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사회혁신과 사회적기업 간 역동적 상호작용

        신하영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1

        본 논문은 디지털사회혁신과 사회적기업 간의 역동적 영향관계를 탐구하되, 구체적으로는 한국의 사회적기업이 디지털사회혁신을 통한 한국사회 변화의 새로운 생태계에서 어떤 역할을 기대 받고, 또 수행하고 있는지를 제시하려 한다. 이를 위해서 우선 디지털사회혁신의 개념과 변화과정을 사회적기업과 접촉면이 넓은 요소를 중심으로 고찰하고, 소셜벤쳐, 사회적기업의 주요 행위자들이 현재 디지털사회혁신 생태계에서 활동하는 활약상을 현상적 증거로서 제시한다. 디지털사회혁신의 이론적 토대와 분석틀과 관련해서는 유럽협의체 Nesta의 정리를 차용하였고, 디지털사회혁신 발생을 촉발하는 한국사회 시공간 맥락적 요소를 분석하였다. 디지털사회혁신-소셜벤처-사회적기업 간의 교집합에 해당하는 사회적 역동 및 주체로는 정치혁신과 공유경제 분야를 선정하고 사례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는 한국 디지털사회혁신의 새로운 전환점, 즉 정부의 디지털사회혁신 주도 및 촉진의 동력이 가해진 작금의 현실에서 사회적기업의 역할이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 몇 가지 쟁점을 내어 보인다. 이를 통해서 사회적기업이 시민사회 가치의 담지자로서 변화된 디지털사회혁신 생태계에 기여할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explores the dynamic influence relations between digital social innovation and social enterprises, and specifically presents the role and expectation of Korean social enterprises in the new ecosystem of Korean social change through digital social innovation. do. For this, first, this study explains the concept and process of digital social innovation based on the factors with wide contact surface with social enterprises related to the theoretical foundations and analysis framework of digital social innovation, we adopted the theorem of Nesta, the European Council. Secondly, this study selects the cases in political innovation and sharing economy area for examples of the dynamic interaction between digital social innovation, social venture, and social enterprise. From the case study, this study finds out how social enterprise has delivered the new era of digital social innovation in Korea, that is, the government's driving and promotion of digital social innovation. Through this, this study will give the implications how social enterprises contribute to the changing digital social innovation ecosystem with its inherent social value and experiences.

