐단을 지적하는 내용도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시경』에서는 占星과 관련한 내용은 단 한 군데에 불과했다. 다섯째, 고대사회에 都邑을 정하거나 옮기기 전에 반드시 거북점을 쳤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첨단 과학문명으로 치닫고 있는 현대사회에도 동서양을 막론하고 점술문화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시대와 문명이 달라져도 인간에 내재된 보편적 정서는 달라지지 않는다. 현대인의 생활이나 정서 속에는 고대로부터 형성된 점술문화의 근원적 양상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시경』속의 점술문화와 정서는 지금 이 시대에도 현대인의 실존적 삶 속에 투영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In both East and West, divination was one of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ancient societies. This paper, explores the divination culture of the ancient China as it is reflected in the Book of Odes(詩經). The Book of Odes is one of the oldest Eastern classics, in which the divination culture of the ancient times has been kept wel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vination by baked tortoiseshells(占卜), divination by plant sticks(占筮) and divination by dreams(占夢) of ancient divination type was the prototype of the divination culture. Second, divination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finding a solution for the human existential predicament that occurs in the course of life. However, there also happened to be excessive use of divination that aggravated the life of the divination seekers. Third, in the ancient times, divination by baked tortoiseshells (占卜) was also used when the capital city was moved. In modern society, either in East or in West, divination culture is still present. In spite of differences in age and culture, human emotions which are universal do not change radically. Modern life and the emotions, ultimately deriving from the ancient culture, is still pervaded by the desire to know in advance about the future. Divination culture and sentiment in the Book of Odes, even in the age of modern existence, is still effective to illuminate the desire of the human mind for divination.

      • KCI등재

        茶山 占法[蓍卦法]과 白雲 占法의 문제점 탐색

        曺喜寧 ( Cho Hie-young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2 大東文化硏究 Vol.117 No.-

