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데이트폭력

        정혜욱 ( Choung Hye Uk )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2021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Vol.15 No.2

        데이트폭력이란 ‘데이트 과정에서 일방 당사자가 다른 당사자에게 행사하는 폭력’을 말한다. 데이트폭력이라는 개념은 ‘데이트 상태’라는 상황적 속성과 ‘폭력’이라는 행위적 속성으로 구성된다. 데이트 관계인가 하는 점은 폭력 발생에 대한 신고를 접수하고 출동하는 경찰이 데이트폭력 대응지침을 적용하여야 하는 사안인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실무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데이트 상태가 무엇을 의미하는가에 대해서 다양한 개념 정의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데이트폭력에 대한 적정 대응이라는 면을 감안하여 ‘당사자 사이의 합의에 따라 교제하는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교제’는 미혼 남녀 사이의 관계일 경우가 대다수를 차지하겠지만 반드시 그러한 경우로 제한할 이유는 없다. 사회가 변화함에 따라 동반관계가 반드시 혼인의 형태를 가지게 되는 것이 아니므로 혼인을 전제로 하는 경우로 제한할 필요도 없다. 합의는 보호의 범위를 부당하게 축소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완벽한 자유의사에 의한 의사표시에 의한 경우로 제한할 이유가 없다. 양 당사자 사이에 합의 여부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을 수도 있는데, 당사자 중 어느 일방이라도 데이트 관계로 인식하고 있으면 데이트 상태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그것이 당사자 보호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데이트폭력에서의 폭력이란 ‘데이트 상태에서 상대방에게 가해지는 신체적, 정신적 또는 재산상 피해를 수반하는 폭력행위’라고 할 수 있다. 폭력의 개념은 이렇게 간략하게 정의할 수 있지만, 이에 해당하는 범죄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 하는 점은 데이트폭력방지법안(또는 가정폭력처벌법)이 그렇게 하는 것처럼 형사처벌 규정을 열거하는 방법이 가장 합리적이다. 데이트폭력에 대한 공적 제재는 상당히 부실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처럼 데이트폭력에 대한 공적 제재가 부실하게 되는 원인은 ‘잘 아는 사람 사이에 있었던 경미한 폭력 사건에 대해서 엄정한 법적 대응을 하는 것’에 대한 심리적 저항감에서 찾을 수 있다. 이는 우리 사회 구성원들이 공유하고 있는 가치관이어서 경찰도 과거에는 이러한 심리적 저항감 때문에 데이트폭력 신고를 엄정하게 처리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이 문제는 이제 해소되었다. 남은 문제는 데이트폭력 피해자가 가지고 있는 심리적 저항감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는 교육을 통해서 가능하기 때문에 폭력예방교육이 모든 사회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현재 완벽하지는 않지만 상당히 광범위한 사회구성원을 대상으로 폭력예방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이 교육내용에 데이트폭력 예방교육도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또 한 가지 문제는 데이트폭력에 대한 엄정한 법집행을 위한 입법이 안 되어 있다는 점이다. 데이트폭력은 초기에 경미한 폭행에서 시작되어 점차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는 폭력으로 변화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 경미한 데이트폭력에 대한 신고가 있게 되면 피해자가 신고를 했다는 사실에 분노한 가해자가 더욱 심각한 보복폭력을 행사하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데이트폭력에 대한 신고가 있게 되면 가해자에 대한 구속사유가 인정되지 않더라도 피해자에 대한 접근은 차단해야 한다. 이와 같은 접근금지 조치는 일반적 행동의 자유를 제한하는 것이기 때문에 법률에 근거가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데이트폭력방지법의 제정이 시급하다. Dating abuse refers to “violence that one party uses against another in the course of a date.” The concept of dating abuse consists of a situational attribute called 'dating status' and a behavioral attribute called 'violence'. Whether or not it is a dating relationship is an important factor in practical terms 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dating abuse response guideline' should be applied to the police who receive reports of violence and go to the scene. Although various conceptual definitions have been made on what the dating status means, it can be defined as a ‘state of dating according to the agreement between the parties’ in consideration of the appropriate response to dating abuse. Here, the ‘dating status’ is a relationship between an unmarried man and a woman in the majority, but there is no reason to limit it to such a case. As society changes, courtship does not necessarily take the form of marriage, so there is no need to limit it to cases that presuppose marriage. In order not to unreasonably reduce the scope of protection, there is no reason to limit the agreement to cases based on the expression of a completely free will. There may b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whether or not there is an agreement between the two parties, but if either of the parties perceives it as a dating relationship, it is reasonable to view it as a dating state. Because it is beneficial to the protection of victims. Violence in dating abuse can be defined as ‘an act of violence that involves physical, mental, or property damage inflicted on a person in a dating state’. The concept of violence can be defined briefly like this, but as for what the corresponding crime is specifically, it is most reasonable to enumerate the criminal punishment provisions as the Dating Abuse Prevention Act (or the Domestic Violence Punishment Act) does. Public sanctions against dating abuse are very poorly implemented. The cause of the lack of public sanctions against dating abuse can be found in the psychological resistance to 'taking a strict legal response to minor violence between people you know well'. This is a value shared by members of our society, so the police tended not to handle dating abuse reports strictly in the past because of this psychological resistance. However, this problem has now been resolved. The remaining issue is the psychological resistance that dating abuse victims have. To solve this problem, a change of perception is required. Because this is possible through education, education to prevent violence should be conducted for all members of society. Currently, although not perfect, education on prevention of violence is being conducted for a fairly wide range of members of society. It is necessary to include dating abuse prevention education in this education content. Another problem is that there is no legislation for strict enforcement of dating abuse. Dating abuse has a tendency to start out as mild assault and gradually evolve into violence with serious consequences. When there is a report of minor dating abuse, the perpetrator, angry at the fact that the victim reported it, often engages in more serious retaliatory violence. Therefore, if there is a report of dating abuse, access to the victim should be blocked even if the reason for arrest for the perpetrator is not recognized. Such restraining measures must be legally grounded as they limit the general freedom of action. For this purpose, it is urgent to enact the Dating Abuse Prevention Act.

