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hanges in Antioxidant Activities in Leaves and Stems of Forsythia saxatilis var. lanceolata Kept under Different Light Conditions

        Sang Im Oh,Ja Hee Lee,Ae Kyung Lee 한국화훼학회 2019 화훼연구 Vol.27 No.2

        본 연구에서는 다른 광환경에서 자란 긴산개나리(Forsythia saxatilis var. lanceolata) 줄기와 잎의 항산화물질 함량 및 활성을 분석하여 기능성 신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 하고자 수행하였다. 삽목 후 3년생인 긴산개나리를 무작위로 채취하여 부위별로 분석한 결과, 긴산개나리 잎의 항산화물질 함량은 총 안토시아닌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페놀 함량이 각각 68.8mg CGE/100g FW, 7405.0mg CE/100g FW, 4231.2mg GAE/100g FW로 줄기보다 높았으며, 항산화 활성 또한 294.3mg VCE/100g FW로 줄기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 었다. 이에 따라 긴산개나리의 항산화물질 함량과 활성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총 안토시아닌은 다른 요인 간의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 페놀은 서로 간에 0.05 유의수준 내에서 r=0.753으로 양의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며,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 페놀은 항산화 활성인 DPPH radical 소거활성과 0.05 유의수준 내에서 각각 r=0.753, 0.698 로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통해 긴산개나리의 총 페놀은 대부분 총 안토시아닌보다 총 플라보 노이드로 구성된 것으로 판단되고, 이러한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 페놀이 항산화 활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서로 다른 광환경에서 삽목 후 3년동안 생육한 긴산개나리의 부위별 항산 화물질 함량 및 활성을 분석한 결과, 총 안토시아닌, 총 플라보 노이드, 총 페놀은 반음지(42.83μmol・m-2 ・s-1 PPFD)보다 양지 (788.39μmol・m-2 ・s-1 PPFD)에서 생육한 긴산개나리의 잎에서 함량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항산화 활성도 반음지보다 양지에서 생육한 긴산개나리의 잎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광환경에 따라 긴산개나리의 엽록소 함량을 조사한 결과, 엽록소 함량 또한 양지에서 생육한 긴산개나리 잎에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통해, 페놀화합물과 vitamin C 는 광합성 과정 중 합성되는 물질이기 때문에 반음지보다 광량이 많은 양지에서 생육한 긴산개나리의 잎이 항산화물질 함량과 활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긴산개나리는 줄기보다 잎에 항산화물질 함량 및 활성이 높아 천연항산화제로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양지에서 생육한 긴산개나리의 잎이 반 음지에서 생육한 것보다 항산화물질 및 활성이 높기 때문에 기능성 소재로서 잠재적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hanges in antioxidant activities in the leaves and stems of Forsythia saxatilis var. lanceolata kept under different light condition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functional new materials. The antioxidant concentrations in growth third-year F. saxatilis var. lanceolata leaves after cutting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stem at 68.8 mg CGE / 100 g FW (total anthocyanins), 7405.0 mg CE / 100 g FW (total flavonoids), and 4231.2 mg GAE / 100 g FW (total phenolics).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also higher at 294.3 mg VCE / 100 g FW (DPPH radical scavenging).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between antioxidant concentration and activity, total anthocyanins showed no correlation with other factors, but total flavonoids and total phenolics were found to have an r value of 0.753 in the significance level of 0.05 to each other, and total flavonoids and total phenolic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 = 0.753 and 0.698 at the 0.05 level,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otal phenolic level of F. saxatilis var. lanceolata mostly comprises total flavonoids and that total flavonoids and total phenolics contribute to the antioxidant activity. An analysis of F. saxatilis var. lanceolata three years after cutting and growing under different light conditions (shade: 42.83 umol・m-2 ・s-1 PPFD, sunny: 788.39 umol・m-2・s-1 PPFD) showed that antioxidant concentrations and activities were higher in plants cultivated under sunny conditions. The chlorophyll content was also found to be higher in leaves from plants grown under sunny condi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henolic compounds and vitamin C are synthesized during the photosynthesis process. Therefore, the antioxidant contents and activities of the leaves of F. saxatilis var. lanceolata grown under sunny conditions were higher than those of plants grown under the “shade” conditions. Thus, it was determined that F. saxatilis var. lanceolata has a high potential for antioxidant materials. It is considered that F. saxatilis var. lanceolata leaves grown under sunny conditions are highly likely to be used as a functional material owing to their high antioxidant concentration and activities than those grown under “shade” conditions.

