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esearch on the impact of digital media art on tourism cultural communication

        Sun Xiangbo,Hong,Chang-kee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3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 Vol.15 No.1

        Culture is the soul of tourism, and communication is the key to the inheritance and development of tourism culture. Therefore, culture and communication are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tourism. Digital media art is a new form of art that combines technical, artistic, and media-oriented elements. Its artistic expression and crossover communication capabilities drive its usage in cultural tourism communication. This paper examines the influence of digital media art on tourism culture communication and development by elucidating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ourism culture communication and digital media art, applying the theoretical knowledge of communication, and deriving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digital media art on tourism culture in terms of the transmission-reception relationship, content, medium, and effect. The role and value of digital media art in disseminating and developing tourism culture are discussed. We aim to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the dissemination of tourism culture.

      • KCI등재후보

        한류문화를 통한 한국의료관광 활성화 방안연구

        오선숙(Sun Sook Oh),전명숙(Myung Sook Jeon) 융합관광콘텐츠학회 2017 융합관광콘텐츠연구 (JCTC) Vol.3 No.2

        Korean national brand value has risen in recent years because of globalization of Hallyu culture and more integrated cultural exchanges. The ‘Han style’, which represents Korean culture, rises as the center to the Korean traditional brand and medical tourism business that can appeal to global ma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 integrated medical tourism service to suit the tourism form of Korea in order to facilitate the medical tourism by utilizing various elements of Hallyu culture. Another purpose is to develop medical tourism products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Hallyu culture suited to Korean style influenced by Hallyu, based on literature review so that the cultural value and image of Korean traditionalism are linked to the relationship with tourism industry.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Korean culture contents provided to domestic and foreign tourists for medical tourism service approached traditional culture tourism with Korean image and sought to revitalize Korean medical tourism through Korean culture. Second, I sought to develop medical tourism products related to culture contents experience that help local economy to activate medical tourism through research data of Hallyu cultural contents provided to domestic and foreign tourists for medical tourism service.In the activation of the Hallyu culture, healing tour product development items to experience Korean culture should be designed to participate in experiential tourism programs by selecting Han style contents. In the development of medical tourism products, the Hallyu culture will be the asset that succeeds the Korean culture only by keeping the traditionalism of the past.

      • KCI등재

        축제가 문화관광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연구 -영국의 에든버러 축제와 리즈 웨스트 인디언 카니발을 중심으로-

        김복래 ( Bok Rae Kim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2 유라시아연구 Vol.9 No.2