      • KCI등재

        데이트 폭력과 가정폭력 경험에 대한 국가 간 비교 연구: 한국, 몽골, 필리핀, 러시아 대학생을 중심으로

        서경현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ctual condition of dating violence and experience of domestic violence of Korean, Mongolian, Filipino, and Russian college students, and explore gender differences in dating violence of each countries and differences in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of domestic violence and dating violence. The participants were 326 Korean, 200 Mongolian, 312 Filipino, and 200 Russian college students. The psychological tests used in this research included the following: Straus' Conflict Tactics Scale and Foo and Margolin's Justification of Violence Scale. Results revealed that Mongolian students' level of inflicting dating violence was lower than Korean, whereas Russian students' level of inflicting dating violence was higher than Korean students. Number of Filipino students who inflicting dating violence were more than Korean students, but average score of inflicting dating violence was not higher than those of Korean students. Many Korean and Russian students reported the experience of sexual violence toward dating partners. For Korean samples, male student were inflicting more dating violence than female students, while female student were inflicting more dating violence than male students for Mongolian and Filipino samples. Korean and Russian students reported more father's violence toward mother than Mongolian and Filipino students. Experience of domestic violence of Filipino students was most variance of dating violence. This study indicated that mother's violence toward father and parents' harsh punishment have influence on inflicting and receiving dating violence.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적으로 차이가 있는 한국, 몽골, 필리핀, 러시아 대학생들의 데이트 폭력 실태와 가정폭력 경험을 비교하고, 데이트 폭력의 성차 및 가정폭력 경험과 데이트 폭력의 관계에 국가 간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의 참여자는 데이트 경험이 있는 한국 대학생 326명, 몽골 대학생 200명, 필리핀 대학생 312명, 러시아 대학생 200명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심리검사는 Straus의 갈등책략척도와 Foo와 Margolin의 데이트 폭력 정당화 척도이다. 분석 결과, 한국 대학생과 비교했을 때 몽골 대학생의 데이트 폭력 수준이 낮았고 러시아 대학생의 데이트 폭력 수준이 높았다. 한국 대학생보다 필리핀 대학생의 데이트 폭력 가해 빈도는 높았으나 데이트 폭력 가해 평균 점수는 높지 않았다. 한국과 러시아 대학생들에게서 데이트 상대에 대한 성폭력 비율이 높았다. 한편 한국 대학생의 경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데이트 폭력 가해를 더 많이 하는 반면에, 몽골과 필리핀 대학생의 경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데이트 폭력 가해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러시아 대학생이 몽골과 필리핀 대학생보다 어머니에 대한 아버지의 폭력을 더 많이 목격했다고 보고하였다. 가정폭력 경험은 특히 필리핀 대학생의 데이트 폭력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아버지에 대한 어머니의 폭력을 목격한 경험과 부모로부터의 가혹한 체벌이나 폭행을 당한 경험이 데이트 폭력 가해나 피해에 영향을 더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대학생의 데이트 성폭력 가해 예측요인

