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학교 교육과정과 교과용도서에 대한 법적 규정의 교육법학적 검토

        박창언 한국특수교육학회 2010 특수교육학연구 Vol.45 No.2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legal issues and problems related to curriculum and curriculum books for children with disability. For this end, first, the nature of the rights to receive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y and the legal characteristics of ‘Act on Special Education for the Disabled Persons’ were reviewed. the nature of the rights to receive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y is a kind of the rights for welfare. And ‘Act on Special Education for the Disabled Persons’ appeared to be superior to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in order to ensure the rights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y to receive a proper education. Second, the differences between ‘Act on Special Education for the Disabled Persons’ and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were analyzed. It was found that the regulation of curriculum are not in keeping with the curriculum books. The curriculum of special school was subject to the ‘Act on Special Education for the Disabled Persons’, and the curriculum books was covered by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Third, It was discussed legal examination related to curriculum and curriculum books in special education. The decision-making of curriculum, the relations between the curriculum of the genera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reconstruction of the curriculum, the relations between the curriculum and curriculum books, the writing of curriculum books, and selection and supply of curriculum books were examined. In conclusion, further attentions to legal imperatives in special education need to reconstruct regulations related to curriculum. 본 연구는 특수학교 교육과정과 교과용도서에 대한 법적 규정의 분석과 그에 대한 문제를 살펴봄으로써 현행 입법을 대체하는 개선방안 탐색의 토대를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목적을 위해 논의된 내용은 첫째, 특수교육 대상자의 권리와 해당법의 특별법적 성격에 대해 논의하였다. 일반교육 대상자뿐만 아니라, 장애인 등의 특수교육 대상자 역시 교육의 기회에서 복지형 배분 원리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국가의 적극적 지원과 개입이 요구되었다.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은 ‘유아교육법’과 ‘초․중등교육법’에 비해 특별법적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교육과정과 교과용도서에 관한 규정이 있다면, 우선적으로 적용되는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특수학교 교육과정과 교과용도서에 대한 법규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과 동법 시행령, 그리고 일반교육에 해당되는 법으로서 ‘유아교육법’과 ‘초․중등교육법’에 대한 사항을 분석하여 특징적인 면을 정리하였다. 특징적인 면은 곧 교육과정과 교과용도서에 대한 문제와 마찬가지였다. 마지막으로 특수학교 교육과정과 교과용도서에 대한 교육법학적 검토를 수행하였다. 여기서는 교육과정과 교과용도서를 분리하여 논의하였다. 교육과정의 경우는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규정이 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교육 관련 법에 대해 특별법적 인정을 받고 있었다. 논의 내용은 교육과정 결정구조, 일반학교 교육과정과의 관계, 교육과정 내용의 조정 사항이었다. 교과용도서에 관한 사항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제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초․중등교육법’과 ‘교과용도서에 관한 규정’의 적용을 받는 구조였으며, 교육과정과 교과용도서의 관계, 교과서 저작, 교과서 채택과 사용에 대한 검토를 행하였다. 논의 결과 특수학교 교육과정과 교과용도서에 대한 규정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동시에 제시하는 방법을 강구할 필요가 있었다. 구체적인 내용에서 특수학교 교육과정 규정은 일반학교 교육과정 규정과 조화될 수 있는 법적인 정비가 필요하였으며, 교과용도서의 경우는 국가의 지원 역할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규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었다.

