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全南東部地域의 加耶系 土器와 歷史的 性格

        이동희(Dong Hee Lee) 한국상고사학회 2004 한국상고사학보 Vol.46 No.-

        최근에 조사된 활성화로 전남동부지역에서는 4~6세기의 아라가야계·소가야계·대가야계 토기 외에 가야계 고총고분도 일부 확인되고 있다. 전남동부지역에서 가야계 토기가 등장하기 시작하는 4~5세기에는, 영산강유역이나 경남서부지역과 달리 독자적인 묘제나 토기문화가 성립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독자적인 지역연맹체를 형성할 만한 주체적인 역량을 갖추지 못한 점이 가야의 영향력하에 놓이게 되는 배경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전남동부지역의 가야계토기는 경남서부지역과 거의 동일하게 아라가야계토기→소가야계토기→대가야계토기의 순으로 나타난다. 4세기말에서 5세기중엽에 이르는 시기에는 아라가예 토기와 이른 단계의 소가야계토기가 등장하늗네 섬이나 해안·강변에서 간헐적으로 출토되고 생활유적에서 재지계토기가 공반되므로 일시적인 교류나 교역의 산물로 판단된다. 반면 5세기 후엽 이후에는 소가야토기가 출토되는 소가야계 분묘유적의 비율이 증가한다. 소가야계 묘제와 토기가 전남동부지역에 확산되는 5세기 후엽에는 한시적으로 소가야연맹체(서남부가야연맹체)에 속했을 가능성이 크다. 6세기 이후가 되면 소가야토기의 토착화가 진전되어 재지에서 제작된 변형된 소가야토기가 등장하여 6세기 중엽까지 지속된다. 6세기 이후에 소가야토기의 토착화 시점은 대가야토기의 등장과도 궤를 같이하는데, 이는 대가야세력의 확장에 의해 소가야의 영향력이 축소됨을 보여준다. 현재까지의 고고학적 자료로 보면 전남동부지역에서 대가야계 토기의 출현은 500년을 전후한 시점이라고 판단된다. 전남동부지역에서의 대가야계 토기는 크게 2단계로 구분해 줄 수 있다. 즉 530년을 기준으로 전기(6세기 초엽)와 후기(6세기 중엽)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 기준점인 530년은 백제가 전남동부지역을 점차 영역화를 진행함에 따라, 대가야가 간접저긍로나마 전남동부지역에 영향을 끼치던 하한시점으로 볼 수 있다. 전기에는 주로 전형적인 대가야토기가 출토되는데 반해, 후기로 갈수록 현지에서 제작되어 변형된 대가야계 토기나 백제토기의 속성과 혼합된 양식이 증가하게 된다. 이는 대가야 세력이 전남동부지역에 일정한 정치적 영향을 미치다가 백제에 밀려 이 지역에서 벗어났지만, 대가야 토기문화는 토착화 및 혼합화 과정을 겪으면서 6세기 중엽까지 잔존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전남동부지역은 任耶四縣으로 비정되고 있는데, 그와 관련된 중심지는 선사시대 이래로 지역 거점이면서 소가야·대가야·백제 토기뿐만 아니라 관련 墓制가 확인된다. 이는 외래의 새로운 정치세력이 토착의 거점세력과 연계하여 그 영향력을 행사하였음을 시사한다. 대가야계 토기가 출토되는 고분군은 대가야 세력이 전남동부지역으로 진출하는 과정에서 대가야와 관계를 맺은 재지 거점세력이 조영한 것으로 판단된다. 즉 전남동부지역은 대가야 토기와 고분이 출토되는 지역거점의 수장층이 고령의 대가야와 연맹관계를 맺은 대가야연맹체의 일부였다고 볼 수 있다. Thanks to the recent active investigation, part of the Gaya-lineage ancient tombs are being confirmed in addition to the Aragaya-, Sogaya- and Daegaya-lineage potteries. When the pottery of Gaya-lineage began to appear in the eastern area of Chon-nam Province in 4-5th centuries, unlike Youngsan valley or western area of Gyungnam Province, unique patterns of grave system and pottery culture had not been yet completed in the eastern of Chon-nam Province. The failure to secure the standing-alone power strong enough to form any independent regional federation due to the above reason, seems most likely the background that the region had to ne under the Gaya's influence. Aragaya-lineage and Sogaya-lineage potteries appeared in the period between the end of 4th and the middle of 5th centuries. As they were occasionally found on the island along the sea or riverside and were also found together with natively-developed potteries from the living remains, they could be understood as the products for the temporary intercjange or trading. On the other hand, since later 5th century, the ratio of the tombs of Sogaya-lineage in which Sogaya potteries were found, increased. When the grave system and potteries of Sogaya-lineage spread to the eastern area of Chon-nam Province late in the fifth century, it was highly possible that it temporarily belonged to Sogaya Alliance. Potteries of Daegaya-lineage could be mainly divided into two categories in the eastern area of Chon-nam Province and it could be classified into the former period (early of 6th century) and the latter period (middle of 6th century) when we set the year of 530 as the standard. In the former period, typical Daegaya potteries were mainly found. However, with the time nearing to the latter period, on the rise were variations of Daegaya potteries locally manufactured, or hybrid potteries of characters between Baek-je and Daegaya. After power of Daegaya influenced the eastern area of Chon-nam Province politically for the time being, it had to leave this area due to the power of Baek-je. However, it meant that the pottery culture of Daegaya still remained through the localization and mixture process until the middle of 6th century. The ancient tomb groups in which Daegaya-lineage potteries were unearthed are assumed to have been made by the local warlords which kept partnership with the Daegaya in the process of advancing to the eastern Chon-nam Province.