      • KCI등재

        디지털 기술 발전에 따른 국가-시장 관계의 변화와 공법의 역할

        이원우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경제규제와 법 Vol.16 No.2

        The regulatory paradigm has developed in four stages. The fourth stage, which defines the current regulatory paradigm, is a period in which regulatory reform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period is attempted in an era of rapid innov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the so-called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r digital transformation. Digital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deepening is taking place at a faster pace than conventional innovation, and this 'disruptive innovation' is a change from previous regulations in various elements that make up the regulatory system, such as the purpose, principles, and means of regulation. It require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system, which requires a change in the regulatory paradigm.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innovation in digital technology has a strong impact on society as a whole, including global competition, changes in the labor market and work methods, hyper-connectivity, hyper-personalization, automation, vitalization of the data economy, deepening of big data analysis, artificial intelligence, It has several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spread of cloud computing, the Internet of Things, virtual reality (VR) and augmented reality (AR), and the strengthening of the influence of social networks and digital communication. However, if we focus on the ‘specificity resulting from digital technological innovation’, which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stage in terms of the role of regulatory policy or public law, the two most key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change in the concept of space. Digital transformation expands digital space i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and individual and social actions are freed from the constraints of physical space and expanded into infinite digital space. This change in the concept of space requires a change in the concept of competition or market power. In the digital space, free from physical constraints, dominance is weak, unlike dominance in the physical market. In other words, in virtual space, members of a hyper-connected society can always provide homogeneous and competitive functions, so there is always a potential challenge to the dominant business operator.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the question is being raised whether public interest industry law regulations should be expanded to digital platforms, given that digital platforms perform corresponding functions. Second, the limits of sovereign state control due to globalization have been exposed. The market has been opened through globalization through digital space and th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economy has disappeared, but public power, political power with democratic legitimacy, and governance are not in place at the global level. As a result, competition occurs between businesses under different regulatory systems in each country. The problem of regulatory discrimination has arisen due to different regulatory systems in each country. The fundamental way to resolve the differences in regulatory systems between competing businesses is to establish cooperative governanc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at can equalize the digital order, and for this, solidarity and cooperation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re needed.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is a time whe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called digital technology acts as a driving force for social development. The government must play a role in promoting innovation and ensuring fairness by guaranteeing creativity and freedom in the market. Therefore, the state's mission should be focused on ensuring that the legal system functions as an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for innovation and creation. The government cannot provide any special justification for intervening in economic relations other than establishing an institutional foundation to satisfy the prerequisites for the market t... 규제 패러다임은 네 단계에 걸쳐 발전되어왔다. 현재 규제패러다임을 규정하는 제4단계는 이른바 제4차 산업혁명 내지 디지털 전환이라 불리는, 과학기술의 급속한 혁신의 시대를 맞이하여 이전 시기와 질적으로 다른 규제개혁이 시도되는 시기이다. 디지털 전환 및 심화 시대의 디지털 기술혁신은 종래의 혁신과는 비교할 수 없이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파괴적 혁신’은 규제체계를 구성하는 여러 요소, 즉 규제의 목적, 원칙, 수단 등에서 이전의 규제체계와 다른 특징을 요구하는바, 이는 규제 패러다임의 변화를 요구한다. 디지털 전환 시대는 디지털 기술의 혁신이 사회 전반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바, 글로벌 경쟁, 노동시장 및 작업방식의 변화, 초연결성, 초개인화, 자동화, 데이터경제 활성화, 빅데이터분석의 심화, 인공지능, 클라우드 컴퓨팅, 사물인터넷,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의 확산, 사회적 네트워크와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의 영향력 강화 등 여러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규제정책 내지 공법의 역할이라는 관점에서 그 전 단계 시기와 두드러진 차이를 보이는, ‘디지털 기술혁신에 기인한 특수성’에 초점을 둔다면, 가장 핵심적인 특징은 다음의 두 가지이다. 첫째, 공간개념의 변화다. 디지털 전환으로 디지털 공간이 양적 질적 모든 측면에서 확대되고, 개인이나 사회의 행위가 물리적 공간의 제약에서 벗어나 무한의 디지털 공간으로 확장된다. 이러한 공간 개념의 변화는 경쟁의 관념이나 시장지배력의 개념에 변화가 필요하다. 물리적 제약에서 벗어난 디지털 공간에서는 물리적 시장에서의 지배권과는 달리 지배력이 취약하다. 즉, 가상공간에서 초연결사회의 구성원은 동질적인, 경쟁가능한 기능을 언제나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지배사업자에 대한 잠재적 도전이 언제나 존재하는 것이다. 디지털 전환시대에는 디지털 플랫폼이 이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디지털 플랫폼에 대하여 공익산업법적 규제가 확대 적용되어야 하는 것이 아닌가라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둘째, 글로벌화로 인한 주권국가 통제력의 한계가 노정되었다. 시장은 디지털 공간을 통해 세계화를 통해 개방되어 경제⋅사회⋅문화적 경제가 사라졌지만, 세계적인 차원에서 공권력, 민주적 정당성을 가진 정치권력, 거버넌스는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따라 소속 국가별 서로 다른 규제체계에 있는 사업자 간 경쟁이 발생하게 된다. 국가별 상이한 규제체계로 인해 규제차별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 것이다. 경쟁사업자 간의 규제체계의 차이를 해소하기 위한 근본적인 방법은 디지털 질서를 균등화할 수 있는 국제사회의 협력적 거버넌스를 구축하는 것이고, 이를 위해 국제사회의 연대와 협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디지털 전환 시대는 디지털 기술이라는 과학기술의 혁신이 사회발전의 동력으로 작동하는 시기이다. 정부는 시장의 창의와 자유를 보장하여 혁신을 촉진하고 공정성을 담보하는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법제도가 혁신과 창조를 위한 제도적 인프라로서 기능하도록 하는 데 국가의 임무가 집중되어야 한다. 정부는 시장의 존립을 가능하게 하는 사회정책, 공정한 법제도 집행 등 시장이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전제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 외에는 경제관계에 개입하는 데 특별한 정당화사유를 제시할 수 있어 ...