        본 글은 다산 정약용과 백운 심대윤의 점법의 설시법과 점단법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탐색함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周易占으로 통용되는 주자 점법의 설시법과 점단법을 살펴보았다. 주자 설시법의 문제점은 사상발생 확률의 불균형을 들 수 있다. 점단법의 문제점은 多爻變時 占辭가 충돌하는 것과 『左傳』 점사 ‘艮之八’에 대한 해석의 임의성을 들 수 있다. 다산 점법에서 설시법의 문제점은 시초에 인공적으로 숫자를 새기고 시초를 세지 않고 뽑는 행위가 문제라고 봤다. 다산 점법의 점단법에서 문제점은 크게 2가지이다. 하나는, 설시해서 다효변이 나올 경우는 주역점이 아니고 하나라 상나라 점법이라고 하면서 정작 그 내용이 무엇인지 밝히지 않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다효변시 점단할 1개 변효를 구하기 위해 11,520개 죽책인 만수책을 운용하는 문제이다. 하나의 占事에 50개 시초와 11,520개 죽책으로 2번 점치는 행위를 할 수 있는지 여부와 주역점에 2개의 점의 도구가 필요한 근거가 있는지를 문제점으로 봤다. 만수책은 실제 점사에 운용하기에 현실성이 부족하다고 봤다. 11,520개의 죽책과 이것을 담을 450여 개의 점대통이 필요한데 이것을 현실적으로 만들기 어렵고 설령 만들더라도 그것을 실제 점사에 운용하기 어려움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백운 점법은 설시법에서는 주자와 같이 사상발생 확률의 불균형이 문제이다. 점단법의 문제점은 동효의 9,6을 더하고 4로 빼서 나머지가 7이면 본괘 괘사로 점단하고, 8이면 지괘 괘사로 점단하는 것은 효변설의 입장에서 문제라고 봤다. 또 5,6,7,8의 수로 점단하려는 괘와 효를 구하는 명시적 근거나 관습적인 사례가 있는지 궁금했다. 아울러 ‘數動爻’에 대한 명확한 입장이 없어서 변효 구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左傳』과 『國語』의 다효변의 점례를 분석한 결과 어느 점법이 정확한지 우열을 가리기 어려웠다. 전체적으로 보면 다산의 점법은 세밀하지만 복잡하고 백운의 점법은 간단하여 허점도 있다. 다산은 선학들이 논하지 않은 부분까지 살펴서 새로운 점법을 창안한 그 치밀성은 참으로 놀랍다. 허나 만수책과 하상지구법이 다산 점법의 아킬레스건이다. 특히 만수책 때문에 다산 점법이 ‘口頭占法’, ‘紙上易占’으로 전락할 가능성을 우려한다. This article aims to identify problems by criticall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ivination methods of Dasan Jeong Yak-yong(茶山 丁若鏞) and Baek-woon Shim Dae-yunBaek-woon(白雲 沈大允). First, we looked at the Zhu Xi’ divination((朱熹 占法) method, which is commonly used as I-ching’s divination(周易占). His problem is the imbalance in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Sasang(四象). Also, when Duoyaobian(多爻變:爻亂動) occurs, the explanation of divination conflicts and the Zuozhuan(『左傳』)’s arbitrariness of interpretation of ‘Gangipal(艮之八)’. Dasan’s divination(茶山 占法) has several problems. First, the act of artificially engraving numbers on milfoil stalks(蓍草) and pulling them out without counting them is a problem. Second, when Duoyaobian occurred, it was not the I-ching’s divination but the Old Method of Xia-Shang Period(夏商之舊法), but did not reveal what the content was. Third, it is a problem of operating the 11,520 bamboo pieces(11,520개 竹策) of Mansuchaeg(萬數策) to save one yaobian(1爻變) at the time of Duoyaobian. I looked at the problem of whether it is possible to do 2 counting milfoil stalks with 50 pieces of milfoil stalks and 11,520 pieces of bamboo in one divining method, and whether there is a basis for needing two tools for divination. Mansuchaek(萬數策) saw that it was not realistic enough to be used in real-life divination. In other words, it is difficult to make realistically, and even if it is made, it is difficult to operate it in actual divination. The problem with Baek-woon’s divination(白雲 占法) is the imbalance in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Sasang(四象). Also, adding 9 and 6 of Donghyo(動爻) and subtracting it by 4, if the remainder is 7, judge it with the main gwasa(本卦 卦辭). In addition, if the remainder is 8, judge it with a jigwae gwasa(之卦 卦辭), which I saw as a problem from Yaobian(爻變說)’s point of view. I wondered if there were any explicit grounds or customary cases for finding the divination to judge with the numbers 5, 6, 7, and 8. In addition, there is no clear position on ‘Count Donghyo(數動爻)’, so it is difficult to find a one yaobia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se of Duoyaobian(多爻變) of the Zuozhuan(『左傳』) and the Guoyu(『國語』), it was difficult to determine which divination method was correct. In general, Dasan’s divination is detailed and Baek-woon’s divination is simple, so there are loopholes. The meticulousness of Dasan’s new divination by examining parts that the older alumnus did not discuss is truly astonishing. However, the Mansuchaeg(萬數策) and the Old Method of Xia-Shang Period(夏商之舊法) is the Achilles heels of Dasan’s divination(茶山 占法). In particula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Dasan’s divination will be reduced to ‘Gudu divination(口頭占法)’ and ‘Gisang divination(紙上易占)’ because of the Mansuchaeg(萬數策).