      • 동해 추암동고분군 출토 대가야양식 토기에 대하여

        이상수 ( Lee¸ Sang Soo )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 2020 강원문화연구 Vol.42 No.-

        1992년 강원 동해시 추암동고분군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소위 ‘대가야양식(대가야식·고령계)’ 토기(약 17점)들은 562년 대가야멸망 직후 신라의 사민정책에 의한 역사적 산물로서 대가야유민이 강제 이주된 역사적 실체를 파악하는데 매우 중요한 고고자료이다. 이 고분군 출토 대가야양식 토기의 개(蓋)와 배(杯)들은 대가야(大加耶) 고령지역 권역 일대에서 생산된 고령계 도질토기가 일부 포함되어 있어 토기제작기술자와 관련된 소규모 집단이 이주되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대가야양식 토기가 출토된 고분 유구(총 7기)는 2기 또는 3기가 권역을 이루며 축조되어 피장자 구성은 혈연을 기반한 친족일 가능성이 높으며, 대략 2세대(약 50년)에 걸쳐 매장된 것으로 추정된다. 아울러 가-34호의 구조 및 출토유물 양상을 미루어 볼 때, 극소수의 대가야 지배층이 함께 이주되었을 가능성도 엿보인다. 이곳 실직(삼척)지역에 강제 이주된 대가야유민의 3세대와 후손들은 7세기에 이르러 신라문화에 완전히 동화된 것으로 보이며, 6세기 초에 신라의 실직지역(군사적 거점:전략적 수군기지)에 대한 지방통치 기반이 확고히 성립된 역사적 배경하에 강제 이주의 장소가 의도적으로 선택되었을 개연성이 높다. 대가야유민의 이주 과정은 육상루트보다는 동해안 해상루트를 통해 이루어졌던 것으로 보여진다. The so-called “Daegaya-type(Daegayasik, Goryeonggye)” pottery(about 17 pieces) found in excavation of Chuam-dong tombs in Donghae-si, Gangwon-do in 1992, is a historical product of Silla's migration policy immediately after the destruction of Daegaya in 562. It is very important archaeological data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that period with. The cover and the flat dish of Daegaya-style pottery from this burial area includes some of the Goryeong-type unglazed earthenware produced in Goryeong of Daegaya, which means that a small group of people related to pottery craft migrated to this place. The remaining tombs(7 in total), in which Daegaya-style pottery was discovered, are divided, each including 2 or 3 tombs, and the victims buried are likely to be relatives based on blood ties, ranging over approximately 2 generations (for about 50 years). Considering the structure and the unearthed relics of Ga-34 tomb, it is possible that a small number of ruling classes migrated together. The 3rd generation and the descendants of Daegaya refugees forcibly displaced to Shiljik(Samcheok) seem to have been fully assimilated into the Silla culture until the 7th century.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location of Daegaya refugees' forced migration was deliberately chosen under the historical background that, in the early 6th century, the foundation for regional governance over Shiljik area(Military base) was firmly established. It is believed that the Daegaya refugees migrated along the eastern coast rather than along the land route.

      • KCI등재

        대가야양식 유물의 분포양상과 의미

        이한상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13 新羅文化 Vol.41 No.-

        Potteries and metal crafts of Daegaya have apparently distinctive Daegaya style compared to those of surrounding states. Along with the extensive growth of Daegaya, cultures of Daegaya were expanded to surrounding areas. Although there are some potteries from Goyeong among Daegaya style potteries, majority were produced at the site. To the contrary, majority of metal crafts were manufactured and spread out from Goryeong. The central period seems between the late 5thcentury and the early 6thcentury. The distribution area of Daegaya style potteries and metal crafts were those with heavy influence of Daegaya basically, and it is plausible to be identified with the area of Daegaya.