        이미호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 2020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Vol.21 No.3

        Objectives: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conducted to grasp the Prediction factors of the sexual violence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Methods: A convenience sampling was performed for 500 students from one college located in Gyeongsangbuk-do, who agreed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October 5, 2015, to October 23, 2015, by filling out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Among the 450 subjects excluding those with missing values, a questionnaire of dating violence experience was applied to 317 college students who answered that they had a friend of the opposite sex, and variables and prediction factors related to dating violence experiences were identified.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were descriptive statistics, x2-test,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xperience of sexual behavior before entering college (χ2=6.52, p=.011), experience of sexual violence damage before entering college(p=.045), the experience of sexual assault before entering college (p=.007) and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damage(p=.002) were variables related to the sexual violence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OR=4.831, p=.007) and controlling dating partners (OR=1.349, p<.001) were predictors of dating sexual violence. Dating sexual violence experience group were compared to dating sexual violence non-experience group, the relative degree of controlling dating partners was high (t=4.25, p<.001) and had a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 (t=2.94, p=.004). a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r=.358, p<.001) between controlling dating partners and gender role attitude. Conclusions: In order to prevent sexual violence on dating among college students, it is expected that more effective health education results will emerge if the contents of the school-age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and the control of dating partners, which are predicted factors of sexual violence on dating, are included in the sexua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 KCI등재

        데이트 폭력 문제: 젠더 역할과 파워 관계에 관한 연구

        권혁남 ( Kwon Hyeok Nam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4

        본 연구는 `데이트 폭력`이란 문제 현상을 젠더 역할과 파워 관계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데이트 폭력을 주제로 한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데이트 폭력의 가해요인을 밝히고 이를 근절하기 위한 사회적·제도적 해결책을 찾는데 주목해 왔다. 그러나 우리사회 속에서 데이트 폭력 문제로 인해 고통 받는 피해자의 절대적 다수가 여성임을 감안해 볼 때 우리가 데이트 폭력 문제에 대해 이해하고 더욱이 근본적인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젠더의 관점에서 이 문제를 바라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사회의 구조적 관점에서 젠더 역할과 성(性) 간의 파워 관계는 어떠한 관계성 속에 정초해 있는지 살펴보고, 또한 이러한 요인들이 데이트 폭력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전통적인 젠더 역할에 기반해 파워 관계가 형성될 경우 남성과 여성의 관계는 수평적인 관계가 아닌 수직적인 관계를 형성해나갈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이러한 관계가 공고해질수록 남성은 여성 통제에 대한 명분을 얻게 되며, 권력결과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젠더 역할과 젠더 간 파워 관계에 충실한 남성은 권력결과에 순응하지 않는 여성에게 최후의 수단으로 폭력을 행사할 가능성이 있다. 이때의 폭력은 신체적 폭력뿐만 아니라 정서적, 성적, 행동통제 등을 모두 포함하여 나타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상황의 피해자는 남성과 여성 모두가 될 수 있다. 연인관계의 기본 구조는 수평적인 관계이다. 연인관계를 수직적인 관계로 인식한다면 데이트 폭력 문제는 결코 해결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사회적으로 데이트 폭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과 동시에 구성원들 모두 수평적 구조로서의 연인관계와 젠더 역할, 젠더 간 파워 관계에 대해 새로운 사고방식을 구축해 나가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analyzed issues around `dating violence` regarding gender role and power relations. Previous studies about dating violence have focused on uncovering the causes of dating violence, and suggesting social and institutional solutions to eradicate dating violence. Regarding the major population of the victim, women, it is important to take a step further by taking a lens of gender role to understand this issue, and to suggest fundamental solutions for dating violence. Therefore, this research employed structural perspective to see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and the power relations has been established. It also analysed what kinds of influence this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and power relations have on dating violence. There is a significant possibility that the recent male-female relationships in dating are affected by vertical (traditional) gender roles between men and women. It is important that this unequal power in dating relationships is highly associated with a male-dominant relationship. In a male-dominated relationship and power structure, men are more prone to violence and women are more compelled to accommodate men`s desires. Such dating violence takes many different forms such as physical, emotional, and sexual violence. The evidence shows that both men and women can experience these forms of dating violence. Men and women fundamentally have equal power in a relationship which is based on a horizontal structure. The more a dating relationship is affected by a vertical (traditional) gender role, the more a dating violence becomes worse. Therefore, all levels of societies and institutions should intensify the efforts against dating violence and reconsider the traditional gender role differentiation in a dating relationship to change towards more equal gender roles and horizontal relationship patterns.