      • KCI등재

        韓ㆍ中 儒學者들이 계승한 孔子의 易學思想

        김익수 한국사상문화학회 2008 韓國思想과 文化 Vol.43 No.-

        This research is a fundamental study to rediscovering the value of the chapter “Geys” written by Confucius himself in the Book of Divination. This chapter is considered as the core concept of Confucius divination. Korean and Chinese Confucian scholars officially accept and inherit this stands that “Gyesa” reflects the essence of the idea of Confucius’ divination. In the conclusion of the second part of “Gyesa” from the Book of Divination, ‘description of divination’ takes an opposite patterns of the contents of the original edition. It consists of 3 steps as follow: First Step: The description of divination is so extensive that almost all subjects are included. That is, three elements of tao, the tao of heaven, the tao of earth and the tao of mankind, are included. It suggests that the tao is changeable; therefore, it is the causes for the good and ills. Second Step: This part of the chapter fundamentally takes the position in the center of the beginning and end to see the true nature of causes of incidents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divination. Third Step: The divination can neglect the reading of books. The change of the tao of divination is so vary that one cannot define a common rule. It means that one cannot achieve tao by being obsessed to the study of divination itself because there always are possibilities for the good and ills, regrets, stinginess and conflicts of interests. The fundamental intention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true meanings of the chapter “Gyesa.” “Gyesa” is respected and inherited because it was a work of Confucius himself in Ch’eng I’s Compilation of Divination of Sung dynasty while Chu Hsi critically accepted the idea in his True Meaning of the Book of Divination. Because of the inevitability of the improvement of order, Gueon Geun(1352~1409), Yi Hwang(1501~1570), Geong Yak-yong(1762~1836), Bak Yong-jae(1920~ ) of Korea inherited the concepts of “Gyesa,” after the correction and repletion to consult of the ‘pattern of translation.’ The purpose of these developments is to understand the true meaning of Confucius’ idea on divination. At the same time, it aims to inherit the settlement and consolidation moral and ethics in a futuristic manner. 『주역』 「계사전」은 孔子作이며 孔子易學의 진수임을 韓ㆍ中 儒學者들이 공인하고 전승하여 왔음을 재인식시키고 본원적으로 硏究 하려고 한다. 『주역』 「계사하전」 5장은「계사전」 전체를 마무리하고 있는데 ‘易의 글됨(易之爲書)’은 종전(改正前)체재의 서차(序次)와는 정반대인 3단계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게 된다. 제1단계 ; 易의 글됨(易之爲書)이 너무나 방대하여 모든 문제들이 그 속에 내포되어 있다. 즉 하늘의 道(天道), 땅의 道(地道), 사람의 道(人道) 등 三才의 道가 들어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道에는 변동이 있어서 吉凶이 생겨나는 要因이 있다고 하였다. 제2단계 ; 易의 글됨(易之爲書)을 볼 때에 일의 단서(事端)를 本原으로 하여 그 마침(終)과 처음(始)의 中을 잡아서 이를 살펴본 것으로 본질로 삼고 있다. 제3단계 ; 易이란 책(글)은 멀리할 수 가 없다. 易道의 변화는 千變萬化하니 일정한 常法을 정할 수 없다. 吉凶이 생기고 후회와 인색함과 利害가 생기니 그렇다고 가까이만 해도 얻는 게 없다는 내용이다. 본 연구는 「계사전」의 참 뜻을 窮究함이 본래의 의도이다. 「계사전」이 孔子作으로 존중하고 계승한 宋代 程颐의 『易傳』과 朱熹의 『周易本義』도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序次의 改修에 따른 必然性 때문에 한국의 權近(1352∼1409), 李滉(1501∼1570), 丁若鏞(1762∼1836), 朴用載(1920∼현)의 釋義樣相을 참고로 하여 수정보완하며 계승한다. 이는 본원적으로 孔子의 진의를 바르게 이해하기 위함이며 미래지향적으로 도덕의 정착을 위한 목표를 두고 계승하혀고 한다.

      • KCI등재

        불안의 전면화와 현대사회의 점복행위-점복인․점복관련업종사자들의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염은영 남도민속학회 2022 남도민속연구 Vol.44 No.-