      • KCI등재

        디지털 금융 혁신이 중국 기업의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정은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23 전자무역연구 Vol.21 No.3

        Purpose: Technological innovation has spurred the convergence of finance and technology, giving rise to novel forms of finance known as digital finance and catalyzing various transformative changes. This study aims to illuminate the impact of such digital financial innovation on corporate performance.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utilizes the Digital Financial Inclusion Index from Peking University to conduct empirical research. Composition/Logic: This study consists of five chapters. The first chapter, the introduction, elucidates the motivation and objectives of the research. The second chapter delves into the current state of digital financial innovation in China and provid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regarding the impact of digital financial innovation. It also establishes the research hypotheses. Moving on to the third chapter, the research methodology is outlined, encompassing the research model, variables, and measurement for hypothesis testing. The fourth chapter summarizes and presents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Finally, in the fifth chapter,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aper are discussed. Findings: For a research period spanning from 2013 to 2018, a panel dataset was constructed, comprising a total of 558 firms and 3,347 observations. Utilizing this dataset, hypothesis testing was conduc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among three components assessing the extent of digital financial innovation – namely, breath of coverage, breath of depth, level of digitalization – only the breath of coverage exhibited a positive impact on a firm's financial performance. Originality/Value: China is leading the way in digital financial innovation. It boasts the world's largest digital financial industry, characterized by prominent growth momentum. This unique landscape makes it a fitting subject for investigating the impact of digital financial innovation on businesses. Despite its significance, empirical research at the corporate level regarding the effects of such innovation remains relatively limited. Hence,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is less-explored aspect.

      • KCI등재

        디지털 전환에 의한 서비스 혁신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 항공산업 디지털 전환 사례를 중심으로 -

