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지상파 TV의 디지털 전환에 대한 문화적 인식과 접근

        김평호(Pyung-ho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03 한국언론정보학보 Vol.21 No.-

        디지털TV는 새로운 TV 시대를 예고하고 있다. TV는 이제 지금과 같은 단순한 수상기에서 벗어나 디지털화되면서 고품질의 방송서비스 뿐 아니라, 네트웍으로 연결된 컴퓨터처럼 다양한 정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지능형 매체로 바뀌게 된다. 그러나 디지털TV 전환의 실제 현황은 이러한 미래주의적 전망과는 매우 다르다. 아직 초기이기는 하지만 TV의 디지털 전환은 정책, 경영전략, 마케팅, 그리고 수용자 등, 여러 차원에서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디지털 전환은 주로 정책, 기술, 경영모델, 시장개척 차원의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정책과 경영전략, 그리고 마케팅과 관련된 문제들은 수용자 문제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덜 복잡하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디지털TV의 수용에는 복합적인 문화적 차원의 문제가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달리 말하면, 디지털TV의 기술적 전환은 문화적 전환보다 쉬운 문제이다. 문화적 차원의 디지털 전환은 정책담당자나 관련 산업계에 지금까지와는 다른 문제인식과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Digital TV is expected to usher in a new era of TV. Thanks to digital and network technologies, TV will no more be a dumb terminal as it is today. It will incorprate the computer and thus become an intelligent device which serves not only' high quality broadcast programming, but a variety of information services much like the current networked-computer. However, the real world picture of digital TV is clearly different from such a rosy vision. Albeit too early to tell, the cases in Europe and the US attest that the digital transition suffers a setback in terms of technology, policy, business, marketing, and the users. As such, the digital transition is generally problematized in terms of policy, business model, marketing strategy, and so on. Comparatively speaking, the issues of technology, policy, business and marketing are not so complicated than that of digital TV users because of the cultural issues involved in the adoption of digital TV. In other words, the technological transition to digital TV is far easier than its cultural transition. The cultural transition demands policy makers and industries of different approaches to successfully facilitating the digital transition.

      • The switchover to digital broadcasting in Korea

        Shin, D.H.,Song, H.R. American Elsevier 2012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Vol.79 No.8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evelopment of Korean digital TV transition by tracing the interaction between social and technological entities from various perspectives at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A socio-technical analysis examines the dynamic interactions among the stakeholders in the switchover to digital broadcasting, showing how the various actions taken by leading stakeholders affect diverse groups of stakeholders. The overall findings show that Korean digital TV transition is the outcome of a proactive strategy by industry stakeholders and the Korean government's top-down policy of supporting such a transition. It is argued that the policy of a top-down transition, which overlooks coordination among stakeholders, harms consumers and hinders effectiv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he case of Korea has implications for other countries that are pursuing digital transition strategies.

      • KCI등재

        지상파 TV방송의 디지털전환을 위한 지자체 및 CATV방송사의 역할 : K지역 CATV방송사의 추진사례를 중심으로

        진현창,윤한성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1 산업혁신연구 Vol.27 No.4

        최근 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한 방송정책의 하나로 평가되고 있는 지상파 TV방송의 디지털전환은 우리나라에서도 2012년 12월 31일 04:00시를 기하여 개시되는 것으로 계획되어 있다. 디지털 TV방송의 원활한 제공이 정부의 의지만으로 쉽지 않으며, 디지털방송 전환의 실질적인 주체가 방송사 및 유료방송사업자라는 점에서 공공-민간 협력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TV방송의 시청자가 여러 지역에 산재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지역사회의 협력체계가 디지털전환의 성패에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성공적인 디지털전환을 위한 지역의 문제점을 해결해 가는 것이 필요하며, 지역의 디지털전환에 중심역할을 할 수 있는 지자체와 방송사업의 전문성을 갖춘 CATV방송사의 역할과 협조방식은 중요한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디지털전환의 지역적 협력체계와 특성을 고려하여, 지자체 및 지역CATV방송사의 역할을 중심으로 지역의 디지털전환 추진전략 사례를 경남 서부지역(K지역)을 사업영역으로 하는 CATV방송사의 입장에서 정리하였다. 또한 K지역 시청자 표본을 통해 지자체와 지역 CATV방송사의 협력적 역할에 대한 가능한 효과를 정리해보았다. 이는 현재 진행 중인 디지털전환에 필요한 지자체 및 지역 CATV방송사의 역할정립, 관련한 정부정책의 수립에도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The digital transition of terrestrial TV broadcasting,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worldwide broadcasting policies recently, is planned to be started from 31th Dec., 2012 in Korea. Considering the concept of ‘free and universal service’ on terrestrial broadcasting, providing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only with the intention of government may not be carried out smoothly. For the digital transition, a pay-broadcasting company may play critical roles as a substantial main participant and the cooperation system between public and commercial organizations is important. Moreover, as TV viewers are scattered over regions, the cooperation system of each regional society is considered as a success factor for the digital transition. In this opinion, the regional CATV company with regional information and specialty on regional broadcasting can play roles for the digital transition with the support of regional governments. This paper addresses such roles of the K-region CATV company and cooperation between regional governments and CATV companies.