      • KCI등재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of Edible Calendula Flowers by Hot-air Drying Time

        Sang Im Oh,Seo Young Kim,Ja Hee Lee,Ae Kyung Lee 한국화훼학회 2018 화훼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금잔화를 꽃차로 이용하기 위해 열풍 건조 처리 시간에 따른 항산화 물질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고, 최적 처리 시간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식용꽃 금잔화를 60℃에서 5시간, 10시간, 15시간 열풍건조 한 뒤 Hunter value를 측정하고 95%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추출하였다. 항산화 물질인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과 DPPH radical 소거 활성을 통한 항산화 활성, 이를 통한 항산화 물질 함량과 항산화 활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Hunter value L 값과 +b값이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15시간 처리구에서 다소 많이 감소하였다. 또한, 항산화 물질 함량을 조사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처리 시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5시간과 10시간 처리시 함량이 다소 높았으며, 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여 15시간 처리시 대조구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 분석 결과, 5시간과 10시간 처리시 대조구보다 활성이 높았으며, 총 카로티노이드가 DPPH radical 소거 활성 간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r=0.610). 따라서, 열풍건조한 금잔화는 총 카로티노이드가 항산화 활성에 기여하며, 5시간 및 10시간 열풍건조 처리가 금잔화의 항산화 물질 함량 및 활성 증가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나 식물의 열처리 가공에 있어 오랜 시간은 내부 조직 및 항산화 물질 파괴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금잔화 열풍 건조 처리 시 5시간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optimal hot-air drying time for producing antioxidative calendula tea. The edible calendula was dried in hot air at 60℃ for 5, 10, 15 hours and Hunter's color value was measured and extracted with 95% ethanol as a solvent. The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total carotenoid and DPPH (2,2 Dipheny-1-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antioxidant and antioxidant activity was analyzed. As the treatment time increased, the Hunter values of L, a, and b tended t o decrease, and t he L value a nd b v alue decreased significantly at 15 hours. The color change was occurred in all treatments compared with the control, and the total color difference (ΔE) was the largest at 15 hours treatment. The contents of total f lavonoids, total carotenoids and DPPH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in the 5 hours, but decreased in the 15 hours compared to the 10 hours. The content of total polyphenol was not changed with different treatment time. A positive correlation (p ≤ 0.01, r = 0.610) between carotenoid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demonstrated.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increased at 5 and 10 hours compared to the control and decreased at 15 hours. Therefore, 5 hours or 10 hours of treatment is appropriate and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the specific treatment time.

      • KCI등재

        In vitro 시스템에서 남해 약쑥(Artemisia argyi H.)의 부위별 항산화 활성

        하기정,정창호,정희록,허호진,손길만,노치웅,김낙구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1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5 No.1

        남해 약쑥을 새로운 기능성 식품의 재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각 부위별 60%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In vitro 시스템에서 조사하였다. 남해약쑥의 부위별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잎 60% 에탄올 추출물에서 23.08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남해 약쑥의 부위별 60% 에탄올 추출물로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잎에서 가장 높은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환원력도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환원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환원력도 잎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Linoleic acid를 이용한 자동산화 억제활성을 실험한 결과, 다른 부위보다 잎에서 가장 높은 자동 산화 억제활성을 나타내었고, MDA assay를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일부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잎 200 μg/mL 농도에서 71.38%의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남해 약쑥 잎은 높은 항산화 활성을 바탕으로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활용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60% ethanol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leaf, stem, and root) of Artemisia argyi using an in vitro system were examined to find a possibility as natural antioxidant substances. The highest total phenolics (23.08 mg/g) was obtained by 60% ethanol extract of leaf. The scavenging activity of 60% ethanol extract from different parts of A. argyi on the DPPH and ABTS radical was rai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extracts, and 60% ethanol extract from leaf showed the highest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he leaf extract presented the highest reducing power and strong inhibitory effect on autooxidation of linoleic acid. In MDA formation using mouse brain homogenates, the 60% ethanol extracts of A. argyi also exhibited antioxidant activity as inhibition of MDA (71.38% at 200 μg/mL).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60% ethanol extract of A. argyi leaf possess excellent antioxidant activities and thus it has great potential as a source for natural antioxidant.