        조호현 한국항공경영학회 2022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20 No.1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digital transformation of companies is accelerating regardless of industry. A new business approach is required to provide innovative customer value, innovates processes, and create new markets and customer needs while rapidly applying digital technology in each industry. This study focuses on theoretical reconsideration of service innovation mechanism by digital transformation from a new perspective. To this end, while examining the existing concepts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service innovation, the service innovation mechanisms by digital transformation is reconstr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service-dominant logic and social materialism. The frequent flyer programs of airlines before the era of full-scale digital transformation are explained as evolutionay process of service assemblage based on the actor-network theory and assemblage theory, while innovative service cases following the recent digital transformation of airlines are explained by the process of digital platform, actor engagement and resource integration. Since digital transformation is pursuing a chang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service innovation as a process of value co-creation in the service ecosystem from the viewpoint of service-dominant logic and social materialism rather than the traditional technological deterministic viewpoint. In order to capture the nature of service innovation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innovation framework and process characterized by various actor engagements, changes in their interaction methods, and the results of their emergent resource integration in the service ecosystem, including non-human agency beyond the exisitng anthropoentrism. It would be meaningful to consider innovative service by digital transformation, which airlines have recently introduced competitively, as a process of maximizing customer experience and efficiency of service operation through redesign of human/ non-human interaction around innovative service, that is, digital service platform rather than viewing it as technological result of digitization. Furthermore, understanding the evolutionary process of the formation and dissolution of service assemblage, such as the the combination and separation of other actors ror services in the service ecosystem will give insight into the direction of value creation and innovation of the aviation industry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업종을 불문하고 기업들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 각 산업분야에서 디지털 기술을 빠르게 적용하는 한편, 혁신적인 고객가치를 제공하고 프로세스를 혁신하며새로운 시장과 고객 니즈를 창출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접근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전환에 의한 서비스 혁신 메커니즘을 새로운 관점에서 이론적으로 재검토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이를위하여 디지털 전환과 서비스 혁신에 관한 기존 개념들을 검토하는 동시에 디지털 전환에 의한 서비스 혁신 메커니즘을 서비스 지배논리와 사회유물론적 관점에서 재구성한다. 본격적 디지털 전환 시대이전 항공사들의 상용고객프로그램을 행위자-네트워크 이론 및 아상블라주 이론에 입각하여 서비스아상블라주 진화과정으로 설명하는 한편, 최근 항공사들의 디지털 전환에 따른 혁신적 서비스 사례를디지털 플랫폼, 행위자 참여 및 자원통합 과정이라는 디지털 서비스 혁신 메커니즘으로 설명한다. 디지털 전환은 기존과는 차원이 다른 변화를 추구하는 것이므로 서비스 혁신을 기존의 기술결정론적 관점보다는 서비스 지배논리 및 사회유물론적 관점의 서비스 생태계의 가치 공동창조 과정으로 이해할필요가 있다. 디지털 전환 시대에서의 서비스 혁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존 인간중심주의를 뛰어넘는 비인간 행위자의 행위능력을 포함하는 서비스 생태계의 다양한 행위자 참여와 이들의 상호작용 방식의 변화, 그리고 이들의 창발적 자원통합의 결과에 의한 혁신 체계 및 과정에 주목해야 한다. 최근 항공사들이 경쟁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디지털 전환에 의한 혁신적 서비스는 디지털화의 기술적 결과물로 보기보다는 혁신적 서비스 중심의 인간/비인간 행위자 상호작용의 재설계, 즉 디지털 서비스 플랫폼을 통한 고객 경험의 극대화 및 서비스 운영의 효율화 과정으로 보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나아가 서비스 생태계에서의 다른 행위자 또는 서비스와의 결합 및 분리 등 서비스 아상블라주의 형성과해체의 진화과정으로 이해하는 것이 디지털 전환 시대에서 항공업계의 가치창조 및 혁신 방향에 대한통찰력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이 디지털 기업가지향성과 디지털 혁신에 미치는 영향: 기술 불확실성의 조절효과 분석

        장성희(Sung-Hee Jang),정재우(Jae-Woo Chung) 한국로고스경영학회 2024 로고스경영연구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이 디지털 기업가지향성과 디지털 혁신에 미치는 영향 및 기술 불확실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디지털 기업가지향성과 디지털 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디지털 기업가지향성과 디지털 혁신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기술 불확실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디지털 기업가지 향성, 리더십, 디지털 혁신, 기술 불확실성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112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은 디지털 기업가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변혁적 리더십은 디지털 혁신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거래적 리더십은 디지털 혁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디지털 기업가지향성은 디지털 혁신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술 불확실성은 디지털 기업가지향성이 디지털 혁신의 영향 관계에 있어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어떠한 리더십이 디지털 기업가지향성과 디지털 혁신을 향상시키며, 기술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디지털 기술을 도입하여 혁신을 이루고자 하는 기업에게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ransactional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digital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digital innovation, 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 of technological uncertainty.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contributing factors have been set as transactional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digital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digital innovation.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are established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digital entrepreneurial orientation, leadership, digital innovation, and technological uncertainty. The proposed model is analyzed by targeting 112 companies.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are as follows: First, transactional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digital entrepreneurial orientation. Seco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digital innovation, but transactional leadership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digital innovation. In addition, digital entrepreneurial orientation has a notable positive impact on digital innovation. Finally, technological uncertainty has a moderating effect in influencing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n digital innov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what kind of leadership improves digital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digital innovation, and may provide strategic implications for companies seeking to achieve innovation by digital technology in technologically uncertain situations.