        오늘날 축제는 세계적 관광현상으로 널리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저가항공사의 출현에 따라 국내외여행이 갈수록 용이해지고, 글로벌화로 인해 국가 간의 인적·물적 교류가 절정에 달하면서 지난 수십 년간 각종 축제들이 그야말로 폭발적인 성장을 이룩했다. 여러 가지 일련의 이벤트들이 모두 일괄적으로 통 털어 ‘축제’라고 불리면서, 축제가 아닌 것이 없을 만큼 축제의 개념 역시 널리 확장되기 시작했다. 축제관광 이벤트의 구조적 시스템은 다음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된다. 정부, 시장, 마지막으로 효율적인 시민권을 창출하는 ‘제3의 영역(third spheres)’이다. 여기에는 여러 가지 비(非)영리단체, 비(非)정부단체, 자발적인 운동단체, 우호협회, 교회, 자선단체 등이 포함된다. 또한 관광이벤트의 주체는 생산적인 측면에서 이를 계획·조정·운영하는 ‘기획자(organizer)’와 소비적인 측면에서 이벤트가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와 관광체험을 즐기는 ‘소비자(consumer)’로 크게 양분할 수가 있다. 또한 학자들은 축제를 통한 관광개발에서 ``지역커뮤니티``가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한다는데 동의한다. 스티언스트랜드(Stiernstrand)에 의하면, 관광의 경제적 효과는 관광지에서 행해지는 소비, 즉 ‘관광소비’에서 발생한다. 맥도넬 (McDonnell), 알렌(Allen), 오툴(O``Toole)(1999)의 연구에 따르면, 이벤트의 가장 중요한 수혜자는 여행, 숙박, 레스토랑, 쇼핑 등 관광연계서비스의 종사자들이다. 이벤트는 외래방문객의 수와 그들의 재방문, 또 축제개최를 위한 보조금과 스폰서십을 확보하는 경우에 대체로 커다란 관광효과를 발휘한다. 과거의 ‘식민지대국에서 관광대국으로’ 발돋움한 영국에서 축제는 문화·경제개발에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영국의 축제기획자들은 많은 (재)방문객들을 유치하는 이벤트를 개발하기 위해 영국의 역사와 문화적인 테마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또한 개최도시의 긍정적인 문화 이미지를 주조하기 위해 심혈을 기울인다. 영국이 축제와 이벤트를 개발하고, 개최하는 주된 요인은 관광이 경제적 이익뿐만 아니라, 그 외에도 또 다른 많은 사회문화적인 혜택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전통을 존중하는 신사의 나라’ 영국에서는 튼실한 경제와 국가 건설, 또 문화관광개발을 위한 국가전략으로써 축제와 이벤트를 적극적으로 지지·후원하고 있다. 영국정부는 과거의 자유방임적이고 소극적정부의 역할을 과감하게 탈피해서, 이제 영국의 관광개발과 세계홍보에 발 벗고 나서게 된 것이다. 이는 영국정부가 높은 성장잠재력과 일자리 창출이 가능한 고부가가치 산업인 관광산업이 그동안 침체된 영 국의 경기 회복에 핵심적인 동력이 될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이다. 카메론 수상은 “관광산업이야말로 영국이 절실히 원하는 고용을 창출할 수 있는 가장 빠른 길” 이라고 강조하고, “영국에 들어오는 관광객을제약하는 장애요소를 제거 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수 십 년 동안 이벤트와 관광부문에서 ‘정부·민간·지역사회’, 이 삼자간의 역할이 중대한 변화를 겪어왔다. 이는 이벤트와 관광산업에서 영국정부와 비즈니스, 즉 정치·경제부문의 역할이 미증유로 커졌음을 의미한다. 더 나아가서 이는 영국이 관광산업을 경제회복을 위한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는 것이며, 젊은 영국의 시대는 막을 내리면서 또 다시 ‘관록과 전통의 영국’으로 회귀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고의 목적은 지역공동체 지향적(community-oriented)인 축제와 이벤트에서 문화관광이 차지하는 역할과, 역으로 축제가 문화관광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데 있다. 본고는 또한 사례연구로서 영국의 다문화축제와 이벤트를 제시할 것이다. 이러한 축제와 이벤트는 문화관광개발과 지역공동체의 관계를 굳게 다지는데 크게 기여한다. 하나의 시장도구로서 잘 기획된 이벤트는 문화관광객들을 유인하는 효율적 수단이 된다. 에든버러 축제나 리즈 카니발의 사례에서도 잘 알 수 있듯이, 관광산업 중에서도 가장핵심적인 고부가가치 산업인 축제는 문화관광개발에 크게 이바지한다. 축제는 외래방문객과 지역주민간의 상호적 문화교류를 증진시키며, 이른바 통 큰(?) 손님들, 즉 소비단위가 큰 문화관광객들을 지역이벤트참여에 적극 유도할 수가 있다. 문화관광은 축제개최지에 많은 혜택을 가져오며, 지역경제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축제에 참가하는 외래방문객들이 소비하는 그 지역의 특산물이나 서비스는 지역경제에 직접적인 효과를 미치지만, 문화관광산업은 관광개발로 인한 그 지역의 미적 손실이나 환경 훼손의 문제는 별로 고려하지 않는다. 즉 축제기획자와 정부는 오직 경제적 효과만을 고려할 뿐, 축제가 미치는 사회적 충격이나 영향력 따위는 별로 안중에 없는 편이다. 그래서 골드블라트, 게츠, 할 같은 학자들은 축제의 사회적 영향력에 대하여 더욱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지역축제개발을 통해 문화관광은 더욱 발전했고, 이러한 축제는 개최지역에 많은 경제와 문화적 혜택을 가져다주었다. 또한 에든버러 축제나 리즈 카니발의 경우처럼, 이러한 축제의 사회경제적인 제반요소 들이 문화관광의 성장에 크게 기여했음을 알 수 있다. 에든버러 축제나 리즈 카니발은 많은 국내외 방문객들을 유치한다. 이 양 축제는 지역경제의 성장과 경제적 이익을 가져왔으나, 오직 심도 있는 연구만이 이 두 축제가 지역경제와 공동체에 미친 경제·사회적인 충격들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Nowadays, festivals are considered as a ``worldwide tourism phenomenon``. In particular, the UK - in the transition from colonial empire into the great tourist nation - they exercise a huge influence on the British cultural and economic development. That is to say, the festival organizers actively tend to use not only the British history and cultural themes to attract many tourists toward the UK as the ``glorious vanguard of modern West civilization, but also to create the positively cultural image of the festival destination. The reason of why the UK organizes so many cultural events is that tourism and economic opportunities can bring sooner or later social and cultural benefits to the country. In the last decades, the roles among the three parties: government-private sector-local community have changed in the section of event and tourism industry. As above, the UK known as the ``nation of tradition &gentleman`` supports cultural events and festivals in order to make strong economy, firm nation-building and culture tourism development strategy. By breaking from the past laisser-faire policy and negative/ passive government role, the UK is now eagerly engaged in the campaign of national tourism development and world promotion. This means that the growth of tour industry can be the ``prime mover`` in the recovery of the British economy under the depression.