      • KCI등재

        기본교육과정 국어과 지도 및 구성체제에 관한 특수교사의 인식

        박재국,김혜리,김영미,고혜정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fundamental data for developing a concrete instructional program and future direction for Korean of basic curriculum in the special education, understanding recogni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bout operational condition, teaching strategy, and constructional system on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and seeking effective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methods of Korea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do this, 254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nationwide special schools as well as special classes were involved, conducting a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ed. First, the teachers had taught Korean of basic curriculum in the special education to 2-3 students for 5-6 hours per week and the students had difficulty to express their thoughts verbally and in writing. The teachers felt hard to teach in writing, reading, speaking, and listening respectively. They put value on interest, attention, and practical necessity rather than learning style and the degree of participation. Through multimedia image in listening, actual language uses in speaking, and print media in writing and reading, the students were taught one by one. In addition, teaching of listening and speaking proceeded teaching of writing and reading. The goal of their study was to present in deductive method, and the teachers had guided the contents of their studying using various stories, but mainly visual clues. Second, in terms of the differences on recognition of Korean of basic curriculum in the special educati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junior-high/high school, who have taught over 11 years, were somewhat positive. Especially, in terms of practical training experiences on Korean of basic curriculum in the special education, those who had the experiences recognized more positive than those who had no the experiences. Korean of basic curriculum in the special education may actualize learner- centered curriculum to fulfill learning style and desire of individualized student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At the same time, to easily approach a system which is standardized curriculum and textbook,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and methods in Korean of basic curriculum in the special education should be constructed and practical teaching program should be developed by theory of cognitive processing style based on subjective paradigm. Consequently, more effective teaching methods in Korean of basic curriculum in the special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and then they will make up for and improve current problems in Korean of basic curriculum in the special education. 본 연구는 기본교육과정 국어과 운영실태 및 지도전략 그리고 구성체제에 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파악하여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효율적인 국어과 지도전략과 방법을 모색함으로써 구체적인 지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향후 기본교육과정 국어과 개정의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단위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 재직하고 있는 특수교사(N=254)를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통해 조사하고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교사는 주당 5~6시간씩 2~3명의 학생을 기본교육과정 국어과를 통해 지도하고 있었고 이들 학생은 본인의 생각을 말과 글로 표현하기에서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영역별 지도에 있어 쓰기, 읽기, 말하기, 듣기의 순으로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으며, 학생의 학습양식이나 참여정도보다는 관심과 흥미, 실생활 필요성에 더 중요성을 두고, 듣기 영역은 주로 멀티미디어영상매체를, 말하기는 실제언어사용현장에서, 읽기와 쓰기는 인쇄매체를 통해 주로 1대 1의 개별학습을 통해 지도하고 있었다, 또한 듣기와 말하기를 먼저 지도한 후 읽기와 쓰기를 지도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였는데, 학습 목표는 주로 연역적 방법으로 제시하고 있었으며, 다양한 이야기를 활용하여 학습과제를 지도하되 시각적인 단서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한편, 기본교육과정 국어과 구성체제에 대한 인식차이에서 교육경력 11년 이상의 중·고등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이 다소 긍정적이었으며, 국어과 관련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보다는 연수경험이 없는 교사가 기본교육과정 국어과 구성체제에 대해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 비추어 볼 때, 기본교육과정 국어과는 주 대상인 중도의 지적장애를 가진 개별학생들의 장애특성, 학습양식, 욕구 등을 충족시킬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을 실현함과 동시에 표준화된 교육과정 및 교과서라는 체제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객관주의적 패러다임에 기초한 인지처리양식이론을 바탕으로 국어과 교수-학습전략 및 방법을 구상하고 실제적인 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발달장애학생들의 보다 효과적인 국어과 지도를 위한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며 현행의 기본교육과정 국어과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개선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정책 추진 과정과 쟁점 분석