      • KCI등재

        대학생이 경험한 인지 전 및 인지 수준 데이트 폭력 피해 연구

        신후덕,정성경,남상인 한국청소년학회 2019 청소년학연구 Vol.26 No.9

        This study classified dating violence as pre-perceived violence(intimidation, obsession, control) and perceived violence(physical, coercive, sexual, emotional, passive) and investigated difference of experience of pre-perceived dating violence according to gender among college students and investigated difference of experience of perceived dating violence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pre-perceived violence. For the study online surveys were administered by 318 college students and the responses of 200 college students were t-tested using SPSS 19.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63.5% of students experienced pre-perceived dating violence by comparison with perceived level(34.5%). Second, the experience of pre-perceived dating violence according to gend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and especially obsession and contro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physical and coercive viole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group who experienced threat, physical, sexual, emotional and coercive viole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group who experienced obsession, and emotional, passive and coercive viole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group who experienced control. According to the results a considerable number of students experienced pre-perceived dating violence though they reported not to experience dating violence. The victim of pre-perceived dating violence can be the possibility of victims of another violence. This study was to know pre-perceived and perceived dating violence experienced by college students and will be used one of basic data for further research about this kind of research topic. 이 연구는 데이트 폭력을 피해자의 인지 수준에 따라 인지 전 수준 (위협, 집착, 통제)과 인지 수준 (신체적, 강압적, 성적, 정서적, 수동적)으로 분류하여 대학생이 경험한 인지 전 수준 데이트 폭력의 성별에 따른 차이 및 인지 전 수준 데이트 폭력의 경험 유무에 따른 인지 수준 데이트 폭력의 경험 차이를 알아보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 31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고 최종 200명의 응답 자료를 SPSS 19.0을 사용하여 t-검정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인지 수준(34.5%)에 비해 인지 전 수준 데이트 폭력(63.5%)을 더 경험했다. 둘째, 성별에 따른 인지 전 수준 데이트 폭력 경험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특히 집착과 통제의 경험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위협 경험의 경우 신체적, 강압적 폭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했고, 집착은 신체적, 성적, 정서적, 수동적, 강압적 폭력이 그리고 통제는 정서적, 수동적, 강압적 폭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이상의 결과에 따르면 대학생들은 데이트 폭력을 경험하지 않았다고 보고하지만, 상당 부분의 대학생들은 인지 전 수준의 데이트 폭력을 경험했다. 이는 대학생들이 데이트 폭력의 피해 사실 자체를 인지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지 전 수준의 피해자들은 가해자의 폭력에 즉각 대처하지 못하면 다른 폭력에 희생될 가능성이 높다. 이 논문은 대학생이 경험한 인지 전 및 인지 수준 데이트 폭력에 관한 관계를 알아본 것으로 이 연구주제와 관련되어 추후연구를 위한 하나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KCI등재

        데이트 폭력 예방과 피해자 보호방안에 관한 연구

        한성훈,임채영 한양법학회 2019 漢陽法學 Vol.30 No.1

        The perception of dating violence in Korea was perceived simply as a minor quarrel between two people in dating relationship. Recently, however, dating violence crime was recognized a serious social problem as it has occurred in a very habitual, persistent and cruel form. Nonetheless, there is still no legal mechanism to deal with dating violence properly. In the case of occurred victimization of dating violence, Korea is solving it by using the criminal law or special law. This is because it is impossible to cope with dating violence in various forms due to the nature of dating violence. Therefore, a new legal system that reflects the traits of dating violence crime is required. In this regard, foreign laws related to dating violence, which recognize the seriousness of dating violence and legalized it, and make efforts to protect victims, and to prevent crime, give us a lot of suggestions. Meanwhile, dating violence crime is a crime that requires more preventive measures as well as follow-up measures. Thus, there are various ways to prevent dating violence and protect victims. But among them, in order to protect the potential victim of the dating violence,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on the concept and type of the dating violence, the way of coping with it, the counseling and protection of the victim, and punishment cases of offenders should be preceded. Because such education and publicity will contribute to reducing dating violent crime as a preventive effect, through the right understanding of dating violence to the perpetrator as well as the victim of dating violence.