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not only the role of culture tourism in creating the community-oriented events and festivals, but also the impacts of festivals on the culture tourism. As a case study, we will present two examples of the British multi-cultural festivals and events: Edinburg festivals and Leeds West Indian carnival. The event which is an effective market instrument can attract cultural tourists in the world. The festival and cultural event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ulture tourism. Furthermore, they promote the relationship between ``hosts and guests``. They attract consumption-oriented cultural tourists possessing big purchasing power. On the other hand, the culture tourism brings a lot of benefits to the festival destination, but any systematical research on this subject has not been done yet. The festival exercises direct/indirect influences on local economy. The local specialities and services that outer visitors consume during the festival have direct impacts on local economy and business, but the culture tourism industry is not necessarily interested in the loss of local beauty and the environmental degradation. That is, the festival organizer and local government only take account of the economic benefits, but they ignore the implication of socio-cultural impacts on the festival. Thus, famous scholars like Goldblatt, Getz and Hall insist that greater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socio-cultural impacts over festival. Through the development of local festivals, the culture tourism has developed and such festivals have brought a lot of economic and cultural benefits to the local community. In the case of Edinburgh festival and Leeds carnival we observe that the socio-economic elements of the festival can contribute to the growth of culture tourism. The Edinburgh festival and Leeds carnival attract many domestic and foreign tourists. As stated above, the two festivals bring the economic growth and benefits to the local economy and community, but only in-depth study can help us to comprehend the level of socio-economic impacts of two festivals. Finally, I’d like to suggest some useful lessons learned from Edinburgh Festival and Leeds carnival for the Korean nation dreaming of cultural great nation strateg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creative culture contents that we could observe in the Edinburgh festivals. I took part in many Korean local culture festivals, but the contents of Korean regional festivals seemed to be very similar and monotonous. The definition of cultural industry i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countries: in the US, for example, it is called an entertainment industry, but in the UK, it is designated in the name of ‘creative’ industry. The reason is that the key essence of culture industry is in the human creativeness or creativity, etc. The brilliant futurist Peter Ferdinand Drucker also insisted that the victory and defeat of every country in 21th century would be concluded in the culture industry. Thus, it is a great task for the creative Korea to train top-level creative human resources in culture tourism & festival industry. On the other hand, as we observed in the successful case of the Leeds carnival based the other’s aboriginal culture it is for us a proper time to accept the multi-cultural or plural-cultural contents in Korean peninsula which already embraces more than one million immigrants in order to develop or transform them into Korean or Koreanized festival contents. Because the space of festival or festivity where us-ness and other- ness, or internal local people and external visitors intersected mutually to become ‘oneness’ may be the most humanitarian and most beneficial instrument to integrate various peoples for national harmony.