        이재욱,정윤우,송지아,유성균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7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licy process and Issues of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basic studies,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general draft development,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temized draft development,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general and itemized draft forum,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Notice, review of field suitability, elated academic societies and organizations, and media repo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t the stage of policy promotion, revision of General School Curriculum was promoted and a dedicated workforce was deployed. In the policy promotion process, the basic research on general education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was carried out,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general and itemized draft was developed, and the revision draft was confirmed through the curriculum council. In the calculation stage,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was announced. At the stage of feedback and demand, analysis of field demand, forum and public hearings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general and itemized draft , related academic societies and organizations, and media reports were included. The issues in the 2015 Revision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promotion process are as follows. The issue at the input stage is revision due to changes in general education and placement of special education personnel. The issue of policy promotion process was lack of specificity and participation in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and lack of time for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The issues of feedback and demand are lack of opinion convergence, curriculum research and discussion. 본 연구는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정책 추진 과정과 쟁점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 기초 연구 수행’,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 시안 개발’, ‘특수교육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을 토대로 마련한 ‘시안 공개 토론회’(총론: ’15.8.7, 교과교육과정: ‘15.7.31~8.8)와 ’총론, 교과교육과정 공청회’(’15.10.12) 그리고 최종 확정된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고시문’(’15.12.1), 현장 적합성 검토, 관련 학회, 단체, 언론 보도 등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정책 추진 투입단계에서는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개정이 추진되었고, 전담 인력 배치되었다. 정책 추진 과정에서는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 기초 연구 수행되고,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 교과교육과정 시안 개발되었으며, 교육과정 심의회를 거쳐 개정시안이 확정되었다. 산출에서는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이 고시되었다. 환류 및 요구로는 현장요구분석, 총론, 교과교육과정 시안 공개 토론회, 공청회, 관련 학회 및 단체, 언론 보도 등이 있었다.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정책 추진 과정 중 투입 단계 쟁점은 일반교육 변화에 의한 개정, 특수교육 전담 인력 배치이고, 정책 추진 과정 단계 쟁점은 특수성 부족, 개발과정에서 당사자 참여 부족, 개발과정의 시간 부족이였다. 또한 환류 및 요구의 쟁점은 의견수렴의 부족, 교육과정 연구 및 논의 부족으로 나타났다.

      • 특수교육과의 교육과정 분석 : 특수교육교사양성의 질적 제고를 위한 소고

        김동일,이태수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03 특수교육 Vol.2 No.2

        본 연구는 현행 운영되는 특수교육과의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특수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과정의 구성과 운영상 제기되는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6개 대학 17개 특수교육과의 교육과정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의 기준은 특수교육진흥법, 교육부고시, 교육과정 구성의 방향성, 전문가의 자문 등을 통하여 5가지로 설정하여 이루어졌다. 이 연구를 통하여 교육과정의 분석을 통하여 교육과정 기준의 필요성과 교육과정의 구성 및 편성의 문제, 다전공의 확대 시행과 특수교육대학원과의 관계성에 대한 논의를 제기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in university, examine problems of a currirulum operation, and suggest alternative plans. To analyze the college curriculum, We collected curriculums of seventeen universities which had the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When we considered currirulums of each university, we knew that curriculums could be analyzed by five factors. First, curriculum was made up the core courses which were appointed by a notification 2000-1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econd, curriculum was consisted of general courses to understand disabled students and special education. Third, curriculum had courses of teaching methods as compulsory courses to get a profssion of sperial education teacher. Fourth, It is a unique of curriculums to trai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The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is separately operating the curriculum to train elementary teacher and secondary teacher. Finally, therapy courses to assist disabled students were included in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We used five factors as analysis criterions. We took advice from piofessors in the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related specialists to identify a validity of analysis. According to analysis, problems of curriculum are as follows: First, We haven't a definitely standard about cuiriculum. Although the ministry of education intended to making the standard, it was not core courses but a few basic courses. Second, Univeuity has the differently number and credit of compulsory courses in curriculum. Third, University which has the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independently consisted of optional courses in curriculum. But when we consider that graduation requirements are 140 credits, university which established the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lately have so many courses more than necessary courses. We have to consider about an efficiency of currirulum and student's selective opportunity of optional courses. Finally, It is a problem of a way to train teacher. Elementary curriculum is differently operating in the university. Some university combined courses or reduced the number of courses. Other didn't that. This made a difference of requirements to graduate between universities. In case of secondary curriculum, most of university haven't establish courses within the department.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have to complete a second major in other department except establishing the department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Problems in here, They don't take a class about teaching methods for disabled students. The core of these problems hadn't a definitely curriculum standard. Therefore, in this study, we suggested a necessity of standard curriculum considered disabled students's needs and a practice of special education through an analysis of currirulum of the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 KCI등재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음악 교과서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독일 바이에른 주 음악과 특수교육 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강옥화 ( Kang Ok Hwa ),조대현 ( Cho Dae Hyun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6 예술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에 따른 음악 교과서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의 성격을 갖는다. 연구의 핵심 목적은 우리나라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초등 음악 교과서 개발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을 토대로 한 음악 교과서 개발의 방향은 크게 `역량중심`이라는 개념과 적용 대상의 특수성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한다고 볼 수 있다. 즉, 역량중심이라는 개정 교육과정의 성격과 적용 대상의 개인적, 정의적, 사회적, 학습적 특성 및 특별한 교육적 요구를 음악 교과를 통해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교과서 개발 주체에게 있어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최근 독일 바이에른 주에서 역시 `역량`이라는 개념을 토대로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는데 우리나라 기본교육과정 개발 방향과 차이를 보인다. 바이에른 주는 또한 우리나라와 달리 지적발달 영역 특수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을 가지고 있다. 이 또한 지적발달장애를 가진 학생들을 위한 음악과 교과서 개발 방향 연구에 시사점을 주리라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directions for the music textbook development of 2015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of Korea. This is based on a study on the music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of German Bavarian State. Challenges of the music textbook development based on the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are caused by special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target. A very important task of the music textbook developers is to reflect the personal, affective, social and learning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target in the development of the music textbook. The music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of German Bavarian State includes the revised general education curriculum(LehrplanPLUS) and special school curriculum. 2015 revised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has many similarities with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of Korea. The special school curriculum can be regarded as a curriculum that best reflects the special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of Bavarian State can contribute to explore directions of the music textbook development based on 2015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of Korea.