      • KCI등재

        장수 삼고리고분군 출토 토기의 변천양상과 그 의미

        박성배 ( Park¸ Seong-bae ) 호남사학회 2021 역사학연구 Vol.84 No.-

        장수 삼고리고분군은 1995년 처음 조사된 이후 장수지역을 대표하는 가야유적으로 동촌리ㆍ삼봉리고분군과 더불어 큰 틀에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에 삼고리고분군 묘제 및 출토유물에 대한 세세한 변천 과정과 특징을 파악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현재까지 조사된 것 가운데 보고서가 간행된 유구를 중심으로 부장유물의 특징과 변천양상을 파악하였다. 고분 출토유물은 크게 재지계, 대가야계, 백제계, 신라계로 구분되어진다. 대가야계 토기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유적의 상대편년과 특징 그 의미를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고분군의 변천 과정을 살펴보면 5세기 전후로 목곽묘 단계가 확인되며, 이후 석곽묘 단계로 발전되다가 6세기 중ㆍ후엽부터는 토광묘 단계로 변화한다. 목곽묘 단계는 비교적 이른 시기 발형기대와 유개식 장경호, 고배 등이 확인되어 장수지역 가야문화의 시작이 한 단계 앞서게 되었다. 수혈식 석곽묘 단계에서는 유입된 대가야토기를 재지 생산시설을 기반으로 충실히 모방한 토기류를 생산한 것과 재지계+대가야계 양식이 결합한 토기의 생산도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가야지역의 중심지(고령)와 함께 주변지역에 위치한 가야세력(함양ㆍ산청ㆍ합천) 등과 교류 양상이 있었음을 파악하였다. 토광묘 단계에서 백제화된 묘제의 장축방향과 부장유물을 간소화하는 박장 양상이 파악된다. 이러한 변천과정은 목곽묘에서 석곽묘로 다시 석실분으로 변화하는 일반적인 가야지역 고분 문화와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6세기 중ㆍ후엽에 석곽묘 이전 단계에 삼고리세력이 사용한 토광묘(목곽묘)다 다시 주 묘제로 등장하는 특이한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수 삼고리고분군은 5세기~6세기에 이르는 기간에 조영되었고, 무덤과 출토유물 등의 변천 과정을 통해 이 지역의 독특한 문화양상을 잘 나타내고 있다 Since the Jangsu Samgo-ri Tombs were first investigated in 1995,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in a broad framework along with the Dongchon-ri and Sambong-ri Tombs as representative Gaya relics in the Jangsu region. As a result, it wa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detailed transition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 burial body and excavated artifacts of the Samgo-ri Tomb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transition patterns of buried relics were investigated, focusing on the reported relics among the relics investigated so far. The relics excavated from the tombs are largely divided into the local-type, Daegaya-type, Baekje-type, and Silla-type. Daegaya-type earthenware was selected for analysis and the relative age and artifacts of the remains were identified. Looking at the transition process of tomb groups based on this, the stage of wood coffin tombs was confirmed around the 5th century, and then it developed into the stage of stone wall tombs. From the middle and late 6th century, it changes to the pit burial stage. At wood coffin tomb stage, bowl-shaped pottery, the long-necked jar with lid-type, the mounted dish were confirmed at a relatively early stage, and the beginning of the Gaya culture in the Jangsu region is one step ahead. At the pit type stone wall tombs stage, pottery that faithfully imitates the inflowed Daegaya pottery based on the local production facility is produced, and pottery that combines the local + Daegaya form is also being produced. In particular, there was a pattern of exchange with the Gaya forces (Hamyang, Sancheong, and Hapcheon)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Gaya region (Goryeong) and the surrounding areas. In the pit burial stage,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Baekje burial body part and pattern to simplify, shabby funeral the burial relics are identified. This transition process is different from the general culture of tombs in the Gaya region, which changes from wooden coffin tombs to stone wall tombs and back to stone-chamber tombs. In the middle and late 6th centur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peculiar phenomenon of returning to the earthen tombs used by local powers before the stone wall tombs. Through this, the Jangsu Samgorio Tombs were constructed during the period from the 5th to the 6th centuries, and through the transition process of tombs and excavated relics, the unique cultural aspect of the region is express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exchanges with a wide range of surrounding areas continued for a long time through excavated relics.