      • KCI등재후보

        나그네설화의 민속학적 인식과 관광문화학의 새 지평

        임재해(Lim Jae-Hae) 실천민속학회 2009 실천민속학연구 Vol.14 No.-

        관광학이 경영학에서 문화학으로 나아가려면 두 가지 전환적 논의가 필요하다. 하나는 전통 나그네문화를 주목하는 일이며, 둘은 관광주체인 관광객을 주목하는 일이다. 나그네가 바로 관광주체이므로 나그네문화를 통해 현실 관광학의 한계를 극복하고 바람직한 관광문화를 모색할 수 있다. 나그네문화는 나그네설화에 잘 드러나 있다. 나그네설화의 전형으로 김삿갓과 어사 박문수, 숙종대왕 등 상층시람의 설화와, 김선달과 정만서, 방학중 등 하층사람의 설화가 있다. 상층사람들은 평복의 나그네 생활을 통해 예사민중들을 만나서 선비와 어사, 왕으로서 바람직한 길을 깨닫고, 하층사람들도 집을 나서 길을 떠남으로써 뜻밖의 경험을 하고 빈천한 삶의 굴레에서 벗어나 삶의 성취를 이루게 된다. 나그네 길에서는 상하의 신분차별 없이 모두 대등하게 만나서 새로운 삶의 길을 개척하되, 상층사람들은 예사 사람들의 실상을 알아차려 자기 직분을 제대로 수행하여 모임을 이루는가하면, 하층사람들은 삶의 일상에서 벗어나 독자직 삶의 역량을 마음껏 발휘하여 풍요를 누리는 성공을 한다. 나그네 생활을 하는 동안에 장점이 단점으로, 단점이 장점으로 발휘된다. 따라서 왕과 어사는 자신의 권위를 나그네 행색으로 가렸을 때, 민중의 실상을 올바르게 파악하게 되고, 무능한 시골선비나 머슴은 자신의 가난의 문제를 나그네 행세로 가렸을 때 명풍수가 되거나 아들을 많이 낳는 인물로서 능력을 발휘한다. 나그네문화도 이와 같이 변증법적으로 존재한다. 나그네문화에서는 관광지가 따로 없으므로 모든 곳이 관광지이다. 나그네는 관광주체이자 관광객체이다. 주인이 나그네이고 나그네가 주인이다. 전통마을은 민속 관광지가 아니기 때문에 민속 관광지가 된다. 주민들이 문화유산 해설사이자 관광 안내자 구실을 한다. 지역지식이 세계지식이며, 우물 안을 잘 아는 개구리가 세계도 잘 알게 된다. 나그네에게 관광버스는 따로 없다. 모든 대중교통이 관광버스이자 관광열차이다. 이러한 불편한 관광이 존재하지 않을 것 같으나 ‘산티아고 가는 길(Camino de Santiago)’은 오직 걸어서 800㎞를 여행하는 나그네문화의 훌륭한 보기이다. 제주도 올레길, 지리산 둘레길이 모두 그러한 도보여행의 새로운 경향을 이룬다. 나그네문화를 통해서 관광이 단순히 구경거리를 즐기는 천박한 행락이 아니라, 삶의 길을 발견하는 인생의 순례이자 수련이라는 사실을 깨달아야 건강한 관광문화를 창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나그네문화는 인생을 바람직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가장 오래된 여행 방식이자, 미래에도 계속 추구해야 할 대안관광문화라 할 수 있다. 걷기 여행과 공정여행 운동이 나그네문화의 새로운 전통이다. In order for tourism study to move farther from business administration study to culture study, two subject-changing arguments are required; one is take note of traditional traveller culture and the other is tourist the tourism subject. Since travellers are the very subjects of tourism, the present limitations of tourism study can be overcome through traveller culture and desirable tourism culture can be sought after. Traveller culture is well reflected in traveller tales. Traveller rale patterns include tales of upper class people like Satgat Kim, royal emissary Munsu Park and king Sukjong etc and these of lower class people like Seondal Kim, Manseo Jeong and Hakjung Bang etc. Through travel on a journey, upper class people can realize the right way of behavior as nobility, royal emissary or king through encounter with the public ar large by being on the road in laymen's clothes, and lower class people can reach accomplishment of life by moving themselves away from daily grinds in unexpected experiences. When they are on a journey, they Bud new ways of life through encounters of people with no discrimination of identity high or low. Upper class people can learn their due obligation as privileged class by witnessing the reality of laymen people, and lower class people can accomplish the effluence by exercising the capacity of independent life by walking out of daily grinds. Though their journey, their long points are enhanced and short points are complemented. Thus, through journey, king and royal emissary, when are clothed as ordinary traveller, can rightly grasp the reality of public at large, and powerless local nobilities or household servants can gain better insight into the world. Traveller culture evolves in the same manner. In traveller culture, there no separate tourist attraction, but any place can be tourist attraction. Traveller is the subject of tourism and at the same time the object of tourism. The hose is traveller and the traveller is host. A traditional village can be folk tourist attraction. Residents themselves can play the role of cultural assets guide and tourism guide. Local knowledge is global knowledge, and a frog well knowledgable on a water spring can learn the world well. To travellers, no tourism bus is necessary. All the public transportations are tourism bus and tourism railway. Such inconvenient travel doesn't seem to exist, but 'The Way To Santiago(Camino de Santiago)' is a great example of traveller culture that illustrates a traveller travelling 800㎞ journey only on feet. Sound tourism culture may he created only through realization of the fact thar tourism is the pilgrimage and discipline of life rather than entertainment that simply gives amusement through spectacles. Therefore, traveller culture can he the oldest form of journey thar can make desirable change of life and at the same time alternative tourism culture that should continue to be pursued in the future as well.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여가문화와 농촌문화관광의 민속학적 고찰