      • KCI등재후보

        기본 교육과정 과학과의 내용 구성에 대한 초등 특수교사의 인식분석

        이동원,권주석 한국발달장애학회 2016 발달장애연구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how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 the contents design of science in special education fundamental curriculum. For this purpose, we sent survey questionnaires to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eoul, Gyeonggi-do and Jeollanam-do. We received 94 questionnaires in return which analyzed with average analysis, t test, one-way ANOVA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teachers in major cities, teachers who teach fundamental curriculum, and teachers with high level of education perceived contents design of science in special education fundamental curriculum as negative. Second, teachers who teach fundamental curriculum and teachers with high level of education also perceived inquiring methods of science in special education fundamental curriculums as negative. Third, teachers with high level of education perceived contents of custom⋅attitude of science in special education fundamental curriculum as negative. Fourth, contents design of science in special education fundamental curriculum should be more developed in the order of scientific inquiring methods, custom⋅attitude and contents knowledge. Conclusion is that design of science in special education fundamental curriculum should be based on fundamental knowledge of science but also include inquiring methods and scientific custom⋅attitude.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특수교사가 기본 교육과정 과학과의 내용 구성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ㆍ경기ㆍ전남지역의 초등 특수교사에게 질문지를 배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126개의 설문지는 평균, t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그리고 단계적 중다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 교육과정 과학과의 내용지식의 구성에 대하여 특수학교 교사, 기본 교육과정을 주로 가르치는 교사, 그리고 고학력 교사가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기본 교육과정 과학과 탐구방법의 구성도 특수학교 교사, 기본 교육과정을 주로 가르치는 교사와 고학력 교사가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기본 교육과정 과학과 습관태도의 구성은 특수학교 교사, 대도시와 중소도시에 근무하는 교사, 기본 교육과정을 주로 가르치는 교사, 그리고 고학력 교사가 비교적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본 교육과정 과학과의 내용 구성은 과학적 탐구방법, 습관태도, 내용지식 순으로 더욱 충실하게 반영해야 한다고 판단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기본 교육과정 과학과의 구성은 교과의 기초ㆍ기본지식을 중심으로 구성하되, 탐구방법, 과학적 습관과 태도를 포함하도록 구성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특수학급 교사재교육 심화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지원 모형 연구