      • KCI등재

        The US-China Digital Innovation Competition and Power Transition: China’s Digital Innovation and Similarity in UN Voting

        이용재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22 Journal of International and Area Studies Vol.29 No.1

        Given the expansion of China’s power, it’s willingness for a power transition has become the most significant concern in international relations. Although technology is a key driving force in the power transition, previous literature has ignored its importance. This study analyzes United Nations (UN) voting data to examine whether China’s rapid improvement in digital technologies influence its enthusiasm to challenge against the U.S. Essentially, China’s desire to challenge the US would be reflected through a pattern of voting in the UN that is similar to countries despised by the U.S., such as authoritarian, rogue, US sanctioned countries, and those with whom the US has an antagonistic relationship. In this regard, empirical analyses demonstrate that the relatively enhancement of China’s digital technological capability decreases the similarity of its UN voting record with authoritarian, rogue, US sanctioned countries, and states with whom the US has antagonistic relations. Furthermore, the enhancement of these technological capabilities increases the similarity of its voting record with that of the US.

      • KCI등재

        해외 지상파 다채널 플랫폼 정책 사례 연구

        장병희(Byeng-Hee Chang)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0 사회과학연구 Vol.49 No.1

        이 연구는 지상파의 디지털 전환과 관련해서 새로운 이슈로 국내에서 제기되고 있는 지상파 디지털 다채널 플랫폼 방안의 가능성을 영국의 프리뷰 서비스에 대한 일종의 사례분석을 통해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프리뷰의 성공 이유를 프리뷰 이전의 실패 사례인 온디지털과 대비하여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영국의 프리뷰 서비스를 한국적 상황에 적용할 경우 고려할 필요가 있는 쟁점들을, 지상파 디지털 다채널 플랫폼의 정책적 추진 필요성 관련 쟁점들, 지상파 디지털 다채널 방송 허가 관련 쟁점들, 디지털 다채널 플랫폼 운영 관련 쟁점들, 다른 플랫폼과의 관계 설정 관련 쟁점들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향후 정책적 및 학술적 논의를 위한 기초적인 논의틀을 제공할 수 있었다. This study conducted a case analysis of Freeview service in U.K. in order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a Korean terrestrial digital multichannel platform which has been suggested for boosting digital television transition. For this, this study analyzed the reasons for success of Freeview by comparing with OnDigital which had been failed before Freeview. Then, this study suggested the important issues that need to be considered to introduce Freeview into the korean broadcasting situation. Specifically, these issues were classified by four categories: the policy necessities of a terrestrial digital multichannel platform, the license related issues, the management related issues, and the relationships with other broadcasting platforms. Based on these analyses, this study could provide a basic framework for future policy and academic discussions.

      • KCI등재

        지속가능전환 시기를 맞은 해양산업의 탄소거래 및 해양금융 생태계 구축 연구

        안순구,윤희성 한국항만경제학회 2023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39 No.4

        The pace of sustainability transition within the maritime industry has been accelerating. This shift primarily necessitates changes in the industry's heavy reliance on fossil fuel-driven ecosystems. Additionally, numerous sustainability laws and regulations, such as the EU’s CBAM and IMO’s EEXI, have been implemented. This transition is poised to amplify the competitive edge of firms equipped with greater resources, as it introduces substantial operational burdens due to expensive eco-friendly fuel adoption and regulatory compliance. To diverge from the traditional competitive landscape, this paper aims to explore innovative maritime finance models enabling domestic firms to gain competitive advantages on a global scale. Employing analogical reasoning and modeling as a research method,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maritime firms can leverage the sustainability transition by aligning sustainable maritime operations with ETS (Emission Trading Schemes). Expanding on this novel approach, the paper delves into potential connections between CCM (Compliance Carbon Market), VCM (Voluntary Carbon Market), and digital asset exchanges. This newly proposed digital/net-zero maritime ecosystem holds the potential to significantly impact the shipping, shipbuilding, and ship finance industries, positioning Busan as a sustainable maritime finance hub.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as pioneering research that may stimulate subsequent case-based studies and offer strategic guidance to market participants and policymakers as the maritime industry moves towards a net-zero transition.