      • KCI등재

        The Impact of Forwarder's Logistics Service Capacity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Moderating Role of Digital Innovation

        YANG JINGJING,이언승 부산대학교 중국연구소 2024 Journal of China Studies Vol.27 No.1

        Small and medium-sized forwarders are being forced to embrace digital transformation as an increasing number of businesses are digitizing their operations through new digital technologies like IoT and AI. One major component influencing logistics service capacities is digital innovation. So, how can small and medium-sized freight forwarders enhance their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empirical research on international freight forwarding, the link among logistics service capabilities,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digital innovation is frequently absent. As a result, The study will analyze how the level of service in freight forwarding logistics affects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how digital innovation plays a moderating role. This study surveyed 250 workers engaged in international transportation, and finally, the results of 203 surveys were analyzed. Hypothetical models were tes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d hypotheses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can be affected by reliability service capability, value-added service capability, flexibility service capability, and information service capability of the freight forwarding company's logistics service. Second, it is found that digital innovation moderation strengthens the relationship between flexibility service capability, information service capabil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However, digital innovation moderation weakens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ability service capabil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Finally, digital innovation has no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alue-added service capabilitie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Freight forwarders should pay attention to improving logistics service capabilities, especially flexible service capabilities and information service capabilities driven by digital innovation, in order to promote organizational performance. Meanwhile, despite some negative impacts of digital innovation, its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alue-added service capabil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s relatively small, while attention needs to be paid to the risk of declining reliability service capability that may be brought about by digital innovation.

      • KCI등재

        디지털 변혁 리더십, 조직의 민첩성과 적응성, 디지털전환이 디지털혁신에 미치는 영향 연구

        최기창,서영욱 대한경영학회 2024 대한경영학회지 Vol.37 No.6

        현대 비즈니스 환경은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급변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조직의 디지털역량과 리더십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변혁 리더십이 조직의 민첩성과 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러한 민첩성과 적응성이 디지털 전환 및 디지털 혁신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탐구하였다. 또한, 조직민첩성이 디지털 전환과 디지털 혁신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근무하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를Smart PLS 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디지털 변혁 리더십은 조직의 민첩성과 적응성을 모두 향상시키며, 이를 통해 디지털 전환과 디지털 혁신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조직 민첩성은 디지털 전환과 디지털 혁신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동적 역량 이론을 기반으로 디지털 변혁 리더십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디지털 맥락에서 조직 민첩성과 적응성이 디지털 전환과 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디지털 시대의 경쟁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전략적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단면적 데이터에 기반한 연구로 시간에 따른 인과관계를 충분히 분석하지 못한 점도 한계로 남는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산업과 국가를 포함한 표본을 활용하여 연구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The modern business environment is rapidly changing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importance of an organization's digital capabilities and leadership is being emphasized to respond to this.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digital transformation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agility and adaptability and explored how such agility and adaptability contribute to digital transformation and digital innovation. In addition, we also examined whether organizational agilit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transformation and digital innovation. This study collected data by conducting a survey targeting employees working in Korea, and analyzed the collected data using the Smart PLS 4.0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digital transformation leadership improves both organizational agility and adaptability, thereby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digital transformation and digital innovation. In particular, organizational agility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transformation and digital innovation.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digital transformation leadership based on dynamic capability theory and empirically analyzed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agility and adaptability on digital transformation and innovation in a digital context. This provides the strategic insights needed to maintain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digital era. However, the fact that this study was based on cross-sectional data and did not sufficiently analyze causal relationships over time also remains a limitation. Future research should complement these limitations and use samples including various industries and countries to increase the generalizability of research results.