      • KCI등재

        성별 및 양가적 성차별주의가 데이트 폭력에 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오주령,박지선 한국법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법 Vol.10 No.1

        Although the severity of dating violence increases, research on dating violence remains scarce and most studies on dating violence focus on reporting demographics of dating violence. Perception of crime influences offender punishment and sentencing, as well as law making, therefore investigating perception of crime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perception of dating violence, including its severity and frequencies, and how gender and ambivalent sexism affects perception of dating violence. We gave a total of 203 participants scenarios regarding four types of dating violence(control behavior, emotional violence, physical violence, and sexual violence), and evaluated perception of severity and frequencies of dating violence. We conducted independent samples t-test, correlational analyses, and regression analyses to examine how gender and ambivalent sexism affected perception of dating violence. As a result, respondents perceived dating violence as considerably severe, and the difference by gender was found only in the severity of sexual violence against male victims. Male respondents evaluated sexual violence against male victims less severe than female respondents. Perception of frequencies of dating violence differed by gender of respondents: Male respondents perceived dating violence less frequent than female respondents did. Males displayed higher hostile and benevolent sexism attitudes than females. Furthermore, competitive gender differentiation, a sub-factor of hostile sexism, affected perception of frequencies of control behavior, physical violence, and sexual violence, and gender was highly related to perception of frequencies of emotional violence and sexual violence. Finally, we discussed practical ap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mad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데이트폭력은 최근 그 심각성이 날로 부각되고 있으나, 여전히 관련 연구가 희소하고 대부분의 선행 연구가 실태조사에 그치는 한계가 있었다. 범죄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은 범죄자 처벌 및 양형 기준, 관련 법제정 등 형사사법 제도나 정책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는 일은 해당 범죄가 실제얼마나 발생하고 있는지를 조사하는 실태조사와는 별개로 의의를 가진다. 이에, 본 연구는 먼저 데이트폭력에 관한 사람들의 인식, 즉 데이트폭력의 발생 빈도에 대한 인식 및 심각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성별 및 양가적 성차별주의가 데이트폭력에 관한 사람들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수도권에 거주하는 성인남녀 총 203명을 대상으로, 데이트폭력의 네 가지 하위유형(통제행동, 심리적 폭력, 신체적 폭력, 성적 폭력) 각각에 대한 시나리오를 제시한 후 데이트폭력의 심각성 및 발생빈도에 대한인식을 측정하였다. 더불어, 성별 및 양가적 성차별주의 태도가 데이트폭력에 관한 사람들의 인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응답자들은 전반적으로 데이트폭력이라는 사회문제를 매우심각한 것으로 인식하였으며, 남성 피해자의 성적 폭력에 대한 심각성 인식을 제외하고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데이트폭력 발생빈도 인식에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는데, 일반적으로 여성보다 남성이 데이트폭력 상황이 현실에서 덜 발생한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남성이 여성에 비해 더 심한 적대적 성차별주의 태도와 온정적 성차별주의 태도를 나타냈다. 더불어, 적대적 성차별주의의 하위요인인 경쟁적 성분화가 통제행동과 신체적 폭력, 성적 폭력의 발생빈도 인식과관련이 있으며, 성별 또한 심리적 폭력과 성적 폭력의 발생빈도 인식과 관련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이 지각한 가해동기와 데이트폭력의 관계: 성차를 중심으로

        오윤희,임성문 한국여성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23 No.2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es for dating violence perpetration and dating violence, according to focusing on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context for dating violence that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And gender differences were also investig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For our purpose, in study Ⅰ, 317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ho had experience of dating violence were sampled and data were collected on the experience of dating violence, motives for dating violence perpetration, and the social desirability. Data were analyz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en's perpetration was mainly associated with motive of emotional, mental or physical state, while women's perpetration was only associated with motive of asserting power or authority. Second, gender differences were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es for dating violence perpetration and dating violence, suggesting that men and women could attack in different contexts. In study Ⅱ, mediation effect of perpetration motive of asserting power or authority was tested in relationship between child abuse experience and psychological dating violence perpetration of women with data of 107 female college students who had experience psychological dating violence. Fully mediation effect of perpetration motive of asserting power or authority between those two variables was confirm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discussed on the suggestions for interventions of psychological dating violence for women and further study, limitations of our research.