        박환영 ( Hwan Young Park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6 No.-

        본고는 여가문화와 농촌문화관광에 대한 민속학적인 시각에 대한 연구이다. 한국의 농촌문화 속에는 전통적인 생활문화가 많이 남아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생활문화를 소재로 하는 농촌문화관광은 현대인들의 여가문화로 중요한 가치를 발휘할 수 있다. 특히 친환경과 전원적인 농촌생활을 소재로 하는 생태문화관광이라든지 전통문화에 대한 체험 프로그램 등은 농촌문화관광이 가지고 있는 매력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문화의 시대에 있어서 민속은 가장 핵심적인 문화콘텐츠로 자리매김하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오늘날 여가문화 속에서 문화관광자원이 될 수 있는 농촌문화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현대인의 삶은 새로운 여가문화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여가문화 속에는 농촌문화관광자원이 중요하게 다루어질 수 있다. 농촌이 가지고 있는 이러한 문화관광자원이 현대의 여가문화로 충분한 가치를 발휘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이 경주되고 있는 시점에서 농촌이 가지고 있는 잠재적인 문화관광자원에 대한 집중적인 논의가 필요한 실정이다. 더욱이 문화의 가치를 중요시 하는 현대인들에게 좋은 길잡이가 될 수 있는 여가문화의 핵심적인 소재로서 가치를 가지고 있는 농촌문화관광자원의 몇 가지 가능성은 친환경적인 생태문화를 비롯하여 농촌의 일상적인 생활문화 속에서 찾을 수 있다. 여가문화가 가질 수 있는 이러한 농촌문화와의 연관성을 좀 더 확대하고 현대인의 생활공간인 도시생활 속에서 여가문화를 전통적인 농촌문화와 연계하기 위해서 여가문화와 관련한 농촌문화관광자원을 지속적으로 찾아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의미에서 농촌문화관광자원의 구체적인 사례와 농촌문화 속에 내재되어 있는 지속가능한 현대 여가문화의 가능성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방안모색이 요구된다. In contemporary society traditional culture is closely linked with cultural tourism as well as leisure culture. Cultural tourism based on traditional culture is probably an important resource for leisure culture. In addition, folk culture usually reflects people`s living customs and daily practices, therefore folkloric contents in cultural tourism are surely to rise in interest for leisure culture today. In this respect, this paper look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culture and possible resources for folk cultural tourism, particularly some possibilities found in agricultural villages. A variety of perspectives on cultural tourism in traditional agricultural villages are given, such as ecological environment, traditional living culture and sustainable resources for cultural tourism. From these arguments some possible resources for folk cultural tourism as a possible newly emerging leisure culture today are derived. As I have presented, in the case of the Chahang village in the Pyongchang county, the regional tradition as well as every day living culture are good examples for cultural touristic resources. Also not only ecological environment but also occupational environment in agricultural villages have to be considered to be developed as sustainable cultural touristic resources.