        For all ages and countries, divination is omnipresent as human finiteness and the desire for prediction coexist. Just as Korean society changes, divination exists, changing along with the society. Understanding the existence of ubiquitous divination helps apprehend the aspects of divination in modern society, and gives insight into changes in divination in the futu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terpret the transformation and social context of divination. The researcher interprets the trans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flux of diviners, the change in the age of diviners, the tendency of divinatory practice, and the content of divina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of diviners. First, the ‘Diviner as the Second Occupation’ type emerges. The resignation of highly educated is accelerated by the flexibility of labor,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employment in neoliberalism. As a result, more people choose the divinatory field as their ‘second occupation’, due to its relatively low entry barriers and the fact that there is no retirement. Second, the educational degree of diviners is appreciated as people born after the 1980s, where the percentage of college graduates is high, flow into the divinatory field. The social treatment of diviners tends to improve as the diviners have higher degrees. Third, due to the influx and migration into the divinatory field with its low entry barriers, the phenomenon of layering in divination appears. The phenomenon appears to be a trendy change on the outside, but internally is an aspect of commercialization. The tendency of existing diviners re-entering the field by learning divination that is relatively easier is growing. Fourth, due to the generalization of anxiety, the age group of people approaching divination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generation. In particular, the age group which uses mass media relatively freely and is highly adaptable to changes is receptive to new types of divination, such as tarot. Fifth, as the mass media develops and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diviners has appreciated overall, the entertainment and consolation of divination rather than blind faith in divination is highlighted. The public seeks divination to vent their anxiety and to find consolation. They require divination when facing null option due to the overflow of information of modern society. Therefore, divination has surfaced as a consolation factor.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점복행위는 인간의 유한성과 예견욕구가 결합되면서 편재(遍在)한다. 한국사회 역시 시대의 변화와 함께 점복행위도 변모하면서 현재(現在)한다. 편재된 점복행위의 현재성을 파악하는 것은 현대사회 점복행위의 양상을 이해하고 나아가 향후 점복행위의 변모에 대한 통찰을 준다. 이 연구는 한국사회 점복행위의 현재성에 집중하여 사회적 맥락에 따른 현대사회의 전면화된 불안과 점복행위의 양상을 고찰하는 데 연구목적을 둔다. 신자유주의적 시장질서가 전면화된 2000년 이후 점복인의 유입과정과 문점인의 연령변화 그리고 점복행위 실행성향과 문점내용에서 어떠한 변화와 특성이 있는가를 파악하고자 한다. 점복인과 점복연관업에 대한 계량적 조사와 기초자료들을 대상으로 해야 하나 적절한 성과가 없어 연구자의 현장경험에 입각한 점복인들의 심층면접을 통해 해석하고자 한다. 첫째, ‘제2의 직업형’ 점복인이 등장한다. 노동유연성이라는 신자유주의의 고용방식의 특성에 의해 고학력자의 퇴사 시기가 빨라진다. 이로 인해 비교적 진입장벽이 낮고 은퇴시기가 없는 ‘제2의 직업형 점복인’으로 점복업에 진입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둘째, 대졸자의 비율이 높은 1980년대 이후 출생자들이 점복업으로 유입되면서 점복인의 학력이 상승되었다. 점복인의 학력이 상승되고 이로 인해 사회적 대우도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셋째, 진입을 쉽게 할 수 있는 점복영역으로 유입과 이동이 많아져서 점복영역의 중층화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은 외형적으로는 트렌디한 변화로 보이지만 내면적으로는 상업화의 한 단면이다. 기존 점복인들이 상대적으로 진입장벽이 낮은 서양 점술을 배워서 진입하는 경향이 커지고 있다. 넷째, 불안의 전면화로 인해 점복행위로 접근하는 연령이 특정 세대로 국한되지 않고 전연령대에 걸쳐 있다. 특히 대중매체를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사용하고 변화에 적응력이 높은 연령층이 타로와 같은 새로운 점복에 수용적이다. 다섯째, 대중매체가 발달하고 문점인들의 학력이 전반적으로 상승하면서 점복을 맹신하기보다는 점복의 위락적・위안적 성격이 부각된다. 현대인들은 정보의 범람으로 인해 선택부재의 상황이 되면 불안을 호소하고 위무를 찾고자 점복행위를 하는데, 이는 점복위무적 기능으로 표면화된다.