      • KCI등재

        데이트 폭력 피해의 원인과 피해회복 방안에 관한 연구

        박병주(Byung Joo, Park) 한국범죄심리학회 2021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7 No.4

        최근 언론을 통해 데이트 폭력 피해 사례가 보도되고 있다. 데이트 폭력으로 인해 자살과 살인까지 발생하는 등 데이트 폭력은 연인간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데이트 폭력의 심각성으로 인해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는 데이트 폭력의 발생한 원인을 규명하고 있다. 하지만 데이트 폭력의 피해 원인과 피해 회복 방안에 관한 연구는 전무하다. 이 연구는 데이트 폭력의 피해 원인을 사례를 통하여 살펴보고, 데이트 폭력에 대한 피해 회복 방안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데이트 폭력을 피해를 겪은 여대생의 면접을 통하여그 원인을 파악하였다. 면접결과, 데이트 폭력의 피해 원인은 부모와의 유대관계, 데이트 폭력에 대한 인지, 신고의 두려움으로 조사되었다. 경찰 및 여성가족부 등에서 데이트 폭력의 피해에 관하여 상담 및 보호 등을 제공하고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운동처방을 통한 피해회복방안의 제언을 하였다. Recently, there have been reports of victims of dating violence in the media. Dating violence is recognized as a social problem, not a problem between lovers, such as suicide and murder due to dating violence. Due to the seriousness of dating violence, various academic fields are investigating the causes of dating violence. However, there are no studies on the causes of dating violence and how to recover from the dam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uses of dating violence through case studies, and to discuss ways to recover from dating violence. The cause was identified through an interview with a female college student who suffered from dating violence.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the causes of dating violence were investigated as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awareness of dating violence, and fear of reporting. Although the police and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provide counseling and protection regarding the victims of dating violence, this study suggested a plan for recovery through exercise prescription.

      • KCI등재

        데이트폭력의 실태와 그 대책방안 - 일선경찰관의 관점에서 -

        김한중 ( Han-jung Kim ),강동욱 ( Dong-wook Kang ) 한국법정책학회 2019 법과 정책연구 Vol.19 No.2

        최근 데이트폭력 ‘연인 간 폭력’이 자신의 연인을 대상으로 살인, 강간 등 강력 사건으로 발생되면서 심각한 국가,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경찰청 자료를 보아도 데이트폭력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문제는 지금까지 데이트폭력 ‘연인 간폭력’을 단순한 남녀간의 사랑싸움으로 치부하여 온 것이 우리 사회의 현실이었다. 데이트폭력은 일선 치안현장에서 보면 서로 연인 간이라는 인적 특수성이 존재한다는 특성이 있고, 집착과 반복성이라는 특성이 있다. 또한, 데이트폭력은 자신의 연인을 상대로 하여 단순 폭행을 넘어서 정신적, 경제적, 통제력을 행사하는 다양한 폭력 유형들이 복합적으로 나타나고, 더구나 인적 특수성으로 인하여 피해자 보호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서 피해자에게 신체적 침해 외에도 심각한 정신적 후유증을 초래하게 된다. 특히, 최근 결혼을 하지 않는 비혼화의 증가와 이로 인한 1인 가구의 증가로 인해 연인 간 폭력의 문제는 앞으로도 계속 증가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데이트폭력에 대한 방지와 피해자의 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대책으로서 데이트폭력에 대한 반의사불벌죄 적용 배제, 데이트폭력전과 공개제도 신설, 데이트폭력범죄 가해자에 대한 ‘접근금지등’ 임시조치 규정신설, 상습 데이트폭력사범에 대한 치료적 사법제도의 적극 활용, 데이트폭력범죄 피해자에 대한 심리치료 등의 활성화를 주장하였다. The recent outbreak of dating violence, "Lovers-to-Lovers violence," has become a serious national and social problem, with violent incidents involving murder and rape against his lover. Also, dating violence continues to rise, even with police data. The problem has so far been the reality in our society that dating violence, "Lovers-to-Lovers violence," has been dismissed as a simple love fight between men and women. Many police officers see the characteristics of dating violence on the spot as the personality trait of dating relationship and obsession and repetition. In addition, today, dating violence is causing serious problems, not just physical violence, but also mental aftereffects, in a reality where various types of violence that exercise mental, economic and control are used against one's lover, or mixed up with such violence, and in which this human nature does not protect the victim at all. Moreover, if domestic violence was a social problem in the past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unmarried couples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ingle households, it is expected that the problem of violence between couples rather than couples will continue to increase. As a countermeasure against dating violence, the Act stipulated the elimination of anti-will punishment for dating violence, the establishment of a dating violence and disclosure system, the establishment of a "no access" provision for temporary measures such as "no access" to perpetrators of dating violence, the active use of a therapeutic judicial system for habitual dating violence offenders, and psychological treatment for victims of dating viol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