      • KCI등재후보

        진안고원 가야의 지역성

        전상학 ( Sang Hak Jeon ) 호남고고학회 2013 湖南考古學報 Vol.43 No.-

        진안고원은 지금까지 문화의 점이지대, 고대 교통의 중심지, 백제·신라·대가야의 각축장이라 불리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다소 미진한 실정이다. 진안고원을 크게 고총고분이 밀집 분포하는 장계분지와 장수분지가 위치하는 장수권과 금산·무주·진안권으로 구분하고, 고총고분의 주묘제인 수혈식석곽묘의 구조와 출토유물에 대한 전반적인 양상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특히, 장수권에 밀집분포하고 있는 고총고분을 중심으로, 4~7세기대의 문화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장수권에서 새롭게 드러난 고총고분의 분포와 현황을 파악하여 장계분지 120여 기, 장수분지 80여 기, 총 200여 기 이상의 가야계 중대형 고총이 밀집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들 고총의 규모나 배치·밀집도의 검토를 통해 삼봉리고분군과 월강리고분군을 중심고분군으로 파악하였다. 특히, 장계분지에 자리한 120여 기 이상의 고총들은 금강 상류지역에서 최대 밀집도와 규모를 보이며, 이러한 고총들은 진안고원 가야의 지배자 집단이 조영한 고분으로 이해하였다. 고총의 입지는 분지 내에 펼쳐진 구릉과 들판이 내려다보이며, 분지를 감싸고 있는 산지에서 뻗어내린 지류에 자리하고 있어, 백두대간의 동쪽에서 조사된 가야계 고총의 입지와 관련성을 보이고 있다. 봉토의 평면형태는 동서로 긴 장타원형으로 그 가장자리에 호석을 두른 흔적은 확인되지 않는다. 가야계 고총 중 봉토 가장자리에 호석시설을 갖추지 않은 것은 하나의 분포권을 이룬다. 남원 월산리·두락리를 중심으로 함양, 산청, 장수지역이 여기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진안고원에는 5세기 전반에 가야토기가 등장하여 5세기 중엽 이후에는 대가야 양식 토기가 많은 양을 차지한다. 5세기 중반 이후 대가야토기의 확산이 이루어지지만 재지의 묘제 또는 재지토기양식과 공존하는 것으로 보아 대가야 중심집단으로부터 독립적인 자치권이 보장된 지역집단으로서 대가야와 연맹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진안고원의 가야는 백두대간과 금남호남정맥 산줄기에 산성과 봉수를 축조·운영하였고, 200여 기 이상의 가야계 중대형 고총을 조영하였으며, 5세기 전반에 등장하여 6세기 전반까지 가야계 소국으로 존속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Jinan plateau has been called transitional zone of culture, center of ancient traffic, and arena of competition for Baekje, Silla, and Daegaya, but there has not been much research on it. Jinan plateau was largely divided into the Jangsu area with Janggye basin and Jangsu basin where ancient tombs are concentrated and the Geumsan/Muju/Jinan area, and the structure of Stone-Lined tombs, the main tomb style of ancient tombs and the overall trend of excavated articles were to be reviewed. Especially, centering on ancient tombs concentrated in Jangsu area, the cultural trend of 4th~7th century was examined. The distribution and current status of ancient tombs newly found in Jangsu area were examined and it was confirmed that 120 tombs in Janggye basin and 80 tombs in Jangsu basin to the total of 200+ of Gaya-style mid/large-sized ancient tombs were confirmed to be concentrated in distribution, and through reviewing arrangement/density of these ancient tombs, Sambong-ri ancient tomb site and Wolgang-ri ancient tomb site were taken as the central ancient tomb sites. Especially, 120 or so ancient tombs located in Janggye basin showed greatest density and size at the upper region of Geum River, and such ancient tombs were understood as those built by the ruler class of Gaya in Jinan basin. The location of ancient tombs had a view of the hills and fields within the basin and was in the tributary coming down from the mountain area surrounding the basin, exhibiting relationship to the location of Gaya-style ancient tombs found on the east site of Baekdudaegan. The planar shape was a long ellipse to west and east, and there was no trace of stone tigers around the boundary. There is an area of distribution for Gaya-style ancient tombs without tiger stone facilities around the tomb, to which Hamyang, Sancheong, and Jangsu area belongs centering on Namwon Wolsan-ri and Durak-ri. Gaya potterys began to emerge around 5th century in Jinan plateau, and after mid-5th century, Daegaya-style potterys account for a large amount. After mid-5th century, Daegaya potterys began to spread, but as it is observed that it coexisted with the local memorial service or local pottery style, it appears that they maintained an alliance relationship to Daegaya as a local group with right of autonomy from the central group of Daegaya. It is thought to be highly possible that Gaya of Jinan plateau built and operated fortresses and signal-fire on the mountain range of Baekdudagan and Geumnam-Honam vein, built 200+ Gaya-style mid/large-sized ancient tombs, and existed as a small Gaya country from 5th century to early 6th century.