      • KCI등재

        Tackling the Tension betwee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Governance through Self-organizing Governance with Blockchain

        허태욱(Taewook Huh) 한국NGO학회 2020 NGO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과 거버넌스 사이의 긴장을 해결하기 위해, 아정치(sub-politics)와 숙의민주주의의 규범적(이론적) 주장을 넘어서는 시도로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자기조직화 거버넌스를 통한 처방적 시사점을 모색한다. 우선, 지속가능발전의 목표와 거버넌스의 실천 사이의 상충적 관계를 해소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본 논문은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새로운 거버넌스의 양식으로 아정치의 인식론적 근거를 구성하고 숙의민주주의의 방법론적 원칙을 고찰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자기조직화 거버넌스를 통해 아정치가 제안하는 바와 같이 시민들이 지속가능발전 문제와 관련된 주체적인 행위자로 실제적으로 재규정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 더불어, 디지털 전환 시대에 ‘숙의 원장(deliberative ledgers)’의 이상적인 후보로서 ‘블록체인 거버넌스’ 가 지속가능발전 거버넌스 메커니즘을 위한 처방적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ssential implications of self-organizing governance based on the blockchain technology that are beyond the normative (theoretical) arguments of sub-politics and deliberative democracy to tackle the tension between sustainable development (SD) and governance. First, in order to tackle the conflicting relationship between the objectives of SD and the practices of governance, this paper looks at the epistemological grounds of sub-politics for the new form of governance for SD, and deliberative democracy in relation to applying methodological principles. In short, this study highlights that self-organizing governance based on the blockchain technology can re-define individual citizens as self-fulfilled subject concerned with SD issues as the sub-politics suggests. Moreover, this paper suggests that ‘blockchain governance’ as the ideal candidate for the ‘deliberative ledgers’ can be equipped with a prescription as a mechanism of governance for SD in the era of digital transition.

      • KCI등재

        전면디지털교과서 사용으로의 과도기에 따른 디지털교과서 평가기준안 개발 연구

        김대권(Kim Dae Kwon),이재창(Lee Jae Ch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9

        This research develop a standard for evaluating digital textbooks in a transitional phase. Current state is inter-compatibly using digital textbooks and book-type textbooks. We intended to more practically diagnose the current state based on the quantitative expansion and qualitative deepening. This study developed standard for evaluating digital textbooks by delphi method research. Delphi method research conducted twice with 10 expertises on digital textbooks from 2019. 8. 1. - 2020. 2. 25. As a result of the research, we deducted 43 evaluation criteria including 10 criteria on the contents area, 11 criteria on the learning design area, 9 criteria on the instruction and learning area, 6 criteria on the technique area, 3 criteria on the management area, 4 criteria on the evaluation area. In particular, in this study, the evaluation criteria first included a variety of key and common elements among the evaluation criteria covered in prior studies, and second, reflected the purpose of smart education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plan to improve learners’ competency in the 21st century, and third, considered the connection with book-type textbooks, and fourth, tried to develop a criteria that included both the learning content and technical elements.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교과서와 서책형교과서의 병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시점에서 필요로 하는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다양한 선행연구 자료를 분석하여 초안을 도출하였고, 델파이 조사를 통해 디지털교과서 평가기준안을 개발하였다. 델파이 조사에는 관련분야 전문가 10명이 참여하였으며 2019년 8월 1일부터 2020년 2월 25일까지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내용영역 10지표, 교수설계영역 11지표, 교수학습영역 9지표, 기술영역 6지표, 관리영역 3지표, 평가영역 4지표 등 총 43개 항목의 평가지표가 도출되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교과서 평가기준안에 첫째, 기존 선행연구에서 다루어진 평가기준 중 핵심적이고 공통된 요소들을 두루 포함하고자 하였다. 둘째, 교육부의 스마트교육 취지와 21세기 학습자 역량 향상 방안에 부합하는 디지털교과서 평가기준이 될 수 있도록 관련 사항을 최대한 반영하였다. 셋째, 현재 디지털교과서를 전면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병용단계 또는 보조단계 수준으로 활용하고 있으므로 서책형교과서와의 연계를 고려하여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디지털교과서의 학습내용 요소와 기술적 요소를 고루 포함하여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디지털교과서 평가기준안이 현장에서의 양질의 디지털교과서 선정 및 보급에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 KCI등재후보

        저작권법 재점검을 통한 디지털콘텐츠의 저작권 집중관리시스템에 관한 고찰

        안종묵 ( Jong Mook Ahn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06 언론과학연구 Vol.6 No.4