      • KCI등재

        다른 광환경에서 자란 긴산개나리 줄기와 잎의 항산화 활성 변화

        오상임,이자희,이애경 한국화훼학회 2019 화훼연구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hanges in antioxidant activities in the leaves and stems of Forsythia saxatilis var. lanceolata kept under different light condition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functional new materials. The antioxidant concentrations in growth third-year F. saxatilis var. lanceolata leaves after cutting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stem at 68.8 mg CGE / 100 g FW (total anthocyanins), 7405.0 mg CE / 100 g FW (total flavonoids), and 4231.2 mg GAE / 100 g FW (total phenolics).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also higher at 294.3 mg VCE / 100 g FW (DPPH radical scavenging).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between antioxidant concentration and activity, total anthocyanins showed no correlation with other factors, but total flavonoids and total phenolics were found to have an r value of 0.753 in the significance level of 0.05 to each other, and total flavonoids and total phenolic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 = 0.753 and 0.698 at the 0.05 level,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otal phenolic level of F. saxatilis var. lanceolata mostly comprises total flavonoids and that total flavonoids and total phenolics contribute to the antioxidant activity. An analysis of F. saxatilis var. lanceolata three years after cutting and growing under different light conditions (shade: 42.83 umol・m-2 ・s-1 PPFD, sunny: 788.39 umol・m-2・s-1 PPFD) showed that antioxidant concentrations and activities were higher in plants cultivated under sunny conditions. The chlorophyll content was also found to be higher in leaves from plants grown under sunny condi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henolic compounds and vitamin C are synthesized during the photosynthesis process. Therefore, the antioxidant contents and activities of the leaves of F. saxatilis var. lanceolata grown under sunny conditions were higher than those of plants grown under the “shade” conditions. Thus, it was determined that F. saxatilis var. lanceolata has a high potential for antioxidant materials. It is considered that F. saxatilis var. lanceolata leaves grown under sunny conditions are highly likely to be used as a functional material owing to their high antioxidant concentration and activities than those grown under “shade” conditions. 본 연구에서는 다른 광환경에서 자란 긴산개나리(Forsythia saxatilis var. lanceolata) 줄기와 잎의 항산화물질 함량 및 활성을 분석하여 기능성 신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수행하였다. 삽목 후 3년생인 긴산개나리를 무작위로채취하여 부위별로 분석한 결과, 긴산개나리 잎의 항산화물질함량은 총 안토시아닌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페놀함량이 각각 68.8mg CGE/100g FW, 7405.0mg CE/100g FW, 4231.2mg GAE/100g FW로 줄기보다 높았으며, 항산화 활성또한 294.3mg VCE/100g FW로 줄기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따라 긴산개나리의 항산화물질 함량과 활성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총 안토시아닌은 다른 요인 간의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 페놀은 서로 간에 0.05 유의수준 내에서 r=0.753으로 양의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며,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 페놀은 항산화 활성인 DPPH radical 소거활성과 0.05 유의수준 내에서 각각 r=0.753, 0.698 로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통해긴산개나리의 총 페놀은 대부분 총 안토시아닌보다 총 플라보노이드로 구성된 것으로 판단되고, 이러한 총 플라보노이드와총 페놀이 항산화 활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서로 다른광환경에서 삽목 후 3년동안 생육한 긴산개나리의 부위별 항산화물질 함량 및 활성을 분석한 결과, 총 안토시아닌, 총 플라보노이드, 총 페놀은 반음지(42.83μmol・m-2 ・s-1 PPFD)보다 양지(788.39μmol・m-2 ・s-1 PPFD)에서 생육한 긴산개나리의 잎에서함량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항산화 활성도 반음지보다양지에서 생육한 긴산개나리의 잎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광환경에 따라 긴산개나리의 엽록소 함량을 조사한 결과, 엽록소 함량 또한 양지에서 생육한 긴산개나리 잎에서 높은 것으로조사되었다. 이를 통해, 페놀화합물과 vitamin C 는 광합성 과정 중 합성되는 물질이기 때문에 반음지보다 광량이 많은 양지에서 생육한 긴산개나리의 잎이 항산화물질 함량과 활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긴산개나리는 줄기보다 잎에 항산화물질 함량 및 활성이 높아 천연항산화제로서 가능성이 있는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양지에서 생육한 긴산개나리의 잎이 반음지에서 생육한 것보다 항산화물질 및 활성이 높기 때문에 기능성 소재로서 잠재적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In vitro 시스템에서 남해 약쑥(Artemisia argyi H.)의 부위별 항산화 활성