      • KCI등재

        5~6세기 성주양식토기 및 정치체 연구

        남익희 영남고고학회 2009 嶺南考古學 Vol.- No.49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eongju style pottery which had existed in the Seongju area during the fifth and sixth centuries and examine character of the polities in Seongju area. Four different stages were establish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pottery identifi ed in the area. The first stage, which is Gyeongju style pottery flow in Seongju area. The second stage, which is the regional characteristic of the area was first identified from the stage. The third stage, which is its various features appeared and that the regional characteristic of the area was remained. The fourth stage, it was the stage that its various features disappeared and that the influence of the Gyeongju style pottery became higher.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Seongju style pottery was able to be explained by its external form, burning technique and decoration. On the one hand We know that the Seongju style pottery had a restrictive range, it is explained that geographical position of the Seongju area and the existence of Daegaya and the Silla's superintendence. Morever, I conjectured the Seongju area was conquered between the late and later fourth century to Silla. The following three factors support such a fact: (1) the pottery identified in the Wooden Chamber No. 1 of Sibisil; (2) the existence of Ilrichon’s chief appearing in Samguksagi (Vol. 45); and (3) the timing of conque st of the neighboring areas of Seongju, such as Daegu and Gyeongsan. Finally, I concluded the Seongju and Daegaya areas might be unable to keep friendly relations any longer, after the later fourth century when the former was subjugated to Silla, whereas the polities in Seongju and Daegu areas might have maintained amicable relations under the same dominant structure of Silla, given fact that they show a similarity in terms of their pottery and tomb styles. 본고에서는 5~6세기 성주지역 고분군에서 확인되는 토기의 분석을 통하여 성주양식토기 의 변천과정과 특징,분포범위 등을 살펴보고,이를 바탕으로 당시 성주지역에 존재하였을 정치체의 성격과 범위,주변 지역과의 관계 등을 확인해 보았다. 성주양식토기의 변화상은 크게4단계로 나뉘어 설명되는데,1단계는 경주로부터 신라 중앙양식 기종이 유입되는 시기(본고의 I분기),2단계는 재지(성주지역)공인이 중앙양식을 모방하여 토기를 제작하고 일정 기종의 제작에서 관습화된 기술행위의 등장, 즉 소지역양식 이 발생한 시기(본고의 II분기), 3단계는 관습화된 기술행위의 전승과 미세한 시기적 변화가 일어나는 시기, 즉 소지역양식이 존속되고 지역양식토기가 다양화되는 시기(본고의 III, IV분 기), 4단계는 전혀 다른 제작공정이 등장하는 시기, 즉 소지역양식이 소멸하는 시기(본고의V분기)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 한편 성주양식토기는 성주분지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상당히 제한적인 분포권을 형성하 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이는 영남 내륙에 위치한 성주지역의 자연지리적 위치, 남쪽 대가야의 존재,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존재하였을 신라의 간섭(지배) 등에 의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고고학적 자료와 문헌 기록, 성주 주변 지역의 복속 시기를 참고로 하여 성주 지역이4세기 후~말엽 신라에 복속되었음을 추정하였으며, 성주지역 정치체는 4세기 말엽 신라에 복속된 이후 주변 대가야와는 더 이상친연관계를 유지하기 어려웠을 것이며, 대구지 역 정치체와는 동일한 신라의 지방 지배 구조 하에서 친연적 관계를 유지하였을 가능성이 높았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 기획논문 : 역사 속의 고령과 고령 사람들 ; 고고학(考古學)을 통해 본 대가야사(大伽倻史)

        박천수 ( Cheun Soo Park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8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2 No.-