        본 연구는 디지털 컨버전스라는 변화된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저작물과 관련하여 새롭게 제기될 수 있는 규제 패러다임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디지털콘텐츠와 관련된 저작권법을 살펴보고, 아울러 저작권법의 큰 틀 속에서 변화된 커뮤니케이션 상황에 적합한 콘텐츠의 생산과 유통을 규제하는 저작권 집중관리시스템을 재점검해 보고자 하였다. 한국의 저작권 집중관리시스템의 시급한 과제는 ``저작권정보관리시스템``의 구축인데, 이를 통해 저작권에 대한 정보를 등록, 저장,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된 또 하나의 과제는 ``표준 식별체계``를 갖추는 일인데, 이것은 디지털과 네트워크로 인하여 다종다량의 디지털콘텐츠의 통합검색과 신속한 관리가 절실히 필요하기 때문이다. 한국은 저작권신탁관리업에 대해서 동일분야인 경우 단수 체제의 원칙을 갖고 있으나, 현재의 허가제에서 등록제로 변경하여 신탁관리단체 간의 서비스 경쟁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디지털과 네트워크로 인하여 지금까지 이종(異種)으로 분류되었던 저작물이 통합되고 있으므로 아날로그 방식에 의해 결성되었던 저작권 집중관리단체의 재편(통합)을 통해 저작권 집중관리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결국, 지금까지 저작물의 속성에 따라 저작권 집중관리단체가 분류되었으나, 앞으로 저작물의 분류와 관계없이 다양한 복수의 단체를 통해 저작자와 이용자 모두 혜택을 증진하는 방향으로 나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the regulation`s paradigm regarding to digital contents under the changed communication settings. To this study, we are interested in the Copyright related with digital contents; at the same time, we research Collective Management of Copyright under the period of digital convergence. Collective Management of Copyright is challenged by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In Korea, Collective Management of Copyright needs to establish ``the copyrigh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hich registers, constructs, and services information related copyright. In relation to, Collective Management of Copyright need also to ``digital identifier`` on the purpose of search and management of digital contents. The Korean Government support one Trust Management of Copyright in case of the same field, however, its need to compete among Trust Management of Copyrights. According to the rapidly increasing use of digital and network in contents, difference contents become to merge among them. Therefore, Collective Management of Copyright needs to reorganize its system in order to raise the efficiency of its management. Finally, so far Collective Management of Copyrights are divided following to contents` difference, however, there is urgent need for diverse Collective Management of Copyrights without contents` difference. Then, diverse Collective Management of Copyrights will lead to owe rights to contents` writers and receivers.

      • KCI등재

        지상파방송의 디지털전환 정책 분석 : 아날로그방송 종료시점 및 보조금 지급 정책을 중심으로

        신일순,안일태 한국정보사회진흥원 2007 정보화정책 Vol.14 No.2

        지상파 디지털방송이 시작된 후 6년 정도의 기간이 지났지만 시청자의 디지털 전환은 정부의 목표 대비 상당히 부진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아날로그방송의 송출 종료 시점을 연기하는 대안과 디지털 미전환자의‘보편적 접근’을 보장하기 위해 셋톱박스에 대한 보조금 지급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 및 시청자의 후생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총 사회후생을 기준으로 이러한 정책들의 경제적인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편적 접근권에 상관없이 아날로그 종료시점을 2012년으로 연기하는 정책은 사회후생을 오히려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연기 정책 하에서 주파수의 기회비용과 동시송출 비용이 증가할 뿐 아니라 시청자의 디지털 전환율이 하락하기 때문이다. 둘째, 정책 신뢰성의 관점에서 보조금 지급 정책을 분석하면 시청자들이 정책당국의 문제를 합리적으로 이해하고 있다면 보편적 접근권을 보장하는, 즉 셋톱박스에 대한 보조금 지급을 공표하는 것이 더 바람직한 정책인 것으로 나타났다. Although the digital terrestrial signaling have been started several years ago, the domestic digital transition is not satisfactory compared to the policy objectives. This paper studies the effects of the policy for the transition from analogue to digital television,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 switch off of the analogue terrestrial signaling and the subsidy for set-top boxes. For this purposes, we construct a ‘total social welfare’measure with consideration of both industry and views’ welfare effects according to the various policy options. We reach the conclusion that; (1) the delaying of the switch off date is less efficient because of the opportunity cost of bandwidth and the endogenously delayed digital transition of views, (2) with consideration of the policy credibility, it is better to keep the announced subsidy policy rather than to deviate the announc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