      • KCI등재

        디지털 전환에 따른 제조업의 현황과 대응전략: 대구지역 자동차 부품 산업을 중심으로

        임운택,이균호 한국산업노동학회 2022 산업노동연구 Vol.28 No.3

        This article deals with the current situation and innovative strategies as of auto parts manufacturers in the process of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Major global automakers are boldly announcing the expansion of production of electric vehicles and hybrid cars and the reduction or suspension of production of exis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s. As a result, Internal combustion engine parts manufacturers are increasingly aware of the crisis. In this environment, digital transformation offers parts manufacturers opportunities to increase productivity and reduce costs. At the same time, with the spread of platform-based production, due to digital transformation, exclusive transaction practices are gradually reduced, and the stable transaction relationship between subcontractors and subcontractors may become unstable. Amid the digital transformation and rapid changes in the automotive industry, parts manufacturers cannot rely solely on large automakers, so voluntary innovation efforts are required. This study analyzed the counter-strategies of local parts makers in the process of digital transformation through a survey of auto parts makers in Daegu, and roughly classified the innovative strategies of parts makers into process innovation, sales innovation, and transaction innovation. Each type of counter-strategies were found to affect work organization and skill level in different ways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According to our research, both workers and management had still a narrow percept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government policy was on the edge of improving individual cases. To improve this, renewal of employment-skills governance is needed, such as the existing sectoral councils and tripartite councils on the base of region and industry, and active participation and countermeasures from labour and managements are required. 이 글은 제조 산업의 디지털 전환 과정에서 자동차 부품업체의 실태와 대응 전략을 다룬다. 주요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앞다투어 전기차ㆍ하이브리드카의 생산 확대와 내연기관 자동차의 생산 축소 혹은 중단을 선언하고 있어 내연기관 부품 생산 업체의 위기감은 커지고 있다. 그럼에도 디지털 전환은 부품 업체에게 생산성 향상과 비용절감을 위한 수단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동시에 디지털 전환에 따른 플랫폼 방식의 생산이 확산되면서 전속거래 관행은 점차 축소되고, 원ㆍ하청 업체 간의 안정적인 거래 관계는 불안정해질 수 있다. 디지털 전환과 자동차 산업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부품업체는 완성차 대기업에 의존하는 것만으로 시장에서 생존할 수 없어 자발적인 혁신 노력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대구지역 자동차 부품 업체를 대상으로 한 조사를 통해 디지털 전환 과정에서 지역 부품업체의 대응 전략을 분석하고, 부품업체의 대응전략을 대략 공정혁신, 판매혁신, 거래혁신으로 유형화하였다. 각각의 대응전략 유형은 디지털 전환 과정에서 작업조직과 숙련 수준에 상이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를 통해 디지털 전환에 대해 노사 모두 편협한 인식을 가지고 있었고, 정부 정책은 개별 사업장의 혁신 지원이라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지역별, 산업별 인적자원개발위원회나 지역 노사민정협의회 등 고용-숙련 거버넌스의 쇄신과 함께 노사 당사자들의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된다.

      • KCI등재

        동태적 디지털 역량이 비즈니스 생태계의 지속가능한 혁신에 미치는 영향: 뉴딜정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민재,정진섭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22 국제경영리뷰 Vol.26 No.2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ynamic digital capabilities (i.e., digitalization capability and digital platform capability) and business ecosystem innovation in the situation where digitalization is rapidly changing the business environment. In addition, the effectiveness of Korean New Deal policy being pursued by the Korean government to overcome the economic recession and job crisis caused by COVID-19 and strengthen the economic dynamism was also examined.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companies in Chungcheong Province that have benefited from government support related to the New Deal, and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using the PLS structural equation using 158 data obtained. Results show that digitalization capability and digital platform capability have significant impacts on the business ecosystem innovation. Meanwhile,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New Deal were not significant. Looking at the impact of Korean New Deal policy between digitalization capabilities and digital platform capabilities or business ecosystem innovation, Korean New Deal policy was found to be a prerequisite for business ecosystem innovation.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is study provides a overall understanding of how dynamic digital capabilities can effect business ecosystem innovation. Finally, in response to the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this study not only achieves business ecosystem innovation based on dynamic digital capabilities, but also provides strategic implications for creating competitive advantage. 본 연구는 디지털화가 비즈니스 환경을 급속하게 변화시키고 있는 상황에서, 기업의 동태적 디지털 역량(즉, 디지털화 역량과 디지털 플랫폼 역량)과 비즈니스 생태계의 지속가능한 혁신 사이의 관계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와 일자리 위기를 극복하고 경제의 역동성을 강화하기 위해 최근 한국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뉴딜정책의 효과성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가설 검증을 위해 뉴딜정책과 관련된 정부지원 혜택을 받은 경험이 있는 충청지역 소재 기업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수집된 158부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PLS 구조방정식을 활용해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동태적 디지털 역량이 비즈니스 생태계의 혁신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한편, 뉴딜정책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동태적 디지털 역량이 비즈니스 생태계 혁신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종합적 이해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끝으로 변화하는 비즈니스 환경에 대응하여, 동태적 디지털 역량을 기반으로 비즈니스 생태계 혁신의 달성뿐만 아니라 경쟁우위 창출에도 의미 있는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디지털 전환 핵심기술(ICBM+AI) 도입이 제조기업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혁신전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유환 한국기업경영학회 2023 기업경영연구 Vol.30 No.5