        하기정,정창호,정희록,허호진,손길만,노치웅,김낙구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1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5 No.1

        남해 약쑥을 새로운 기능성 식품의 재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각 부위별 60% 에탄올 추출물에 대 한 항산화 활성을 In vitro 시스템에서 조사하였다. 남해약쑥의 부위별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잎 60% 에탄올 추출물에서 23.08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남해 약쑥의 부위별 60% 에탄올 추출물로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 른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잎에서 가장 높은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환원력도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환원력이 증가하 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환원력도 잎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Linoleic acid를 이용한 자동산화 억제활성을 실험한 결과, 다른 부위보다 잎에서 가장 높은 자동 산화 억제활성을 나타내었고, MDA assay를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일부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잎 200 μ g/mL 농도에서 71.38%의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남해 약쑥 잎은 높은 항산화 활성을 바탕 으로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활용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60% ethanol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leaf, stem, and root) of Artemisia argyi using an in vitro system were examined to find a possibility as natural antioxidant substances. The highest total phenolics (23.08 mg/g) was obtained by 60% ethanol extract of leaf. The scavenging activity of 60% ethanol extract from different parts of A. argyi on the DPPH and ABTS radical was rai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extracts, and 60% ethanol extract from leaf showed the highest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he leaf extract presented the highest reducing power and strong inhibitory effect on autooxidation of linoleic acid. In MDA formation using mouse brain homogenates, the 60% ethanol extracts of A. argyi also exhibited antioxidant activity as inhibition of MDA (71.38% at 200 μg/mL).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60% ethanol extract of A. argyi leaf possess excellent antioxidant activities and thus it has great potential as a source for natural antioxidant.

      • KCI등재

        다알리아(Dahlia)의 품종 및 개화 형태, 수확 시기, 부위별 항산화와 미백효과

        한채현,류희욱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24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22 No.3