      • KCI등재

        문화예술관광 체험이 브랜드 자산과 태도,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최인경 ( Ingyeong Choe ) 관광경영학회 2020 관광경영연구 Vol.9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ultural and artistic tourism experiences on brand equity, attitude and loyalty.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promote and market culture and art tourism in Jeollabuk-do and to seek ways to expand tourist attraction, and to enhance the image of culture and art tourism and Jeollabuk-do. First,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 of cultural and artistic tourism experience on brand assets (images),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analyzing each item of culture and arts tourism. I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mage). Second,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cultural art tourism experience on brand assets (cognition),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analyzing each item of culture and art tourism.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entertainment, educational, and deviant factor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among the factors of cultural art tourism experience, and education seemed to be the most affected. Third,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analyzing each item of culture and art tourism to understand the effect of cultural art tourism experience on brand assets (perceptual qualit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entertainment, educational, deviant, and psychological factors all had a significant influence among the factors of cultural art tourism experience. Fourth,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cultural and artistic tourism experiences on attitudes,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analyzing each item of culture and arts tourism.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entertainment,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factors among the factors of cultural art tourism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but the deviant factor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Fifth,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cultural and artistic tourism experiences on loyalty,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analyzing each item of culture and arts tourism.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factor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among the factors of cultural art tourism experience, but entertainment and deviant factor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Sixth,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brand equity on attitudes,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analyzing each item of brand equity. As a result, among the factors of brand equity, image, perception, and perceived quality all had a significant effect, while entertainment and deviant factor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 KCI등재후보