      • KCI등재

        한국사회 점복행위의 시장화에 관한 소고 -점복행위 확산과정과 점복제의영역을 중심으로-

        염은영(Yeom, Eun-young) 실천민속학회 2021 실천민속학연구 Vol.38 No.-

        이 논문은 한국사회의 점복행위의 확산과정과 점복제의영역의 변모를 통해 점복행위와 점복주변산업의 시장화의 측면을 탐구하는 데 주된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공동체적 인간관계가 해체되고 사회전반이 시장화되면서 현대사회의 점복행위는 다양한 전형으로 표상된다. 이러한 과정은 점복과 그 주변 역시 상업화되고 시장화되는 양상으로 특징지어지며, 그 결과 점복행위 실행영역이 시장화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점복의 현재성을 보다 설득력 있게 논의하기 위해 점복인과 점복관련종사자들을 심층면접하여 점복행위의 실행과정을 파악한다. 이를 통해 점복행위의 실행영역이 상업화되고 시장화되는 과정을 본 연구자의 현장경험에 기반하여 해석한다. 점복행위 확산과정에 점복인과 문점인을 넘어선 전문홍보업체라는 제3자가 개입된다. 이 과정은 특히 디지털시대의 대중매체의 발달에 기반하여 확산된다. 점복주변산업은 점복콘텐츠를 제작 · 판매 · 확산하고 점복인을 직간접적으로 고용하는 닷컴운세회사, 점복전문 홍보대행사, 점복행위 관련용품을 유통 · 판매하는 만물사(불교사), 점복의 제례장소인 굿당과 기도터, 일부 제의용품을 점복인 중심으로 고기, 떡, 과일 등을 판매하는 일명 돼지삼촌으로 불리는 도 · 소매업자 등으로 나뉜다. 다양한 점복주변산업은 점복행위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하나의 시장을 형성한다. 기존 점복관련연구의 한정성이 점복행위와 그 실행개념의 연구의 부재에 있다고 보고, 본 연구에서는 점복을 점복행위의 개념으로 확장하려 한다. 이러한 시도는 첫째, 점복이라는 내용 자체에 한정된 정태적 연구에서 진일보하게 하고, 점복이 실행되는 사회구성적 과정을 포함함으로서 사회현상으로서의 점복행위에 대한 맥락적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둘째, 향후 한국사회에서 현재하는 점복행위에 대한 관습적인 이해를 넘어서 제도화가 어떻게 사회적으로 구성되는가에 대한 시장적 영역에서의 조망을 가능하게 할 해석적 틀을 형성하게 하는 기반을 마련한다. 나아가 점복인과 점복행위의 재생산과정이 이루어지는 공적 영역에서의 이해기반을 마련하는 연구로 확장되어야 할 과제를 남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arketization of divination and its related field, through the process of divination’s expansion and the transfiguration of The Ritual of Divination in Korean society. Since the human relations is dissolved and society is widely marketized, divination in modern society is symbolized through various paragons. The process shows the aspect of divination being commercialized and marketized, thus resulting in the marketization of divination. To discuss the Being Present of divination more persuasively, the researcher performed in-depth interviews on diviners and of the divination related field,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practice. The researcher interprets the process of divination’s practice being commercialized and marketized, based on the researcher’s field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divination’s expansion, professional publicity enterprises become involved as a third party, aside from the diviner and client. This process is expanded due to the development of mass media in the digital era. Divination related industries consist of company which produces, sells, spreads division related contents and hires diviners direct/indirectly, professional publicity enterprises for divination, which distributes and sells divination related supplies, Gut-Dang and praying sites, which are the Ritual area of divination, wholesale, retail traders also known as ‘the Pig Uncle’ that sells some of the things such as meat, rice cake, and fruit mostly to diviners. Various divination related industries form a market in the process of practicing divination. The researcher regards that the limitation of former studies on divination lies in the absence of the research on divination and the concept of its practice. Therefore, the study aims to expand as the concept of ‘Divination-action and practice’ Such an attempt will make the stationary research, which only focused on the content of Divination, take a huge leap forward. Thus, it will allow the contextual interpretation of divination to be regarded as a social phenomenon. The study will provide the foundation of frame in the future, which allows overlooking how the institutionalization is socially organized, beyond the conventional understanding of divination that is present in Korean society. Furthermore, it addresses the need for the research to be expanded to where it can provide consciousness in how the diviners’ divination is being reproduced in the Public Sector.