        최성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0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model with intensive curriculum of in-service education for special class teachers. The questionnaire which was included in education situation in special class 10 questions, teachers' perception on special education in special class 10 questions, and needs on intensive curriculum of in-service education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The special class teachers indicated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education situation in special class and perception on special education in special class. Also the teachers suggested the high needs to open the in-service education for special class teachers. Based on the questionnaire results the model with intensive curriculum of in-service education for special class teachers was suggested. The aim of the model was to support to keep resonable think and leadership through the intensive curriculum of in-service education for special class teachers which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teacher, institution, and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special class teachers' competency was determined by individual efforts of the special class teacher, the curriculum contents of the in-service education, and the supports of the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 이 연구는 특수학급 교사를 위한 교사재교육 심화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기위하여 설문조사로 수행되었다. 전국의 특수학급 교사 358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설문지는 장애아동 교육실태 10문항, 장애아동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10문항, 특수학급 교사를위한 심화교육과정 운영과 관련된 1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특수학급 교사는 장애아동의 교육실태와 교육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비교적 긍정적이었으며, 교사재교육 심화교육과정의필요성 등에 대한 높은 요구를 나타내었다. 설문지 문항 분석에 기초하여 특수학급 교사를위한 교사재교육 심화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지원 모형을 제안하였다. 합리적인 사고 배양과리더십 함양을 위한 교사재교육 모형은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하여 교사 개인의노력, 연수기관의 노력, 그리고 교육과정 개설 등을 위한 체계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의 개정 방향을 위한 제언

        김진호 한국특수교육학회 2021 특수교육학연구 Vol.56 No.3

        National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s a fundamental standard of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re is currently a nation-wide research being conducted to reform the national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2022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The ultimate goal of special education is to improve the independenc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helping them to succeed in their present and future lives in a variety of settings such as home, school, community, and job. The study suggested three approaches for reforming the national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The first approach was to use a functional life skills curriculum for reforming the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The second was to use a unified subjects approach for the reform of the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Finally, the third approach was to infuse the content of the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with functional subject contents. The study ends with a discussion of these approaches as they pertain to the reform of the nation-wid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특수교육 교육과정은 장애학생을 위한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교육의 근간이 된다. 새로운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을 개정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장애학생들에게 가장 의미 있고 효과적인 기본교육과정을 만들기 위하여 다양한 교육적 논의와 접근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매우 필요하다. 본 연구는 장애학생을 위한 새로운 기본교육과정이 어떠한 체계와 내용으로 개정되어야 하는지, 그 개정 방향과 개정방안을 모색하여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교육과정은 교육의 목적을 이루는 내용과 방법으로 구성되어야 하기에, 먼저 특수교육의 궁극적 목적인 자립생활과 그에 따라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기능적 생활기술의 중요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어서 새로운 기본교육과정을 개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개정 방향으로서 세 가지 개정방안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 방안은 새로운 기본교육과정을 기능적 생활중심 교육과정으로 개정하는 것이다. 장애학생이 현재와 미래 생활환경에서 최대한 자립하여 살아갈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 특수교육이 지향하는 목적이라면 이를 위한 기본교육과정은 기능적 생활기술이 핵심내용이 되어야 하며, 이러한 생활기술을 직접적이면서도 지속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기능적 생활중심 교육과정이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두 번째는 새로운 기본교육과정을 통합교과 체계로 개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고, 세 번째는 현재 기본교육과정의 교과체계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기능적 교과 내용으로 기본교육과정을 개정하는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2022년에 새로 개정되는 기본교육과정이 장애학생의 교육적 요구에 적합하면서도 특수교육의 궁극적 목적인 장애학생의 자립생활 능력을 높일 수 있는 더욱 실제적이면서도 효과적인 기본교육과정으로 발전하는데 필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최선의 개별화교육 실현을 위한 양방향 접근법을 적용한 특수학교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 탐구