        본 연구는 정부 정책 수립 및 변화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제정책의 불확실성이 주식시장의 유동본 연구는 디지털 전환 핵심기술로 인식되고 있는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빅데이터, 모바일, 인공지능 기술(a.k.a. ICBM+AI) 도입이 제조기업의 프로세스, 제품 및 서비스 혁신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디지털 전환 핵심기술을 도입한 1,141개의 제조기업을 중심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첫째, 디지털 전환 핵심기술은 전반적으로 제조기업의 혁신성과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혁신성과별로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데이터 저장·수집·처리 기술인 클라우드와 빅데이터가 프로세스 혁신성과에 더 큰 영향을 주는 반면에, 사물인터넷과 인공지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지털 전환 핵심기술 도입은 클라우드를 제외하고 제품 혁신성과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제조기업이 해당 기술을 생산 공정혁신에 더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때문이며또한, 국내 제조기업의 디지털 전환 핵심기술 수용도가 낮은 것도 주요 원인으로 해석된다. 셋째, 디지털 전환핵심기술은 타 혁신성과에 비해 서비스 혁신성과와 상대적으로 더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며 특히, 빅데이터 및인공지능의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디지털 전환 핵심기술이 제조기업의 서비스화 및 제조업-서비스업 융복합화를 창출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혁신전략을 조절변수로 사용하였으며 특히, ‘탐험적 혁신전략’의 조절효과가 ‘활용적 혁신전략’의 조절효과보다 혁신성과에 더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신기술을 탐색, 흡수, 적용하는데 초점을 둔 ‘탐험적 혁신전략’의 특성 때문으로 해석된다. 다섯째, ‘탐험적 혁신전략’의 조절변수를 기반으로 한 평균효과 측정결과에 따르면 제조기업의디지털 전환 핵심기술에 대한 수용도는 ‘프로세스 혁신성과’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국내 제조기업의 디지털 전환 핵심기술에 대한 수용도가 여전히 프로세스 혁신에 더 높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opt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technologies (under, DX techs), including the IoTs, cloud, big data, mobile and AI, and innovation performance in manufacturing firms. The empirical analysis is conducted with a focus on 1,141 manufacturing firms that had adopted DX techs. First, the findings show that DX techs are found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rocess innovation performance. In particular, the adoption of cloud and big data is associated with a positive impact on process innovation performance, while IoTs and AI did not yiel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Second, the adoption of DX techs, excluding cloud, i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impact on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This result suggests that manufacturing firms are more inclined to utilize the technologies for process innovation. Third, DX techs are found to have a relatively high impact on service innovation performance. In particular, big data and AI is found to have a greater effect on service innovation performance compared to other innovation performance. Fourth, innovation strategy is used as a moderating variable, and in particular, the moderating effect of exploratory innovation strategy is found to have a greater impact on innovation performance than the moderating effect of exploitative innovation strategy. Fifth, based on the results of the mean effect, using the variables of exploratory innovation strategy, the adoption of DX techs in manufacturing firms is found to be the highest in process innovation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