        문화관광 상품화를 위한 도시재생 사례 연구 - 1913송정역시장을 중심으로 -

        최재우 ( Choi Jae-woo ) 한국관광산업학회 2018 Tourism Research Vol.43 No.3

        전통시장은 문화와 스토리를 생성·소비·교환하는 역할을 하였지만 사회 변화로 쇠퇴가 가속화되고 있다. 그동안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쾌적한 쇼핑 공간 조성 등 현대화 노력을 하였지만 성과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최근 도시재생 사업으로 문화관광 상품화를 통한 재생 노력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1913송정역시장 재생 프로젝트와 도시재생 사례 분석을 토대로 문화관광 상품화를 통한 전통시장과 도시재생 성공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문화관광적 관점에서 전통시장과 도시재생을 고찰하였다. 문화관광적 차원에서 전통시장의 기능과 역사, 재생 방안을 정리하였다. 도시재생에서는 사업 내용과 문화관광적 요소를 도출하였다. 사례분석에서는 1913송정역 역사와 재생 프로젝트를 분석을 하였으며, 추진 단계별 모델을 정리하였다. 1913송정역시장은 민간기업과 지자체지역기관·상인·주민이 협업을 이룬 구조이다. 역사성·보존성·유입성 재생을 통해 전통시장을 문화관광 상품화하여 지역 대표 여행지로 변화되었다. 이후 일련의 성과를 바탕으로 광주송정역세권 도시재생활성화계획이 수립되어 추진되고 있다. 도시재생 사업은 3대 핵심 전략으로 1913송정역시장 기반 강화, 송정역세권 역사·문화 가꾸기, 주민생활여건 개선으로 설정되었다. 관련 이론과 사례분석을 통해 명소화 전략에 기반 한 문화관광재생과 단계별 도시재생이 연계된 모델을 제시하였다. 체계적인 문화관광 상품화를 위해서는 장소마케팅 기법으로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문화관광분야와 도시재생분야를 씨줄과 날줄로 교차시켜 사업 연계와 상호보완을 이끌어 낼 필요가 있다. 끝으로 문화관광 기반 도시재생 활성화를 위해서는 관광 패러다임 전환, 도시생활 공간 복합 자원의 시너지 창출, 관광 계획과 연계한 체계적인 도시재생 계획 수립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A traditional market has played a role in generating, consuming and exchanging cultures and stories, but its decline is accelerating due to social change. All this while, a lot of efforts for modernization of a traditional market like pleasant shopping space creation, etc., have been made with the aim to revitalize a traditional market, but there was a limit to the results of efforts. Hereupon, as a part of urban generation, efforts for regeneration through culture tourism commercialization have been actively made recently. This study is intending to inquire into a success method of a traditional market and urban regeneration through culture tourism commercialization on the basis of the case analysis of Gwangju Metropolitan City-based 1913 Songjeong Station Market regeneration project, and urban regeneration. This study considered a traditional market and urban generation from a culture-tourism perspective in a theoretical background. In addition, this study organized the function, history and regeneration method of a traditional market at a culture-tourism level. This study deducted the project content and culture-tourism elements in urban generation. In the case analysis, this study analyzed the history and regeneration project of 1913 Songjeong Station, and arranged models by promotion phase. The 1913 Songjeong Station Market is structured with collaboration between a private enterprise and local government, regional organizations, merchants and residents. This market has been transformed into a regional representative tourist destination by doing culture-tourism commercialization of a traditional market through its historicity, conservative property, and inflow feasibility. Afterwards, the urban regeneration revitalization plan for the Gwangju Songjeong Station influence area has been established to be promoted at present on the basis of a series of the results. This study set up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with 1913 Songjeong Station Market foundation strengthening, switching of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Songjeong Station influence area, and improvement of residents’ living conditions as the three major core strategies. Also, this study presented a model connected with culture-tourism regeneration based on a strategy for making this area an attraction, and phased urban regeneration through related theories and case analysis. For systematic culture-tourism commercialization, it’s necessary to set up a business plan using a place marketing technique, and to draw business connection and complementation by getting the culture tourism field, and urban regeneration field crossed with the lines of latitude and longitude. In closing, this study presented the necessity of systematic urban regeneration planning connected with a paradigm shift in tourism, synergy creation of complex resources in urban living space, and urban tourism plan.