        5세기 후반 대가야는 토기, 위신재, 묘제와 같은 고고자료의 분포로 볼 때, 고령을 중심으로 황강수계, 남강상류역, 섬진강수계와 남해안에 걸치는 가야사상의 최대 판도를 형성하였다. 대가야 왕권은 왕묘역인 고령 지산동고분군의 조영 과정으로 볼 때 이전 시기에는 複數의 집단에 의한 共立이었으나, 5세기 말 지산동44호분단계에서 특정 수장 계열에 고정되어 세습화되고 전제왕권을 확립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전제왕권의 배후에는 고령 지산동고분군, 합천 옥전고분군의 수장묘 주변에 조영된 무기의 소유가 탁월한 배총들이 상징하듯이 민의 무장과는 구별되는 군사조직이 중앙 수장의 주변에 권력기구로서 존재한 것으로 추정된다. 대가야 왕권은 이와 같은 군사력과 토기, 위신재의 생산과 유통에서 추정되는 물자유통기구를 통하여, 그 권역 내 각 지역의 수장층을 장악하고 편제한 것으로 파악된다. 대가야는 6세기 초를 전후하여 고령분지, 합천지역 및 의령지역을 포함한 낙동강 중류역 서안을 따라 대가야식 산성이 연계하여 집중 조영된 것으로 볼 때, 그 권역 내의 민을 동원할 수 있는 역역 체제를 확립한 것으로 본다. 대가야는 남강상류역, 금강상류역 섬진강 하구의 하동지역, 그리고 여수, 순천, 광양지역 즉 소위 任那四縣을 확보함으로써, 아라가야와 소가야의 내륙회랑인 남강로뿐만 아니라 양 세력이 활동하던 남해안로를 차단할 수 있게 되어 가야 후기의 중심국으로 대두한다. 더욱이 대가야는 전략적인 요충인 任那四縣을 확보하고 남해안의 제해권을 장악함으로써, 백제와 왜의 교통뿐만 아니라 왜의 중국 교통에도 일정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대가야는 對 일본열도 교역에서 신라, 백제와의 경쟁에서 우위에 설 수 있게 되었다. 대가야는 종래 내륙의 후진국으로만 파악되어 왔으나, 이와 같이 내륙에서 생산한 철과 금·금동제품을 바다를 통하여 일본열도 전역에 수출한 大 해상교역 국가였다. 479년 대가야에 의한 중국 南齊로의 독자적인 遣使는 남해안을 통한 이와 같은 해상활동을 웅변하는 것이다. 대가야는 당시 백제 영역에 비견되는 대 권역을 형성하고 그 내부를 통제할 수 있는 군사권, 외교권, 역역동원 체제를 갖춘 점에서 초기국가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파악된다. It could be assume that Daegaya formed her great dominion in the whole history of Gaya at the later half of the 5th century, centering around Go-ryeong over the basin of Hwang river, the upper of Nam river, and the south seashore through the analyzing distribution of archaeological data like pottery, prestige goods, and tombs. The kings of Daegaya took the regal position by agreement of several groups in the prior phase, based on the process of construction of the Jisan-dong tombs, Go-ryeong, the sphere for the royal tombs. But they took heredity within a particular group and established a despotic royal authority at the phase of Jisan-dong no.44 tomb, the end of the 5th century. In the behind of establishing despotic royal authority, the constant system for the military as a power organization seems to be formed at that time, based on the existence of subordinated tombs which have prominent quantity of weapons. Daegaya seemed to take the leader groups of each region under her dominance and control through the military force and the distribution organization for pottery, prestige goods. Based on the fact that Dagaya fortresses were constructed densely to be connected with each other along the westside of Nak-dong river including Go-ryeong, Hap-cheon, and Ui-ryeong, Daegaya seems to had established the mobilization system for the labour power which could mobilize the people of each region. Daegaya became centre state of latter Gaya as intercepting the Nam river, corridor route of Aragaya and Sogaya and the south sea by means of taking the upper basin of Nam river and of Gum river, Ha-dong, Yeo-soo, Sun-cheon, and Gwang-yang so called, Imnasahyeon(任那四縣) under her own dominance. As taking Imnasahyeon(任那四縣), a point of strategic importance, under control and seizing the management for south sea, Daegaya influenced the interaction between Wa(倭) and china as well as between Baekje and Wa(倭). Therefore Daegaya could hold a dominant position in trade with japanese archipelago between Silla and Baekje. Daegaya, which had been thought as a less advanced state in the prior study was great seaborne state which exported iron and golden?gilt bronze crafts made from inland area to the whole area of japanese archipelago through the sea. Her own accrediting an ambassador to Namje(南齊) of Daegaya shows these aspects of activities on the south sea. In conclusion, it could be assumed that Daegaya had reached the phase of early state;She was being formed her own territory which is compared with Baekje’s, control power toward inside of state like rights of military, diplomacy, and mobilization system for the labour power.