        강은영(Kang Eunyoung),박경옥(Park Kyoung-ock),박남수(Park Nam-su),박은희(Park Eun-hee),황정현(Hwang Jung-hyun),주교영(Joo Kyo-young),박지민(Park Ji-min),최연호(Choi Yeon-ho)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1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특수학교에서 최선의 개별화교육 실현을 이루기 위한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절차를 도출하고 이를 교과별 연간 교육과정 수립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방안을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특수학교에서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는 것은 단위 학교 차원에서 과정이나 학년으로 묶인 집단적 맥락이고, 개별화교육계획(IEP)은 개별 학생의 차원이다. 이렇게 학교 교육과정과 개별화교육이 지닌 고유 성격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특수교육에서 교육과정과 개별화교육계획(IEP)을 논할 때, 같은 위계에서의 병렬적 구조로 언급할 때가 많아 개념적 갭(conceptual gap)이 존재하면서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과정에서 나타나는 일반교육과 특수학교에서의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은 어떤 차원의 공통점과 차별점이 있는지를 밝혀내고, 양방향 접근법(two-way approach)적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과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양방향 접근법을 통한 특수학교 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개념적 이해에 대해 제시하고, 특수학교에서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절차를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교 교육과정 내 교과별 연간 교육과정 수립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특수학교에서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점들을 강조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별 학생들의 개별적 특성을 반영하는 교육이 어떻게 학교 교육과정 안에서 실현되어갈 수 있는지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탐색 과정을 통해 향후 특수학교의 존재 목적에 따라 개별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이 지닌 각각의 교육적 요구를 충족하면서 동시에 학교 교육의 가치를 최대한으로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이 후속 연구들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procedures for organizing and operating the school curriculum to achieve the best individualized education in special schools, and to explore ways to lead to the establishment of an annual curriculum for each subject. Organizing and operating the school curriculum in special schools is a collective context tied to courses or grades at the unit school level, and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IEP) is at the level of individual students. Despite these differences i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curriculum and individualized education, when discussing the curriculum and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IEP) in special education, they are often referred to as a parallel structure in the same hierarchy, creating a conceptual gap and confusion. has caused To this end, we discovered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general education from the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process, and developed a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process that applied a two-way approach. As a result of the study, a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school curriculum for special schools through a two-way approach is presented, and the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procedures in special schools are presented. Based on this, a plan for establishing an annual curriculum for each subject in the school curriculum was proposed. Through this study, the points that must be taken into account when organizing and operating the school curriculum in special schools were emphasized, and based on this, a plan was proposed for how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of individual students can be realized within the school curriculum. Through this search process, it was expected tha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existence of special schools in the future, it was expected that a detailed plan to realize the value of school education to the maximum while meeting the educational needs of individual special education students would lead to follow-up studies.

      • KCI등재후보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일반학교 교육과정으로의 접근성 고찰: 총론을 중심으로