      • KCI등재

        한 ․ 중 문화관광산업 비교 연구 - 지역 문화관광상품 중심으로 -

        황균정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8

        In this paper, the concept of the diversified cultural tourism industry in Korea and China was summarized and the research direction was suggested. Also, the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the cultural tourism industry were analyzed. As a characteristic of the cultural tourism industry in both Korea and China, it exhibited similar cultural tourism forms such as performances, theme parks, festivals, and museums. Korea had a unique cultural tourism form called Hallyu cultural tourism, and China is also a rare cultural arts complex in Korea. And has developed cultural tourism. The strength of the Korean culture and tourism industry is that it is rich in cultural resources and possesses many assets with cultural contents, and the strength of the Chinese culture and tourism industry is that it has abundant tourism resources and huge economic power. As such, Korea and China with many similarities were found to be a country with high interest and potential in the cultural tourism industry, which is growing into a high value-added industry in the future. In addition, in order to continuously and stably develop the cultural tourism industry, continuous efforts and interests and proper research must be conducted so that the two countries can coexist with each other. 본 논문에서는 한․중 양국의 다양해진 문화관광산업에 대해 개념 정리를 하고 이를 통해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문화관광산업의 특징과 현황을 분석하였다. 한․중 양국의 문화관광산업의 특징으로 공연, 테마파크, 축제, 박물관 등 유사한 문화관광 형태를 보였으며, 한국은 한류문화관광이라는 특유의 문화관광 형태가 있었고, 중국 또한 한국에서 희소한 문화예술 단지를 세워 문화관광을 발전시켜 왔다. 한국 문화관광산업의 강점은 문화자원이 풍부하며 문화적 내용을 담은 많은 자산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중국 문화관광산업의 강점은 풍부한 관광자원과 거대한 경제력을 갖추고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유사점이 많은 한․중 양국은 미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성장하는 문화관광산업에 많은 관심과 가능성이 높은 나라임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문화관광산업을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양국이 서로 상생할 수 있도록 부단한 노력과 관심, 그리고 그에 합당한 연구가 진행 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한국문화관광 경쟁력 제고방안

        이기종 한국호텔관광학회 2008 호텔관광연구 Vol.10 No.4

        Better competitiveness of culture tour improves the prestige of the nation enhancing the pride and image of the country and providing the source of patriotism. I proposed, as a way of nurturing culture tourism, that we establish the symbol of culture tourism brand representing Korea, build World Culture Tourism Center to play a role of leading nation for the exchange of world culture tourism utilizing geopolitical advantage, and construct the Korea Wave Culture Center to provide a place for the performing art and continue and proliferate the Korean wave tourism. We should also promote the globalization of the tourism festival culture in order to make up for the comparative shortage of historical heritage such as palaces and we could widen the horizon of culture tourism resources by developing knowledge based story culture with the expansion of tourism storytelling.

      • KCI우수등재

        지역문화기반 융합관광의 창출모형에 관한 연구 - 제주도 농촌관광의 관점에서 -

        장혜원 한국관광학회 2018 관광학연구 Vol.42 No.1

        Until recently, there has been little attention paid to the study of convergence within the tourism industry. This new research challenges creation models of convergence tourism based on local culture by focusing on rural tourism. This is because the rural form has been classified as a value creation type of convergence tourism. To accomplish this study objective, theoretical review, deep interview, and empirical analysis were carried out simultaneously. Using semi questionnaires and interview data, results were analyzed and then studied empirically for a village in which rural tourism based local culture had been promoted. We found that the model of convergence tourism based local culture was defined by driving forces, processes and consequences of convergence. In this research, driving forces of convergence were present in local resources as well as the process of recreation within the local culture. Furthermore, the most significant consequence of convergence was the creation of eco culture tourism. This research suggests that convergence tourism would make a successful business model for the future tourism industry. Finally, this research acknowledge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ng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 this field. 지금까지 관광산업에서 융합 관련 연구는 제한적이었다. 본 연구는 융합관광 중 대표적인 가치창출형으로 분류되는 농촌관광을 대상으로 융합관광의 창출모형을 개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이론적 고찰과 심층면접, 그리고 실증분석을 병행하였다. 반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한 심층면접에서는 내용분석을 실시하였고, 이어 문화기반 농촌관광을 추진한 마을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병행하였다. 분석결과 문화기반 융합관광의 창출 모형은 크게 동인, 과정, 결과 등으로 범주화되었다. 융합의 동인은 지역자원의 가치를 인식하는 것에서 비롯되며, 융합의 과정에서는 지역문화를 재창조하며, 융합의 결과로는 생태문화관광이 창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관광산업의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는데 하나의 성공모델로 시사점을 갖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