      • 삼국시대 고령양식 토기 검토

        최은비 ( Choi Eunbi ) 국립중앙박물관 2020 고고학지 Vol.26 No.-

        Presented in this article is an examination of the pottery excavated from sites in and around Goryeong, which was the center of Daegaya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Analysis was undertaken on examples belonging to 16 types of pottery recovered from the large-scale and mid to small-scale tombs of the Goryeong region, followed by an examination of Goryeong influenced pottery from the areas surrounding the Goryeong region. Based on this, the characteristics and diachronic change of Goryeong style pottery was established. Goryeong style pottery could be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six temporal stages: Phase I, represented by examples recovered from Jisan-dong Tombs 73 and 75; Phase II, represented by examples recovered from Jisan-dong Tombs 32~34; Phases III & IV, represented by examples recovered from small-scale stone-lined tombs; Phase V, represented by examples recovered from Jisan-dong Tomb 44; and Phase VI, represented by examples recovered from Jisan-dong Tomb 45.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pottery types and diachronic characteristics of pottery from the Goryeong region, pottery examples recovered from sites surrounding the Goryeong region were examined. They were then classified into ‘Goryeong produced examples’, ‘Goryeong influenced faithful reproductions’, and ‘Goryeong influenced imitations.’ The relative presence of these three categories was established according to region, based on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region and the Goryeong region was identified and classified into a ‘upper-middle-lower’ pyramid scheme. In the final section, the way in which the distribution of Goryeong style pottery changed over time was examined. It was observed that Goryeong style pottery first appeared in the Goryeong region in the mid-fifth century, spread out during the late fifth to early sixth century, with its distribution narrowing in the mid-sixth century.

      • KCI등재후보

        대가야 토기 양식 확산 재론

        이희준 ( Hee Joon Lee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08 嶺南學 Vol.0 No.13

        전고에서 5세기 중반 이후 고령의 특징적 토기 양식이 대략 서쪽을 향해 황강 중류의 합천, 상류의 거창, 남강 상류의 함양, 섬진강 상류의 남원 지역까지 단계적으로 확산되는 과정을 추적하고 각 지역 고총군에서 출토되는 토기가 고령 양식 일색인 점에 대해 고령 세력이 해당 지역을 간접 지배한 결과로 해석하면서 고령을 중심으로 하는 대가야 토기 양식 분포권은 대가야 국가의 존재를 나타낸다고 주장하였다. 그 후 산청 지역과 전북 동부 지방의 몇 개 지역 그리고 섬진강 하구의 순천 지역 등지에서 대가야 양식 토기가 부장된 고총들이 조사되었으므로 이런 새로운 자료들을 근거로 전고를 보완 해석하면 우선 5세기 3/4분기 들어 섬진강 하구 가까운 순천에 대가야 토기 양식이 확산된 현상은 섬진강이 대가야의 대외 교통로로서 지닌 중요성을 다시금 확인시켜 준다. 다만 이때 기왕에 대가야 권역에 든 남강 상류 남원 지역에서 섬진강 하구까지가 대가야의 지배 권역이었는지에 관해서는 자료의 증가를 기다려야 할 것이다. 그리고 5세기 4/4분기에는 전북 동부 지방, 특히 장수 지역에서 대가야 토기 양식 일색의 고총군이 확인되므로 이미 5세기 중기를 전후해 진출한 남원 운봉 지역을 발판으로 해서 늦어도 그즈음에는 장수 지역을 비롯한 전북 동부 지방으로 대가야의 세력이 확대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이상의 보완 해석과 더불어 대가야 토기 양식 확산의 의미 해석에서 방법론적으로 반드시 유의해야 할 몇 가지 사항들을 힘주어 논하였다.첫째, 고령에 가까운 지역의 상황이 그보다 먼 지역의 상황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데 시간적으로는 일종의 ‘상한’처럼 작용한다. 둘째, 각지에 대가야 양식 토기가 등장한 이후 시간의 흐름과 더불어 부장 토기가 대가야 토기 양식으로 일색화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그 의미 해석이 달라질 수 있다. 셋째, 각 지역 대가야 토기 양식의 출현 시점은 고령과 이 지역 사이의 새로운 정치적 관계 개시의 하한 연대이다. 넷째, 대가야 토기 양식 확산이 각지 고총의 축조 개시 및 중단 현상과 연계되어 있어야 그런 확산 형상을 해당 지역에 일어난 정치적 변화에 수반되는 현상으로 해석할 수 있다. I have formerly written that the spread of Daegaya pottery style from Goryeong(Daegaya) area into the northen region of Gyeonsang Namdo Province since the middle of 5th century AD should be interpreted as the result of staged political integration of that region into Daegaya state rather than generally supposed Daegaya confederacy. New data from excavations of tumuli at eastern regions of Jeolla Bukdo and Namdo Provinces since late 1990s allows a reappraisal and supplement of my former discussion summarized above. Indirect rule of Daegaya state may have reached to these regions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5th century. Hapcheon and Geochang areas adjacent to Goryeong were among the earliest that had gone under indirect rule of Daegaya since the middle 5th century and also the first areas to have experienced the direct rule of Daegaya state since the early 6th century.