      • KCI등재

        점술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특징과 이를 통한 새로운 점술모형 연구

        연덕희(Yeon, Duk-Hee) 비교민속학회 2013 비교민속학 Vol.0 No.51

        미지(未知)의 문제를 자신의 이성적 지식이나 경험으로, 혹은 순간적인 직감(느낌, 예감)만으로 선택을 했다면 이는 ‘점(占)’이 아니다. ①인간이 ②초월적 존재(신)에게 ③미지의 문제를 질문하여 ④미리 준비한 도구(점구)에 ⑤조짐(신의)을 얻고 ⑥이것을 해석하는 과정을 거쳐 답(점괘)을 얻어야만 비로소 점이라 정의 할 수 있다. 기존 민속학에서 다루어졌던 점술연구는 ‘⑤신의(징표)’를 일종의 ‘점괘(=답변)’로 규정하고, [②신→ ⑤신의(점괘) → ①인간]이라는 커뮤니케이션의 모형으로 설명하고 있다. 점술이 ‘②초월적 존재(신)’에게 답변을 구하기 때문에 위의 모형이 합당한 것처럼 보이지만, 점술을 진행하는 ‘①인간’과 점술의 기점인 ‘③질문’에 대한 중요성과 ‘④도구(점구)’, ‘⑥해석과정’ 등의 요소들을 제대로 다루지 않아 점술만의 특징을 온전하게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이 모형은 종교의 모형과도 흡사하여 상충(相沖)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점술요소들의 특징을 명확히 살펴 이를 통해 새로운 점술모형을 정립하려 했다. 그 결과 점술은 신이 아닌 인간중심으로 진행되는 시스템이라는 것을 증명하였고, 이를 통해 점술과 종교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신의(神意)의 성향도 서로간의 구분이 가능했다. 또한 ‘명(命) → 조짐(兆朕) → 인문적 해석’의 과정을 거쳐야만 ‘점괘’가 도출된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위의 결과들을 현대 커뮤니케이션 모형의 대표적 이론인 라스웰(Harold D. Lasswell)모형에 대입하여, [인간(누가) → 질문(무엇을) → 점술(어떤 채널로) → 신(누구에게) → 질문의 답변(무슨 효과를 얻는가?)]이라는 새로운 점술만의 모형을 정립하였다. It is not ‘divination(=fortune telling)’ when a person makes a decision on unknowable matters from his/her own reasoning, experience, or momentary intuitions (feeling, premonition). Divination can only be defined when ①a human being ②asks a transcendental existence(or god) ③of unknowable matters ④through prepared divination instrument in order to ⑤receive the divine will(or sign) and ⑥acquire the answer from interpretations. Studies of folklorists on divination understood ⑤the divine will(or sign) as ‘divination sign(or answer) and explains divination with a communication model [②transcendental existence(or god)→ ⑤the divine will(or sign)→ ①human being.] Due to the fact that divination asks ②a transcendental existence(or god) an answer, this seems to be proper model. However, the communication model does not deal with the elements such as ①‘human being’ who implements divination, ③‘asking’ that is the starting point of divination, and ④instruments (divination instruments) and ⑥‘interpretations process’ of divination, therefore, it do not fully explain the unique features of divination. Moreover, this model is similar to a model of religion, and it contradicts with it. Hence, this paper deals with the features of elements of divination to suggest a new model of divination. As a result, it is identified that divination is carried out not by god(transcendental existence), but by a human being. Futhermore, the meaning of the divine willing in divination and god’s intention that is generally present in religion could be classified. It is also found that ‘divination sign’ may be acquired from the progress of ‘god’s intention →sign →humanistic interpretation.’ in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s a new model of divination by substituting the findings above to Lasswell model, which is a representative modern communication model. This new model constitutes of [a human being(who) →asking(what) →divination(which channel) →transcendental existence(to whom) →the answer(what is the eff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