        목적: 본 연구에서는 다알리아를 품종, 개화 형태, 수확 시기, 및 부위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고, 생리활성 물질의 함량을 분석하였으며, 부위별 미백효과를 검증하여 식품 및 의약품, 화장품 산업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방법: 항산화 활성은 DPPH radial 소거 활성으로 평가하였으며, 생리활성물질은 총 폴리페놀 함량(TPC)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TFC)을 분석하였다. 미백효과는 tyrosinase 활성 저해율로 평가하였다. 결과: 6가지 다알리아 품종에 따른 분석은 D. diva 품종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자주색과 짙은 붉은색 품종에서 높은 활성과 폴리페놀 함량이 확인되었다. 개화 형태에 따른 분석에서는 초기 반개화 상태의 꽃이 가장 높은 항산화능을 보였고, 수확 시기별로는 세 번째 수확, 즉 가을철에 수확한 다알리아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능이 나타났다. 부위별 분석에서는 꽃잎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능을 보였으며, 잎이나 구근은 상대적으로 낮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또한, 부위별 tyrosinase 활성 저해율에서도 꽃잎이 가장 높은 저해율을 보였으나, 전반적인 미백효과는 미미한 수준이었다. 결론: 다알리아의 최적의 항산화 효과를 얻기 위한 품종 선택, 개화 형태, 수확 시기 및 부위 등을 파악할 수 있었다.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dahlias based on variety, flowering form, harvest time, and plant parts, analyzed the content of bioactive compounds, and assessed the whitening effect of different plant parts to explore potential applications in the food, pharmaceutical, and cosmetic industries. Methods: Antioxidant activity was assessed using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s, whereas bioactive compounds were quantified through total polyphenol content (TPC) and total flavonoid content (TFC) measurements. The whitening effect was evaluated based on tyrosinase inhibition rates. Results: Among the six dahlia varieties examined, D. diva demonstrat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with purple and deep red varieties, showing particularly high levels of activity and polyphenol content. Analysis of flowering forms indicated that flowers in the early half-blooming stage exhibit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Regarding harvest time, dahlias harvested during the third period in the fall, showed the greatest antioxidant activity. Examination of different plant parts revealed that petals ha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whereas leaves and tubers had comparatively lower activity. Additionally, petals exhibited the highest tyrosinase inhibition rate among the plant parts, although the overall whitening effect was minimal. Conclusion: The study identified the optimal dahlia variety, flowering form, harvest time, and plant parts for maximizing antioxidant effects. These findings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potential applications of dahlias in various industries.

      • KCI등재

        국내 시판 잎차 추출물의 품질특성과 항산화 효과

        황아라,이소영,한명륜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22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20 No.4

        Purpose: In this study,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23 types of tea were analyzed. Through this study, we trie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ea research. Methods: Leaf tea extracts were prepared using hot water at 70℃, and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such as color intensity and pH, were analyzed. The total flavonoid content,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scavenging ability,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were measured as antioxidant activity. Results: The color of most leaf tea extracts was brown, with black tea having the deepest color. Black tea had the highest total flavonoid content at 593 mg QE/g. Eoseongcho tea had the highest DPPH scavenging ability at 97.56%. The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black tea and Chinese bush-clover tea were strong, while those of mistletoe, plantain, and rosemary leaf teas were exceptionally low. Conclusion: Black tea which has excellent total flavonoid content, DPPH scavenging ability,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is expected to be most effective functional tea when consumed after meals among the multi consumption commercial leaf teas market. 목적: 본 연구는 잎을 이용하여 제조한 23가지 차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여 기능성 차류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70℃의 온수에서 추출한 잎차 추출물에 색도, pH 등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항산화 활성으로는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소거능 및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결과: 대부분의 잎차 추출물의 색은 갈색 계통의 색을 나타내었고 black tea가 가장 강한 갈색을 나타내었다.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은 것은 black tea로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593 mg QE/g이었다. DPPH 소거능이 가장 높은 잎차는 eoseongcho tea로 97.56%로 나타났다. Black tea와chinese bush-clover tea의 α-glucosidase 저해활성은 강한 반면 mistletoe, plantain, rosemary leaf tea의 저해효과는 상대적으로매우 낮았다. 결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소거능 및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이 우수한 black tea가 국내시판 다소비 잎차류 중에서는 식후에 이용시 가장 효과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기능성 차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사전 열처리 공정 처리한 야채류 복합추출물의 항산화활성 평가

        김현경,황혜영,김흥태,김혜진,서수진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2

        식재료로서 안전성이 확립되고 항산화성이 입증되어 있으며, 유익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을 동시에 섭취 할 수 있는 과일 및 야채의 복합 추출물을 항산화 활성이 더욱 증가하도록 가공한 항산화성 복합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항산화성 복합 추출물은, 사전 열처리 과정을 추가하는 것에 의해 DPPH 라 디컬 소거능으로 측정되는 항산화능이 41% 증가하여 항산화성이 현저하므로, 항산화능을 이용한 약학 조성물, 화장 료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As a food ingredient, the extract has been proven of its antioxidant properties and safe to be consumed. It’s increased antioxidant activity was evaluated by comparing its activity to the complex extract of fruits and vegetables, which is known to exhibit both antioxidant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In this experiment, after pre-heat treatment process, the increased antioxidant extract showed 41%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remarkabl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produced extract will become useful in creating cosmetic or health products.