      • KCI등재

        考古學을 통해 본 大伽倻史

        朴天秀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8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2 No.-

        5세기 후반 대가야는 토기, 위신재, 묘제와 같은 고고자료의 분포로 볼 때, 고령을 중심으로 황강수계, 남강상류역, 섬진강수계와 남해안에 걸치는 가야사상의 최대 판도를 형성하였다. 대가야 왕권은 왕묘역인 고령 지산동고분군의 조영 과정으로 볼 때 이전 시기에는 複數의 집단에 의한 共立이었으나, 5세기 말 지산동44호분단계에서 특정 수장 계열에 고정되어 세습화되고 전제왕권을 확립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전제왕권의 배후에는 고령 지산동고분군, 합천 옥전고분군의 수장묘 주변에 조영된 무기의 소유가 탁월한 배총들이 상징하듯이 민의 무장과는 구별되는 군사조직이 중앙 수장의 주변에 권력기구로서 존재한 것으로 추정된다. 대가야 왕권은 이와 같은 군사력과 토기, 위신재의 생산과 유통에서 추정되는 물자유통기구를 통하여, 그 권역 내 각 지역의 수장층을 장악하고 편제한 것으로 파악된다. 대가야는 6세기 초를 전후하여 고령분지, 합천지역 및 의령지역을 포함한 낙동강 중류역 서안을 따라 대가야식 산성이 연계하여 집중 조영된 것으로 볼 때, 그 권역 내의 민을 동원할 수 있는 역역 체제를 확립한 것으로 본다. 대가야는 남강상류역, 금강상류역 섬진강 하구의 하동지역, 그리고 여수, 순천, 광양지역 즉 소위 任那四縣을 확보함으로써, 아라가야와 소가야의 내륙회랑인 남강로뿐만 아니라 양 세력이 활동하던 남해안로를 차단할 수 있게 되어 가야 후기의 중심국으로 대두한다. 더욱이 대가야는 전략적인 요충인 任那四縣을 확보하고 남해안의 제해권을 장악함으로써, 백제와 왜의 교통뿐만 아니라 왜의 중국 교통에도 일정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대가야는 對 일본열도 교역에서 신라, 백제와의 경쟁에서 우위에 설 수 있게 되었다. 대가야는 종래 내륙의 후진국으로만 파악되어 왔으나, 이와 같이 내륙에서 생산한 철과 금·금동 제품을 바다를 통하여 일본열도 전역에 수출한 大 해상교역 국가였다. 479년 대가야에 의한 중국 南齊로의 독자적인 遣使는 남해안을 통한 이와 같은 해상활동을 웅변하는 것이다. 대가야는 당시 백제 영역에 비견되는 대 권역을 형성하고 그 내부를 통제할 수 있는 군사권, 외교권, 역역동원 체제를 갖춘 점에서 초기국가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파악된다. It could be assume that Daegaya formed her great dominion in the whole history of Gaya at the later half of the 5th century, centering around Go-ryeong over the basin of Hwang river, the upper of Nam river, and the south seashore through the analyzing distribution of archaeoloaical data like pottery, prestige goods, and tombs. The kings of Daegaya took the regal position by agreement of several groups in the prior phase, based on the process of construction of the Jisan-dong tombs, Go-ryeong, the sphere for the royal tombs. But they took heredity within a particular group and established a despotic royal authority at the phase of Jisan-dong no.44 tomb, the end of the 5th century. In the behind of establishing despotic royal authority, the constant system for the military as a power organization seems to be formed at that time, based on the existence of subordinated tombs which have prominent quantity of weapons. Daegaya seemed to take the leader groups of each region under her dominance and control through the military force and the distribution organization for pottery, prestige goods. Based on the fact that Dagaya fortresses were constructed densely to be connected with each other along the westside of Nak-dong river including Go-ryeong, Hap-cheon, and Ui-ryeong. Daegaya seems to had established the mobilization system for the labour power which could mobilize the people of each region. Daegaya became centre state of latter Gaya as intercepting the Nam river, corridor route of Aragaya and Sogaya and the south sea by means of taking the upper basin of Nam river and of Gum river, Ha-dong, Yeo-soo, Sun-cheon, and Gwang-yang so called. Imnasahyeon(任那四縣) under her own dominance. As taking Imnasahyeon(任那四縣), a point of strategic importance, under control and seizing the management for south sea, Daegaya influenced the interaction between Wa(倭) and china as well as between Baekje and Wa(倭). Therefore Daegaya could hold a dominant position in trade with japanese archipelago between Silla and Baekje. Daegaya, which had been thought as a less advanced state in the prior study was great seaborne state which exported iron and golden-gilt bronze crafts made from inland area to the whole area of japanese archipelago through the sea. Her own accrediting an ambassador to Namje(南齊) of Daegaya shows these aspects of activities on the south sea. In conclusion, it could be assumed that Daegaya had reached the phase of early state ; She was being formed her own territory which is compared with Baekje's, control power toward inside of state like rights of military, diplomacy, and mobilization system for the labour pow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