        이덕순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09 시각장애연구 Vol.25 No.3

        This research thesis studies the accessibility of the 2008 amended education curriculum of 'special' school curriculum to that of 'general' school curriculum focusing on the general guidelines to provide fundamental materials to enhance the quality of educational curriculum of 'special' school curriculum and to strengthen the accessibility to educational curriculum of 'general' school curriculum. In order to do this, the background for the direction of domestic and foreign special schooling and for the emphasis on the accessibility to general school curriculum was examined; and based on the generalities, the accessibility of amended educational curriculum of 'special' school curriculum to that of 'general' school curriculum was analyzed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thesis on the basis of the implications from the analysis. The particular analysis on the accessibility of general school curriculum on subject curriculum was limited to the level of comparing the general guidelines and particularities, and the research content was studied for through literary research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looking at the tendency of domestic special curriculum, in case of the Republic of Korea, general curriculum was the standard since the beginning of special curriculum, and differentiated the period of establishment and revision from general curriculum. With the dualistic system, there have been continuous efforts to reflect the particularity of special education in curriculum, and finally with the seventh revision of special school curriculum after numerous trial and error did the effort to promote accessibility to general curriculum begin. The tendency of foreign special curriculum shows that many countries are recently making continuous efforts for special education to have access to general education. Also, the background to placing emphasis on the accessibility of special curriculum to general curriculum can be found in the change in domestic and foreign environment for special education. Domestically, the broadening of inclusive education promoted the aim of improving the quality of special school curriculum and preparing for 'constant revision' system adopted in the 2008 revision of educational curriculum of special school curriculum operated as the major factor. Internationally, it is rooted in the search for the accessibility to general curriculum and the connection between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Second of all, after looking at the major revisions of generality and particularity, which is the subject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um, it was found that the major revisions were reflected intactly in the revision of generalities of special curriculum, and even in particularities of subject curriculum. Particularities, however, exclude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school curriculum, and High School Specialized Vocational Subjects Curriculum . Moreover, after analyzing the accessibility to general curriculum based on the background and fundamental direction of 2008 revisions of special school curriculum and the constituting contents of general guidelines, it was concluded that in the case of the general guidelines of revised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nd special curriculum, other than the fact that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is included in the special curriculum, and that the organization, formation, and time (unit) allotment are added to the basic curriculum and the specialized vocational subjects of the elective curriculum, the overall organization and contents were common between the two. 본 연구는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질적 제고 및 일반학교 교육과정으로의 접근성 강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총론을 중심으로 하여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일반학교 교육과정으로의 접근성을 고찰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동향 및 일반학교 교육과정으로의 접근성 강조의 배경을 알아보고, 총론을 중심으로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일반학교 교육과정으로의 접근성을 분석하여 이에 대한 시사점을 토대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였다. 각론인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일반학교 교육과정으로의 접근성 분석은 총론과 개략적으로 비교하는 수준으로 제한되었으며, 문헌 연구를 통해 연구 내용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동향을 살펴보면, 한국의 경우에는 교육과정 제정 초기부터 일반학교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하여 일반학교 교육과정과 제개정 시기를 달리하며 이원적 체제를 가지고 특수교육의 특수성을 교육과정에 반영하려는 노력을 끊임없이 시도하여 왔으며, 많은 시행착오 끝에 제7차 특수학교 교육과정 개정 시기부터 본격적으로 일반학교 교육과정으로의 접근성을 향한 노력이 시작되었다. 국외의 특수교육 교육과정 동향을 보면, 최근 많은 나라에서 특수교육 교육과정을 일반교육과정에 접근시키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그리고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일반학교 교육과정으로의 접근성 강조의 배경은 국내외적인 특수교육 환경의 변화에서 찾을 수 있다. 국내적으로는 최근 폭넓게 변화되는 통합교육의 확대로 인한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질적 제고와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에서부터 도입된 ‘수시 개정’ 체제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국제적으로는 많은 국가에서 일반교육과정으로의 접근 및 일반교육과정과 특수교육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측면을 상당 부분 모색하고 있는 것에서 기인한다. 둘째,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과 각론인 교과 교육과정의 주요 개정 내용을 살펴본 결과,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의 주요 개정 내용은 특수학교 교육과정 개정에 있어서 총론의 경우 그대로 반영되었고, 각론인 교과 교육과정에도 그대로 반영되었다. 다만, 여기서 각론의 경우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기본 교육과정과 고등학교 전문직업 교과 교육과정은 제외된다. 그리고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개정 배경과 기본 방향 및 총론의 구성 내용을 중심으로 일반학교 교육과정으로의 접근성을 분석한 결과, 개정 초중등학교 교육과정과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총론에 있어서 두 교육과정 간에는 특수학교 교육과정에 유치원 교육과정이 포함되고, 기본 교육과정과 선택 중심 교육과정의 전문직업 교과의 구성 및 편제와 시간(단위) 배당 기준이 추가된 것 외에는 전체 구성 체제 및 내용이 대부분 공통적인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