      • KCI등재

        참취 데치기 최적 공정 확립과 추출물의 항산화 특성 변화

        조현선(Hyeon Seon Jo),하유진(Yoo Jin Ha),김연태(Yeon Tae Kim),강길남(Gil Nam Kang),유선균(Sun Kyun Yoo) 한국유화학회 2017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4 No.1

        본 연구는 참취의 데치기 최적 공정 조건을 확립하고 조건마다 생산된 추출물의 총 페놀 화합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 DPPH를 분석을 수행하여 항산화 활성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데치기 최적공정은 시간 과 온도를 요인으로 하여 표면반응분석법으로 수행을 하였다. 데치기 공정 후에 추출물을 제조하여 데치기가 총 페놀함량, 플라보노이드, DPPH radical 소거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시행한 데치기 시간 및 온도 범위에서 총 페놀 함량의 범위는 13.00 - 35.48 mg/g 이고 최대예측 총 페놀함량은 35.48 mg/g, 플라보노이드는 함량의 범위는 2.35 - 8.38 mg/g 이고 최대 예측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8.38 mg/g, DPPH 라디칼 소거능의 범위는 42.10 - 67.14%이고 최대 예측 DPPH 라디칼 소거능은 67.14%로 측정 되었다. 전체적으로 보면 총 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DPPH radical 소거의 변화는 데치기 시간 보다 온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페놀 함량의 경향을 보면 데치기 시간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보였지만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경우 데치기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총 항산화능은 데치기 온도 및 시간에 따라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Aaster scaber antioxidative activity,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flavonoids during the blanching processes. With two parameters such as blanching time and temperatur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and central composite design was used to study the combined effect of blanching time (90 to 162 sec) and blanching temperature (75 to 99℃). We found that antioxidative activity,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flavonoids during the blanching processes were influenced by blanching temperature and time. Within process condition,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flavonoids were extracted 3.00 - 35.48 mg/g and 2.35 - 8.38 mg/g, respectivel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42.10 – 67.14%. The change of total phenolic compounds, flavonoid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dependent of blanching temperature more than time. The total phenolic compounds was increased as temperature rise, but flavonoids not. Howeve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increased during the blanching process.

      • 한련초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이제혁 덕성여자대학교 교육연구소 2008 植物資源硏究誌 Vol.7 No.-

        Eclipta alba 1., a Compositae family, which is an annual plant in Korea. Eclipta alba L. has non-toxicity in human and has anti-carcinogenic activities against uterine cancer, esophageal cancer, and skin cancer. And Eclipta alba L. improve the kidney function. So far, there has been minimal research regarding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Eclipta alba L. ethanol-extract. Therefore I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Eclipta alba L. ethanol-extract prior to anti-inflammatory research. Antioxidant activities were measured by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reactive nitrogen species (RNS) radical scavenge. DPPH radical scavenging and reducing power assay was performed for ROS quenching activity, and nitric oxide (NO) scavenging assay was done for RNS quenching activity. Hydrogen donor activity of Eclipta alba L ethanol-extract to DPPH radical was approximately 63% and 30% remaining radicals at 31.25 and 62.5 ㎍/ml in a concentration-dependant manner. Approximately more than 90% DPPH radical quenching activity was shown at 125 ㎍/ml of Eclipta alba L. ethanol-extract (EC_(50) = 39 ㎍/ml at 0 - 1,000 ㎍/ml). Reducing power of Fe^(3+) of Eclipta alba L. ethanol-extract was increased as extract increased, consistent to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However Eclipta alba L. ethanol-extract had no NO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rom this report, Eclipta alba L. ethanol-extract have prominent scavenging activity on ROS, but not on RNS. In early stage of inflammatory response, Eclipta alba L. ethanol-extract is expected to have inhibitory effects of iNOS and COX-2 expression and cellular adhesion by antioxidant proper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